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958B1 - 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958B1
KR101133958B1 KR1020080124594A KR20080124594A KR101133958B1 KR 101133958 B1 KR101133958 B1 KR 101133958B1 KR 1020080124594 A KR1020080124594 A KR 1020080124594A KR 20080124594 A KR20080124594 A KR 20080124594A KR 101133958 B1 KR101133958 B1 KR 101133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weather data
wave
processing unit
wea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5983A (ko
Inventor
박준기
Original Assignee
(주)매크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매크로닉스 filed Critical (주)매크로닉스
Priority to KR1020080124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958B1/ko
Publication of KR20100065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c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지역을 촬영하여 방송화면을 생성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특정지역에 설치되어 기상데이터를 생성하는 풍향센서, 풍속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강우감지센서, 적외선감지센서, 분진센서, CO2감지센서, 파도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부와, 상기 각각의 센서와 연결되어, 그 센서가 생성한 기상데이터를 전송받는 하나 이상의 센서노드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전송받은 방송화면과 각각의 센서노드로부터 전송받은 기상데이터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합성화면을 생성하는 오버레이 처리부 그리고 상기 센서노드로부터 전송받은 기상데이터 또는 상기 오버레이처리부로부터 전송받은 합성화면을 부호분할다중접속(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이용하여 통제서버에 전송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지역에 대한 촬영영상과 함께 기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 국지적으로 단시간 내에 일어나는 기상이변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온도, 풍향, 비디오, 센서, 노드, 강우량, 경사계, 풍속

Description

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객이 관리하는 특정지역을 촬영한 영상과 함께, 그 특정지역의 기상 및 재난 등 다양한 상황을 관측하여 그 결과를 촬영영상과 함께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시시각각 변하는 해당지역의 정보를 정확하게 알릴 수 있는 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시간 정보수집과 분석을 통하여 고객이 관리하는 지역의 상황과 환경에 대한 독립적 인프라를 구축하며, 신속하고 정확한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산업화?공업화 등으로 인한 이산화탄소와 같은 공해물질의 배출량 증가 및, 산림 파괴 등으로 기온이 상승하는 지구 온난화 현상과 엘니뇨 현상 등으로 인한 급격한 환경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국지적인 장소에 폭 설?폭우 또는 산불 등이 발생되는 기상이변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그러한 기상이변은 생산시설 파손 및 생산 차질, 물류비용을 증가시켜 기업활동을 위축시킴은 물론, 아주 짧은 시간내에 국지적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인명피해 또한 줄이지 못하고 있다.
상기한 기상이변을 감시하는 현재의 기상예보 시스템은 기상위성을 통한 광범위한 지역에 대해 예보가 이루어지는 반면, 산간계곡?하천변 유원지 등과 같은 국지적인 장소에 대해서는 상세 기상 정보가 전달되지 못하고 있어 현실적으로 그 대비책이 무방비 상태로 남고 있다.
예컨대, 산간 계곡 등 야외에서 늦은 시간에 취침을 하고 있을 때 기상 이변에 따라 폭우?폭설 등이 발생되는 경우 해당 관리 사무소는 중앙 통제기관으로부터 1차적인 기상 통보를 받고 이를 다시 전달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내에 발생되는 홍수 등에는 전혀 대비를 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 통제기관은 대부분 현재 시간의 기상 정보만을 제공하며, 그 기상 정보 또한 포괄적인 지역에 대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 이 특정 장소에서 발생될 수 있는 국지적인 기상이변에 대해 실제적인 재해 예방에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다시말해, 기상 관련정보는 기상위성이나 기상 사이트 등에 의존하는 기상예보로서 그 효과가 미미하고, 재해 발생 예방지역의 기상이변에 실시간 정보전달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이 관리하는 특정지역을 촬영한 영상과 함께, 그 특정지역의 기상상황을 관측하여 그 결과를 촬영영상과 함께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시시각각 변하는 해당지역의 정보를 정확하게 알릴 수 있는 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객의 관리하는 특정지역의 촬영영상 및 기상상황정보를 부호분할다중접속(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이용하여 통제서버에 전송함으로써 기상상황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시간으로 기상상황정보를 제공받고, 그 기상상황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폭염조건, 폭설조건, 화재조건, 황사조건, 파랑경보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한 뒤, 폭염 또는 폭설 또는 화재 또는 황사 또는 파랑경보라고 판단하면, 경보메세지를 출력함으로써 미연의 사고방지에 기여할 수 있는 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비와 고장발생을 줄이는 파도센서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특정지역을 촬영하여 방송화면을 생성하는 카메라부; 상기 특정지역에 설치되어 기상데이터를 생성하는 풍향센서, 풍속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강우감지센서, 적외선감지센서, 분진센서, CO2감지센서, 파도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각각의 센서와 연결되어, 그 센서가 생성한 기상데이터를 전송받는 하나 이상의 센서노드;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전송받은 방송화면과 각각의 센서노드로부터 전송받은 기상데이터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합성화면을 생성하는 오버레이 처리부; 및 상기 센서노드로부터 전송받은 기상데이터 또는 상기 오버레이처리부로부터 전송받은 합성화면을 부호분할다중접속(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이용하여 통제서버에 전송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기상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폭염조건, 폭설조건, 화재조건, 황사조건, 파랑경보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한 뒤, 폭염 또는 폭설 또는 화재 또는 황사 또는 파랑경보라고 판단하면, 경보메세지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파도센서는, 방벽에 설치되고, 파랑경보가 발생되는 동일한 높이에 2개 이상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파도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파도센서는, 부표의 내부에 배치되어, 부표가 움직이는 경우 상하이동하는 전도성 물질인 무게추; 및 상기 부표 상부의 양 끝단에 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무게추가 상기 전극과 접촉하면, 접촉 온 신호를 생성하여 파도감지처리부에 제공하는 감지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파도감지처리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파도센서로부터 접촉 온 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파랑경보로 판단하고, 파랑경보 신호를 상기 중앙처리부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오버레이 처리부는, 상기 합성화면에서 기상데이터가 삽입되는 배경영역의 평균 컬러를 구하고 상기 기상데이터는 상기 평균 컬러의 보색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A)카메라가 특정지역을 촬영하고, 그 방송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B)상기 특정지역에 구비된 풍향센서, 풍속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강우감지센서, 적외선감지센서, 분진센서, CO2감지센서, 파도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에 의해 기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C)상기 오버레이처리부가 (A)단계에 의해 생성된 방송화면과 (B)단계에 의해 생성된 기상데이터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합성화면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B)단계의 상기 파도센서는, 방벽에 설치되고, 파랑경보가 발생되는 동일한 높이에 2개 이상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며, 부표의 내부에 배치되어, 부표가 움직이는 경우 상하이동하는 전도성 물질인 무게추; 및 상기 부표 상부의 양 끝단에 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무게추가 상기 전극과 접촉하면, 접촉 온 신호를 생성하여 파도감지처리부에 제공하는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D)상기 기상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폭염조건, 폭설조건, 화재조건, 황사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한 뒤, 폭염 또는 폭설 또는 화재 또는 황사라고 판단 하면, 경보메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E)상기 (B)단계의 기상데이터 또는 상기 (C)단계의 합성화면을 부호분할다중접속(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이용하여 통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C)단계는, 상기 오버레이처리부가 합성화면에서 기상데이터가 삽입되는 배경영역의 평균 컬러를 구하고 상기 기상데이터는 상기 평균 컬러의 보색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고객이 관리하는 특정지역을 촬영한 영상과 함께, 그 특정지역의 기상상황을 관측하여 그 결과를 촬영영상과 함께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시시각각 변하는 해당지역의 정보를 정확하게 알릴 수 있는 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의 관리하는 특정지역의 촬영영상 및 기상상황정보를 부호분할다중접속(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이용하여 통제서버에 전송함으로써 기상상황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기상상황정보를 제공받고, 그 기상상황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폭염조건, 폭설조건, 화재조건, 황사조건, 파랑경보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한 뒤, 폭염 또는 폭설 또는 화재 또는 황사 또는 파랑경보라고 판 단하면, 경보메세지를 출력함으로써 미연의 사고방지에 기여할 수 있는 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도센서는 부표의 내부에 배치되어, 부표가 움직이는 경우 상하이동하는 전도성 물질인 무게추 및 상기 부표 상부의 양 끝단에 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무게추가 상기 전극과 접촉하면, 접촉 온 신호를 생성하여 파도감지처리부에 제공하는 감지기를 포함하는데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비와 고장발생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센서부(10), 센서노드(20), 카메라부(30), 오버레이처리부(40), 전광판(50), 중앙처리부(60), 출력부(70), 관제서버(80)를 포함한다.
센서부(10)는 풍향센서(13), 풍속센서, 온도센서(11), 습도센서(12), 강우감지센서, 적외선감지센서, 분진센서(16), CO2감지센서(15), 파도센서(17)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센서부(10)에는 특정지역의 지역특성에 따라 사용자가 요구하는 센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들은 특정지역의 풍향, 풍속, 온도, 습도, 강우량, 기압, 속도, 경사, 소음, CO2, 파도 등의 변화를 감지하여 기상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2에는 도 1의 파도센서를 설명하는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2를 참조하면, 파도센서(17)는, 방벽에 설치되고, 파랑경보가 발생되는 동일한 높이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파도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파도센서(17)는 부표(17-1)의 내부에 배치되어, 부표(17-1)가 움직이는 경우 상하이동하는 전도성 물질인 무게추(17-2)와, 상기 부표(17-1) 상부의 양 끝단에 전극(17-3)이 구비되고, 상기 무게추가 상기 전극과 접촉하면, 접촉 온 신호를 생성하여 파도감지처리부(25)에 제공하는 감지기를 포함한다.
설명의 이해를 돕고자 일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높은 파도를 막기 위해 쌓아진 방벽에 파도가 치면 그 파도에 의해 방벽에 설치된 부표(17-1)가 뒤집혀 지게되고 그 부표(17-1)가 뒤집히는 경우, 부표(17-1)의 내부에 있는 무게추(17-2)가 뒤집힌 부표(17-1) 상부로 이동을 하게된다. 즉, 파도에 의해 부표(17-1)가 뒤집히면, 상기 무게추(17-2)와 상기 전극(17-3)이 접하게 되어 접촉 온 신호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파도감지처리부(25)는, 적어도 둘 이상의 파도센서로부터 접촉 온 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파랑경보로 판단하고, 파랑경보 신호를 상기 중앙처리부(60)에 전송한다. 이는 파도가 일렁이는 패턴을 가져 파도를 막는 방벽에 접촉하였을때, 방벽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파도센서 중 하나의 파도센서에만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두개 이상의 파도센서와 접촉하기 때문이다.
센서노드(20)는 상기 각각의 센서와 연결되어, 그 센서가 생성한 기상데이터를 전송받는다.
그리고 카메라부(30)는 특정지역을 촬영하여 방송화면을 생성한다.
한편, 오버레이처리부(40)는 카메라부(30)로부터 전송받은 방송화면과 각각의 센서노드(20)로부터 전송받은 기상데이터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합성화면을 생성하여 전광판(50)에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또한, 오버레이 처리부(40)는, 상기 합성화면에서 기상데이터가 삽입되는 배경영역의 평균 컬러를 구하고 상기 기상데이터는 상기 평균 컬러의 보색으로 설정한다.
중앙처리부(60)는 센서노드(20)로부터 전송받은 기상데이터 또는 상기 오버레이처리부(40)로부터 전송받은 합성화면을 부호분할다중접속(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이용하여 통제서버(80)에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제서버(80)가 합성화면을 전송받는 경우, 영상과 기상데이터를 동시에 모니터링 함으로써 비상시 대처능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앙처리부(60)는, 상기 기상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폭염조건, 폭설조건, 화재조건, 황사조건, 파랑경보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한 뒤, 폭염 또는 폭설 또는 화재 또는 황사 또는 파랑경보라고 판단하면, 경보메세지를 출력부(70)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출력부(70)는 싸이렌 스피커 또는 경광등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합성화면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 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화면에는 특정지역의 촬영한 영상과 함께 좌측 상단에는 그 지역의 기상데이터(110)가 함께 제공된다. 그리고 그 특정지역에 특이사항(예컨대; 교통정보, 폭염경보, 폭설경보, 황사경보, 파랑경보 등)이 있는 경우, 우측 상단(120)에 그 특이정보가 함께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영상과 함께 그 지역의 기상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음으로써 시시각각 변하는 해당지역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알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정보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카메라(30)가 특정지역을 촬영하고, 그 방송화면을 생성한다.
그리고 카메라(30)가 특정지역을 촬영하는 동시에 상기 특정지역에 구비된 풍향센서, 풍속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강우감지센서, 적외선감지센서, 분진센서, CO2감지센서, 파도센서 중 어느 하나가 강우량, 풍향, 풍속, 온도, 습도, 기압, 속도, 경사, 소음, 파도 등의 변화를 감지하여 측정한 기상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러면, 오버레이처리부(40)가 카메라(30)에 의해 생성된 방송화면과 각각의 센서들에 의해 생성된 기상데이터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합성화면을 생성하여 전광판(50)에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오버레이처리부(40)는 합성화면에서 기상데이터가 삽입되는 배경영역의 평균 컬러를 구하고 상기 기상데이터는 상기 평균 컬러의 보색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해안가 주변에 파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파도센서(17)가 구비된 경우에 파도감지처리부(25)는 방벽에 파랑경보가 발생되는 동일한 높이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파도센서(17) 중 두개 이상의 파도센서로부터 접촉 온 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파랑경보로 판단하고, 싸이렌 스피커 및 경광등을 통해 이를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앙처리부(60)는 각각의 센서로부터 전송받은 기상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폭염조건, 폭설조건, 화재조건, 황사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한 뒤, 폭염 또는 폭설 또는 화재 또는 황사라고 판단하면, 전광판(50)에 그 정보를 출력하고, 싸이렌 스피커 및 경광등을 통해 이를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중앙처리부(60)는 각각의 센서들로부터 전송받은 기상데이터 또는 오버레이처리부(40)가 생성한 합성화면을 부호분할다중접속(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이용하여 통제서버(8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통합 정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의 파도센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합성화면을 설명하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센서부 20 : 센서노드
11 : 온도센서 12 : 습도센서
13 : 풍향센서 14 : 속도센서
17 : 파도센서 17-1 : 부표
17-2 : 무게추 17-3 : 감지기
25 : 파도감지처리부 30 : 카메라부
40 : 오버레이 처리부 50 : 전광판
60 : 중앙처리부 70 : 출력부
80 : 관제서버

Claims (11)

  1. 특정지역을 촬영하여 방송화면을 생성하는 카메라부;
    상기 특정지역에 설치되어 기상데이터를 생성하는 풍향센서, 풍속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강우감지센서, 적외선감지센서, 분진센서, CO2감지센서, 파도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각각의 센서와 연결되어, 그 센서가 생성한 기상데이터를 전송받는 하나 이상의 센서노드;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전송받은 방송화면과 각각의 센서노드로부터 전송받은 기상데이터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합성화면을 생성하며, 상기 합성화면에서 상기 기상데이터가 삽입되는 방송화면의 일부 영역의 평균 컬러를 구하고, 상기 기상데이터를 상기 평균 컬러의 보색으로 설정하여 표시하며, 상기 기상데이터가 표시되는 영역과는 별도의 영역에 정상 또는 특이정보의 내용을 택일하여 표시하는 오버레이 처리부; 및
    상기 센서노드로부터 전송받은 기상데이터 또는 상기 오버레이처리부로부터 전송받은 합성화면을 부호분할다중접속(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이용하여 통제서버에 전송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기상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폭염조건, 폭설조건, 화재조건, 황사조건, 파랑경보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한 뒤, 폭염 또는 폭설 또는 화재 또는 황사 또는 파랑경보라고 판단하면, 경보메세지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도센서는, 방벽에 설치되고, 파랑경보가 발생되는 동일한 높이에 2개 이상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파도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도센서는,
    부표의 내부에 배치되어, 부표가 움직이는 경우 상하이동하는 전도성 물질인 무게추; 및
    상기 부표 상부의 양 끝단에 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무게추가 상기 전극과 접촉하면, 접촉 온 신호를 생성하여 파도감지처리부에 제공하는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도감지처리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파도센서로부터 접촉 온 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파랑경보로 판단하고, 파랑경보 신호를 상기 중앙처리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시스템.
  6. 삭제
  7. (A) 카메라가 특정지역을 촬영하고, 그 방송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특정지역에 구비된 풍향센서, 풍속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강우감지센서, 적외선감지센서, 분진센서, CO2감지센서, 파도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에 의해 기상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 및
    (C) 오버레이 처리부가 (A)단계에 의해 생성된 방송화면과 (B)단계에 의해 생성된 기상데이터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합성화면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오버레이 처리부는 상기 합성화면에서 상기 기상데이터가 삽입되는 방송화면의 일부 영역의 평균 컬러를 구하고, 상기 기상데이터를 상기 평균 컬러의 보색으로 설정하여 표시하며, 상기 기상데이터가 표시되는 영역과는 별도의 영역에 정상 또는 특이정보의 내용을 택일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시스템의 정보 처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도센서는,
    부표의 내부에 배치되어, 부표가 움직이는 경우 상하이동하는 전도성 물질인 무게추; 및
    상기 부표 상부의 양 끝단에 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무게추가 상기 전극과 접촉하면, 접촉 온 신호를 생성하여 파도감지처리부에 제공하는 감지기;를 포함하고,
    방벽에 설치되고, 파랑경보가 발생되는 동일한 높이에 2개 이상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정보 시스템의 정보 처리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D)상기 기상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폭염조건, 폭설조건, 화재조건, 황사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한 뒤, 폭염 또는 폭설 또는 화재 또는 황사라고 판단하면, 경보메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합 정보 시스템의 정보 처리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E)상기 (B)단계의 기상데이터 또는 상기 (C)단계의 합성화면을 부호분할다중접속(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이용하여 통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합 정보 시스템의 정보 처리방법.
  11. 삭제
KR1020080124594A 2008-12-09 2008-12-09 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33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594A KR101133958B1 (ko) 2008-12-09 2008-12-09 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594A KR101133958B1 (ko) 2008-12-09 2008-12-09 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983A KR20100065983A (ko) 2010-06-17
KR101133958B1 true KR101133958B1 (ko) 2012-04-09

Family

ID=42365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594A KR101133958B1 (ko) 2008-12-09 2008-12-09 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9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070B1 (ko) * 2019-08-20 2020-11-06 주식회사 네오콤 이격된 장소의 센서신호를 검출하는 통합센서 모듈이 유선 연결되는 감시카메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3558A (ja) * 1995-11-07 1997-05-20 Unyusho Kowan Gijutsu Kenkyusho 波浪監視計
KR20030030360A (ko) * 2001-10-10 2003-04-18 이진구 통합 환경감시 시스템
KR20070031187A (ko) * 2005-09-14 2007-03-19 박준상 기상 정보를 검출하고 이를 영상에 중첩 기록하는 휴대용전자 장치 및 방법
KR20080056110A (ko) * 2007-12-20 2008-06-20 주식회사 제이캐스트 와이맥스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기상통보타워를 이용한 방재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3558A (ja) * 1995-11-07 1997-05-20 Unyusho Kowan Gijutsu Kenkyusho 波浪監視計
KR20030030360A (ko) * 2001-10-10 2003-04-18 이진구 통합 환경감시 시스템
KR20070031187A (ko) * 2005-09-14 2007-03-19 박준상 기상 정보를 검출하고 이를 영상에 중첩 기록하는 휴대용전자 장치 및 방법
KR20080056110A (ko) * 2007-12-20 2008-06-20 주식회사 제이캐스트 와이맥스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기상통보타워를 이용한 방재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983A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781B1 (ko) 드론 및 모니터링 센서 연동 기반의 재난 관리 시스템
KR101635000B1 (ko)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그 시스템
KR102060045B1 (ko) 열분포 측정이 가능한 화재감지장비 및 그 시스템
KR102425732B1 (ko) 재난 위험도 알림 표시판 및 재난 예·경보 시스템
KR100755207B1 (ko) 도로변 재난 감시방법 및 그 시스템
CN115348247A (zh) 基于天空地一体化技术的森林火灾检测预警及决策系统
KR20190063729A (ko) 사회재난 대응을 위한 융복합기술 기반의 카메라와 센서 네트워크와 지향성 스피커를 사용한 인명지킴이 시스템
US20090121861A1 (en) Detecting, deterring security system
KR100963849B1 (ko) 도로 기상 종합 시스템 및 제공방법
CN112288984A (zh) 基于视频融合的三维可视化无人值守变电站智能联动系统
KR101445045B1 (ko) 통합관제센터의 통합관제서비스를 이용한 수위경고 시스템 및 방법
KR101076734B1 (ko) 정보분석형 산불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377184B1 (ko) 모바일 통신망을 이용한 안전 및 재난 방지 시스템
KR20140134457A (ko) 교량 안전사고 관리시스템
KR20160099931A (ko) 재난 위험 및 관심 지역에 대한 재난 예방 및 관리방법
Siergiejczyk et al. Reliability and viewpoints of selected ITS system
KR102039291B1 (ko) 생활 밀착형의 미세먼지 측정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10050784A (ko) 스마트 안전관리 지주 장치
KR101604554B1 (ko) 국지적 재난 방송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60101420A (ko) 산불 안전정보 통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통합관제 시스템
JP2007183874A (ja) 浸水情報管理システムとその管理装置
KR20200011114A (ko)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원격 화재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14882676A (zh) 基于智能杆的多场景下智能监控预警方法及系统
KR101133958B1 (ko) 통합 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1876973U (zh) 一种用于轨道交通车站火警的图像烟雾探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