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737B1 - system for tunnel ventilation - Google Patents

system for tunnel ventil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737B1
KR101133737B1 KR1020090097604A KR20090097604A KR101133737B1 KR 101133737 B1 KR101133737 B1 KR 101133737B1 KR 1020090097604 A KR1020090097604 A KR 1020090097604A KR 20090097604 A KR20090097604 A KR 20090097604A KR 101133737 B1 KR101133737 B1 KR 101133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air
nozzle unit
exhaust port
ventil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6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40373A (en
Inventor
한방우
김용진
김학준
송동근
정상현
홍원석
신완호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97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737B1/en
Publication of KR20110040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3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7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03Ventilation of traffic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4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unnels or galle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ortals, day-light attenuation at tunnel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8Ventilation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air ducts, e.g. arrangements for mounting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의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터널의 환기 시스템은 차량이 운행되는 터널의 내부공기를 순환시키는 터널의 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기 위하여 상기 터널 내부에 배치되는 유입구; 상기 터널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유입구로부터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배기구; 상기 차량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터널 천장면의 상기 배기구 후방에 설치되고,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내부공기를 배기구 측으로 유도시키는 제1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system of a tunnel, and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tu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ntilation system of a tunnel that circulates internal air of a tunnel in which a vehicle is operated, and is disposed inside the tunnel to introduce air from the outside. Inlet; An exhaust port spaced apart from the inlet port in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o discharge the internal air of the tunnel to the out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nozzle unit which is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exhaust port of the tunnel ceiling surface in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by injecting air to guide the internal air to the exhaust port side.

이에 의하여, 환기 성능이 향상되는 터널의 환기 시스템이 제공된다.Thereby,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tunnel which improves ventilation performance is provided.

지하철, 플랫폼, 터널, 에어커튼, 분사, 흡입, 압축공기, 환기, 오염물질 Subways, Platforms, Tunnels, Air Curtains, Injection, Suction, Compressed Air, Ventilation, Pollutants

Description

터널의 환기 시스템 {system for tunnel ventilation}Ventilation system for tunnels {system for tunnel ventilation}

본 발명은 터널의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 내의 오염물질 원활한 배출을 통하여 환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터널의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system of the tunn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ntilation system of the tunnel that can increase the ventilation efficiency through the smooth discharge of pollutants in the tunnel.

기차, 자동차, 지하철등이 운행하는 터널의 내부는 밀폐된 공간으로 인하여 공기 순환이 자유롭지 못하므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동력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강제로 배기하고 있는 실정이다.The interior of the tunnel where trains, cars, subways, etc. operate is not easy to remove pollutants emitted because air circulation is not free due to the enclosed spa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ituation is forcibly exhausting pollutants using power.

즉, 터널 내에 강제 송풍기를 구비한 유입구와 배기구를 배치하여, 오염물질을 포함하고 터널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외부의 맑은 공기를 터널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서 터널 내부를 강제 환기시키고 있다.In other words, the inlet and the exhaust port having a forced blower are disposed in the tunnel to exhaust the air inside the tunnel and contain the pollutants, while forcing the outside of the tunnel into the tunnel.

도 1은 종래의 유입구와 배기구가 설치된 터널의 환기 시스템(10)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송풍기에 의하여 유입구(12)로 강제 유입된 공기가 터널(11) 내의 내부공기로 합류하여 분진, 먼지 등의 악성물질을 수용하여 배기구(13)를 통해 100% 배출되어야만 이상적인 터널(11) 내의 환기가 이루어진다. 1 shows a ventilation system 10 of a tunnel in which a conventional inlet and an exhaust outlet are installed. Referring to FIG. 1, the air forced into the inlet 12 by the blower joins the internal air in the tunnel 11 to receive 100% of the harmful substances such as dust and dust and be discharged 100% through the exhaust port 13. Ventilation in the tunnel 11 takes place.

그러나, 종래 터널의 환기 시스템(10)은 터널 내에서 기차, 자동차, 지하철 등 차량의 운행시에 유도되는 바람의 영향으로 인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20%만이 외부로 배출되고 나머지 80%는 배출되지 못하여 터널(11) 내부에 장기간 머무르게 되는 등 효율적인 환기 시스템 운영에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unnel ventilation system 10, only 20% of the inflow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due to the influence of wind induced when the vehicle, such as a train, car, subway, etc. in the tunnel, and the remaining 80% is not discharged. There was a difficulty in operating an efficient ventilation system, such as staying inside the tunnel 11 for a long tim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에 의해서 유도되는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음으로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널의 환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to provide a ventilation system of a tunnel that can improve performance by not being affected by wind induced by a vehicl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이 운행되는 터널의 내부공기를 순환시키는 터널의 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기 위하여 상기 터널 내부에 배치되는 유입구; 상기 터널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유입구로부터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배기구; 상기 차량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터널 천장면의 상기 배기구 후방에 설치되고,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내부공기를 배기구 측으로 유도시키는 제1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환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tilation system for a tunnel for circulating internal air of a tunnel in which a vehicle is operated, comprising: an inlet disposed inside the tunnel for introducing air from the outside; An exhaust port spaced apart from the inlet port in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o discharge the internal air of the tunnel to the outside; It is achieved by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tunne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the rear of the exhaust port of the tunnel ceiling along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and comprises a first nozzle portion for inducing the internal air to the exhaust port side by injecting air.

또한, 상기 제1노즐부가 설치되는 면과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어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내부공기의 흐름을 상기 배기구 측으로 유도하는 제2노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nozzle part installed on a surface facing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nozzle part is installed to induce air flow to the exhaust port side by injecting air.

또한, 상기 제2노즐부는, 상기 제1노즐부의 수직하방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nozzle unit may be installed below the first nozzle unit.

또한, 상기 차량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유입구의 전방에 설치되고, 공기를 분사 또는 흡입함으로써 상기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유입공기가 상기 내부공기와 합류하도록 유도하는 제3노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hird nozzle unit installed in front of the inlet along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and configured to induce inflow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to merge with the internal air by injecting or inhaling air.

또한, 상기 제1노즐부는, 상기 제1노즐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가상의 수직선과 20˚내지 40˚를 형성하며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nozzle unit may form air with a virtual vertical line extending from the first nozzle unit vertically downward to form 20 ° to 40 °.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공기를 배기구로 유도할 수 있는 터널의 환기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ntilation system of a tunnel capable of directing internal air to an exhaust port.

또한, 노즐을 양면에 부착하여 환기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ventilation performance by attaching the nozzle on both sides.

또한, 양면의 노즐을 서로 대칭이 되도록 설치하여 차량에 의하여 유도되는 바람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nozzles on both sides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wind induced by the vehicle.

또한, 유입구 측에 노즐을 설치하여 외부 유입되는 공기가 내부공기와 합류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nozzle on the inlet side to allow the incoming air to join the internal air.

또한, 제1노즐의 공기 분사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내부공기의 흐름을 원하는 경로로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flow of the internal air in a desired path by changing the air injection angle of the first nozzle.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in the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representatively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other embodiments, different configurations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do.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널의 환기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ventilation system of a tunn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터널의 환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 및 명칭을 설명한 것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structure and name of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tunne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chematically shows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널의 환기 시스템은 유입구(111)와, 배기구(112)와, 제1노즐부(130)를 포함한다.2 and 3,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tunn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let port 111, an exhaust port 112, and a first nozzle part 130.

상기 유입구(111)는 터널(110)내부의 천장면에 설치된다. 유입구(111)는 터널(110) 외부로부터 맑은 공기를 흡입하여 터널(110) 내부에 분출하는 장치로서 사각형 단면의 에어덕트가 터널(110)의 외부에서부터 터널(110) 내부까지 연결되어 있고, 외부쪽 에어덕트의 단부에는 강제 송풍기가 부착되어 외부공기를 강제로 내부에 불어넣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The inlet 111 is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inside the tunnel 110. Inlet 111 is a device for sucking clean air from the outside of the tunnel 110 to eject the inside of the tunnel 110, the air duct of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is connected from the outside of the tunnel 110 to the inside of the tunnel 110, the outside A forced blower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side air duct, so that external air can be forcibly blown inside.

상기 배기구(112)는 터널(110)의 천장면에 유입구(111)로부터 차량(113)의 진행방향(d)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배기구(112)는 터널(110)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로서, 사각형 단면의 에어덕트가 터널(110)의 내부에서부터 터널(110) 외부에까지 연결되어 있고, 외부쪽 에어덕트의 단부에 강제 송풍기가 부착되어 내부공기를 강제로 외부에 배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xhaust port 112 is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tunnel 11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let port 111 in the traveling direction d of the vehicle 113. The exhaust port 112 is a device for discharging the internal air of the tunnel 110 to the outside, the air duct of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is connected from the inside of the tunnel 110 to the outside of the tunnel 110, the end of the outer air duct It is preferable that a forced blower is attached to exhaust the internal air to the outside.

또한 유입구(111)와 배기구(112)에 구비된 강제 송풍기는 내부 임펠러(impeller)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시킴으로써 차량(113)이 진행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송풍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장비의 재설치 없이 유입구(111)와 배기구(112)의 역할을 바꿀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orced blower provided in the inlet 111 and the exhaust port 112 can selectively change the blowing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113 proceeds by forward or reverse rotation of the internal impeller (impeller), equipment The role of the inlet 111 and the exhaust port 112 may be changed without re-installation.

상기 제1노즐부(130)는 배기구(112)가 설치된 천장면에 설치되되, 차량(113) 진행방향(d)을 따라 배기구(112)의 후방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제1노즐부(130)는 압축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압축시켜 천장면과 수직을 이루며 하방으로 분사시킴으로써 에어커튼(air curtain)을 형성하도록 한다.The first nozzle unit 130 is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on which the exhaust port 112 is installed, and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exhaust port 112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d of the vehicle 113. The first nozzle unit 130 compresses air by using a compressor to form an air curtain by vertically injecting and spraying downward.

이때, 분사되는 공기의 속도는 적용되는 압축기 사용에 있어서 경제적으로 생산성이 있는 5m/s 내지 30m/s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At this time, the speed of the injected air is preferably 5m / s to 30m / s economically productive in the use of the compressor appl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널의 환기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tunnel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chematically shows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널의 환기 시스템은 유입구(111)와, 배기구(112)와, 제1노즐부(130)와, 제2노즐부(140)와, 제3노즐부(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tunne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let port 111, an exhaust port 112, a first nozzle part 130, a second nozzle part 140, The third nozzle unit 150 is included.

상기 유입구(111)와, 상기 배기구(112)와, 상기 제1노즐부(13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널의 환기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inlet 111, the exhaust port 112, and the first nozzle unit 130 are install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tunn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상기 제2노즐부(140)는, 제1노즐부(130)에서부터 제1노즐부(130)로부터 수직 하방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압축공기를 제1노즐부(130) 측 수직 상방으로 분사한다.The second nozzle unit 14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first nozzle unit 130 to the first nozzle unit 130, and blows compressed air vertically upward on the first nozzle unit 130 side. do.

상기 제3노즐부(150)는, 차량(113) 진행방향(d)을 따라 유입구(111)의 전방 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또한, 제3노즐부(150)는 압축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압축시켜 천장면과 수직을 이루며 하방으로 분사시킴으로써 에어커튼(air-curtain)을 형성한다.The third nozzle unit 150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inlet 111 in the traveling direction (d) of the vehicle 113. In addition, the third nozzle unit 150 forms an air curtain by compressing air by using a compressor and spraying downward while being perpendicular to the ceiling surfac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널의 환기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tunnel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chematically shows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널의 환기 시스템은 유입구(111)와, 배기구(112)와, 제1노즐부(130)와, 제2노즐부(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tunne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let port 111, an exhaust port 112, a first nozzle part 130, and a second nozzle part 140. do.

유입구(111)와, 배기구(1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널의 환기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inlet 111 and the exhaust port 112 are installed in the same position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tunn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1노즐부(130)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된다. 한편, 제1노즐부(130)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가상의 수직선과 제1노즐부(130)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가 이루는 각도를 분사각도(θn)이라 정의하고, 본 실시예에서의 제노즐부(130)의 분사각도(θn)는 30˚로 한다.The first nozzle unit 130 is install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On the other hand, the angle formed by the virtual vertical lin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first nozzle unit 130 and the compressed air injected from the first nozzle unit 130 is defined as the injection angle (θn), The injection angle θn of the nozzle unit 130 is 30 °.

상기 제2노즐부(140)는, 바닥면에 제1노즐부(130)와 대향되게 설치된다. 또한, 제1노즐부(130)에서 하방으로 연장한 가상의 수직선과 바닥면이 만나는 점에서부터 차량(113)의 진행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이격되는 간격을 이격간격(b)으로 정의하며, 제2노즐부(140)의 이격간격(b)은 0 미터 내지 4 미터의 범위 내에서 설 정한다. 또한, 제2노즐부(140)는 수직 상방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제2노즐부(140)는 제1노즐부(130)의 공기 분사방향과 30˚를 형성하며 공기를 분사한다. The second nozzle unit 14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nozzle unit 130 to face the first nozzle unit 130. In addition, the interval spaced apart from the point where the virtual vertical lin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nozzle unit 130 and the bottom surfac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traveling direction (d) of the vehicle 113 is defined as the spacing interval (b) , The spacing interval (b) of the second nozzle unit 140 is set within the range of 0 meters to 4 meters. In addition, the second nozzle unit 140 injects compressed air in a vertically upward direction, and the second nozzle unit 140 forms air in the air spray direction of the first nozzle unit 130 and injects 30 °.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터널의 환기시스템의 환기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ventilation process of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tunnel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유입구(111)에서는 송풍기를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유입한다. 이때, 열차, 자동차 등의 차량(113)이 터널 내에서 빠른 속도로 운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바람의 영향을 제3노즐부(150)의 분사공기가 막아줌으로써 유입구(111)에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내부공기와 합류하도록 한다.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와 합류한 내부공기는 제1노즐부(130) 및 제2노즐부(140)를 통하여 차량(113)이 유도하는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고 배기구(1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높은 효율의 환기가 이루어진다.The inlet 111 introduces external air using a blower. At this time, the outside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111 by preventing the injection air of the third nozzle unit 150 to prevent the influence of the wind generated by the vehicle 113, such as a train, a car, moving at a high speed in the tunnel. Join the internal air. The internal air that is joined with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112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wind induced by the vehicle 113 through the first nozzle unit 130 and the second nozzle unit 140. And high efficiency ventilation.

이하, 상술한 터널의 환기 시스템의 작동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수치해석의 결과를 후술한다. 수치해석시의 계산영역과 경계조건(boundary condition)은, 차량(113)의 운행으로 인하여 유도되는 바람의 속도는 5 m/s으로 설정하고, 제1노즐부(130) 및 제2노즐부(140)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속도는 20 m/s이 되도록 설정하고, 터널(110)의 길이(l)는 50m, 터널(110)의 폭(w)은 3.6m, 터널(110)의 높이(h)는 5.5m 로 설정한다. Hereinafter,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for verifying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above-described tunnel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alculation area and boundary condition during the numerical analysis are set to 5 m / s of the wind speed induced by the vehicle 113, and the first nozzle part 130 and the second nozzle part ( The speed of the compressed air injected from the 140 is set to 20 m / s, the length (l) of the tunnel 110 is 50m, the width (w) of the tunnel 110 is 3.6m, the height of the tunnel 110 (h) is set to 5.5m.

한편, 본 수치해석에서의 배기구는 무동력의 자연배기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정한다.On the other hand, the exhaust port in the numerical analysis is set to use natural exhaust air without power.

먼저, 배기구(112)의 후방에 제1노즐부(130)가 설치되는 경우를 u1 이라 정의하고, 제1노즐부(130)의 수직 하방의 바닥면에 제2노즐부(140)가 설치되는 경우를 b1 이라 정의하고, 제2노즐부(140)의 이격간격(b)이 2 미터인 경우를 b2 라 정의하고, 제2노즐부(140)의 이격간격(b)이 4 미터인 경우를 b3 라 정의하여, 각 경우에 대해서 수치해석을 수행하며, 하기의 [표 1] 는 각 케이스에 관하여 수치해석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First, the case in which the first nozzle unit 13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exhaust port 112 is defined as u1, and the second nozzle unit 140 is installed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nozzle unit 130 vertically downward. The case is defined as b1, the case in which the separation interval b of the second nozzle unit 140 is 2 meters is defined as b2, and the case in which the separation interval b of the second nozzle unit 140 is 4 meters. Defined as b3, numerical analysis is performed for each case, and Table 1 below summarizes the numerical results for each case.

한편, 내부공기의 양을 Qin 이라 하고, 배기구에 의해 배기되는 양을 Qout 이라 하면, 환기효율(η)은 η= 배기구를 통한 배기량(Qout) / 내부공기량(Qin)으로 정의하고, 하기의 [표 1]에서는 내부공기 중에 배기구(112)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량의 비를 통하여 터널의 환기 시스템의 성능을 검토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quantity of internal air is Q in and the quantity exhausted by the exhaust port is Q out , the ventilation efficiency (η) is defined as η = exhaust amount Q out / internal air quantity Q in through the exhaust port. In Table 1 below, the performance of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tunnel is examined through the ratio of the amount of air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112 in the internal air.

도 6a 내지 도 6f는 [표 1]의 각 경우의 수치해석 결과상의 유선(streamline)을 도시한 것으로, 도 6a는 u1의 경우, 도 6b는 b1의 경우, 도 6c는 b2의 경우, 도 6d는 b3의 경우, 도 6e는 u1 과 b3를 조합한 경우, 도 6f는 u1(분사각도(θn)=30˚) 와 b3를 조합한 경우의 수치해석 결과상의 유선을 도시한 것이다.6A to 6F show streamlines in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in each case of [Table 1]. FIG. 6A shows u1, FIG. 6B shows b1, FIG. 6C shows b2, and FIG. 6D. In the case of b3, FIG. 6E shows a combination of u1 and b3, and FIG. 6F shows a streamline in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 in the case of combining u1 (injection angle θn = 30 °) and b3.

도 6a 내지 도 6f 를 참조하면, 각 경우에 제1노즐부(130) 및 제2노즐부(140)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영향으로 인하여 내부공기의 유선(streamline)이 배기구(112) 쪽으로 유도되어 종래의 노즐부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향상되는 환기효율(η)을 보인다6A to 6F, streamlines of internal air are directed toward the exhaust port 112 due to the influence of the compressed air injected from the first nozzle part 130 and the second nozzle part 140 in each case. The ventilation efficiency (η) is improv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nventional nozzle unit is not installed.

또한, 제1노즐부(130)만 설치했을 때보다는 제1노즐부(130)와 제2노즐 부(140)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경우(u1 & b3)에 높은 환기효율을 발휘하며, 제1노즐부(130)의 분사각도(θn)를 30˚로 고정하는 경우(u1(θn = 30˚) & b3)에는 더욱 향상된 환기효율을 보인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nozzle unit 130 and the second nozzle unit 140 are operated at the same time (u1 & b3) rather than when only the first nozzle unit 130 is installed, the first nozzle exhibits a high ventilation efficiency. When the injection angle θn of the unit 130 is fixed at 30 ° (u1 (θn = 30 °) & b3), further improved ventilation efficiency is shown.

노즐부의 위치Nozzle Position u1u1 b1b1 b2b2 b3b3 u1 & b3u1 & b3 u1(θn=30˚) & b3u1 (θn = 30˚) & b3 Qout[m3/s]Q out [m 3 / s] 3.963.96 3.033.03 1.941.94 0.280.28 4.164.16 5.745.74 η(%)侶 (%) 7.997.99 6.126.12 3.923.92 0.560.56 8.408.40 11.5911.59

하기의 [표 2]는 [표 1]의 해석을 바탕으로 천장에 제1노즐부(130)와 바닥면에 제2노즐부(140)를 동시에 설치하여 작동시키되(u1 & b3), 제1노즐부(130)의 분사각도(θn)에 변화를 주어 분사각도(θn)가 환기효율(η)에 미치는 관계에 관해 수치해석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각각은 제1노즐부(130)의 분사각도(θn)를 각각 10˚, 20˚, 30˚, 40˚로 설정하여 계산하였다.[Table 2] below i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able 1] by operating the first nozzle unit 130 on the ceiling and the second nozzle unit 140 on the bottom at the same time (u1 & b3), the first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jection angle θn of the nozzle unit 130 and the injection angle θn on the ventilation efficiency η are summarized. Each was calculated by setting the injection angle θ n of the first nozzle unit 130 to 10 °, 20 °, 30 °, and 40 °, respectively.

터널(110) 하부의 제2노즐부(140)의 공기분사에 의하여 내부공기의 유동이 터널(110)의 상층부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배기구 하류 지점에 형성되는 제1노즐부(130)의 분사공기에 의해 내부공기의 배기량이 증가한다.The flow of internal air moves to the upper layer of the tunnel 110 by the air injection of the second nozzle unit 140 under the tunnel 110, and the injection of the first nozzle unit 130 formed at the downstream point of the exhaust port. The amount of exhaust of the internal air is increased by the air.

제1노즐부(130)의 분사각도(θn)가 증가함에 따라 환기효율(η)이 증가하고 있으나, 분사각도(θn)가 40˚에서는 다시 감소한다.As the injection angle θn of the first nozzle unit 130 increases, the ventilation efficiency η increases, but when the injection angle θn decreases again at 40 °.

분사각도(θn)Injection angle (θn) 10˚10˚ 20˚20˚ 30˚30˚ 40˚40˚ Qout[m3/s]Q out [m 3 / s] 4.59
4.59
5.215.21 5.745.74 5.135.13
η(%)侶 (%) 9.279.27 10.5310.53 11.5911.59 10.3610.36

도 7a 내지 도 7d는 [표 2]의 각 경우의 수치해석 결과상의 유선을 도시한 것으로, 도 7a는 u1(θn=10˚)과 b3을 조합하는 경우, 도 7b는 u1(θn=20˚)과 b3을 조합하는 경우, 도 7c는 u1(θn=30˚)과 b3을 조합하는 경우, 도 7d는 u1(θn=40˚)과 b3을 조합하는 경우의 수치해석 결과상의 유선을 도시한 것이다.7A to 7D show the streamline in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 in each case of [Table 2], and FIG. 7A shows u1 (θn = 20 °) when u1 (θn = 10 °) is combined with b3. ) And b3, FIG. 7C shows a combination of u1 (θn = 30 °) and b3, and FIG. 7D shows a streamline in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 of combining u1 (θn = 40 °) and b3. will be.

상기의 [표 2] 에서 분사각도(θn)가 증가할수록 환기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30˚에서의 환기효율(η)이 최대가 되며, 분사각도가 30˚를 넘어서게 되면 환기효율(η)은 감소한다. In the above [Table 2], as the injection angle (θn) increases, the ventilation efficiency tends to increase, but the ventilation efficiency (η) at 30 ° is the maximum, and when the injection angle exceeds 30 °, the ventilation efficiency (η Decreases.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결과는, 제1노즐부(130)의 분사각도(θn)가 30˚인 경우에는 제1노즐부(130)와 제2노즐부(140)의 공기 분사에 의하여 형성된 에어커튼이 차량에 의하여 유도되는 바람의 저항으로 작용하여 내부공기가 배기구(112)로 배출되는 양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7A to 7D, when the injection angle θn of the first nozzle unit 130 is 30 °, the air of the first nozzle unit 130 and the second nozzle unit 140 may be reduced. This is because the air curtain formed by the injection acts as a resistance of the wind induced by the vehicle to increase the amount of internal air discharged to the exhaust port 112.

반면에, 제1노즐부(130)의 분사각도(θn)가 10˚ 및 40˚인 경우에는 제1노즐부(130)의 분사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커튼이 배기구(112)로 향하는 내부공기의 유동에 대해서도 저항체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배기량은 제1노즐부(130)의 분사각도(θn)가 30˚인 경우보다 감소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jection angles θn of the first nozzle part 130 are 10 ° and 40 °, the air curtain formed by the injection air of the first nozzle part 130 faces the exhaust port 112. Since it also acts as a resistor for the flow of, the displacement is reduced than when the injection angle θn of the first nozzle unit 130 is 30 °.

결국, 환기효율(η)은 제1노즐부(130)의 분사각도(θn)에 비례하여 증가하다가 30˚를 최대점으로 하여 다시 감소된다. 다만, 제1노즐부(130)의 공기 분사각도(θn)는 각 노즐부의 위치, 공기 분사속도, 터널 내부의 크기, 운행되는 차량(113)에 의해 유도되는 바람의 세기 등을 고려하여 20˚내지 40˚의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result, the ventilation efficiency η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injection angle θ n of the first nozzle unit 130, and then decreases again with 30 ° as the maximum point. However, the air injection angle θn of the first nozzle unit 130 is 20 °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each nozzle unit, the air injection speed, the size of the tunnel, the strength of the wind induced by the vehicle 113, and the like.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in the range of -40 degrees.

또한, 유입구의 전방에 설치된 제3노즐부(150)는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에어커튼을 형성시킴으로써 유입구(111)에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내부공기와의 합류를 유도할 수 있도록 차량(113)에 의해 유도되는 바람의 저항체의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third nozzle unit 150 installed in front of the inlet port is formed in the vehicle 113 so that external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port 111 can be combined with the internal air by injecting compressed air to form an air curtain. It acts as a resistor of wind induced by.

상술한 수치해석의 데이터는 무동력 자연배기를 경계조건으로 하였으나, 동력을 제공받아 송풍기 등이 설치되는 강제배기인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와 작용에 의하여 환기효율(η)은 상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터널의 환기 시스템에 의하면 노즐부를 설치함으로써 효율적, 경제적인 터널의 환기가 가능하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numerical data is based on the non-powered natural exhaust as a boundary condition, the ventilation efficiency η is increased by the same principle and action even in the case of forced exhaust provided that a blower or the like is provided with power. Therefore, according to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tunnel of this invention, an efficient and economical ventilation of a tunnel is possible by providing a nozzle part.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터널의 환기 시스템의 제1노즐부 및 제3노즐부는 공기를 압축하여 분사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있으나,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함으로써 내부공기의 흐름을 유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노즐부 내지 제3노즐부는 상술한 위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경제성, 터널의 크기 등의 제반사항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Further, although the first nozzle portion and the third nozzle portion of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tunnel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 an air curtain by using a method of compressing and injecting air, the air intake is sucked in. By forming an air curtain using a method to induce and control the flow of the internal air. 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nozzle unit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ositions, and may be chang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matters such as economical efficiency and the size of the tunnel.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is intended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various extents which can be modified.

도 1은 종래의 유입구와 배기구가 설치된 터널의 환기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고,1 illustrates a ventilation system of a tunnel in which a conventional inlet and an exhaust port are installed,

도 2는 본 발명의 터널의 환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 및 명칭을 설명한 것이고,2 is a schematic structure and name of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tunn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널의 환기 시스템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3 schematically shows a ventilation system of a tunn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널의 환기 시스템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4 schematically shows a ventilation system of a tunn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널의 환기 시스템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5 is a schematic view of a ventilation system of a tunne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f는 [표 1]의 각 경우의 수치해석 결과상의 유선(streamline)을 도시한 것으로, 도 6a는 u1의 경우, 도 6b는 b1의 경우, 도 6c는 b2의 경우, 도 6d는 b3의 경우, 도 6e는 u1 과 b3를 조합한 경우, 도 6f는 u1(분사각도=30˚) 와 b3를 조합한 경우의 수치해석 결과상의 유선을 도시한 것이고,6A to 6F show streamlines in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in each case of [Table 1]. FIG. 6A shows u1, FIG. 6B shows b1, FIG. 6C shows b2, and FIG. 6D. In the case of b3, Figure 6e shows a combination of u1 and b3, Figure 6f shows a streamline in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when the combination of u1 (injection angle = 30 degrees) and b3,

도 7a 내지 도 7d는 [표 2]의 각 경우의 수치해석 결과상의 유선을 도시한 것으로, 도 7a는 u1(분사각도=10˚)과 b3을 조합하는 경우, 도 7b는 u1(분사각도=20˚)과 b3을 조합하는 경우, 도 7c는 u1(분사각도=30˚)과 b3을 조합하는 경우, 도 7d는 u1(분사각도=40˚)과 b3을 조합하는 경우의 수치해석 결과상의 유선을 도시한 것이다.7A to 7D show a streamline in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 in each case of [Table 2], and FIG. 7A shows u1 (injection angle =) when u1 (injection angle = 10 °) is combined with b3. 20 °) and b3, FIG. 7C shows a combination of u1 (injection angle = 30 °) and b3, and FIG. 7D shows a numerical analysis result of combining u1 (injection angle = 40 °) and b3. The wireline is show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종래 터널의 환기 시스템 h : 터널의 높이10: ventilation system of a conventional tunnel h: height of the tunnel

110 : 터널 w : 터널의 폭110: tunnel w: width of the tunnel

111 : 유입구 l : 터널의 길이111: inlet l: length of tunnel

112 : 배기구 d : 차량의 진행방향112: exhaust port d: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130 : 제1노즐부 Qin : 내부공기량130: first nozzle Q in : Internal air volume

140 : 제2노즐부 Qout : 배기구를 통한 배기량140: second nozzle portion Q out : displacement through the exhaust port

150 : 제3노즐부 θn : 제1노즐부의 분사각도150: third nozzle part θn: injection angle of the first nozzle part

Claims (5)

차량이 운행되는 터널의 내부공기를 순환시키는 터널의 환기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tunnel ventilation system for circulating the internal air of the tunnel in which the vehicle is running,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기 위하여 상기 터널 내부에 배치되는 유입구;An inlet disposed inside the tunnel for introducing air from the outside; 상기 터널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유입구로부터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배기구;An exhaust port spaced apart from the inlet port in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o discharge the internal air of the tunnel to the outside; 상기 차량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터널 천장면의 상기 배기구 후방에 설치되고,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내부공기를 배기구 측으로 유도시키는 제1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환기 시스템.And a first nozzle unit installed behind the exhaust port of the ceiling surface of the tunnel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injecting air to direct the internal air to the exhaust port si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노즐부가 설치되는 면과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어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내부공기의 흐름을 상기 배기구 측으로 유도하는 제2노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환기 시스템.And a second nozzle part installed on a surface facing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nozzle part is installed to guide the flow of the internal air to the exhaust port side by injecting air.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2노즐부는, The second nozzle unit, 상기 제1노즐부의 수직하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환기 시스템.Ventilation system of the tunnel,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vertical lower portion of the first nozz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량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유입구의 전방에 설치되고, 공기를 분사 또는 흡입함으로써 상기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유입공기가 상기 내부공기와 합류하도록 유도하는 제3노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환기 시스템.Ventilation of the tunnel,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inlet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injecting or inhaling air to guide the inlet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to join the internal air system.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제1노즐부는,The first nozzle unit, 상기 제1노즐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가상의 수직선과 20˚내지 40˚를 형성하며 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환기 시스템.Ventilation system of a tunnel, characterized in that for blowing the air forming a virtual vertical line and 20 ° to 40 °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first nozzle.
KR1020090097604A 2009-10-14 2009-10-14 system for tunnel ventilation KR1011337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604A KR101133737B1 (en) 2009-10-14 2009-10-14 system for tunnel venti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604A KR101133737B1 (en) 2009-10-14 2009-10-14 system for tunnel venti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373A KR20110040373A (en) 2011-04-20
KR101133737B1 true KR101133737B1 (en) 2012-04-09

Family

ID=44046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604A KR101133737B1 (en) 2009-10-14 2009-10-14 system for tunnel ventil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73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6344A (en) * 2018-11-21 2019-01-18 重庆大学 Tunnel wind field regulator control system by the island subway platform of undergroun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355B1 (en) * 2016-11-03 2023-11-06 한국전력공사 Distribution apparatus for ventilation gas of underground electrical conduit and method thereof
CN108167011B (en) * 2017-12-25 2018-10-26 北京芘苜信息技术有限公司 The rail road building structure against the wind of urban rail traffic platform layer public area based on BIM
CN113914888A (en) * 2021-10-15 2022-01-11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Tunnel structure for hydrogen energy tramca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2000A (en) 1997-08-27 1999-03-16 Ebara Corp Ventilation system for large-scale tunnel
KR20090042145A (en) * 2007-10-24 2009-04-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ir cleaning system of tunnel block using subway win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lean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2000A (en) 1997-08-27 1999-03-16 Ebara Corp Ventilation system for large-scale tunnel
KR20090042145A (en) * 2007-10-24 2009-04-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ir cleaning system of tunnel block using subway win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leaning system
KR20090042144A (en) * 2007-10-24 2009-04-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ir cleaning system using subway win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lean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6344A (en) * 2018-11-21 2019-01-18 重庆大学 Tunnel wind field regulator control system by the island subway platform of undergr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373A (en)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3737B1 (en) system for tunnel ventilation
CN1888396B (en) Moving air curtain type smoke and dust remov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200427932Y1 (en) Air curtain apparatus for subway station
CN103648809A (en) Air conditioner and railroad car
KR101232347B1 (en) System for tunnel ventilation using jetting air and method for tunnel ventilation using jetting air
KR200468921Y1 (en) Apparatus for ventilation in tunnel
CN102200022A (en) Tunnel ventilation system
CN204503733U (en) Supplementary air type vent cabinet
CN207609440U (en) The device of tunnel dedusting ventilation cleaning based on dust concentration
CN202162710U (en) Labyrinth air inlet depressurizing device of shot blasting machine
CN206142615U (en) Elevator car ventilates and falls device of making an uproar
CN109139007A (en) A kind of spraying injection type dust-contained airflow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inhaling function with side
JP3990794B2 (en) Air blow cleaning dust collection system for railway vehicles
KR20100053141A (en) Ventilation device with double ducts making air curtain
CN108005702A (en) A kind of device of the tunnel dedusting ventilation cleaning based on dust concentration
CN104695955B (en) A kind of wind-force expander formula strength Dust Control by Air Curtain device
CN203570335U (en) Ventilation structure of longitudinal air passages of subway long section
KR100355250B1 (en) The subway ventilation system
CN206228290U (en) Floor brush of dust collector and dust catcher
CN207660468U (en) Air purification door suitable for fast bus station
CN204402534U (en) Ventilating structure during constructing tunnel
CN214217856U (en) Circulating ventilation device for elevator car
CN209430010U (en) Railway dislocation generation equipment inlet duct and installation assembly
CN103277135B (en) Tunnel fire escape system with breathing zone air supplying and lower portion air supplying combined
CN109750944A (en) Air purification door suitable for fast bus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