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436B1 -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436B1
KR101138436B1 KR1020090114642A KR20090114642A KR101138436B1 KR 101138436 B1 KR101138436 B1 KR 101138436B1 KR 1020090114642 A KR1020090114642 A KR 1020090114642A KR 20090114642 A KR20090114642 A KR 20090114642A KR 101138436 B1 KR101138436 B1 KR 101138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topper
fixing
fix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7994A (ko
Inventor
이윤복
Original Assignee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4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436B1/ko
Publication of KR20110057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63B2210/52Frame members linked by elastic means when disassemb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는 일렬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두개 이상의 연결관체들;과, 일단부가 상기 연결관체들 중 일측단부에 위치한 연결관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스토퍼가 삽입 단부측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형성된 삽입관체;와, 상기 삽입관체와 연결관체들을 관통하며, 일단은 삽입관체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연결관체들 중 말단부의 연결관체에 고정되는 연결줄; 및, 상기 삽입관체가 삽입되는 연결관체의 단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관체의 스토퍼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탐침폴, 고정, 원터치, 스토퍼,

Description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 {LOCKING DEVICE FOR MULTIPLE POLE}
본 발명은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연결관체들의 연결 및 분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연결상태의 임의해제가 방지되도록 한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눈 탐침폴은 눈(雪)이 쌓여 있는 산을 등반할 때 쌓인 눈에 의해 가려져 있는 웅덩이나 낭떨어지등을 감지하기 위해 탐침폴로 눈을 찔러서 그 깊이를 알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빙하가 존재하는 외국의 높은 산등을 등반할 경우에는 도처에 크레바스 (crevasse : 빙하가 이동할때 생기는 응력에 의해 빙하에 형성되는 열극이나 균열)가 존재하기 때문에 탐침폴의 휴대는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상기의 탐침폴은 그 길이가 매우 길기 때문에 휴대시에 제약을 받게 되므로 종래에는 절첩식으로 탐침폴을 제작하였다.
즉,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결합체(11)와 탐침추(14)를 연결하는 연결줄(12) 상에 다수개의 탐침관(13)들을 결합한 뒤 탐침관(13)의 삽입관(13a)들을 다른 탐침관(13)들에 삽입한 다음 연결줄(12)을 잡아당겨 결합체(11)에 고정시 킴으로서 긴 길이의 눈 탐침폴을 얻을 수 있고 상기 결합체(11)에 고정된 연결줄(12)을 풀어 느슨하게 한 뒤 탐침관(13)들을 분리하여 절첩시키면 휴대가 용이토록 하는 구성으로 제작되었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은 다수개의 탐침관들을 사용시에는 긴 길이로 조립하여 사용을 하고 휴대시에는 적은 부피로 절첩할 수 있는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상기 연결줄을 로킹 또는 언로킹하는 구조가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연결관체들을 일렬로 조립한 상태에서 삽입관체를 인출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연결관체들의 조립상태가 고정되고, 고정수단의 작용부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연결관체들의 고정이 해제되어 연결관체의 분해가 가능하므로 사용이 간편한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렬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두개 이상의 연결관체들;과, 일단부가 상기 연결관체들 중 일측단부에 위치한 연결관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스토퍼가 삽입 단부측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형성된 삽입관체;와, 상기 삽입관체와 연결관체들을 관통하며, 일단은 삽입관체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연결관체들 중 말단부의 연결관체에 고정되는 연결줄; 및, 상기 삽입관체가 삽입되는 연결관체의 단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관체의 스토퍼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내측에 상기 삽입관체의 스토퍼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관체가 삽입되는 연결관체의 단부에 조립되는 고정몸체와, 삽입관체의 스토퍼에 접촉되는 하단부가 상기 고정몸체의 공간부에서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작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용부는 삽입관체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고정몸체의 공간부로 삽입되는 슬리브와, 슬리브의 상단부 외측에 돌출되어 고정몸체의 상단부에 간섭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용부는 관통홀의 하단부 내측 모서리에 상기 삽입관체의 스토퍼가 간섭되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는 일측에 상기 연결관체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과 공간부의 사이에 상기 삽입관체의 스토퍼가 간섭되는 돌출턱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는 작용부가 삽입되는 공간부의 상단부 내측에 제1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작용부는 상기 고정몸체에 삽입되는 슬리브의 하단부 외측에 상기 제1걸림턱에 간섭되는 제2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용부는 상기 고정몸체에 삽입되는 슬리브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는 작용부가 삽입되는 공간부의 상단부 내측 모서리에 제2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연결관체들을 일렬로 조립한 상태에서 삽입관체를 인출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연결관체들의 조립상태가 고정되고, 고정수단의 작용부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연결관체들의 고정이 해제되어 연결관체의 분해가 가능하므로 사용이 간편한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A"부분의 단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는 크게 연결관체(110)와 삽입관체(120)와 연결줄(130)과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관체(110)는 두개 이상의 연결관체(110)들이 일렬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각 단부에 서로 대응하는 결합구조를 갖는다.
상기 삽입관체(120)는 다수의 연결관체(110) 중 일측단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연결관체(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외경이 상기 연결관체(110)의 내경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체(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 단부측에 탄성부재(122)에 의해 외측방향을 향해 탄성지지되는 스토퍼(121)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줄(130)은 상기 연결관체(110)들과 삽입관체(120)의 내측으로 관통 삽입되며, 일단부는 상기 삽입관체(120)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관체(110)들 중 삽입관체(120)의 대향측 말단부에 위치한 연결관체(110)에 고정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말단부에 위치한 연결관체(110) 하단부에 결합되는 탐침핀(P)과 삽입관체(120)의 하단부에 조립되는 고정부재(F)에 연결줄(130)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삽입관체(120)가 삽입되는 연결관체(110)의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몸체(140)와, 상기 고정몸체(140)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삽입관체(120)의 스토퍼(121)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작용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몸체(140)는 연결관체(110)의 단부에 고정설치되고, 내측으로 삽입관체(120)가 관통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관체(120)의 스토퍼(121)가 수용되도록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공간부(141)와, 상단부 내주연부에 형성되는 제2경사면(142)과, 하단부에 형성되어 연결관체(110)의 단부가 삽입되는 연결관체(110) 삽입홈(143)과, 상기 공간부(141)와 삽입홈(143)의 사이에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턱부(144)와, 상기 공간부(141)와 제1걸림턱(145)의 사이에 돌출 형성되는 제1걸림턱(1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용부(150)는 삽입관체(120)가 삽입되는 관통홀(151)이 형성되어 고정몸체(140)의 공간부(141)로 삽입되는 슬리브(152)와, 슬리브(152)의 상단부 외주연부에 돌출되어 고정몸체(140)의 단부에 간섭되는 플랜지(153)로 구성되며, 상기 삽입관체(120)의 스토퍼(121)가 간섭되는 제1경사면(154)이 상기 관통홀(151)의 하단부 내측 모서리에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턱(145)에 간섭되는 제2걸림턱(155)이 상기 공간부(141)로 삽입되는 슬리브(152)의 하단부 외측 모서리에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152)가 공간부(141)로 삽입되도록 슬리브(152)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절 개홈(156)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탐침폴에 적용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연결줄(130)을 이용해 다수의 연결관체(110)들을 연결하는 등산용 스틱이나, 텐트용 폴대 등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줄(130)의 양단부가 고정부재(F)와 탐침핀(P)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양단부의 관체를 마감하는 캡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6은 본 발명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의 조립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B"부분의 작용단면도들이며, 도 10은 본 발명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의 분리상태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렬로 연결된 다수의 연결관체(110)들 중 상단부에 위치한 연결관체(110)의 내측으로 삽입관체(120)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연결관체(110) 및 삽입관체(120)의 내부를 관통하는 연결줄(130)의 양단부가 상기 하단부의 연결관체(110)에 설치된 탐침핀(P) 및 삽입관체(120)에 설치된 고정부재(F)에 고정된다.
이때, 도면에서와 같이 연결줄(130)이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삽입관체(120)가 연결관체(110)의 내측으로부터 인출되면, 연결관체(110)측에 설치된 고정수단에 의해 삽입관체(120)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줄(130)이 팽팽하게 당겨지면 각각의 단부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관체(110)들이 일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고정수단의 고정구조를 살펴보면,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몸체(140)의 하단부에 형성된 삽입홈(143)으로 연결관체(110)의 상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고정몸체(140)의 상측으로부터 작용부(150)의 슬리브(152)가 삽입되어 고정몸체(140)의 공간부(141)에 상기 슬리브(152)의 하단부 외측에 형성된 제2걸림턱(155)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140)의 상단부 내주연부에 형성된 제2경사면(142)에 상기 작용부(150)의 슬리브(152)의 삽입이 안내되는데, 슬리브(152)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에 의해 슬리브(152)가 상기 제2경사면(142)을 따라 삽입되는 과정에서 직경이 줄어들게 되므로 삽입이 가능하게 되며, 삽입된 상태에서는 슬리브(152)의 제2걸림턱(155)이 고정몸체(140)의 제1걸림턱(145)에 간섭되므로 임의이탈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몸체(140)로 삽입된 작용부(150)는 고정몸체(140)의 공간부(141)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작용부(150)의 관통홀(151)에 삽입되어 하단부가 연결관체(11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삽입관체(120)는 하단부 외측에 형성된 스토퍼(121)가 탄성부재(122)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탄성지지된 상태에서 공간부(141)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스토퍼(121)가 고정몸체(140)의 돌출턱부(144)에 간섭되면서 삽 입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며, 삽입관체(120)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연결줄(130)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인출측으로의 이동도 제한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작용부(150)의 제1경사면(154)과 고정몸체(140)의 돌출턱부(144) 사이에 스토퍼(121)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작용부(150)의 상단부가 고정몸체(140)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관체(110)가 연결된 상태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고정몸체(140)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되어있는 작용부(150)의 플랜지(153)를 고정몸체(140)를 향해 가압하면, 가압력에 의해 작용부(150)가 하강하면서 슬리브(152)의 하단부가 고정몸체(140)의 돌출턱부(144)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리브(152)의 제1경사면(154)과 돌출턱부(144) 사이에 배치되는 스토퍼(121)는 슬리브(152)의 제1경사면(154)에 의해 삽입방향으로 위치이동하게 되며, 상기 탄성부재(122)는 탄성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삽입관체(120)를 위치고정시키고 있던 스토퍼(121)가 작용부(150)를 가압하여 위치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삽입관체(12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삽입관체(120)의 고정이 해제되므로 삽입관체(120)가 삽입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고정해제된 삽입관체(120)를 삽입방향으로 가압하면, 스토퍼(121)의 선단부가 돌출턱부(144)를 통과하여 연결관체(110)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삽입관체(120)가 연결관체(11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즉, 도 10과 같이 삽입관체(120)가 연결관체(110)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삽입관체(120)의 고정부재(F)와 연결관체(110) 말단부의 탐침핀(P)을 연결하는 연결줄(130)이 삽입관체(120)의 삽입거리만큼 느슨해지므로, 연결관체(110)의 단부가 인접한 연결관체(110)의 단부로 삽입되어 일렬로 연결되어있던 다수의 연결관체(110)들을 각각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의 연결관체들을 일렬로 조립한 상태에서 삽입관체를 인출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연결관체들의 조립상태가 고정되고, 고정수단의 작용부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연결관체들의 고정이 해제되어 연결관체의 분해가 가능하므로 사용이 간편한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종래 탐침폴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탐침폴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부분의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의 조립상태의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B"부분의 작용단면도들이고,
도 10은 본 발명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의 분리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연결관체, 120:삽입관체, 121:스토퍼, 122:탄성부재, 130:연결줄,
140:고정몸체, 141:공간부, 142:제2경사면, 143:삽입홈, 144:돌출턱부,
145:제1걸림턱, 150:작용부, 151:관통홀, 152:슬리브, 153:플랜지,
154:제1경사면, 155:제2걸림턱, 156:절개홈

Claims (8)

  1. 삭제
  2. 일렬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두개 이상의 연결관체들;
    일단부가 상기 연결관체들 중 일측단부에 위치한 연결관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스토퍼가 삽입 단부측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형성된 삽입관체;
    상기 삽입관체와 연결관체들을 관통하며, 일단은 삽입관체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연결관체들 중 말단부의 연결관체에 고정되는 연결줄; 및,
    상기 삽입관체가 삽입되는 연결관체의 단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관체의 스토퍼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내측에 상기 삽입관체의 스토퍼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관체가 삽입되는 연결관체의 단부에 조립되는 고정몸체와, 삽입관체의 스토퍼에 접촉되는 하단부가 상기 고정몸체의 공간부에서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작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삽입관체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고정몸체의 공간부로 삽입되는 슬리브와, 슬리브의 상단부 외측에 돌출되어 고정몸체의 상단부에 간섭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관통홀의 하단부 내측 모서리에 상기 삽입관체의 스토퍼가 간섭되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는 일측에 상기 연결관체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과 공간부의 사이에 상기 삽입관체의 스토퍼가 간섭되는 돌출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는 작용부가 삽입되는 공간부의 상단부 내측에 제1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작용부는 상기 고정몸체에 삽입되는 슬리브의 하단부 외측에 상기 제1걸림턱에 간섭되는 제2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상기 고정몸체에 삽입되는 슬리브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는 작용부가 삽입되는 공간부의 상단부 내측 모서리에 제2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
KR1020090114642A 2009-11-25 2009-11-25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 KR101138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642A KR101138436B1 (ko) 2009-11-25 2009-11-25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642A KR101138436B1 (ko) 2009-11-25 2009-11-25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994A KR20110057994A (ko) 2011-06-01
KR101138436B1 true KR101138436B1 (ko) 2012-04-26

Family

ID=44393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642A KR101138436B1 (ko) 2009-11-25 2009-11-25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4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219B1 (ko) * 2017-12-22 2018-05-11 주식회사 삼성보조기 양측 다리 깁스부의 연결 고정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079Y1 (ko) * 2000-12-01 2001-05-15 연안알루미늄주식회사 다단식 지팡이의 연결관 탈거 방지장치
KR20030006480A (ko) * 2001-07-13 2003-01-23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텐트용 폴의 연결줄
KR200336613Y1 (ko) 2003-09-19 2003-12-18 김현길 다단식 지팡이용 연결관의 클램핑장치
KR20040110750A (ko) * 2003-06-20 2004-12-31 정선희 다단식 지팡이의 로킹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079Y1 (ko) * 2000-12-01 2001-05-15 연안알루미늄주식회사 다단식 지팡이의 연결관 탈거 방지장치
KR20030006480A (ko) * 2001-07-13 2003-01-23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텐트용 폴의 연결줄
KR20040110750A (ko) * 2003-06-20 2004-12-31 정선희 다단식 지팡이의 로킹장치
KR200336613Y1 (ko) 2003-09-19 2003-12-18 김현길 다단식 지팡이용 연결관의 클램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994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9644B2 (en) Spring push and push-pull tab for tightly spaced fiber optic connectors
CA2426720C (en) Telescopic extension for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JP5701593B2 (ja) 2ピースクリップ
US7658551B1 (en) Optical fiber connector
WO2008126727A1 (ja) 内視鏡用可撓管と環状連結部材との連結構造
KR101714329B1 (ko) 철근이음용 커플러
CN102307534B (zh) 外科器械
CN102805467A (zh) 箱包拉杆
WO2017199718A1 (ja) 管状体のロック機構
KR101138436B1 (ko) 다단식 폴의 고정장치
US9377265B2 (en) Gun barrel cleaning device
KR100575516B1 (ko) 파이프 연결구
JP2019091560A5 (ko)
KR101195711B1 (ko) 접이식 지팡이
KR100978778B1 (ko) 분리 방지용 콘넥터
JP3183561U (ja) 自動折り畳み傘の弾力補強構造
US20130336706A1 (en) Connector fitting jig and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KR101747054B1 (ko) 플러그 커넥터용 록킹 장치
JP2009011704A (ja) ランセット
CN110686131A (zh) 一种气制动管路用快插接头
US11473332B2 (en) Tent pole assembly
KR20100009954U (ko) 폴대용 커넥터
KR200325598Y1 (ko) 파이프 연결구
CN215455912U (zh) 伞杆装置和伞具
JP2011158083A (ja) ホース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