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748B1 - 제어 채널들을 위한 홉핑 구조 - Google Patents

제어 채널들을 위한 홉핑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748B1
KR101135748B1 KR1020097016998A KR20097016998A KR101135748B1 KR 101135748 B1 KR101135748 B1 KR 101135748B1 KR 1020097016998 A KR1020097016998 A KR 1020097016998A KR 20097016998 A KR20097016998 A KR 20097016998A KR 101135748 B1 KR101135748 B1 KR 101135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ata
wireless communication
bandwidth
hopping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6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0351A (ko
Inventor
듀가 프라새드 말라디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08/051371 external-priority patent/WO2008089369A2/en
Publication of KR20090110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2Frequency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홉핑 패턴들에 따른 제어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설명되며, 상기 홉핑 패턴들은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디바이스의 대역폭 성능들 및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의 대역폭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정의된다. 이러한 점에서, 네트워크보다 더 낮은 대역폭 성능을 가지는 디바이스들은, 소정의 주파수 블록들이 상기 디바이스의 대역폭보다 크지 않다고 가정하면, 제어 데이터를 위해 예비된 상기 블록들 내에서 홉핑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보다 더 크거나 혹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대역폭 성능들을 가지는 디바이스들은 상기 디바이스가 주파수에서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홉핑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데이터를 위해 예비된 네트워크의 서로 다른 주파수 블록들에 걸쳐 홉핑할 수 있다. 이는 디바이스 대역폭 성능들에 상관없이 다수의 디바이스 타입들에서의 제어 채널들에 대한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보존한다.

Description

제어 채널들을 위한 홉핑 구조{HOPPING STRUCTURE FOR CONTROL CHANNEL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채널들을 위한 주파수 홉핑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07년 1월 17일에 출원된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K HOPPING FOR INTERFERENCE RANDOMIZATION IN UL SINGLE CARRIER FDMA"라는 명칭의 미국 가출원 특허 제 60/885,393호, 및 2007년 2월 6일에 출원된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K HOPPING FOR INTERFERENCE RANDOMIZATION IN UL SINGLE CARRIER FDMA"라는 명칭의 미국 가출원 특허 제 60/888,459 호의 이익을 청구한다. 전술된 출원들의 전체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다양한 타입들의 통신 콘텐츠,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등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통상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가용 시스템 자원들(예를 들어, 대역폭, 전송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접속(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시스템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시스템들은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3GPP 롱 텀 에볼루션(LTE) 등과 같은 규격들에 따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들은 다수의 이동 디바이스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각각의 이동 디바이스는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 상에서의 전송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들로부터 이동 디바이스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이동 디바이스들로부터 기지국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또한, 이동 디바이스들과 기지국들 간의 통신들은 단일-입력 단일-출력(SISO) 시스템들, 다중-입력 단일-출력(MISO) 시스템들,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들 등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피어-투-피어 무선 네트워크 구성들에서 이동 디바이스들은 다른 이동 디바이스들과(및/또는 기지국들은 다른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MIMO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다수(NT개)의 송신 안테나들 및 다수(NR개)의 수신 안테나를 채택한다. 상기 안테나들은 기지국들 및 이동 디바이스들 모두와 관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무선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들 간의 양방향 통신을 허용한다. 전송 품질에 관한 데이터(예를 들어, 제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디바이스들 및/또는 기지국들은 확인응답들/부정확인응답들(ACK) 및/또는 채널 품질 정보(CQI)를 전송하기 위해 결정된 대역폭 부분을 사용할 수 있다. LTE와 같은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에서, 제어 데이터는 사용되는 주파수 스펙트럼의 한쪽 에지에서 전송되고, 디바이스들은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소정 시간 기간 동안 하나의 종단에서 나머지 하나의 종단으로 홉핑하는 것이 기대된다. 그러나,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들이 상기 시스템에 의해 특정된 것보다 더 낮은 주파수에서 통신하는 경우, 이러한 홉핑은 용이하게 유지되지 않는다. 보상을 위해, 몇몇 시스템 구성들은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들의 주파수 성능들을 조정하지만, 이러한 방식이 항상 가장 효율적이거나 실제적이지는 않다.
다음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실시예들의 간략화된 요약을 제공한다. 이 요약은 모든 참작되는 실시예들의 확장적인 개요가 아니며, 모든 실시예들의 키 또는 중요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임의의 또는 모든 실시예들의 범위를 축소하는 것으로도 의도되지 않는다. 그 유일한 목적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몇몇 개념들을 추후 제공된 더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론으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이에 대응하는 도면에 따라,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유지하기 위해 다수의 홉핑 패턴들을 사용하여 제어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을 용이하게 하는 것과 관련된 다양한 양상들이 설명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 같은 충분한 대역폭을 가지는 디바이스들은 제어 데이터에 대해 전용인 주파수 블록들 사이에서 홉핑할 수 있지만, 충분한 대역폭을 가지지 않는 디바이스들은 소정의 주파수 블록 내에서 홉핑할 수 있다. 더욱이, 디바이스들은 대역폭 성능들에 기초하여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디바이스들에는 상기 성능들에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주파수 블록들이 할당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제 1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홉핑 패턴에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를 위해 예비된 대역폭의 일부분으로 상기 제어 데이터를 매핑시키는 단계 ? 상기 홉핑 패턴은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가용 대역폭 및 제 1 디바이스의 가용 대역폭의 함수임 ?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홉핑 패턴에 따라 제 2 디바이스로 상기 매핑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홉핑 패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를 위해 예비된 다수의 주파수 블록들을 가지는 대역폭의 심볼들로 상기 제어 데이터를 매핑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 상기 홉핑 패턴은 하나의 시간 기간에 대한 상기 다수의 주파수 블록들 중 하나 내에 있는 홉핑 주파수들을 포함함 ?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홉핑 패턴에 따라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제어 데이터에서 사용하기 위해 사전-할당된 가용 주파수의 다수의 부분들 중 하나로 제어 데이터를 매핑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기 위해 추가적인 제어 데이터를 매핑시키기 위해 가용 주파수의 일부분 내에서 홉핑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홉핑 패턴에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를 위해 예비된 대역폭의 일부분으로 상기 제어 데이터를 매핑시키도록 하기 위한 코드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홉핑 패턴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가용 대역폭 및 제 1 디바이스 가용 대역폭의 함수이다. 더욱이,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홉핑 패턴에 따라 제 2 디바이스로 상기 매핑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치는 제어 데이터에서 사용하기 위해 사전-할당된 가용 주파수의 다수의 부분들 중 하나로 제어 데이터를 매핑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기 위해 부가적인 제어 데이터를 매핑시키도록 상기 가용 주파수의 부분 내에서 홉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홉핑 패턴들을 사용하여 디바이스들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제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예비된 다수의 주파수 블록들을 가지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대역폭 성능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데이터 홉핑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결정된 홉핑 패턴에 따라 상기 제어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예비된 주파수 블록들을 가지는 신호를 통해 다수의 디바이스들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 상기 제어 데이터는 디바이스 대역폭 성능들에 기초하여 다수의 홉핑 패턴들 중 하나를 사용함 ?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다양한 홉핑 패턴들을 사용하여 제어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디바이스에 관한 주파수 대역폭 성능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대역폭 성능 정보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홉핑 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결정된 홉핑 패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신호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제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예비된 다수의 주파수 블록들을 가지는 신호를 수신하기 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디바이스의 대역폭 성능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데이터 홉핑 패턴을 결정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결정된 홉핑 패턴에 따라 상기 제어 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라, 디바이스에 관한 대역폭 성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대역폭 성능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홉핑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홉핑 패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해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및 관련 목적들의 달성을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완전히 설명되고, 특히 청구항들에서 지적되는 특징들을 포함한다. 후속하는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특정 예시적 양상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양상들이 지시적이지만, 다양한 실시예들의 원리들이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단지 몇몇에 불과하며, 설명된 실시예들은 모든 이러한 양상들 및 이들의 등가물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도 1은 여기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이다.
도 2는 무선 통신 환경 내에서의 사용을 위한 예시적인 통신 장치의 예시이다.
도 3은 제어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을 실행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제어 주파수 블록 사용의 예시이다.
도 5는 예시적인 비동기 제어 주파수 블록 사용의 예시이다.
도 6은 홉핑 패턴에 따라 제어 데이터의 매핑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예시이다.
도 7은 수신된 제어 데이터의 해석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예시이다.
도 8은 홉핑 패턴에 따라 제어 데이터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이동 디바이스의 예시이다.
도 9는 수신된 제어 데이터의 해석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예시이다.
도 10은 여기서 설명된 다양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환경의 예시이다.
도 11은 홉핑 패턴에 따라 제어 데이터를 매핑시키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예시이다.
도 12는 결정된 사용되는 홉핑 패턴에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를 해석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예시이다.
이제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면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며, 여기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참조하도록 사용된다. 다음 설명에서, 예시의 목적으로, 많은 특정 상세내용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들 상세내용들 없이도 구현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다른 경우들에서, 공지된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의 형태로 도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들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를 지칭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대상(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로써,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으며,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 로컬화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둘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컴포넌트들은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이 저장된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로컬 시스템, 분산형 시스템에서의 다른 컴포넌트와 그리고/또는 신호에 의해 다른 시스템들과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을 통해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을 가지는 신호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들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동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여기서 설명된다. 이동 디바이스는 또한 시스템, 가입자 유닛, 가입자 국, 이동국, 모바일, 원격국,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이동 디바이스는 셀룰러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폰,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PDA), 무선 접속 성능을 가지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다른 처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더욱이, 다양한 실시예들은 여기서 기지국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기지국은 이동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또는 몇몇 다른 용어들로 지칭될 수도 있다.
더욱이, 여기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은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들을 사용하여 방법, 장치, 또는 제조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제조품"은 컴퓨터-판독가능 디바이스, 캐리어, 또는 매체로부터 액세스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들 등), 광학 디스크들(예를 들어,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DVD) 등), 스마트 카드들,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여기서 설명된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 매체를 나타낸다. 용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무선 채널들, 및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예시된다. 시스템(100)은 다수의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는 기지국(1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들(104 및 106)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그룹은 안테나들(108 및 1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그룹은 안테나들(112 및 114)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해 2개의 안테나들이 예시되지만, 더 많거나 더 적은 안테나들이 각각의 그룹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102)은 송신기 체인 및 수신기 체인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이해될 바와 같이, 상기 송신기 체인 및 수신기 체인 각각은 차례로 신호 전송 및 수신과 연관된 다수의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프로세서들, 변조기들, 멀티플렉서들, 복조기들, 디멀티플렉서들, 안테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02)은 이동 디바이스(116) 및 이동 디바이스(122)와 같은 하나 이상의 이동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지만, 기지국(102)이 이동 디바이스들(116 및 122)과 유사한 실질적으로 임의의 개수의 이동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동 디바이스들(116 및 122)은 예를 들어, 셀룰러 폰들, 스마트 폰들, 랩톱들, 핸드헬드 통신 디바이스들,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들, 위성 라디오들, 글로벌 위치지정 시스템들, PDA들, 및/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통한 통신을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디바이스(116)는 안테나들(112 및 114)와 통신 중이며, 여기서 안테나들(112 및 114)은 순방향 링크(118)를 통해 이동 디바이스(116)로 정보를 전송하고, 역방향 링크(120)를 통해 이동 디바이스(1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이동 디바이스(122)는 안테나들(104 및 106)과 통신하며, 여기서 안테나들(104 및 106)은 순방향 링크(124)를 통해 이동 디바이스(122)로 정보를 전송하고, 역방향 링크(126)를 통해 이동 디바이스(12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118)는 역방향 링크(120)에 의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순방향 링크(124)는 역방향 링크(126)에 의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분할 듀플렉스(TDD)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118) 및 역방향 링크(120)는 공통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순방향 링크(124) 및 역방향 링크(126)는 공통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안테나들의 각각의 그룹 및/또는 이들이 통신하도록 지정되는 영역들은 기지국(102)의 섹터라고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그룹들은 기지국(102)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들의 섹터 내의 이동 디바이스들로 통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들(118 및 124)을 통한 통신에서, 기지국(102)의 송신 안테나들은 이동 디바이스들(116 및 122)에 대한 순방향 링크들(118 및 124)의 신호-대-잡음비를 개선하기 위해 빔형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2)은 관련된 커버리지를 통해 랜덤하게 분산된 이동 디바이스들(116 및 122)로 전송하기 위해 빔형성을 사용하지만, 이웃 셀들에 있는 이동 디바이스들은 단일 안테나를 통해 자신의 모든 이동 디바이스들로 전송하는 기지국에 비해 더 적은 간섭을 받게 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디바이스들(116 및 1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피어-투-피어 또는 애드 혹 기술을 사용하여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시스템(100)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시스템(100)은 통신 채널들(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 역방향 링크...)을 분할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임의의 타입의 듀플렉싱 기법들, 예를 들어, FDD, TD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채널들은 이동 디바이스들(116 및 122)과 기지국 사이에서 (또는 예를 들어, 피어-투-피어 구성에서 이동 디바이스(116)로부터 이동 디바이스(122)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기지국(102)은 확인응답들 또는 부정확인응답들(ACK)을 이동 디바이스(116 및 122)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동 디바이스(116 및 122)는 채널 품질 정보(CQI)를 기지국(102)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ACK들은 기지국(102)이 통신을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이동 디바이스들(116 및 122)에 의해 사용될 수 있으며, CQI 데이터는 이동 디바이스들(116 및 122)에 채널 자원들을 할당하기 위해 기지국(102)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들은 예를 들어, 소정의 주파수 및/또는 소정의 시간 기간들에서와 같이, 통신들에서 계획적으로 위치될 수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들은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 채널을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채널은 이러한 관점에서 사전결정될 수 있고, 이동 디바이스들(116 및 122) 및/또는 기지국(102) 내에서 정적으로 또는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 다. 더욱이, 제어 채널 상에서의 제어 데이터의 구조 역시 사전결정되고 구성될 수 있다.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롱 텀 에볼루션(LTE)과 같은 몇몇 무선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소정의 이동 디바이스(116/122) 및/또는 기지국(102)에 대한 제어 채널은 하나 이상의 시간 기간들 내에서 이동하거나 주파수들을 홉핑하도록 요구되거나 기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동 디바이스(116/122)는, 예를 들어, 기지국(102) 및/또는 기반(underlying) 네트워크보다는 더 낮은 주파수 또는 더 적은 대역폭 용량으로 동작하며, 주파수 내의 특정 홉들이 일부 가드(guard) 시간 없이는 달성되지 못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0MHz 3GPP LTE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동 디바이스(116 및/또는 122)는 하나의 시간 기간 동안 주파수의 한쪽 종단에 있는 논리 채널을 통해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후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주파수의 나머지 한쪽 종단에 있는 채널로 홉핑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0MHz 디바이스에서, 10MHz를 초과하여 걸쳐 있는(span) 이러한 홉핑은 통상적으로 달성될 수 없다. 따라서, 네트워크 대역폭이 일부 이동 디바이스들의 대역폭보다 더 큰 이러한 네트워크에서, 대안적인 홉핑이 상기 일부 디바이스들의 제어 채널들에 대해 상이한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3GPP LTE 시나리오에 따른 일 예에서, 10MHz 디바이스들은 전체 주파수의 한쪽 종단으로 홉핑해야 할 필요 없이 주파수의 다른 한쪽 끝 상의 제어 채널들 내에서 홉핑할 수 있다. 그러나, 20MHz 통신이 가능한 이동 디바이스들은 주파수의 한쪽 종단에서 나머지 다른 종단으로의 홉핑을 계속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동 디바이스(116 및/또는 122)의 최소 전달 주파수가 수정될 필요가 없으며,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상기 제어 채널들에 대해 보존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환경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통신 장치(200)가 예시된다. 상기 통신 장치(200)는 기지국 또는 상기 기지국의 일부분, 이동 디바이스 또는 상기 이동 디바이스의 일부분, 또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통신 장치일 수 있다. 통신 장치(200)는 제어 데이터(예를 들어, ACK 데이터 및/또는 CQI 데이터)를 형성하는(formulate) 제어 데이터 디파이너(definer)(202), 데이터 또는 심볼들을 주파수의 일부분들(예를 들어, OFDM 심볼의 톤들)에 매핑시키는 심볼 맵퍼(204), 및 매핑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기(20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통신 장치(200)는 통신 채널에 관한 제어 데이터를, 예컨대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디바이스들에 전달할 수 있다. 이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어 데이터 디파이너(202)는 예를 들어, ACK 데이터 및/또는 CQI 데이터와 같은 제어 데이터를 측정하고 형성할 수 있다. 심볼 맵퍼(204)는 전송을 위해 상기 대역폭 내에 상기 제어 데이터를 적절히 위치시키도록 조절(leverage)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적절한 대역폭 위치들은 상기 대역폭 주위에서 홉핑하기 위해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일 특정 예에서, 3GPP LTE는 가용 대역폭의 에지들에 제어 데이터를 위치시킬 수 있고 매 소정 시간 구간마다 홉핑을 요구할 수 있다. 상기 홉핑이 통신 장치(200)에 대해 사용가능한 전송 레이트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심볼 맵퍼(204)는 대역폭의 더 높은 범위 및 더 낮은 범위의 에지들 사이에서 홉핑하도록 상기 제어 데이터를 적절히 매핑시킬 수 있다.
그러나, 통신 장치(200)의 전송 레이트가 상기 홉핑을 위해 필요한 레이트보다 적은 경우, 더 작은 홉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 작은 홉핑은 초기 주파수와는 상이한 주파수에 대한 것일 수 있지만 여전히 제어 데이터에 전용인 초기 에지의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데이터에 대해 사용가능한 각각의 에지에서 3MHz를 가지는(다른 데이터들을 위해 14MHz를 남겨두는) 20MHz 3GPP LTE 네트워크에서, 20MHz 사용가능 통신 장치를 위한 제어 데이터에 대한 최소 홉핑은 실질적으로 14MHz이다. 따라서, 10MHz 사용가능 통신 장치에 대해, 제어 채널이 원래 할당된 대역폭의 3MHz 섹션 내에서 홉핑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최대 홉핑은 실질적으로 3MHz인데, 이는 10MHz 사용가능 통신 장치에 의해 보유될 수 있다. 20MHz 사용가능 통신 장치들은 하나의 에지에서 나머지 다른 에지로의 홉핑을 계속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대역폭은 상기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내에 있는 거의 모든 통신 장치들의 대역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통신 장치들 역시 상기 대역폭의 하나의 에지에서 다른 에지로 홉핑할 수 있다. 심볼 맵퍼(204)는 선택된 홉핑 구조에 따라 제어 데이터를 상기 심볼들에 할당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3GPP LTE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가 상기 네트워크의 대역폭보다 더 적은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는 일부 통신 장치들을 가질 경우, 제어 채널들은 가용 대역폭의 에지들에서 비대칭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비대칭 구조는 네트워크 대역폭에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장치들의 개수 대 통신할 수 없는 통신 장치들의 개수에 따라 비례적으로 특정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예를 사용하여, 20MHz 대역폭의 한쪽 에지에서, 에지 쪽의(edge-most) 2MHz가 제어 데이터를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나머지 다른 에지에서, 에지 쪽의 4MHz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전체 6MHz가 제어 데이터를 위해 주어진다. 일 예에서, 더 적게 사용가능한 통신 장치들(예를 들어, 10MHz 사용가능 통신 장치들)은 소정의 시간 기간 내에서 홉핑하기 위해 4MHz 부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 네트워크 홉핑을 사용할 수 있는 통신 장치들은 2MHz 에지 내에서 홉핑할 수 있다. 심볼 맵퍼(204)는 이러한 홉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 데이터에 대한 주파수 다이버시티는 다수의 스루풋 성능들을 가지는 통신 장치들에 대해 달성된다. 송신기(206)는 심볼 맵퍼(204)에 의해 매핑되는 심볼들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심볼들은 전송 및/또는 매핑되기 전에 인코딩, 변조 등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홉핑에 의해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이루어지는 동안 제어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300)이 예시된다. 시스템(300)은 이동 디바이스(304)(및/또는 임의의 개수의 서로 다른 이동 디바이스들(미도시))와 통신하는 기지국(302)을 포함한다. 기지국(302)은 순방향 링크 채널을 통해 이동 디바이스(304)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기지국(302)은 역방향 링크 채널을 통해 이동 디바이스(304)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더욱이, 시스템(300)은 MIMO 시스템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300)은 OFDMA 무선 네트워크, 3GPP LTE 무선 네트워크 등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302)에서 도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컴포넌트들 및 기능들은 이동 디바이스(304)에서도 역시 존재할 수 있으며, 그 역도 성립하는데, 일 예에서, 도시된 구성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들 컴포넌트들을 배제한다.
기지국(302)은 예컨대, ACK 및/또는 CQI 데이터와 같은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채널들을 부분들을 예비할 수 있는 제어 채널 분할기(306), 포맷 및/또는 홉핑 구조에 따라 상기 제어 채널들로부터의 제어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제어 채널 분석기(308), 및 기지국(302)에서의 사용을 위해 상기 제어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는 디코더(310)를 포함한다. 일 예에 따라, 기지국(302)은 통신을 수신하여 제어 채널 분할기(306)를 조절하여 수신된 통신 내의 제어 데이터 구조를 결정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제어 채널 분석기(308)는 상기 통신으로부터 제어 채널들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디코더(310)는 상기 채널들을 디코딩하여 제어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이동 디바이스(304)는 기지국(302)으로 전송될 제어 데이터, 예컨대 CQI 데이터 및/또는 ACK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제어 데이터 디파이너(312), 전송될 제어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인코더(314), 인코딩된 데이터를 심볼들(또는, 예컨대 OFDM 네트워크 내의 상기 심볼들의 톤들)로 매핑하는 심볼 맵퍼(316)를 포함한다. 심볼들은 기지국(302)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심볼들은 그 포맷 또는 구조에 따라 수신되고 분석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심볼들은 전술된 홉핑 구조들에 따라 심볼 맵퍼(316)에 의해 매핑될 수 있으며, 기지국(302)은 상기 심볼들을 수신하고, 제어 채널 분석기(308)을 사용하여 제어 채널들을 결정하고, 디코더(310)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으며, 상기 디코딩은 전송 이전에 인코더(314)에 의해 수행되는 인코딩에 관련한 것이다.
일 예에서, 이동 디바이스(304)는 기지국(302)과의 통신 채널을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 데이터 통신 정보, 예컨대 통신을 위한 주파수들 및/또는 홉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데이터 통신 정보는, 예를 들어, 기지국(302)으로부터 이동 디바이스(304)로 전송될 수 있고,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될 수 있고, 이동 디바이스(304) 내에서 사전-코딩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이동 디바이스(304) 내에 구성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어 데이터 통신 정보는 기지국(302)에 의해 사용되는 현재 대역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더 큰 대역폭 성능들을 가지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제어 데이터 및 더 낮은 대역폭 성능들을 가지는 이동 디바이스들(304)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규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전술된 바와 같은 3GPP LTE 네트워크 구성에 있어서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명령들은, 일 예로 기지국(302)에 의해 전송되는 경우, 이동 디바이스(304)의 대역폭 성능들의 획득에 기초하여 형성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어 데이터 디파이너(312)는 예를 들어 ACK 또는 CQI 데이터와 같은 제어 데이터를 획득하여 기지국(302)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인코더(314)는 상기 제어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심볼 맵퍼(316)는 수신된 제어 데이터 통신 정보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적절한 주파수 부분에 상기 제어 데이터를 위치시킬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3GPP LTE 네트워크 또는 유사 구성에서, 이는 이동 디바이스(304)의 대역폭 성능들에 기초한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위한 데이터의 홉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디바이스(304)가 대역폭 제약들로 인해 전체 가용 대역폭에 걸쳐 홉핑할 수 없다면, 제어 데이터 통신 정보는 상기 제어 데이터가 대역폭의 한쪽 전용 에지 상의 제어 주파수 내에서 홉핑되어야 함을 특정할 수 있다. 이동 디바이스(304)가 통신 채널의 전체 대역폭을 사용할 능력을 가진다면, 제어 데이터 통신 정보는 대역폭의 한쪽 에지에서 나머지 다른쪽 에지로의 홉핑이 발생할 것임을 특정할 수 있다. 심볼 맵퍼(316)는 다수의 성능들의 이동 디바이스들(304)에 대한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유지하는 홉핑 방식을 적절히 구현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이동 디바이스(304)는 제어 채널을 통해 제어 데이터를 기지국(302)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디바이스(304)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 기지국(302)은 제어 채널 데이터 분할기(306)을 조절함으로써 제어 데이터를 구별하여 상기 대역폭 내의 제어 채널들의 구조를 결정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제어 채널들은 동기적으로 또는 비동기적으로(예를 들어, 네트워크 대역폭 사용불가능 디바이스 대 네트워크 대역폭 사용가능 디바이스들의 비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 채널 분석기(308)는 제어 데이터와 관련한 대역폭의 관련 부분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이동 디바이스(304)로 전송된 규격들에 기초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디코더(310)는 기지국(302)을 통한 추가적인 사용을 위해 제어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데이터는 CQI 데이터이며, 상기 데이터는 필요한 경우 부가 자원들을 통신 채널에 할당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채널들이 주파수의 에지들에 있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디바이스가 사용가 능 대역폭 내에서 로컬로 홉핑하는 동안, 예비된 제어 채널 주파수 혹은 주파수들이 가용 대역폭 내의 실질적으로 어느 곳에나 위치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서로 다른 대역폭 성능들을 가지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홉핑 패턴들을 사용하는 샘플 동기 제어 구조(400)가 예시된다. 제어 구조(400)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대역폭의 에지들을 사용한다. 402 및 404에 있는 4개의 박스들은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대한 제어 채널들을 나타내는데, 디바이스들은 전달 시간 구간(이 예에서는 1.0 ms 임) 내에서 한번 홉핑하며, 전체 대역폭은 20 MHz이며, 402 및 404에서 사용된 제어 채널들은 이 예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대역폭 크기일 수 있다. 실질적으로 임의의 시간 기간 또는 주파수(전체 및/또는 제어 주파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시간 기간들은 동일해질 필요가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홉핑 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3개 이상의 시간 기간들에 대해(예를 들어 전송 시간 구간 내의 하나 초과의 홉) 발생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 사용된 숫자들 및 메트릭(mertic)들은 설명의 목적으로 선택된다.
이 예에서, C, L, F, 및 I라고 라벨링된 디바이스들은 제어 주파수 다이버시티 목적들을 위해 대역폭에 걸친 홉핑하기 위해 충분한 주파수에서 전송할 수 있다. A, B, D, E, G, H, J, 및 K라고 라벨링된 디바이스들은 일부 가드 시간 없이 사용할 수 없지만, 이들 디바이스들은 단일 제어 주파수 에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첫번째 시간 기간에서 두번째 시간 기간까지, 상위 에지(top edge) 제어 주파수에 있는 디바이스들(I 및 L)은 하위(bottom) 에지 제어 주파수로 홉핑하지만, 디바이스들(G 및 H)은 주파수 초과로 홉핑하며, 디바이스들(J 및 K)는 하위 주파수로 홉핑하는데, 그러나 항상 하위 에지로 홉핑하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디바이스들(C 및 F)은 하위 에지로부터 상위 에지로 하나의 시간 기간에서 다음 시간 기간으로 홉핑하는 반면, 디바이스들(A 및 B)은 상위 주파수로 홉핑하지만 항상 상위 에지로 홉핑하는 것은 아니며, 디바이스들 (D 및 E)은 하위 주파수로 홉핑한다. 따라서, 연속적인 시간 기간들동안 상기 디바이스들에 대한 가용 대역폭 내에서 머무르는 동안 상기 이동 디바이스들의 대역폭 성능의 변경 없이 제어 채널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위한 홉핑이 구현된다. 제어 채널들이 주파수의 에지에 있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디바이스들이 사용가능 대역폭 내에서 로컬로 홉핑하는 동안, 예비된 제어 채널 주파수 또는 주파수들이 가용 대역폭 내의 실질적으로 어느 곳에나 위치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10MHz 사용가능 디바이스들에 대해, 제어 채널들을 위해 사용되는 대역폭은, 20MHz 대역폭의 절반 미만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10MHz 미만이다. 따라서, 제어 채널들은 최하위 에지에 있을 필요는 없지만, 이 예에서 상기 디바이스들이 홉핑할 전체 공간이 10MHz 미만인 한 상향 이동(move up)될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대역폭 성능들을 가지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홉핑 패턴들을 사용하는 샘플 비동기 제어 구조(500)가 예시된다. 제어 구조(500)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대역폭의 에지들을 사용한다. 502 및 504에서의 4개의 박스들은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대한 제어 채널들을 나타내는데, 디바이스들은 전송 시간 구간(이 예에서는 1.0 ms임) 내에서 한번 홉핑하고, 전체 대역폭은 20MHz이며, 502 및 504에서의 제어 채널들은 이 예에서 서로 다른 대역폭 크기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충분히 서로 다른 대역폭 성능들을 가지는 디바이스들은 대역폭의 별개의 에지들에 있는 제어 채널들을 가질 수 있다. 실질적으로 임의의 시간 기간 또는 주파수(전체 및/또는 제어 주파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시간 기간들은 동일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홉핑 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초과의 시간 기간들에 걸쳐 발생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전송 시간 기간들 내의 1개 초과의 홉핑), 도면에 사용된 숫자들 및 메트릭들은 설명의 목적으로 선택된다.
이 예에서, C, L, F, 및 I라고 라벨링된 디바이스들은 A, B, D, E, G, H, J, 및 K라고 라벨링된 디바이스들과는 다른 주파수에서 전송할 수 있다. 동일한 클래스로 그룹화된 디바이스들은 대역폭의 단일 에지에서 제어 주파수를 홉핑할 수 있다. 따라서, C, L, F, 및 I 모두는 제 1 시간 기간으로부터 제 2 시간 기간으로 상위 에지 내에서 홉핑하며, A, B, D, E, G, H, J, 및 K는 하위 에지 내에서 홉핑한다. 따라서, 주파수 다이버시티는 제어 채널들을 위해 유지되며, 디바이스들은 용량을 초과하여 홉핑할 필요는 없다. 디바이스 C, L, F, 및 I는 시스템 대역폭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홉핑이 요구됨에 따라 이 예에서의 네트워크에 비해 더 작은 대역폭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상위 주파수 에지가 이 예에서 오직 4개의 디바이스들이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공간을 요구함에 따라, 제어 데이터에 전용인 주파수 영역의 크기는 바닥 주파수보다 더 작을 수 있는데, 이는 8개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공간을 요구한 다. 언급된 바와 같이, 제어 주파수 에지들은 디바이스 성능들을 위해 필요한 크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제어 채널 할당을 위해 3.6 MHz가 요구된다면, 에지들에 있는 채널들은 상기 채널을 사용하는 상기 디바이스들에 비례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하위 에지에서 유사하게 사용가능한 디바이스들보다 2배 많이 존재하므로, 2배의 대역폭(또는 2.4 MHz)이 상기 하위 에지에 할당될 수 있고, 나머지(1.2 MHz)가 상위 에지에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숫자들은 단지 예일 뿐이며, 실질적으로 임의의 수 또는 크기의 주파수, 할당 등이 이러한 점에서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6-7을 참고하면, 서로 다른 대역폭 성능들을 가지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들을 위해 제어 채널 홉핑을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방법들이 예시된다. 단순한 설명의 목적들로, 상기 방법들은 일련의 작용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라, 몇몇 작용들이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는 다른 순서로 및/또는 다른 작용들과 동시에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방법들이 상기 작용들의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방법이 일련의 상호관련된 상태들 또는 이벤트들로서, 예컨대 상태도에 대안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예시된 모든 작용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비-인접 주파수들에서 제어 채널들 사이에서 홉핑하기 위해 필요한 것보다 적어도 더 적은 스루풋 또는 사용되는 네트워크 대역폭보다 더 낮은 스루풋을 가지는 디바이스에 대한 홉핑 패턴에 따른 제어 데이터의 전송을 용 이하게 하는 방법(600)이 예시된다. 602에서, 제어 주파수 블록에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과 관련된 규격이 수신된다. 상기 규격은 관련 디바이스, 사전구성된 소스, 네트워크 통신에 대한 파티(party),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이루어진 혹은 다른 디바이스에 관한 추론 등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소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604에서, 제어 데이터는, 예를 들어, 상기 제어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제어 주파수 블록의 하나 이상의 심볼들로 매핑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블록은 가용 주파수의 한쪽 에지에 있을 수 있다.
606에서, 제어 채널에 대한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기 위해 제어 블록 내에서 로컬로 홉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어 채널 내에서의 홉핑은, 일 예에서 더 낮은 대역폭 성능을 가지는 디바이스가 가용 대역폭의 다른 에지로 홉핑하는 것을 요구한다기보다는, 상기 홉핑을 수행하도록 한다(예를 들어, 3GPP LTE). 608에서, 제어 데이터는 홉핑이 제어 주파수 블록 내에서 이루어졌던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심볼들로 매핑될 수 있다. 사용가능 디바이스들은 대역폭의 에지들로 그리고 상기 대역폭의 에지들로부터 홉핑할 수 있는 반면 비-사용가능 디바이스들은 소정 블록 내에서 홉핑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비-사용가능 디바이스들은 소정 에지에 비례적으로 혹은 다른 방식으로 분배될 수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서로 다른 홉핑 패턴들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을 가지고 제어 채널들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해석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700)이 예시된다. 702에서, 제어 데이터 채널들은, 예를 들어, 대역폭 내에서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수신된다. 일 예에서, 제어 데이터 채널들은 대역폭의 상위 및 하위 에지에 있으며, 이들의 특정 길이에 걸쳐 있다. 704에서, 제어 정보가 검색되는 디바이스가 시스템-대역폭 사용가능 디바이스인지의 여부(예를 들어, 상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와 적어도 동일한 레벨로 전송되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그러하다면, 제어 데이터를 706에서 전송할 때,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주파수 블록들로 홉핑하도록 결정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제어 데이터를 708에서 전송할 때 디바이스는 단일 주파수 블록 내에서 홉핑하도록 결정된다. 이러한 정보를 사용하여, 관련 제어 데이터 채널은 710에서 홉핑에 기초하여 위치될 수 있다. 712에서, 예를 들어 제어 데이터가 결정되고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설명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에 의한 제어 채널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홉핑 패턴을 결정하는 것과 관련하여 추론이 생성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추론하다" 또는 "추론"은 일반적으로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를 통해 포착되는 바와 같이 일련의 관측들로부터의 시스템, 환경, 및/또는 사용자의 추론 상태들 또는 상기 시스템, 환경, 및/또는 사용자에 대한 추론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추론은 특정 상황(context) 또는 작용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상태들에 대한 확률 분포를 생성할 수 있다. 추론은 확률론적일 수 있는데, 다시 말해, 상기 추론은 데이터 및 이벤트들의 고려에 기초하여 관심 대상인 상태들에 대한 확률의 계산이다. 또한 추론은 일련의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로부터 더 높은 레벨의 이벤트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들을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추론은, 이벤트들이 시간적으로 근접하게 상관되든 아니든, 그리고 상기 이 벤트들 및 데이터가 하나의 이벤트 및 데이터 소스들로부터 유래되든 여러 개의 이벤트 및 데이터 소스들로부터 유래되든 간에, 일련의 관측된 이벤트들 및/또는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로부터 새로운 이벤트들 또는 작용들의 구성을 초래한다.
일 예에 따라, 위에서 제시된 하나 이상의 방법들은 예를 들어, 전용 주파수 내에서 홉핑하든 혹은 전용 주파수들에 걸쳐 홉핑하든, 홉핑 패턴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추론들의 수행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로써, 전용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적절하게 수신하기 위해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홉핑 패턴의 결정에 대한 추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하나 이상의 홉핑 패턴들에 따른 제어 데이터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이동 디바이스(800)의 예시이다. 이동 디바이스(800)는 예를 들어, 수신 안테나(미도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통상적인 동작들(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하향변환 등)을 수행하고,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획득하는 수신기(802)를 포함한다. 수신기(802)는 수신된 심볼들을 복조하고, 채널 추정을 위해 이들을 프로세서(806)에 제공할 수 있는 복조기(8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06)는 수신기(802)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의 분석 및/또는 송신기(816)에 의한 전송을 위한 정보의 생성에 전용인 프로세서, 이동 디바이스(8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또는 수신기(802)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고, 송신기(816)에 의한 전송을 위한 정보를 생성하고, 이동 디바이스(8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이동 디바이스(800)는 프로세서(806)에 동작상으로 연결되고, 전송될 데이 터, 수신된 데이터, 가용 채널들에 관련된 정보, 분석된 신호 및/또는 간섭 강도와 관련된 데이터, 할당된 채널, 전력, 레이트 등과 관련된 정보, 및 채널을 추정하고 상기 채널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808)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08)는 채널의 추정 및/또는 사용과 관련된 알고리즘들 및/또는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성능 기반, 용량 기반, 등)을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데이터 저장소(예를 들어, 메모리(808))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모두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써,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램가능 메모리(PROM), 전기적 프로그램가능 메모리(EPROM), 전기적 소거가능 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서 동작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써, RAM은 예컨대, 동기 RAM (SRAM), 동적 RAM (DRAM), 동기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SDRAM (DDR SDRAM), 개선형 SDRAM (ESDRAM), 싱크링크 DRAM (SLDRAM), 및 직접 램버스 RAM (DRRAM)과 같은 많은 형태들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메모리(808)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절한 타입들의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의도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806)는, 예를 들어,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 데이터 디파이너(810) 및 상기 제어 데이터를 홉핑 패턴에 따라 심볼들로 매핑시킬 수 있는 제어 심볼 맵퍼(812)와 동작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어 데 이터 디파이너(810)는 이동 디바이스(800)(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디바이스로 전송할 제어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데이터는 ACK 및/또는 CQI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컴포넌트들, 프로세서(806) 등으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데이터가 정의되면, 제어 심볼 맵퍼(812)는 상기 데이터를 심볼들 또는 제어 데이터에 전용인 주파수 부분들로 적절히 매핑시키도록 예를 들어 프로세서(806)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는 홉핑 패턴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홉핑 패턴에 의해 데이터는 소정 시간 기간들 동안 다른 제어 주파수를 통해 전송된다. 예를 들어, 이동 디바이스(800)가 시스템 대역폭 레벨로 통신할 수 있는 경우, 홉핑은 다수의 전용 제어 주파수 블록들에 걸쳐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 디바이스(800)에 주파수 블록 홉핑을 수행할 대역폭이 부족할 경우, 제어 심볼 맵퍼(812)는 주파수 블록 내에서 상이한 주파수로 홉핑할 수 있으며 다른 주파수 내의 심볼들로 데이터를 매핑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주파수 다이버시티는 제어 데이터를 위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언급된 바와 같이, 제어 데이터 홉핑 패턴 정의는 대역폭 성능들에 기초하여 이동 디바이스(800)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이동 디바이스(800)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서 하드-코딩(hard-coded)될 수 있으며, 별개의 디바이스, 예컨대 기지국 또는 다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 등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이동 디바이스(800)는 예를 들어, 각각 신호를 변조하고 기지국, 또 다른 이동 디바이스 등으로 전송하는 변조기(814) 및 송신기(816)를 추가로 포함한다. 프로세서(806)와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제어 데이터 디파이너(810), 제어 심볼 맵퍼(812), 복조기(804) 및/또는 변조기(814)는 프로세서(806)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미도시)의 일부분일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9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홉핑 패턴에 따라 해석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900)의 일 예시이다. 상기 시스템(900)은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906)을 통해 하나 이상의 이동 디바이스들(904)로부터 신호(들)를 수신하는 수신기(910), 및 송신 안테나(908)를 통해 하나 이상의 이동 디바이스들(904)로 전송하는 송신기(924)를 가지는 기지국(902)(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을 포함한다. 수신기(910)는 수신 안테나들(906)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를 복조하는 복조기(912)와 동작상으로 연결된다. 복조된 심볼들은 도 8과 관련하여 전술된 프로세서와 유사할 수 있는 프로세서(914)에 의해 분석되며, 상기 프로세서(914)는 신호(예를 들어, 파일럿) 강도 및/또는 간섭 강도의 추정과 관련된 정보, 이동 디바이스(들)(904)로부터 전송될 혹은 이동 디바이스(들)(904)로 수신될 데이터, 및/또는 여기서 설명된 다양한 작용들 및 기능들의 수행과 관련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916)에 연결된다. 프로세서(914)는 제어 데이터를 위해 예비된 통신 채널들의 부분들을 결정하는 제어 채널 분할기(918) 및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과 제어 데이터를 구별할 수 있는 제어 채널 분석기(920)에 추가로 연결된다.
일 예에 따라, 제어 채널 분할기(918)는 제어 데이터 통신을 위해 예비된 대역폭 부분들을 특정할 수 있으며, 이들은 (예컨대 3GPP LTE 구성에서) 상기 대역폭의 에지들 혹은 실질적으로 대역폭 내의 임의의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부분 들은 서로 다른 디바이스들 또는 네트워크 컴포넌트들 등으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규격들, 하드-코딩된 규격들에 기초하여 특정될 수 있다. 후속적으로, 제어 채널 분석기(920)는 이동 디바이스들(904)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에 의해 송신된 전송들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어 채널 분석기(920)는 제어 채널 분할기(918)에 의해 생성된 규격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이동 디바이스들(904)에 대한 홉핑 패턴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홉핑 패턴들은 통신 채널들을 설정할 때 이동 디바이스들(904) 또는 기지국(902)에 의해 특정될 수 있거나 혹은 기지국(902) 내에서 사전-코딩되거나 구성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홉핑 패턴은 적어도 여기서 설명된 것일 수 있다. 통신에서 사용되는 홉핑 패턴을 구별할 때, 제어 채널 분석기(920)는 통신 채널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적절하게 검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비록 프로세서(914)와 분리된 것으로서 도시되지만, 제어 채널 분할기(918), 제어 채널 분석기(920), 복조기(912), 및/또는 변조기(922)는 프로세서(914)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미도시)의 일부분일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0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00)을 도시한다. 간략함을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1000)은 하나의 기지국(1010) 및 하나의 이동 디바이스(1050)를 도시한다. 그러나, 시스템(1000)이 둘 이상의 기지국 및/또는 둘 이상의 이동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추가적인 기지국들 및/또는 이동 디바이스들은 아래에 설명되는 예시적인 기지국(1010) 및 이동 디바이스(105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지국(1010) 및/또는 이동 디바이 스(1050)는 이들 간의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여기에 설명된 시스템들(도 1-3 및 8-9), 기법들/구성들(도 4-5) 및/또는 방법들(도 6-7)을 채택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기지국(10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1012)로부터 전송(TX) 데이터 프로세서(1014)로 제공된다. 일 예에 따라,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각각의 안테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1014)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위해 선택된 특정 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트래픽 데이터 스트림을 포맷하고 코딩하고 인터리빙하여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기법들을 사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에 의해 다중화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파일럿 심볼들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시분할 다중화(TDM), 혹은 코드 분할 다중화(CDM)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공지된 방식으로 처리되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데이터 패턴이며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 이동 디바이스(1050)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코딩된 데이터 및 다중화된 파일럿은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위해 선택된 특정 변조 방식(예를 들어, 이진 위상 편이 변조(BPSK), 직교 위상 편이 변조(QPSK), M-위상 편이 변조(M-PSK), M-직교 진폭 변조(M-QAM) 등)에 기초하여 변조되어 변조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1030)에 의해 제공되거나 수행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은 TX MIMO 프로세서(1020)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TX MIMO 프로세서(1020)는 변조 심볼들을 추가로 (예를 들어 OFDM에 대해) 처리할 수 있다. 이후 TX MIMO 프로세서(1020)는 NT개의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NT개의 송신기들(TMTR)(1022a 내지 1022t)로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TX MIMO 프로세서(1020)는 빔형성 가중치들을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에, 그리고 심볼을 전송하고 있는 안테나들에 적용할 수 있다.
각각의 송신기(1022)는 개별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고 처리하여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며, 상기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로 조정(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하여 MIMO 채널을 통한 전송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송신기들(1022a 내지 1022t)로부터의 NT개의 변조된 신호들은 NT개의 안테나들(1024a 내지 1024t)로부터 각각 전송된다.
이동 디바이스(1050)에서, 전송된 변조된 신호들은 NR개의 안테나들(1052a 내지 1052r)에 의해 수신되고, 각각의 안테나(1052)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개별 수신기(RCVR) (1054a 내지 1054r)로 제공된다. 각각의 수신기(1054)는 개별 신호를 조정(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하향변환)하고,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제공하며, 상기 샘플들을 추가로 처리하여 대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060)는 특정 수신기 처리 기법에 기초하여 NR개의 수신기들(1054)로부터 NR개의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하고 처리하여 NT개의 "검출 된"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060)는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하고, 디인터리빙하고, 디코딩하여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시킬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060)에 의한 처리는 기지국(1010)에서 TX MIMO 프로세서(10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1014)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는 상보적이다.
프로세서(107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어느 사전 코딩 행렬을 사용할지를 주기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70)는 행렬 인덱스 부분 및 랭크(rank) 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형성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 및/또는 통신 링크에 관한 다양한 타입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TX 데이터 프로세서(1038)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데, 상기 TX 데이터 프로세서(1038) 역시, 변조기(1080)에 의해 변조되고, 송신기들(1054a 내지 1054r)에 의해 조정되고, 기지국(1010)으로 다시 전송될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데이터 소스(1036)로부터 수신한다.
기지국(1010)에서, 이동 디바이스(1050)로부터 변조된 신호들은 안테나들(102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들(1022)에 의해 조정되고, 복조기(1040)에 의해 복조되고, RX 데이터 프로세서(1042)에 의해 처리되어 이동 디바이스(1050)에 의해 전송된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한다. 또한, 프로세서(1030)는 어느 사전코딩 행렬을 빔 형성 가중치들을 결정하는데 사용할지 결정하기 위해 상기 추출된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1030 및 1070)는 각각 기지국(1010) 및 이동 디바이스(1050)에서의 동작을 지시(예를 들어, 제어, 조정, 관리 등)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세서들(1030 및 1070)은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032 및 1072)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들(1030 및 1070)은 각각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한 주파수 및 임펄스 응답 추정치들을 유도하기 위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하드웨어 구현을 위해, 처리 유닛들은 주문형 집적 회로들(ASIC), 디지털 신호 처리기들(DSP), 디지털 신호 처리 디바이스들(DSPD),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PGA),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혹은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혹은 마이크로 코드, 프로그램 코드 혹은 코드 세그먼트들로 구현되는 경우, 이들은 예컨대 저장소 컴포넌트와 같은 기계-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프로시저, 함수,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클래스, 또는 명령들, 데이터 구조들, 또는 프로그램 선언문들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정보, 데이터, 독립변수들(argument), 파라미터들, 또는 메모리 콘텐츠를 전달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다른 코드 세그먼트 혹은 하드웨어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정보, 독립변수들, 파라미터들,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전달, 토큰 전달, 네트워크 전송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전달, 포워딩, 혹은 전송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을 위해, 여기 설명된 기법들은 여기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를 들어, 프로시저들, 함수들 등)로써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들 내부에 저장되고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에서 혹은 프로세서 외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어느 경우든, 상기 메모리 유닛은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홉핑 패턴에 따른 제어 데이터 사용을 위해 사전할당된 주파수들로 제어 데이터를 매핑시키는 시스템(1100)이 예시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1100)은 기지국, 이동 디바이스 등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시스템(1100)은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상기 기능 블록들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일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시스템(1100)은 관련하여 작용할 수 있는 전기 컴포넌트들의 논리적 그룹화(110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논리적 그룹화(1102)는 제어 데이터에서 사용하기 위해 사전할당된 사용가능 주파수들의 다수의 부분들 중 하나로 제어 데이터를 매핑시키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1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파수 부분들은 가용 대역폭 전체에 걸쳐 특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GPP LTE 구성은 제어 데이터에 대해 사용가능한 대역폭의 에지들을 예비한다. 전체 대역폭을 통해 전송할 수 없는 디바이스 들에 대해, 하나의 에지로부터 다른 에지로의 홉핑은 일부 가드 시간 없이는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논리적 그룹화(1102)는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기 위해 부가적인 제어 데이터를 매핑시키도록 사용가능한 주파수의 부분 내에서 홉핑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10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된 3GPP LTE 구성에서, 제어 데이터 주파수를 위해 예비된 한쪽 에지로부터 나머지 다른쪽 에지로 홉핑할 수 없는 디바이스들에 대해서는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유지하기 위해 단일 에지 내에서 홉핑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가능 디바이스들이 대역폭의 에지들에 걸쳐 홉핑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시스템(1100)은 전기 컴포넌트들(1104 및 1106)과 연관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1108)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8)에 대해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전기 컴포넌트들(1104 및 1106) 중 하나 이상은 메모리(1108) 내부에 존재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홉핑 패턴들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석하는 시스템(1200)이 예시된다. 시스템(1200)은 예를 들어, 기지국, 이동 디바이스 등 내에 상주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200)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낼 수 있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한다. 시스템(1200)은 제어 데이터의 수신 및 해석을 용이하게 하는 전기 컴포넌트들의 논리적 그룹화(1202)를 포함한다. 논리적 그룹화(1202)는 디바이스에 관한 대역폭 성능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20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 이스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대역폭에 대해 평가되고 비교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더 적은 대역폭 성능들을 가지는 디바이스들에는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유지하기 위해 더 짧은 홉들을 가지는 홉핑 패턴들이 할당될 수 있다. 더욱이, 논리적 그룹화(1202)는 대역폭 성능 정보(120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홉핑 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2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홉핑 패턴들은 전술된 바와 같이 대역폭 내에서의 차에 기초하여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통신을 위해 다른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에 의해 사용되는 것보다 더 낮은 대역폭 성능을 가지는 경우, 다수의 주파수 블록들을 통해서가 아닌, 제어 채널들을 위해 예비된 단일 주파수 블록 내에서 홉핑이 발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논리적 그룹화(1202)는 결정된 홉핑 패턴(1208)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신호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용되는 통신 채널로 부가적인 자원들을 할당하기 위해서, 등 그 사용을 위해 분석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1200)은 전기 컴포넌트들(1204, 1206, 및 1208)과 연관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121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10)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전기 컴포넌트들(1204,1206, 및 1208)은 메모리(1210) 내부에 존재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된 내용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예들을 포함한다. 물론, 전술된 실시예들을 설명할 목적으로 컴포넌트들 또는 방법들의 모든 구현가능한 조합을 기술 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지만, 당업자라면 다양한 실시예들의 많은 다른 부가적인 조합들 또는 치환들이 가능함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이러한 대안들, 수정들, 변형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추가적으로, 용어 "포함하다(include)"가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범위에 대해, 이러한 용어는 청구항에서 과도기적(transitional) 단어로서 사용될 때의 용어 "구성하다(comprising)"가 해석되는 바와 같이 상기 용어 "구성하다"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함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47)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홉핑 패턴에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를 위해 예비된 대역폭의 일부분으로 상기 제어 데이터를 매핑시키는 단계 ? 상기 홉핑 패턴은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가용 대역폭 및 제 1 디바이스의 가용 대역폭의 함수임 ? ; 및
    상기 홉핑 패턴에 따라 제 2 디바이스로 상기 매핑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가용 대역폭은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가용 대역폭보다 크고, 상기 제어 데이터에 대한 상기 홉핑 패턴은 상기 제어 데이터가 매핑되었던 대역폭의 일부분 내에서의 홉핑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의 일부분은 시스템 대역폭의 제 1 에지(edge)에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의 제 1 부분은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전-할당된 대역폭의 2개의 에지들 중 하나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의 2개의 에지들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가용 대역폭은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가용 대역폭보다 크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어 데이터에 대한 홉핑 패턴은 상기 제어 데이터가 매핑되었던 상기 대역폭의 일부분으로부터 상기 대역폭의 다른 부분으로의 홉핑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이동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기지국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확인응답(ACK) 및/또는 채널 품질(CQI)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가용 대역폭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가용 대역폭에 기초하여 상기 홉핑 패턴을 추론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10. 무선 통신 장치로서,
    홉핑 패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를 위해 예비된 다수의 주파수 블록들을 가지는 대역폭의 심볼들로 상기 제어 데이터를 매핑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 상기 홉핑 패턴은 하나의 시간 기간에 대한 상기 다수의 주파수 블록들 중 하나 내에 있는 홉핑 주파수들을 포함함 ?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위해 예비된 주파수 블록들은 시스템 대역폭의 각각의 에지에 있는,
    무선 통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블록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인,
    무선 통신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대역폭 사용가능 디바이스들은 하나의 주파수의 에지에 있는 제어 데이터를 위해 예비된 하나의 주파수 블록으로부터 다른 주파수 블록으로 홉핑하는 다른 홉핑 패턴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홉핑 패턴에 따라 상기 매핑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확인응답(ACK) 및/또는 채널 품질(CQI)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가용 대역폭 및 사용되는 통신 채널의 가용 대역폭에 기초하여 상기 홉핑 패턴을 추론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7. 홉핑 패턴에 따라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제어 데이터에서 사용하기 위해 사전-할당된 가용 주파수의 다수의 부분들 중 하나로 제어 데이터를 매핑시키기 위한 수단; 및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기 위해 부가적인 제어 데이터를 매핑시키기 위해 가용 주파수의 일부분 내에서 홉핑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어 데이터에서 사용하기 위해 사전-할당된 가용 주파수의 다수의 부분들은 연관된 대역폭의 에지 들에 존재하는,
    무선 통신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대역폭-사용가능 무선 통신 장치들은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대역폭의 한 에지로부터 나머지 다른 에지로 홉핑하는,
    무선 통신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주파수들의 부분들의 크기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무선 통신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확인응답(ACK) 및/또는 채널 품질(CQI)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3.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홉핑 패턴에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를 위해 예비된 대역폭의 일부분으로 상기 제어 데이터를 매핑시키도록 하기 위한 코드 ? 상기 홉핑 패턴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가용 대역폭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가용 대역폭의 함수임 ?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홉핑 패턴에 따라 제 2 디바이스로 상기 매핑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가용 대역폭은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가용 대역폭보다 크고, 상기 제어 데이터를 위한 상기 홉핑 패턴은 상기 제어 데이터가 매핑되는 상기 대역폭의 일부분 내에서의 홉핑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5. 무선 통신 장치로서,
    제어 데이터에서 사용하기 위해 사전-할당된 가용 주파수의 다수의 부분들 중 하나로 제어 데이터를 매핑시키고, 그리고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기 위해 부가적인 제어 데이터를 매핑시키도록 상기 가용 주파수의 부분 내에서 홉핑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6. 서로 다른 홉핑 패턴들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예비된 다수의 주파수 블록들을 가지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대역폭 성능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데이터 홉핑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홉핑 패턴에 따라 상기 제어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홉핑 패턴은 소정 시간 기간들 동안 상기 다수의 주파수 블록들 중 하나 내에서의 홉핑 또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블록들에 걸친 홉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 블록들 중 하나 내에서의 홉핑은 상기 다수의 주파수 블록들에 걸쳐 홉핑하기 위해 대역폭 성능이 부족한 디바이스들에 대한 홉핑 패턴을 위해 선택되는,
    제어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대역폭 성능들에 의해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디바이스들을 그룹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그룹은 상기 다수의 주파수 블록들 중 서로 다른 주파수 블록 내에서 홉핑하는,
    제어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주파수 블록들은 상기 그룹 내의 디바이스들의 실제 개수에 따라 혹은 상기 그룹 내의 디바이스들의 예측되는 개수에 따라 크기가 정해지는(size),
    제어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신호의 각각의 에지에 위치하는 제어 데이터에 전용인 주파수 블록들을 가지는,
    제어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32. 무선 통신 장치로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예비된 주파수 블록들을 가지는 신호를 통해 다수의 디바이스들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 상기 제어 데이터는 디바이스 대역폭 성능들에 기초하여 다수의 홉핑 패턴들 중 하나를 사용함 ?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홉핑 패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제어 데이터를 해석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홉핑 패턴은 소정 시간 기간들 동안 예비된 주파수 블록들 중 하나 내에서의 홉핑 또는 상기 예비된 주파수 블록들에 걸친 홉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된 주파수 블록들 중 하나 내에서의 홉핑은 상기 예비된 주파수 블록들에 걸쳐 홉핑하는 대역폭 성능이 부족한 디바이스들에 대한 홉핑 패턴으로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 장치.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대역폭 성능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들을 그룹화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그룹은 상기 예비된 주파수 블록들 중 서로 다른 주파수 블록 내에서 홉핑하는 홉핑 패턴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된 주파수 블록들은 개별 그룹 내의 디바이스들의 실제 개수 또는 상기 개별 그룹 내의 디바이스들의 예측된 개수에 따라 크기가 정해지는,
    무선 통신 장치.
  38.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신호의 각각의 에지에 위치된 제어 데이터에 전용인 상기 예비된 주파수 블록들을 가지는,
    무선 통신 장치.
  39. 다양한 홉핑 패턴들을 사용하는 제어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로서,
    디바이스에 관한 대역폭 성능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대역폭 성능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홉핑 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결정된 홉핑 패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신호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홉핑 패턴은 소정의 시간 기간들 내에서의 신호의 다수의 주파수 블록들 중 하나 내의 홉핑 또는 제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예비된 상기 다수의 주파수 블록들에 걸친 홉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주파수 블록들 중 하나 내에서의 홉핑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대역폭 성능보다 더 낮은 대역폭 성능을 가지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홉핑 패턴을 위해 선택되는,
    무선 통신 장치.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성능 정보에 의해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과 상기 디바이스를 그룹화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그룹은 상기 다수의 주파수 블록들 중에서, 다른 디바이스들 그룹들과는 다른 별개의 주파수 블록 내에서 홉핑하는,
    무선 통신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주파수 블록들은 개별 그룹 내의 디바이스들의 실제 개수 또는 개별 그룹 내의 디바이스들의 예측된 개수에 따라 크기가 정해지는,
    무선 통신 장치.
  44.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신호의 각각의 에지에 위치된 제어 데이터에 전용인 주파수 블록들을 가지는,
    무선 통신 장치.
  45.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제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예비된 다수의 주파수 블록들을 가지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디바이스의 대역폭 성능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데이터 홉핑 패턴을 결정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결정된 홉핑 패턴에 따라 상기 제어 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홉핑 패턴은 소정 시간 기간들 동안 상기 다수의 주파수 블록들 중 하나 내에서의 홉핑 또는 상기 다수의 주파수 블록들에 걸친 홉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47. 무선 통신 장치로서,
    디바이스에 관한 대역폭 성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대역폭 성능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홉핑 패턴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된 홉핑 패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해석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1020097016998A 2007-01-17 2008-01-17 제어 채널들을 위한 홉핑 구조 KR101135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885,393 2007-01-17
US60/888,459 2007-02-06
US12/015,422 2008-01-16
PCT/US2008/051371 WO2008089369A2 (en) 2007-01-17 2008-01-17 Hopping structure for control chann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351A KR20090110351A (ko) 2009-10-21
KR101135748B1 true KR101135748B1 (ko) 2012-04-16

Family

ID=4153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6998A KR101135748B1 (ko) 2007-01-17 2008-01-17 제어 채널들을 위한 홉핑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7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33262A1 (en) 2004-12-22 2006-06-22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channel assign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060223449A1 (en) 2005-04-01 2006-10-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channel signal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33262A1 (en) 2004-12-22 2006-06-22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channel assign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060223449A1 (en) 2005-04-01 2006-10-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channel signa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351A (ko)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06140B2 (en) Hopping structure for control channels
KR101060778B1 (ko) 무선 통신들에서의 제어 채널 시그널링
CA2689432C (en) Control channel format indicator frequency mapping
CN101861755B (zh) 无线通信信道削减
KR101076158B1 (ko) 하이브리드 파일럿 모드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091897B2 (ja) 無線通信においてバンドルされた周波数分割多重構造
JP5372947B2 (ja) ランダムな再使用に基づいた制御チャネル
KR101135748B1 (ko) 제어 채널들을 위한 홉핑 구조
NZ581518A (en) Generating and transmitting control channel format indicator frequency map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