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928B1 - Unit of breakwater - Google Patents
Unit of breakw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2928B1 KR101132928B1 KR1020110050495A KR20110050495A KR101132928B1 KR 101132928 B1 KR101132928 B1 KR 101132928B1 KR 1020110050495 A KR1020110050495 A KR 1020110050495A KR 20110050495 A KR20110050495 A KR 20110050495A KR 101132928 B1 KR101132928 B1 KR 1011329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breakwater
- body portion
- communication hole
-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455273 Tetr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파제의 단위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면체 형상의 몸체부에 하나 이상의 연통공 및 요홈을 마련하여 파도로부터 전달되는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 시키는 방파제 단위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t of the breakw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eakwater unit unit for effectively absorbing and dispersing energy transmitted from the wave by providing one or more communication holes and grooves in the body portion of the polyhedron shape.
방파제는 외해로부터 밀려오는 파랑이 항만 시설물로 진입하는 경우 그 에너지를 감소시켜 해수면의 정온을 유지하고 항만내의 각종 시설물 또는 정박중인 선박들이 안전하게 정박할 수 있도록 하는 항만의 인공구조물이다.A breakwater is an artificial structure of a port that reduces the energy when blue waves coming from the open sea enter a port facility, thereby maintaining the calmness of the sea level, and allowing various facilities in the port or anchored vessels to anchor safely.
방파제의 구조는 직립제, 경사제, 혼성제로 분류될 수 있는데, 직립제 구조는 소규모의 방파제에서 많이 활용되는 것으로 하단에서 직립하여 구축한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항만 내측으로 파랑이 유입되지 않도록 막는 효과가 뛰어난 반면에 지반이 약한 경우 침하하거나 기초 사석이 붕괴되는 경우가 있다. 경사제 구조는 사석이나 테트라포드를 쌓아 올린 것으로 지반이 약한 경우에서도 축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사면에서 파랑이 쇄파되므로 월파가 많이 발생할 수 있고,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방파제를 축조하기 위한 재료가 많이 소요되어 경제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혼성제 구조는 상술한 경사제 위에 직립제를 적층한 것으로 양자의 단점을 보완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The structure of breakwater can be classified into uprights, warpants, and hybrids. Upright structures are concrete structures that are constructed by standing upright at the bottom as they are widely used in small breakwaters. Whil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inflow of blue waves into the harbor is excellent, the ground is weak and may sink or collapse the foundation sandstone. The inclined structure is a pile of sandstone or tetrapod, which can be constructed even when the soil is weak. On the other hand, blue waves are crushed on the slopes, which can cause a lot of waves. In deep water, materials for constructing breakwaters are provided. It takes a lot of disadvantages that are not economical. The hybrid structure is a laminate of uprights on the above-mentioned inclining agent and is currently widely used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both.
또한, 방파제의 다른 분류로 고정식과 부유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정식방파제는 해저의 바닥면에 기초 구조물로 고정하는 방식을 말하고, 부유식 방파제는 해수면위에 방파제가 떠다니도록 하여 방파제의 밑으로 해수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방식을 말한다.In addition, the classification of breakwater can be divided into fixed and floating. Fixed breakwater refers to a method of fix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 floor as a base structure, floating breakwater refers to a way formed to allow the seawater to pass under the breakwater by floating the breakwater on the sea surface.
이러한 기존의 방파제는, 해수의 자연적인 흐름을 방해하여, 계절에 따른 토사의 이동을 막아수질이 악화되고, 항만내의 토사가 퇴적되는 반면 해수욕장의 모래가 유실되며, 해양 생태환경을 파괴하는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또한, 파랑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는 경우 월파에 의한 2차적인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These existing breakwaters interfere with the natural flow of seawater, which prevents the movement of sediment according to seasons, deteriorates the water quality, deposits of sediment in the ports, loses sand in the beach, and destroys the marine ecological environment. It is causing a problem. In addition, when the wave energy is not effectively absorbed, secondary damage caused by the moon wave may occur.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파랑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 분산 시키기 위해 파랑의 유동방향과 경로를 고려하여 방파제의 단위 유닛을 설계하여 항만내로 파랑 에너지가 전달됨에 따라 시설물 및 정박중인 선박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방파제의 단위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effectively absorb and disperse the wave energy, by designing a unit unit of the breakwater in consideration of the flow direction and path of the wave to install the facility as the wave energy is delivered into the harbor And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unit of the breakwater for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vessel in the berth.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면체 형상의 몸체부와 복수의 연통공을 마련하여, 파랑에너지의 일부를 통과시켜, 이웃하여 마련된 방파제의 단위유닛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with a polyhedral-shaped body portion, allowing a portion of the wave energy to pass through and proceeding to the unit unit of the breakwater provided next to each oth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단위유닛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reakwater uni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콘크리트 재질로 마련되는 다면체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하나 이상 마련되는 돌부, 상기 돌부의 형상에 대응되며 상기 몸체부의 다른 측면에 하나 이상 마련되는 측면요홈, 상기 몸체부의 어느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타 측면으로 연통되도록 하나 이상 마련되는 연통공 및 상기 몸체부의 모서리를 따라 상기 모서리에서부터 상기 몸체부의 안쪽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서리요홈을 포함하며,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이 이웃하여 적층되는 경우, 상기 모서리요홈은 이웃하는 단위 유닛의 모서리요홈과 결합하여, 반구형상의 중공을 형성하며, 상기 연통공은 상기 몸체부의 일 측면에 마련된 연통공 입구와 타 측면에 마련된 연통공 출구 및 상기 연통공 입구에서 상기 연통공 출구 사이의 연통로로 구성되며, 상기 연통로의 단면적은 상기 연통공 입구에서 연통공 출구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olyhedron-shaped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concrete material, at least one protrusion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a sid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and provided at least one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formed on any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t least one communication hole provided at one or mor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and at least one corner recess form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body part from the corner along the edge of the body part, wherein the breakwater unit unit is stacked next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corner groove is combined with the corner groove of the neighboring unit unit, to form a hemispherical hollow, the communication hole is the communication hole inle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communication hole outlet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the communication hole It consists of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communication hole, the communication The cross-section is characterized by increasingly smaller toward the communication hole outlet in the inlet communication hole.
또한, 상기 몸체부의 측면은 평탄하게 마련되며, 상기 돌부는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돌출 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flat, the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in the form of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smaller toward the direction away from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또한, 상기 측면요홈, 연통공 및 모서리요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을 용이하게 결속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고리형상의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side groove, the communication hole and the corner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ing-shaped connecting means to easily bind and move the breakwater unit unit.
삭제delete
또한, 상기 몸체부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로 분리가능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를 연결 또는 분리 할 수 있도록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is separable into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or separating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또한,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는 물결 형상의 요부 및 철부가 상기 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부는 이웃하는 방파제 단위유닛의 철부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철부는 이웃하는 방파제 단위유닛의 요부와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of the wave-like recess and convex portion is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side, the recess is fitted with the convex portion of the neighboring breakwater unit unit, the convex portion is fitted with the recess of the neighboring breakwater unit uni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bined.
또한, 상기 돌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형성되며, 그 단면의 형상이 '+' 자 형상으로 볼록하게 마련되고, 상기 측면 요홈 내지 연통공은 상기 돌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 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otrusion is protruded from the body por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ross section is provided to be convex in the '+' shape, the side grooves or the communication hole is concave in the '+'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유닛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unit of the break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파도에 의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할 수 있다.First, the impact of the waves can be effectively absorbed and dispersed.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단위유닛은 방파제에 충돌하여 방파제를 넘는 파도에 의한 2차적인 피해를 막을 수 있다.Secondly, the breakwa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vent secondary damage due to waves over the breakwater by colliding with the breakwater.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단위유닛은 어초의 기능을 할 수 있다.Third, the breakwa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nction as a fishe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단위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단위유닛을 복수 개 적층 한 사시도,
도 3, 도 4, 도 5는 도 2의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단위유닛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단위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따른 방파제 단위유닛의 평면도,
도 10은 연결수단이 마련된 본 발명의 방파제 단위유닛을 운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eakwa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stacking a plurality of breakwater unit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eak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reakwa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reakwa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the breakwater unit according to FIG.
10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tate of carrying the breakwater uni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a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 유닛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unit of the break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유닛을 나타내며, 상기 단위유닛은 몸체부(110), 돌부(130), 측면요홈(150), 연통공(170) 및 모서리요홈(190)을 포함한다.Figure 1 shows a unit of the breakwat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unit unit includes a
상기 몸체부(110)는 다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부(110)에서 각각의 모서리 및 꼭지점에 하나 이상의 요홈(190)을 가질 수 있다.The
상기 몸체부(110)의 각각의 모서리에는 1/4의 구 형상으로 요홈(190)이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꼭지점에는 1/8의 구 형상으로 요홈(190)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서리에 마련된 요홈(190)은 이웃하는 방파제의 단위 유닛의 모서리 요홈(190)과 결합하여 반구 형상의 중공(195)을 형성되며, 상기 꼭지점에 마련된 요홈(190)은 이웃하는 방파제의 단위 유닛의 꼭지점요홈(190)과 결합하여 1/4 또는 반구 형상의 중공(195)을 형성할 수 있다.Each corner of the
상기 몸체부(110)는 콘크리트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모서리 및 꼭지점의 요홈(190)이 형성되도록 상기 요홈(190)에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가 마련된 형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만들어 낼 수 있다.The
물론, 상기 몸체부(110)는 내부가 비워져 있는 상태의 형상을 미리 만들어, 콘크리트, 모르타르, 자갈 및 모래 등을 채워 넣음으로써 상기 몸체부(110)를 형성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110) 형상의 금속재질 형틀(프레임)을 제조한 후 내부를 채운 뒤 용접이나 결합 수단에 의해 분리된 형틀을 결합하여 하나의 방파제의 단위유닛을 제조할 수 있다.Of course, the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단위유닛의 형틀에 바닷물을 채운 후 적층하여 방파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방파제 단위유닛의 원자재의 소비를 줄일 수 있으며,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할 수 있다. In some cases, seawater may be filled in the mold of the breakwa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stacked to form a breakwater.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the raw material of the breakwater unit unit, it may be easy to transport and move.
상기 몸체부(110)는 바람직하게는 가로, 세로, 높이의 비율이 2:1:1의 비율로 마련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1:1:1의 비율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몸체부(110)의 형상 또는 각 부분의 크기는 상기 비율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Preferably, the
상기 몸체부(110)의 표면은 굴곡된 표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파도가 상기 방파제의 단위유닛의 표면에 충돌하는 경우 상기 굴곡된 표면에 의해 분산되는 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굴곡된 표면에 의해 방파제의 단위유닛이 적층되는 경우 이웃하는 방파제의 단위유닛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여, 일부 파도가 상기 공극으로 통과되면서 파랑에너지를 흡수 또는 분산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breaker unit units are stacked by the curved surface, voids may be generated between neighboring breakwater unit units, so that some waves may pass through the voids, thereby absorbing or dispersing wave energy.
상기 몸체부(110)의 측면에는 돌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부(130)는 원형의 단면적을 가지는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양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돌부(130)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A
상기 돌부(130)는 이웃하여 적층되는 방파제의 단위유닛의 측면요홈(150) 내지 관통공에 끼움 결합되며, 방파제의 단위유닛 사이를 결속하게 된다. 상기 돌부(130)는 상기 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상기 몸체부(110)와 이탈 또는 결합이 가능하도록 분리 형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몸체부(110)의 다른 측면에는 상기 돌부(130)와 끼움 결합하는 측면요홈(150) 내지는 관통공이 마련된다. 상기 측면요홈(150)은 상기 돌부(1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돌부(130)와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방파제의 단위유닛 사이를 단단하게 결속하게 된다. The other side of the
상기 돌부(130)는 상기 몸체부(110)의 다른 측면에 마련된 관통공에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의 단위유닛의 측면요홈(150)과 관통공은 동일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측면요홈(150)과 상기 관통공은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동일한 의미로 호칭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면요홈(150)과 관통공은 어느 하나로 대체될 수도 있다.Here, the
상기 측면요홈(150)과 관통공의 내경의 크기는 상기 돌부(130)가 끼움결합 할 수 있도록 상기 돌부(130)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게 마련될 수 있다. The inner diameter of the
상기 측면요홈(150)과 돌부(130)는 그 형상이 대응되도록 마련되며, 원형 내지는 다양한 형상 예컨대, '+' 형상 등으로 마련되어 그 결합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The
상기 측면요홈(150) 내지 관통공은 상기 몸체부(110)를 형성함과 동시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110)를 형성한 후 별도의 절삭 가공 등을 통해 마련할 수도 있다.The side recesses 150 and the through-holes may be integrally 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상기 몸체부(110)의 측면에는 다양한 형상, 크기의 복수 연통공(170)이 마련된다. 상기 연통공(170)은 상기 몸체부(110)에 충돌하는 파도의 일부를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통공(170)의 입구(171)으로 들어온 파도는 상기 연통공(170)의 출구(173) 사이의 연통로(175)를 따라 진행되면서 파랑에너지가 감소하고, 진행된 파도는 이웃하는(후면에 배치된) 방파제의 단위 유닛의 또 다른 연통공(170)으로 들어가게 된다.Side surfaces of the
상기 연통공(170)은 입구(171)와 출구(173)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입구(171)와 출구(173) 사이의 연통로(175)는 사선 형태 또는 굴곡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파도가 상기 연통로(175)를 통과하면서 접촉하는 면적과 시간을 증가시켜, 효과적으로 파랑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e
상기 연통공(17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통공과 동일한 의미로 호칭 될 수 있으며, 파도를 통과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앞서 설명한 상기 돌부(130)와 끼움결합 되는 측면요홈(150)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The
상기 연통공(170)은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 마다 그 크기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예컨데, 파도를 1차적으로 만나는 방파제 단위유닛의 연통공(170)의 크기를 가장 크게 마련하고, 파도를 2차적으로 만나는 방파제 단위유닛의 연통공(170)의 크기는 작게 마련할 수 있다. The
상기 연통공(170)의 크기는 상기 몸체부(110) 측면의 표면적의 1/2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 상기 연통공(170)의 크기가 클수록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에 충돌하는 파도는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의 내부를 통해 쉽게 연통 될 수 있다.The size of the
상기 몸체부(170)의 모서리 또는 꼭지점에는 모서리요홈 및 꼭지점요홈(190)이 마련된다. 즉 상기 모서리요홈(190)과 꼭지점요홈(190)은 이웃하는 방파제 단위유닛의 요홈(190)과 결합하여, 중공을 형성하며, 상기 중공은 파도의 이동경로가 된다. 따라서, 이웃하는 방파제 단위유닛과 결합하여 상기 요홈(190)들이 반구형상의 중공(195)을 마련하고, 상기 중공은 상기 연통공(170)과 연통되어, 파도를 통과시킬 수 있다.Corner grooves and
상기 모서리요홈(190) 및 꼭지점요홈(190)은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의 표면을 가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직사각형상의 요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단위유닛은 복수 개가 적층되어 방파제를 구성하는 것으로, 어느 하나의 방파제 단위유닛의 돌부를 제1돌부, 다른 하나의 방파제 단위유닛의 돌부를 제2돌부로 호칭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breakwater unit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 a breakwater by stacking a plurality of breakwater units, and a protrusion of one breakwater unit unit is referred to as a first protrusion and a protrusion of another breakwater unit unit as a second protrusion. You may.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단위유닛이 이웃하여 적층된 경우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을 통과하는 파도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이 복수로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breakwater unit units are stacked to explain a flow of waves passing through the breakwater unit unit when the breakwater unit units are stacked adjacent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은 측면에 마련된 돌부(130) 내지는 연결부(미도시)에 의해 서로 결속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을 적층 한 후, 콘크리트를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 사이에 타설하여 결속할 수도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breakwater unit units may be bound to each other by a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방파제의 가로, 세로, 높이 방향으로의 단면을 나타낸다. 즉, 1차적으로 상기 연통공(170)의 입구(171)로 들어온 파도는 상기 방파제 단위 유닛의 연통로(175)을 따라 통과되어 상기 연통공의 출구(173)로 빠져나가고, 이웃하는 방파제 단위유닛의 연통공(170)의 입구(171)로 들어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파랑에너지는 일부 흡수되거나 통과 및 분산되며, 그 에너지가 점차 약화되게 된다. 3 to 5 show cross sections in the horizontal, vertical and height directions of the breakwater shown in FIG. 2. That is, the waves entering the
상기 연통공(170)의 입구(171)와 출구(173)는 상기 몸체부(110)의 측면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입구(171)에서 출구(173)로 이어지는 연통로(175)는 그 단면적이 입구(171)에서 출구(173)로 가는 방향을 따라 점점 작아질 수 있다.The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의 연통로(175)들은 모두 연통되어 있으므로, 어느 방향에서 들어온 파도라도, 모든 방향으로 통과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to 5, since the
상기 연통공(170)들이 이루는 연통로(175)는 직선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굴곡을 가진 형상으로 마련되어, 해수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접촉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파도가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과 접촉하는 시간이 증가하고, 에너지를 분산하는 효과가 발생한다.The
이처럼 상기 복수의 연통공(170)들이 서로 연결되어 해수의 흐름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통공(17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 형틀에 콘크리트와 같은 충전재를 주입하여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을 제조할 수 있다. In order to enable the plurality of
도 6은 상기 방파제 단위 유닛을 적층하여 완성된 방파제를 보여준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파제는 사석과 함께 적층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사석 없이,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만이 적층되어 방파제를 형성 할 수도 있다.6 illustrates a breakwater completed by stacking the breakwater unit units. As illustrated in FIG. 6, the breakwater may be provided by stacking with a sandstone, and in some cases, without the sandstone, only the breakwater unit may be stacked to form a breakwater.
또한,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의 상부에는 별도의 덮개 구조물을 덮어 상기 사석과 상기 덮개 구조물의 사이에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이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n upper portion of the breakwater unit unit may be covered with a separate cover structure such that the breakwater unit uni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andstone and the cover structure.
상기 덮개 구조물은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 위로 인간이나 자동차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콘크리트 덮개는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과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의 돌부 및 요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cover structure is to allow the movement of a human or a vehicle over the breakwater unit unit, the concrete cover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and groove of the breakwater unit unit to be firmly fixed to the breakwater unit unit. .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을 적층하여 방파제를 형성하는 경우, 해수를 1차적으로 받아들이는 상기 방파제의 측면에 배치되는 방파제 단위유닛은 그 강도를 강하게 하고, 해수를 2차적으로 받아들이는 방파제 단위유닛은 그 강도를 점점 약하게 할 수도 있다. When the breakwater unit is laminated to form a breakwater, the breakwater unit unit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reakwater that receives seawater primarily increases its strength, and the breakwater unit unit that receives seawater secondly has its strength. You can also weaken it.
또한, 해수를 1차적으로 받아들이는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의 측면요홈(150) 내지 연통공(170)의 크기는 해수를 2차적으로 받아들이는 방파제 단위유닛의 측면요홈(150) 내지 연통공(170)의 크기보다 크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은 파도가 밀려오는 방향에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파도가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의 측면에 동시에 충돌하지 않고, 비스듬히 마련된 방파제 단위유닛 가운데 가장 앞에 있는 방파제 단위유닛과 충돌하며, 순차적으로 충돌할 수 있다.The breakwater unit may be disposed obliquel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ave is pushed. That is, the waves do not collide with the sides of the breakwater unit simultaneously, but collide with the breakwater unit unit at the foremost among the breakwater unit units provided at an angle, and may collide sequential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은 기존의 방파제에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파도와 1차적으로 충돌하는 전면에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단위 유닛을 적층하고, 후면에 기존의 방파제가 위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reakwa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breakwater. That is, the breakwater uni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acked on the front surface which collides with the wave primarily, and the existing breakwater may be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또한,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을 적층하는 경우,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 사이에 차단벽(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stacking the breakwater unit, a barrier wall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breakwater unit units.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돌부(230)가 '+'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마련된 것을 나타낸다. 물론, 상기 돌부(2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측면요홈(250) 내지는 연통공(170)의 형상도 '+' 형상으로 오목하게 마련될 수 있다. 7 illustrates that the
물론, 상기 측면요홈(250) 내지 연통공(170)은 원형으로 마련되되, 상기 돌부(2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돌부(230)의 크기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Of course, the
상기 돌부(230)가 '+'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끼움 결합시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이웃하는 방파제 단위유닛과의 결합력이 우수해 진다. 물론, 상기 돌부(230)는 '-' 형상으로도 마련될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Since the
또한, 상기 돌부(230)의 형상을 '+'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을 적층하는 경우 순서 내지 위치를 명확히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shape of the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의 측면에 굴곡을 형성하도록 요부(135) 및 철부(133)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굴곡 된 측면에 의해 파랑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으며, 외관상 아름다움을 형성할 수도 있다. 8 is a
또한, 상기 요부(135) 및 철부(133)에 의해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이 적층되는 경우 방파제 단위유닛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마련할 수 있으며, 파도가 통과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breakwater unit units are stacked by the
또한, 상기 요부(135) 및 철부(133)는 상기 몸체부(110)의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면적이 증가 됨에 따라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에 부착하는 해조류나 미생물의 정착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해양생물의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ssed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이 복수 개 적층되는 경우 상기 요부(135) 및 철부(133)는 이웃하는 방파제 단위유닛의 요부(135) 및 철부(133)와 끼움결합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 사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When the plurality of breakwater unit units are stacked, the recessed
상기 요부(135)와 철부(133)는 계단 형태로 단차를 두고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요철부(133,135) 단면의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단위유닛은 효과적으로 파도를 흡수 및 분산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단위 유닛을 만드는 경우,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을 제조한 후 그 내부에 내용물을 채워 넣어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을 만드는 경우, 형틀의 제조와, 내부를 채우는 공정이 분리되어, 더욱 신속하고, 정교하게 방파제 단위 유닛을 제조할 수 있다.In case of making the breakwater uni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manufacturing the frame forming the appearance can be completed by filling the contents therein. Therefore, when making the breakwater unit unit, the manufacturing of the mold and the process of filling the interior are separated, so that the breakwater unit unit can be manufactured more quickly and precisely.
상기 형틀은 운반이 용이하도록 플라스틱과 같은 가벼운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형틀을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하고, 콘크리트를 상기 형틀의 내부에 주입할 수도 있다.The mold may be provided with a light material such as plastic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Therefore, the mold may be fixed at a position where the breakwater unit is to be installed, and concrete may be injected into the mold.
도 10은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의 적층 하기 위해 운반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을 운반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연결수단(191) 내지 결속구(1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0 shows a state of transporting for stacking the breakwater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means 191 to the
상기 연결수단(191)는 상기 몸체부(110)의 요홈(190) 내지 연통공(170)의 안쪽에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어, 운반하는 경우 상기 고리형상의 연결수단(191)을 결속하여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을 이동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means 191 may be provided inside the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단위 유닛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 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The breakwater uni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who have it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10: 몸체부 130, 230: 돌부
133: 철부 135: 요부
150, 250: 측면요홈(관통공) 170: 연통공
171: 연통공 입구 173: 연통공 출구
175: 연통로 190: 요홈
195:반구형상중공110:
133:
150, 250: side grooves (through holes) 170: communication holes
171: communication hole inlet 173: communication hole exit
175: communication route 190: groove
195: Hemispherical hollow
Claims (7)
콘크리트 재질로 마련되는 다면체 형상의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의 측면에 하나 이상 마련되는 돌부(130);
상기 돌부(130)의 형상에 대응되며 상기 몸체부(110)의 다른 측면에 하나 이상 마련되는 측면요홈(150);
상기 몸체부(110)의 어느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10)의 타 측면으로 연통되도록 하나 이상 마련되는 연통공(170); 및
상기 몸체부(110)의 모서리를 따라 상기 모서리에서부터 상기 몸체부(110)의 안쪽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서리요홈(190)을 포함하며,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100)이 이웃하여 적층 되는 경우, 상기 모서리요홈(190)은 이웃하는 단위 유닛의 모서리요홈(190)과 결합하여, 반구형상의 중공(195)을 형성하며,
상기 연통공(170)은 상기 몸체부(110)의 일 측면에 마련된 연통공 입구(171)와 타 측면에 마련된 연통공 출구(173) 및 상기 연통공 입구(171)에서 상기 연통공 출구(173) 사이의 연통로(175)로 구성되며, 상기 연통로(175)의 단면적은 상기 연통공 입구(171)에서 연통공 출구(173)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단위유닛.In the breakwater unit unit of one or more laminated to form a breakwater,
Polyhedron-shaped body portion 110 is provided with a concrete material;
At least one protrusion 13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110;
A side recess 150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130 and provided on at least one other side of the body 110;
Communication holes 170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10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110; And
At least one corner groove 190 form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10 from the corner along the edge of the body portion 110,
When the breakwater unit unit 100 is stack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corner groove 190 is combined with the corner groove 190 of the neighboring unit unit to form a hemispherical hollow 195,
The communication hole 170 has a communication hole inlet 17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10 and a communication hole outlet 173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the communication hole outlet 173 at the communication hole inlet 171. And a communication path 175 therebetween, where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mmunication path 175 decreases gradually from the communication hole inlet 171 toward the communication hole outlet 173.
상기 몸체부(110)의 측면은 평탄하게 마련되며, 상기 돌부(130)는 상기 몸체부(110)의 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돌출 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단위유닛.The method of claim 1,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is provided flat, the breaker uni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in the form of the cross-sectional area is reduc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110 is provided .
상기 측면요홈(150), 연통공(170) 및 모서리요홈(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방파제 단위유닛(100)을 용이하게 결속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고리형상의 연결수단(191)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단위유닛.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f the side recess 150, the communication hole 170 and the corner recess 170 is provided with a ring-shaped connecting means 191 to easily bind and move the breakwater unit unit 100. Breakwater unit unit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몸체부(110)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로 분리가능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를 연결 또는 분리 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단위유닛.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portion 110 is separable into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breakwater unit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is provided to be connected or separated.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는 물결 형상의 요부(135) 및 철부(133)가 상기 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부(135)는 이웃하는 방파제 단위유닛의 철부(133)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철부(133)는 이웃하는 방파제 단위유닛의 요부(135)와 끼움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단위유닛. The method of claim 1,
A wavy recess 135 and an iron portion 133 ar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recess 135 is fitted with the iron portion 133 of a neighboring breakwater unit unit, and the iron portion 133 is a breakwater unit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coupled with the main portion 135 of the neighboring breakwater unit.
상기 돌부(230)는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돌출형성되며, 그 단면의 형상이 '+' 자 형상으로 볼록하게 마련되고, 상기 측면요홈(250) 내지 연통공(170)은 상기 돌부(2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 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단위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trusion 23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dy portion 110,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ross section is provided to be convex in the '+' shape, the side groove 250 to the communication hole 170 is the protrusion 230 Breakwater unit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concave in a '+' shap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0495A KR101132928B1 (en) | 2011-05-27 | 2011-05-27 | Unit of breakwa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0495A KR101132928B1 (en) | 2011-05-27 | 2011-05-27 | Unit of breakwa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32928B1 true KR101132928B1 (en) | 2012-04-05 |
Family
ID=46143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0495A KR101132928B1 (en) | 2011-05-27 | 2011-05-27 | Unit of breakwa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2928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5506B1 (en) | 2012-09-05 | 2014-04-15 | 장석환 | Tetrapod |
EP3305988A1 (en) * | 2012-07-16 | 2018-04-11 | Neptunetech Ltd. | Energy dissipator |
KR101854598B1 (en) * | 2017-08-17 | 2018-05-04 | 이인봉 | structure of inhabitation organism mud flat and ocean posible combination |
KR20210063205A (en) | 2019-11-22 | 2021-06-01 | 이자윤 | Wave dissipating concrete block with pile, breakwater structure thereb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WO2021171296A1 (en) * | 2020-02-25 | 2021-09-02 | Econcrete Tech Ltd | Interlocking ecological armoring units and uses thereof in forming a costal barri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3244U (en) * | 1978-07-08 | 1980-01-28 | ||
KR20100036595A (en) * | 2008-09-30 | 2010-04-08 | 주식회사 씨엠 | Prefabricated covering block for breakwater and method for consturcting thereof |
-
2011
- 2011-05-27 KR KR1020110050495A patent/KR10113292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3244U (en) * | 1978-07-08 | 1980-01-28 | ||
KR20100036595A (en) * | 2008-09-30 | 2010-04-08 | 주식회사 씨엠 | Prefabricated covering block for breakwater and method for consturcting thereof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305988A1 (en) * | 2012-07-16 | 2018-04-11 | Neptunetech Ltd. | Energy dissipator |
KR101385506B1 (en) | 2012-09-05 | 2014-04-15 | 장석환 | Tetrapod |
KR101854598B1 (en) * | 2017-08-17 | 2018-05-04 | 이인봉 | structure of inhabitation organism mud flat and ocean posible combination |
KR20210063205A (en) | 2019-11-22 | 2021-06-01 | 이자윤 | Wave dissipating concrete block with pile, breakwater structure thereb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WO2021171296A1 (en) * | 2020-02-25 | 2021-09-02 | Econcrete Tech Ltd | Interlocking ecological armoring units and uses thereof in forming a costal barri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32928B1 (en) | Unit of breakwater | |
KR101448092B1 (en) | Prefabricated caisson blocks and breakwater, seawall using it | |
KR101073750B1 (en) | Unit of breakwater and breakwater structure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 |
JP5913642B2 (en) | Caisson breakwater, caisson unit for building the caisson breakwa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aisson breakwater | |
TW201623739A (en) | Breakwater structure using steel tetrapods | |
KR101126341B1 (en) | Caisson structure and harbor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 |
KR101254488B1 (en) | Caisson | |
KR101132861B1 (en) | Block of breakwater | |
KR101239000B1 (en) | Breakwater structure removed riprap | |
KR101386626B1 (en) | Caisson and quay wall, breakwater, seawall using the same | |
KR101030660B1 (en) | Unit of breakwater and connecting method thereof | |
KR102438233B1 (en) | Wave dissipating concrete block with pile, breakwater structure thereb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KR101366814B1 (en) | Seawater exchanging caisson | |
KR20160108257A (en) | Breakwater unit module and breakwater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090096119A (en) | Floating body unit | |
KR102051913B1 (en) | Wave Disspating Block with Securing of Seawater Circul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Wave Disspating Block by the Same | |
US20120051845A1 (en) | Deep water port | |
KR101043021B1 (en) | Installation method for wave absobing block | |
KR101849210B1 (en) | Waved shape caisson for breakwater of harbor | |
KR101245370B1 (en) | Structure of ocean having variable type of wave breaking underwater structure | |
US20150010364A1 (en) | Deep-water port | |
KR101198407B1 (en) | Breakwater Structure and Unit Block for Breakwater Structure | |
KR102717205B1 (en) | Upright type wave dissipating block and oceanaic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101326773B1 (en) | Harbor Structures Easily respond to Differential Settlement | |
KR102051907B1 (en) | Wave Disspating Block with Securing of Seawater Circul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Wave Disspating Block by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