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106B1 - Value Engineering System and Method on the Same - Google Patents

Value Engineering System and Method on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106B1
KR101134106B1 KR1020100070398A KR20100070398A KR101134106B1 KR 101134106 B1 KR101134106 B1 KR 101134106B1 KR 1020100070398 A KR1020100070398 A KR 1020100070398A KR 20100070398 A KR20100070398 A KR 20100070398A KR 101134106 B1 KR101134106 B1 KR 101134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st
construction
type
construction c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3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9766A (en
Inventor
이기상
Original Assignee
이기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상 filed Critical 이기상
Priority to KR1020100070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106B1/en
Priority to PCT/KR2011/000963 priority patent/WO2011099826A2/en
Publication of KR20120009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7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1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종별-공간별 원가 내역 정보를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생성하여 정밀한 VE를 즉시로 지원할 수 있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특히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와 "건설 기술 개발 보상 제도"에 기초한 건설 VE를 위한 원가 분석과 이외의 설계 변경, 건축물의 전체 또는 부분적 성능 개선, 리모델링 공사 등의 각종 제안의 비교 등 아주 다양한 분야에 걸쳐 그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capable of immediately supporting precise VE by generating cost breakdown information for each work type and space for each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system.
By utilizing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proposals such as cost analysis and other design changes, improvement of the overall or partial performance of the building, remodeling work, etc., especially for the construction VE based on the "review of the economics of the design" and the "construction of the construction technology development compensation". It can be applied to a wide variety of fields, such as comparison.

Description

건설 VE 지원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Value Engineering System and Method on the Same}Construction Engineering Suppor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Value Engineering System and Method on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 VE 지원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종별-공간별 원가 내역 정보를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생성하여 정밀한 VE를 즉시로 지원할 수 있는 건설 VE 지원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supporting construction VE support information, and more specifically, construction VE suppor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apable of immediately supporting precise VE by generating construction cost-specific cost breakdown information for each construction item and its construction cost. It is about the system.

VE(Value Engineering)는 일반적 개념은 로렌스 마일스(Lawrence D.Miles)가 제창한 바와 같이, 제품을 구입하는 고객은 그 제품의 기능을 사는 것이기 때문에, 획득 가능한 자재, 장비, 인력으로 어떻게 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느냐에 근거를 두고 출발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대체안의 창출 및 개발에 있어서 제품중심의 유형적 사고를 기능 중심의 무형적 사고로 전환하는 것이며, 점차 기능의 개념이 가치의 개념으로 확대되어 재정립되는 것이다. VE는 "최저의 생애 주기 비용(Life Cycle Cost : 이하 LCC라 한다)으로써 필요한 기능을 확실히 달성하기 위하여 제품이나 서비스의 기능 분석에 쏟는 조직적인 노력이다" 라고 정의하고 있다.Value Engineering (VE) is a general concept, as Lawrence D.Miles advocates, so that the customer who buys a product buys the product's functionality, so that the ability to obtain that functionality with available materials, equipment, and personnel It's based on what you can offer. In other words, in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alternatives, product-oriented tangible thinking is transformed into functional-oriented intangible thinking, and the concept of function is gradually expanded and redefined as a concept of value. VE is defined as "organizational effort to analyze the function of a product or service to ensure that it achieves the required function at the lowest life cycle cost."

건설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VE를 단순한 설계 검토나 원가 절감 수단으로 잘못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물론 VE가 결과적으로 원가 절감 효과를 가져오는 것은 사실이지만 기능 중심의 검증을 통하여 시간, 성능, 비용 간의 적절한 균형을 추구하므로, VE에서 제시하는 대안은 최적안(Optimum Solution)이지 최선안(Best Solution)은 아니라 할 수 있다. 따라서 VE를 통한 원가 절감이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팀 접근을 통해 불필요한 기능을 찾아서 제거하는 기법이기 때문에, 기능 정의와 기능 분석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VE의 성패가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종래의 원가 절감 방식은 프로젝트 수행 주체에 따라 구성 요소별로 원가를 절감시키려고 하였으나, VE를 적용한 방식에서는 기능을 구분하여 기본 기능과 필수 2차 기능은 유지하되 불필요한 기능은 제거하고 설계 착상에 의한 기능은 다른 대체안으로 구성함으로써 제품이나 프로젝트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Construction workers have often mistaken VE for simple design reviews or cost savings. Of course, it is true that VE will result in cost savings, but since the function-based verification seeks a proper balance between time, performance, and cost, the VE proposed alternative is the Optimal Solution, the Best Solution. Can). Therefor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cost reduction through VE is a technique by which experts in various fields find and remove unnecessary functions through team approach, and the success or failure of VE depends on how to define and analyze functions. The conventional cost reduction method tried to reduce the cost of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e subject of the project. However, in the VE applied method, the function is classified to maintain the basic function and the required secondary function, but the unnecessary function is removed and the function of the design concept is eliminated. It is a way to enhance the value of a product or project by constructing another alternative.

VE는 제품이나 시설이 가지고 있는 기능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정리하여 분석함으로써 필수 기능인 주기능과 2차 기능인 법적, 제도적 필요기능 그리고 고객이 필요로 하는 기능은 유지하면서, 불필요한 기능을 제거하고 설계자의 착상에 의한 기능을 대상으로 창조적 아이디어를 발상하여 대체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VE는 기존의 설계, 제품, 질서, 시스템을 무시하거나 잘못을 찾아내기보다는 기능의 필요성 여부에 주안점을 두고 개선안을 발굴하는 창조적 접근이 다른 방법에 비하여 가장 돋보이는 방식이다.By defining, arranging and analyzing the functions of the product or facility in detail, VE eliminates unnecessary functions and maintains designers' ideas while maintaining the main functions, the secondary functions, legal and institutional functions, and the functions required by customers. It aims to suggest alternatives by developing creative ideas for the function by Thus, VE is the most compelling alternative to other creative approaches to finding improvements, focusing on the need for functionality rather than ignoring or finding fault with existing designs, products, orders and systems.

과학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유통 구조가 단순화되어 가고 있는 지구촌(Global Standard) 시대에는 세계가 단일 시장으로 무한 경쟁 속에서 지속적인 매출을 증가시키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가 없다. 따라서, VE의 필요성은 생산 설비를 포함하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유통 수단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요소에 이르기까지 원가 절감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에 직면해 있기 때문에 더욱 절실하다. VE는 모든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며 고정 관념을 탈피하는 발상의 전환을 통하여 사용자 중심, 기능 중심의 접근을 사고의 기본으로 하고 있다.In the era of global standard, where the distribution structure is being simplified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world cannot survive unless it continuously increases sales in infinite competition as a single market. Thus, the need for VE is even more urgent as it faces a situation where cost savings must be made not only in hardware, including production facilities, but also in software components, including distribution means. VE is applicable to all fields, and the user-centered and functional-oriented approach is the basis of thinking through the change of ideas.

국내 설계VE 제도 1.1. 건설 기술관리법 시행령 2003년에 국토해양부에서는 건설 기술관리법 시행령 제38조의4에서부터 제39조의19까지, 15개 조항을 신설(2000.3.28)하여 공공사업 수행의 절차와 기준을 법제화하였다. 이는 예산낭비와 부실시공의 부작용을 줄이고 건설 과정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책임의식을 향상시키며, 사후관리를 강화하여 공공건설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 중 제38조의13에서는 공사비 100억 원 이상인 건설 공사의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를 시행함에 있어, 설계 대상시설물을 설계내용에 대하여 주요 기능별로 경제성 및 현장적용의 타당성(이하 "설계의 경제성 등"이라 한다)을 직접 검토하거나, 법 제22조의 규정에 의한 설계감리자 등의 전문가로 하여금 검토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Domestic Design Ve System 1.1. Enforcement Decree of the Construction Technology Management Act In 2003,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newly established 15 articles (Articles 30 to 28, 2006) from Article 38-4 to Article 39-19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Construction Technology Management Act. It aims to reduce the side effects of budget waste and subcontracting, improve the consciousness of the people who participate in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enhance the efficiency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by strengthening follow-up management. In Article 38-13, the basic design and final design of the construction work with construction cost over 10 billion won, the economic feasibility and the feasibility of applying the site by the main functions of the design target facilit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economic design") Or design experts such as design supervisors under Article 22 of the Act.

VE 대상공사의 정의 2005년 개정된 법령에서는 공공 공사 중, 총공사비가 100억 원 이상인 건설 공사의 기본 및 실시설계에 대해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를 실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VE 제안의 반영 규정 발주청이"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를 통한 제안 내용을 당해 설계내용에 반영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제안 내용의 적용이 기술적으로 곤란하거나 과다한 비용증가가 요구되는 등의 경우에는 제외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1.1.3. VE 분석 방침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의 시기, 횟수, 대가기준 및 구체적인 검토 방법과 절차 등에 관한 필요사항은, 설계의경제성등검토에관한시행지침, 에 따르고, 그 수행결과에 대해서는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제출되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1.2.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 시행지침 국토해양부는 건설 기술관리법시행령제38조13의 규정을 통하여 공공건설사업의 예산절감, 기능향상, 구조적 안전, 품질확보를 목적으로, 설계VE 수행절차와 업무내용 등을 구체화한 "설계의경제성등검토에관한시행지침(이하 "시행지침"이라 함)"을 수립하고 고시하였다.Definition of VE Projects The legislation revised in 2005 stipulates the economic and economic considerations of basic and final designs for construction projects with a total construction cost of over 10 billion won. In addition, the VE Proposal Revision Regulation Ordering Office is required to reflect the contents of the proposal through the "Review of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design" to the design content, but the application of the proposal content is technically difficult or excessive cost increase is required. It states that it can be excluded. 1.1.3. VE analysis policy The requirements for the timing, frequency, consideration criteria, and specific review methods and procedures of the "review of economics, etc." of the design shall be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for reviewing the economics, etc. of the design. It must be submitted to. 1.2. Review of economic feasibility, etc. Enforcement Guidelines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through the provisions of Article 3813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Construction Technology Management Act, will carry out design VE execution procedures and work contents for the purpose of budget reduction, functional improvement, structural safety, and quality assurance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A detailed implementation guideline on the review of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desig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guideline) was established and published.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미국의 시공 VE 제도(VECP)와 유사한 기술 개발 보상 제도가 오래전부터 시행되어 오고 있다. 기술 개발 보상 제도는 계약 상대자가 신청한 새로운 기술, 공법 등(정부 설계와 동등 이상의 기능, 효과를 가진 기술, 기자재 등을 포함)을 사용함으로써 공사비의 절감, 시공 기간의 단축을 기함으로써 건설 기술의 개발을 고취시키고 국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시행되고 있다. 1999년 12월에 개최된 "건설 산업의 예산절감사례 발표회" 자료에 따르면, 건설 교통부 산하 기관의 예산 절감 수범 사례로서 공법 변경 및 시공 방법 개선 등을 통해 총 6, 274억 원의 예산을 절약하여 사례당 평균 약 298억 원(10%)의 예산절감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도로공사는 1997년부터 2002년까지 총 757건의 설계 VE를 통하여, 5,745억 원을 절감하였다고 발표한 바 있으며, 투자 대비 회수율(ROI) 측면에서 보면, 2003년의 경우 4.8억 원을 투자하여 151억 원을 절감하여 ROI 31이라는 큰 성과를 얻기도 하였다. 이는 그동안 건설 교통부에서 지속적으로 추진하여온 공공 건설 사업 효율화 종합 대책과 기술 개발 보상 제도 및 예산성과금 지급 제도 등의 제도적 성과가 점차 가시화되어 나가고 있는 것으로서, 향후 공공 건설 사업 추진 및 예산 집행에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기 부여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On the other hand, technology development compensation system similar to the US construction VE system (VECP) has been implemented in Korea for a long time. The technology development compensation system uses new technologies and construction methods (including functions and functions equivalent to those of government design, equipment, equipment, etc.) applied by the contract partner to reduce construction costs and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It is being implemented to inspire development and increas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on the Case of Budget Reduction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eld in December 1999,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s budget was an example of savings in the budget of KRW 62.7 billion through changes in construction methods and improvement of construction methods. The average savings were about 29.8 billion won (10%) per case. Meanwhile, Korea Highway Corporation announced that it saved 575 billion won through a total of 757 design VE from 1997 to 2002. In terms of return on investment (ROI), in 2003, it invested 480 million won. As a result, the company saved KRW 15.1 billion, resulting in a big ROI 31. This is the result of systematic measures such as comprehensive measures for efficiency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technology development compensation system, and budget performance payment system, which have been continuously pursued by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It will be motivated to do so.

현재 건설 공사에서 관급 공사의 경우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에 의거 "원가 계산"에 의한 예정 가격의 작성준칙에 따라 예산 편성, 발주, 계약관리등의 각종 행정행위를 진행한다. 원가 계산의 요율의 차이는 있겠지만 민간건설 공사도 상기의 공사 원가의 틀 속에서 공사내역서를 작성하여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공사내역서의 작성은 기술별, 대공종, 소공종, 항목별 로 물량을 집계 후 단가(자재비, 노무비, 경비)를 적용하여 직접비 내역서(원가연결)를 작성하여 집계한 후 최종 집계표의 갑지로 각종 간접비 원가 요율을 적용하여 당해 프로젝트의 원가 계산 내역서를 작성하여 총 공사비를 제시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내역 시스템은 다양한 분야에서 세부 공간의 총원가를 파악하는 데 아래와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기도 한다.In the current construction work, various administrative acts such as budgeting, ordering, and contract management shall b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rules for the preparation of the planned price by the "cost calcul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act on State Contracting Party". Although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 rate of cost calculation, private construction works are doing the same work by drawing up a construction statement in the framework of the above cost. In order to prepare such a construction statement, the amount is collected by technology, large construction type, small construction type, and item, and then the unit price (material cost, labor cost, expense) is applied and the direct cost statement (cost consolidation) is collected and aggregated. It is a method of presenting the total construction cost by preparing a cost calculation statement of the project by applying various overhead cost rates. Such a historical system may have the following problems in identifying the total cost of detailed space in various fields.

현재 발주 금액 100억 이상의 관급 공사에서 VE 기법을 통한 원가 절감 및 품질 개선을 위한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에서 당초 설계서의 원가 계산서와 내역서가 세부 공간별, 항목별로 분류되어 있지 않고, 분류 자체도 불가능하여 원가 분석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계의 경제성 등의 검토"를 위한 원 설계안의 원가 분석과 대안(개선)설계안의 원가 비교를 위해서는 기존의 내역서를 기초로 하지만 각 세부 공간별 항목별로 공사비 내역과 원가 계산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재산출하여야만 한다. 또한 건설 기술 개발 보상 제도에 근거한 시공 VE 역시 상기 설계 VE와 마찬가지로 현재의 공사비 내역서 및 원가 계산서를 기초로 원가 분석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세부 공간별, 항목별 원가 분석이 불가능하다. VE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설계 경제성 등의 검토에서 예시하였듯이 각 세부 공간별 항목별로 공사비 내역 및 원가 계산을 다시 산출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난해하고,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야만 정밀한 VE가 가능하다.In the "Review of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design" for cost reduction and quality improvement through the VE technique, the cost statement and the statement of the original design are not classified by detailed space and by item, and the classification itself Cost analysis is impossible because it is impossible, and the cost analysis of the original design plan for "review of the economics of the design" and the cost comparison of the alternative (improvement) design plan are based on the existing details, but the cost details for each detailed space item Cost calculations must be manually recalculated.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VE based on the construction technology development compensation system, like the design VE, is required to perform a cost analysis based on the current construction cost statement and the cost statement, and thus, it is impossible to analyze the cost by detailed space and item. In order to perform the VE, as illustrated in the above design economics and the like, the cost details and cost calculations have to be recalculated for each detailed space item, and thus, the VE is very difficult and requires a lot of time.

도 1은 기존의 건설 공사 공사비 내역서 작성 프로세스에 관한 도면이다. 기존의 프로세스에서는 직집비에 대한 상위 공간별로의 집계 및 공종별 집계가 끝난 집계된 직접비에 원가 요율을 처리하여 간접 공사비 등과 같은 전체 공사비에 관련되는 공사 원가 내역서를 계산하므로, 세부 공간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내역 분개 및 정밀한 원가 계산이 안 되어 세부 공간별로의 총공사비 파악이 불가능하게 된다.1 is a view of the existing construction work construction cost statement creation process. The existing process calculates the cost of construction cost related to the total construction cost such as indirect construction cost by processing the cost rate to the aggregated direct cost for the direct cost and the aggregated direct cost. It is impossible to grasp the total construction cost by detailed space due to the breakdown of journal entry and precise cost calculation.

도 2는 도 1의 프로세스로 작성된 공사 원가 계산서의 일례로, 직접 공사비 집계 후 원가 계산 후 총공사비의 파악이 가능하며, 세부 공간별, 내역 분개 및 원가 계산이 안 되어 세부 공간별로 총공사비 파악이 불가능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기존의 원가 내역서로 직접비 집계표의 일례로, 항목별, 세부 공간별로 총공사비 대비 원가 분석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직접 공사비 집계 금액만이 나와 총공사비 대비 원가 분석이 불가능하며, 도 4에서와 같이 종래의 직접비 내역서로 각 공종별 내역서는 직접비만 표현되어 있어, 총공사비 대비 원가 분석이 불가능하다. 2 is an example of a construction cost statement created by the process of Figure 1, it is possible to grasp the total construction cost after the cost calculation after direct construction of the cost calculation, and the total construction cost grasp by the detailed space because of the detailed space, breakdown journal entry and cost calculation It shows the impossible. As an example of the direct cost calculation table as an existing cost statement as shown in FIG. 3, not only the cost analysis of the total cost of construction by item and detailed space is possible, but also the cost of the total cost of construction is not available. As in the conventional direct cost statement, each business type statement is expressed only direct costs, it is impossible to analyze the cost of the total construction cost.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종래의 VE 수행 중 비용 모델의 공종별 공사비 산출 시 내역서의 직접비 금액에 간접비는 적절히 추정하여 분개하므로, 정밀한 공종별 총원가 산출에 오류가 발생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종래의 VE 수행 시 기능 평가 작성 시 기능 평가의 금액도 역시 도 5에서의 비용 모델에서 그 금액을 가져오므로 정밀한 항목별 총원가 산출에 애로가 있고, 공간별 구분이 안 되어 기능별 금액 분개가 별도의 수작업을 통하여야만 가능하고 정확한 기능별 금액 분개가 안 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since the indirect costs are appropriately estimated and resent the direct cost amount of the statement when calculating the cost of each model of the cost model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conventional V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n error occurs in accurate total cost calculation for each type of work.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amount of function evaluation when preparing a function evaluation when performing a conventional VE also brings the amount from the cost model of FIG. 5, thus making it difficult to accurately calculate the total cost of each item. It is not possible to do this by a separate manual manual, which is not accurate.

나아가, 도 7에서와 같이 종래의 VE 수행 시 생애 주기 비용 분석 시 기존의 공사비가 세부 공간별-항목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 원 설계안의 세부 공간별-항목별 공사비 분개가 어렵고 직접비 분개 후 간접비는 적절히 추정 분개하여, 정밀한 항목별 총원가가 파악이 어렵다. 이 경우 대안(개선안)의 세부공간별-항목별 공사비 산출도 원 설계안과 마찬가지로 직접비 분개 후 간접비는 적절히 추정 분개하여, 정밀한 항목별 총원가가 산출에 애로가 있고, 이로 인한 절감 예상액 산출도 오차 발생 가능성이 크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종래의 VE 제안서 작성 시 VE 수행 항목의 공사비의 생애주기분석에서 기존의 공사비가 세부공간 항목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 원 설계안의 세부공간별 항목별 공사비 분개가 어렵고 직접비 분개 후 간접비는 적절히 추정 분개하여, 정밀한 항목별 총원가가 파악이 어렵게 된다. 그리고, 도 9에서와 같이 종래의 VE 수행 과정의 공사 비용 산출서 작성 시 VE 수행 항목의 공사비의 생애 주기 분석에서 기존의 공사비가 세부공간별- 항목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 원 설계안의 세부공간별 항목별 공사비 분개가 어렵고 직접비 분개후 간접비는 적절히 추정 분개 하여, 정밀한 항목별 총원가가 파악이 어렵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 7, when the life cycle cost analysis is performed in the conventional VE, the existing construction cost is not classified by sub-space-item, so it is difficult to reconstruct the construction cost by sub-space-item of the original design, and the indirect cost after the direct cost journaling is appropriate. By estimating the journal entry,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precise total cost of each item. In this case, the calculation of construction cost by subspace-item of the alternative (improvement plan) is similar to the original design, and the indirect cost after the direct cost journalization is properly estimated by the journal entry, which leads to the difficulty in calculating the precise total cost of each item. high portential. On the other hand, in the life cycle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VE performance items when preparing the conventional VE proposal as shown in FIG. Overhead costs are appropriately estimated by the journal entry, making it difficult to determine the precise total cost of each item. And, in the life cycle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VE performance items when preparing the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of the conventional VE performance process as shown in Figure 9, the existing construction costs are not classified by sub-space-item items by sub-space of the original design plan It is difficult to reconcile the construction costs by each, and the indirect costs after the direct expiration are properly estimat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determine the precise total cost of each item.

이에 VE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기존의 내역서의 단가 및 세부 공간의 정보를 활용하여,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공종별-공간별 건설 VE 지원 시스템을 기반으로 원 설계안 분석과 대안(개선)설계안의 분석이 즉시 가능한 건설 VE를 위한 원가 분석 시스템을 제안하여 건설 산업 발전에 미약하지만 일조하고자 한다.
In order to perform VE smoothly, the original design analysis and alternative (improvement) design analysis can be analyzed on the basis of easy, fast and accurate construction-VE construction support system based on the unit price and detailed space information of the existing statement. We propose a cost analysis system for a ready-to-use construction VE, but it will help to weaken the development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KRKR 10200100078181020010007818 AA KRKR 10200100926381020010092638 AA KRKR 10-0900315-000010-0900315-0000 BB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종별-공간별 원가 내역 정보를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생성하여 정밀한 VE를 즉시로 지원할 수 있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sent a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that can support the precise VE immediately by generating the cost breakdown information for each construction type-space for each construction cost ite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공종별-공간별 원가 내역 정보를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생성하여 정밀한 VE를 즉시로 지원할 수 있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a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capable of immediately supporting precise VE by generating cost breakdown information for each work type and space for each construction cost item.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 VE 지원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설 VE 지원 시스템이 (A) 적어도 1회 이상에 걸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에 대한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제1 입력 정보로 입수 받는 단계; (B) 적어도 1회 이상에 걸쳐 상기 공종,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변동 정보를 제2 입력 정보로 입수 받는 단계; (C) 상기 제1 입력 정보로 기설정된 제1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제2 입력 정보로 기설정된 제2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되는 원가 내역 정보 및 상기 (D) 단계에서 생성되는 원가 내역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기설정된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가 정보는 직접 공사비 정보를 구성하는 공종별 자재비 정보, 공종별 노무비 정보, 및 공종별 경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원가 요율 정보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 및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의 값을 계산하기 위한 규칙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을 제시한다.In order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the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A) at least one or more types of work-space-specific quantity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model Receiving unit price information and cost rate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as first input information; (B) receiving, as at least one or more times, variation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work type, work type-space quantity information, work type unit price information, and cost rate information as second input information; (C) generating first cost breakdown information preset as the first input information; (D) generating second cost detail information preset as the second input information; And (E) generating predetermined analysis information with reference to any one or more of the cost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step (C) and the cost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step (D). Includes any one or more of material cost information, labor cost information, and expense information for each type constituting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is a rule for calculating an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and a value of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is included.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에서 상기 공종은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종 분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공종 분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에서 상기 공간은 공간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간 분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공간 분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work-space-specific quantity information, the work is to include any one or more of at least one or more higher work classification and at least one lower work classification in the work classification system, wherein the space in the space-specific quantity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or more upper spatial classification and at least one or more lower spatial classification on the spatial classification system.

상기 하위 공간 분류는 부위(element)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ubspace classification comprises an element.

상기 (A) 단계에서 입력받는 정보는 원 설계안과 관련된 정보인 것이며, 상기 (B) 단계에서 입력받는 정보는 상기 원 설계안에서 변동이 발생한 대안 설계안과 관련된 정보인 것이며, 상기 분석 정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점을 기준으로 한 상기 원 설계안과 관련된 집계 정보 및 상기 대안 설계안과 관련된 집계 정보가 더 포함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information received in the step (A)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design, the information received in the step (B)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alternative design has a change in the original design, at least one or more include in the analysis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ggreg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design based on the viewpoint and the aggreg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lternative design are further included.

상기 관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간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간 분류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종 분류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사비를 구성하거나 공사비 분류 체계상의 공사비 항목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spect is at least one or more parent-child spatial classifications in at least one given or selected spatial classification scheme, at least one or more parent-child engineering classifications in at least one or more given or selected engineering classification schemes and at least one given or selec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struction cost or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list of construction cost items in the construction cost classification system.

상기 원가 요율 정보는 공사 규모 및 공사 유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것이며, 상기 단가 정보에는 직접 공사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에는 상기 직접 노무비 정보를 입력 변수값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이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입력된 단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상기 규칙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st rate information is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construction scale and construction type, the unit price information includes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and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includes at least the direct labor cost information as an input variable value. One or more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s are included, and in the generating of the cost details information in the steps (C) and (D),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for each type of work is referred to by referring to the unit price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Generating information first, and constructing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industry by using the generated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and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and generating the cost detail information using the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Generating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is based on the input unit price information. For reference,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by processing the rule information for each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생성 규칙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상기 공종별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생성 규칙 정보로 상기 건설 감정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건설 감정 원가 내역 정보의 생성 시 상기 간접 공사비 생성 규칙 정보로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를 선행적으로 생성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generating of the cost detail information in the steps (C) and (D),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generation rule information for each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ituting item referring to the unit price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is first generated, and then the The construction appraisal cost details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and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generation rule information for each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and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is preliminarily used as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generation rule information when the construction evaluation cost detail information is generated. It is preferable to produce.

상기 (B) 단계 실시 이전에, 상기 (C) 단계가 먼저 실시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B) 단계 및 상기 (D) 단계 실시 이전에 상기 (E) 단계가 먼저 실시되는 것인 것이며, 이 경우, 상기 (E) 단계의 상기 기설정된 분석 정보는 공종별 공사비에 관련된 비용 모델 및 기능 평가에 관련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Before step (B), step (C) is to be carried out first, step (E) is to be carried out before step (B) and step (D), and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analysis information of the step (E) is preferably to generate any one or more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st model and function evaluation related to the construction cost for each type of work.

상기 (A) 단계에서 입력받는 정보는 원 설계안과 관련된 정보인 것이며, 상기 (B) 단계에서 입력받는 정보는 상기 원 설계안에서 변동이 발생한 대안 설계안과 관련된 정보인 것이며, 상기 기설정된 분석 정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점을 기준으로 한 상기 원 설계안 및 상기 대안 설계안과 관련된 분석 정보인 것이며, 상기 관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간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간 분류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종 분류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사비를 구성하거나 공사비 분류 체계상의 공사비 항목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information input in the step (A)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design plan, the information input in the step (B)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alternative design plan in which the variation has occurred in the original design plan, and the preset analysis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Analysis information relating to the original design and the alternative design based on one or more viewpoints, wherein the viewpoints are given or selected by at least one or more upper-child spatial classifications in the at least one given or selected spatial classification sche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the at least one parent-child type classification and the at least one given or selected construction cost on the type classification system, or by the cost item on the construction cost classification system.

상기 분석 정보는 공사비의 생애 주기 분석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nalysis information is preferably a life cycle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cost.

(F) 입력받거나,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설정된 출력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물은 비용 모델 분석서, 기능 평가 분석서, 생애 주기 비용 분석서, VE 제안서, 공사 비용 산출서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출력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분석 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분석 정보에는 비교 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비교 정보는 상기 제1 내역 정보 및 상기 제2 내역 정보 중 어느 하나를 기설정된 기준으로 연산 처리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F) generating at least one preset output received or selected; wherein the output may be a cost model analysis, a functional evaluation analysis, a life cycle cost analysis, a VE proposal, a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or the like. The output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analysis information, and the analysis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comparison information, and the comparison information may be based on one of the first history information and the second history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hat it is generated by arithmetic processing.

상기 건설 VE 지원 시스템은 BIM 시스템과 연동하거나, 상기 BIM 시스템의 하위 시스템에서 동작하거나,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 관련 정보 처리 시스템 또는 건설 관련 설계 시스템과 연동하거나 상기 건설 관련 정보 처리 시스템 또는 상기 건설 관련 설계 시스템의 하위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interworks with a BIM system, operates in a sub-system of the BIM system, interworks with at least one predetermined construction relate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r construction related design system, or the construction relate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r the construction related. It is desirable to operate in a subsystem of the design system.

상기 원가 내역 정보는 공간별, 공사비 항목별 및 공종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집계 정보 및 재집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공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간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간 분류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종 분류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사비를 구성하거나 공사비 분류 체계상의 공사비 항목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이며, 상기 상위-하위 공간 분류에는 최하위 세부 공간 내지는 부위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상위-하위 공종 분류에는 최하위 공종 분류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재집계 정보는 상기 최하위 세부 공간별에 대한 재집계 정보인 경우, 상기 최하위 세부 공간을 하위 구성 요소로 하는 상위 단위 공간별로 적어도 1 단계 이상으로 재집계한 것이며, 상기 최하위 공종 분류별에 대한 재집계 정보인 경우, 상기 최하위 공종 분류를 하위 구성 요소로 하는 상위 공종별로 적어도 1 단계 이상으로 재집계한 것이며, 상기 공사비 항목별에 대한 재집계 정보인 경우, 상기 직접 공사비 집계 정보 및 상기 간접 공사비 집계 정보를 합산한 집계 정보 또는 상기 합산한 집계 정보에 부가세 및 기타 총원가를 구성하는 비용을 포함한 총집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st history information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ggregate information and re-aggregation information for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space, construction cost item, and type, and the space is at least one given or selected space classification. At least one parent-child space classification in the scheme, at least one or more given or selected work classification schemes, or at least one or more given or selected construction expense schemes in the scheme, It is one or more selected, and the upper-lower space classification may include the lowest sub-space or site, the upper-lower work classification is to include the lowest work type classification, the re-aggregation information The lowest three In the case of re-aggregation information for each sub-space, it is re-aggregated in at least one or more levels for each higher unit space having the lowest sub-space as a lower component, and in the case of re-aggregation information for the lowest work type classification, the lowest work type In the case of re-aggregation by at least one or more stages for each of the higher types of works having classification as a lower component, and in the case of re-aggreg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construction cost items, the aggregated information or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aggregation information obtained by adding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aggregation information Preferably, the aggregated information includes any one or more of aggreg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cost of constructing VAT and other aggregate cost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 VE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설 VE 지원 시스템은 적어도 1회 이상에 걸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에 대한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제1 입력 정보로 입수 받고, 적어도 1회 이상에 걸쳐 상기 공종,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변동 정보를 제2 입력 정보로 입수 받는 데이터 입수부; 상기 제1 입력 정보로 기설정된 제1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입력 정보로 기설정된 제2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 상기 제1 원가 내역 정보 및 상기 제2 원가 내역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기설정된 분석 정보 및 기설정된 출력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 상기 데이터 입수부가 입력받는 데이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데이터,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물 양식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DB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가 정보는 직접 공사비 정보를 구성하는 공종별 자재비 정보, 공종별 노무비 정보, 및 공종별 경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원가 요율 정보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 및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의 값을 계산하기 위한 규칙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을 제시한다.In order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the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for at least one or more types of work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or more type-space-specific quantity information, the unit price information and cost rate Receive information as first input information, and receive variation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work type, work type-space quantity information, work type unit price information, and cost rate information at least one or more times as second input information. Data acquisition unit; A cost detail basic data generation engine generating first cost detail information preset as the first input information and generating second cost detail information preset as the second input information; A VE assistance information generation engine configured to generate any one or more of preset analysis information and preset outputs with reference to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cost history information and the second cost history information; And a DB unit for storing any one or more of data received by the data acquisition unit, data generated by the cost detail basic data generation engine, data generated by the VE support information generation engine, and at least one output form data. The unit price information includes any one or more of material cost information, labor cost information, and expense information for each type constituting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calculates values of an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and an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It proposes a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more of the rule information to be included.

상기 원가 내역 정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점을 기준으로 한 상기 원 설계안과 관련된 집계 정보 및 상기 대안 설계안과 관련된 집계 정보가 더 포함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st breakdown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ggreg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st design based on at least one viewpoint and aggreg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lternative design.

상기 관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간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간 분류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종 분류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사비를 구성하거나 공사비 분류 체계상의 공사비 항목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spect is at least one or more parent-child spatial classifications in at least one given or selected spatial classification scheme, at least one or more parent-child engineering classifications in at least one or more given or selected engineering classification schemes and at least one given or selec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struction cost or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list of construction cost items in the construction cost classification system.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이 상기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 방법 및 상기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생성 규칙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상기 공종별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생성 규칙 정보로 상기 건설 감정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건설 감정 원가 내역 정보의 생성 시 상기 간접 공사비 생성 규칙 정보로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를 선행적으로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2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제1 방법에서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입력된 단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상기 규칙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hod for generating the cost detail information by the cost detail basic data generation engine may first generat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model by referring to the unit price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and generate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model and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Indirect construction cost generation rules for each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for configuring the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and generating the cost detail information using the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and referring to the unit price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first, and the construction appraisal cost detail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by the type of work and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generation rule information by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and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creation rule information when the construction evaluation cost history information is generated.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Any one of the second methods, including generating by a track, is used. The generating of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in the first method is based on the input unit price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ituting item is generated by processing the information.

상기 원가 내역 정보는 공간별, 공사비 항목별 및 공종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집계 정보 및 재집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공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간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간 분류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종 분류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사비를 구성하거나 공사비 분류 체계상의 공사비 항목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이며, 상기 상위-하위 공간 분류에는 최하위 세부 공간 내지는 부위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상위-하위 공종 분류에는 최하위 공종 분류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재집계 정보는 상기 최하위 세부 공간별에 대한 재집계 정보인 경우, 상기 최하위 세부 공간을 하위 구성 요소로 하는 상위 단위 공간별로 적어도 1 단계 이상으로 재집계한 것이며, 상기 최하위 공종 분류별에 대한 재집계 정보인 경우, 상기 최하위 공종 분류를 하위 구성 요소로 하는 상위 공사 항목별로 적어도 1 단계 이상으로 재집계한 것이며, 상기 공사비 항목별에 대한 재집계 정보인 경우, 상기 직접 공사비 집계 정보 및 상기 간접 공사비 집계 정보를 합산한 집계 정보 또는 상기 합산한 집계 정보에 부가세 및 기타 총원가를 구성하는 비용을 포함한 총집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st history information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ggregate information and re-aggregation information for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space, construction cost item, and type, and the space is at least one given or selected space classification. At least one parent-child space classification in the scheme, at least one or more given or selected work classification schemes, or at least one or more given or selected construction expense schemes in the scheme, It is one or more selected, and the upper-lower space classification may include the lowest sub-space or site, the upper-lower work classification is to include the lowest work type classification, the re-aggregation information The lowest three In the case of re-aggregation information for each sub-space, it is re-aggregated in at least one or more levels for each higher unit space having the lowest sub-space as a lower component, and in the case of re-aggregation information for the lowest work type classification, the lowest work type In the case of re-aggregation by at least one step for each higher construction item having a lower component as a classification component, and the re-aggregation information for each construction expense item, the aggregated information obtained by adding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aggregation information and the indirect construction expense aggregation information or It is preferable that the aggregated information is any one or more of total aggreg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cost of constituting VAT and other total costs.

상기 건설 VE 지원 시스템은 BIM 시스템과 연동하거나, 상기 BIM 시스템의 하위 시스템에서 동작하거나,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 관련 정보 처리 시스템 또는 건설 관련 설계 시스템과 연동하거나 상기 건설 관련 정보 처리 시스템 또는 상기 건설 관련 설계 시스템의 하위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interworks with a BIM system, operates in a sub-system of the BIM system, interworks with at least one predetermined construction relate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r construction related design system, or the construction relate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r the construction related. It is desirable to operate in a subsystem of the design system.

본원의 발명 방식에 의한 공종별-공간별 건설 VE 지원 시스템은 각 "공사 항목"의 "규격", "수량", "단가", "금액" 등의 직접 공사비 부분과 "간접 노무비", "산재, 고용보험료", "건강, 퇴직연금보험료", "안전관리비", "기타경비", "환경보전비", 등의 "경비"와 "일반 관리비", "이윤" 등의 간접 공사비, 부가세, 관급자재, 총원가 부분으로 구분되며 공사 항목의 수량과 단가를 입력하면 직접 공사비 금액이 생성되면서 간접 공사비의 원가 요율 정보를 근거로 해당 원가 셀에 수식이 자동 생성함으로써 내역서가 완성되는 원가 계산 시스템을 근간으로 하여 원 설계안 내역과 개선 설계(대안 설계)안 내역의 세부 공간별, 공종별, 항목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건설 공사의 원 설계안 분석과 대안(개선) 설계안의 정밀하고도 정확한 비교가 필요한 모든 분야에 적용이 가능해진다.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by-industry-by-work type includes direct construction cost parts such as "standard", "quantity", "unit price", "amount", etc. of each "construction item", "indirect labor cost", "industry, "Expenses" such as "employment insurance premiums", "health and retirement pension insurance premiums", "safety management expenses", "other expenses", "environmental conservation expenses", and indirect construction expenses such as "general management expenses" and "profit", VAT, subsidiary materials The total cost is divided by the total cost, and if you enter the quantity and unit cost of the construction item, the cost is generated directly, and the formula is automatically generated in the corresponding cost cell based on the cost rate information of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By analyzing the details of the original design plan and the details of the improvement design (alternative design) by detailed space, by type, and by item, it is applied to all fields that need accurate and accurate comparison of the original design plan and alternative (improved) design plan of construction work. this It becomes possible.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의 공사비에 대한 정밀하고도 정확한 비교를 통해서, 특히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와 "건설 기술 개발 보상 제도"에 기초한 건설 VE를 위한 원가 분석과 이외의 설계 변경, 건축물의 전체 또는 부분적 성능 개선, 리모델링 공사 등의 각종 제안의 비교 등 아주 다양한 분야에 걸쳐 그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rough accurate and accurate comparison of the construction cost between the original design and the alternative design, the cost analysis and other design changes for the construction VE based on the "Review of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design" and the "Construction technology development compensation system", the overall design of the building Or it can be applied to a wide variety of fields such as comparison of various proposals such as partial performance improvement and remodeling construction.

도 1은 기존의 건설 공사 공사비 내역서 작성 프로세스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프로세스로 작성된 공사 원가 계산서의 일례로, 직접 공사비 집계 후 원가 계산 후 총공사비의 파악이 가능하며, 세부 공간별, 내역 분개 및 원가 계산이 안 되어 세부 공간별로 총공사비 파악이 불가능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기존의 원가 내역서로 직접비 집계표의 일례로, 항목별, 세부 공간별로 총공사비 대비 원가 분석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직접 공사비 집계 금액만이 나와 총공사비 대비 원가 분석이 불가능한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도 4는 종래의 직접비 내역서로 각 공종별 내역서는 직접비만 표현되어 있어, 총공사비 대비 원가 분석이 불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종래의 VE 수행 중 비용 모델의 공종별 공사비 산출 시 내역서의 직접비 금액에 간접비는 적절히 추정하여 분개하므로, 정밀한 공종별 총원가 산출에 오류가 발생 가능한 것을 보여주는 예시적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VE 수행 시 기능 평가 작성 시 기능 평가의 금액도 역시 도 5에서의 비용 모델에서 그 금액을 가져오므로 정밀한 항목별 총원가가 산출에 애로가 있고, 공간별 구분이 안 되어 기능별 금액 분개가 별도의 수작업을 통하여야만 가능하고 정확한 기능별 금액 분개가 안 되는 것을 보여 주는 현재 비용 배분표의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VE 수행 시 생애 주기 비용 분석 시 기존의 공사비가 세부 공간별-항목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 원 설계안의 세부 공간별-항목별 공사비 분개가 어렵고 직접비 분개 후 간접비는 적절히 추정 분개하여, 정밀한 항목별 총원가가 파악이 어려움을 보여 주는 도면으로, 이 경우 대안(개선안)의 세부공간별-항목별 공사비 산출도 원 설계안과 마찬가지로 직접비 분개 후 간접비는 적절히 추정 분개하여, 정밀한 항목별 총원가가 산출에 애로가 있고, 이로 인한 절감 예상액 산출도 오차 발생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 주는 생애 주기 비용 분석표의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VE 제안서 작성 시 VE 수행 항목의 공사비의 생애주기분석에서 기존의 공사비가 세부공간 항목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 원 설계안의 세부공간별 항목별 공사비 분개가 어렵고 직접비 분개 후 간접비는 적절히 추정 분개하여, 정밀한 항목별 총원가가 파악이 어려움을 보여 주는 VE 제안서 예시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VE 수행 과정의 공사 비용 산출서 작성 시 VE 수행 항목의 공사비의 생애 주기 분석에서 기존의 공사비가 세부공간별- 항목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 원 설계안의 세부공간별 항목별 공사비 분개가 어렵고 직접비 분개 후 간접비는 적절히 추정 분개하여, 정밀한 항목별 총원가가 파악이 어려움을 보여 주는 공사 비용 산출서의 예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시스템이 하나의 컴퓨터(서버나 대형 시스템,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등) 내에서 작동하는 것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이 유무선 네트워크로 사용자 컴퓨터 또는 제3의 시스템과 연계되어 작동하는 것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흐름도이다. 상기 흐름도는 입력 정보를 처리하여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흐름도이다. 상기 흐름도에서는 변동 정보 발생 전에 입력 정보로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원가 내역 정보로 비용 모델용 출력물 등을 작성하고, 변동 정보가 발생하는 경우, 변동 정보를 반영하여 VE 지원 정보로 기설정된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흐름도이다. 상기 흐름도에서는 변동 정보 발생 전후에 입력 정보로 각각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각각의 원가 내역 정보로 변동 정보를 반영하여 VE 지원 정보로 기설정된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흐름도이다. 상기 흐름도에서는 변동 정보 발생 전에 입력 정보로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원가 내역 정보로 비용 모델용 출력물 등을 작성하고, 변동 정보가 발생하는 경우, 변동 정보를 반영하여 VE 지원 정보로 기설정된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또 다른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원 설계안에 대한 입력 정보로서 공종별-공간별 수량 데이터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7은 원 설계안에 대한 입력 정보로서 공종별 단가 데이터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8은 원 설계안에 대한 입력 정보로서 원가 요율 데이터의 입력에 대한 본 발명의 시스템의 입력 화면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9는 원 설계안과 관련된 생성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 예시 및 데이터 구조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9의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상기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된 다음에,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되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개념적으로 n 차원 큐브 형태의 데이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0은 원 설계안에 대하여 생성된 특정 세부 공간에 대한 공종별-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 원가 내역에 대한 본 발명의 원가 계산 내역서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으로 직접 공사비와 간접 공사비가 일목요연하게 한 행으로 표현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도 21은 원 설계안에 대하여 생성된 특정 상위 공간에 대한 공종별-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 원가 내역에 대한 본 발명의 원가 계산 내역서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22는 원 설계안에 대하여 생성된 세부 공간별 항목별 총 공사에 대한 본 발명의 원가 계산 내역서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23은 원 설계안에 대하여 생성된 상위 공간별 항목별 총 공사에 대한 본 발명의 원가 계산 내역서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24는 대안 설계안에 대한 입력 정보로서 공종별-공간별 수량 데이터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25는 대안 설계안에 대한 입력 정보로서 공종별 단가 데이터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26은 대안 설계안에 대한 입력 정보로서 원가 요율 데이터의 입력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원가 요율 데이터를 구성하는 항목 중에서 변동 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변동 사항이 입력되고, 변동 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원 설계안에서와 같은 내용이 입력된다.
도 27은 대안 설계안에 대하여 생성된 특정 세부 공간에 대한 공종별-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 원가 내역에 대한 본 발명의 원가 계산 내역서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28은 대안 설계안에 대하여 생성된 특정 상위 공간에 대한 공종별-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 원가 내역에 대한 본 발명의 원가 계산 내역서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29는 대안 설계안에 대하여 생성된 세부 공간별 항목별 총 공사에 대한 본 발명의 원가 계산 내역서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30은 대안 설계안에 대하여 생성된 상위 공간별 항목별 총 공사에 대한 본 발명의 원가 계산 내역서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VE 지원 정보로서 상위 공간별 원 설계안에 따른 총 공사비와 대안 설계안에 대한 총 공사비 및 그 차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어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의 공사비 비교가 가능한 분석 결과물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VE 지원 정보로서 세부 공간별 원 설계안에 따른 총 공사비와 대안 설계안에 대한 총 공사비 및 그 차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어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의 공사비 비교가 가능한 분석 결과물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VE 지원 정보로서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 중 차이가 나는 공종별 및 대략적인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원 설계안에 따른 공사비와 대안 설계안에 대한 공사비 및 그 차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어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의 공사비 비교가 가능한 분석 결과물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VE 지원 정보로서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 중 차이가 나는 공종별 및 세부적인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원 설계안에 따른 공사비와 대안 설계안에 대한 공사비 및 그 차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어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의 공사비 비교가 가능한 분석 결과물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35는 대안 설계안과 관련된 생성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 예시 및 데이터 구조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35의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상기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된 다음에,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되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개념적으로 n 차원 큐브 형태의 데이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1 is a view of the existing construction work construction cost statement creation process.
2 is an example of a construction cost statement created by the process of Figure 1, it is possible to grasp the total construction cost after the cost calculation after direct construction of the cost calculation, and the total construction cost grasp by the detailed space because of the detailed space, breakdown journal entry and cost calculation It shows the impossible.
3 is an example of a direct cost calculation table as an existing cost statement, and it is not only possible to analyze the cost of the total cost of construction by item and detailed space, but also shows that it is impossible to analyze the cost of the total cost of construction.
4 is a conventional direct cost statement, each type of statement is expressed only direct costs, showing that it is impossible to analyze the cost compared to the total construction cost.
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at an error may occur in accurate calculation of total cost for each type of work because the indirect cost is properly estimated and resent to the direct cost amount of the statement when calculating the construction cost for each work type of the cost model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onventional VE.
FIG. 6 shows that the amount of the functional evaluation when the functional evaluation is performed when performing the conventional VE also brings the amount from the cost model in FIG. Exemplary drawing of the current cost allocation table showing that the money journal entry is possible only through separate manual work and is not an accurate money journal entry by function.
7 is difficult to reconstruct the construction cost by sub-item-item of the original design in the life cycle cost analysis when performing the conventional VE, it is difficult to reconstruct the construction cost by sub-item-item of the original design, and the indirect costs after the direct expiration is properly estimated, This figure shows that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the total cost of each item precisely.In this case, the calculation of the construction cost by subspace-item of the alternative (improved plan) is similar to the original design.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life cycle cost analysis table showing that there is a difficulty in calculating and that the resulting savings estimates are likely to produce errors.
8 shows that in the life cycle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VE execution item, the existing construction cost is not divided by the subspace items in the conventional VE proposal. It is an example of VE proposal that shows the difficulty of grasping precise total cost of each item.
9 shows that the existing construction costs are not classified by sub-space-item in the life cycle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VE execution items when preparing the construction cost statement of the conventional VE execution process. It is an exemplary diagram of the construction cost statement showing difficult and accurate indirect costs after direct journal entry, showing that the total cost of each item is difficult to grasp.
10 is a diagram of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one computer (server or large system, personal computer, portable computer, etc.).
11 is a diagram of another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user computer or a third system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12 is an exemplary flowchart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chart is an exemplary diagram for generating cost breakdown basic data by processing input information.
13 is an exemplary flowchart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lowchart, cost history information is generated as input information before generation of change information, and cost model output is generated using the generated cost history information. When change information occurs, the change information is reflected and preset as VE support information. Generating analysis information is illustrated by way of example.
14 is an exemplary flowchart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flowchart, cost information is generated as input information before and after vari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he analysis information preset as VE support information is generated by reflecting the change information as the generated cost history information. .
15 is an exemplary flowchart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lowchart, cost history information is generated as input information before generation of change information, and cost model output is generated using the generated cost history information. When change information occurs, the change information is reflected and preset as VE support information. Another example of generating the analysis information is shown by way of example.
FIG. 16 is an exemplary diagram of quantity data for each type and space as input information for a circle design plan.
17 is a diagram for an example of unit price data for each type of work as input information for a circle design plan.
18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input screen of 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nput of cost rate data as input information for a original design.
19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example and data structure in generated cost breakdown based data associated with a circle design. 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of FIG. 19 first generates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model by referring to the unit price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and then constructs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model using the generated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model and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is generated using the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The cost breakdown underlying data may conceptually have a data structure in the form of an n-dimensional cube.
20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ost calculation stat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construction cost breakdown by construction type-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for a specific detailed space generated for a circle design plan, in which direct construction costs and indirect construction costs are represented in one line. Show that it is.
FIG. 2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ost calculation stat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construction cost breakdown by a construction-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for a specific upper space generated for a circle design plan.
FIG. 22 is an exemplary view of a cost calculation stat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total work for each item of each detailed space generated for the original design.
FIG. 23 is an exemplary view of a cost calculation stat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total work for each item of the upper spaces generated for the original design.
FIG. 24 is an exemplary diagram of quantity-specific data by type and space as input information for an alternative design.
FIG. 25 is an exemplary diagram of unit price data by type of work as input information for an alternative design.
FIG. 2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input of cost rate data as input information for an alternative design. If there is a change among the items constituting the cost rate data, the change is entered. If there is no change, the same content as in the original design is entered.
FIG. 27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ost calculation stat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construction cost breakdown by a construction-cost ratio construction item for a specific detailed space created for an alternative design.
FIG. 28 is an exemplary view of a cost calculation stat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construction cost breakdown by a construction-cost ratio construction item for a specific upper space generated for an alternative design.
FIG. 29 is an exemplary view of a cost calculation stat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total work for each item of detail space generated for the alternative design. FIG.
30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ost calculation stat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total work for each item of the upper space generated for the alternative design.
FIG. 31 is a VE supporting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provides information on the total construction cost and the total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design by the upper space and the alternative desig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design and the alternative design. Example drawing.
32 is a VE support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on the total construction cost and the total cost of the alternative design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original design for each detailed space for the analysis result that can compare the construction cost between the original design and the alternative design Example drawing.
33 is a VE support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difference for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alternative design plan according to the original design proposal by the construction type and the rough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which is different between the original design plan and the alternative design plan. One exemplary diagram of analytical results for comparison of cost of alternative designs.
34 is a VE support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difference for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alternative design plan according to the original design proposal by the construction type and detailed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s that differ between the original design plan and the alternative design plan One exemplary diagram of analytical results for comparison of cost of alternative designs.
3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example and data structure in generated cost breakdown based data associated with an alternative design. 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of FIG. 35 first generates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model by referring to the unit price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and then constructs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model using the generated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and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model. 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is generated using the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The cost breakdown underlying data may conceptually have a data structure in the form of an n-dimensional cube.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it demonstrates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도 10은 본 발명의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다른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10은 사용자 컴퓨터(2000)(PC,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또는 서버 등의 기타 컴퓨터 등) 내에서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구동되는 방식에 관한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것이며, 도 11은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다수의 사용자 컴퓨터(2000)와 유무선 네트워크(3000)로 연결되어 있는 가상 공간상의 서버에서 구동하는 방식에 관한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0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도 10의 방식과 차이가 나는 도 11의 특유한 것에 대해서는 별도로 설명한다.FIG. 10 is a diagram of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diagram of another exemplary configuration of 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llustrates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how 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000 is operated in a user computer 2000 (such as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PC, a notebook computer, a smartphone, or other computer such as a server, etc.). FIG. 11 relates to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000 that is driven by a server in a virtual spac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user computers 2000 and a wired or wireless network 3000.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10, and details of FIG. 11 that differ from the method of FIG. 10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도 10에서 알 수 있듯이,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는 데이터 입수부(1110);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 및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130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DB(1400)부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선택적으로 사용자와의 원활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1100) 인터페이스 모듈(1100), 및 다수의 건설 감정 원가 내역 정보 처리 프로젝트 관리 등을 포함하여 각종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 모듈(1500)을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관리 모듈(1500)에는 원가 요율 정보를 관리하는 원가 요율 정보 관리부(1510)과 사용자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1520)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원가 요율 정보 관리부(1510)는 원가 요율이 변동되는 경우, 변동되는 원가 요율 정보를 관리한다.As can be seen in FIG. 10, 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000 includes a data acquisition unit 1110; The cost history basic data generation engine 1200 and the VE assistance information generation engine 1300 are included. 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000 further includes a DB 1400 unit for storing and managing various data, and optionally, an interface module 1100, an interface module 1100 for supporting a seamless interface with a user,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management module 1500 for performing various management functions,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truction appraisal cost history information processing project management. The management module 1500 may include a cost rate information manager 1510 for managing cost rate information and a user manager 1520 for managing a user. The cost rate information manager 1510 manages the changed cost rate information when the cost rate is changed.

한편, 도 11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기설정된 서버에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서버에 유무선 네트워크(3000)로 연결된 사용자 컴퓨터(2000)에서 상기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하면서 사용자가 상기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11, when 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000 operates in a predetermined server, 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ay be executed by a user computer 2000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3000. The user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000 while communicating via an interface provided by the method 1000.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100)에는 사용자 컴퓨터(2000)로부터 데이터를 입수하는 데이터 입수부(1110)가 있다. 상기 데이터 입수부(1110)는 선택적으로 특별한 형태 또는 기 설정된 형태의 폼으로 데이터를 입수하는 경우, 입수 데이터 폼을 제공하는 입수 데이터 폼 제공부(1111)와 특별한 별도 사항을 입력받는 별도 사항 입수부(1112)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100)에는 사용자가 출력 받기를 원하는 출력물의 종류 또는 상기 출력물에 포함되어야 할 요소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출력 선택 정보 입수부(1120) 및 상기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형태의 출력물을 제공하는 출력물 제공부 (1130)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The interface module 1100 includes a data acquisition unit 1110 that obtains data from the user computer 2000. When the data acquisition unit 1110 selectively obtains data in a special form or a predetermined form, an addi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which receives a special separate item from an acquisition data form providing unit 1111 providing an acquisition data form It may further include 1112. Meanwhile, the interface module 1100 includes an output selec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20 for receiving a type of output that the user wants to receive or selection information about elements to be included in the output, and an output of a preset type for the user. The output providing unit 1130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도 10 내지 도 11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DB부(140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DB(1400)는 입수 데이터 저장부(1410), 생성 데이터 저장부(14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입수 데이터 저장부(1410)에는 입력받은 단가 정보에 관한 단가 정보 데이터부(1411), 수량 정보와 관련된 수량 산출 정보 데이터부(1412), 원가 요율 정보와 관련된 원가 요율 정보 데이터부(1413) 등이 있다. 한편, 상기 DB(1400)에는 공종 분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공종 데이터부(1414)와 공간 분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 데이터부(1415)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공종 분류란 대공종-중공종-소공종-항목(품명) 등과 같이 공종의 최상위 계층부터 최하위 계층까지에 대한 공종의 분류 체계로 하나의 최하위 계층의 공종은 자신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신의 상위 공종에 속하게 된다. 상기 공간 분류란 최하위 부위 단위부터, 최상위 시설물 단위까지의 상기 시설물을 구성하는 공간에 대한 구성 체계를 말한다. 예를 들면, 도서관이라는 시설물에 대하여, 1층, 2층 및 3층은 층 단위의 공간이며, 1층을 구성하는 101호 내지 105호 등은 세부 공간이며, 101호를 구성하는 천장, 바닥, 벽체 등은 부위에 해당하는 세부 공간이 될 수 있다. 상기 생성 데이터 저장부(1420)에는 생성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나 출력물 생성부(1320)이 생성하는 출력물 정보 데이터나, 원가 내역 정보 생성 엔진(1300)이 생성하는 원가 내역 정보 데이터나 특화된 정보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다.10 to 11, 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000 includes a DB unit 1400, and the DB 1400 includes an acquisition data storage unit 1410 and a generation data storage unit ( 1420). The acquisition data storage unit 1410 includes a unit price information data unit 1411 about input unit price information, a quantity calculation information data unit 1412 related to quantity information, a cost rate information data unit 1413 related to cost rat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re is this. The DB 1400 may further include a work data unit 1414 storing information on work classification and a space data unit 1415 storing information on space classification. The work classification is a classification system of work types from the highest hierarchy to the lowest hierarchy, such as large work-heavy work-small work-item (item name) and the like. Belong to The space classification refers to a structure system for the space constituting the facility from the lowest part unit to the highest facility unit. 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facility of a library, the first floor, the second floor, and the third floor are spaces in units of floors. The wall or the like may be a detailed space corresponding to the site. The generated data storage unit 1420 may include generated cost detail basic data or output information data generated by the output generator 1320, cost detail information data generated by the cost detail information generation engine 1300, or specialized information data. It is stored.

대안 설계가 발생하는 경우, 공종(공종 분류 체계상의 하위 공종인 품명, 항목, 내역 항목, 품목, 비목을 포함한다.)에서 변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공종의 변동은 물론이며, 공종에 따른 단가 정보가 변동될 수 있으며, 때에 따라 공종별-공간별 수량이 변동될 수도 있다. 한편, 변경 설계 시 등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원가 요율이 변동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변경 설계는 1차 또는 n차 이상 발생할 수 있으며, 각 차수마다 변동 정보는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 등에 따라 몇 개의 차수를 묶어서 1개의 큰 차수 단위로 정보 처리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DB부(1400)는 상기 단가 정보, 공종별-공간별 공사 수량, 원가 요율 등에서 변동이 있을 경우, 변동을 공종을 기준으로는 물론이며, 대안 설계의 차수별로도 관리할 수 있다. If an alternative design occurs, variations will occur in the type of work (including sub-names, items, breakdown items, items, and items of the subclasses in the work classification system), in which case, as well as changes in the type of work, According to this, the unit price information may change, and in some cases, the quantity per work-space may vary. Meanwhile, the cost rate may change based on a specific time point such as when designing a change. The change design may occur more than one order or n times, and varia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for each order, and several orders may be group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processed in one large order unit. At this time, the DB unit 1400, if there is a change in the unit price information, work-by-sector-specific construction quantity, cost rate, etc., the change can be managed not only on the basis of the model, but also by the order of the alternative design.

이어, 본 발명의 상기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12 to 15 are flowcharts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최초 입력되는 부위별-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사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로부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상기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확장 단가 정보와 상기 수량 산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한다. 상기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부위별-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입수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은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공종별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S11)하여,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S12)하고, 상기 확장 단가 정보와 상기 공종별 수량 산출 정보를 사용하여 기 설정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S13)한다.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000 generates cost breakdown basic data from firstly inputted part information, sector information, and space-specific quantity information, construction unit price information, and cost rate information. 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first generates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by referring to the unit price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and generates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using the generated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and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is generated by referring to the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and the quantity calculation information using unit price information. 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000 obtains quantity information for each part-type-specificity-space,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type, and cost rate information. As shown in FIG. 12, the cost detail basic data generation engine 1200 of 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000 may refer to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ituent item by referring to the unit price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for each model. Generate (S11), and construct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construction by using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construction typ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per item and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construction item directly (S12), and use the expansion unit price information and the quantity calculation information for each construction type. In step S13, preset cost detail basic data is generated.

상기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최초 입력되는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사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로부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상기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한다.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000 generates 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from the first-type quantity-specific quantity information, construction unit price information, and cost rate information. 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first generates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by referring to the unit price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and generates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using the generated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and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is generated using unit price information.

먼저 데이터의 입력부터 설명한다. 상기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입수한다. 한편, 상기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입수하는 정보에는 공간 분류에 관한 정보가 추가적으로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공간 분류에 관한 정보는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같은 별도의 데이터로 입력될 수도 있다. 공간 분류 체계별 공사비 내역 정보의 생성을 위해서는 상기 공간 분류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입력 데이터로 하기 표 1과 같은 시설물 세부 공간별 위치 정보(공간 구성 정보)의 일례와 도 16의 공종별-공간별 수량 산출 정보가 있다. (도 16에서는 101호 내지 105호의 합계로 101동의 1층을 구성한다는 정보가 나타나 있지 않지만, 이러한 공종별-공간별 수량 산출 정보에 이러한 공간 구성 정보가 나타날 수도 있다.)First, data input will be described. 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000 obtains quantity information for each type-space,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type, and cost rate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000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the space classification, the information on the space classification may be included in the quantity information for each type-space It may also be input as separate data. In order to generate construction cost breakdown information for each space classification system, information about the space classification should be input. As input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xampl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space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each facility-specific space as shown in Table 1 below, and the quantity-specific calculation information for each model-space in FIG. 16. (In FIG. 16,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first floor of 101 is formed by the sum of 101 to 105 is not shown. However, such space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appear in the quantity calculation information for each work type and space.)

101동101 buildings 1층First floor 101호No. 101 102호No. 102 103호No. 103 104호104 105호No. 105 101동101 buildings 2층Second floor 201호201 202호No. 202 203호No. 203 204호No. 204 205호No. 205 101동101 buildings 3층3rd Floor 301호301 302호302 houses 303호No. 303 304호304 305호305

상기 표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동은 1층 내지 3층으로 구성되고, 1층은 101호 내지 105호로 구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101호 내지 105호 등과 같은 세부 공간별 위치 정보 데이터를 통하여 각 세부 공간은 각 동별 또는 각 건물별로의 소속/분류 정보가 더 입력되어 공간 데이터부(1415)를 구성하게 된다. 만약, 상기 도 16에는 세부 공간별 수량 산출 정보가 대응되어 있는데, 만약 상기 수량 산출 정보에서 상기 세부 공간의 상위에 해당하는 층별 집계가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있거나, "동"의 상위에 해당하는 다른 공간별 부분 집계가 있는 경우, 상기 집계 정보로서 표 1 에 대응되는 시설물 세부 공간별 위치 정보(공간 구성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표 1 및 도 16의 데이터가 있거나 또는 도 16의 데이터에 공간 구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집계 정보가 추가적으로 더 포함되어 있는 경우, "공종:임의 단위의 공간"에 대한 대응 정보가 생성되게 된다. 이러한 세부 공간별 위치 정보 데이터를 통하여 각 세부 공간은 각층별, 각 건물별로의 소속/분류 정보가 더 입력되어 공간 데이터부(1415)를 구성하게 된다. 공간 데이터부(1415)로 세부 공간 DB의 구성이 가능하다. As illustrated in the above table, it can be seen that one building is composed of one to three layers, and the first floor is composed of Nos. 101 to 105.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 for each detailed space such as Nos. 101 to 105 may further include affiliation / 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building or each building to form the spatial data unit 1415. If the quantity calculation information for each detailed space corresponds to FIG. 16, if the quantity calculation information additionally includes a layer-by-layer aggregation correspond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detailed space, or for each other space correspond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dong" If there is a partial aggregation, location information (space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each facility-specific space corresponding to Table 1 may be generated as the aggregation information. When the data of Table 1 and FIG. 16 or the data of FIG. 16 further includes aggregate information for generating spatial configu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information about “work type: space of an arbitrary unit” is generated. . Through the detailed location information data for each detailed space, each detailed space is further inputted with belonging / 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floor and each building to form a spatial data unit 1415. The spatial data unit 1415 can configure a detailed spatial DB.

도 17은 입력 데이터로서 단가 정보 데이터의 일례에 대한 도면이다. 상기 단가 정보에는 공종(품명)별로 재료비, 노무비, 경비 등 직접비 구성 항목별 직접비가 포함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17 is a diagram of an example of unit price information data as input data. It can be seen that the unit price information includes direct costs for each item of construction costs, such as material costs, labor costs, and expenses, by type of work (item name).

도 18에서는 입력 데이터로 원가 요율 정보가 입력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예를 들면, 상기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의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1210)은 직접 공사비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1210)은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공종별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S11)한다. 이어,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은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S12)하고, 상기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S13)한다. 18 shows that cost rate information is input as input data. For example,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generation engine 1210 of the cost detail basic data generation engine 1200 of 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000 may refer to the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for each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Generat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generation engine 1210 first generates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ituent item by reference to the unit price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for each model (S11). Subsequently, 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generation engine 1200 configures the expanded unit cost information for each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by construction cost by using the generated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construction type and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construction item and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construction item. 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is generated using the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S13).

도 18에서는 예시적으로 공종별 단가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예를 들면, 간접 공사비 중 간접 노무비는 직접 공사비 정보의 노무비*10.0%, 산재-고용 보험비은 (상기 직접 공사비의 노무비 + 상기 간접 노무비)*4.27%, 안전 관리비는 (상기 재료비+상기 직접 공사비의 노무비+기타 경비 항목의 기타 경비)*1.81% 등과 같이 기설정된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각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계산된다. 물론, 상기 산재-고용 보험비는 상기 간접 노무비 정보가 필요하므로, 상기 간접 노무비는 상기 산재-고용 보험비보다 우선적으로 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특정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의 계산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의 간접 공사비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 그 필요로 하는 간접 공사비 정보를 우선적으로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공종별로 기설정된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모두 생성해 내면, 상기 공종별로 상기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직접 공사비와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를 결합하여 통합된 공사비 구성 항목별 정보인 확장 단가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가 생성된 것의 일례는 도 20의 본 발명의 출력물의 예시에 그 예가 나와 있다. 즉, 상기 출력물에서는 공종별로의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합계, 부가세, 기타 및 총원가 정보가 생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는 직접 공사비 정보와 간접 공사비 정보가 될 수 있다.18 exemplarily shows that data regarding unit price information of each type is input. For example, the indirect labor costs among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s are labor costs * 10.0% of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industrial accidents-employment insurance costs (labour labor costs of the direct construction costs + the indirect labor costs) * 4.27%, and safety management costs are the labor costs of the material costs + direct construction costs. + Other expenses of other expense items) * Calculated for each indirect construction cost item by referring to cost information set in advance such as 1.81%. Of course, since the industrial accident-employment insurance cost requires the indirect labor cost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direct labor cost is calculated in preference to the industrial accident-employment insurance cost. That is, when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other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s is required for the calculation of a specific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it is preferable to first calculate the necessary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In this case, when all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preset by the construction type is generated, the construction cost integrated item by combining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by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and indirect construction cost by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by the construction type The information on the extended unit price is generated. An example of the generation of the unit-specific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is shown in the example of the outpu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20. That is, in the output, it can be seen that construction cost by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cost, indirect construction cost by item, total, VAT, other and total cost information by construction type are generated. Can be indirect cost information.

이어, 상기 공종별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을 더욱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generation of 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for each model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본 발명의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의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0)가 담당한다. 상기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0)는 상기 공종별 확장 공사비 정보,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를 참조하여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0)가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은 크게 2가지 계열이 있다. 하나는 기 설정된 다차원 집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이며, 다른 하나는 기 설정된 몇 개의 집계 데이터만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먼저 다차원 집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다차원 집계 데이터는 본 발명의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의 상기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0)의 다차원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1)가 생성한다.The cost detail basic data is in charge of the aggregate data generation unit 1220 of the cost detail basic data generation engine 1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ggregate data generation unit 1220 generates cost breakdown basic data with reference to the extended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work type and the quantity information for each work type and space. The aggregate data generation unit 1220 generates two types of cost breakdown basic data. One is a method of generating preset multidimensional aggregate data, and the other is a method of generating only a few preset aggregate data. First, a method of generating multidimensional aggregate data will be described. The multidimensional aggregate data is generated by the multidimensional aggregate data generator 1221 of the aggregate data generator 1220 of the cost detail basic data generation engine 1200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크게 3개 이상의 차원(축)으로 되어 있다. 첫번째 차원은 공사비 구성 항목 차원이며, 두번째 차원은 공종 차원이며, 세번째 차원은 공간 차원이 된다. 변경 설계마다 차수를 부여하게 되고, 변경 설계마다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원경 설계에 대응되는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들의 집합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차수도 차원이 될 수 있다.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has three or more dimensions (axis). The first dimension is the construction cost dimension, the second dimension is the engineering dimension, and the third dimension is the spatial dimension. If the order is assigned to each change design, and 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is generated for each change design, the order may also be the dimension if there is a set of cost breakdown basic data corresponding to the far-field design.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구성하는 값은 f(x,y,z)으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x는 공종 차원, y는 공간 차원, z는 공사비 구성 항목 차원이 될 수 있을 것이며, f는 상기 (x, y, z)가 결정되는 경우 결정되는 셀 값이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은 최초로 입수되는 차수별-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입수하여, f(x,y,z)을 생성한다. 상기 f(x,y,z)와 같은 큐브(cube)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은 전산적으로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The value constituting 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may be expressed as f (x, y, z). In this case, x may be an engineering dimension, y may be a spatial dimension, z may be a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dimension, f is a cell value determined when (x, y, z) is determined. The cost history basic data generation engine 1200 obtains the first-obtained order-specific-type-space-specific quantity information, the type-specific unit price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and generates f (x, y, z). Generating cube data such as f (x, y, z) may be computationally various.

일례를 들어서 f(x,y,z)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은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1210)을 호출하여, 주어진 xi, yj의 모든 조합별로, 우선적으로 확장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고, 주어진 xi, yj의 모든 조합별로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와 상기 수량 산출 정보로 z=z(xi, yj)를 모든 xi, 모든 yj 의 모든 조합별로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확장 공사비 정보를 생성할 때,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확장된 공사비 단가 정보(직접 공사비 단가 +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단가)를 먼저 생성하고, 수량 산출 정보로 확장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제1 방법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의 생성은 직접 공사비 단가에 수량 산출 정보를 먼저 반영한 다음, 수량 산출 정보가 반영된 직접 공사비 정보(직접 공사비 단가*공사 수량)로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확장 공사비 정보(확장 공사비 단가*공사 수량)를 생성하는 제2 방법도 당연히 채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xi는 공간 분류의 최하위 공간i을 말하며(예를 들면 1층의 세부 공간인 101동은 101호 내지 105호가 xi가 될 수 있다.), yj는 최하위 공종 분류(예를 들면, 도 17의 단가 정보에 나와 있는 공종이 jy가 될 수 있다.)가 된다. 한편, zk은 공사비 구성 항목이 된다.As an example, a method of generating f (x, y, z) will be described. 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generation engine 1200 calls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generation engine 1210 to generate extended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combination of given xi and yj, and preferentially to all combinations of the given xi and yj. Z = z (xi, yj) is generated for every combination of xi and all yj as the extended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and the quantity calculation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generating the extended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the expanded construction cost unit price information (direct construction unit cost + indirect construction cost unit price by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including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first, and then as the quantity calculation information Although it is described as a first method of generating extended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the generation of the extended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may be directly generated by directly reflecting the quantity calculation information on the unit cost of construction cost, and then by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direct construction cost unit price * construction quantity) reflecting the quantity calculation information. A second method of generating extended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extended construction cost unit price * construction quantity) with reference to the cost rate information may also be adopted. In the above, xi refers to the lowest space i of the space classification (for example, 101 space, which is a detailed space on the first floor, may be xi to 101 to 105), and yj denotes the lowest work classification (eg, FIG. 17). The model listed in the unit price information of may be jy). On the other hand, zk becomes a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이어,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 또는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의 상기 다차원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1) 또는 정형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2)가 부분합을 계산하는 과정이다. 부분합은 x, y, z 각각에 대하여 각 차원별로 생성할 수 있다. z 차원의 부분합에는 직접 공사비 소계, 간접 공사비 소계(간접 공사비 구성 그룹별 소계가 생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총 소계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의 생성 시 생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공간 차원을 우선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모든 yj 조합 각각에 대하여(z에 대한 부분합은 생성되었음을 전제로 한다.) xi에 대한 부분합을 생성한다. 즉, 특정한 공종에 대하여 101호 내지 105호와 관련된 공사비를 101동의 1층의 공사비로 소계하고, 1층 내지 3층의 공사비 합계로 101동의 공사비로 총계한다. 이어, 모든 xi에 대하여 yj에 대한 부분합을 생성한다. 만약 공종 분류가 상기 공간 분류처럼 n개의 계층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계층에 대한 소계 및 계층 간의 소계 정보를 생성한다. 만약 1개 계층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종 전체에 소계 정보를 생성하면 된다. 부분합의 생성은 (xi, yj, zk)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차원 또는 어느 2개 이상의 차원의 조합에 대하여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특정한 조합에 대해서는 생성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할 것이다. 예를 든다면, 특정한 zk에 대해서, (xi, yj)의 모든 조합별로 부분합을 생성해 놓을 필요는 없을 수도 있을 것이다.(간접 노무비를 특정 공간별, 특정 공종별, 특정 차수별에 대해서 생성해 놓을 필요는 없을 것이다. 통상적으로 간접 노무비는 전체 간접비 구성 항목과 함께 나타나는 것이 타당하므로, 특단의 경우가 아니라면 이와 같은 데이터 생성은 불필요할 수 있을 것이다.)Subsequently, the multi-dimensional aggregate data generation unit 1221 or the structured aggregate data generation unit 1222 of the cost detail basic data generation engine 1200 or the cost detail basic data generation engine 1200 calculates partial sums. Subtotals can be generated for each dimension for x, y, and z. The z-dimensional subtotals may include direct construction cost subtotals, indirect construction cost subtotals (the subtotals by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ituent groups may be generated), and total subtotals, which may be generated when the extended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spatial dimension will be described first by way of example. For each yj combination (assuming subtotals for z have been generated), generate subtotals for xi. That is, the construction cost related to 101-105 for the specific construction type is subtracted by the construction cost of 101st 1st floor, and it totals into 101 construction cost with the total construction cost of 1st-3rd floor. Next, generate a subtotal sum of yj for all xi. If the work classification is composed of n hierarchies as in the above space classification, subtotal information for each hierarchical layer and sub-total hierarchies are generated. If there is only one layer, subtotal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for the entire work type. The generation of subtotals may be generated for any one dimension selected from (xi, yj, zk) or a combination of any two or more dimensions. Of course, it may not be generated for a particular combination. For example, for a particular zk, it may not be necessary to generate subtotals for every combination of (xi, yj) (indirect labor costs need to be created for a specific space, for a specific industry, or for a particular order). Indirect labor costs are usually justified with the overall overhead configuration item, so this kind of data generation may be unnecessary unless it is a special case.)

생성된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일례는 도 19가 될 수 있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크게 3개 이상의 축으로 되어 있다. 첫번째 축(차원)은 공사비 구성 항목축이며, 두번째 축은 공종축이며, 세번째 축은 공간 축이며, 때에 따라서는 차수 축 또는 VE프로젝트 축이 될 수 있다. 공사비 구성 항목축과 상기 공종축으로 상기 도 20에서 나와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과 같은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가 생성된다. (도 20은 101동 101호(최하위 공간의 예시)에 대한 공종별-공사비 구성 항목별 원가 내역 데이터를 보여 주고 있다.)이때, 공종에는 공종 분류 체계가 반영될 수 있으며, 상기 공종 분류 체계는 2 이상의 계층화된 분류 체계일 수 있다. 공종은 대공종-중공종-소공종 등과 같이 공종 규모로 분류될 수 있으며, 상기 공종 분류의 최하단에는 공종의 최소 단위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최소 단위는 "품목", "항목" 또는 이와 대등한 명칭으로 명명되기도 한다. 상기 도 20에서 알 수 있듯이, 특정한 공종이 1개 이상의 하위 공종을 포함하는 경우, 공종별로 소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도 20의 상기 도장 공사는 공용08(수성페인트 로울러칠-내벽 2회 2급), 공용08(수성페인트칠 로울러칠-내천정 2회2 급), 공용 10(세라믹페인트칠-2회)로 구성되고 있으며, 이들 공용08, 공용09, 공용10 등과 같은 하위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와 이들 공용08, 공용09, 공용10 등과 같은 하위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를 합한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소계 정보가 추가적으로 더 생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도 20의 예시에서는 공종이 1단계 또는 2단계로 구분되어 있지만, n(n>2)인 경우에도 각 단계별로 집계 정보가 생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할 것이다. 물론, 도 20의 전체 합계나 총원가 등과 같이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는 상기 모든 공종별에 대한 합계 정보, 공사비 구성 항목별 합계 정보, 전체 합계 정보/총원가 정보 등이 추가적으로 더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합계 정보는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 생성 시에 생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부가가치세나 기타 경비 등의 정보는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에서 생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 시에도 생성될 수 있다.An example of the generated cost detail basic data may be FIG. 19. 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has three or more axes. The first axis (dimension) is the construction cost axis, the second axis is the engineering axis, the third axis is the spatial axis, and sometimes the order axis or the VE project axis. The cost detail basic data such as those shown in FIG. 20 are generated as the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axis and the work axis. (FIG. 20 shows cost detail data for each construction type-construction cost for 101-101 (example of the lowest space). In this case, the work classification system may be reflected, and the work classification system is 2 It may be a hierarchical classification scheme. The work type may be classified into a work size such as a large work type, a hollow work type, and a small work type, and the bottom of the work class classification may include a minimum unit of the work type, and the minimum unit may be “item”, “item”, or the like. It is sometimes called the equivalent name. As can be seen in FIG. 20, when a specific work includes one or more sub-work types, subtotal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for each work type. The painting work of Figure 20 is common 08 (water-based paint roller-interior wall twice class 2), common 08 (water-based paint roller-chill interior 2 times class 2), common 10 (ceramic paint-2 times) Construction cost by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construction item by sub-model such as public 08, public 09, public 10, etc. and construction cost by construction cost by sub-type construction cost such as public 08, public 09, public 10 etc. It can be seen that additional subtotal information can be additionally generated. In the example of FIG. 20, the type of work is divided into one step or two steps, but even when n (n> 2), aggregat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in each step. Of course, the total cost information, total cost information, total cost information, total cost information, etc. may be further generated in the cost detail basic data, such as total sum or total cost of FIG. 20. Of course, the total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extended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Information such as VAT or other expenses may be generated from the extended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but may also be generated when the cost detail basic data is generated.

한편, 도 22의 출력물은 공종별-공간별 원가 내역 정보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도 22에서 사용되는 축은 공종축과 공간축이 된다. 상기 도 22에 표시되는 공간인 101호 내지 105호는 최하위 세부 공간의 일례가 된다. 물론, 상기 101호 내지 105호보다 더 하위 공간(세세 공간-벽, 천장 등과 같은 부위(element))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상기 공사 수량 정보에는 공종별-부위별 공사 수량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며, 이 경우 상기 부위별로의 도 22에서와 같은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도 22의 예시에서는 상위 공간의 표시(예, 101호 내지 105호는 1층에 속하고, 1층부터 n층까지가 합쳐져서 또는 101호부터 n05호(n은 정수)까지가 합쳐져서 101동을 이루고, 101동 내지 다른 동이 모여 단지를 이룬다는 것과 같은 공간의 계층적 분류)가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최하위 공간의 상위 공간이 나타나는 것은 당업자에게 당연할 것이며, 이들의 집계 정보(예를 들어 그 상위 공간 101호 내지 105호는 1층의 집계 정보로 하거나, 101호 내지 n05호까지의 집계 정보로 101동으로 하는 등)의 생성은 합산 처리로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간 계층 구조를 표시하는 데이터의 입력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이들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공간 계층 구조의 입력은 1) 공간 계층 구조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101동은 n개의 층으로, 각 층은 n01호부터 n05호까지로 구성되는 것과 같은 공간의 구성 체계를 입력하는 방법)이나, 공사 수량 정보를 입력할 때, 공간 계층 구조가 포함된 집계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예를 들면, 하위 공간별 및 상위 공간별(하위 공간별의 수량 집계 정보로 구성됨)로의 수량 산출 정보가 함께 나와 있는 형태로 수량 산출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하위 공간별 수량 산출 정보를 입력하고, 이어서 상위 공간별 집계 정보를 입력하거나, 공간 계층 구조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output of Figure 22 shows an example of the cost breakdown information by type-space. The axis used in FIG. 22 is a coaxial axis and a space axis. Spaces 101 to 105, which are the spaces shown in FIG. 22, are an example of the lowest detail space. Of course, there may be more sub-spaces (elements such as small space-wall, ceiling, etc.) than the 101 to 105, in this case, the construction quantity information is the construction quantity information by sector-part Of course, it should be included, in this case it will be possible to generate the cost history basic data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in the example of Fig. 22, the display of the upper space (e.g., Nos. 101 to 105 belong to the first floor, and the first floor to the nth floor are combined or the 101 to n05 (n is an integer) are summed to 101 Hierarchical classification of space, such as forming a building, building 101 and other buildings together to form a complex) is not shown, but it will be apparent to on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upper space of the lowest space appears, and their aggregate information (e.g., The upper spaces 101 to 105 may be aggregated information on the first floor, or 101 spaces may be generated by aggregated information from 101 to n05.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of data indicating the spatial hierarchy is not separately mentioned, but it will be obvious that they are included. The input of the spatial hierarchical structure is 1) a method of directly inputting a spatial hierarchical structure (101 is a method of inputting a structural structure of a space such that n layers are composed of n01 to n05); , When entering the construction quantity information, the quantity calculation information by the method of inputting the aggreg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spatial hierarchy (for example, by the lower space and the upper space (consists of the quantity aggregation information of the lower space) together A method of inputting quantity calculation information, a method of inputting quantity calculation information for each lower space, and then inputting aggregate information for each upper space, or inputting spatial hierarchy information) may be used.

상기에서는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서 공종-공사비 구성 항목, 공종-공간의 관점에서의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 방법 및 그 생성 결과물의 예시가 제시되었다. 한편,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는 마찬가지 원리로, 공종, 공간, 공사비 구성 항목, 차수 등 복수 개의 축을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선택되는 2 이상의 축이 구성하는 매트릭스의 각 셀의 값을 계산해 놓을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는 각 축별 부분합(예를 들면 공사비 구성 항목의 경우에는 직접 공사비 합계, 간접 공사비 합계 등이 부분합이 될 수 있다)이 추가적으로 더 생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In the above, examples of the construction cost-construction items in the cost detail basic data,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cost detail basic data in terms of the work-space, and the results of the generation are presented. On the other han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st detail basic data, the value of each cell of the matrix constituted by two or more axes selected from among elements constituting a plurality of axes such as work type, space,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and order can be calculated. Meanwhile, a subtotal for each axi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onstruction cost constituent item,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sum,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sum, etc. may be a partial sum) may be further generated in the cost detail basic data.

상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공종-공사비 구성 항목에 따른 데이터나 공종-공간에 따른 데이터가 생성되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는 공간-공사비 구성 항목에 따른 데이터가 생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X축에는 도 20에서와 같은 공사비 구성 항목이 나오며, Y축에서는 도 20의 공종 대신에 도 22의 X축에 있는 101호 내지 105호(부분합이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가 나올 수 있으며, X축과 Y축이 구성하는 각 셀에는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값이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data based on the space-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may be generated in the cost detail basic data similarly to the method of generating data according to the work-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or data according to the work-space. For example, the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s as shown in FIG. 20 on the X-axis, and 101 to 105 (subtotal sum may be included in the X-axis of FIG. 22 instead of the work of FIG. 20 on the Y-axis. .) And cost-based data values can be generated in each cell of the X and Y axes.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이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순서는 일 실시예적 순서는 다음과 같다. 특정 세부 공간(예를 들면 101동 101호)별로 해당 공종-공사 수량 정보와 공종-공사 원가 정보(직접 공사비 정보)에 대하여,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의 계산을 최우선적으로 수행하여, 확장 공사비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특정 세부 공간에 대하여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를 활용하여 공종별 공사비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를 생성한다. 이어, 다음번의 특정 세부 공간별(101동 102호)에 대해서 동일한 계산을 수행한다. 이를 모든 세부 공간별로 수행하는 경우, 모든 세부 공간별로 공종별-공사비 구성 항목별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가 생성되게 된다. 이어,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은 각 축(공종-공간-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소계(중간 집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어, 2개 이상의 축에 관한 중간 집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st history basic data generation engine 1200 generates the cost detail basic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ach specific detailed space (e.g., 101-101), indirect construction cost-by-item items are referred to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construction quantity information and construction-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The calculation of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is performed first, and the expansion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specific construction space is generated by using the expansion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detailed space. Subsequently, the same calculation is performed for the next specific subspace (101 101). When this is performed for every detailed space, 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for each work-specific construction cost is generated for every detailed space. Subsequently, the cost detail basic data generation engine 1200 may generate subtotal (intermediate aggregation) data for each axis (contract-space-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and then generate intermediate aggregate data for two or more axes. have.

한편, 상기 건설 VE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설계 변경이나 대안 설계의 관점에서 공사비의 변동 파악이 중요하게 된다. 설계 변경이나 대안 설계가 있을 경우(이하, 대안 설계라고 통칭한다.), 개별 대안 설계는 개별 대안 설계 단위 또는 2개 이상의 상기 개별 대안 설계 단위를 묶은 그룹 단위로 하여 개별 대안 설계를 차수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의 경우에는 공종i1와 공종i2를 대안 설계로 도입할 수 있으며, 공종i와 공종i2를 각각으로 차수 변경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공종i1와 공종i2를 그룹화하여 1개의 차수로 관리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공종i별로 차수 관리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러한 차수 관리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기존의 공종j(공종 j는 여러 개의 공종일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struction VE, it is important to grasp the change in construction cost in terms of design change or alternative design over time. When there is a design change or alternative desig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lternative design), the individual alternative design shall be managed in the order of individual alternative designs in units of individual alternative design units or groups of two or more of said individual alternative design units. Can b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case, the work i1 and work i2 can be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design, the work order i and work i2 can be changed and managed separately, and the work i1 and work i2 can be grouped into one order. Can manag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order management will be described for each work type i, but the order management is not limited thereto. Existing work j (It will be obvious that work j may be a plurality of work.

여기서는 공종 i(여러 개의 공종일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에 의해 대체되는 공종의 의미로 공종 j를 사용한다.)의 대안 설계로서 대신에 공종i가 들어오게 되면 공종별 단가 정보(직접 공사비 정보)가 변동이 있게 되고, 공종별 수량 정보도 변동이 있을 수 있게 된다. 공종i의 도입에 따라 직접 공사비 정보의 변동이 있게 되면,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도 변동이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은 입수 받은 대안 설계인 공종i에 따른 공종별 단가 정보, 공종별 수량 정보 및/또는 원가 요율 정보(변동이 있을 경우에만)를 기초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한다. 물론, 이 경우, 공종j에 대한 공종별 수량 정보 등은 삭제되거나 비처리 되어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에서 빠지게 된다. 이때, 대안 설계가 발생한 공종i와 관련된 부분에 한정하여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전체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재생성할 수 있다.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재생성된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차수별로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수는 상기 차수의 발생 원인이 된 공종i와 연동하여 관리된다.Here, as an alternative design of the work type replaced by the work type i (it may be possible to have several types of work), as the work type j instead, the unit price information per work type (direct cost information) There will be a change, and the quantity information by type may also change. When the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changes directly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the work type i,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also changes. Accordingly, the cost detail basic data generation engine 1200 i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unit price information, the quantity information for each type, and / or the cost rate information (only if there is a change) according to the type I, which is an alternative design obtained. Create the same cost breakdown basic data. Of course, in this case, quantity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type j is deleted or not processed to be omitted from the generation of cost detail basic data. In this case, the cost detail basic data may be generated only in a part related to the work type i in which the alternative design has occurred, but the entire cost detail basic data may be regenerated. Partial or totally regenerated cost breakdown basic data can be managed for each order. At this time, the order is managed in association with the work type i that caused the order.

한편, 상기 차수는 최초 생성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 대해 변동을 줄 수 있는 임의의 요소가 된다. 공종의 변동은 변동의 일례가 된다. 예를 들어, 원가 요율이 변동되거나, 새로운 비용 요소가 추가적으로 발생하거나(예를 들면 공사 지연으로 인한 지연 공사비 등의 발생) 등과 같은 각종 변동 요인이 발생할 때도 새로운 차수가 생성되고, 이 차수에 대하여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가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order is an arbitrary element that can fluctuate initially generated cost breakdown basic data. Variation of type is an example of variation. For example, a new order is also generated when various cost factors occur, such as cost rate fluctuations, additional cost factors (e.g., delayed construction costs due to construction delays), and the like. It would be desirable to generate cost breakdown based data.

차수를 하나의 차원/축으로 고려할 때,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구성하는 값은 f(x,y,z,w)으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x는 공종축, y는 공간 축, z는 공사비 구성 항목축, w는 차수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은 최초로 입수되는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제1 입력 정보로 입수하여, f(x,y,z,1)을 생성하고, 대안 설계 등으로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또는 원가 요율 정보에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변동을 제2 입력 정보로 하여 f(x,y,z,2)를 생성할 수 있다.Considering the order as one dimension / axis, the value constituting 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may be expressed as f (x, y, z, w). In this case, x may be a coaxial axis, y is a space axis, z is a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axis, w may be a degree axis. The cost history basic data generation engine 1200 obtains first-type quantity information for each type-space,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type, and cost rate information as first input information, and generates f (x, y, z, 1). For example, when a variation occurs in the quantity-specific information, the price-specific information, or the cost-rate information for each type due to an alternative design, f (x, y, z, 2) may be generated using the change as the second input information. .

상기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갑인 f(x,y,z,w)를 전산 처리에서 수행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저장해 놓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통상적인 방법에는 x의 종류별, x의 부분합별로 (y, z)의 값을 별도의 파일로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며, y의 종류(공종 레벨 또는 공종의 하위 품목 레벨)별로 별도의 파일로 (x, z)값을 생성해 놓을 수 있을 것이며, 상기 z에 대해서 z를 이루는 모든 세부 항목별로의 값을 저장해 놓거나, 상기 세부 항목별 값에 부분합(예를 들면 직접 공사비 부분합 = 자재비 + 노무비 + 경비, 간접 공사비 부분합 등), 또는 상기 세부 항목별 값, 부분합 및 전체합을 저장해 놓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x, y, z) 구조는 도 19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전산상의 처리 방법을 도입할 수 있을 것이다.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000 may store f (x, y, z, w), which is a cost detail basic data pack, in a conventional method performed in a computer processing.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value of (y, z) may be stored as a separate file for each type of x and for each subtotal of x, and as a separate file for each type of y (the work level or the lower item level of the work) , z) value, and store the values for all the sub-items that make up z for z, or sub-total the sum of the sub-items (for example, direct construction cost sub-material cost + labor cost + expense, Indirect construction cost subtotal, etc.), or the above detailed item-specific values, subtotals and totals may be stored. Such a (x, y, z) structure is shown by way of example in FIG.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introduce various computational processing methods to implement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상기 각 셀의 개수는 x개수, y개수, z 개수의 곱을 최소값으로 하며, 부분합과 관련된 셀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셀들 중에서는 다수의 null 데이터 가 존재함은 당연할 것이다. (특정 세부 공간에 특정 공종이 없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 f를 계산하는 순서와 방법은 극히 다양할 수 있을 것이며, 당업자는 이들 다양한 방법 중 최적의 방법(계산량이 적거나, 계산 속도가 빠른 방법 등)을 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방법은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들어옴도 당연할 것이다. In this case, the number of each cell is a minimum value of a product of x number, y number, and z number, and there may be a cell associated with the subtotal. On the other hand, it is natural that a plurality of null data exist among the cells. (Because there may not be a specific work in a specific detail space.) The order and method of calculating the f may be extremely divers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select the optimal method among these various methods (a small amount of calculation or a fast calculation speed). Method, etc.), and the method may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다수의 null 데이터를 피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도 20 내지 도 23에 나와 있는 본 발명의 출력물을 예시적으로 가정하고, 각 출력물 형태가 필요한 데이터만을 배치(batch) 방식으로 계산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도 20의 출력물을 모든 동의 모든 호수별로 배치로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로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우선적으로 계산해 놓는 것을 당연할 것이다. 101호에 대응되는 상기 하자 정보, 공종 정보, 단가 정보(간접 공사비 정보가 사전에 생성된)만을 참조하여, 101호에 대응되는 도 20의 출력물 형태로 원가 계산 내역서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며, 이어 102호(101호 다음에 102호가 있다고 가정할 때)에 대응되는 정보로 102호에 대한 원가 계산 내역서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101호, 102호 등과 같은 최하 단위의 공간별로 원가 계산 내역 정보를 계산해 놓는 경우, 상기 세부 공간의 상위 공간(예를 들면 101호가 속하는 101동)별로의 집계 정보를 생성해 놓을 수 있을 것이다. 집계 정보의 생성은 하자 종류별,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상위 공간에 대응되는 세부 공간의 원가 계산값을 합산하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양한 형태의 출력물에 대하여, 공간별, 상위 공간별 또는 기설정된 그룹별로 원가 계산값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생성은 배치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void a large number of null data, assuming that the outpu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20 to 23 illustratively, there is a method for calculating only the data required for each output form in a batch (batch) method. For example, there is a method of generating the output of FIG. 20 in batches for all lakes of every motion. Of course, in this case, it will be obvious that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is preferentially calculated using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With reference to only the defect information, work type information, and unit price information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previously generated) corresponding to 101, the cost calculation statement may be generated in the form of an output of FIG. 20 corresponding to 101. A cost calculation statement for 102 may be generated wit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102 (assuming 102 after 101).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st calculation history information is calculated for each space of the lowest unit such as 101, 102, etc., it is possible to generate aggregate information for each upper space of the detailed space (for example, 101 building to which 101 belongs). will be. The generation of the aggregat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summing the cost calculation values of the detailed sp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pace by the defect type, the type of work, and the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s. In this manner, for the outputs of various types, the cost calculation value may be generated for each space, higher space, or for a predetermined group, and the generation may be processed in a batch manner.

3차원 방식의 데이터 처리의 경우에, 상기 f를 계산하는 방법 중 일례를 제시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공간별로 공종 및 수량을 품명 단위까지 파악하고, 각 공종별로 직접 공사비를 먼저 계산한 다음, 직접 공사비를 기준으로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간접 노무비, 기계 경비, 산재, 고용 보험료, 건강 연금 보험료, 퇴직 공제 부금비, 안전 관리비, 기타 경비, 환경 보전비, 일반 관리비, 이윤, 부가가치세 등과 같은 간접 공사비를 계산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ree-dimensional data process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calculating f is as follows. First, grasp the type and quantity of each product by unit name, calculate the construction cost directly for each type of work, and then refer to the cost rate information based on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ndirect labor costs, machine expenses, industrial accidents, employment insurance premiums, and health pension premiums. Indirect construction costs such as retirement deductions, safety management costs, other expenses, environmental conservation costs, general management costs, profits, and VAT can be calculated.

상기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공간별, 상기 공종별 및 상기 공사비 구성 항목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하여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사용하여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분석 정보에는 상기 공간별, 하자 종류별, 상기 공종별 및 상기 공사비 구성 항목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부분합, 전체합이 될 수 있다. 상기 분석 정보가 생성된 예는 도 20 내지 도 23에 나와 있다.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000 generates at least one or more preset analysis information using cost detail basic data for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space, the work type, and the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The analysis information may be a partial sum or a total sum of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space, the defect type, the work type, and the construction cost. Examples of generating the analysis information are shown in FIGS. 20 to 23.

본 발명은 분석 정보 생성 최초 단계부터 원가 요율 정보를 입수 받아 활용하여 직접 공사비 정보를 처리하여 간접 공사비 정보를 우선적으로 생성해 놓을 수 있다. 간접 공사비 정보가 우선적으로 생성되어 있으며, 직접 공사비 정보와 간접 공사비 정보로 모든 처리 단위에서의 합계 공사비 정보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모든 처리 단위란, 공간별(세부 공간의 상위 단위 공간별도 포함됨은 자명할 것이다.), 공종별(그룹화된 공종별도 포함됨은 자명할 것이다.), 공사비 구성 항목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2 이상의 조합이 1개 이상 주어졌을 때, 상기 주어진 조합에 대하여 대한 합계 공사비 정보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0은 특정한 세부 공간(101동 101호)에 대하여 공종별로 총원가 칼럼에서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와 합계 공사비가 정보 처리되었음을 보여 주고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may be preferentially generated by directly processing cost information by receiving and utilizing cost rate information from an initial stage of generating analysis information.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is generated preferentially, and total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in all processing units can be easily generated using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and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All the processing units are any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space (by the higher unit space of the detailed space will be obvious), by the type of the object (the group will also be included by the group), and by the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Given more than one, it would be easy to generate total cost information for the given combination. FIG. 20 shows that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total construction cost for each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are processed in the total cost column for each specific space for the specific detailed space (101 101).

도 20과 같은 결과물을 생성하기 위해서, 차수별 공종별 직접 공사비 정보만으로도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원가 요율 정보로 도 20의 간접 공사비 정보에 해당하는 각 셀의 값을 생성할 수 있고, 셀의 값이 생성되면, 소계/부분합 및 총원가나 총계값도 생성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원가 요율 정보를 활용하여 차수별로 상기 공간별, 상기 공종별 및 상기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원가 정보를 생성해 놓기 때문에, 부분합 및 전체합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부분합 및 전체합도 원가 정보 생성 시 함께 생성해 놓을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특정한 출력물 요구 시에 상기 출력물을 생성하면서도 생성할 수도 있다. In order to generate a result as shown in FIG. 20, the value of each cell corresponding to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of FIG. 20 may be generated using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only by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by the type of work for each order, and the value of the cell is generated. Subtotals / subtotals and total cost or total values can also be generated.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st cost information for each space, the type of work, and the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s are generated for each order using the cost rate information, partial sums and total sums can be easily generated. The subtotals and totals may be generated together with the cost information generation, or may be generated while the outputs are generated when a user requests a specific output.

한편, 도 19와 같은 큐브 데이터를 생성해 놓으면, 상기 출력물을 슬라이스(slice) 또는 다이스(dice)하는 방식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집계 정보의 생성 시 롤업(roll up) 연산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롤업 연산이란, 101동이 101호 내지 105호(직하위 구성 요소들)로 101동(직상위 구성 요소)이 구성될 때, 101동을 구성하는 값에는 101호 내지 105호별 값을 합산(직하위 구성 요소들의 값을 합산)하여 101동에 대한 값(직상위 구성 요소의 값)으로 하는 연산을 말한다. 상기 부분합 정보의 생성은 본 발명의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이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f the cube data as shown in FIG. 19 is generated, the output may be generated by slicing or diceing the output. Meanwhile, a roll up operation may be included in generation of the aggregate information. Roll-up operation means that when 101 (101) is composed of 101 to 105 (direct sub-components), the values constituting 101 are added to 101-105 values (direct sub-sub). It is an operation that adds the values of the components to make a value for 101 building (the value of the parent component). The generation of the subtotal information is preferably generated by the cost detail basic data generation engine 12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상기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직접 공사비 정보 및 기타 정보를 사용하여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함을 보여주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20에서 알 수 있듯이, 각종 간접 공사비 세부 항목은 노무비와 같은 직접 공사비 항목 등을 참조하여 기설정된 수식을 통해 생성된다. 도 20의 예시와 같은 정보는 본 발명의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이 담당한다. 도 20에서 알 수 있듯이, 각 동별로 공종별-공간별 원가 연결 내역서를 작성할 수 있으며, 각 동별로 원가 연결 내역서 집계표를 작성할 수 있으며, 각 동별, 각 공간별 일체형 원가연결 내역서(직접비)를 작성할 수 있으며, 전체 총괄 집계, 각 동별 총괄 집계, 공간별 전체 집계를 작성할 수 있다. 20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000 directly generates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using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and other information. As can be seen in FIG. 20, various indirect construction cost detail items are generated through a predetermined formula with reference to direct construction cost items such as labor costs. Information such as the example of FIG. 20 is in charge of the cost history based data generation engine 1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in Figure 20, you can create a cost-consolidation statement by sector-space for each building, you can create a cost consolidation statement table for each building, you can create an integrated cost-consolidation statement (direct costs) for each building, each space You can create total aggregate, aggregate aggregate by each building, and aggregate aggregate by space.

상기 일체형 원가 계산이란 공사비 전체 원가에는 간접 공사비가 포함되는데, 상기 간접 공사비를 구성하는 각 세부 항목은 직접 공사비 또는 직접 공사비 구성 세부 항목 또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상기 공사비가 연결되기 위해서는 직접 공사비 입력 단계(단가 정보 입력 단계)와 동시/순차적/선행적으로 상기 원가 요율 정보가 필요하며,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간접 공사비가 연결되어 계산된다. 모든 전체 공사비에 간접 공사비가 항상 포함되므로, 이러한 원가 연결 관계는 공종별(품목별 포함) 및 공간별로 항상 유지되게 된다.The integrated cost calculation means that the total cost of the construction includes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wherein each sub-item constituting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s linked to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detail item, or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In order to connect the construction costs, the cost rate information is required simultaneously with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nput step (the unit price information input step) and sequentially, sequentially, and indirectly, and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s connected and calculated with reference to the cost rate information. Since all indirect costs are always included, these cost-linking relationships are always maintained by industry (including by item) and by space.

도 24 내지 도 26은 대안 설계안에 대한 입력 정보를 예시하고 있다. 도 24는 대안 설계안에 대한 입력 정보로서 공종별-공간별 수량 데이터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25는 대안 설계안에 대한 입력 정보로서 공종별 단가 데이터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원 설계안에서는 공용08(수성페인트, 로울러칠)과 공용 18 DRY WALL(C-65)가 있었는데, 대안 설계에서는 공용 18 SPC 칸막이로 대체 설계되고 있다. SPC 칸막이로 대체 설계가 되면, DRY WALL은 없어지게 되고, SPC 칸막이의 속성에 따라(페인트칠 이 필요 없음) 공용08(수성페인트, 로울러칠)도 불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대안 설계에서 공용08(수성페인트, 로울러칠)은 항목 자체가 없어질 수도 있지만(도 24 및 25의 수량 데이터 또는 단가 데이터 항목에서 빠짐) 항목은 남겨 놓고 수량 데이터를 0으로 처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4 내지 도 25에서 노란색으로 칠한 부분이 대안 설계안에 도입된 SPC 칸막이에 대한 데이터들이다.24 through 26 illustrate input information for alternative designs. FIG. 24 is an exemplary diagram of quantity-specific data by type and space as input information for an alternative design. FIG. 25 is an exemplary diagram of unit price data by type of work as input information for an alternative design. For example, the original design included common 08 (aqueous paint, roller paint) and common 18 DRY WALL (C-65), but alternative designs are being replaced by common 18 SPC partitions. If the SPC partition is an alternative design, the DRY WALL will be eliminated, and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SPC partition (no paint is needed), the common 08 (aqueous paint, roller fill) will also be unnecessary. Thus, in an alternative design, public 08 (aqueous paint, roller fill) may be missing the item itself (missing from the quantity data or unit price data items in FIGS. 24 and 25), but the item may be treated as zero. will be. Yellowed portions in FIGS. 24 to 25 are data for SPC partitions introduced in an alternative design.

도 26은 대안 설계안에 대한 입력 정보로서 원가 요율 데이터의 입력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원가 요율 데이터를 구성하는 항목 중에서 변동 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변동 사항이 입력되고, 변동 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원 설계안에서와 같은 내용이 입력된다. FIG. 2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input of cost rate data as input information for an alternative design. If there is a change among the items constituting the cost rate data, the change is entered. If there is no change, the same content as in the original design is entered.

이어, 상기 도 24 내지 도 26 등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은 대안 설계안에 대한 입력 정보가 입력 되면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은 대안 설계에 대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예시는 도 35에 있다. 도 35에서는 도 19에서와는 달리, 차수 축에 대안 설계(차수 2차) 등과 같이 나타나고 있는 정보가 대안 설계에 관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임을 보여 준다. 상기 대안 설계안에 대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원 설계안에 대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와 그 구조가 대등하다.Subsequently, when the input information for the alternative design as illustrated in FIGS. 24 to 26 is input, the cost detail basic data generation engine 1200 generates the cost detail basic data for the alternative design. An example of 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is in FIG. 35. In FIG. 35, unlike in FIG. 19, it is shown that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order axis, such as an alternative design (order 2nd order), is 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for the alternative design. 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for the alternative design is equivalent to 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for the original design.

도 27 내지 도 30은 대안 설계에 대한 원가 계산 내역서의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27은 대안 설계안에 대하여 생성된 특정 세부 공간에 대한 공종별-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 원가 내역에 대한 본 발명의 원가 계산 내역서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28은 대안 설계안에 대하여 생성된 특정 상위 공간에 대한 공종별-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 원가 내역에 대한 본 발명의 원가 계산 내역서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29는 대안 설계안에 대하여 생성된 세부 공간별 항목별 총 공사에 대한 본 발명의 원가 계산 내역서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30은 대안 설계안에 대하여 생성된 상위 공간별 항목별 총 공사에 대한 본 발명의 원가 계산 내역서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27-30 illustrate one embodiment of a cost statement for alternative designs. FIG. 27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ost calculation stat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construction cost breakdown by a construction-cost ratio construction item for a specific detailed space created for an alternative design. FIG. 28 is an exemplary view of a cost calculation stat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construction cost breakdown by a construction-cost ratio construction item for a specific upper space generated for an alternative design. FIG. 29 is an exemplary view of a cost calculation stat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total work for each item of detail space generated for the alternative design. FIG. 30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ost calculation stat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total work for each item of the upper space generated for the alternative design.

이어, 상기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의 VE 지원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generating VE support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ill be described.

첫째 방법은 도 13과 관련되어 있다. 대안 설계 발생 전의 사항(제1 입력 정보)인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제1 입력 정보로 입수(S21)받고, 제1 입력 정보로 기설정된 제1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f(x,y,z,1))를 생성(S22)하고, 상기 생성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 기반한 각종 분석 정보(출력물(예시적으로 도 20, 도 21, 도 22, 도 23 등)이 그 한 예가 된다.)를 생성(S23)한다. 이어, 대안 설계를 반영한 입력 정보(제2 입력 정보)인 공종,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변동 정보를 제2 입력 정보로 입수(S24)하고, 상기 제2 입력 정보로 기설정된 제2 원가 내역 정보인 제2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인 (f(x,y,z,2))를 생성(S25)한다. 이어, 제1 입력 정보로 생성되는 원가 내역 정보 및 상기 제2 입력 정보로 생성되는 원가 내역 정보를 참조하여 VE 지원 정보로 기설정된 분석 정보를 생성(S26)하고, 상기 분석 정보를 출력물로 생성(S27)한다. 상기 분석 정보에는 기설정된 형태의 비교 분석 정보일 수 있다. 제1 원가 내역 정보는 제1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와 동등한 의미가 되며, 제2 원가 내역 정보는 제2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와 동등한 의미가 된다.The first method is related to FIG. Based on the first cost details that are obtained before the alternative design occurrence (first input information), quantity information for each type-space,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type, and cost rate information are obtained as first input information (S21), and set as first input information. The data f (x, y, z, 1) is generated (S22), and various analysis information (output (for example, FIGS. 20, 21, 22, 23, etc.) based on the generated cost detail basic data. ) Is one example. Subsequently, chang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input information (second input information) reflecting the alternative design, the work type-space-specific quantity information, the work type unit price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is obtained as second input information (S24). In operation S25, the second cost detail basic data (f (x, y, z, 2)), which is second cost detail information preset as the second input information, is generated. Subsequently, the analysis information preset as the VE assistance information is generated with reference to the cost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as the first input information and the cost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as the second input information (S26), and the analysis information is generated as an output ( S27). The analysis information may be comparative analysis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type. The first cost breakdown information has the same meaning as the first cost breakdown basic data, and the second cost breakdown information has the same meaning as the second cost breakdown basic data.

상기 출력물은 출력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출력물은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형태일 수도 있지만, 기설정된 제3의 시스템이 인지할 수 있는 데이터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3의 시스템은 3D CAD 시스템, EVMS 시스템, 건설 감정 정보 처리 시스템, 예정 가격 작성 시스템, 원가 분석 시스템, 건설 사업 관리 시스템, 공사비 정산 시스템, 건설 감리 시스템, BIM 지원 시스템, 건설 발주자 측 시스템, 건설 수행자 측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상기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제3의 시스템의 일부, 또는 상기 제3의 시스템과 유무선 네트워크(3000)를 통하여 연계/연동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The output refers to output data. The output may be in a form that can be recognized by a person, but may be in a form of data that can be recognized by a predetermined third system. The third system includes a 3D CAD system, an EVMS system, a construction apprais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 planned price preparation system, a cost analysis system, a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ystem, a construction cost settlement system, a construction supervision system, a BIM support system, a construction client side system, 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a part of the third system or the third system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3000. May be used.

상기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은 먼저,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제1 입력 정보로 입수하고, 제1 입력 정보로 기설정된 제1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며, 제1 입력 정보로 생성되는 원가 내역 정보를 사용하여 VE 지원 정보로 기설정된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공종,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변동 정보를 제2 입력 정보로 입수하여, 상기 제2 입력 정보로 기설정된 제2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고, 제1 입력 정보로 생성되는 원가 내역 정보 및 상기 제2 입력 정보로 생성되는 원가 내역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VE 지원 정보로 기설정된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irst obtains quantity information for each type-space,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type, and cost rate information as first input information, and generates first cost detail information preset as the first input information. Cost analysis information generated as input information is used to generate preset analysis information as VE support information, and chang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of work type, work type-space quantity information, work unit price information, and cost rate information. Obtains second input information, generates second cost detail information preset as the second input information,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cost detail information generated as first input information and cost detail information generated as the second input information. Reference analysis to generate the preset analysis information as the VE support information.

둘째 방법은 제1 입력 정보와 제2 입력 정보를 동시 또는 큰 시간적 차이를 두지 않고 입력받아, 각각에 대해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인 f(x,y,z,1) 및 f(x,y,z,2)를 생성하고, 기설정된 비교 분석 정보를 기설정된 형식으로 생성한 다음 출력해 준다.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제1 입력 정보로 입수(S31)하고,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변동 정보를 제2 입력 정보로 입수(S32)하여, 제1 입력 정보로 기설정된 제1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S33)하고, 상기 제2 입력 정보로 기설정된 제2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S34)하며, 제1 입력 정보로 생성되는 원가 내역 정보 및 상기 제2 입력 정보로 생성되는 원가 내역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VE 지원 정보로 기설정된 분석 정보를 생성(S35)하고, 분석 정보를 출력물로 생성(S36)한다.The second method receives the first inpu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put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without a large or time difference, and for each of the cost history basic data f (x, y, z, 1) and f (x, y, z , 2), and generate preset comparative analysis information in a preset format and then output it.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4 is as follows. First, obtain the quantity information by each type-space, unit price information by each type and cost rate information as the first input information (S31), and changes to at least one or more of the quantity information by each type-space, unit price information by each type and cost rate information Obtaining the information as the second input information (S32), generating first cost detail information preset as the first input information (S33), and generating second cost detail information preset as the second input information (S34). By referring to any one or more of the cost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as the first input information and the cost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as the second input information, the analysis information preset as the VE support information is generated (S35), and the analysis information is output. To generate (S36).

셋째 방법은 제1 입력 정보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f(x,y,z,1)를 생성하고, 제2 입력 정보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f(x,y,z,2)를 생성하고, 기설정된 비교 분석 정보를 기설정된 형식으로 생성한 다음 출력해 주는 방법이다.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제1 입력 정보로 입수(S41)하여, 제1 입력 정보로 기설정된 제1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S42)하고,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변동 정보를 제2 입력 정보로 입수(S43)하여, 상기 제2 입력 정보로 기설정된 제2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S44)하고, 제1 입력 정보로 생성되는 원가 내역 정보 및 상기 제2 입력 정보로 생성되는 원가 내역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VE 지원 정보로 기설정된 분석 정보를 생성(S45)하여, 분석 정보를 출력물로 생성(S46)한다.The third method generates cost breakdown basic data f (x, y, z, 1) as the first input information, and generates cost breakdown basic data f (x, y, z, 2) as the second input information. This method generates and outputs the set comparative analysis information in a preset format.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5 is as follows. First, the quantity information for each type-space, the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type,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are obtained as the first input information (S41), and the first cost detail information preset as the first input information is generated (S42), and the space for each type-space The variation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each quantity information, unit price information, and cost rate information is obtained as second input information (S43) to generate second cost detail information preset as the second input information (S44). And generating analysis information preset as VE assistance information by referring to at least one of the cost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as the first input information and the cost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as the second input information (S45), and outputting the analysis information. To generate (S46).

상기 첫째 방법은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인 f(x,y,z,1)에 대한 다각도의 분석 정보(예시적으로 도 20, 도 21, 도 22, 도 23 등)를 제공하여, 대안 설계 포인트를 추출해 내는 경우에 더욱더 잘 활용될 수 있다. 공종을 중심으로 f(x,y,z,1)에 대한 다면적 분석을 수행하는 경우, 비용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공종을 추출하기가 용이하게 되며, 대안 설계를 기획할 때, 이들을 집중적으로 공략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first method provides a variety of analysis information (eg, FIGS. 20, 21, 22, 23, etc.) for f (x, y, z, 1), which is the basic cost data, to provide alternative design points. It can be used even better when extracted. When performing a multi-faceted analysis of f (x, y, z, 1) centered on a work, it is easy to extract a work that can be accessed from a cost standpoint, and focus on them when planning alternative designs. You could do it.

상기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1300)가 생성하는 상기 VE 지원 정보는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에 대한 기설정된 비교 정보의 생성을 포함한다. 도 31 내지 도 34는 상기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1300)이 생성하는 상기 비교 정보에 관련된 기설정된 형식의 출력물의 일 실시예를 보여 주고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VE 지원 정보로서 상위 공간별 원 설계안에 따른 총 공사비와 대안 설계안에 대한 총 공사비 및 그 차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어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의 공사비 비교가 가능한 분석 결과물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VE 지원 정보로서 세부 공간별 원 설계안에 따른 총 공사비와 대안 설계안에 대한 총 공사비 및 그 차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어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의 공사비 비교가 가능한 분석 결과물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도 31에서 알 수 있듯이, 대안 설계의 채택시 A 동에 대해서는 658,689원이, B동에 대해서는 1,317,378원의 공사비가 절감됨을 알 수 있다. 도 31과 같은 분석 정보는 원 설계안에 대하여 집계되고 분석되는 동별 전체 중간 합계(101호 내지 105호의 합계) 데이터와 대안 설계에서는 공종 08과 공종 18을 대체하는 SPC 칸막이(공종18)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집계되고 분석된 전체 중간 합계 데이터로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원 설계안에 대한 상기 분석값(29,868,818)은 상기 f(x,y,z,w)에서, x좌표는 공종8에 관한 x1의 값과 공종18에 관한 x2의 값의 합계로, y 좌표는 A동(101호 내지 105호의 합계), z 좌표는 공사비 구성 항목 전체의 합계, w 좌표는 1차가 된다. 도 32의 원 설계안에 대한 값은 상기 f(x,y,z,w)에서, x좌표는 x좌표는 공종8에 관한 x1의 값과 공종18에 관한 x2의 값의 합계로, y 좌표는 A동101호, A동102호, A동103호, A동104호, A동105호 각각이 되며, z 좌표는 공사비 구성 항목 전체의 합계, w 좌표는 1차가 된다. 대안 설계 SPC 칸막이에 의해 원 설계안의 공종 2개가 변동되기 때문에, 상기 분석값은 원 설계안의 2개 공종에 대한 공사 원가 합계액이 되어야 한다. The VE assistanc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VE assistance information generation engine 1300 includes generation of preset comparison information for the original design and the alternative design. 31 to 34 illustrate an embodiment of output in a predetermined format related to the comparis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VE assistance information generation engine 1300. FIG. 31 is a VE supporting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provides information on the total construction cost and the total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design by the upper space and the alternative desig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design and the alternative design. Example drawing. 32 is a VE support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on the total construction cost and the total cost of the alternative design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original design for each detailed space for the analysis result that can compare the construction cost between the original design and the alternative design Example drawing. As can be seen in FIG. 31, when the alternative design is adopted, it can be seen that construction cost of 658,689 won for building A and 1,317,378 won for building B is reduced. The analysis information as shown in FIG. 31 includes the total median sum totals (sums of Nos. 101 to 105)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original design, and the SPC partitions (class 18) that replace the type 08 and type 18 in the alternative design. It can be compared with the total median data included, aggregated and analyzed. The analysis values (29,868,818) for the original design are at f (x, y, z, w), where x is the sum of the value of x1 for species 8 and the value of x2 for species 18, and the y coordinate is A (A total of 101-105), z coordinate becomes a sum total of a construction cost constitution item, and w coordinate becomes primary. The value for the circle design of FIG. 32 is the above f (x, y, z, w), where x is the sum of x coordinates for type 8 and x2 values for type 18, and y coordinate is A-101, A-102, A-103, A-104, and A105, respectively, z coordinates are the sum of all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s, and w coordinates are primary. Because the two designs of the original design are changed by the alternative design SPC divider, the analytical value should be the sum of the construction costs for the two models of the original design.

대안 설계안에 대한 상기 분석값(29,210,129)은 상기 f(x,y,z,w)에서, x좌표는 공종 18, y 좌표는 A동(101호 내지 105호의 합계), z 좌표는 공사비 구성 항목 전체의 합계, w 좌표는 2차가 된다. 도 32의 대안 설계안에 대한 값은 상기 f(x,y,z,w)에서, x좌표는 공종 18, y 좌표는 A동101호, A동102호, A동103호, A동104호, A동105호 각각이 되며, z 좌표는 공사비 구성 항목 전체의 합계, w 좌표는 2차가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A동은 101동, B동은 102동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The analysis values (29,210,129) for the alternative design are in f (x, y, z, w), the x coordinate is the work type 18, the y coordinate is the A building (total of 101 to 105), and the z coordinate is the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The sum total and the w coordinate are quadratic. The value of the alternative design of FIG. 32 is f (x, y, z, w), where x is the type 18, y is A 101, A 102, A 103, A 104. And A-105, respectively, z-coordinate is the sum of all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s, and w-coordinate is secondary. (In this specification, A is used in the same sense as 101, B is 102).

상기에서도 마찬가지로, 대안 설계안 구성 요소가 n(n은 정수)개가 있을 때, 상기 ni마다 상기 ni에 의해 삭제되거나 변동되는 원 설계안 구성 요소가 mij개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1300)은 상기 분석 정보를 생성할 때, 대안 설계안 구성 요소 ni별로 상기 ni에 관련된 대안 설계안의 공사 원가와 ni에 의해서 변경되는 mij에 관한 원 설계안의 공사 원가를 비교하여 제시할 수 있다.(ni의 예시는 SPC 칸막이, mij의 예시는 수성 페인트 로울러칠과 DRY WALL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1300)은 모든 ni에 대한 공사비 원가 내역의 합산 정보와, 모든 ni에 대한 모든 mij의 공사비 원가 내역 합산 정보를 함께 비교하여 제공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대안 설계에 공종 1개, 대안 설계에 따라 영향받는 원 설계안의 공종 2개로 설명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일 뿐이며, 대안 설계와 관련된 공종도 n개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며, 본 발명 사상은 이러한 상황에서도 적용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Likewise, when there are n alternative design elements (n is an integer), there are mij original design elements that are deleted or changed by the ni for each ni. At this time, when the VE assistance information generation engine 1300 generates the analysis information,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original design plan for the mij that is changed by ni and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alternative design element related to the ni for each alternative design element ni is determined. (An example of ni may be an SPC partition, an example of mij may be an aqueous paint roller and a DRY WALL.) Meanwhile, the VE assist information generation engine 1300 may cost construction costs for all nis. You can also compare the sum of the breakdown information and the sum of the cost cost breakdowns of all mij's for all nis.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one work for the alternative design, two work of the original design affected by the alternative design, but this is only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of course, the work related to the alternative design may also be n. However, it will be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in such a situation.

도 33은 상기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1300)이 생성하는 본 발명의 VE 지원 정보로서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 중 차이가 나는 공종별 및 대략적인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원 설계안에 따른 공사비와 대안 설계안에 대한 공사비 및 그 차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어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의 공사비 비교가 가능한 분석 결과물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VE 지원 정보로서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 중 차이가 나는 공종별 및 세부적인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원 설계안에 따른 공사비와 대안 설계안에 대한 공사비 및 그 차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어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의 공사비 비교가 가능한 분석 결과물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도 33 내지 도 34에서 알 수 있듯이,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에 대한 공사비 구성 항목별 절감액이 정확하게 산출되며, 일목요연하게 비교되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교 출력은 부위별로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을 통하여 부위별 정보를 포함하는 부위별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가 생성되고, 상기 부위별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서 원 설계안에 따른 공종과 관련된 원가 내역과 대안 설계안에 따른 공종과 관련된 원가 내역을 부위별로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각 부위는 수량과의 관계에서 각 공종과 1:n로 대응되어 있어야 한다. 즉, 하나의 세부 공간에 n개의 부위가 있을 때, 각 n개의 각 부위에는 하나 이상의 공종이 대응되어 있고, 각 공종에는 각 부위별-세부 공간별 공사 수량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부위별 비교를 통하여, 대안 설계안이 어느 부위에서 얼마나 공사비를 어떻게 절감할 수 있는 지를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은 대안 설계안에 다수 개의 공종이 대응되는 경우, 다수개의 공종별 또는 다수개의 공종을 합하여 상기 공종들이 어느 부위에 대응되는 지를 추출하고, 대안 설계에 따라 어느 부위에 얼마만큼의 공사비가 절감될 수 있는 지를 알 수 있는 출력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대안 설계가 어느 부위와 관련되어 있으며, 그 부위에서 얼마나 많은 공사비가 절감(특별한 경우에 따라서는 절상)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33 is a VE support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d by the VE support information generation engine 1300, and the construction cost for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alternative design plan according to the original design plan for each construction type and approximate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that differs between the original design plan and the alternative design plan. And an analysis drawing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difference and compares the construction cost between the original design and the alternative design. 34 is a VE support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difference for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alternative design plan according to the original design proposal by the construction type and detailed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s that differ between the original design plan and the alternative design plan One exemplary diagram of analytical results for comparison of cost of alternative designs. As can be seen from FIGS. 33 to 34, the savings for each construction cost item for the original design and the alternative design are accurately calculated and can be compared and output. On the other hand, the comparison output will be possible for each part. Cost-based basic data for each part including the information for each part is generated through 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st details related to the type of work according to the original design plan and the work plan according to the alternative design plan Relevant cost breakdowns can be compared by segment. In order to do this, each part should correspond to each type by 1: n in relation to quantity. That is, when there are n parts in one detail space, one or more types of work ar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n parts, and each work type must include construction quantity information for each part-detailed space. Through comparison of each part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how the alternative design can reduce how much construction cost in which part. 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models corresponding to the alternative design, extracts which sit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work by combining a plurality of models or a plurality of models, and in which site according to the alternative design You can produce output that tells you how much you can save. This will show where the alternative design is related and how much construction costs can be saved (and in some cases raised) in that area.

상기 본 발명의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은 인터페이스 모듈(110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100)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공종-공간별 수량정보, 공종별 원가 정보, 원가 요율 정보 등 각종 데이터를 입수 받는 입수부가 있다. 한편, 사용자가 원하는 출력물을 선택받기 위한 출력 선택 정보 입수부(1120)가 있으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출력 선택 정보 입수부(1120)가 입수하는 출력 선택 정보를 처리하여, 출력물을 생성한다. 생성된 출력물은 본 발명의 출력물 제공부(1130)를 통하여 사용자 컴퓨터(2000)에 제공된다.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face module 1100. The interface module 1100 has an acquisition unit that receives various data such as quantity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space, cost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and cost rate information. Meanwhile, there is an output selec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20 for selecting the output desired by the user, and the system processes the output selection information obtained by the output selec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20 to generate an output. The generated output is provided to the user computer 2000 through the output providing unit 1130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4와 같은 출력물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출력 선택 정보 입수부(112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출력물의 형태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다. 상기 선택 정보에는 가로축에 들어갈 정보(여기서는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 및 합계 정보), 원 설계안과 대안(개선) 설계안의 차이가 나는 공종 정보가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이 있을 때, 상기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1300)의 VE 지원 정보 처리부(1310)는 각 원 설계안의 선택된 공종에 대한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와 대안 설계안의 선택된 공종에 대한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를 각각 원 설계안과 관련된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및 대안 설계안과 관련된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로부터 입수하고, 상기 각 공사비 정보를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제시하고, 양자를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차액을 연산하여 VE 지원 분석 정보로 제공한다. 이때, 대안 설계 항목이 n개인 경우, 상기 n개를 한꺼번에 제시하거나, 낱낱이 처리하거나, 몇 개의 그룹별로 묶어서 처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그룹핑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다.In the case of selecting the output as shown in FIG. 34, the output selec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20 receives selec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form of the output from the user. The sele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to be included in the horizontal axis (in this case,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and total information for each component of construction cost), and work information having a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design plan and the alternative (improved) design plan. When there is such a selection, the VE assistanc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10 of the VE assistance information generation engine 1300 performs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construction cost item for the selected model of each original design and construction cost for the selected model of the alternative design. Cost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associated with the original design proposal and the cost breakdown basic data associated with the alternative design scheme, and the respective cost cost information is presented by the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s, and both are calculated by the construction cost by the construction cost. Provide as supporting analysis information. In this case, when there are n alternative design items, the n items may be presented at once, processed individually, or may be processed by grouping several groups. Such grouping is at the user's option.

본 발명의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을 사용하는 사용자 컴퓨터(2000)는 개인 사용자뿐만 아니라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적 사용자일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적 사용자에는 3D CAD 시스템, EVMS 시스템, 건설 감정 정보 처리 시스템, 예정 가격 작성 시스템, 원가 분석 시스템, 건설 사업 관리 시스템, 공사비 정산 시스템, 건설 감리 시스템, BIM 지원 시스템, 건설 발주자 측 시스템, 건설 수행자 측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시스템적 사용자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도 있으며, 상기 시스템적 사용자에 포함되어 있거나, 상기 시스템적 사용자의 연동하여 기능할 수도 있다. 상기 연동에는 일부 또는 전체 기능의 호출, 특정한 정보의 송신과 수신 등이 포함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The user computer 2000 using 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not only an individual user but also at least one predetermined system user. The system user may include a 3D CAD system, an EVMS system, a construction appraisal. At least one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 planned price preparation system, a cost analysis system, a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ystem, a construction cost settlement system, a construction supervision system, a BIM support system, a construction client side system, and a construction performer side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000 may function as part of the system user, included in the system user, or may fun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system user. It will be obvious that the interworking may include calling some or all functions,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fic information, and the like.

본 발명은 건설 산업 및 건설 산업을 지원하는 서비스업, 건설 정보 산업 등 건설 관련된 다양한 산업에 활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variety of construction-related industries, such as the service industry, construction information industry to support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construction industry.

1000 : 건설 VE 정보 처리 시스템
1100 : 인터페이스 모듈
1110 : 데이터 입수부
1111 : 입수 데이터 폼 제공부
1112 : 별도 사항 입수부
1120 : 출력 선택 정보 입수부
1130 : 출력물 제공부
1200 :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
1210 : 간접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
1220 : 집계 데이터 생성부
1221 : 다차원 집계 데이터 생성부
1222 : 정형 집계 데이터 생성부
1300 :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
1310 : VE 지원 정보 처리부
1320 : 출력물 생성부
1400 : DB부
1410 : 입수 데이터 저장부
1411 : 단가 정보 데이터부
1412 : 수량 산출 정보 데이터부
1413 : 원가 요율 정보 데이터부
1414 : 공종 데이터부
1415 : 공간 데이터부
1420 : 생성 데이터 저장부
1421 : 집계 데이터 저장부
1422 : 출력 정보 저장부
1423 : 특화 정보 저장부
1500 : 관리 모듈
1510 : 원가 요율 정보 관리부
1520 : 사용자 관리부
2000 : 사용자 컴퓨터
3000 : 네트워크
1000: Construction V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100: Interface Module
1110: data acquisition
1111: Obtain data form provider
1112: additional information
1120: obtain output selection information
1130: output providing unit
1200: Cost Breakdown Basic Data Generation Engine
1210: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generation engine
1220: aggregate data generation unit
1221: multi-dimensional aggregate data generation unit
1222: structured aggregate data generation unit
1300: VE support information generation engine
1310: VE suppor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20: output generation unit
1400: DB unit
1410: acquisition data storage
1411 unit price information data
1412: quantity calculation information data
1413: cost rate information data part
1414: engineering data section
1415: spatial data portion
1420: generation data storage unit
1421: aggregate data storage
1422: output information storage unit
1423: specialized information storage unit
1500: management module
1510 Cost Rate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1520: user management
2000: your computer
3000: network

Claims (22)

건설 VE 지원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설 VE 지원 시스템이
(A) 적어도 1회 이상에 걸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에 대한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제1 입력 정보로 입수 받는 단계;
(B) 적어도 1회 이상에 걸쳐 상기 공종,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변동 정보를 제2 입력 정보로 입수 받는 단계;
(C) 상기 제 1 입력 정보에 포함된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공종별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입력 정보로 기설정된 제1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제 2 입력 정보에 포함된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로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입력 정보로 기설정된 제2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되는 상기 제1 원가 내역 정보 및 상기 (D) 단계에서 생성되는 상기 제2 원가 내역 정보를 참조하여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는 공종별 직접 공사비 정보를 구성하는 공종별 자재비 정보, 공종별 노무비 정보, 및 공종별 경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원가 요율 정보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 및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의 값을 계산하기 위한 규칙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는 공종별 직접 공사비 정보와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합계한 것이며,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로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는 방법은 공종별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직접 공사비 정보와 공종별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결합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분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점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1 원가 내역 정보와 상기 제2 원가 내역 정보와 관련된 비교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관점별로 상기 제1 원가 내역 정보 및 상기 제2 원가 내역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관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간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간 분류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종 분류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사비를 구성하거나 공사비 분류 체계상의 공사비 항목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the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A) receiving at least one or more types of work-space-specific quantity information, work-specific unit price information, and cost rate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work type as first input information;
(B) receiving variation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work, the work-space-specific quantity information, the work-specific unit price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at least one or more times as second input information;
(C) First,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model is generated by referring to the unit price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for each type included in the first input information. And generating first cost details information preset as the first input information, including generating cost details information using the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D) first generating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by referring to the unit price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for each type included in the second input information, and expanding the unit price for each type of item using the generated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and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Generating second cost detail information preset as the second input information, by constructing the information and generating the cost detail information using the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And
(E) generating at least one preset analysis information by referring to the first cost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in step (C) and the second cost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in step (D). ,
The unit price information by type includes any one or more of material cost information by type, labor cost information by type, and expense information by type, which constitute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by type.
The cost rate information is to include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and rule information for calculating the value of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The expanded unit price information by type is the sum of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by sector and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by sector,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using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and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is to be generated by combining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construction item and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construction item.
In the step (E), the analysis information includes comparative analys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cost history information and the second cost history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viewpoint,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analysis information may include generating comparative analysis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first cost history information and the second cost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viewpoint.
The aspect is at least one or more parent-child spatial classifications in at least one given or selected spatial classification scheme, at least one or more parent-child engineering classifications in at least one or more given or selected engineering classification schemes and at least one given or selected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a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ruction cost or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list of construction cost items on the construction cost classification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에서 상기 공종은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종 분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공종 분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에서 상기 공간은 공간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간 분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공간 분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type-space-specific quantity information, the type of work is to include any one or more of at least one or more of the higher work class classification and at least one lower work class classification in the work classification system,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in the quantity-by-sector-specific quantity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or more upper space classification and at least one or more lower space classification in the space classification system.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공간 분류는 부위(element)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And said subspatial classification comprises an ele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입력받는 정보는 원 설계안과 관련된 정보인 것이며,
상기 (B) 단계에서 입력받는 정보는 상기 원 설계안에서 변동이 발생한 대안 설계안과 관련된 정보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A)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design,
The information received in the step (B) is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alternative design that the variation occurred in the original desig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점을 기준으로 한 상기 원 설계안과 관련된 집계 정보 및 상기 대안 설계안과 관련된 집계 정보가 더 포함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analysis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ggreg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design based on at least one viewpoint and aggreg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lternative desig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간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간 분류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종 분류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사비를 구성하거나 공사비 분류 체계상의 공사비 항목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spect is at least one or more parent-child spatial classifications in at least one given or selected spatial classification scheme, at least one or more parent-child engineering classifications in at least one or more given or selected engineering classification schemes and at least one given or selected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a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ruction cost or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list of construction cost items on the construction cost classification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가 요율 정보는 공사 규모 및 공사 유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것이며,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에는 공종별 직접 공사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에는 상기 공종별 노무비 정보를 입력 변수값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이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st rate information is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construction scale and construction type,
The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model includes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model,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using the labor cost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as an input variable valu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입력된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상기 규칙 정보를 처리하여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Generating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in the steps (C) and (D) refers to the input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and processes the rule information for each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to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생성 규칙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생성 규칙 정보로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Generating the cost details information in the step (C) and (D)
Generating indirect construction cost generation rule information for each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referring to the unit price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construction, and generating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as indirect construction cost creation rule information for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by includ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실시 이전에, 상기 (C) 단계가 먼저 실시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Before the step (B), the step (C) is carried out firs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상기 기설정된 분석 정보는 공종별 공사비에 관련된 비용 모델 및 기능 평가에 관련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determined analysis information of step (E)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ny one or more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st model and function evaluation related to the construction cost for each type of wor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입력받는 정보는 원 설계안과 관련된 정보인 것이며,
상기 (B) 단계에서 입력받는 정보는 상기 원 설계안에서 변동이 발생한 대안 설계안과 관련된 정보인 것이며,
상기 기설정된 분석 정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점을 기준으로 한 상기 원 설계안 및 상기 대안 설계안과 관련된 분석 정보인 것이며,
상기 관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간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간 분류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종 분류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사비를 구성하거나 공사비 분류 체계상의 공사비 항목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A)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design,
The information received in the step (B) i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lternative design has a change in the original design,
The predetermined analysis information is analys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design and the alternative design based on at least one viewpoint,
The aspect is at least one or more parent-child spatial classifications in at least one given or selected spatial classification scheme, at least one or more parent-child engineering classifications in at least one or more given or selected engineering classification schemes and at least one given or selected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a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ruction cost or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list of construction cost items on the construction cost classification system.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공사비의 생애 주기 분석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And said analysis information is a life cycle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cost.
제 1항에 있어서,
(F) 입력받거나,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설정된 출력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분석 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분석 정보에는 비교 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비교 정보는 상기 제1 원가 내역 정보 및 상기 제2 원가 내역 정보 중 어느 하나를 기설정된 기준으로 연산 처리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 generating at least one preset output received or selected;
The outpu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analysis information.
The analysis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 comparison information,
And the comparis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arithmetic processing any one of the first cost detail information and the second cost detail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basi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 VE 지원 시스템은 BIM 지원 시스템과 연동하거나, 상기 BIM 지원 시스템의 하위 시스템에서 동작하거나,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 관련 정보 처리 시스템 또는 건설 관련 설계 시스템과 연동하거나 상기 건설 관련 정보 처리 시스템 또는 상기 건설 관련 설계 시스템의 하위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interworks with a BIM support system, operates in a sub-system of the BIM support system, interworks with at least one predetermined construction relate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r construction related design system, or the construction relate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r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a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in a sub-system of the construction-related design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가 내역 정보는 공간별, 공사비 항목별 및 공종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집계 정보 및 재집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공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간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간 분류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종 분류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사비를 구성하거나 공사비 분류 체계상의 공사비 항목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이며,
상기 상위-하위 공간 분류에는 최하위 세부 공간 내지는 부위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상위-하위 공종 분류에는 최하위 공종 분류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재집계 정보는
상기 최하위 세부 공간별에 대한 재집계 정보인 경우, 상기 최하위 세부 공간을 하위 구성 요소로 하는 상위 단위 공간별로 적어도 1 단계 이상으로 재집계한 것이며,
상기 최하위 공종 분류별에 대한 재집계 정보인 경우, 상기 최하위 공종 분류를 하위 구성 요소로 하는 상위 공종별로 적어도 1 단계 이상으로 재집계한 것이며,
상기 공사비 항목별에 대한 재집계 정보인 경우, 상기 직접 공사비 집계 정보 및 상기 간접 공사비 집계 정보를 합산한 집계 정보 또는 상기 합산한 집계 정보에 부가세 및 기타 총원가를 구성하는 비용을 포함한 총집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st history information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ggregate information and re-aggregation information for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space, construction cost, and type.
The space is at least one or more parent-child space classifications in at least one given or selected spatial classification scheme, at least one or more parent-child work classifications in at least one or more given or selected engineering classification schemes and at least one given or selected It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list of construction costs or construction cost items in the construction cost classification system,
The upper-lower space classification may include the lowest detail space or a part, and the upper-lower job classification may include the lowest type of work classification,
The re-aggregation information
In the case of re-aggreg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lowest sub-spaces, the aggregated information is re-aggregated in at least one or more steps for each higher unit space having the lowest sub-space as a lower component.
In the case of re-aggreg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lowest work type classifications, the lowest work type classification is re-aggregated in at least one or more steps for each higher work type having lower components.
In the case of the re-aggreg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cost items, among the aggregate information including sum of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aggregation information and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aggregation information or the total aggregated information including the cost of constituting VAT and other total costs to the aggregated aggreg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more.
건설 VE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설 VE 지원 시스템은
적어도 1회 이상에 걸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에 대한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제1 입력 정보로 입수 받고, 적어도 1회 이상에 걸쳐 상기 공종,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변동 정보를 제2 입력 정보로 입수 받는 데이터 입수부;
상기 제1 입력 정보로 기설정된 제1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입력 정보로 기설정된 제2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원가 내역 정보 생성 엔진;
상기 제1 원가 내역 정보 및 상기 제2 원가 내역 정보를 참조하여 기설정된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
상기 데이터 입수부가 입력받는 데이터, 상기 원가 내역 정보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데이터,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물 양식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DB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는 공종별 직접 공사비 정보를 구성하는 공종별 자재비 정보, 공종별 노무비 정보, 및 공종별 경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원가 요율 정보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 및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의 값을 계산하기 위한 규칙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는 공종별 직접 공사비 정보와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합계한 것이며,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로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는 방법은 공종별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직접 공사비 정보와 공종별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결합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원가 내역 생성 엔진이 상기 제1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제 1 입력 정보에 포함된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공종별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원가 내역 생성 엔진이 상기 제2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제2 입력 정보에 포함된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공종별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분석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점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1 원가 내역 정보와 상기 제2 원가 내역 정보와 관련된 비교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관점별로 상기 제1 원가 내역 정보 및 상기 제2 원가 내역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관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간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간 분류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종 분류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사비를 구성하거나 공사비 분류 체계상의 공사비 항목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며,
상기 원가 내역 정보 생성 엔진이 상기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 방법 및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생성 규칙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상기 공종별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생성 규칙 정보로 상기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원가 내역 정보의 생성 시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생성 규칙 정보로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상기 확장 단가 정보의 생성보다 선행적으로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2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제1 방법에서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입력된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생성 규칙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
In the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the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Receiving at least one or more types of work-space-specific quantity information, work-specific unit price information, and cost rate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r more types of work as first input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r more times, quantity information of each work type, work type-space, etc. A data acquisition unit which receives variation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of industry-specific unit price information and cost rate information as second input information;
A cost history information generation engine generating first cost history information preset as the first input information and generating second cost history information preset as the second input information;
A VE assistance information generation engine configured to generate preset analysis information by referring to the first cost history information and the second cost history information;
And a DB unit for storing any one or more of data received by the data acquisition unit, data generated by the cost detail information generation engine, data generated by the VE support information generation engine, and at least one output form data.
The unit price information by type includes any one or more of material cost information by type, labor cost information by type, and expense information by type, which constitute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by type.
The cost rate information is to include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and rule information for calculating the value of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The expanded unit price information by type is the sum of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by sector and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by sector,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using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and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is to be generated by combining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construction item and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construction item.
The method for generating the first cost history information by the cost history generation engine first generates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work type by referring to the unit price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for each work type included in the first input information, and generates the work type information. It is to construct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sector by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and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and to generate the first cost breakdown information using the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The method for generating the second cost detail information by the cost history generation engine may first generat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by referring to the unit price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for each type included in the second input information, and then generate It is to construct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construction by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and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and to generate the second cost detail information using the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The analysis information includes comparative analys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cost history information and the second cost history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viewpoint,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analysis information is to generate the comparative analysis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first cost history information and the second cost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viewpoint.
The aspect is at least one or more parent-child spatial classifications in at least one given or selected spatial classification scheme, at least one or more parent-child engineering classifications in at least one or more given or selected engineering classification schemes and at least one given or selected It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list of construction cost items or construction cost items in the construction cost classification system,
The method for generating the cost history information by the cost history information generation engine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construction is first generated by referring to the unit price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construction, and the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construction is constructed using the generated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and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construction, and the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is used. A first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said cost breakdown information;
First, indirect construction cost generation rule information for each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referring to the unit price information and the cost rate information for each construction type is generated first, and the cost detail information is used as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generation rule information for each construction type. Any one of the second methods including generating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prior to the generation of the extended unit price information as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generation rule information for each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upon generation of the cost detail information; Method,
Generating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work in the first method refers to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generation rule information for each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for each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figuration item with reference to the input unit price information for each construction type, for each indirect construction cost construction item.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indirect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원가 내역 정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점을 기준으로 한 원 설계안과 관련된 집계 정보 및 대안 설계안과 관련된 집계 정보가 더 포함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7,
The cost breakdown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the aggregat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alternative design and the aggreg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st design based on at least one or more viewpoints.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관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간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간 분류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종 분류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사비를 구성하거나 공사비 분류 체계상의 공사비 항목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aspect is at least one or more parent-child spatial classifications in at least one given or selected spatial classification scheme, at least one or more parent-child engineering classifications in at least one or more given or selected engineering classification schemes and at least one given or selected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ruction cost or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list of construction cost items in the construction cost classification system.
삭제delete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원가 내역 정보는 공간별, 공사비 항목별 및 공종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집계 정보 및 재집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공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간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간 분류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종 분류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사비를 구성하거나 공사비 분류 체계상의 공사비 항목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이며,
상기 상위-하위 공간 분류에는 최하위 세부 공간 내지는 부위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상위-하위 공종 분류에는 최하위 공종 분류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재집계 정보는
상기 최하위 세부 공간별에 대한 재집계 정보인 경우, 상기 최하위 세부 공간을 하위 구성 요소로 하는 상위 단위 공간별로 적어도 1 단계 이상으로 재집계한 것이며,
상기 최하위 공종 분류별에 대한 재집계 정보인 경우, 상기 최하위 공종 분류를 하위 구성 요소로 하는 상위 공사 항목별로 적어도 1 단계 이상으로 재집계한 것이며,
상기 공사비 항목별에 대한 재집계 정보인 경우, 상기 직접 공사비 집계 정보 및 상기 간접 공사비 집계 정보를 합산한 집계 정보 또는 상기 합산한 집계 정보에 부가세 및 기타 총원가를 구성하는 비용을 포함한 총집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7,
The cost history information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ggregate information and re-aggregation information for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space, construction cost, and type.
The space is at least one or more parent-child space classifications in at least one given or selected spatial classification scheme, at least one or more parent-child work classifications in at least one or more given or selected engineering classification schemes and at least one given or selected It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list of construction costs or construction cost items in the construction cost classification system,
The upper-lower space classification may include the lowest detail space or a part, and the upper-lower job classification may include the lowest type of work classification,
The re-aggregation information
In the case of re-aggreg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lowest sub-spaces, the aggregated information is re-aggregated in at least one or more steps for each higher unit space having the lowest sub-space as a lower component.
In the case of re-aggreg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lowest work type classifications, the reworking information is re-aggregated in at least one step for each higher construction item having the lowest work type classification as a lower component.
In the case of the re-aggreg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cost items, among the aggregate information including sum of the direct construction cost aggregation information and the indirect construction cost aggregation information or the total aggregated information including the cost of constituting VAT and other total costs to the aggregated aggregation information.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more.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 VE 지원 시스템은 BIM 지원 시스템과 연동하거나, 상기 BIM 지원 시스템의 하위 시스템에서 동작하거나,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 관련 정보 처리 시스템 또는 건설 관련 설계 시스템과 연동하거나 상기 건설 관련 정보 처리 시스템 또는 상기 건설 관련 설계 시스템의 하위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VE 지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7,
The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interworks with a BIM support system, operates in a sub-system of the BIM support system, interworks with at least one predetermined construction relate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r construction related design system, or the construction relate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r the Construction VE sup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in the subsystem of the construction-related design system.
KR1020100070398A 2010-02-12 2010-07-21 Value Engineering System and Method on the Same KR1011341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398A KR101134106B1 (en) 2010-07-21 2010-07-21 Value Engineering System and Method on the Same
PCT/KR2011/000963 WO2011099826A2 (en) 2010-02-12 2011-02-14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nformation on construction costs containing information on detailed spaces or par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398A KR101134106B1 (en) 2010-07-21 2010-07-21 Value Engineering System and Method on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238A Division KR20120011833A (en) 2011-10-05 2011-10-05 Value Engineering System and Method on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766A KR20120009766A (en) 2012-02-02
KR101134106B1 true KR101134106B1 (en) 2012-04-20

Family

ID=4583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398A KR101134106B1 (en) 2010-02-12 2010-07-21 Value Engineering System and Method on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10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079B1 (en) 2012-07-03 2013-01-17 웹케시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on labor cost treatment
KR20160080388A (en) 2014-12-29 2016-07-08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Bim-based construction value engineering (ve) processing system
KR20210083548A (en)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드림이엔지 management methods of project using Value Engineering and the recording media storing the program performing the sai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899B1 (en) * 2017-12-04 2020-12-04 주식회사 양파 Method for interior platform based on spatial awarenes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781A (en) * 2004-05-19 2005-11-24 (주)새우리 System of managing the cost of construction connected internet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781A (en) * 2004-05-19 2005-11-24 (주)새우리 System of managing the cost of construction connected internet and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079B1 (en) 2012-07-03 2013-01-17 웹케시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on labor cost treatment
KR20160080388A (en) 2014-12-29 2016-07-08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Bim-based construction value engineering (ve) processing system
KR20210083548A (en)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드림이엔지 management methods of project using Value Engineering and the recording media storing the program performing the sai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766A (en)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ampantzi et al. A new model for designing sustainable supply chain networks and its application to a global manufacturer
Lee et al. Production–distribution planning in supply chain considering capacity constraints
US2021017387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interconnected data sets stored in a graph database
KR101167848B1 (en) Method on Labor Management Process of Construction Including Small Space or Element Information
Yang et al. Supply chain DEA: production possibility set and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Sousa et al. Global supply chain planning for pharmaceuticals
Bhatnagar et al. Role of logistics in enhancing competitive advantage: A value chain framework for global supply chains
Cortinhal et al. Dynamic design and re-design of multi-echelon, multi-product logistics networks with outsourcing opportunities: A computational study
US201501092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ly chain network sensitivity analysis and presentation
KR101690211B1 (en) Bim-based construction value engineering (ve) processing system
Ozdemir Integrating analytic network process and data envelopment analysis for efficiency measurement of Turkish commercial banks
EP4036821A1 (en) System for the matrix-digital transformation of a variable data set
US20150120370A1 (en) Advanced planning in a rapidly changing high technology electronics and computer industry through massively parallel processing of data using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KR101134106B1 (en) Value Engineering System and Method on the Same
Alem et al. An integrated fuzzy DEA-fuzzy AHP approach: a new model for ranking decision-making units
Hu et al. Energy productivity and total-factor productivity in the Australian construction industry
WO2016209121A2 (en) Method of managing an array of variable data concerning consumer-related production indices in order to optimize said indices taking into account temporal and spatial parameters
Eklin et al. Model for cost estimation in a finite-capacity stochastic environment based on shop floor optimization combined with simulation
Nasution et al. Enterprise architecture analysis using Zachman framework
KR20120011833A (en) Value Engineering System and Method on the Same
JP2012141788A (en) Project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management method
Corsano et al. Computational methods for the simultaneous strategic planning of supply chains and batch chemical manufacturing sites
KR101081880B1 (en)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cluding Small Space or Element Information and the Method on it
KR20110093523A (en) Method and system on construction cost data processing
Setak et al. Investigating zone pricing in a location-routing problem using a variable neighborhood search algorith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