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304B1 - 목 및 허리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목 및 허리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304B1
KR101137304B1 KR1020110075723A KR20110075723A KR101137304B1 KR 101137304 B1 KR101137304 B1 KR 101137304B1 KR 1020110075723 A KR1020110075723 A KR 1020110075723A KR 20110075723 A KR20110075723 A KR 20110075723A KR 101137304 B1 KR101137304 B1 KR 101137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neck
movement
body support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수
정사선
유주현
이관영
Original Assignee
이관영
유주현
정사선
이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영, 유주현, 정사선, 이강수 filed Critical 이관영
Priority to KR1020110075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9Specific exercise interfaces contoured to fit to specific body parts, e.g. back, knee or neck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 및 허리디스크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 및 허리디스크 환자가 누운 자세에서 간단한 기구조작을 통해서 목 및 허리디스크를 치료 또는 교정하고 목 및 허리 주변의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목 및 허리디스크 물리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목 및 허리 운동장치는, 인체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상반신 패널과; 인체의 하반신을 지지하는 하반신 패널과; 상기 상반신 패널에 설치되어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 홀더와; 상기 인체에 전후운동, 상하운동 및 좌우 시소 운동이 결합된 복합율동을 부여하는 무빙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 디스크와 허리 디스크를 자신이 직접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하나의 장치를 활용하여 동시에 일관성 있게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목과 허리의 디스크 주변에 전후상하 운동과 좌우 시소 운동이 결합된 자연스런 율동을 전달하여 목과 허리 주변부의 근육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크 교정이 필요하지 않은 건강한 사람에게도 목과 허리 디스크 및 그 주변부에 자연스런 율동의 운동효과를 제공하여 상쾌한 기분을 유지시키면서 더불어 목 및 허리 디스크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에게는 골격 근육에 유연성을 부여하고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목 및 허리 운동장치{A cervical and lumbar disc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목 및 허리 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 누운 자세에서 간단한 기구조작을 통해서 목 및 허리디스크를 교정하고 목 및 허리 주변의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목 및 허리 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는 인체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골격중의 하나로서, 잘못된 자세나 생활습관 또는 운동부족 등으로 인하여 척추가 변형되거나 디스크, 요통 등과 같은 척추질환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현대인들은 직장 및 학교에서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 자세가 바르지 못하거나 운동 부족 등으로 허리의 근육 및 뼈가 약해져 척추의 변형으로 인한 척추질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척추의 변형은 요통, 좌골 신경통, 허리 디스크질환, 척추측만증, 요추전만증, 척추후만증, 목통증 등의 척추 질환과 팔다리 저림, 감각이상, 근위축과 만성 소화불량과 같은 장기의 기능저하, 뼈나 관절 등의 퇴행, 견비통, 만성두통 등의 질환을 초래하게 된다.
흔히 허리 디스크 질환이라고 불리우는 요추 간판 탈출증은 척추뼈와 뼈사이에서 쿠션 역할을 하는 원반 모양의 디스크가 손상되어, 그 속에 있는 수핵이 찢어진 섬유테 사이로 빠지거나 탈출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탈출된 수핵 덩어리는 척추관 속의 신경 조직에 기계적, 화학적인 자극을 주게 되어 엉치 또는 다리의 신경통이나 다리저림을 일으키거나 신장이나 방광을 압박하는 중증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척추 질환에 대해 지속적인 교정치료를 요하는 사람들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물리치료기를 사용하는데, 종래에 사용되는 물리치료기 중에는 단순히 환자를 거꾸로 세워 척추를 신장시키거나, 환자를 지지수단에 걸쳐있게 한 상태에서 다리에 무거운 추를 묶어 아래로 당기는 방법 등을 사용하였다.
그 일 예로서,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허리디스크 운동장치의 사시 개념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허리디스크 운동장치는, 피 고정체에 고정 지지되는 고정지지부(200)와, 상기 고정지지부에 설치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 전달부재(600)와, 사용자의 신체를 안착시킨 상태로 하체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동력 전달부재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교정대(180)와,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절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운동장치에서는 체인(280)에 교정대(180)가 연결되는데, 체인(280)의 직선운동으로 교정대(180)는 그 일측이 체인(280)을 따라서 승강하고, 타측은 바닥면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교정대(180)는 각도 조절 가능하게 된다. 교정대(180)의 일측에는 바퀴(380)가 제공되며, 또한 교정대(180)에는 사용자가 누운 상태로 하체부분을 고정할 수 있도록 발목을 감싸 고정할 수 있는 발목고정부(400)가 설치되어 있어, 다리 부분의 교정대(180)가 위로 상승하면 사람이 거꾸로 매달리는 형태가 되어 허리 부분의 디스크 사이를 넓혀 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척추질환 치료 시 사용되는 종래기술에 의한 물리치료 기구는 치료 대상자 스스로가 기구를 자신의 몸에 맞도록 조절하여 사용하는 데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물리치료 방법은 척추주위의 조직은 늘어나지만 실제로 척추 마디를 신장시키는 작용은 미미하여 충분한 치료 효과를 거두기가 어렵고, 고혈압 환자에게는 위험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허리 디스크와 목 디스크는 넓게 보면 서로 연결된 일체적인 관계에서 바르고 곧게 굴곡을 이루도록 함께 치료 내지는 교정되어야 하나 그 동안의 물리치료 기구들은 어느 하나에만 초점을 맞추어 각각을 별도의 장치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교정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목 디스크와 허리 디스크를 자신이 직접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하나의 장치로 함께 일관성 있게 강화 또는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목과 허리의 디스크 주변에 전후상하 운동과 시소 운동이 결합된 자연스런 율동이 동 디스크와 그 주변의 근육에 전달되도록 하여, 목과 허리의 디스크 불균형이 당겨주는 힘과 회전하는 힘의 결합으로 자연스럽게 교정되고 그 주변부 근육이 강화되는 효과를 지니면서, 목과 허리의 디스크를 동시에 교정할 수 있는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크 교정이 필요하지 않은 건강한 사람에게도 디스크 및 주변부에 자연스런 운동효과를 제공하여 상쾌한 기분을 유지시키면서 자연스럽게 목 및 허리 디스크 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이 유연한 골격 근육을 보유하면서 아울러 성장이 촉진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목 및 허리 운동 장치는, 헤드홀더(30)가 구비된 평탄한 형상의 상반신 지지판(10)과; 상기 상반신 지지판(10) 하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U자 형상의 하반신 지지판(20)과; 상기 하반신 지지판(20) 하부에 결합되어 하반신 지지판(20)을 무빙시키도록 된 무빙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반신 지지판(20)은, 하부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수직지지부(21, 21')가 결합되고, 하부 우 측면부에 우측 고정편(46)이 결합되며, 상기 우측 고정편(46) 상방에는 제2축(49)이 형성되고, 하방에는 힌지(45)에 의해 결합되는 힌지고정편 (44, 4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수직지지부(21, 21')는, 동 수직지지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동 수직지지부가 하반신 지지판(20)과 함께 시소운동을 하도록 된 시소축(70)과; 상기 시소축(70) 하부에 가이드 몸체(60)에 형성된 가이드 라인을 따라 수평 전후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더(6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무빙장치(40)는, 모터(50)와; 상기 모터 축과 연결되어 회전토록 된 편심후렌지(51)와; 상기 편심후렌지(51)의 편심축(52)과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V형 연결구(41)과; 상기 V형 연결구(41)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힌지고정편(44-1)의 제1축(47)과 연결되는 전후운동 봉(42)과; 상기 V형 연결구(41)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우측 고정편(46)의 제2축(49)과 연결되는 상하운동 봉(4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운동장치는, 전후운동, 상하운동 및 시소운동이 결합되어 만들어지는 복합율동을 하반신 지지판(20)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전후운동 봉(42)과 상기 상하운동 봉(48)에는 길이조절봉(43, 43-1)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헤드홀더(30)에는, 머리의 안착을 돕고, 유격을 조절할 수 있는 스프링(35)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헤드홀더(30)에는, 사람의 머리가 안착되는 경우, 귀 뒷부분을 압착시켜 머리가 고정되도록 하고, 목의 디스크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당겨지도록 하는 돌출부(36)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 디스크와 허리 디스크를 자신이 직접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하나의 장치를 활용하여 동시에 일관성 있게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활용하면, 목과 허리의 디스크 주변에 전후상하 운동과 시소 운동이 결합된 자연스런 율동을 전달하여 목과 허리의 디스크 불균형이 직선으로 늘려 주기만 하는 종래의 경우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자연스럽게 교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목과 허리 주변부의 근육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크 교정이 필요하지 않은 건강한 사람에게도 목과 허리 디스크 및 그 주변부에 자연스런 율동의 운동효과를 제공하여 상쾌한 기분을 유지시키면서 더불어 목 및 허리 디스크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에게는 골격 근육에 유연성을 부여하고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허리디스크 운동장치의 사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 및 허리 운동장치의 정면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 및 허리 운동장치의 좌측단면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 및 허리 운동장치의 배면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 및 허리 운동장치의 작동 흐름을 보여주는 좌측단면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 및 허리 운동장치의 작동 흐름을 보여주는 정단면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 및 허리 운동장치의 정면 개념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전체적으로 크게 보면, 인체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평탄한 형상의 상반신 지지판(10)과, 동 상반신 지지판(10)의 하방 (사람의 다리가 위치하는 쪽을 하방으로 함)에 별도로 설치되어 인체의 하반신을 지지하는 U자 형상의 하반신 지지판(20)과, 상기 상반신 지지판(10)에 설치되어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 홀더(30)와, 상기 하반신 지지판(20) 하부에 결합되어 하반신 지지판(20)을 무빙시키도록 된 무빙장치(40)를 포함하여 구상된다. 여기서 무빙이란 인체에 전후운동, 상하운동 및 시소 운동이 결합된 복합율동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상반신 지지판(10)는, 사각 형상의 평탄한 패널로서 바닥면에 설치된 바닥 받침대(100)로부터 상기 상반신 지지판(10)의 네 모퉁이 밑면까지 수직 돌출된 4개의 수직 받침대(101)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상기 하반신 지지판(20)은 상기 상반신 지지판(10)과 길이방향 (도 2에서 인체의 머리에서 발을 연결하는 가상 직선의 방향)으로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반신 지지판(10)의 경우와 달리 바닥 받침대(100)에서 돌출되는 수직 받침대(101)는 설치되지 않으며, 또한 상기 하반신 지지판(20)은 사각 형상의 패널이 도 3과 같이 U자형으로 굽은 형태를 취하게 된다. 하반신 지지판(20)이 U자형을 취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하반신 지지판(20)의 시소 운동 시 인체의 하반신이 패널 바깥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또한 허리 디스크에 적절한 움직임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반신 지지판(20)에는, 하부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2개의 수직지지부(21, 21')가 좌우에 하나씩 결합되고, 하부 우 측면부(도3 기준)에 우측 고정편(46)이 결합되며, 상기 우측 고정편(46) 상방에는 제2축(49)이 형성되고, 하방에는 힌지(45)에 의해 결합되는 힌지고정편 (44, 4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지지부(21, 21')에는, 동 수직지지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동 수직지지부가 하반신 지지판(20)과 함께 시소운동을 하도록 된 시소축(70)과, 동 시소축(70) 하부에 가이드 몸체(60)에 형성된 가이드 라인을 따라 수평 전후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더(6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홀더(30)는 상기 상반신 지지판(10)의 상방 (사람의 머리가 위치하게 되는 쪽) 가까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반신 지지판(10)에 고정되는 받침부(31)와, 사람의 머리를 안착시키는 헤드 레스트(32)와, 상기 받침부(31)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헤드 레스트(32)를 지지하는 지지막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31)의 중앙에는 지지막대(33)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하부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3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홈(34)의 내부에는 스프링(35)이 설치되어 있어 지지막대(33)의 탄력적인 이동을 지원한다. 즉 헤드홀더(30)에 사람의 머리가 안착되는 경우 하드(hard)한 기분이 들지 않도록 탄력을 주고 인체와 장치간에 길이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몸체를 움직여 다소의 조정을 가하여 사용자의 자세가 편하게 되도록 유격을 조정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헤드홀더(30)에는, 사람의 머리가 안착되는 경우, 귀 뒷부분을 압착시켜 머리가 고정되도록 하고, 목의 디스크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당겨지도록 하는 돌출부(3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6)의 하부에는 필요 시 스프링을 장착하여 소프트 한 구조를 이루도록 된 탄성 돌출부를 구성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빙장치(40)는 바닥받침대(100)의 위쪽이면서, 상기 하반신 지지판(20)의 아래쪽 사이에 설치되며,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50)와, 상기 모터 축과 연결되어 회전토록 된 편심후렌지(51)와, 상기 편심후렌지(51)의 편심축(52)과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V형 연결구(41)와, 상기 V형 연결구(41)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힌지고정편(44-1)의 제1축(47)과 연결되는 전후운동 봉(42)과, 상기 V형 연결구(41)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우측 고정편(46)의 제2축(49)과 연결되는 상하운동 봉(4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본원발명의 운동장치를 하반신 지지판(20)의 우측 (도 3기준)에 설치 고정되는 우측 무빙부와, 하반신 지지판(20)의 중앙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중앙 무빙부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운동장치는, 상기 하반신 지지판(20)에 전후운동, 상하운동 및 시소 운동이 결합된 복합율동을 일으키는 것으로, 여기서 생성되는 복합 율동이 인체에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이 복합율동은 인체의 하반신에만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한 헤드홀더(30)에 의하여 인체의 머리부분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하반신 움직임의 리드 하에서, 상반신과 하반신 모두를 좌우로 번갈아 가면서 뒤틀어 주는 기능을 하며, 이에 수반하여 목 부분 및 허리 부분을 포함하는 전체 척추 및 그 인근의 근육에 활발한 운동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우선 우측 무빙부를 보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닥받침대(100)의 상부에는 모터 박스(102)가 고정되어 있으며, 동 모터박스(102)의 내부에는 본 발명의 무빙장치(40)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50)가 장착되어 있다. 구동모터(50)의 모터축에는 편심후렌지(51)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는 구동모터(5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편심 후렌지(51)의 일 측부에는 편심축(52)이 돌설 고정되어 있고, 이 편심축(52)에 도 2와 같이 V형 연결구(41)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모터(50)는 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동작된다. 제어부(53)의 조작으로 본 발명의 장치를 가종 또는 정지 시킴은 물론, 본 발명 장치의 운동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V형 연결구(41)의 좌측 (도2 기준)으로는 상기 하반신 지지판(20)의 전후 운동을 리드하는 전후운동 봉(42)이 결합된다. 상기 전후운동 봉(42)의 일 끝단부는 상기 하반신 지지판(20)의 우측(도 3기준)에 고정된 힌지 고정편(44)의 아래에 힌지(45)를 중간에 두고 연결된 힌지고정편(44-1)의 하단부에서 돌출 형성된 제1축(47)에서 회동 가능하면서 다소의 유격을 지니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V형 연결구(41)의 위쪽 (도2 기준)으로는 상기 하반신 지지판(20)의 상하 운동을 리드하는 상하운동 봉(48)이 결합된다. 상기 상하운동 봉(48)의 일 끝단부는 상기 하반신 지지판(20)의 우측(도 3기준)에 상기 힌지 고정편(44)와 함께 고정된 우측 고정편(46)에서 돌출 형성된 제2축(49)에 회동 가능하면서 다소의 유격을 지니도록 연결된다.
다음은 중앙무빙부를 설명한다. 하반신 지지판(20)의 길이 방향 중앙 하부에는 하반신 지지판(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왕복운동을 하도록 하는 장치와, 상기 하반신 지지판(2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시소축(70)을 중심으로 하여 그 좌측 및 우측으로 (도3 기준) 번갈아 기울면서 시소 운동을 하도록 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반신 지지판(20)의 수평 왕복 운동은, 제1축(47)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전후운동 봉(42)의 전후운동과 결부되어 일어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하반신 지지판(20)의 중앙 하부, 즉 바닥받침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박스(102)의 상단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반신 지지판(20)의 중앙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가이드 홈이 구비된 가이드 몸체(60)가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몸체(60)의 외주면 (하단부 제외)에는 슬라이더(61)가 하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감싸고 있어, 상기 가이드 몸체(60)의 가이드를 받아, 즉 가이드 몸체(60)에 형성된 가이드 라인을 따라 하반신 지지판(20)은 하부 중앙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61)의 상면부에는 도 2와 같이 시소축(70)이 상기 가이드 몸체(60)와 나란하게 상하 평행으로 단단히 고정되어 있고, 상기 시소축(70)의 양측 끝단에는 수직지지부(21, 21')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부가 좌측과 우측 (도 2 기준)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시소축(70) 자체는 상기 슬라이더(61)를 따라 수평 왕복운동만 하게 되며, 이것 자체가 시소 운동을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반신 지지판(20)의 시소 운동을 위하여는, 상기 하반신 지지판(20)의 하단부를 수직으로 지지하고, 그 하단부에 상기 시소축(70)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시소 운동을 할 수 있는 구멍이 구비된 수직지지부(21, 21')가 설치된다. 상기 수직지지부(21, 21')는 하반신 지지판(20)에 단단히 고정되어 동 하반신 지지판(20)와 함께 같은 동작으로 움직이게 되고, 또한 상기 시소축(70)의 돌출부를 회동축으로 하여 좌측 또는 우측 (도3 기준)으로 기울면서 상기 하반신 지지판(20)이 시소 운동을 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더(61)가, 전후운동 봉(42)의 운동 중에서 수평 왕복운동만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고정편(44, 44-1) 사이에는 힌지(45)를 부착하여 약간의 접고 닫는 동작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전후운동 봉(42) 및 상하운동 봉(48)에는 길이조절봉(43, 43-1)을 각각 배치하여 필요한 경우 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시소 운동의 유격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길이조절 봉(43, 43-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장치의 율동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하운동 봉(48)의 상하 움직임은 하반신 지지판(20)의 시소 운동에만 공헌하는 것으로 하반신 지지판(20) 자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은 아니다. 즉 하반신 지지판(20) 자체는 시소축(70)에 회동 가능하게 수직지지부(21, 21')와 함께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이상 위로 상승할 수는 없고 시소축(70)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만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 및 허리 디스크 운동장치의 작동 흐름을 보여주는 좌측단면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 및 허리 디스크 운동장치의 작동 흐름을 보여주는 정단면 개념도이다.
도 5는 주로 본 발명의 하반신 지지판(20)이 시소 운동을 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도 5의 (1)은 하반신 지지판(20)의 좌측 부분 (도5 기준)이 시소축(70)을 기준으로 하여 위로 올라간 상태를 보여 주고 있다. 이 때 구동모터(50)의 편심 후렌지(51)에 구비되어 있는 편심축(52)은 최대한 바닥 받침대(100)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게 된다.
도 5의 (2)는 하반신 지지판(20)이 수평으로 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5의 (3)은 하반신 지지판(20)의 우측 부분 (도5 기준)이 시소축(70)을 기준으로 하여 위로 올라간 상태를 보여 주고 있다. 이 때 구동모터(50)의 편심 후렌지(51)에 구비되어 있는 편심축(52)은 최대한 하반신 지지판(20)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게 된다.
도 6은 주로 본 발명의 하반신 지지판(20)이 시소 운동을 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도 6의 (1)은 구동모터(50)의 편심 후렌지(51)에 구비되어 있는 편심축(52)이 최대한 바닥 받침대(100)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때 하반신 지지판(20)은 앞쪽(도6 기준)이 아래로 기울게 되고, 슬라이더(61)는 중립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사람이 누워 있는 경우 머리는 헤드홀더(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허리는 앞으로 휘면서 허리 디스크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고, 아울러 목 디스크도 그 사이가 늘어나면서 신장하게 된다.
도 6의 (2)는 구동모터(50)의 편심 후렌지(51)에 구비되어 있는 편심축(52)이 좌측 중간에 위치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때 하반신 지지판(20)은 수평 상태가 되고, 슬라이더(61)는 좌측으로 위치하게 된다. 사람이 누워 있는 경우 머리부터 발끝까지는 다시 일직선을 이루면서, 휘면서 늘어났던 허리 디스크 및 목 디스크는 다시 원상으로 회복된다.
도 6의 (3)은 구동모터(50)의 편심 후렌지(51)에 구비되어 있는 편심축(52)이 우측 중간에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때 하반신 지지판(20)는 뒤쪽(도6 기준)으로 기울게 되고 슬라이더(61)는 다시 중립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사람이 누워 있는 경우 머리는 헤드홀더(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허리 디스크 부분은 뒤쪽을 향하여 휘면서 허리 디스크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고, 아울러 목 디스크도 그 사이가 늘어나면서 신장하게 된다.
도 6의 (4)는 구동모터(50)의 편심 후렌지(51)에 구비되어 있는 편심축(52)이 최대한 바닥 받침대(100)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때 하반신 지지판(20)은 다시 수평 상태가 되고, 슬라이더(61)는 우측으로 위치하게 된다. 사람이 누워 있는 경우 머리부터 발끝까지는 다시 일직선을 이루게 되고, 휘면서 늘어났던 허리 디스크 및 목 디스크는 다시 원상으로 회복된다.
상기와 같은 사이클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면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목 디스크 및 허리 디스크의 불균형을 교정할 수 있게 된다.
10: 상반신 지지판 20: 하반신 지지판 21,21': 수직지지부
30: 헤드홀더 31: 받침부 32: 헤드 레스트
33: 지지막대 34: 가이드 홈 35: 스프링
36: 돌출부
40: 무빙장치 41: V형 연결구 42: 전후운동 봉
43, 43-1: 길이조절봉 44, 44-1: 힌지고정편 45: 힌지
46: 우측 고정편 47: 제1축 48: 상하운동 봉
49: 제2축
50: 구동모터 51: 편심후렌지 52: 편심축
53: 제어부
60: 가이드 몸체 61: 슬라이더
70: 시소축
100: 바닥 받침대 101: 수직 받침대 102: 모터박스

Claims (8)

  1. 헤드홀더(30)가 구비된 평탄한 형상의 상반신 지지판(10)과;
    상기 상반신 지지판(10) 하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U자 형상의 하반신 지지판(20)과;
    상기 하반신 지지판(20) 하부에 결합되어 하반신 지지판(20)을 무빙시키도록 된 무빙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후운동, 상하운동 및 시소운동이 결합되어 만들어지는 복합율동을 하반신 지지판(20)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및 허리 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반신 지지판(20)은, 하부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수직지지부(21, 21')가 결합되고, 하부 우 측면부에 우측 고정편(46)이 결합되며, 상기 우측 고정편(46) 상부 쪽에는 제2축(49)이 형성되고, 하부 쪽에는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힌지고정편 (44, 4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및 허리 운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21, 21')는,
    동 수직지지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동 수직지지부가 하반신 지지판(20)과 함께 시소운동을 하도록 된 시소축(70)과;
    상기 시소축(70) 하부에는 가이드 몸체(60)에 형성된 가이드 라인을 따라 수평 전후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더(6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및 허리 운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장치(40)는,
    모터(50)와;
    상기 모터 축과 연결되어 회전토록 된 편심후렌지(51)와;
    상기 편심후렌지(51)의 편심축(52)과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V형 연결구(41)과;
    상기 V형 연결구(41)의 일측과 연결되어 힌지고정편(44-1)의 제1축(47)과 연결되는 전후운동 봉(42)과;
    상기 V형 연결구(41)의 타측과 연결되어 우측 고정편(46)의 제2축(49)과 연결되는 상하운동 봉(4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및 허리 운동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운동 봉(42)과 상기 상하운동 봉(48)에는 길이조절봉(43, 43-1)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및 허리 운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홀더(30)에는, 머리의 안착을 돕고, 유격을 조절할 수 있는 스프링(35)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및 허리 운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홀더(30)에는, 사람의 머리가 안착되는 경우, 귀 뒷부분을 압착시켜 머리가 고정되도록 하고, 목의 디스크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당겨지도록 하는 돌출부(36)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및 허리 운동장치
KR1020110075723A 2011-07-29 2011-07-29 목 및 허리 운동장치 KR101137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723A KR101137304B1 (ko) 2011-07-29 2011-07-29 목 및 허리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723A KR101137304B1 (ko) 2011-07-29 2011-07-29 목 및 허리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7304B1 true KR101137304B1 (ko) 2012-04-19

Family

ID=46143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723A KR101137304B1 (ko) 2011-07-29 2011-07-29 목 및 허리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30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953B1 (ko) * 2012-07-16 2014-05-27 이범희 키 성장 및 비만치료를 위한 전신운동기구
KR101498430B1 (ko) * 2014-10-14 2015-03-03 김재겸 척추 견인 운동장치
KR101607427B1 (ko) 2015-01-30 2016-03-29 김재겸 척추 견인 운동장치
KR101695555B1 (ko) 2015-07-14 2017-01-23 김재겸 척추 견인 운동장치
KR20170004120U (ko) 2016-05-30 2017-12-08 김재겸 척추 견인 운동장치의 상반신 고정장치
CN109394404A (zh) * 2017-08-16 2019-03-01 (株)神话医疗器 脊椎治疗仪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7842A (ko) * 2005-12-26 2007-06-29 김학충 척추교정을 위한 운동장치
KR100868384B1 (ko) * 2008-01-30 2008-11-12 구경순 척추교정치료기
KR20100008607U (ko) * 2009-02-20 2010-08-30 한송욱 척추 복합 견인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7842A (ko) * 2005-12-26 2007-06-29 김학충 척추교정을 위한 운동장치
KR100868384B1 (ko) * 2008-01-30 2008-11-12 구경순 척추교정치료기
KR20100008607U (ko) * 2009-02-20 2010-08-30 한송욱 척추 복합 견인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953B1 (ko) * 2012-07-16 2014-05-27 이범희 키 성장 및 비만치료를 위한 전신운동기구
KR101498430B1 (ko) * 2014-10-14 2015-03-03 김재겸 척추 견인 운동장치
KR101607427B1 (ko) 2015-01-30 2016-03-29 김재겸 척추 견인 운동장치
KR101695555B1 (ko) 2015-07-14 2017-01-23 김재겸 척추 견인 운동장치
KR20170004120U (ko) 2016-05-30 2017-12-08 김재겸 척추 견인 운동장치의 상반신 고정장치
CN109394404A (zh) * 2017-08-16 2019-03-01 (株)神话医疗器 脊椎治疗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304B1 (ko) 목 및 허리 운동장치
KR20070114814A (ko) 안락 의자 척추 견인 장치
KR20090102595A (ko) 개량형 척추교정장치
KR100245627B1 (ko) 운동용 보조의자를 이용한 운동장치
KR20080006337A (ko) 신체교정용 침대
CN106580630B (zh) 一种坐姿正脊按摩椅
KR20120100613A (ko) 척추재활 및 교정을 위한 척추근육 운동기구
KR101875038B1 (ko) 3차원 척추교정 재활운동 기구
KR20200001546U (ko) 안마 롤러 구조
KR101415105B1 (ko) 전신 좌우 굴절 운동 치료기
KR20130107762A (ko) 척추측만증 교정 운동치료기
US10130835B1 (en) Three exercise combination device to alleviate sciatica and low back pain
KR101998626B1 (ko) 수동 척추 치료기
KR200428734Y1 (ko) 신체교정용 침대
KR100955202B1 (ko) 어깨교정 장치 및 어깨교정 장치가 포함된 자세교정 장치
KR200463327Y1 (ko) 척추교정 운동기구
CN109730916A (zh) 一种用于人体俯卧位的电动叩击按摩装置
KR20170130767A (ko) 디스크 도수치료기
JP2019025299A (ja) マッサージ機
KR101955369B1 (ko) 기능성 골반교정기기
JP2880672B2 (ja) 腰痛治療装置
KR20110130796A (ko) 자세교정용 의자
RU238947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ссажа
KR101712522B1 (ko) 척추 교정용 파동 및 진동기
KR101607427B1 (ko) 척추 견인 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