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314B1 - Apparatus for control constant flow having manual adjusting valv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 constant flow having manual adjusting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314B1
KR101134314B1 KR1020090096123A KR20090096123A KR101134314B1 KR 101134314 B1 KR101134314 B1 KR 101134314B1 KR 1020090096123 A KR1020090096123 A KR 1020090096123A KR 20090096123 A KR20090096123 A KR 20090096123A KR 101134314 B1 KR101134314 B1 KR 101134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room
hot water
return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1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38925A (en
Inventor
양창칠
김영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발부종합메이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발부종합메이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발부종합메이커
Priority to KR1020090096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314B1/en
Publication of KR20110038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9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3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7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ng hand-operated valves or for combined motor and hand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ow Control (AREA)

Abstract

난방이 수행되지 않는 방이 생기면 그 방을 흐르는 최적유량만큼 전체 정유량도 감소되도록 한 수동 조절식 정유량제어장치가 소개된다.When a room is not heated, a manually controlled flow control device is introduced so that the total flow rate is reduced by the optimal flow rate through the room.

상기의 정유량제어장치는 각 세대로 온수가 공급되는 공급관(2); 상기 공급관(2)에 연통되어 각 방별로 분기되고 상기 온수의 잠열이 해당 방과 열교환되도록 하는 온수관로(4); 상기 온수관로(4)와 각각 연통되어 열교환이 끝난 온수가 환수되는 환수파이프(5); 상기 환수파이프(5)들의 유량이 한곳으로 모여 세대 외부로 배출되는 환수관(7); 상기 환수파이프(5)의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환수파이프(5)에 각각 개별 설치되어 수동으로 조작되는 개폐밸브(110); 상기 각 방을 나타내는 방선택부(121)가 구비되어 있고 해당 방의 최적 유량값이 각각 저장되어 있어서, 어느 하나 이상의 방선택부(121)를 선택하면 해당 방의 최적 유량값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120); 상기 공급관(2) 또는 환수관(7)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120)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그 공급관 또는 환수관의 유량을 변경하는 가변유량밸브(2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방선택부(121)가 하나 이상 선택되면 해당 방의 최적 유량값만큼 상기 가변유량밸브(200)의 전체 유량값에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ed flow rate control device includes a supply pipe (2) for supplying hot water to each generation; A hot water pipe line (4) communicating with the supply pipe (2) for branching each room and allowing the latent heat of the hot water to exchange heat with the room; A return pipe (5) communicating with the hot water pipe passage (4) to return the hot water after heat exchange; A return pipe (7) in which the flow rates of the return pipes (5) are gathered in one place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ehold; An opening / closing valve 110 which is individually installed and manually operated in the return pipe 5 so as to open and close the passage of the return pipe 5; The room selector 121 is provided to indicate each of the rooms, and the optimum flow rate value of the room is stored. When one or more room selector 121 is selected,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timum flow rate value of the room is transmitted. A control unit 120; A variable flow valve (200)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2) or the return pipe (7) to change the flow rate of the supply pipe or the return pipe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of the controller (120). ) If the at least one room selector 121 is selected, it is reduced from the total flow rate value of the variable flow valve 200 by the optimum flow rate value of the room.

Description

수동 조절식 정유량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 CONSTANT FLOW HAVING MANUAL ADJUSTING VALVE}Manual Adjustable Constant Flow Control Unit {APPARATUS FOR CONTROL CONSTANT FLOW HAVING MANUAL ADJUSTING VALVE}

본 발명은 난방이 수동으로 조절되는 방식에서 각 방의 난방 유무에 맞추어 세대별 전체 정유량값이 비례적으로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난방이 수행되지 않는 방이 생기면 그 방을 흐르는 최적유량만큼 전체 정유량도 감소되도록 한 수동 조절식 정유량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tal flow rate of each generation is proportion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heating of each room in a manner in which the heating is manually controlled so that the total flow rate is reduced by the optimum flow rate of the room when the heating is not performed. A manual regulated flow rate control device is provided.

공동주택이나 대형건물에 사용되는 난방시스템은, 각 세대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보일러와 같은 열원에 의해 유체를 가열한 후 이를 이용하여 난방을 실시하는 개별난방과, 세대 외부에 설치된 외부 열원에 의해 유체를 가열한 후 가열된 유체를 각 세대별로 공급받아 난방을 실시하는 집단난방으로 구별되며, 다시 집단난방은 공동주택 단지 또는 대형건물 내의 중앙 보일러와 같은 열원을 사용하는 중앙난방과, 공동주택 단지 외부의 지역 발전소와 같은 열원을 사용하는 지역난방으로 구별된다.The heating system used in multi-family houses or large buildings uses individual heating to heat the fluid by means of a heat source such as a boiler installed independently in each household, and heats the fluid by an external heating source installed outside the household. After heating, the heated fluid is supplied to each household, and it is divided into the group heating.The group heating is again divided into the central heating using a heat source such as a central boiler in a multi-family complex or a large building, and the outside of the multi-family housing complex. Distinguished by district heating using the same heat source as the local power plant.

이러한 난방 시스템은 가열 유체로서 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특히 집단난방은 열원으로부터 가열된 온수가 공급되는 중앙공급관으로부터 각 세대별로 분기되는 공급관이 온수공급헤더와, 다수의 온수관로와, 온수환수헤더 및 환수관을 포함하는 세대별 온수분배기 장치를 통해 각 세대별 난방을 실시하고 이후 각 세대별 환수관들이 다시 중앙환수관으로 집중된 후 열원으로 환수되는 순환시스템을 갖는다.In general, such a heating system uses water as a heating fluid. Particularly, in a group heating system, a supply pipe branched into each generation from a central supply pipe supplied with hot water heated from a heat source is provided with a hot water supply header, a plurality of hot water pipes, and hot water return. The generation of hot water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a header and a return pipe for each generation is heated by each generation, after each generation return pipe is concentrated back to the central return pipe has a circulation system that is returned to the heat source.

도1은 종래 수동 개폐밸브가 구비된 온수분배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hot water distributor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manual on-off valve.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분배기는 중앙공급관(미도시)에서 분기된 공급관(2)과 연결된 온수공급헤더(3)와, 상기 온수공급헤더(3)에서 각 방으로 분기되어 열을 공급하는 다수의 온수관로(4)들과, 상기 온수관로(4)들과 각각 연통되는 환수파이프(5)와, 상기 환수파이프(5)들이 한 곳으로 연결되는 온수환수헤더(6)와, 상기 온수환수헤더(6)와 연결되는 환수관(7)과, 상기 세대별 환수관(7)이 다시 한 곳으로 연결되는 중앙환수관(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1, the hot water distributor is a hot water supply header (3)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2) branched from the central supply pipe (not shown), and branched to each room in the hot water supply header (3) to supply heat A plurality of hot water pipe passages 4, a return pipe 5 communicating with the hot water pipe passages 4, and a hot water return header 6 connected to the return pipes 5 in one place; It consists of a return pipe (7) connected to the hot water return header (6), and the central return pipe (not shown) connected to the household return pipe (7) again.

종래의 온수분배기는 온수환수헤더(6)와 연결된 환수관(7)에 정유량밸브(10)가 설치되어 세대별로 전체 정유량값을 제한하고 있으며, 그 세대별 전체 정유량값은 각 방을 흐르는 환수파이프(5)에서의 유량값의 합이 된다.Conventional hot water distributor has a constant flow valve 10 is installed in the return pipe (7) connected to the hot water return header (6) to limit the total flow rate value for each generation, the total flow rate flow rate for each generation is It is the sum of the flow rate values in the flowing return pipe 5.

예컨대, 제1방을 흐를 수 있는 유량값이 "50", 제2방의 유량값이 "40", 제3방의 유량값이 "30", 제n방의 유량값이 "20"이라고 가정한다면, 해당 세대로 공급되어 상기 정유량밸브(10)를 통과하는 전체 정유량값은 50+40+30+20 = "140"이 된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flow rate value that can flow through the first room is "50", the flow rate value of the second room is "40", the flow rate value of the third room is "30", and the flow rate value of the n-th room is "20". The total flow rate value supplied to the generation and passing through the flow rate valve 10 is 50 + 40 + 30 + 20 = 140.

이때, 상기 각각의 환수파이프(5)에는 사용자가 각 방의 난방 유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개폐밸브(1)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바, 사용자가 상기 개폐밸브(1)를 개방하면 해당 환수파이프(5)의 통로가 개방되어 해당 방은 난방이 되고, 사용자가 상기 개폐밸브(1)를 닫으면 해당 환수파이프(5)의 통로가 폐쇄되어 온수가 공급되지 못하므로 해당 방은 난방되지 않는다. 현재 대부분의 주택은 사용자가 온수분배기 옆에 달려 있는 개폐밸브(1)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각 방의 난방유무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return pipe (5) is provided with an on-off valve (1) that can be manually operated so that the user can choose whether or not the heating in each room, the user opens the on-off valve (1) When the passage of the return pipe 5 is opened, the room is heated. When the user closes the opening / closing valve 1, the passage of the return pipe 5 is closed so that hot water is not supplied. It doesn't work. Currently, most homes are operated by a user manually operating the on / off valve (1) next to the hot water distributor to select the heating of each room.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온수분배기에서 환수관(7)에 설치되어 세대의 전체 정유량값을 제한하는 정유량밸브(10)는 다음과 같은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hot water distributor as described above, the constant flow rate valve 10 installed in the return pipe 7 to limit the total flow rate value of the generation has the following fatal problem.

즉, 시공할 때 종래 정유량밸브(10)는 전체 정유량값이 한번 설정되면 바꿀 수 없도록 셋팅되어 있어서 그 정유량밸브에는 항상 설정된 값에 해당하는 정유량이 흐르게 되어 있고, 이 때문에 난방이 필요 없는 방이 개폐밸브(1)에 의해 수동으로 폐쇄되어도 난방 중인 다른 방의 환수파이프를 통해 원래 흐르도록 설정된 최적유량보다 더 많은 유량이 더 빠른 유속으로 흐르게 된다[유량(Q) = 단면적×유속(AV) 참고].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constant flow valve 10 is set so as not to be changed once the total flow rate value is set at the time of construction, so that the constant flow rate corresponding to the set value always flows to the flow rate valve, so that no heating is required. Even if the room is manually closed by the on / off valve (1), more flows will flow at a faster flow rate than the optimum flow rate originally set to flow through the return pipe in the other room being heated (see flow rate (Q) = cross-sectional area × flow rate (AV)). ].

위의 경우를 예로 들면, 제1방의 난방을 중지해도 전체 정유량값은 변하지 않고 그대로 "140"이 유지되기 때문에 난방 중인 제2방, 제3방, 제n방으로 원래 설정된 최적유량보다 더 많은 유량이 흐르게 되는 것이다.In the above case, for example, even when the heating of the first room is stopped, the total flow rate value remains unchanged and the value of "140" is maintained. Therefore, more than the optimal flow rate originally set to the second, third, or nth rooms being heated. The flow will flow.

결국, 이것은 난방 중인 방의 환수파이프만 놓고 보면 유량은 최적유량보다 비록 커졌지만 상대적으로 유속이 빨라져서 방과 유체 간에 열교환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난방 중인 방수가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난방비 절감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난방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After all, this is a problem that the flow rate is higher than the optimum flow rate, but the flow rate is relatively fast, so that the heat exchange rate between the room and the fluid does not occur enough to reduce the heating cost. It causes a decrease in efficiency.

특히, 어느 하나 이상의 방이 난방 중지되면 난방 중인 환수파이프에서 유속이 빨라짐에 따라 캐비테이션(공동현상)이 발생되어 유체가 흐를 때 유체가 파이프 내부를 치는 수격현상을 초래하여 소음발생의 원인이 된다.In particular, when any one or more rooms are stopped heating, cavitation (cavitation) occurs as the flow velocity increases in the return pipe being heated, causing the water hammer to hit the inside of the pipe when the fluid flows, causing nois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세대별 전체 정유량값이 각 방의 난방 유무에 맞추어 비례적으로 제어되도록 하여 난방이 수행되지 않는 방이 생기면 그 방을 흐르는 최적유량만큼 전체 정유량도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난방효율을 높여 난방비를 절감하고 난방 중인 환수파이프에서의 과유량을 방지하여 캐비테이션에 의한 소음 문제를 해결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is that the total flow rate by generation is controlled proportionally in accordance with the heating of each room, if there is a room in which heating is not performed as much as the optimum flow rate flowing through the room By reducing the overall oil quantity, ultimately, the heating efficiency is improved, thereby reducing the heating cost and preventing overflow from the return pipe being heated to solve the noise problem caused by cavit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각 세대로 온수가 공급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연통되어 각 방별로 분기되고 상기 온수의 잠열이 해당 방과 열교환되도록 하는 온수관로; 상기 온수관로와 각각 연통되어 열교환이 끝난 온수가 환수되는 환수파이프; 상기 환수파이프들의 유량이 한곳으로 모여 세대 외부로 배출되는 환수관; 상기 환수파이프의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환수파이프에 각각 개별 설치되어 수동으로 조작되는 개폐밸브; 상기 각 방을 나타내는 방선택부가 구비되어 있고 해당 방의 최적 유량값이 각각 저장되어 있어서, 어느 하나 이상의 방선택부를 선택하면 해당 방의 최적 유량값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 상기 공급관 또는 환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그 공급관 또는 환수관의 유량을 변경하는 가변유량밸브;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선택부가 하나 이상 선택되면 해당 방의 최적 유량값만큼 상기 가변유량밸브의 전체 유량값에서 감소시키고, 상기 가변유량밸브는, 입구와 출구가 연통되는 유로가 내부에 마련되고 그 입구와 출구 사이에 시트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 일측에 상기 입구측 유압과 상기 시트측 유압이 각각 작용하도록 유압통로가 형성된 챔버; 상기 챔버가 구획분리되도록 설치되어 그 양측으로 상기 입구측 유압과 상기 시트측 유압이 각각 작용되며, 그 압력차에 의해 변형되는 다이아프램; 상기 다이아프램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에서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시트에서 출구 쪽으로 통하는 단면적을 조절하도록 탄성 설치된 이동체; 상기 바디의 타측에서,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입구에서 시트 쪽으로 통하는 단면적을 조절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upply pipe for supplying hot water to each household; A hot water pipe communicating with the supply pipe so as to branch to each room and allow the latent heat of the hot water to exchange heat with the corresponding room; A return pipe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hot water pipe passages to return hot water after heat exchange; A return pipe in which the flow rates of the return pipes are gathered in one place and discharged outside the household; An on / off valve manually installed on each of the return pipes so as to open and close a passage of the return pipe; A room selector for each of the rooms, the optimum flow rate of the room being stored,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timum flow rate of the room when one or more room selectors are selected; A variable flow valve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or the return pipe to change the flow rate of the supply pipe or the return pipe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of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n optimum flow rate value of the room when one or more room selectors are selected; The variable flow valve is reduced from the total flow rate by the variable flow rate valve, The variable flow valve, the body is provided with a flow path in which the inlet and the outlet is communicated between the body is form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 chamber in which a hydraulic passage is formed so that the inlet side hydraulic pressure and the seat side hydraulic pressure respectively act on an inner side of the body; A diaphragm installed to separate the chamber so that the inlet side hydraulic pressure and the seat side hydraulic pressure are acted on both sides thereof and deform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A movable body coupled to one side of the diaphragm and elastically installed to adjust a cross-sectional area leading from the seat to the outlet by a pressure difference in the chamber; At the other side of the body, the actuator for controlling the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inlet to the seat by the electrical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여기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가변유량밸브의 유량값을 일정비율로 수동 조절할 수 있는 수동조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ual control unit for manually adjusting the flow rate value of the variable flow rate valve to a certain ratio.

한편 본 발명은 각 세대로 온수가 공급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연통되어 상기 온수의 잠열이 방과 열교환되도록 하는 온수관로; 상기 온수관로와 연통되어 열교환이 끝난 온수가 환수되는 환수파이프; 상기 환수파이프와 연통되어 환수되는 온수가 세대 외부로 배출되는 환수관; 상기 환수파이프의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환수파이프에 설치되어 수동으로 조작되는 개폐밸브; 상기 공급관 또는 환수관에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에 의해 그 공급관 또는 환수관의 유량값을 변경하는 가변유량밸브; 상기 가변유량밸브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 그 유량값을 조절하는 것으로, 수동으로 조절되는 수동조절부가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조절부의 수동조절에 따라 상기 가변유량밸브의 유량값을 일정비율로 조정하고, 상기 가변유량밸브는, 입구와 출구가 연통되는 유로가 내부에 마련되고 그 입구와 출구 사이에 시트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 일측에 상기 입구측 유압과 상기 시트측 유압이 각각 작용하도록 유압통로가 형성된 챔버; 상기 챔버가 구획분리되도록 설치되어 그 양측으로 상기 입구측 유압과 상기 시트측 유압이 각각 작용되며, 그 압력차에 의해 변형되는 다이아프램; 상기 다이아프램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에서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시트에서 출구 쪽으로 통하는 단면적을 조절하도록 탄성 설치된 이동체; 상기 바디의 타측에서,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입구에서 시트 쪽으로 통하는 단면적을 조절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ly pipe for supplying hot water to each generation; A hot water pipe communicating with the supply pipe so that latent heat of the hot water is exchanged with a room; A retur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hot water pipe line to return the hot water after the heat exchange; A water retur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return pipe to discharge hot water to the outside of the household; An opening / closing valve installed on the return pipe and manually operated to open and close a passage of the return pipe; A variable flow valve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or the return pipe to change a flow value of the supply pipe or the return pipe by an electrical signal; And a control unit having a manual control unit for manually adjusting the flow rate by sending an electrical signal to the variable flow valve, wherein the control unit has a flow rate value of the variable flow valve according to manual adjustment of the manual control unit. Adjusting the ratio to a constant ratio, the variable flow valve, the inlet and outlet is provided with a flow path communicating therein the body form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 chamber in which a hydraulic passage is formed so that the inlet side hydraulic pressure and the seat side hydraulic pressure respectively act on an inner side of the body; A diaphragm installed to separate the chamber so that the inlet side hydraulic pressure and the seat side hydraulic pressure are acted on both sides thereof and deform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A movable body coupled to one side of the diaphragm and elastically installed to adjust a cross-sectional area leading from the seat to the outlet by a pressure difference in the chamber; At the other side of the body, the actuator for controlling the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inlet to the seat by the electrical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이동체는, 상기 다이아프램에 결합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시트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다이아프램의 변형에 따라 상기 시트에서 출구 쪽으로 통하는 단면적을 조절하는 스템부; 상기 다이아프램을 기준으로 양측 압력이 동일할 때 상기 이동체가 복원되도록 상기 이동체와 챔버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able body, the head portion coupled to the diaphragm; A stem portion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toward the seat to adjust a cross-sectional area leading from the seat to the outlet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diaphragm; And an elastic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movable body and the chamber so that the movable body is restored when both pressures are the same based on the diaphragm.

삭제delete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전기신호를 운동력으로 변환하는 구동본체; 상기 구동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바디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입구 쪽에서 상기 시트 쪽으로 통하는 단면적을 조절하기 위해 이동되는 이동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ctuator may include: a driving bod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o convert an electrical signal of the controller into a kinetic force; And a moving rod extending from the driving body and inserted into the body, the moving rod being moved to adjust a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inlet side toward the seat.

삭제delete

본 발명에 의하면, 난방이 중지되는 방이 생기면 그 방에 해당하는 최적유량만큼 세대의 전체 정유량값이 비례적으로 감소되고 난방 수행중인 다른 방으로 정해진 유량보다 많은 과유량이 흐르는 것이 방지되는바, 결국 난방비가 절감되는 것은 물론 캐비테이션에 의한 소음이 사라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a room in which heating is stopped occurs, the total flow rate value of the household is proportionally reduced by the optimum flow rate corresponding to the room, and more excess flow rate than the predetermined flow rate is prevented from flowing to another room during heating. The heating cost is reduced and the noise caused by cavitation is elimina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제어구조 및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제어구조 및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사용된 가변유량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구동본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2A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control structure and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control structure and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variable flow valve use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rive bod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공급관(2), 온수관로(4), 환수파이프(5), 환수관(7), 개폐밸브(110), 제어부(120), 가변유량밸브(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rst, as shown in Figure 2a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supply pipe (2), hot water pipe (4), return pipe (5), return pipe (7), opening and closing valve 110, control unit 120, variable flow valve 200 is made.

각 세대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방(제1방, 제2방, 제3항, ... 제n방)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편의상 제1방이 가장 크고 제n방으로 갈수록 작아진다고 가정하면 그 각각의 방을 최적상태로 난방하는데 필요한 요구열량(이하, "필요요구열량"이라 한다)은 여러 가지 인자와 제반 열손실 등(난방부하)을 종합적으로 따져 산출되는데, 이렇게 산출된 필요요구열량과 해당 방의 최적 유량값은 아래의 식과 같은 비례관계를 갖는다. Each household can be composed of several rooms (1st, 2nd, 3rd, ... nth rooms) of different sizes, as shown in Fig. 2a. Assuming that the room becomes smaller, the required heat required to heat each room optimal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necessary required heat") is calculated based on various factors and overall heat loss (heating load). The calculated required heat quantity and the optimal flow rate of the room have a proportional relationship as shown below.

Q = G × C × △TQ = G × C × ΔT

Q : 필요요구열량[kcal/h] G : 유량[lph] Q: required heat quantity [kcal / h] G: flow rate [lph]

C : 비열[kcal/kg℃] △T : 온도변화 (실내공급온도 - 실내환수온도)C: Specific heat [kcal / kg ℃] △ T: Temperature change (indoor supply temperature-indoor return temperature)

여기서 상기 비열은 상수값(온수가 사용되므로 비열은 1)이 되고, 온도변화값도 "지역난방 설계기준"을 충족하려면 항상 15℃로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수값이 된다.Here, the specific heat is a constant value (the specific heat is 1 because hot water is used), and the temperature change value is a constant value because it must always be maintained at 15 ° C. in order to meet the “regional heating design standard”.

결과적으로, 열량과 유량은 비례관계에 놓이게 되므로 필요요구열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량을 증가시키면 되는바, 각 방별 필요요구열량이 결정되면 그것을 충족하기 위한 최적의 유량도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각 방마다의 최적유량값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heat quantity and the flow rate are in a proportional relationship, so the flow rate may be increased in order to increase the required calorific value. When the required calorific value of each room is determined, the optimum flow rate for meeting the heat can be set. The optimum flow rate value can be calculated.

각 방별로 산출된 최적 유량값은 후술하게 될 제어부(120)에 저장되어 가변유량밸브(200)의 유량을 제어할 때 사용되는바 이것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The optimum flow rate value calculated for each room is stored in the controller 120 to be described later and used when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variable flow valve 20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공급관(2)은 각 세대별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온수관로(4)는 상기 공급관(2)에 연통되어 각 방별로 분기되고 상기 온수의 잠열이 해당 방과 열교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On the other hand, the supply pipe (2) is a configuration for supplying hot water for each generation, the hot water pipe (4)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2) is branched by each room and is configured to allow the latent heat of the hot water to heat exchange with the room. .

상기 온수관로(4)는 상기 공급관(2)에 직접 연통되어도 무방하지만 일반적으로 상기 공급관(2)은 온수공급헤더(3)와 연결되고, 상기 온수공급헤더(3)에서 상기 온수관로(4)가 각 방별로 분기되어 온수가 흐르면서 각 방을 개별 난방하게 된다.The hot water pipe line 4 may be in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supply pipe 2, but in general, the supply pipe 2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supply header 3, and the hot water supply line 3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line 4. Is branched into each room and hot water flows to heat each room individually.

방들과 열교환이 끝난 온수는 각각의 온수관로(4)에 연통된 환수파이프(5)를 통해 환수되고, 환수된 온수는 온수환수헤더(6)에 다시 모인 후 상기 온수환수헤더(6)에 연결된 환수관(7)을 통해 환수파이프(5)들의 유량이 한 곳으로 모여 도시되지 않는 세대 외부의 중앙환수관으로 환수된다.After the heat exchange with the rooms, the hot water is returned through the return pipe 5 connected to each hot water pipe line 4, and the returned hot water is collected in the hot water return header 6 and then connected to the hot water return header 6. Through the return pipe (7), the flow rate of the return pipes (5) is collected in one place and returned to the central return pipe outside the generation not shown.

또한, 상기 개폐밸브(110)는 상기 환수파이프(5)의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환수파이프(5)에 각각 개별 설치되어서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는 구성으로, 아직까지 대부분의 주택들이 개폐밸브(110)의 조작에 의하여 난방 유무가 결정된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110 is installed in the return pipe (5) to open and close the passage of the return pipe (5), respectively, the configuration is operated manually by the user, most of the houses still open and close The presence or absence of heating is determined by the operation of the valve 110.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개폐밸브(110)를 개방 조작하면 상기 환수파이프(5)의 통로가 개방되어 해당 방으로 온수가 공급되므로 그 방은 난방이 되고, 상기 개폐밸브(110)를 폐쇄 조작하면 상기 환수파이프(5)의 통로가 막히므로 해당 방으로 온수가 공급되지 못하여 난방이 중지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opens and operates the open / close valve 110, the passage of the return pipe 5 is opened so that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room, and the room is heated, and when the open / close valve 110 is closed, Since the passage of the return pipe (5) is blocked, the hot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room and the heating is stopped.

또한,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20)에는 각 방의 최적 유량값을 제어할 수 있는 방선택부(121)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방선택부(121)는 어느 방의 난방이 중지되면 그 방에 해당하는 최적 유량값만큼 가변유량밸브(200)의 전체 정유량값에서 감소시킬 수 있도록 난방 중지된 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a, the control unit 120 is provided with a room selector 121 that can control the optimum flow value of each room, the room selector 121, the heating of any room is stopped When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room is stopped heating so as to reduce the total flow rate of the variable flow valve 200 by the optimum flow r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room.

따라서, 사용자는 난방이 중지된 방이 있으면 그 방에 해당하는 방선택부(121)를 선택하여 전체 정유량값에서 난방 중지된 방에 해당하는 최적 유량값만큼 유량이 감소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20)에는 해당 방의 최적 유량값이 각각 저장되어 있다.Therefore, if there is a room where the heating is stopped, the user selects the room selector 121 corresponding to the room so that the flow rate is reduced by the optimal flow r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room where the heating is stopped from the total flow rate value. In 120, the optimum flow rate values of the room are stored.

상기 방선택부(121)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형태이어도 무방한데, 본 발명에서는 손으로 누를 수 있는 버튼 형태로 구현된다.The room selector 121 may be any shape as long as the user selects the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om selector 121 is implemented as a button that can be pressed by hand.

사용자가 제1방의 난방을 중지하고 싶다면 먼저 제1방에 해당하는 개폐밸브(110)를 폐쇄하고 상기 제어부(120)에서 제1방에 해당하는 방선택부(121) 1번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20)는 제1방의 최적유량값(앞의 경우를 예로 들면 "50")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가변유량밸브(200)에 송출하게 되고, 상기 가변유량밸브(200)는 제어부(120)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전체 정유량값(앞의 경우를 예로 들면 "140")에서 상기 제1방의 최적유량값("50")에 해당하는 만큼 감소시키는데, 결과적으로 "90"의 정유량값이 가변유량밸브(200)를 통과하게 된다. If the user wants to stop heating in the first room, first closes the on-off valve 1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room and selects the first room selector 121 corresponding to the first room from the control unit 120. The control unit 120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timum flow rate value of the first room (for example, "50") to the variable flow valve 200, the variable flow valve 200 is the control unit 120 In accordance with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 in the total flow rate value ("140",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previous case) is reduced by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optimum flow rate value ("50") of the first room, consequently the flow rate value of "90" The variable flow valve 200 passes through.

여기서, 상기 제어부(120)에는 상기 가변유량밸브(200)의 유량값을 일정비율로 수동 조절할 수 있는 수동조절부(122)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수동조절부(122)의 형태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조절할 수 있는 죠그셔틀스위치 형태로 구현되는바, 상기 수동조절부(122)의 형태가 반드시 여기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Here, the control unit 120 may be provided with a manual control unit 122 for manually adjusting the flow rate value of the variable flow rate valve 200 to a certain ratio, the form of the manual control unit 122 may be variou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jog shuttle switch that can be adjusted by the user by hand, as shown in Figure 2a, the form of the manual adjustment unit 122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수동조절부(122)는 최소 0%에서 최대 100%까지 일정한 비율로 상기 가변유량밸브(200)의 유량값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는바, 예를 들어 상기 수동조절부(122)를 50%로 맞추어 놓으면 앞의 경우와 같이 제1방의 난방이 중지되어 전체 정유량값이 "90"인 가변유량밸브(200)의 정유량값은 "45"가 되고, 이 "45"의 정유량이 난방 중인 각방으로 분배된다.The manual control unit 122 is implemented to adjust the flow rate value of the variable flow valve 200 at a constant ratio from 0% to 100% minimum, for example, the manual control unit 122 is 50 If it is set to%, the heating of the first room is stopped as in the previous case, and the flow rate value of the variable flow valve 200 having the total flow rate value of "90" becomes "45", and this flow rate of "45" To each room being distributed.

이와 같이 상기 가변유량밸브(200)의 정유량값이 50%로 감소되면 난방 수행중인 각방에 유입되는 정유량값도 해당 방의 최적유량값에 대하여 50%로 감소된다. 참고로, 각 방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미세유량 조절밸브가 구비되어 있어서 각 방마다 등 비율로 유량을 나누어주게 된다.As such, when the flow rate value of the variable flow valve 200 is reduced to 50%, the flow rate value flowing into each room during heating is also reduced to 50% with respect to the optimum flow rate value of the room. For reference, although not shown in each room, a micro flow rate control valve is provided to divide the flow rate at the same rate in each room.

상기 수동조절부(122)는 사용자가 상기 가변유량밸브(200)의 유량값을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정하여 난방이 좀 적게 되더라도 난방비를 절약하고자 할 때 매우 유용하다.The manual adjustment unit 122 is very useful when the user wants to save the heating cost even if the heating is reduced by arbitrarily adjusting the flow rate value of the variable flow valve 200 as needed.

한편, 지금까지는 방이 여러 개 있는 경우를 예로 들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방선택부(121)가 필요하지만, 도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이 하나인 원룸형 구조에서는 상기 방선택부(121)가 필요없다.On the other hand, the room selection unit 121 is required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case where there are several rooms so far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but the room selection unit 121 is required in the one-room type structure having one room as shown in FIG. 2B. none.

따라서, 상기 제어부(120)에는 가변유량밸브(200)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 가변유량밸브(200)의 유량값을 조절하는 수동조절부(122)가 구비되는데, 상기 수동조절부(122)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직접 조절할 수 있는 것 으로, 기능은 전술한 바와 같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120 is provided with a manual control unit 122 for sending an electrical signal to the variable flow valve 200 to adjust the flow value of the variable flow valve 200, the manual control unit 122 is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manually adjust the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20)에 상기 수동조절부(122)만 구비되면, 최소 0%에서 최대 100%까지 일정한 비율로 상기 가변유량밸브(200)의 유량값을 조절하여 난방이 좀 적게 되더라도 난방비를 절약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As such, if only the manual control unit 122 is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120, the heating cost is adjusted even if the heating is a little by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variable flow valve 200 at a constant ratio from 0% to 100%. This is useful when you want to save.

따라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수동조절부(122)의 수동조절에 따라 상기 가변유량밸브(200)의 유량값을 일정비율, 즉 전체 정유량값에 대한 수동조절부(122)의 표시 비율로 조절하게 되는바, 예를 들어 상기 수동조절부(122)를 50%에 맞추면 상기 가변유량밸브(200)는 전체 정유량값에 대한 절반의 정유량값으로 유량을 감소시키게 된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variable flow valve 200 according to the manual adjustment of the manual adjustment unit 122 by a predetermined ratio, that is, the display ratio of the manual adjustment unit 122 to the total flow rate value. For example, if the manual adjustment unit 122 is set to 50%, the variable flow valve 200 reduces the flow rate to half the flow rate value relative to the total flow rate value.

또한, 상기 가변유량밸브(200)는 상기 공급관(2) 또는 환수관(7)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120)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그 공급관(2) 또는 환수관(7)의 유량을 변경하는 것으로, 상기 가변유량밸브(200)에서 세대의 전체 정유량이 제한된다.In addition, the variable flow valve 200 is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2) or the return pipe (7) to change the flow rate of the supply pipe (2) or the return pipe (7) by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20) As a result, the total flow rate of the generation in the variable flow valve 200 is limited.

상기 가변유량밸브(200)에 전기적 신호가 가해지면 상기 공급관(2) 또는 환수관(7)(편의상 이하에서는 도시된 것처럼 가변유량밸브(200)가 환수관(7)에 설치된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의 유량 단면적을 조절하여 그 환수관(7)을 지나는 유량값이 변경되도록 하는데, 상기 가변유량밸브(200)의 구조는 도3에 자세하게 도시된다.When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the variable flow valve 200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upply pipe 2 or the return pipe 7 (for convenience, the variable flow valve 200 is installed in the return pipe 7 as shown below). By adjusting the flow rate cross-sectional area of the ()) so that the flow rate value passing through the return pipe (7) is changed, the structure of the variable flow valve 200 is shown in detail in FIG.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유량밸브(200)는 크게 바디(210)와, 챔버(220)와, 다이아프램(230)과, 이동체(240)와, 액츄에이터(250)를 포함하여 이루 어진다.As shown in FIG. 3, the variable flow valve 200 includes a body 210, a chamber 220, a diaphragm 230, a movable body 240, and an actuator 250. It is broken.

상기 바디(210)의 내부 일측에는 환수되는 유체가 들어오는 입구(2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그 유체가 나가는 출구(212)가 형성되는바, 이와 같이 상기 바디(210)에는 상기 입구(211)와 출구(212)가 연통되는 유로가 내부에 마련된다.An inlet 21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210 to receive the fluid to be returned, and an outlet 212 is formed at the other side thereof to the fluid. The body 210 has the inlet 211.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outlet 212 communicates is provided therein.

또한, 상기 바디(210)에는 상기 입구(211)와 출구(212) 사이에 유로의 단면적이 감소되는 시트(213)가 형성되어 상기 입구(211)를 통해 바디(210) 내부로 들어온 유체는 상기 시트(213)를 통과하여 상기 출구(2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In addition, the body 210 has a sheet 213 is formed between the inlet 211 and the outlet 212 to redu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is the fluid entering the body 210 through the inlet 211 is Passed through the sheet 213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212).

상기 챔버(220)는 상기 바디(21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으로서, 상기 챔버(220)에는 상기 입구(211)측 유압과 상기 시트(213)측 유압이 각각 작용하도록 유압통로(221,222)가 형성된다.The chamber 220 is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in one side of the body 210, the hydraulic passage (H) in the chamber 220 so that the hydraulic pressure on the inlet 211 side and the hydraulic pressure on the seat 213 side, respectively 221, 222 are formed.

도3에서 보면, 상기 챔버(220)에는 상기 입구(211)측 유압이 작용하도록 상기 입구(211)측과 연통된 제1유압통로(221)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213)측 유압이 작용하도록 상기 시트(213)측과 연통된 제2유압통로(222)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chamber 220 has a first hydraulic passage 221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211 side so that the hydraulic pressure acts on the inlet 211 side and the hydraulic pressure on the seat 213 side acts. A second hydraulic passage 222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eat 213 side.

따라서, 상기 챔버(220)는 상기 제1유압통로(221)와 연통되는 제1유압실(223)과 상기 제2유압통로(222)와 연통되는 제2유압실(224)이 다이아프램(230)에 의해 구획 분리된다.Accordingly, the chamber 220 includes a first hydraulic chamber 223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hydraulic passage 221 and a second hydraulic chamber 224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hydraulic passage 222. Is separated by).

상기 다이아프램(230)은 제1유압실(223)과 제2유압실(224)이 구획분리되도록 상기 챔버(220)에 설치되며, 상기 다이아프램(230)의 양측으로 상기 입구(211)측 유압과 시트(213)측 유압이 각각 작용할 때 그 압력차에 의해 변형된다.The diaphragm 230 is installed in the chamber 220 so that the first hydraulic chamber 223 and the second hydraulic chamber 224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both sides of the diaphragm 230 face the inlet 211. When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hydraulic pressure on the seat 213 side act, respectively, they are deform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상기 이동체(240)는 상기 다이아프램(230)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220)에서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시트(213)에서 상기 출구(212) 쪽으로 통하는 단면적으로 조절하도록 탄성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다이아프램(230)이 챔버(220)의 압력차로 인해 변형될 때 그 변형력을 제공받아 상기 시트(213) 쪽으로 접근하게 된다.The movable body 24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diaphragm 230 is elastically installed to adjust the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sheet 213 toward the outlet 212 by the pressure difference in the chamber 220, When the diaphragm 230 is deformed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chamber 220, the diaphragm 230 receives the deformation force and approaches the sheet 213.

여기서, 상기 이동체(240)는 헤드부(241)와, 스템부(242)와, 탄성부재(2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헤드부(241)는 상기 다이아프램(230)에 결합되는 부위이다.Here, the movable body 240 includes a head portion 241, a stem portion 242, and an elastic member 243, wherein the head portion 241 is coupled to the diaphragm 230. to be.

또한, 상기 스템부(242)는 상기 헤드부(241)로부터 상기 시트(213)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다이아프램(230)의 변형에 따라 상기 시트(213)에서 출구(212) 쪽으로 통하는 단면적을 조절하는 부위이다.In addition, the stem portion 242 extends from the head portion 241 toward the seat 213 to adjust the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seat 213 toward the outlet 212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diaphragm 230. Site.

따라서, 상기 다이아프램(230)의 변형에 따라 상기 스템부(242)가 이동되면서 상기 시트(213)에서 출구(212) 쪽으로 통하는 단면적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상기 시트(213)측에서의 유압을 낮추거나 높이게 된다.Therefore, the stem portion 242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deformation of the diaphragm 230 while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seat 213 toward the outlet 212 to lower or lower the hydraulic pressure at the seat 213 side. Raised.

그리고, 상기 제2유압실(224)과 연통되는 상기 제2유압통로(222)는 상기 시트(213)측과 통하도록 상기 바디(210)에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유압통로(222)가 상기 스템부(242) 내부에 형성되도록 실시된다.The second hydraulic passage 222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hydraulic chamber 224 may be formed in the body 21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at 213 sid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hydraulic passage may be formed. 222 may be formed inside the stem 242.

따라서, 상기 스템부(242)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제2유압통로(222)를 통해 상기 제2유압실(224)이 상기 시트(213)측과 연통된다.Accordingly, the second hydraulic chamber 224 communicates with the seat 213 through the second hydraulic passage 222 formed in the stem 242.

또한, 상기 제1유압실(223)과 제2유압실(224)이 서로 동일한 압력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이동체(240)가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초기 위치로 복원되어야 하 는바, 상기 탄성부재(243)가 상기 이동체(240)와 챔버(220) 사이에 설치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hydraulic chamber 223 and the second hydraulic chamber 224 are in the same pressure state, the movable body 240 should be restored to an initial position as shown in FIG. 243 is installed between the movable body 240 and the chamber 220.

상기 바디(210)에 일정 유압의 유체가 들어오다가 어느 순간 이보다 높은 고압의 유체가 들어오면 상기 입구(211) 측의 유압은 상기 시트(213)의 유압보다 높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입구(211)와 연통된 상기 제1유압실(223) 압력이 상기 시트(213)와 연통된 제2유압실(224) 압력보다 높게 되는바 이러한 압력차이로 인해 상기 제1유압실(223)의 압력이 상기 제2유압실(224) 쪽으로 작용해 상기 다이아프램(230)이 상기 제2유압실(224) 쪽으로 구부러지는 변형이 일어나며, 이러한 다이아프램(230)의 변형에 의해 상기 이동체(240)가 상기 시트(213) 쪽으로 밀려서 상기 이동체(240)의 끝단이 시트(213)에서 출구(212) 쪽으로 통하는 단면적을 축소하게 된다.When the fluid of a certain hydraulic pressure enters the body 210 and a high pressure fluid is higher than this at any moment,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inlet 211 becomes higher than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seat 213, and thus the inlet 211. The pressure of the first hydraulic chamber 223 in communication with the () is higher than the pressure of the second hydraulic chamber 224 in communication with the seat 213 bar pressure due to this pressure difference The diaphragm 230 is bent toward the second hydraulic chamber 224 by acting toward the second hydraulic chamber 224, and the movable body 240 is caused by the deformation of the diaphragm 230. The end of the movable body 240 is pushed toward the seat 213 to reduce the cross-sectional area leading from the seat 213 toward the outlet 212.

상기 시트(213)에서 출구(212) 쪽으로 통하는 단면적이 축소되면 상기 시트(213)에서의 유압이 점차 상승하여 마침내 입구(211)측 유압과 동일해지는 상태에 이르게 되고, 이처럼 입구(211)측과 시트(213)측의 유압이 동일해지면 상기 제1유압실(223)과 제2유압실(224)의 압력이 평형상태에 이르러 상기 이동체(240)는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원된다.When the cross-sectional area leading from the seat 213 toward the outlet 212 is reduced, the oil pressure in the seat 213 gradually rises and finally reaches a state equal to the oil pressure of the inlet 211 side. When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seat 213 side becomes the same, the pressure of the first hydraulic chamber 223 and the second hydraulic chamber 224 reaches an equilibrium state, and the movable body 24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이와 같이 상기 챔버(220)와, 다이아프램(230)과, 이동체(240)는 상기 입구(211)측과 상기 시트(213)측의 유압이 항상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렇게 압력을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이유는 입구(211)측과 시트(213)측의 압력이 동일해야 그 입구(211)측에서 시트(213)측으로 통하는 유량의 단면적을 조 절하여 원하는 유량으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As such, the chamber 220, the diaphragm 230, and the movable body 240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hydraulic pressure at the inlet 211 side and the seat 213 side can always be maintained the same. The reason for maintaining the same is that the pressure on the inlet 211 side and the sheet 213 side should be the same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rate from the inlet 211 side to the sheet 213 side can be adjusted to accurately control the desired flow rate. Because there is.

한편,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입구(211)측과 시트(213)측의 유압이 동일한 상태로 유지되면 상기 액츄에이터(250)에 의하여 상기 시트(213)를 지나는 유량이 조절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inlet 211 side and the seat 213 side is maintained in the same state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low rate passing through the seat 213 by the actuator 250 is adjusted.

상기 액츄에이터(250)는 상기 바디(2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입구(211)에서 시트(213) 쪽으로 통하는 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실질적인 유량을 조절하는 구성인데, 상기 액츄에이터(250)가 상기 입구(211)측에서 시트(213)측으로 통하는 단면적을 실질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유량 제어가 가능해진다.The actuator 25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210, and controls the actual flow rate by adjusting the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inlet 211 toward the seat 213 by an electrical signal, the actuator 250 The flow rate control is enabled by substantially adjusting the cross-sectional area passing from the inlet 211 side to the seat 213 side.

상기 액츄에이터(250)는 크게 구동본체(251)와 이동로드(2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구동본체(251)는 후술할 제어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전기신호를 받으면 이것을 운동력으로 변환하게 된다.The actuator 250 includes a driving body 251 and a moving rod 252 largely, the driving body 25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20 When you receive it will be converted into exercise power.

상기 구동본체(251)의 운동력은 상기 이동로드(252)로 전달되어 상기 이동로드(252)의 이동에 따른 길이변화에 의해 상기 입구(211) 측에서 상기 시트(213) 쪽으로 통하는 단면적이 조절된다.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body 251 is transmitted to the moving rod 252 and the cross-sectional area passing from the inlet 211 side toward the seat 213 is adjusted by the length chan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rod 252. .

여기서, 상기 구동본체(251)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상기 제어부(120)는 구동본체(251)의 구동모터(25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53)를 작동시키는데, 상기 구동모터(253)는 감속기어(254)를 통해 구동기어(255)에 회전력을 가한다.Here, the drive body 251 has a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4, the control unit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253 of the drive body 251 to operate the drive motor 253. The driving motor 253 applies a rotational force to the driving gear 255 through the reduction gear 254.

상기 구동기어(255)는 도4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이동로드(252)에 동 력전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이동로드(252)가 직선운동을 하도록 외력을 제공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4, the drive gear 255 is connected to the moving rod 252 so as to be capable of power transmission, thereby providing an external force for the linear movement of the moving rod 252.

이때, 상기 직선운동하는 이동로드(252)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120)가 입력받아야 상기 입구(211) 측에서 시트(213) 측으로 통과하는 유량을 제어부(120)가 알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동기어(255)는 연결기어(253)를 통해 센서기어(257)와 동력 연결된다.At this time, since the controller 120 can receive the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linear movement rod 252, the flow rate passing from the inlet 211 side to the seat 213 side because the controller 120 can know In addition, the driving gear 255 is power connected to the sensor gear 257 through the connecting gear 253.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255)가 회전되면 상기 센서기어(257)가 연동하여 회전되는데, 상기 센서기어(257)에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가변저항기(258)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가변저항기(258)의 출력값은 상기 제어부(120)로 입력되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가변저항기(258)의 출력값을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상기 구동기어(255)의 회전량, 즉 상기 이동로드(252)의 위치를 알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driving gear 255 is rotated, the sensor gear 257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sensor gear 257. The sensor gear 257 has a variable resistor 258, which is generally known, and the variable resistor 258. Since the output value of the controller 120 is input to the controller 120, the controller 120 receives the output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258 in real time, that is,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drive gear 255, that is, of the moving rod 252. The location is known.

상기 구동기어(255)는 1회 이상 회전될 수 있지만, 상기 센서기어(257)는 가변저항기(258)와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어야 하기 때문에 회전수가 1회 미만으로 제한되는바, 이러한 원리를 고려하여 상기 구동기어(255)와 상기 센서기어(257)간에 적정한 기어비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센서기어(257)의 회전각이 270도 이하로 제한되며 그 회전각도 범위내에 가변저항기(258)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20)에는 상기 이동로드(252)의 이동거리와 시트(213)의 직경 등, 각종 파라미터가 입력되어 있어서 상기 이동로드(252)의 이동거리를 알면 유량의 추정이 가능하다.The drive gear 255 may be rotated one or more times, but since the sensor gear 257 must be rotated in contact with the variable resistor 258, the number of revolutions is limited to less than one time. It is preferable that an appropriate gear ratio is set between the drive gear 255 and the sensor gear 257.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angle of the sensor gear 257 is limited to 270 degrees or less, and a variable resistor 258 is installed within the rotation angle range, and the control unit 120 moves the moving rod 252. Various parameters such as the distance and the diameter of the seat 213 are input, and the flow rate can be estimated by know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ing rod 252.

이와 같이, 상기 이동로드(252)는 상기 구동본체(25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바디(21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본체(251)로부터 힘을 제공받아 상기 시트(213) 쪽으로 들어가는 단면적을 조절하게 되는데, 상기 이동로드(252)가 상기 시트(213)의 단면적을 조절함에 따라 유량이 제어된다.As such, the movable rod 252 extends from the driving body 251 and receives a force from the driving body 251 to enter the sheet 213 toward the seat 213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body 210. The flow rate is controlled as the moving rod 252 adjust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heet 213.

이때, 상기 이동로드(252)의 외경은 상기 시트(213)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 이동로드(252)가 상기 시트(213)에 완전히 끼워지면 유체가 전혀 흐를 수 없게 되어 통과유량이 "0"이 된다.At this time, the outer diameter of the movable rod 252 is preferably set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seat 213, the fluid can flow at all when the movable rod 252 is completely fitted to the seat 213 The flow rate is " 0 ".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가변유량밸브(200)에 보내는 제어신호는 가변유량밸브(200)의 액츄에이터(250) 중에서도 구동본체(251)로 보내져, 상기 이동로드(252)의 이동거리를 조정하는데, 상기 제어부(120)에는 상기 이동로드(252)의 이동거리와 시트(213)의 직경 등, 각종 파라미터가 입력되어 있어서 상기 이동로드(252)의 이동거리에 따른 유량을 추정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 signal sent from the control unit 120 to the variable flow valve 200 is sent to the driving body 251 among the actuators 250 of the variable flow valve 200 to adjust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ing rod 252. The controller 120 may input various parameters such as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ing rod 252 and the diameter of the seat 213 to estimate the flow rate according to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ing rod 252.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형이 가능한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the preferable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xample described, and the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s not limited within the scope of this invention. Substitution and modification of the components are possible, which also belongs to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종래 수동 개폐밸브가 구비된 온수분배기를 나타낸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hot water distributor having a conventional manual on-off valve;

도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구조 및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2A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ontrol structure and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제어구조 및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2B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ontrol structure and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사용된 가변유량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variable flow valve use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구동본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rive bod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공급관 4 : 온수관로2: supply pipe 4: hot water pipe

5 : 환수파이프 7 : 환수관5: return pipe 7: return pipe

110 : 개폐밸브 120 : 제어부110: on-off valve 120: control unit

121 : 방선택부 200 : 가변유량밸브121: room selector 200: variable flow valve

210 : 바디 211 : 입구210: body 211: entrance

212 : 출구 213 : 시트 212: exit 213: sheet

220 : 챔버 221 : 제1유압통로220: chamber 221: first hydraulic passage

222 : 제2유압통로 223 : 제1유압실222: the second hydraulic passage 223: the first hydraulic chamber

224 : 제2유압실 230 : 다이아프램224: second hydraulic chamber 230: diaphragm

240 : 이동체 241 : 헤드부240: movable body 241: head portion

242 : 스템부 243 : 탄성부재242: stem portion 243: elastic member

250 : 액츄에이터 251 : 구동본체250: actuator 251: driving body

252 : 이동로드252: moving rod

Claims (6)

각 세대로 온수가 공급되는 공급관(2); 상기 공급관(2)에 연통되어 각 방별로 분기되고 상기 온수의 잠열이 해당 방과 열교환되도록 하는 온수관로(4); 상기 온수관로(4)와 각각 연통되어 열교환이 끝난 온수가 환수되는 환수파이프(5); 상기 환수파이프(5)들의 유량이 한곳으로 모여 세대 외부로 배출되는 환수관(7); 상기 환수파이프(5)의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환수파이프(5)에 각각 개별 설치되어 수동으로 조작되는 개폐밸브(110); 각 방을 나타내는 방선택부(121)가 구비되어 있고 해당 방의 최적 유량값이 각각 저장되어 있어서, 어느 하나 이상의 방선택부(121)를 선택하면 해당 방의 최적 유량값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120); 상기 공급관(2) 또는 환수관(7)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120)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그 공급관 또는 환수관의 유량값을 변경하는 가변유량밸브(2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방선택부(121)가 하나 이상 선택되면 해당 방의 최적 유량값만큼 상기 가변유량밸브(200)의 전체 유량값에서 감소시키고,A supply pipe 2 through which hot water is supplied to each generation; A hot water pipe line (4) communicating with the supply pipe (2) for branching each room and allowing the latent heat of the hot water to exchange heat with the room; A return pipe (5) communicating with the hot water pipe passage (4) to return the hot water after heat exchange; A return pipe (7) in which the flow rates of the return pipes (5) are gathered in one place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ehold; An opening / closing valve 110 which is individually installed and manually operated in the return pipe 5 so as to open and close the passage of the return pipe 5; Room selector 121 is provided for each room and the optimum flow rate value of the room is stored. When one or more room selector 121 is selected,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timum flow rate value of the room is transmitted. Control unit 120; A variable flow valve (200)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2) or the return pipe (7) to change a flow rate value of the supply pipe or the return pipe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of the controller (120). When the at least one room selector 121 is selected, 120 decreases the total flow rate value of the variable flow valve 200 by the optimum flow rate value of the room. 상기 가변유량밸브(200)는, 입구(211)와 출구(212)가 연통되는 유로가 내부에 마련되고 그 입구(211)와 출구(212) 사이에 시트(213)가 형성된 바디(210); 상기 바디(210)의 내부 일측에 상기 입구(211)측 유압과 상기 시트(213)측 유압이 각각 작용하도록 유압통로가 형성된 챔버(220); 상기 챔버(220)가 구획분리되도록 설치되어 그 양측으로 상기 입구(211)측 유압과 상기 시트(213)측 유압이 각각 작용되며, 그 압력차에 의해 변형되는 다이아프램(230); 상기 다이아프램(230)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220)에서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시트(213)에서 출구(212) 쪽으로 통하는 단면적을 조절하도록 탄성 설치된 이동체(240); 상기 바디(210)의 타측에서,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입구(211)에서 시트(213) 쪽으로 통하는 단면적을 조절하는 액츄에이터(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조절식 정유량 제어장치.The variable flow valve 200 may include: a body 210 hav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an inlet 211 and an outlet 21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seat 213 formed between the inlet 211 and the outlet 212; A chamber 220 in which a hydraulic passag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210 so that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inlet 211 side and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seat 213 side are respectively acted on; The diaphragm 230 is installed so that the chamber 220 is separated,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inlet 211 side and the sheet 213 side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both sides thereof, and is deform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A movable body 240 coupled to one side of the diaphragm 230 and elastically installed to adjust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sheet 213 toward the outlet 212 by a pressure difference in the chamber 220; And an actuator (250)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210) to adjust the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inlet (211) toward the seat (213) by an electrical sig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에는 상기 가변유량밸브(200)의 유량값을 일정비율로 수동 조절할 수 있는 수동조절부(1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조절식 정유량 제어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120 is a manually adjustable constant flow rat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manual adjustment unit 122 for manually adjusting the flow rate value of the variable flow rate valve 200 at a predetermined ratio. 각 세대로 온수가 공급되는 공급관(2); 상기 공급관(2)에 연통되어 상기 온수의 잠열이 방과 열교환되도록 하는 온수관로(4); 상기 온수관로(4)와 연통되어 열교환이 끝난 온수가 환수되는 환수파이프(5); 상기 환수파이프(5)와 연통되어 환수되는 온수가 세대 외부로 배출되는 환수관(7); 상기 환수파이프(5)의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환수파이프(5)에 설치되어 수동으로 조작되는 개폐밸브(110); 상기 공급관(2) 또는 환수관(7)에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에 의해 그 공급관 또는 환수관의 유량값을 변경하는 가변유량밸브(200); 상기 가변유량밸브(200)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 그 유량값을 조절하는 것으로, 수동으로 조절되는 수동조절부(122)가 구비된 제어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수동조절부(122)의 수동조절에 따라 상기 가변유량밸브(200)의 유량값을 일정비율로 조정하고,A supply pipe 2 through which hot water is supplied to each generation; A hot water pipe passage (4) communicating with the supply pipe (2) to allow the latent heat of the hot water to exchange heat with the room; A return pipe (5) communicating with the hot water pipe (4) and returning hot water after heat exchange; A return pipe (7) communicating with the return pipe (5) for discharging hot water discharged outside the household; An opening / closing valve (110) installed on the return pipe (5) and manually operated so as to open and close the passage of the return pipe (5); A variable flow valve (200)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2) or the return pipe (7) for changing a flow rate value of the supply pipe or the return pipe by an electrical signal; The control unit 120 is provided with a manual control unit 122 that is manually adjusted by sending an electrical signal to the variable flow valve 200 to adjust the flow rate value, and the control unit 120 includes the manual According to the manual adjustment of the adjusting unit 122, the flow rate value of the variable flow valve 200 is adjusted to a constant ratio, 상기 가변유량밸브(200)는, 입구(211)와 출구(212)가 연통되는 유로가 내부에 마련되고 그 입구(211)와 출구(212) 사이에 시트(213)가 형성된 바디(210); 상기 바디(210)의 내부 일측에 상기 입구(211)측 유압과 상기 시트(213)측 유압이 각각 작용하도록 유압통로가 형성된 챔버(220); 상기 챔버(220)가 구획분리되도록 설치되어 그 양측으로 상기 입구(211)측 유압과 상기 시트(213)측 유압이 각각 작용되며, 그 압력차에 의해 변형되는 다이아프램(230); 상기 다이아프램(230)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220)에서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시트(213)에서 출구(212) 쪽으로 통하는 단면적을 조절하도록 탄성 설치된 이동체(240); 상기 바디(210)의 타측에서,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입구(211)에서 시트(213) 쪽으로 통하는 단면적을 조절하는 액츄에이터(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조절식 정유량 제어장치.The variable flow valve 200 may include: a body 210 hav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an inlet 211 and an outlet 21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seat 213 formed between the inlet 211 and the outlet 212; A chamber 220 in which a hydraulic passag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210 so that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inlet 211 side and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seat 213 side are respectively acted on; The diaphragm 230 is installed so that the chamber 220 is separated,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inlet 211 side and the sheet 213 side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both sides thereof, and is deform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A movable body 240 coupled to one side of the diaphragm 230 and elastically installed to adjust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sheet 213 toward the outlet 212 by a pressure difference in the chamber 220; And an actuator (250)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210) to adjust the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inlet (211) toward the seat (213) by an electrical signal. 삭제delet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240)는,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movable body 240, 상기 다이아프램(230)에 결합되는 헤드부(241);A head portion 241 coupled to the diaphragm 230; 상기 헤드부(241)로부터 상기 시트(213)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다이아프램(230)의 변형에 따라 상기 시트(213)에서 출구(212) 쪽으로 통하는 단면적을 조절하는 스템부(242);A stem portion 242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241 toward the seat 213 to adjus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heet 213 toward the outlet 212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diaphragm 230; 상기 다이아프램(230)을 기준으로 양측 압력이 동일할 때 상기 이동체(240)가 복원되도록 상기 이동체(240)와 챔버(220)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2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조절식 정유량 제어장치.And an elastic member 243 disposed between the movable body 240 and the chamber 220 so that the movable body 240 is restored when both pressures are the same with respect to the diaphragm 230. Adjustable static flow control.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250)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actuator 250, 상기 제어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20)의 전기신호를 운동력으로 변환하는 구동본체(251);A driving body 25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0 to convert an electrica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20 into kinetic force; 상기 구동본체(25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바디(210)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입구(211) 쪽에서 상기 시트(213) 쪽으로 통하는 단면적을 조절하기 위해 이동되는 이동로드(2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조절식 정유량 제어장치.A moving rod 252 extending from the driving body 251 to be inserted into the body 210 and moving to adjust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211 toward the seat 213. A manually adjustable constant flow control device.
KR1020090096123A 2009-10-09 2009-10-09 Apparatus for control constant flow having manual adjusting valve KR1011343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123A KR101134314B1 (en) 2009-10-09 2009-10-09 Apparatus for control constant flow having manual adjusting val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123A KR101134314B1 (en) 2009-10-09 2009-10-09 Apparatus for control constant flow having manual adjusting val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925A KR20110038925A (en) 2011-04-15
KR101134314B1 true KR101134314B1 (en) 2012-04-13

Family

ID=44045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123A KR101134314B1 (en) 2009-10-09 2009-10-09 Apparatus for control constant flow having manual adjusting val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31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624B1 (en) * 2013-06-21 2014-08-25 김남용 A hot water heating system
KR102189318B1 (en) * 2020-03-10 2020-12-09 우영산업(주) Saw blade cutting device with hydraulic cylinder flow contro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192A (en) * 2007-03-15 2008-09-19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Control system for heating and the same control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192A (en) * 2007-03-15 2008-09-19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Control system for heating and the same control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624B1 (en) * 2013-06-21 2014-08-25 김남용 A hot water heating system
KR102189318B1 (en) * 2020-03-10 2020-12-09 우영산업(주) Saw blade cutting device with hydraulic cylinder flow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925A (en) 201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588B1 (en) Apparatus for automatic control of constant flow
DK1754004T3 (en) Cooling and / or heating device
AU2011267414B2 (en) Fluid flow control system
KR101528799B1 (en) Hot water distribution system with individual constant flow valve
KR19980703767A (en) Thermostatic Tap Mixing Valve
KR101216955B1 (en) Apparatus for heating control
KR101181490B1 (en) Auto-control heating system of district heating and control method for heating
KR101134314B1 (en) Apparatus for control constant flow having manual adjusting valve
KR20160074935A (en) Active heating control system using a flow sensor
KR101134313B1 (en) Apparatus for control of pump and constant flow valve
KR20130076841A (en) A water saving system
KR100986091B1 (en) Apparatus for automatic control of constant flow
KR100865948B1 (en) A minute flux control and a noise prevention system of hot water distributor using an electric motor valve
KR101109684B1 (en) Apparatus for control of constant flow
JP3485216B2 (en) Water supply / hot water supply system
JP2669084B2 (en) Fluid control valve
EP3407153B1 (en) Control of pressure controller at border values
KR20120132153A (en) Individual heating control method using heating water supply and differrntial pressure of returning-water
JPH0356384B2 (en)
RU2674805C1 (en) Discharge unit with single connection
NO853360L (en) DEVICE FOR A DETERMINED VOLUME SPEED OF A LIQUID MEDIUM USING A SERVICE LEAD, AND ITS APPLICATION FOR REGULATION FORM OR MEASUREMENT OF HEAT QUANTITY
KR100708451B1 (en) Flux division device of heating system
JP2023086015A5 (en)
JPH03181744A (en) Hot-water supply apparatus
IE85128B1 (en) Water hea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