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394B1 - 칫솔모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칫솔모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394B1
KR101139394B1 KR1020090095929A KR20090095929A KR101139394B1 KR 101139394 B1 KR101139394 B1 KR 101139394B1 KR 1020090095929 A KR1020090095929 A KR 1020090095929A KR 20090095929 A KR20090095929 A KR 20090095929A KR 101139394 B1 KR101139394 B1 KR 101139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stles
toothbrush
bristle
tightening
hea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8772A (ko
Inventor
정용길
우대근
김영욱
장현성
이용성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95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394B1/ko
Publication of KR2011003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4Preparing bristl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모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의 헤드부를 양쪽에서 조임 고정하도록 제1 및 제2 파지구가 길이방향으로 각각 오목 형성된 제1 및 제2 조임블록과, 상기 제1 및 제2 조임블록이 상호 밀착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조임블록에 결합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칫솔을 사용하다 마모가 되면 폐기 조치하여 왔으나, 구입비는 물론 자원낭비, 폐기 처리에 대한 비용과 환경을 신경써야 할 때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칫솔을 오래 사용하여 직립의 칫솔모가 양 옆으로 벌어진 칫솔모를 처음의 직립상태로 복원시켜 사용하게 되면 새 칫솔과 같이 잘 닦을 수 있어 경제적인 도움과 건강에 유용한 칫솔모 재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칫솔모 재생장치{Regenerating apparatus of 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모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칫솔을 사용하다 마모가 되면 폐기 조치하여 왔으나, 구입비는 물론 자원낭비, 폐기 처리에 대한 비용과 환경을 신경써야 할 때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칫솔을 오래 사용하여 직립의 칫솔모가 양 옆으로 벌어진 칫솔모를 처음의 직립상태로 복원시켜 사용하게 되면 새 칫솔이 잘 닦이는 것처럼 잘 닦을 수 있어 경제적인 도움과 건강에 유용한 칫솔모 재생장치에 관련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이라 함은 치아의 건강관리와 위생 청결을 위해 치약을 묻혀 치아를 닦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칫솔은 칫솔모가 식모된 헤드부와, 이 헤드부가 연장되어 형성된 손잡이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칫솔의 칫솔모에 일정량의 치약을 바른 후, 손잡이를 파지하여 칫솔모를 치아에 접촉시켜 문지르게 되면, 치약이 치아에 고르게 분포되고 치약과 함께 칫솔모가 치아 표면을 문지르면서, 양치질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치아를 건강하게 관리 및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루3번, 식후3분이내, 3분이상 닦는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지만, 횟수 및 시간보다는 올바른 칫솔질이 치아를 더욱 건강하게 관리 및 유지할 수 있는 비결이다. 올바른 칫솔질이란 칫솔모가 45도 각도로 치아와 잇몸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칫솔모를 잇몸에서 치아 쪽으로 회전시키면서 닦아 주는 것으로, 이러한 올바른 칫솔질은 치아와 치아 사이에 낀 음식찌꺼기 및 프라그를 용이하게 제거하고, 치아 및 잇몸에 무리한 충격을 주지않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이 칫솔이 마모가 된 상태에서도 오랜기간 사용하게 되는데, 치석을 제거하려고 잇몸이 상할 정도로 칫솔질을 수행하더라도 치석이 잘 제거되지 않는다.
이는, 칫솔을 오래 사용하면 직립의 칫솔모가 양 옆으로 벌어지게 되어 발생하는 단점인데, 이와 같이 벌어진 칫솔모가 잇몸을 상하게도 하며, 양치의 기능을 저하시켜 칫솔을 버리게 되어 자원낭비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칫솔모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칫솔을 사용하다 마모가 되면 폐기 조치하여 왔으나, 구입비는 물론 자원낭비, 폐기 처리에 대한 비용과 환경을 신경써야 할 때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칫솔을 오래 사용하여 직립의 칫솔모가 양 옆으로 벌어진 칫솔모를 처음의 직립상태로 복원시켜 사용하게 되면 새 칫솔이 잘 닦이는 것처럼 잘 닦을 수 있어 경제적인 도움과 건강에 유용한 칫솔모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주된 해결과제가 있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의 헤드부를 양쪽에서 조임 고정하도록 제1 및 제2 파지구가 길이방향으로 각각 오목 형성된 제1 및 제2 조임블록과, 상기 제1 및 제2 조임블록이 상호 밀착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조임블록에 결합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칫솔의 헤드부가 상기 제1 및 제2 파지구에 수용된 후 상기 칫솔모가 닿는 부위의 상기 제1 및 제2 조임블록의 내측면이 상기 칫솔의 헤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3도에서 20도로 내측으로 모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및 제2 경사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탄성부재는, 칫솔을 고정시키는 2개의 판상의 조임블록과 스프링 역할을 하는 판형 스프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조임블록의 안쪽에는 칫솔모가 심겨진 칫솔 머리 부분이 쉽게 미끄럼 이동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파지구의 양단부에 곡면형 가이드부가 확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 및 제2 조임블록의 칫솔모 대응 위치에는 제1 및 제2 유도구가 형성되어 있어, 직립상태로 유도된 칫솔모에 뜨거운 물이 쉽게 접촉이 되도록 구성 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칫솔모를 항시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칫솔모를 내측 경사 배향시킴으로써, 칫솔질에서의 감성 품질이 향상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이 칫솔모에 삽입되는 상태를 예시한 칫솔모 재생장치의 사시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보아 예시한 칫솔모 재생장치의 사시 구조도이며, 도 3은 도 2의 칫솔모 재생장치의 평면 구조도이고, 도 4는 도 3의 선 A-A에 따른 칫솔모 재생장치의 내부 단면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칫솔모 재생의 의미는, 칫솔(10)을 오래 사용하여 직립의 칫솔모(11)가 양 옆으로 벌어진 칫솔모(11)를 처음의 직립상태로 복원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다른 칫솔모 재생장치(100)는 칫솔모(11)가 식모된 칫솔(10)의 헤드부를 양쪽에서 조임 고정하도록 제1 및 제2 파지구(111, 121)가 길이방향으로 각각 오목 형성된 제1 및 제2 조임블록(110, 120)과, 상기 제1 및 제2 조임블록(110, 120)이 상호 밀착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조임블록(110, 120)에 결합된 탄성부재(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칫솔(10)의 헤드부(10a)가 상기 제1 및 제2 파지구(111, 121)에 수용된 후 상기 칫솔모(11)가 닿는 부위의 상기 제1 및 제2 조임블록(110, 120)의 내측면이 상기 칫솔(10)의 헤드부(10a)의 중심을 기준으로 3도에서 20도로 내측으로 모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및 제2 경사부(115, 125)를 구비하고 있다.
이는, 칫솔(10)을 고정시키는 2개의 판상의 조임블록과 스프링 역할을 하는 판형 스프링으로성의 탄성부재(13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상기 칫솔모(11) 재생 장치는 도 1에 예시된 칫솔모(11)가 벌어져 변형된 상태의 칫솔(10)을 조임 고정하여 칫솔모(11)가 섭씨 100도 정도의 뜨거운 물에 약 1-2분정도 접촉하도록 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일예로, 본 발명에 따른 칫솔모 재생장치(100)의 크기는 약 24mm×12mm×50mm의 2개의 조임블록으로 구성되며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어린이용부터 성인용까지 모든 칫솔(10)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설계되어 있다.
상기 칫솔모 재생장치(100)의 제1 및 제2 조임블록(110, 120)은, 상기 제1 및 제2 조임블록(110, 120)의 일측을 탄성부재(130)로 연결하여 제1 및 제2 조임블록(110, 120) 사이에 탄성을 유지시켜 칫솔(10)의 헤드부(10a)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다양한 크기의 칫솔(10)도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조임블록(110, 120)의 안쪽에는 칫솔모(11)가 심겨진 칫솔(10) 머리 부분이 쉽게 미끄럼 이동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파지구의 양단부에 곡면형 제1 및 제2 가이드부(117, 127)가 확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1 및 제2 파지구(111, 121)의 깊이는 일예로, 4.5㎜ 로서 칫솔모(11)가 식모된 칫솔(10)의 헤드부(10a)가 쉽게 상기 제1 및 제2 파지구(111, 121) 사이에 들어가 칫솔(10)의 헤드부(10a)가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오래 사용하여 양 옆으로 벌어진 칫솔모(11)는 칫솔모 재생장치(100)의 두 개 제1 및 제2 조임블록(110, 120)에 의해 벌어진 칫솔모(11)를 직립상태로 유도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조임블록(110, 120)의 칫솔모(11) 대응 위치에는 제1 및 제2 유도구가 형성되어 있어, 직립상태로 유도된 칫솔모(11)에 뜨거운 물이 쉽게 접촉이 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칫솔모(11)는 통상 100도 정도의 뜨거운 물에서는 영구변형이 일어난다. 따라서 변형된 칫솔모(11)를 직립상태로 유도하여 통상 100도 정도의 뜨거운 물에 1-2분 정도 가열하면 직립상태의 칫솔모(11)로 영구 변형된다.
여기에서, 칫솔모 재생장치(100)에 고정시킨 칫솔(10)은 칫솔(10)을 손으로 잡아 뜨거운 액체가 담겨있는 통에 약 1-2분정도 삽입하였다가 빼낸다. 이 때 벌어진 칫솔모(11)는 칫솔모 재생장치(100)에 의해 칫솔모(11)가 직립으로 되고, 직립으로 된 칫솔모(11)는 약 100도 정도의 온도에 의해 영구변형이 일어나 직립으로 영구변형 된다. 이것이 칫솔(10)재생장치의 원리이다.
이와 같이 재생된 칫솔(10)의 헤드부(10a)에 식모된 칫솔모(11)는 치아 부분에 위치될 때 자연적으로 상기 재생된 칫솔모(11)가 치아와 잇몸 사이에 위치되고, 칫솔질을 할 때 칫솔모(11)가 치아 표면에 눕혀지도록 헤드부(10a)를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올바른 칫솔질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함은 물론 칫솔(10)이 제대로 닿지 않는 구강 안쪽까지 수월하게 칫솔질을 수행하여 구강청결을 극대화할 수 있는 칫솔(10)로 재탄생되게 되는 것이다.
시판되거나 사용하고 있는 칫솔(10)의 칫솔모(11)는 치아와 접촉되는 접촉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헤드부(10a)에서 직각으로 직모되어 있음으로 올바른 칫솔질이라고 알려져 있는 방법(칫솔모(11)가 45도 각도로 치아와 잇몸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칫솔모(11)를 잇몸에서 치아 쪽으로 회전시키면서 닦아 주는 것)으로 칫솔질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변형된 칫솔모(11)로 칫솔질을 수행하게 되면, 칫솔질이 매우 불편하였음은 물론 치아와 잇몸에 무리를 주는 잘못된 칫솔질로 유도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잘못된 칫솔질이란 칫솔모(11)를 치아에서 좌/우측으로 반복해서 왕복운동을 하여 치아를 닦아 주는 것으로 이는 치아와 치아 사이에 낀 음식찌꺼기 및 프라그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치아 및 잇몸에 무리한 충격을 주어 충치 및 잇몸질환 등으로 연결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치아를 장시간 좌/우측으로 반복해서 닦아 줄 경우 칫솔모(11)가 쉽게 접촉되는 치아의 앞쪽부분이 필요 이상으로 닦아짐으로 특정부분의 상아질이 마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변형된 칫솔(10)의 칫솔모(11)로 칫솔질을 수행하게 되면, 어금니 안쪽 깊숙한 부분에 존재하는 음식물찌꺼기 및 프라그를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헤드부(10a)가 치아 부분에 위치될 때 자연적으로 칫솔모(11)가 치아와 잇몸 사이에 항시 위치되도록 칫솔(10)의 헤드부(10a)에 식모된 칫솔모(11)를 항시 일측으로 경사지게 직모 재생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올바른 칫솔질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함은 물론 구강청결을 극대화할 수 있는 칫솔모(11)의 재생생치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칫솔모 재생장치(100)는, 상기 헤드부(10a)가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칫솔(10)을 잡았을 때 칫솔모(11)가 치아와 잇몸 사이에 위치되도록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손잡이에서 3도에서 20정도 일측으로 내측으로 모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새것과 같은 상태의 칫솔모(11)를 통해 건강한 치아를 보유토록 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이 칫솔모에 삽입되는 상태를 예시한 칫솔모 재생장치의 사시 구조도,
도 2는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보아 예시한 칫솔모 재생장치의 사시 구조도,
도 3은 도 2의 칫솔모 재생장치의 평면 구조도, 및
도 4는 도 3의 선 A-A에 따른 칫솔모 재생장치의 내부 단면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칫솔 11 : 칫솔모
100 : 칫솔모 재생장치 110 : 제1 조임블록
111 : 제1 파지구 113 : 제1 유도구
115 : 제1 경사면 120 : 제2 조임블록
121 : 제2 파지구 123 : 제2 유도구
125 : 제2 경사면 130 : 탄성부재

Claims (4)

  1.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의 헤드부를 양쪽에서 조임 고정하도록 제1 및 제2 파지구가 길이방향으로 각각 오목 형성된 제1 및 제2 조임블록과,
    상기 제1 및 제2 조임블록이 상호 밀착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조임블록에 결합된 탄성부재와,
    상기 칫솔의 헤드부가 상기 제1 및 제2 파지구에 수용된 후 상기 칫솔모가 닿는 부위에는, 상기 제1 및 제2 조임블록의 내측면이 상기 칫솔의 헤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3도에서 20도로 내측으로 모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및 제2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조임블록의 안쪽에는 칫솔모가 심겨진 칫솔 머리 부분이 쉽게 미끄럼 이동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파지구의 양단부에 곡면형 가이드부가 확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모 재생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조임블록의 칫솔모 대응 위치에는 제1 및 제2 유도구가 형성되어, 직립상태로 유도된 칫솔모에 뜨거운 물이 쉽게 접촉이 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모 재생장치.
KR1020090095929A 2009-10-09 2009-10-09 칫솔모 재생장치 KR101139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929A KR101139394B1 (ko) 2009-10-09 2009-10-09 칫솔모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929A KR101139394B1 (ko) 2009-10-09 2009-10-09 칫솔모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772A KR20110038772A (ko) 2011-04-15
KR101139394B1 true KR101139394B1 (ko) 2012-04-27

Family

ID=4404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929A KR101139394B1 (ko) 2009-10-09 2009-10-09 칫솔모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3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2436U (ko) * 1985-09-03 1987-03-13
KR930011930A (ko) * 1991-12-16 1993-07-20 박용갑 칫솔 집게
JPH11127958A (ja) * 1997-10-30 1999-05-18 Yasuo Sakou 歯ブラシの毛先曲げ防止装置付き収納ケース
KR20000001771U (ko) * 1998-06-30 2000-01-25 김동기 치솔의 솔 보호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2436U (ko) * 1985-09-03 1987-03-13
KR930011930A (ko) * 1991-12-16 1993-07-20 박용갑 칫솔 집게
JPH11127958A (ja) * 1997-10-30 1999-05-18 Yasuo Sakou 歯ブラシの毛先曲げ防止装置付き収納ケース
KR20000001771U (ko) * 1998-06-30 2000-01-25 김동기 치솔의 솔 보호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772A (ko) 201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9296A (en) All-sided mouthbrush
RU2503387C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ухода за ротовой полостью
KR100457477B1 (ko) 혀 크리너를 구비한 칫솔
KR101857103B1 (ko) 치은열구 칫솔
KR100911412B1 (ko) 양면칫솔
KR200453026Y1 (ko) 측면양치부 및 전방돌출부가 구비된 칫솔
KR101139394B1 (ko) 칫솔모 재생장치
KR101780003B1 (ko) 절곡칫솔모가 구비되는 칫솔
KR101444003B1 (ko) 치은열구 칫솔
CN218390179U (zh) 一种3d儿童牙刷
CN211657594U (zh) 一种采用扭簧的旋转牙刷
CN210248896U (zh) 一种改良型牙刷
JP3129736U (ja) 成形した曲毛を配した歯磨き効果の高い歯ブラシ
CN201664027U (zh) 一种带有舌苔清洁功能的牙刷
KR100592088B1 (ko) 칫솔헤드
CN104093336A (zh) 能够刷牙齿背面的牙刷
RU2049418C1 (ru) Зубная щетка
KR20230087095A (ko) 치아 광택 및 치태 제거의 부가 기능 부분을 가진 칫솔 혹은 치간칫솔
KR200246705Y1 (ko) 혀 청소구
JP5466330B1 (ja) 歯ブラシの清掃ブラシ
KR910001272Y1 (ko) 치아의 운동으로 양치질하는 개량칫솔
KR200469883Y1 (ko) 칫솔
KR200225383Y1 (ko) 이중칫솔
KR200462448Y1 (ko) 입안 칫솔
KR100968599B1 (ko) 치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