KR101139689B1 - 건축물 유지 관리를 위한 예산수립 우선순위 도출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축물 유지 관리를 위한 예산수립 우선순위 도출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689B1
KR101139689B1 KR1020110133966A KR20110133966A KR101139689B1 KR 101139689 B1 KR101139689 B1 KR 101139689B1 KR 1020110133966 A KR1020110133966 A KR 1020110133966A KR 20110133966 A KR20110133966 A KR 20110133966A KR 101139689 B1 KR101139689 B1 KR 101139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value
item
value
weight
eval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전
정태갑
박태근
이춘경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주)엘씨씨코리아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주)엘씨씨코리아,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110133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유지관리에 있어 예산수립관리의 우선순위 도출에 관한 것으로, 자체평가값, 정량평가값, 정성평가값, 가중치 평가값 및 최종심의 평가결과 값을 합산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것이다. 자체평가값은 예산수립 요청 단계에서 각 시설 담당자 또는 예산관리자가 해상 시설의 개/대체 항목에 대해 상태정도와 긴급정도를 평가하여 입력하고 정량평가값은 LCC 분석에 의한 미래 예측 비용을 산출하고 실제 투입비용에 대한 비율 비교를 통한 평가를 수행하여 도출한다. 정성평가값은 주요 부재 및 재료, 세부설비 등의 개/대체 항목에 대해 5점 척도의 평가값과 가중치의 곱으로 산출하며 해당시설의 내구연한, 건물용도 등 5개 항목에 대한 가중치평가값을 산출하고 최종 결재권자의 심의평가결과값을 모두 합산하여 우선순위르 도출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방법 및 시스템은 한정된 자원인 예산의 투입을 가장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우선순위를 수립하여 제시한다.

Description

건축물 유지 관리를 위한 예산수립 우선순위 도출방법 및 시스템 {Priority Decision Method and System considering the budget constraints for Building Management}
본 발명은 건축물 유지 관리를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유지 관리를 위한 예산 수립에 있어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구조 및 안전진단체계 부재에 따른 심각한 건축물 재난 발생률이 증가함에 따라 건축물의 유지관리와 점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고 있다. 건축물의 운영유지 관리를 위한 비용은 건물의 생애주기 동안 건설비용의 약 5배가 소요되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운영유지와 예산수립이 소홀히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그 결과 삼풍백화점이나 성수대교 붕괴와 같은 큰 재난으로 이어진 예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재난을 방지하기 위해서 건축물의 구성 부품들의 상태를 미리 평가, 예측하고 유지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 건축물 운영유지 관리 시스템은 수집된 데이터를 단순히 제어 또는 감시용으로만 사용하며 관리 또한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져 건축물에 대한 이력조사 및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단순한 데이터 제시로 인해 건축물 설비의 조정, 수선 또는 교체는 현장관리자의 판단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즉, 데이터들에 대한 전문가의 정확한 평가가 부재하고 미리 예측하여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관리 부재의 문제가 있다.
또 한편으로 건축물의 유지 관리는 한정된 예산 하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정확한 건축물 상태 파악 및 우선순위 도출이 필요하다.
한정된 예산을 고려한 우선순위 도출을 꾀하는 본원 발명의 제1 목적에 대비되는 종래 기술로는 교통시설 투자 우선순위 분석과 Work machine 관리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주요 관련 기술의 논문과 특허의 기술 현황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1a는 교통시설 투자에 있어 항목을 설정하고 평가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도 1b는 Work machine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예산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수선 등을 수행하도록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비특허문헌 1에서 제시한 교통시설 투자 우선순위 분석에 관한 것으로,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항목들을 정의하고 가중치를 선정하여 평가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우선순위 분석의 목적과 적용 분야가 교통물류 거점 유형별 예산을 고려한 교통시설 투자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운영유지를 위한 우선순위 도출과는 그 목적 및 고려해야하는 평가항목이 완전히 상이하다.
도 1b는 특허문헌 1에서 제시한 Work machine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한정된 예산을 고려하여 Chart에 수선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제시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나, 특허문헌1은 그 목적과 적용 분야가 Work machine에 관한 것으로 본원의 건축물의 운영유지를 위한 우선순위 도출과는 그 목적 및 고려해야하는 평가항목이 완전히 상이함을 알 수 있다.
건축물의 유지관리 시스템에 대한 예산수립이라는 본원 발명의 제2 목적에 대비되는 종래 기술로는 도1c에 보이는 특허문헌 2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는 건축물에 대한 총생애 주기비용의 개략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건축 이전에 전체 비용을 예상하고 예산을 수립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 발명의 운영유지를 위한 예산을 수립하고 한정된 자원의 효율적 투입을 위한 우선순위 도출 구성은 전혀 개시나 암시가 없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주요 기술들은 예산을 고려한 우선순위 도출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으나 건축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예산수립 평가방법과 항목, 요인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건축물 등의 시설 도입의 우선순위나 전체 비용 산출에 관한 것만을 제안하고 있어 건축 못지않게 중요한 운영유지 관리에 대한 예산수립 및 예산 투입을 위한 우선순위 도출 방안이 시급히 요구된다.
즉, 단순한 건축물의 운영유지 관리를 위한 데이터 산출이나 평가 외에 한정된 운영유지를 위한 예산의 수립 및 집행에 있어서의 우선순위 도출은 한정된 자원과 재원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건축물을 운영유지 관리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그러나 기존의 건축물 운영유지관리에 관한 종래기술들은 한정된 자원이나 재원을 고려한 우선순위 도출에 대한 어떠한 제안도 하고 있지 못하다.
1. 미국특허공개공보 US 2002/0059320호(2002. 5. 16.) 2. 한국공개공보 제10-2011-0026351호(2011. 3. 15.)
1. 오세창 외, 교통물류 거점 유형별 예산비율을 고려한 연계교통시설 투자우선 순위 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30권 제4D호, pp.361-368, 201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예산수립 우선순위 도출을 위하여 자체평가, 정량평가, 정성평가, 가중치 평가 및 최종심의 평가결과 값을 각각 산출하고 이를 합산하여 효율적인 건축물 유지관리를 위한 예산수립 우선순위 도출하는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자체평가, 정량평가, 정성평가, 가중치 평가 및 최종심의 평가결과 값을 각각 산출하고 이를 합산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한다. 본원에서 제안하고 있는 건축물 유지 관리를 위한 예산수립 우선순위 도출 방법은 자체평가값(SA)을 산출하는 제 1단계, 가중치평가값(WA)을 산출하는 제 2단계, 정량평가값(FCI of Quan.)을 산출하는 제 3단계, 정성평가값(FCI of Qual.)을 산출하는 제 4단계, 최종심의평가(DA)값을 산출하는 제 4단계 및 상기 각 단계의 산출 값의 합을 최종 우선순위로 산출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우선순위 산출식은
Figure 112011099090575-pat00001
으로 도출한다. 전체 값은 1,000점을 기준으로 하며, 자체평가값(SA)는 전체 값에 대해 50점, 정량평가값(FCI of Quan.)은 150점, 정성평가값(FCI of Qual.)은 600점, 가중치평가값(WA)은 100점, 최종심의평가(DA)는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전체값 산출에 계산되도록 한다.
각각의 평가값 산출 단계들을 상세히 살펴보면, 자체평가값(SA)을 산출하는 제 1단계는 시설의 상태정도값(Performance condition)과 시설의 긴급정도값(Urgency condition)을 입력받아 다음 수식에 따라 자체평가값을 산출한다.
Figure 112011099090575-pat00002
이때 자체평가를 위한 상태정도값과 긴급정도값은 그 심각성이나 긴급정도에 따라 표1과 같이 정의된다.
자체평가값(SA) 산출을 위한 상태정도값 및 긴급정도값 등급 정의
구분 세부항목 상태정도(PC) 긴급정도(UC) 정량화
1 1(awful) 매우심각 매우긴급 10
2 2 심각 긴급 8
3 3 보통 보통 6
4 4 안정 불급 4
5 5(Excellent) 매우안정 매우불급 2
즉, 건축물의 구성품이 상태정도값이 매우 심각한 등급이고, 긴급정도값이 매우긴급 등급인 경우 정량화 값은 각 10점을 취득하게 되어 자체평가값 SA는 10점을 얻게 된다.
가중치평가값(WA)을 산출하는 제 2단계는 시설의 가중치 세부 항목 설정 단계, 세부 항목에 대한 평가결과 값 설정 단계 및 설정된 세부 항목의 평가결과 값의 합을 구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본원 발명은 세부항목을 내구연한, 건물용도, 건물규모, 근무인원, 변화대응 항목으로 하되, 상기 세부 항목에 대한 평가결과 값 설정단계는 항목별 값과 가중치값의 곱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중치평가값(WA) 산출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1099090575-pat00003
Value 1 내지 Value 5는 내구연한, 건물용도, 건물규모, 근무인원, 변화대응에 대한 설정값이다.
정량평가값(FCI of Quan.)을 산출하는 제3 단계는 LCC 분석결과에 따라 미래예측 비용을 산출하는 단계, 개/대체 항목별 실제 투입비용 산출 단계, 특정시점을 기준으로 정량적 시설상태 지수(FCI: Facility Condition Index of Quantity)를 다음 수식으로 구한다.
Figure 112011099090575-pat00004
상기 Maintenance Costn은 항목별 실제 투입비용이며 Result of LCCn은 LCC 분석결과에 따른 미래예측비용이며, χ는 항목별 정량 평가값을 나타내고, weight of x는 항목별 가중치, 특정시점을 나타내는 n은 제 1 내지 제65 중 1개 년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성평가값(FCI of Qual)을 산출하는 제 4단계는 개/대체 항목 설정 단계, 상기 개/대체 항목에 대한 정성평가값을 입력받는 단계, 가중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개/대체 항목의 가중치를 조회하는 단계 및 정성평가값을 다음 수식으로 구한다.
Figure 112011099090575-pat00005
상기
Figure 112011099090575-pat00006
는 각 항목별 입력값으로 1 내지 5 까지의 값이며, 상기 wa(1)은 가중치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한 각 개/대체 항목당 가중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종심의평가(DA)값을 산출하는 제 5단계는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사업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추진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최종 예산수립 결정권자에 의한 값을 입력받는 단계로 구성되며 정량적으로 평가되기 어려운 중요도 등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 의한 예산수립 우선순위 도출 시스템 및 방법은 자체평가를 통한 예산수립 요청, 정량평가값, 정성평가값 및 가중치 평가를 통한 시설상태 평가와 함께 예산수립 결정권자의 최종 심의평가값의 합산을 통해 정확하고 건축물 운영관리의 실제 상태를 반영한 우선순위 도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기술에 의한 예산을 고려한 우선순위 도출 실시예와 건축물 총생애주기 비용 분석 시스템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우선순위 도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정량적 평가 방법에 있어서 각 변수들간의 관계를 보이는 관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시설 상태를 평가하여 예산수립을 할 때 예산수립의 우선순위는 정량평가, 정성평가 및 가중치 평가에 의하여 도출된다. 이에 자체평가와 최종심의평가를 추가하여 본원 발명의 궁극적 목적인 예산수립 우선순위 도출을 이루게 된다.
도 2는 본원 발명에 따른 예산수립 우선순위 도출 시스템의 실행 순서도이다. 본원 시스템의 실행 모듈과 함께 예산수립 우선순위 도출 방법의 일반적 수행 단계를 함께 표시하였다. 본원 시스템의 각 평가 모듈은 순차적으로 평가될 수도 있지만 병렬적으로 평가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주기적인 건축물의 시설 상태 점검 수행을 통해 자체평가값을 산출할 수 있고 이는 예산수립 요청 단계에 해당된다. 이후 가중치평가값 산출, 정량평가값 및 정성평가값 산출을 통해 객관적인 시설상태평가를 수행하게 된다. 이후 최종심의평가값에 의해 예산수립 및 집행의 결정권자의 중요도 판정값을 반영하여 산출된 값들의 합산을 통해 최종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산수립관리 우선순위 도출은 전체 1,000점을 기준으로 산출하되, 자체평가, 정량평가, 정성평가, 가중치 평가 및 최종심의 평가값을 각각 산출하여 합산하도록 설계하였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로서, 자체평가값은 예산수립 초기에 예산수립요청단계로 해당시설 관리자에 의해 산출되어 제시될 수 있으며 전체 우선순위 도출에 미치는 비율은 1,000점 중 50점으로 한다.
정량평가값은 특정시점을 기준으로 미래예측비용 대비 실제투입비용의 비율 비교를 통해 시설 상태 정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설계하였고, 정량평가값을 이용하여 좀 더 정확하고 자세한 현재의 건축물 또는 시설에 대한 상태 분석이 가능하다. 정량평가값은 시설의 상태평가 단계에서 세부상태평가의 하나의 결과로 산출될 수 있으며 정성평가값 산출 역시 시설 상태평가 단계에서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다. 정량평가값은 전체 우선순위 도출에 미치는 비율을 1,000점 중 150점으로 하고, 정성평가값은 1,000점 중 600점으로 반영하도록 설계하였다. 정성평가값은 각 개/대체 항목의 전문가 평가인 5점 척도의 가중치값을 모두 반영한 것으로 시설 상태평가에 있어 가장 정확하고 중요한 값으로 취급되도록 설계하였다. 다음에 개시하는 표 2는 본원 발명의 한 실시예로 정성평가값을 구성하는 항목의 5점 척도값의 기준표이다.
정성평가값 산출을 위한 항목별 가중치 등급 정의표
구분 세부항목(y) 정성 상태정도 세부 내용 y 가중치
1 1(awful) 매우심각 - 주요 부재/재료, 세부설비에 심각한 결함 발생
- 안전 등 위험이 있어 즉시 보강, 개/대체를 해야 하는 상태
1.0
2 2 심각 - 주요 부재/재료, 세부설비에 결함이 발생
- 긴급한 개/대체 및 보강이 필요한 경우는 사용제한 여부 결정해야 하는 상태
0.8
3 3 보통 - 주요 부재/재료, 세부설비에 경미한 결함 또는 보조 부재에 광범위한 결함 발생
- 전체적인 시설물 안전에 위험은 없으나, 내구성과 기능성 저하 방지를 위해 개/대체 및 간단한 수선 필요한 상태
0.6
4 4 안정 - 보조 부재에 경미한 결함 발생
- 기능에는 지장 없으며, 내구성 증진을 위해 일부 개/대체 수선 필요한 상태
0.4
5 5(Excellent) 매우안정 - 문제가 없는 최상의 상태 0.2
본원발명은 정량평가 및 정성평가값 산출 외에 시설상태평가의 또 다른 항목으로 가중치평가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가중치평가값 산출을 통해 시설상태평가의 상태평가 관리를 수행하도록 한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가중치 평가 항목 정의 및 항목별 가중치값은 다음 표 3에 보이고 있다.
가중치평가값 산출을 위한 항목 정의 및 항목별 가중치 정의표
구분 평가항목 비중
(Total 100)
항목 별 세부 상태 정의 가중치 가중치값
(Total 100)

1

내구연한

38
- 20년이상 1.0 38
- 10~20년 0.8 30
- 5~10년 0.6 23
- 5년미만 0.4 15

2

건물용도

27
- 사무/업무 1.0 27
- 복지 0.8 22
- 설비 0.6 16
- 기타 0.4 11

3

건물규모

15
- 연면적3,000㎡ 1.0 15
- 연면적1,000㎡~3,000㎡ 0.8 12
- 연면적1,000㎡~3,000㎡ 0.6 9
- 연면적100㎡미만 0.4 6

4

근무인원

15
- 50명이상 1.0 15
- 20~50명 0.8 12
- 5~20명 0.6 9
- 5명미만 0.4 6

5

변화대응

5
- 방재/재난 1.0 5
- 제도변화 0.8 4
- 환경변화 0.6 3
- 부서요구 0.4 2
가중치 평가값은 전체 우선순위 도출 산출식에 대해 1,000점 만점에 100점의 비율을 갖도록 설계하였다.
본원 발명은 최종 예산수립 단계에서 결정권자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하여 요청 사업의 중요도 등 시설상태 이외의 정성적 요인을 고려하여 추진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평가하는 100점 비율의 평가값 입력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정량평가, 정성평가 및 가중치평가에는 개/대체 항목별 가중치 데이터베이스가 조회된다. 표 4는 정량평가값 및 정성평가값 산출 시에 조회되는 개/대체 항목별 가중치 테이블의 예를 보이고 있다. 각 항목의 가중치는 계층적 구조로 설계되어 데이터베이스에 값이 설정, 저장된다. 정량평가 및 정성평가 시에 가중치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평가값을 산출하며 정량평가값 산출시의 변수들의 관계는 도 3에 보이고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LCC 분석 결과 값으로 구하는 미래예측비용 대비 개/대체 항목에 소요된 실제투입비용 비율은 노후화 진행정도에 따라 그 비율이 상승한다.
개/대체 항목별 가중치 테이블 (전기통신 가중치 설정 일부 실시 예)
1단계 1단계
가중치
2단계 2단계
가중치
3단계 3단계
가중치
4단계 최종가중치















전기
통신















0.3



전기
시설


0.3



조명
설비


0.02 형광등 0.0005
0.3 0.3 0.02 백열등 0.0003
0.3 0.3 0.02 할로겐등 0.0003
0.3 0.3 0.02 방전등 0.0003
0.3 0.3 0.02 LED 0.0003
0.3 0.3 0.02 샹들리에 0.0005
0.3 0.3 0.02 옥외보안등 0.0006
0.3 0.3 0.02 Pole Light 0.0005
0.3 0.3 0.02 스위치 0.0005
0.3 0.3 0.02 조명제어설비 0.0006
0.3








소방
/
제어
시설









0.3






소방
설비
0.6 감지기 0.0034
0.3 0.3 0.6 수신반 0.0034
0.3 0.3 0.6 발신기 0.0034
0.3 0.3 0.6 중계기 0.0034
0.3 0.3 0.6 화재경보및방재기기 0.0034
0.3 0.3 0.6 전원장치 0.0034
0.3 0.3 0.6 음향장치 0.0034
0.3 0.3 0.6 유도등 0.0034
0.3 0.3 0.6 비상조명등 0.0033
0.3 0.3 0.6 소화펌프 0.0033
0.3 0.3 0.6 모터 0.0033
0.3 0.3 0.6 내연기관(엔진) 0.0033
0.3 0.3 0.6 소화기구 0.0033
0.3 0.3 0.6 스프링클러 0.0033
0.3 0.3 0.6 급수전 0.0033
0.3 0.3 0.6 급수관방로피복 0.0033
0.3 0.3


제어
설비
0.4 자동조명제어 0.0047
0.3 0.3 0.4 통합조명제어 0.0047
0.3 0.3 0.4 가로등조명제어 0.0047
0.3 0.3 0.4 보안등자동제어 0.0047
0.3 0.3 0.4 조명제어 0.0047
0.3 0.3 0.4 전력제어 0.0059
0.3 0.3 0.4 승강기제어 0.0059
0.3 0.3 0.4 화재감시제어 0.0059
0.3 0.3 0.4 통합감시제어 0.0059
시설상태를 평가하는 정량평가값 및 정성평가값은 시설상태 지수 산출 모둘을 이용하여 산출하며 다음과 같이 정량평가값을 설계하였다.
Figure 112011099090575-pat00007
x : 해당 시설의 개체/대체 항목을 나타냄. 각 항목별 실제 유지관리 투입비용 / 설정년도의 LCC 결과 값으로 구한다.
Weight of x : x 항목에 대한 가중치
n : 시설물에 대한 설정년도, 설정년도는 건축물 또는 시설의 특성에 따라 1 내지 60년의 범위 내에서 1개 년도를 정하여 설정하도록 한다.
모든 개/대체 항목에 대해 정량 평가를 실시하고, 요청 비용(예산요청안 기준으로)이 50% 이상의 개/대체 항목이 없는 경우에는 각 항목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가중치가 가장 높은 것을 기준으로 정량평가 값을 전체 조합항목의 값으로 설정하되, 요청비용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항목이 있는 경우 그 항목을 기준으로 정량평가값을 구하여 이를 전체 조합항목의 값으로 설정한다. 정량적 시설상태 지수의 총점은 150점 만점을 기준으로 산출한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예산수립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한 건축물 유지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원 시스템은 자체평가값 산출 모듈, 정량평가값 산출 모듈, 정성평가값 산출 모듈, 가중치평가값 산출 모듈, 최종심의평가값 산출 모듈 및 상기 각 모듈의 출력 값의 합으로 우선순위를 산출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은 예산수립 우선순위를 산출하여 표시하고 관리 주체는 어느 시점에서 어느 곳에 실제 비용을 투입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지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시점의 시설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원 발명에 의한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은 각 개/대체 항목의 중요도, 상태에 따라 효율적인 우선순위 도출이 가능하며 따라서 한정된 자원(물리적 자원 및 재원)을 가장 효과적으로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16)

  1. 건축물 유지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예산수립 우선순위 도출 방법에 있어서,
    자체평가값 산출 모듈에서 시설의 상태정도값(Performance condition)을 입력받고 시설의 긴급정도값(Urgency condition)을 입력받아 산술 평균하여 자체평가값(SA)을 산출하는 제 1단계;
    가중치평가값 산출 모듈에서 시설의 가중치 세부 항목을 설정하고 세부 항목에 대한 평가결과 값을 설정하여 항목별 값과 가중치값의 곱의 총합으로 가중치평가값(WA)을 산출하는 제 2단계;
    정량평가값 산출 모듈에서 LCC 분석결과에 따라 미래예측 비용을 산출하고, 개/대체 항목별 실제 투입비용 산출하여 특정시점을 기준으로 정량적 시설상태 지수(FCI: Facility Condition Index of Quantity)를
    Figure 112012021558389-pat00018
    로 구하는 정량평가값(FCI of Quan.)을 산출하는 제 3단계 (여기서, Maintenance Costn은 항목별 실제 투입비용이며 Result of LCCn은 LCC 분석결과에 따른 미래예측비용이며, χ는 항목별 정량 평가값을 나타내고, weight of x는 항목별 가중치, 특정시점을 나타내는 n은 1 내지 65중 1개 년도로 설정하는 것임);
    정성평가값 산출 모듈에서 개/대체 항목을 설정하고, 상기 개/대체 항목에 대한 정성평가값을 입력받아 가중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개/대체 항목의 가중치를 조회하여
    Figure 112012021558389-pat00019
    로 정성평가값(FCI of Qual.)을 산출하는 제 4단계(여기서,
    Figure 112012021558389-pat00020
    는 각 항목별 입력값으로 1 내지 5 까지의 값이며, 상기 wa(1)은 가중치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한 각 개/대체 항목당 가중치 값);
    최종심의평가값 산출 모듈에서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사업의 중요도를 입력받아 최종심의평가(DA)값을 산출하는 제 5단계; 및
    우선순위 도출 모듈에서 상기 각 단계의 산출 값의 합으로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 유지 관리를 위한 예산수립 우선순위 도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평가값(SA)을 산출하는 제 1단계는 상태정도값과 긴급정도값을 각각 5등급으로 평가 입력하여 2점에서 10점까지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유지 관리를 위한 예산수립 우선순위 도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평가값(WA)을 산출하는 제 2단계의 세부항목은 내구연한, 건물용도, 건물규모, 근무인원, 변화대응 항목으로 하되, 상기 세부 항목에 대한 평가결과 값 설정단계는 항목별 값과 가중치값의 곱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유지 관리를 위한 예산수립 우선순위 도출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평가값(FCI of Quan.) 산출은 항목별 정량 평가 산출값 χ가 전체 요청비용의 50% 이상인 항목이 있는 경우 이를 정량평가값(FCI of Quan.)의 전체 항목의 값으로 하고, 50% 이상인 항목이 없는 경우에는 항목별 가중치가 가장 높은 것을 기준으로 이를 정량평가값(FCI of Quan.)의 전체 항목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유지 관리를 위한 예산수립 우선순위 도출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제 6단계에서 구한 각 단계의 산출 값의 합이 1000점에 가까울수록 건축물 유지관리 예산수립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및 도출된 우선순위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유지 관리를 위한 예산수립 우선순위 도출방법.
  9. 시설 상태를 평가하여 예산수립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한 건축물 유지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시설의 상태정도값(Performance condition)을 입력받고 시설의 긴급정도값(Urgency condition)을 입력받아 산술 평균하여 자체평가값(SA)을 산출하는 자체평가값 산출 모듈;
    시설의 가중치 세부 항목을 설정하고 세부 항목에 대한 평가결과 값을 설정하여 항목별 값과 가중치값의 곱의 총합으로 가중치평가값(WA)을 산출하는 가중치평가값 산출 모듈;
    LCC 분석결과에 따라 미래예측 비용을 산출하고, 개/대체 항목별 실제 투입비용 산출하여 특정시점을 기준으로 정량적 시설상태 지수(FCI: Facility Condition Index of Quantity)를 구하는 정량평가값 산출 모듈;
    개/대체 항목을 설정하고, 개/대체 항목에 대한 정성평가값을 입력받아 가중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개/대체 항목의 가중치를 조회하여 정성평가값(FCI of Qual.)을 구하는 정성평가값 산출 모듈;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사업의 중요도를 입력받아 최종심의평가(DA)값을 산출하는 최종심의평가값 산출 모듈; 및
    각 모듈의 출력 값의 합으로 우선순위를 산출하는 우선순위 도출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자체평가값 산출 모듈, 가중치평가값 산출 모듈, 정량평가값 산출 모듈, 정성평가값 산출 모듈, 최종심의평가값 산출 모듈은 병렬 또는 순차적으로 실행되고, 각 모듈의 출력은 우선순위 도출 모듈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상태를 평가하여 예산수립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한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평가값 산출 모듈은 해당 시설의 상태 정도와 긴급정도를 5등급으로 평가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상태를 평가하여 예산수립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한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평가값 산출 모듈은 정량평가값 = 150 × 가중치 × (설정년도의 실제투입비용 / 설정년도의 미래 예측 비용)으로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상태를 평가하여 예산수립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한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성평가값 산출 모듈은 정성평가값 = 600 × 개/대체 항목에 대한 5등급 평가값 × 개/대체 항목별 가중치 × 10으로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상태를 평가하여 예산수립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한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평가값 산출 모듈은 각 평가항목별 값의 합으로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평가항목은 내구연한, 건물용도, 건물규모, 근무인원 및 변화대응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상태를 평가하여 예산수립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한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심의평가값 산출 모듈은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사업의 중요도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상태를 평가하여 예산수립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한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도출 모듈은
    Figure 112012021558389-pat00011
    로 구하되, SA는 자체평가값 산출 모듈의 출력이고, FCI of Quan.은 정량평가값 산출 모듈의 출력값이며, FCI of Qual.은 정성평가값 산출 모듈의 출력이고, WA는 가중치평가값 산출 모듈의 출력이며, DA는 최종심의평가값 산출 모듈의 출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를 평가하여 예산수립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한 건축물 유지관리 시스템.
  16. 삭제
KR1020110133966A 2011-12-13 2011-12-13 건축물 유지 관리를 위한 예산수립 우선순위 도출방법 및 시스템 KR101139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966A KR101139689B1 (ko) 2011-12-13 2011-12-13 건축물 유지 관리를 위한 예산수립 우선순위 도출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966A KR101139689B1 (ko) 2011-12-13 2011-12-13 건축물 유지 관리를 위한 예산수립 우선순위 도출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9689B1 true KR101139689B1 (ko) 2012-05-02

Family

ID=46271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966A KR101139689B1 (ko) 2011-12-13 2011-12-13 건축물 유지 관리를 위한 예산수립 우선순위 도출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6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188B1 (ko) * 2015-11-02 2016-10-25 이재석 부동산 시설물 종합 관리 시스템
KR101823544B1 (ko) * 2016-12-02 2018-01-3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3d bim 기반의 건축물 유지관리 업무처리 시스템 및 유지관리 업무 처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4518A (ja) 2003-08-07 2005-03-03 Shimizu Corp 建造物の修繕優先度評価手法
KR20080005699A (ko) * 2006-07-10 2008-01-15 임철식 상수도관망 노후도 성능평가 및 정비개량계획수립 시스템과그 방법
KR20110013903A (ko) * 2009-08-04 2011-02-10 한국전력공사 배전계통 설비투자 우선순위 결정 시스템 및 저장매체
KR101041779B1 (ko) 2008-12-26 2011-06-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불확실성 기반의 비용 효율적인 보강공법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4518A (ja) 2003-08-07 2005-03-03 Shimizu Corp 建造物の修繕優先度評価手法
KR20080005699A (ko) * 2006-07-10 2008-01-15 임철식 상수도관망 노후도 성능평가 및 정비개량계획수립 시스템과그 방법
KR101041779B1 (ko) 2008-12-26 2011-06-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불확실성 기반의 비용 효율적인 보강공법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 방법
KR20110013903A (ko) * 2009-08-04 2011-02-10 한국전력공사 배전계통 설비투자 우선순위 결정 시스템 및 저장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188B1 (ko) * 2015-11-02 2016-10-25 이재석 부동산 시설물 종합 관리 시스템
KR101823544B1 (ko) * 2016-12-02 2018-01-3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3d bim 기반의 건축물 유지관리 업무처리 시스템 및 유지관리 업무 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ussing et al. Knowledge-based optimization of building maintenance, repair, and renovation activities to improve facility life cycle investments
KR101683256B1 (ko) 전력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Zhang et al. Bridge network maintenance prioritization under budget constraint
KR101358673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설상태평가 방법 및 시스템
Grussing Life cycle asset management methodologies for buildings
Christodoulou et al. A study on the effects of intermittent water supply on the vulnerability of urba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KR101092883B1 (ko) 상하수도 관망의 자산관리 시스템
US20120221371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sset management optimization
KR101906954B1 (ko) 시설물별 성능 평가기준 변경이 가능한 지하구조물 자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자산관리 프로그램
AU2011200949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esources in a water utility network
US20110313808A1 (en) Built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139689B1 (ko) 건축물 유지 관리를 위한 예산수립 우선순위 도출방법 및 시스템
KR20110048802A (ko) 교량 자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Narbaev et al. Cost estimate at completion methods in construction projects
Grussing Risk-based facility management approach for building components using a discrete Markov process–Predicting condition, reliability, and remaining service life
KR101567774B1 (ko) 상수도 자산관리 시스템
KR101290533B1 (ko) 건축물 유지 관리의 우선순위 도출을 위한 정량적 시설 상태 지수 산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26303A (ko) 지식 기반 지능형 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Park et al. Survival analysis of water distribution pipe failure data using the proportional hazards model
KR102183899B1 (ko) 용수공급관로의 개량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09037A (ko) Lcc 및 lcco2를 분석하여 건축물에 대한 최적의 설계 대안을 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Flaig et al. A risk-based decision-support system for bridge management
KR102570489B1 (ko) 상하수도 자산관리 시스템
JP2002149904A (ja) 施設管理方法、施設管理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施設管理システム
KR102570507B1 (ko) 상하수도 자산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