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790B1 - 광학부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학부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790B1
KR101137790B1 KR1020110043054A KR20110043054A KR101137790B1 KR 101137790 B1 KR101137790 B1 KR 101137790B1 KR 1020110043054 A KR1020110043054 A KR 1020110043054A KR 20110043054 A KR20110043054 A KR 20110043054A KR 101137790 B1 KR101137790 B1 KR 101137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ffusion plate
light guide
delete delete
refr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환
광 석 서
김종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앤앤드에프
이대환
인스콘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앤앤드에프, 이대환, 인스콘테크(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앤앤드에프
Priority to KR1020110043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790B1/ko
Priority to PCT/KR2011/005107 priority patent/WO201215389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7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voids or po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측에 복수 개의 프리즘부가 형성된 굴절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굴절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확산시키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굴절 플레이트를 점착시키는 확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굴절 플레이트 및 상기 확산 플레이트는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 플레이트가 확산된 빛을 액정표시패널로 굴절시켜 휘도를 향상시키는 굴절 플레이트에 점착되어 확산 플레이트와 굴절 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광학부재 및 그 제조방법{OPTICAL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본 발명은 광학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광학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CD)는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비발광형 장치이므로, 빛을 발생시키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표시장치의 크기와 광효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다양한 광학적 부재의 어셈블리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 도광판, 반사판, 확산시트, 프리즘 시트 및 보호시트를 포함한다.
광원에서 발생된 광은 도광판을 통해 확산시트를 향하고, 확산시트에 의해 확산된 광을 제 1 및 제 2 프리즘시트를 통해 액정표시패널로 향하게 된다.
확산시트는 전체 면적에서 균일한 휘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이와 같이,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서로 다른 광학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여러 시트가 요구된다.
백라이트 유닛에서 프리즘 시트는 특정 시야각 범위에서 휘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특정 시야각에서의 휘도 향상은 프리즘 구조에 의한 집광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서 확산시트와 프리즘 시트는 단순 접촉에 의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는 기간이 길어지는 경우 확산시트와 프리즘 시트가 어긋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액정표시패널에 빛샘 현상이 발생되거나, 액정표시패널로의 빛의 굴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시야각이 좁아지거나 특정 시야각에서 화면을 볼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 플레이트가 확산된 빛을 액정표시패널로 굴절시켜 휘도를 향상시키는 굴절 플레이트에 점착되어 확산 플레이트와 굴절 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된 광학부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 상측에 복수 개의 프리즘부가 형성된 굴절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굴절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확산시키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굴절 플레이트를 점착시키는 확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굴절 플레이트 및 상기 확산 플레이트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광학부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확산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상기 굴절 플레이트와 접하는 면에 상기 굴절 플레이트를 향해 빛을 확산시키는 복수 개의 공기터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 플레이트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자외선 경화성 투명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공기터널은 단면이 반원, 호, 사각형 및 역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굴절 플레이트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 카보네이트(PC)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램프가 장착 가능한 도광판; 상측에 복수 개의 프리즘부가 형성된 굴절 플레이트; 및 상기 도광판과 상기 굴절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확산시키고, 상기 도광판과 상기 굴절 플레이트를 점착시키는 확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 상기 굴절 플레이트 및 상기 확산 플레이트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광학부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확산 플레이트는, 상기 도광판 또는 상기 굴절 플레이트와 접하는 면에 상기 굴절 플레이트를 향해 빛을 확산시키는 복수 개의 공기터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공기터널은 단면이 반원, 호, 사각형 및 역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램프는 냉음극 형광램프(CCFL), 발광 다이오드(LED) 및 유기전기발광(EL)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a) 표면에 복수 개의 공기터널이 형성된 확산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단계; b)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도광판을 준비하는 단계; c) 상측에 복수 개의 프리즘부가 형성된 굴절 플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 d)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상기 도광판의 상면에 상기 확산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단계; e) 상기 확산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굴절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단계; 및 f) 상기 확산 플레이트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상기 도광판 및 상기 굴절 플레이트와 점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확산 플레이트는 몰드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확산 플레이트는 자외선 경화성 투명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공기터널과 대응하게 형성된 몰드의 상부에 상기 자외선 경화성 투명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 a-2) 상기 자외선 경화성 투명 레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자외선 경화성 투명 레진을 반경화시키는 단계; 및 a-3) 상기 몰드로부터 상기 반경화된 상기 확산 플레이트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드의 상부에는 상기 복수 개의 공기터널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공기터널은 단면이 반원, 호, 사각형 및 역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굴절 플레이트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 카보네이트(PC)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광판은 상기 확산 플레이트로 빛을 입사시키기 위한 램프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램프는 냉음극 형광램프(CCFL), 발광 다이오드(LED) 및 유기전기발광(EL)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 플레이트가 확산된 빛을 액정표시패널로 굴절시켜 휘도를 향상시키는 굴절 플레이트에 점착되어 확산 플레이트와 굴절 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된 광학부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광학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확산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굴절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재의 제조과정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에 따른 광학부재 제조과정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재의 제조과정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광학부재는 액정표시장치(LCD)뿐 아니라 전기영동 표시장치 등의 모든 수광형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광학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확산 플레이트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굴절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확산 플레이트(130)와, 상기 확산 플레이트(130)의 상측에 구비되는 굴절 플레이트(150)를 포함하되, 베이스 플레이트(110), 확산 플레이트(130) 및 굴절 플레이트(150)는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일체로 형성된다는 것은 외력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10), 확산 플레이트(130) 및 굴절 플레이트(15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는 것을 뜻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하면(111)과, 하면(111)으로부터 이격된 상면(113)을 갖는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메타크릴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염화비닐 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제 1 실시예에서의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PET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확산 플레이트(130)와, 굴절 플레이트(15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투명한 PET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확산 플레이트(130) 및 굴절 플레이트(150)를 일체로 제작할 때 제어 및 핸들링(handling)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확산 플레이트(130)는 광원으로부터 발산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통해 전달된 빛을 확산시켜 굴절 플레이트(15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굴절 플레이트(150) 사이에 구비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굴절 플레이트(150)에 점착되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확산 플레이트(130)는 점착성을 갖고, 투명하며 자외선(UV)에 의해 경화되는 자외선 경화성 레진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점착성이란, 끈끈하게 달라붙어서 점착력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되는 상태를 의미하고, 공정 중에만 접착력이 존재하고 완성된 후에는 접착력이 상실되는 부착 및 접착과는 다른 개념이다.
확산 플레이트(130)는 제 1 점착면(131)과, 제 1 점착면(131)으로부터 이격되는 제 2 점착면(133)을 포함한다.
확산 플레이트(130)의 제 2 점착면(133)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통해 전달된 빛이 굴절 플레이트(150)로 확산되도록 상호 이격된 복수 개의 공기터널(1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호 이격된 복수 개의 공기터널(135) 사이에는 확산 플레이트(135)의 제 2 점착면(133)과 굴절 플레이트(150)의 점착이 이루어지는 부분(133a)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공기터널(135)은 제 2 점착면(133)으로부터 제 1 점착면(131)을 향하는 방향으로 움푹 패인 홈 형태로 형성되고, 도 1에 도시된 좌표를 참조하였을 때 z축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 1 실시예에서 공기터널(135)은 x축 방향으로의 단면이 반원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공기터널(135)의 형태는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호 형상, 사각형, 역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터널(135)이 반원 또는 호의 형태로 형성될 때 제 1 점착면(131)과 도면에 도시된 가상의 축(X)이 이루는 각(θ)은 10˚ ~ 170˚ 사이의 값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상의 축(X)은,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터널(135)과 제 1 점착면(131)이 접하는 지점(A)에서 공기터널(135)의 중심(C)과 교차하는 축이 된다.
공기터널(135)은 전술한 제 1 점착면(131)과 가상의 축(X)이 이루는 각(θ)의 값이 커질수록 깊이가 깊어지고, 제 1 점착면(131)과 가상의 축(X)이 이루는 각(θ)의 값이 작아질수록 깊이가 얕아진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 공기터널(135)은 제 2 점착면(133)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될 필요 없이 제 1 점착면(131) 또는 제 1 점착면(131)과 제 2 점착면(13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확산 플레이트(130)는 몰드(200)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몰드(200)는 레진이 코팅되는 일측면에 상호 이격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210)가 형성된다.
복수 개의 돌출부(210)는 확산 플레이트(130)의 제 2 점착면(133)에 형성된 복수 개의 공기터널(135)과 대응되는 것으로, 제 1 실시예에서는 x축 방향으로의 단면이 반원 형태로 형성된다.
굴절 플레이트(150)는 확산 플레이트(130)의 제 2 점착면(133)과 접하는 제 1 면(151)과, 제 1 면(151)으로부터 이격된 제 2면(153)을 포함한다.
굴절 플레이트(15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합성 수지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메타크릴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 카보네이트(PC)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염화비닐 수지 등이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굴절 플레이트(15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투명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 카보네이트(PC)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다.
굴절 플레이트(150)는 확산 플레이트(130)로부터 전달된 빛이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달되도록 빛을 굴절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굴절 플레이트(150)의 제2 점착면(153)에 빛을 굴절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프리즘부(155)가 형성된다.
프리즘부(15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좌표를 참조하였을 때 z축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실시예에서 프리즘부(155)는 x 축 방향으로의 단면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프리즘부(155)의 형상은 삼각형 형태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리즘부(155)의 표면에는 휘도 또는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는 미세한 요철부가 포함될 수 있다.
통상적인 프리즘부(155)의 정점각이 90˚인 점을 감안할 때, 바람직하게 복수 개의 프리즘부(155)는 90˚보다 작은 정점각을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의 정점각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다만, 지나치게 작은 정점각은 제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복수 개의 프리즘부(155)의 정점각은 30˚ 이상이 되도록 형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부재의 제조과정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도 5에 따른 광학부재 제조과정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먼저, 확산 플레이트(130)를 제작하기 위해 몰드(200) 상에 투명한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S305 단계)
이때, 몰드(200) 상에 코팅되는 레진(130’)은 자외선을 조사하면 경화되는 자외선 경화성 레진을 사용한다.
몰드(200) 상(上)에 레진이 코팅된 후, 레진(13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레진을 반경화시키면 확산 플레이트(130)의 제작이 완성된다.(S310 단계)
한편, 레진을 반경화 상태로 만드는 이유는 확산 플레이트(130)의 제작에 사용되는 레진이 점착성 물질이기 때문에 레진을 완전히 경화된 상태로 만들면 몰드(200)와 점착될 수 있으므로 반경화 상태로 제작하는 것이다.
확산 플레이트(130)의 제작이 완성된 후에는 확산 플레이트(130)를 몰드(200)로부터 분리시킨다.(S315 단계)
확산 플레이트(130)를 몰드(200)로부터 분리시켜보면, 몰드(200)의 돌출부(210)에 의해 확산 플레이트(130)의 제 2 점착면(133)에 돌출부(210)와 대응되는 형태의 공기터널(135)이 형성되고, 공기터널(135) 사이에 굴절 플레이트(150)와 점착이 이루어지는 부분(133a)이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굴절 플레이트(150)를 각각 준비한다.( S320 단계, S325 단계)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PET 소재로 이루어지며, 광학부재의 제작 시 확산 플레이트(130)와 굴절 플레이트(150)의 제어 및 핸들링이 쉽도록 준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굴절 플레이트(15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동일한 PET 소재로 이루어진다.
확산 플레이트(13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113)에 구비되는데(S330 단계), 확산 플레이트(130)의 제 1 점착면(131)이 상면(113)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즉, 확산 플레이트(130)가 제작될 때와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上)에 구비될 때 제 1 점착면(131)과 제 2 점착면(133)의 위치가 반대로 변경되는 것이다.
이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알 수 있는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확산 플레이트(130)를 제작할 때에는 제 2 점착면(133)이 하측에 제 1 점착면(131)이 상측에 위치한다.
그러나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에 확산 플레이트(130)가 구비될 때에는 제 1 점착면(131)이 하측에 제 2 점착면(133)이 상측에 위치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에 확산 플레이트(130)가 구비되면, 확산 플레이트(130) 상(上)에 굴절 플레이트(150)를 구비한다.(S335 단계)
이때, 굴절 플레이트(150)의 제 1 면(151)은 확산 플레이트(130)의 제 2 점착면(133)과 접하는데, 실질적으로는 제 2 점착면(133)의 점착이 이루어지는 부분(133a)과 접하는 것이다.
베이스 플레이트(110), 확산 플레이트(130) 및 굴절 플레이트(15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면 자외선(UV)을 3개의 플레이트(110,130,150)로 조사한다.(S340 단계)
이 단계에서는 반경화 상태의 확산 플레이트(130)가 조사되는 자외선(UV)에 의해 완전히 경화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굴절 플레이트(150)와 점착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 확산 플레이트(130) 및 굴절 플레이트(150)는 확산 플레이트(130)에 의해 점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완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같은 광학부재는 확산 플레이트(130)를 점착력이 있는 레진을 사용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광학부재의 제조 시 확산 플레이트(130)와 굴절 플레이트(150)가 일체로 형성된 광학부재로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확산 플레이트(130)와 굴절 플레이트(150)를 별도로 준비하고 액정표시장치의 조립과정에서 결합시키는 것보다 확산 플레이트(130)과 굴절 플레이트(150)가 일체로 형성된 광학부재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 조립이 시간을 단축시켜 신속하게 제작되어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확산 플레이트(130)를 점착력이 있는 레진을 이용하여 굴절 플레이트(150)에 점착시켜 일체로 제작되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의 사용기간이 길어지는 경우에도 확산 플레이트(130)와 굴절 플레이트(150)가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의 빛샘 현상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부재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재는, 램프(211)가 장착 가능한 도광판(210)과, 상측에 복수 개의 프리즘부(255)가 형성된 굴절 플레이트(250)와, 도광판(210)과 굴절 플레이트(250) 사이에 구비되며, 도광판(210)으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확산시키고, 도광판(210)과 굴절 플레이트(250)를 점착시키는 확산 플레이트(2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광판(210)과 굴절 플레이트(250) 및 확산 플레이트(230)는 확산 플레이트(230)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도광판(210)은 램프(211)로부터 입사된 빛을 균일한 평면광으로 변환시켜주는 구성요소로, 일반적으로 아크릴 수지인 PMMA(polymethymethacrylate)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램프(211)는 도광판(210)의 측면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램프(211)의 위치는 이에 한정될 필요없이 다양한 위치에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광판(210)에 장착되는 램프(211)의 종류는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LED(Light Emitting Diode), EL(Electro Luminescent) 등이 있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0) 대신 도광판(210)을 사용하는 것으로 도광판(210) 이외의 확산 플레이트(230) 및 굴절 플레이트(250)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재의 제조과정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재의 제조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몰드 상에 투명 레진을 코팅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투명 레진을 반경화시키면, 이로 인해 반경화 된 투명 레진이 확산 플레이트(230)로 제작된다.
확산 플레이트(230)가 제작되면, 몰드로부터 반경화된 확산 플레이트(230)를 분리시킨다.
그리고 램프(211)가 장착된 도광판(210)과 굴절 플레이트(250)를 준비한다.
도광판(210)이 준비되면, 도광판(210)의 상측에는 확산 플레이트(230)를 구비하고, 확산 플레이트(230)의 상측에는 굴절 플레이트(250)를 구비한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적층 구비된 도광판(210), 확산 플레이트(230) 및 굴절 플레이트(250)에 자외선을 조사시킨다.
이때.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확산 플레이트(230)가 경화되며 도광판(210) 및 굴절 플레이트(250)에 점착되어 일체형의 광학부재가 완성된다.
제 2 실시예와 같은 광학부재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투명 레진으로 제작된 확산 플레이트에 의해 도광판, 확산 플레이트 및 굴절 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되게 제작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광판, 확산 플레이트 및 굴절 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크기가 컴팩트해 질 수 있다. 즉, 도광판으로부터 전달되는 광을 확산 플레이트로 전달하는 하나의 플레이트가 생략되기 때문에 두께가 얇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도광판, 확산 플레이트 및 굴절 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된 광학부재는 최근 액정표시장치의 두께가 슬림해지는 경향에 대응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베이스 플레이트 130: 확산 플레이트
131: 제 1 점착면 133: 제 2 점착면
133a: 점착이 이루어지는 부분 135: 공기터널
150: 굴절 플레이트 151: 제 1 면
153: 제 2 면 155: 프리즘부
210: 도광판 211: 램프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광학부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a) 표면에 복수 개의 공기터널이 형성된 상태로 반경화된 확산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단계;
    b) 도광판을 준비하는 단계;
    c) 상측에 복수 개의 프리즘부가 형성된 굴절 플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
    d) 상기 도광판의 상면에 직접 상기 확산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단계;
    e) 상기 확산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굴절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단계; 및
    f) 상기 확산 플레이트가 상기 도광판 및 상기 굴절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확산 플레이트를 완전히 경화시켜 상기 확산 플레이트를 상기 도광판 및 상기 굴절 플레이트와 점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복수 개의 공기터널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몰드의 상부에 자외선 경화성 투명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
    a-2) 상기 자외선 경화성 투명 레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자외선 경화성 투명 레진을 반경화시키는 단계; 및
    a-3) 상기 몰드로부터 상기 자외선 경화성 투명 레진이 반경화되어 형성된 상기 확산 플레이트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 경화성 투명 레진은 점착성 있는 레진인 광학부재 제조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공기터널은 단면이 반원, 호, 사각형 및 역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광학부재 제조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 플레이트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 카보네이트(PC)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광학부재 제조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확산 플레이트로 빛을 입사시키기 위한 램프가 장착되는 광학부재 제조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냉음극 형광램프(CCFL), 발광 다이오드(LED) 및 유기전기발광(EL)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것인 광학부재 제조방법.
KR1020110043054A 2011-05-06 2011-05-06 광학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137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054A KR101137790B1 (ko) 2011-05-06 2011-05-06 광학부재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1/005107 WO2012153891A1 (ko) 2011-05-06 2011-07-12 광학부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054A KR101137790B1 (ko) 2011-05-06 2011-05-06 광학부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7790B1 true KR101137790B1 (ko) 2012-04-18

Family

ID=46143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054A KR101137790B1 (ko) 2011-05-06 2011-05-06 광학부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7790B1 (ko)
WO (1) WO201215389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055B1 (ko) 2012-12-07 2014-01-16 이대환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및 일체형 광학 필름
CN103675964A (zh) * 2012-09-14 2014-03-26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光学膜片及包括该光学膜片的显示装置
KR20150144719A (ko) 2014-06-17 2015-12-28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면광원 커버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평판 조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0995A (ja) * 2005-02-10 2006-08-24 Sun Tec Kk 光学シート
KR20070071644A (ko) * 2005-12-30 2007-07-04 주식회사 두산 복합 도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64257A (ko) * 2007-12-14 2009-06-18 주식회사 코오롱 광학 복합 부재
KR20100108003A (ko) * 2009-03-27 2010-10-06 주식회사 파인텍 디스플레이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472A (ko) * 2005-06-29 2007-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광학 플레이트와 이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KR101274798B1 (ko) * 2006-04-20 2013-06-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부재,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0995A (ja) * 2005-02-10 2006-08-24 Sun Tec Kk 光学シート
KR20070071644A (ko) * 2005-12-30 2007-07-04 주식회사 두산 복합 도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64257A (ko) * 2007-12-14 2009-06-18 주식회사 코오롱 광학 복합 부재
KR20100108003A (ko) * 2009-03-27 2010-10-06 주식회사 파인텍 디스플레이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75964A (zh) * 2012-09-14 2014-03-26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光学膜片及包括该光学膜片的显示装置
KR101352055B1 (ko) 2012-12-07 2014-01-16 이대환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및 일체형 광학 필름
WO2014088360A1 (ko) * 2012-12-07 2014-06-12 주식회사 앤앤드에프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및 일체형 광학 필름
KR20150144719A (ko) 2014-06-17 2015-12-28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면광원 커버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평판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53891A1 (ko) 201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0579B2 (en) Optical sheet having enhanced optical characteristics
US7553058B2 (en) Optical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backlight module using same
US7927003B2 (en) Light guide plate with micro-structured reflective film and light-emitting apparatus
US8351119B2 (en) Multi-coated hybrid optical film structure
TWM445664U (zh) 發光裝置及其光束控制元件
EP2876469A1 (en) Diffusion plate,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CN107003558A (zh) 复合光学片、使用其的液晶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WO2013037263A1 (zh) 异型导光板、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US7766533B2 (en) Illumination module, and a display and general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1081166A (ja) El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1137790B1 (ko) 광학부재 및 그 제조방법
US20140211483A1 (en) Optical sheet
JP2010078980A (ja) 光制御スタ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表示装置
KR101152966B1 (ko) 광학부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9176437A (ja) 光源ユニッ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580581B1 (ko) 광학 시트,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광학 시트 성형 몰드의 제조 방법
KR101137796B1 (ko) 광학부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9294240A (ja)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CN203133308U (zh) 集成式导光组件
KR101262874B1 (ko) 광학부재
KR101214469B1 (ko) 광학부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5015185A (ja) 照明装置
WO2012059855A1 (en) Light emitting sheet
CN219201971U (zh) 光学扩散复合膜及背光模组
KR101606710B1 (ko) 복합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