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259B1 -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시트 위치 자동 기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시트 위치 자동 기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259B1
KR101135259B1 KR1020100007384A KR20100007384A KR101135259B1 KR 101135259 B1 KR101135259 B1 KR 101135259B1 KR 1020100007384 A KR1020100007384 A KR 1020100007384A KR 20100007384 A KR20100007384 A KR 20100007384A KR 101135259 B1 KR101135259 B1 KR 101135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tate information
sheet
information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7790A (ko
Inventor
오운섭
사공영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7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259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4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in combination with seat he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66Displaying or indicating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동시트 위치 기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안전벨트 착용한 상태에서 시동을 건 경우, 전동 시트가 탑승자에게 최적의 상태로 조절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때의 전동시트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시트 위치 자동 기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복수의 메모리 버튼들을 구비하는 입력부와, 시트 상태정보와 상기 시트 상태정보와 맵핑되는 메모리 버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차량의 시동 여부를 검출하는 시동 검출부와, 안전벨트 버클이 버클 홀더에 삽입되는지를 검출하는 버클 삽입 검출부와, 전동시트의 현재 상태를 측정하여 시트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시트 상태 검출부와, 상기 버클 삽입 검출부를 통해 안전벨트 버클의 삽입에 의한 안전벨트 착용 검출 후 상기 시동 검출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시동이 검출되면 상기 시트 상태 검출부에 검출된 시트 상태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시트상태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면 상기 측정된 시트 상태정보에 메모리 버튼을 지정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시트 위치 자동 기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MEMORIZING LOCATION OF ELECTRIC MOTION SEAT BY SEAT BELT PLUG ON}
본 발명은 차량의 전동시트 위치 기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시동을 건 경우, 전동 시트가 탑승자에게 최적의 상태로 조절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때의 전동시트의 위치 정보를 상기 탑승자의 시트 위치 정보로서 등록하는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시트 위치 자동 기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과 전자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자동차 산업과 전자산업이 결합됨에 따라 자동차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 및 편의를 위한 다양한 전자장치들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이런 전자장치로는 전동시트와 전동시트 위치 기억 장치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동시트는 운전석 시트와 보조석 시트에 적용되며,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 및 보조석에 탑승한 탑승자(이하 전동시트에 앉은 운전자와 탑승자를 통칭하여 "탑승자"라 한다)가 시트의 상태, 즉 시트 위치, 시트 등받이 기울기 및 시트 쿠션의 높이를 일일이 수동 레버와 몸을 이용하여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탑승자가 시트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시트의 위치, 시트 등받이 기울기 및 시트 쿠션의 높이를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그러나 전동시트도 차량에 탑승하는 탑승자가 바뀔 때마다 시트 상태가 바뀌므로 차량 탑승 시 마다 해당 탑승자는 버튼을 일일이 눌러가며 시트 위치, 등받이 기울기 및 쿠션 높이를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개발된 것이 전동시트 위치 기억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시트 위치 기억 장치는 탑승자가 가장 편하게 느끼는 시트 위치, 시트 등받이 기울기 및 시트 쿠션 높이 등과 같은 시트 상태정보를 미리 입력받아 특정 메모리 버튼에 대응하여 저장하였다가 추후 상기 메모리 버튼에 시트상태를 등록해 놓은 탑승자가 상기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버튼에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던 시트상태 정보에 대응하여 시트 위치, 시트 등받이 기울기 및 시트 쿠션의 높이를 자동 조절하여 주는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 전동시트 위치 기억장치 또한, 초기 시트 상태정보를 등록해야 하는 불편함 등으로 인해 이용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보조석 시트에 탑승하는 탑승자는 빈번하게 바뀌므로 전동시트 위치 기억장치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전동시트 위치 기억장치의 이용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탑승자들이 전동시트 위치 기억장치를 차량의 불필요한 장치로 인식할 수 있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시동을 건 경우, 전동 시트가 탑승자에게 최적의 상태로 조절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때의 전동시트의 위치 정보를 상기 탑승자의 시트 위치 정보로서 등록하는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시트 위치 자동 기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시트 위치 자동 기억 장치는; 복수의 메모리 버튼들을 구비하는 입력부와, 시트 상태정보와 상기 시트 상태정보와 맵핑되는 메모리 버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차량의 시동 여부를 검출하는 시동 검출부와, 안전벨트 버클이 버클 홀더에 삽입되는지를 검출하는 버클 삽입 검출부와, 전동시트의 현재 상태를 측정하여 시트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시트 상태 검출부와, 상기 버클 삽입 검출부를 통해 안전벨트 버클의 삽입에 의한 안전벨트 착용 검출 후 상기 시동 검출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시동이 검출되면 상기 시트 상태 검출부에 검출된 시트 상태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시트상태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면 상기 측정된 시트 상태정보에 메모리 버튼을 지정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시트 상태정보에 메모리 버튼을 지정하여 저장 시 등록 시트 상태정보에 지정되지 않은 메모리 버튼을 지정하여 상기 측정된 시트 상태정보에 맵핑하여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지정되지 않은 메모리 버튼이 없으면 이전에 지정된 메모리 버튼들 중 임의의 하나를 지정하고, 지정된 메모리 버튼에 맵핑된 등록 시트 상태정보에 상기 측정된 시트 상태정보를 덮어 씌워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 상태정보는 시트 위치 정보, 시트 등받이 기울기 정보 및 시트 쿠션 높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시트 위치 자동 기억 방법은;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 시트 위치 자동 기억 방법에 있어서,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는지를 검사하는 안전벨트 착용 검사 과정과, 탑승자가 안전벨트 착용 후 시동을 거는지를 검사하는 시동 검사 과정과, 시동이 걸리면 현재 시트의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시트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시트상태 측정 과정과, 측정된 시트 상태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등록 시트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시트 상태정보 변경 판단 과정과, 측정 시트 상태정보와 등록 시트 상태정보가 다르면 측정 시트 상태정보를 메모리 버튼에 맵핑하여 등록하는 시트정보 등록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 상태 정보 등록 과정은, 측정 시트 상태정보와 등록 시트 상태정보가 다르면 등록 시트 상태정보가 지정되지 않은 메모리 버튼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미지정 메모리 버튼 검색 단계와, 미지정 메모리 버튼이 있으면 상기 측정된 시트 상태정보에 상기 미지정 메모리 버튼을 지정하여 등록하는 시트 상태정보 등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정 메모리 버튼이 없으면 이전에 지정된 메모리 버튼 중 임의의 메모리 버튼을 지정하고, 상기 메모리 버튼과 맵핑되어 저장되어 있던 등록 시트 상태정보에 상기 측정된 시트 상태정보를 덮어 씌워 등록하는 갱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시트 위치를 등록시킬 수 있으므로 탑승자가 별도의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자신에게 맞는 시트 위치를 등록할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탑승자가 쉽게 시트의 위치를 등록할 수 있으므로 전동시트 위치 기억장치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시트 위치 기억 장치의 필요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 시트 위치 자동 기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 시트 위치 자동 기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 시트 위치 자동 기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시트 위치 자동 기억 장치의 구성 및 전동시트 위치 자동 기억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 시트 위치 자동 기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 시트 위치 자동 기억 장치는 제어부(10)와 저장부(20)와 입력부(30)와 표시부(35)와 시동 검출부(40)와 버클 삽입 검출부(50)와 시트 상태 검출부(60)와 시트 상태 조절부(70)를 포함한다.
저장부(20)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시트 위치 자동 기억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영역과,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과, 메모리 버튼에 맵핑되어 시트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영역을 포함한다.
입력부(30)는 시트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시트 이동 버튼, 등받이 기울기 조절 버튼, 시트 쿠션 높이 조절 버튼 및 복수의 메모리 버튼들을 구비하고, 탑승자에 의해 눌려진 버튼에 대한 버튼 신호를 제어부(10)로 출력한다.
표시부(35)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현재 시트상태가 등록된 메모리 버튼 정보 또는 현재 등록중인 메모리 버튼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또는 발광다이오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 버튼은 빛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입력부(30)의 각 메모리 버튼 내측에 구비되어 시트상태가 등록된 메모리 버튼 또는 현재 등록중인 메모리 버튼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시동 검출부(40)는 차량의 시동 여부를 감시하고, 차량 시동 시 제어부(10)로 통지한다.
버클 삽입 검출부(50)는 버클 홀더(도시하지 않음)의 버클 삽입홀(도시하지 않음) 내측으로 버클의 삽입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버클의 버클 홀더 삽입을 검출하여 제어부(10)로 통지한다.
시트 상태 검출부(60)는 시트의 상태, 즉 시트의 전후 위치, 시트 등받이의 기울기, 시트 쿠션의 높이 정보를 검출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시트 상태 검출부(60)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시트 상태정보를 검출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할 수도 있고, 제어부(10)의 제어 없이 시트상태의 변화 시마다 제어부(10)로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후자의 경우 제어부(10)는 시트 상태정보가 입력될 때마다 이전 시트 상태정보를 새로 입력되는 시트 상태정보로 갱신한다. 즉 제어부(10)는 현재 시트 상태정보를 미리 알고 있게 되며,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시트 상태정보 등록 발생 시 미리 알고 있는 시트 상태정보를 등록하는 것이다.
시트 상태 조절부(70)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시트상태를 조절한다. 시트 상태 조절부(70)는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모터를 구동하여 시트를 전후로 이동시키기 시트 이동부(71)와, 등받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모터를 구동하여 등받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등받이 구동부(72)와 시트 쿠션의 높이를 조절하는 모터를 구비하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모터를 구동하여 등받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시트 쿠션 구동부(73)를 포함한다.
시동 검출 및 시트의 상태 검출 및 시트 상태를 조절하는 기술은 이 기술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시트 위치 자동 기억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0)는 상기 버클 삽입 검출부(50)를 통해 버클의 삽입이 검출된 후, 시동 검출부(40)를 통해 시동이 검출되면, 현재 시트에 앉아 있는 탑승자가 시트를 자신에 맞게 조절한 것으로 판단하고, 시트 상태 검출부(60)를 통해 시트 위치, 시트 등받이 기울기 및 시트 쿠션 높이 정보를 포함하는 시트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시트 상태정보를 저장부(20)에 저장하여 등록한다.
이때, 제어부(10)는 상기 표시부(35)를 통해 현재 시트 상태정보가 어떤 메모리 버튼에 맵핑되어 저장되었는지를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0)는 별도의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로 구성될 수도 있고, 차체제어모듈(Body Control Module: BCM)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 시트 위치 자동 기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별도의 제어부를 적용하고, BCM을 통해 시동과 안전벨트 착용 여부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작용에 의한 전동 시트 위치 자동 기억 장치는 시동 검출부(210)와 버클 삽입 검출부(220)와 BCM(200)과 전동시트 위치 기억 모듈(100)로 구성된다.
시동 검출부(210)는 차량의 시동여부를 검출하여 시동이 걸렸음을 BCM(200)으로 통지한다.
버클 삽입 검출부(220)는 버클의 버클 홀더에 삽입되었는지를 검출하여 안전벨트가 착용되었음을 BCM(200)으로 통지한다.
BCM(200)은 전동시트 위치 기억 모듈(100)과 캔(CAN: Controled Area Network) 또는 린(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으로 연결되어 시동 검출부(210)로부터 시동 검출이 통지되거나 버클 삽입 검출부(220)로부터 안전벨트 착용이 통지되면 이를 전동시트 위치 기억 모듈(100)로 제공한다.
전동시트 위치 기억 모듈(100)은 제어부(110)와 저장부(120)와 입력부(130)와 시트 상태 검출부(140)와 시트 상태 조절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전동시트 위치 기억 모듈(100)은 제1실시 예의 본원발명과 비교하여 시동 검출 여부와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BCM(200)을 통해 입력받는 다는 점만 상이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 시트 위치 자동 기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을 설명함에 있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도 2의 경우에도 도 3의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0)는 시동 오프 상태에서 버클 삽입 검출부(40)를 통해 안전벨트 버클의 삽입 검출 후, 시동 검출부(40)를 통해 시동 온이 먼저 검출되는지(S311, S313), 시동 검출부(40)를 통해 시동 온이 검출된 후 버클 삽입 검출부(50)를 통해 안전벨트의 착용이 검출되는지를 검사한다(S323, S325).
이때, 안전벨트의 착용 검출 후, 시동이 검출되면 제어부(10)는 시트 상태 검출부(60)를 제어하여 시트 위치, 시트 등받이 기울기 및 시트 쿠션 높이 정보를 포함하는 시트 상태정보를 수집하거나 미리 입력받아 가지고 있는 시트 상태정보를 로드한다(S315).
상기 현재 시트 상태정보가 로드되면 제어부(10)는 이전에 입력부(30)의 메모리 버튼에 맵핑되어 저장되어 있는 등록 시트 상태정보를 로드한(S317) 후, 현재 시트 상태정보와 이전에 미리 메모리 버튼이 지정되어 저장된 등록 시트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지 다른지를 검사한다(S319).
비교 결과 다르면 제어부(10)는 수집된 시트 상태정보를 저장부(20)에 저장하여 등록한다. 이때, 제어부(10)는 등록 시트 상태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메모리 버튼이 있는지를 더 판단하고, 등록 시트 상태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메모리 버튼이 있으면 상기 수집된 시트 상태정보에 상기 메모리 버튼에 대한 정보를 지정하여 등록한다. 상기 정보는 상기 메모리 버튼의 번호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10)는 상기 시트 상태정보를 등록 시 상기 시트 상태정보에 지정된 메모리 버튼의 정보를 표시하여 탑승자에게 어떤 메모리 버튼에 자신에 대한 시트 상태정보가 등록되었는지를 알려준다.
만일 등록 시트 상태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메모리 버튼이 없는 경우, 즉 빈 메모리 버튼이 없는 경우 제어부(10)는 등록 시트 상태정보가 등록되어 있을지라도 임의의 메모리 버튼에 대해 상기 수집된 현재 시트 상태정보를 등록한다. 또한, 이때에도 제어부(10)는 시트 상태정보가 등록되는 메모리 버튼 정보를 표시부(30)를 통해 표시한다.
반면, 시동 온 검출 후, 안전벨트의 착용이 검출된 경우(S323, S325), 제어부(10)는 현재 저장된 시트 위치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고(S327) 종료한다. 즉, 제어부(10)는 이 경우에 대해 어떤 동작도 수행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110: 제어부 20, 120: 저장부
30, 130: 입력부 40, 210: 시동 검출부
50, 220: 버클 삽입 검출부 60, 140: 시트 상태 검출부
70, 150: 시트 상태 조절부

Claims (7)

  1. 복수의 메모리 버튼들을 구비하는 입력부와,
    등록 시트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차량의 시동 여부를 검출하는 시동 검출부와,
    안전벨트 버클이 버클 홀더에 삽입되는지를 검출하는 버클 삽입 검출부와,
    전동시트의 현재 상태를 측정하여 시트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시트 상태 검출부와,
    상기 버클 삽입 검출부를 통해 안전벨트 버클의 삽입에 의한 안전벨트 착용 검출 후 상기 시동 검출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시동이 검출되면 상기 시트 상태 검출부에서 측정된 시트 상태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등록 시트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면 상기 측정된 시트 상태정보에 메모리 버튼을 지정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시트 상태정보에 메모리 버튼을 지정하여 저장 시 등록 시트 상태정보에 지정되지 않은 메모리 버튼을 지정하여 상기 측정된 시트 상태정보에 맵핑하여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시트 위치 자동 기억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정되지 않은 메모리 버튼이 없으면 이전에 지정된 메모리 버튼들 중 임의의 하나를 지정하고, 지정된 메모리 버튼에 맵핑된 등록 시트 상태정보에 상기 측정된 시트 상태정보를 덮어 씌워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시트 위치 자동 기억 장치.
  4. 복수의 메모리 버튼들을 구비하는 입력부와,
    등록 시트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차량의 시동 여부를 검출하는 시동 검출부와,
    안전벨트 버클이 버클 홀더에 삽입되는지를 검출하는 버클 삽입 검출부와,
    전동시트의 현재 상태를 측정하여 시트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시트 상태 검출부와,
    상기 버클 삽입 검출부를 통해 안전벨트 버클의 삽입에 의한 안전벨트 착용 검출 후 상기 시동 검출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시동이 검출되면 상기 시트 상태 검출부에서 측정된 시트 상태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등록 시트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면 상기 측정된 시트 상태정보에 메모리 버튼을 지정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트 상태정보는 시트 위치 정보, 시트 등받이 기울기 정보 및 시트 쿠션 높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 시트 위치 자동 기억 장치.
  5.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 시트 위치 자동 기억 방법에 있어서,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는지를 검사하는 안전벨트 착용 검사 과정과,
    탑승자가 안전벨트 착용 후 시동을 거는지를 검사하는 시동 검사 과정과,
    시동이 걸리면 현재 시트의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시트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시트상태 측정 과정과,
    측정된 시트 상태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등록 시트 상태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시트 상태정보 변경 판단 과정과,
    측정 시트 상태정보와 등록 시트 상태정보가 다르면 측정 시트 상태정보를 메모리 버튼에 맵핑하여 등록하는 시트정보 등록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시트 상태 정보 등록 과정은,
    측정 시트 상태정보와 등록 시트 상태정보가 다르면 등록 시트 상태정보가 지정되지 않은 메모리 버튼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미지정 메모리 버튼 검색 단계와,
    미지정 메모리 버튼이 있으면 상기 측정된 시트 상태정보에 상기 미지정 메모리 버튼을 지정하여 등록하는 시트 상태정보 등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미정 메모리 버튼이 없으면 이전에 지정된 메모리 버튼 중 임의의 메모리 버튼을 지정하고, 상기 메모리 버튼과 맵핑되어 저장되어 있던 등록 시트 상태정보에 상기 측정된 시트 상태정보를 덮어 씌워 등록하는 갱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00007384A 2010-01-27 2010-01-27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시트 위치 자동 기억 장치 및 방법 KR101135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384A KR101135259B1 (ko) 2010-01-27 2010-01-27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시트 위치 자동 기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384A KR101135259B1 (ko) 2010-01-27 2010-01-27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시트 위치 자동 기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790A KR20110087790A (ko) 2011-08-03
KR101135259B1 true KR101135259B1 (ko) 2012-04-12

Family

ID=44926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384A KR101135259B1 (ko) 2010-01-27 2010-01-27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시트 위치 자동 기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2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492A (ko) * 1995-12-27 1997-07-22 김태구 차량의 시트 자동 이동장치
KR19980066748U (ko) * 1997-05-20 1998-12-05 홍종만 자동차 시트의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492A (ko) * 1995-12-27 1997-07-22 김태구 차량의 시트 자동 이동장치
KR19980066748U (ko) * 1997-05-20 1998-12-05 홍종만 자동차 시트의 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790A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3819B2 (en) Self-adjusting centre console with arm detection
US10046671B2 (en) Occupant-recognition system for vehicle seat
US20110285186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seat and use thereof
US7478875B2 (en) Child restraint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installation of the child restraint system
US7422283B2 (en) Child restraint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installation of the child restraint system
US7690421B2 (en) Low humidity det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90258879A1 (en) Occupan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ation vehicle
US10427642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identification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20160107574A1 (en) Control unit for a motor vehicle having a camera for the driver's face, and method for imaging the face of a vehicle occupant
CN107531165A (zh) 用于预先调节交通工具座椅的方法
CN110271506A (zh) 用于自动调节车辆座椅的方法和装置
JP2018083589A (ja) 乗員検知装置および乗員検知プログラム
CN106467078B (zh) 用于乘员高度的系统和方法
JP2005502532A (ja) シート乗車者のパラメタ決定方法
KR101135259B1 (ko) 안전벨트 착용에 의한 전동시트 위치 자동 기억 장치 및 방법
CN109591662A (zh) 用于车辆座椅占用检测的系统和方法
US7403845B2 (en) Child sea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type of child seat
CN108482302B (zh) 安全带状态提醒系统和提醒控制方法以及车辆
US200601065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occupant seat weight sensor measurement error
KR101534918B1 (ko) 시트 진동을 이용한 주차 자세 알림 장치 및 방법
US20230063157A1 (en) Safety belt d-ring positioning for front and rear seats
KR101814974B1 (ko) 차량용 시트,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용 시트의 위치 제어방법
US11447093B1 (en) Safety belt D-ring positioning
KR10220921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9262654A (ja) 車内環境設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