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322B1 -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322B1
KR101139322B1 KR1020100087564A KR20100087564A KR101139322B1 KR 101139322 B1 KR101139322 B1 KR 101139322B1 KR 1020100087564 A KR1020100087564 A KR 1020100087564A KR 20100087564 A KR20100087564 A KR 20100087564A KR 101139322 B1 KR101139322 B1 KR 101139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cable
main body
contact
cable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5271A (ko
Inventor
이수주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00087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322B1/ko
Publication of KR20120025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32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는 상면과 하면에 단자부가 형성된 플렉시블 케이블의 선단을 보강하기 위해 본체부와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선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상면 단자부가 노출되는 상면 노출부와, 후방으로부터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해 사각형상으로 개구된 후방 개구부와, 커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커버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하면 단자부와 접촉하는 단자 접촉부와, 접속될 커넥터의 대응 콘택트 위치에 형성된 콘택트 접촉부가 일체로 형성된 보강 핀이 상기 본체부에 인서트 몰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 {Reinforcement Part For Flexible Cable}
본 발명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케이블을 커넥터에 삽입할 때 플렉시블 케이블의 선단이 만곡되어 케이블의 단자부와 커넥터의 콘택트가 정확하게 접촉할 수 없고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렉시블 케이블의 일단에 설치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 부품 간에 신호 등을 전달하기 위해 플렉시블 케이블(이하, '케이블' 이라고도 함.)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케이블은 통상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게 된다. 즉, 케이블(10)의 말단에 커넥터를 설치하지 않고 단자부(12)를 커넥터에 결합시키는 형태로 연결을 형성하거나(도 1), 케이블의 말단에 커넥터를 설치하여 상대방 커넥터와 연결하는 방식(도 2)을 취하기도 한다.
또한 케이블의 말단에 설치되는 커넥터는, 별도의 콘택트를 구비하여 케이블의 단자부를 납땜 등으로 연결시키는 방식도 있지만, 별도의 콘택트 없이 케이블의 단자부를 노출시켜 이를 상대방 커넥터의 콘택트와 접촉하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등록특허 716401호에 개시된 도 2, 3의 커넥터는 케이블(10)의 말단에 설치되며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금속제 체결부(20)와 금속제 커버(30) 등이 구비되게 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 경우 케이블의 말단에 커넥터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 역시 번거롭고, 케이블의 단자부(11)가 노출된 영역은 상대방 커넥터의 콘택트에 의해 미끄럼 저항을 받기 때문에 그 길이를 짧게 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하나의 플렉시블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되어야 할 신호의 종류가 점점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 케이블의 단자부는 일면 2열, 상하면 각1열 형태로 배열되기도 한다. 본 출원인은 단자부가 상하면 각 1 열 형태로 배열될 뿐만 아니라 상하면 단자부의 피치가 서로 다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대한민국 특허 제946176호로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복수 개의 열을 가진 플렉시블 케이블의 경우 커넥터의 콘택트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단자부를 가압하게 되며, 이러한 가압위치의 차이에 의해 플렉시블 케이블이 변형되어 접촉위치가 뒤틀어지게 되며 올바른 접촉을 이루지 못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커넥터에 케이블을 결합시킬 때 케이블이 뒤틀어지거나 만곡되지 않도록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의 말단에 보강부재를 설치할 때 설치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는
상면과 하면에 단자부가 형성된 플렉시블 케이블의 선단을 보강하기 위해 본체부와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선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상면 단자부가 노출되는 상면 노출부와,
후방으로부터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해 사각형상으로 개구된 후방 개구부와,
커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커버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하면 단자부와 접촉하는 단자 접촉부와, 접속될 커넥터의 대응 콘택트 위치에 형성된 콘택트 접촉부가 일체로 형성된 보강 핀이 상기 본체부에 인서트 몰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렉시블 기판을 상기 본체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별도로 구비된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 양측 선단 부근에는 커넥터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전방 돌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선단의 양 측면 일부 만을 지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에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측면 홈에 끼워질 커버의 체결부를 삽입할 수 있는 위치결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에 케이블을 결합시킬 때 케이블이 뒤틀어지거나 만곡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택트와 단자부의 접촉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선단에 보강부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케이블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 보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7은 본 발명 보강부재와 케이블의 조립형태를 나타낸 도.
도 8은 본 발명 일 실시예 커넥터 및 보강부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케이블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며, 도 5,6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의 사시도 및 조립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케이블(200)의 상면에는 상면 단자부(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4(b)와 같이 하면에는 하면 단자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c)와 같이 상면 단자부(210)과 하면 단자부(220)의 피치 및 위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지만, 단자부의 피치 및 위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차이를 두지 않을 것임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 에는 케이블의 선단에 보강부재가 설치된 것의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 이다. 도 6은 보강부재를 케이블의 선단에 설치하기 위한 조립도이며,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조립도이다.
보강부재의 본체부(300) 선단 부근의 상면 노출부(311)에는 케이블의 상면 단자부(210)가 노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보강부재 본체부 양측 선단 부근에는 커넥터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전방돌출부(35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 상단에는 커버(500)가 결합되어 있다.
본체부(300)의 후방에는 사각형상으로 개구된 후방 개구부(320)가 구비되어, 후방 개구부(320)에 케이블(200)을 삽입 설치하게 된다. (도 7 참조)
본체부는 도 6과 같이 고정부재(390)를 사용하여 상판 측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는 도 7과 같이 도 6의 고정부재 대응 부위를 본체부와 일체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과 같이 고정부재(390)을 구비한 경우에는 먼저 도 6(a)와 같이 후방 개구부(320)로 케이블(200)을 삽입한 뒤, 도 6(b)와 같이 고정부재(390)를 본체부(390)에 끼워넣고, 커버(500)를 본체부와 결합시킴에 따라 보강부재를 케이블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7과 같이 고정부재와 본체부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는 후방 개구부(320)로 끼워 넣고, 커버(500)를 설치함에 보강부재를 케이블에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과 도 7의 실시예에서 공통적으로, 커버(500)는 본체부(300)의 커버 고정부(330)에 의해 본체부와 체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커버(500)의 체결부(510)은 본체부의 위치결정부(360)에 끼워지며, 이때 케이블의 측면 홈(230)과 결합되어 케이블이 보강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삽입된 케이블의 선단은 지지부(310)에 끼워져 그 선단이 들떠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가 케이블 선단의 양 측면만을 지지하고 있지만, 케이블 선단의 끝부분 전체를 지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체부의 위치결정부는 케이블의 측면 홈에 결합될 수 있는 돌출된 형태로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케이블에 측면돌기가 가공된 경우에는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홈을 본체부에 구비함에 의해 케이블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을 수도 있다.
한편 플렉시블 케이블의 하면 단자부(220)과 접촉하게 되는 단자 접촉부(420)과, 커넥터의 대응 콘택트 위치에 형성되어 대응 콘택트와 접촉하게 되는 콘택트 접촉부(430)가 일체로 형성된 보강 핀(400)이 본체부(300)에 인서트 몰딩되어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의 대응 콘택트의 가압력이 케이블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보강 핀(400)의 콘택트 접촉부(430)와 접촉하여 가압력이 전달되게 되므로 플렉시블 케이블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본체부 선단의 강도도 향상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선단에 보강부재가 형성된 플렉시블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는 도 8과 같이, 케이블의 상면 단자부(210)와 접촉하기 위한 상단 콘택트(1210)와, 보강부재 하면의 콘택트 접촉부(430)와 접촉하게 되는 하단 콘택트(122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단 콘택트 및 하단 콘택트는 합성수지제 하우징(1300)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커넥터는 상단 콘택트(1210)를 플렉시블 케이블을 향해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149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단 콘택트(1210)의 회전지지부(1211)에 의해 가압부재의 회전운동이 지지된다.
상기 가압부재(1490)는 케이블에 설치된 보강부재가 완전히 삽입되게 되면 캠부(1491)에 의해 상단 콘택트를 가압하여 케이블의 상면 단자부(210)을 가압하게 되고, 보강부재의 콘택트 접촉부(430)도 하단 콘택트(1220)에 가압 접촉되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보강부재는 도 3의 종래 기술과 같이 별도의 금속제 체결부에 대응되는 구성을 더 구비하고, 커넥터에도 이러한 구성과 상호작용하여 체결을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200 : 플렉시블 케이블 210 : 상면 단자부 220 : 하면 단자부
230 : 측면 홈
300 : 본체부 310 : 지지부 311 : 상면 노출부
320 : 후방 개구부 330 : 커버 고정부 350 : 전방 돌출부
360 : 위치 결정부 400 : 보강 핀 420 : 단자 접촉부
430 : 콘택트 접촉부 500 : 커버

Claims (5)

  1. 삭제
  2. 상면과 하면에 단자부가 형성된 플렉시블 케이블의 선단을 보강하기 위해 본체부와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선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상면 단자부가 노출되는 상면 노출부와,
    후방으로부터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해 사각형상으로 개구된 후방 개구부와,
    커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커버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플렉시블 기판을 상기 본체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하면 단자부와 접촉하는 단자 접촉부와, 접속될 커넥터의 대응 콘택트 위치에 형성된 콘택트 접촉부가 일체로 형성된 보강 핀이 상기 본체부에 인서트 몰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양측 선단 부근에는 커넥터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전방 돌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선단의 양 측면 일부 만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측면 홈에 끼워질 커버의 체결부를 삽입할 수 있는 위치결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
KR1020100087564A 2010-09-07 2010-09-07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 KR101139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564A KR101139322B1 (ko) 2010-09-07 2010-09-07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564A KR101139322B1 (ko) 2010-09-07 2010-09-07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271A KR20120025271A (ko) 2012-03-15
KR101139322B1 true KR101139322B1 (ko) 2012-04-26

Family

ID=46131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564A KR101139322B1 (ko) 2010-09-07 2010-09-07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3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2508A (en) * 1999-12-17 2001-07-07 Connector Systems Tech Nv Connector for flat cable
JP2003187901A (ja) 2001-12-14 2003-07-04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20060052128A (ko) * 2004-10-07 2006-05-19 혼다 쓰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케이블 커넥터
KR100716401B1 (ko) 2004-12-20 2007-05-11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박형 시트 부재의 접속에 적합한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2508A (en) * 1999-12-17 2001-07-07 Connector Systems Tech Nv Connector for flat cable
JP2003187901A (ja) 2001-12-14 2003-07-04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20060052128A (ko) * 2004-10-07 2006-05-19 혼다 쓰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케이블 커넥터
KR100716401B1 (ko) 2004-12-20 2007-05-11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박형 시트 부재의 접속에 적합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271A (ko)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3954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US7661972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00541939C (zh) 插座型连接器和插头型连接器
EP2006957B1 (en)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US7670150B2 (en) Low profile board-mounted connector
KR101364231B1 (ko) 커넥터
US7473125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970981B2 (ja) 電気コネクタ
JP4995861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7530839B1 (en) Electrical connector
US7462070B2 (en) Connector having lock mechanism
WO2008044324A1 (en) Connector
CN109586063B (zh) 基板用连接器及其组合
US20070155227A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30139167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제조방법
JP5707854B2 (ja) 端子台
KR101139322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
EP1215762B1 (en) Connector
KR101121506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 및 이를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
KR101307483B1 (ko) 커넥터
CN206976628U (zh) 电子卡连接器
US9391395B2 (en) Connector assembly
JP2010135159A (ja) コネクタの組立方法
KR101651653B1 (ko)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 조립체
JP4748674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