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070B1 - 수술용 봉합장치 - Google Patents

수술용 봉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070B1
KR101132070B1 KR1020100010679A KR20100010679A KR101132070B1 KR 101132070 B1 KR101132070 B1 KR 101132070B1 KR 1020100010679 A KR1020100010679 A KR 1020100010679A KR 20100010679 A KR20100010679 A KR 20100010679A KR 101132070 B1 KR101132070 B1 KR 101132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needle
push
pair
nee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1054A (ko
Inventor
박상윤
임명철
김광기
남경원
김현호
Original Assignee
국립암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암센터 filed Critical 국립암센터
Priority to KR1020100010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070B1/ko
Publication of KR20110091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2Needle manip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61B2017/0472Multiple-needled, e.g. double-needled,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61B2017/0474Knot pushers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봉합침 및 이를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로 이루어진 단위체가 수용된 봉합침 조립체를 결합하여 봉합침을 순차적으로 방출시킴으로써, 시술의 난이도를 감소시킴과 함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수술용 봉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며 한 쌍의 봉합침 및 한 쌍의 봉합침를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단위체가 수용되는 봉합침 조립체와,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봉합침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봉합침을 봉합침 조립체로부터 외부로 방출시키는 니들 푸시부(needle push part)와, 니들 푸시부와 연결되고 한 쌍의 봉합침이 순차적으로 방출되도록 한 쌍의 봉합침에 대해 선택적으로 니들 푸시부에 의해 제공되는 가압력의 제공위치를 조절시키는 푸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술용 봉합장치{SURGERY APPARATUS FOR SUTURING}
본 발명은, 수술용 봉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술 시 절개된 부위를 봉합하는 수술용 봉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개복 절개 수술의 경우, 절개 부위가 크기 때문에 수술 후 커다란 흉터가 남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개복 절개 수술 시, 절개 부위가 크기 때문에 발생하는 출혈량이 많은 단점도 있다.
그래서, 최근 개복 절개 수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소 침습 수술(MIS: Minimal Invasive Surgery) 및 무흉터 수술(NOTES: 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등의 새로운 수술 기법이 개발되어 시술되고 있다.
예를 들면, 최소 침습 수술은 수술을 위해 필요한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가늘고 긴 수술 도구들을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에 최소한의 부위만을 절개하여 시술하는 수술 기법이다.
그리고, 무흉터 수술은 환자의 체내에 있는 시술 부위로 수술 도구를 이송하기 위해 환자의 신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구멍(예, 항문, 식도, 질 등)을 통해 수술 도구를 인입시켜 시술하는 수술 기법이다.
이러한 최소 침습 수술 및 무흉터 수술은 시술을 위해 필요한 절개 부위가 적고, 시술 시 출혈량이 개복 절개 수술 대비 현저히 적은 장점이 있다. 또한, 최소 침습 수술 및 무흉터 수술은 수술 후 환자의 회복 기간이 빠르고 외부로 노출되는 흉터가 작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최소 침습 수술 및 무흉터 수술은 환자의 신체 절개 부위가 개복 절개 수술에 비해 현저히 작고, 환자의 신체 내부에서 절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복강경 수술 도구 등을 이용하여 의료용 봉합사로 절개 부위를 봉합한다.
그런데, 종래의 최소 침습 수술 및 무흉터 수술 기법에 의해 절개된 부위의 봉합은 복강경 수술 도구를 이용하여 의료용 봉합사를 잡고 한땀씩 꿰매는 방식으로 봉합하여 봉합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강경 기구를 이용하여 봉합침을 잡고 꿰매는 고난도의 작업을 반복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봉합 시간 증가 이외에 시술자의 피로도를 증가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개 부위의 봉합 시 봉합 시간 감소 및 시술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수술용 봉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며 적어도 한 쌍의 봉합침 및 상기 한 쌍의 봉합침을 각각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가 수용되는 봉합침 조립체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봉합침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봉합침을 상기 봉합침 조립체로부터 외부로 방출시키는 니들 푸시부와, 상기 니들 푸시부와 연결되고 한 쌍의 상기 봉합침이 순차적으로 방출되도록 한 쌍의 상기 봉합침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기 니들 푸시부에 의해 제공되는 가압력의 제공위치를 조절시키는 푸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니들 푸시부 및 상기 푸시 조절부가 내부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통 형상으로 마련된 제1몸체부와, 일측은 상기 봉합침 조립체가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제1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봉합침에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니들 푸시부가 왕복 이동되도록 통 형상으로 마련된 제2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합침 조립체는 상기 봉합침 및 상기 봉합사가 상기 니들 푸시부에 의해 방출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상기 제2몸체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몸체와,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내부에 한 쌍의 상기 봉합침이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니들 수용부와, 한 쌍의 상기 니들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봉합침들을 상호 연결한 상기 봉합사를 수용하는 봉합사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니들 수용부들과 상기 봉합사 수용부 사이에는 상기 니들 수용부들과 상기 봉합사 수용부가 상호 연통되는 연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통홈은 상기 봉합침의 지름보다는 작고 상기 봉합사의 지름보다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봉합침 조립체와 상기 제2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와 맞물리는 돌기수용부가 마련되어, 상기 봉합침 조립체와 상기 제2몸체부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돌기부와 상기 돌기수용부는 상호 상기 니들 푸시부의 왕복 이동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수술용 봉합장치는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와 상기 돌기수용부의 체결 시, 상기 제2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어 상기 돌기부와 상기 돌기수용부의 상호 체결 방향으로의 이탈을 저지 및 허용하기 위해 상기 돌기부와 상기 돌기수용부의 체결 영역을 수용 및 수용 해제하는 체결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니들 푸시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 돌출되어 시술자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고 상기 봉합침들에 접촉되어 상기 가압부로부터 전달된 가압력을 각각의 상기 봉합침으로 제공하는 푸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푸시부는 상기 가압부에 대해 편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 푸시부는 상기 가압부에 수용되며, 상기 푸시부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푸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부 내부와 상기 푸시 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에는 이동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부와 맞물려서 상기 니들 푸시부의 왕복 이동에 따른 편심을 방지하는 가이드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푸시 조절부는 상기 니들 푸시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니들 푸시부의 길이 방항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푸시부가 상기 봉합침들의 선단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푸시부의 위치를 조절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니들 푸시부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봉합침들에 대해 상기 푸시부를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니들 푸시부가 상기 봉합침을 가압하는 가압위치와 상기 봉합침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되는 가압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몸체부와, 한 쌍의 봉합침 및 상기 한 쌍의 봉합침를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로 이루어진 단위체가 적어도 하나 수용되며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리지를 갖는 봉합침 조립체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봉합침에 가압력이 제공되도록 편심 배치되는 푸시부를 가지고 상기 봉합침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봉합침을 상기 봉합침 조립체로부터 외부로 방출시키는 니들 푸시부와, 상기 니들 푸시부와 연결되고 한 쌍의 상기 봉합침이 순차적으로 방출되도록 상기 니들 푸시부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한 쌍의 상기 봉합침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기 푸시부의 위치를 조절시키는 푸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며 적어도 한 쌍의 봉합침 및 상기 한 쌍의 봉합침을 각각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가 수용되는 봉합침 조립체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봉합침이 순차적으로 방출되도록, 한 쌍의 상기 봉합침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기 봉합침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봉합침을 상기 봉합침 조립체로부터 외부로 방출시키는 니들 푸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한 쌍의 봉합침 및 이를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로 이루어진 단위체가 수용된 봉합침 조립체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봉합침을 순차적으로 방출시킴으로써, 시술의 난이도를 감소시킴과 함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수술용 봉합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기존 복강경 수술도구의 단점을 극복하여 봉합침의 순차적인 방출과 봉합침 상호 간의 매듭에 의해 절개 부위의 봉합이 이루어지므로, 봉합에 따른 시술 소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술용 봉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봉합침 조립체의 제1투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봉합침 조립체의 제2투시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봉합침 조립체와 몸체부의 결합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봉합침 조립체와 몸체부의 결합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제2몸체부에 대한 투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니들 푸시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A 및 B 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니들 푸시부 확대 결합 투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봉합침 조립체의 정면도,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작동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구성 및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는 부인과 시술 중 복강경을 통한 자궁 절제 시술 시 자궁 절제부를 봉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됨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 동일한 부호로 기재되었음을 미리 밝혀둔다. 단, 본 발명의 돌기수용부 및 돌기부는 각각 체결 방식이 상이하므로 상이한 도면 부호로 기재되었음을 미리 밝혀둔다.
물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는 예를 들어 자궁 절제부를 봉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될 뿐, 이외에도 다양한 절개 부위를 봉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1)는 몸체부(100), 봉합침 조립체(300), 체결지지부재(400), 니들 푸시부(500), 탄성부재(700) 및 푸시 조절부(9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궁 절제부를 봉합하기 위한 것과 같이, 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수술용 봉합장치(1)의 구성들은 생체 적합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1몸체부(120), 제2몸체부(140) 및 돌기수용부(16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봉합침 조립체(300), 체결지지부재(400), 니들 푸시부(500), 탄성부재(700) 및 푸시 조절부(900)가 연결 또는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몸체부(120)는 니들 푸시부(500) 및 푸시 조절부(900)가 내부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통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1몸체부(120)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나, 설계 변경에 따라 사각통 형상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1몸체부(120)는 인체 내부에 삽입 시, 인체 내부의 조직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또는 저항력을 고려하여 본 발명과 같이, 원통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몸체부(120)는 파지부(122)와 가이드홈(124)을 포함한다. 파지부(122)는 시술자에 의해 파지되어, 니들 푸시부(500)에 가압력 제공 시 시술자의 편의성을 확보해 준다. 파지부(1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니들 푸시부(500)와 인접한 선단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 절곡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가이드홈(124)은 푸시 조절부(900)가 회전 및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제1몸체부(12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다. 가이드홈(124)은 후술할 푸시 조절부(900)의 조절부(940)가 파지 가능하게 돌출되며, 조절부(940)가 니들 푸시부(500)의 가압력에 의해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가이드홈(124)은 본 발명과 달리, 푸시 조절부(900)가 제1몸체부(120)의 선단에 인접하여 배치될 경우, 푸시 조절부(90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1몸체부(120)의 선단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2몸체부(140)는 봉합침 조립체(300)와 제1몸체부(120) 사이에 개재된다. 제2몸체부(140)의 일측에는 봉합침 조립체(300)와 연결되고, 제2몸체부(140)의 타측은 제1몸체부(120)와 연결된다. 제2몸체부(140)는 봉합침 조립체(300)가 장착되며, 내부에서 니들 푸시부(500)가 왕복 이동되도록 통 형상으로 마련된다. 물론, 제2몸체부(140)는 전술한 제1몸체부(120)와 같이, 사각통 형상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몸체부(140)는 이동 가이드부(142: 도 10 참조)와 연통공(144: 도 10 참조)을 포함한다. 이동 가이드부(142)는 후술할 푸시 가이드부(560)의 가이드 수용부(556: 도 11 및 도 12 참조)와 맞물려서 니들 푸시부(500)의 왕복 이동에 따른 제2몸체부(140)와 니들 푸시부(500)의 상호 편심을 방지한다. 이동 가이드부(14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할 푸시 가이드부(560)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연통공(144)은 봉합침 조립체(300)에 수용된 봉합침(10)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니들 푸시부(500)의 푸시부(540)가 봉합침 조립체(300)로 삽입되도록 이동로 역할을 한다. 연통공(144)은 봉합침 조립체(300) 내부에 수용된 봉합침(10)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연통공(144)은 후술할 푸시 가이드부(560)의 가이드공(564: 도 11 및 도 12 참조)과 연통되어 푸시부(540)의 왕복 이동을 안내한다.
돌기수용부(160: 도 5 및 도 6 참조)는 제2몸체부(140)와 봉합침 조립체(300) 사이에 마련된다. 즉, 돌기수용부(160)는 봉합침 조립체(300)와 대면되는 제2몸체부(140)의 일단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돌기수용부(160)는 돌기수용부 몸체(162: 도 5 및 도 6 참조) 및 체결수용부(164: 도 5 및 도 6 참조)를 포함한다. 돌기수용부 몸체(162)는 제2몸체부(140)와 연결된다. 체결수용부(164)는 돌기수용부 몸체(162) 내부에 홈 형상으로 마련된다. 체결수용부(16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할 돌기부(340: 도 3 내지 도 6 참조)에서 함께 하기로 한다.
돌기수용부(160)는 제2몸체부(140)와 봉합침 조립체(300)가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돌기수용부(160)는 제2몸체부(140)와 봉합침 조립체(3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후술할 봉합침 조립체(300)의 돌기부(340)와 맞물린다. 돌기수용부(160)는 돌기부(340)와 상호 니들 푸시부(500)의 왕복 이동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체결된다.
한편, 돌기수용부(1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2몸체부(140)의 일단에 배치되나, 후술할 돌기부(340)와 치환하여 봉합침 조립체(30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돌기수용부(160)가 봉합침 조립체(300)에 배치되면, 돌기부(340)는 제2몸체부(140)의 일단에 배치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봉합침 조립체의 제1투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봉합침 조립체의 제2투시 사시도,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봉합침 조립체와 몸체부의 결합 사시도이다.
봉합침 조립체(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320) 및 돌기부(340)를 포함한다. 봉합침 조립체(300)는 몸체부(100)의 일측에 장착되어, 한 쌍의 봉합침(10) 및 이를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30)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단위체가 수용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봉합침 조립체(300)는 몸체부(10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작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1)의 봉합침 조립체(300) 내부에는 한 쌍의 봉합침(10)으로 이루어진 한 개의 단위체만 수용된다. 그러나, 설계 변경에 따라 봉합침 조립체(300) 내부에는 한 개의 단위체를 초과한 복수개의 단위체가 수용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320)는 카트리지(320) 외관을 형성하는 카트리지 몸체(322)를 포함하고, 카트리지 몸체(322)에는 한 쌍의 봉합침(10) 및 이를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30)로 이루어진 단위체를 수용하는 니들 수용부(324) 및 봉합사 수용부(326)가 형성된다.
니들 수용부(324)는 한 쌍의 봉합침(10)이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수용되도록 카트리지 몸체(322) 내부에 한 쌍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니들 수용부(324) 사이에는 한 쌍의 봉합침(10)을 상호 연결한 봉합사(30)를 수용하는 봉합사 수용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한 쌍의 니들 수용부(324)와 봉합사 수용부(326) 사이에는 연통홈(328)이 형성된다. 니들 수용부(324)와 봉합사 수용부(326)는 니들 푸시부(500)에 의해 봉합침 조립체(300) 외부로 각각의 봉합침(10)이 방출될 때, 한 쌍의 봉합침(10)을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30)의 방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여기서, 봉합사 수용부(326)에는 봉합사(30)가 지그재그 형태로 수용되나, 나선형과 같은 형태로 수용될 수도 있다. 물론, 봉합사 수용부(326) 내부에 수용되는 봉합사(30)는 봉합침(10) 방출 시 간섭이 없는 형태로 수용되어야 한다.;
니들 수용부(324)와 봉합사 수용부(32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한 쌍의 봉합침(10) 및 이를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30)로 이루어진 단위체 1개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니들 수용부(324)와 봉합사 수용부(326)는 카트리지 몸체(322)에 수용되는 단위체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단위체가 카트리지 몸체(322)에 수용될 경우, 니들 수용부(324)와 봉합사 수용부(326)는 각각 두 쌍 및 2개로 형성된다.
연통홈(328)은 봉합침(10)의 지름보다는 작고, 봉합사(3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연통홈(328)은 봉합침(10)의 지름보다 작게 마련되어, 봉합침(10)의 방출 시 봉합침(10)이 봉합사 수용부(326)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반면, 연통홈(328)은 봉합사(3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봉합침(10) 방출 시 봉합사(30)가 봉합침(10)을 따라 간섭없이 방출되도록 한다.
돌기부(340)는 카트리지(320)와 제2몸체부(140) 사이에 개재된다. 돌기부(340)는 카트리지(320)와 제2몸체부(140)가 대면되는 카트리지(320)의 일측에 배치된다. 돌기부(340)는 봉합침 조립체(300)와 제2몸체부(1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전술한 돌기수용부(160)와 맞물린다.
본 발명의 돌기부(340)는 돌기몸체(342) 및 체결돌기(344)를 포함한다. 돌기몸체(342)는 봉합침 조립체(300)의 일단에 배치되며, 돌기수용부(16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체결돌기(344)는 돌기몸체(342)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체결수용부(164)와 맞물려서 몸체부(100)와 봉합침 조립체(300)의 상호 결합력을 유지시킨다.
다음으로 체결지지부재(400)는 제1몸체부(120)와 제2몸체부(140) 사이에 배치된다. 체결지지부재(400)는 제2몸체부(140)를 수용하며, 제2몸체부(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된다. 즉, 체결지지부재(400)는 제2몸체부(140)의 외표면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것이다. 체결지지부재(400)는 제2몸체부(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어, 돌기수용부(160)와 돌기부(340)의 상호 체결 방향으로의 이탈을 저지 및 허용한다. 상세한 체결지지부재(400)의 역할은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몸체부(100)와 봉합침 조립체(300)의 결합 과정과 함께 이하에서 설명한다.
여기서, 체결지지부재(400)는 왕복 이동 시, 돌기수용부(160)와 돌기부(340)의 상호 체결 방향으로의 이탈을 저지 및 허용하는 위치에서 임의로 움직이지 않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위치 결정 및 고정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결정 및 고정 장치는 일반적인 내용이므로 상세한 실시 예는 생략한다.
본 발명의 몸체부(100)와 봉합침 조립체(300)는 각각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체결된다. 몸체부(100)의 돌기수용부(160)에 대해 봉합침 조립체(300)의 돌기부(340)가 측부에서 삽입되어 체결된다.
여기서, 몸체부(100)와 봉합침 조립체(300)는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는 체결력이 유지되어 상호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몸체부(100)와 봉합침 조립체(300)는 체결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00)와 봉합침 조립체(300)의 분리는 체결지지부재(400)에 의해 저지될 수 있다.
체결지지부재(400)는 돌기수용부(160)와 돌기부(340)의 상호 체결 시, 제2몸체부(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돌기수용부(160)와 돌기부(340)의 체결 영역을 수용한다. 이렇게 체결지지부재(400)에 의해 돌기수용부(160)와 돌기부(340)의 체결 영역이 수용되면, 몸체부(100)와 봉합침 조립체(300)의 체결 방향으로의 상호 이탈이 저지된다.
물론, 봉합침 조립체(300) 내부의 봉합침(10)을 방출 한 후, 몸체부(100)와 봉합침 조립체(300)의 분리 과정은 상기 전술한 내용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봉합침 조립체와 몸체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수용부(160') 및 돌기부(340')의 체결 방식은 전술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돌기수용부(160) 및 돌기부(340)의 체결방식과 상이하다. 물론, 돌기수용부(16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돌기수용부(160)와 같이, 돌기수용부 몸체(162') 및 체결수용부(164')를 포함한다. 또한, 돌기부(340')는 돌기몸체(342') 및 체결돌기(344')를 포함한다.
돌기수용부(160')는 몸체부(100)와 봉합침 조립체(3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돌기부(340')와 상호 맞물린다. 돌기수용부(160')는 돌기부(340')와 상호 체결되는 과정에서 돌기부(340')가 돌기수용부 몸체(162')로 삽입될 때 입구 부위의 경사면이 양측 방향으로 점차 벌어지게 된다. 돌기부(340')가 체결수용부(164') 내부의 안쪽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면 벌어졌던 돌기수용부 몸체(162')는 초기 상태로 복원되고, 이에 따라 돌기수용부(160')와 돌기부(340')가 상호 체결된다. 체결 해제 시, 돌기수용부(160')의 선단은 경사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돌기수용부(160')와 돌기부(340')는 몸체부(100)로부터 봉합침 조립체(300)가 인출될 때 돌기수용부(160')가 점차 벌어져서 체결 해제된다. 이와 같은 돌기수용부(160')와 돌기부(340')의 체결 방식에서 돌기수용부(160')에 있는 걸림턱의 높이는 돌기수용부(160') 탄성 변형량 이하로 선정한다.
여기서, 체결지지부재(400)는 돌기수용부(160')와 돌기부(340')의 체결 방향이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체결지지부재(400)가 마련될 경우, 체결지지부재(400)는 돌기수용부(160')와 돌기부(340')의 체결 영역을 수용하여 봉합침 조립체(300)의 길이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제공될 때 돌기수용부(160')의 벌어짐을 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제2몸체부에 대한 투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니들 푸시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A 및 B 영역의 확대 사시도,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니들 푸시부 확대 결합 투시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니들 푸시부(500)는 가압부(520), 푸시부(540) 및 푸시 가이드부(560)를 포함한다. 니들 푸시부(500)는 몸체부(100)의 타측에 배치되어 봉합침(10)이 봉합침 조립체(300)로부터 절개 부위로 방출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한다. 니들 푸시부(5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몸체부(100)의 내표면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주사기 방식으로 마련된다. 그러나, 니들 푸시부(500)는 설계 변경에 따라 방아쇠 방식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도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520)는 가압부 몸체(522) 및 결합수용부(524)를 포함한다. 가압부 몸체(522)의 일 영역은 몸체부(100) 외부로 노출되어 시술자에 의해 가압되고, 타 영역은 몸체부(100) 내부에 수용된다.
결합수용부(524)는 가압부 몸체(522)에 형성되어, 푸시 가이드부(560)를 수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결합수용부(524)의 단면 형상은 사각 단면을 갖는 푸시 가이드부(56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결합수용부(524)의 단면 형상은 푸시 가이드부(560)의 단면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푸시부(540)는 가압부(520)에 연결되고 봉합침(10)들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어, 가압부(520)로부터 전달된 가압력을 해당 봉합침(10)으로 제공한다. 즉, 푸시부(54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봉합침(10)이 순차적으로 방출되도록 봉합침(10)들 중 어느 하나에만 가압력을 제공한다.
푸시부(540)는 푸시 조절부(900)에 의해 가압부(520)가 회전될 때, 각각의 봉합침(10)에 선택적으로 가압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가압부(520)의 단면에 대해 편심되어 배치된다. 푸시부(540)가 가압부(520)의 단면에 편심 배치됨으로써, 가압부(520)의 회전에 따라 가압력을 제공하고자 하는 푸시부(540)의 위치가 변동된다. 물론, 푸시부(540)가 가압부(520)의 단면에 대해 편심 배치될 수 있도록 푸시부(540)의 단면적은 가압부(520)의 단면적보다 작다.
푸시 가이드부(560)는 푸시가이드 몸체(562), 가이드공(564) 및 가이드 수용부(566)를 포함한다. 푸시 가이드부(560)는 가압부(520)의 결합수용부(524)에 수용되며, 푸시부(540)의 왕복 이동 안내, 푸시부(540)의 편심 방지 및 니들 푸시부(500)의 편심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푸시가이드 몸체(562)는 제1푸시가이드 몸체(562a) 및 제2푸시가이드 몸체(562b)를 포함한다. 제1푸시가이드 몸체(562a)의 일측단은 가압부(520)의 결합수용부(524)에 수용된다. 여기서, 제1푸시가이드 몸체(562a)는 가압부(520)와 상호 상대 회전 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다. 즉, 제1푸시가이드 몸체(562a)는 가압부(520)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물론, 제1푸시가이드 몸체(562a)는 사각 단면 형상 이외에 삼각 단면 형상과 같은 다각형 단면 현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푸시가이드 몸체(562a)는 푸시부(540)의 처짐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반면, 제2푸시가이드 몸체(562b)는 가압부(520)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가압부(520)의 단면 형상이 원형이므로, 제2푸시가이드 몸체(562b) 또한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가이드공(564)은 제2푸시가이드 몸체(562b)에 관통 형성된다. 가이드공(564)은 가압부(520)의 단면적에 대해 편심 배치된 푸시부(540)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가이드공(564)은 푸시부(540)의 왕복 이동 시, 푸시부(540)의 편심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이드공(564)은 제2몸체부(140)의 연통공(144)과 연통된다.
가이드 수용부(566)는 제2푸시가이드 몸체(562b)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다. 가이드 수용부(566)는 전술한 제2몸체부(140)의 이동 가이드부(142)와 맞물려서 니들 푸시부(500)의 왕복 이동 시 발생될 수 있는 편심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탄성부재(700)는 몸체부(100) 내부에 마련되어, 니들 푸시부(500)가 봉합침(10)을 가압하는 가압위치와 봉합침(10)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되는 가압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탄성부재(700)는 코일 스프링으로 제작되어, 니들 푸시부(500)가 가압위치에서 가압 해제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푸시 조절부(900)는 연결부(920) 및 조절부(940)를 포함한다. 푸시 조절부(900)는 니들 푸시부(500)와 연결되고 봉합침 조립체(300) 내부에 수용된 한 쌍의 봉합침(10)이 순차적으로 방출되도록, 한 쌍의 봉합침(10)에 대해 선택적으로 푸시부(540)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즉, 푸시 조절부(900)는 니들 푸시부(500)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한 쌍의 봉합침(10)에 대해 선택적으로 푸시부(540)의 위치를 조절시킨다. 본 발명의 푸시 조절부(900)는 니들 푸시부(50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나, 니들 푸시부(500)의 끝단과 같은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니들 푸시부(500)의 위치가 변경되면 제1몸체부(120)의 가이드홈(124)의 위치도 대응되어 변경된다.
연결부(920)는 가압부(520)의 외표면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조절부(940)는 연결부(920)로부터 니들 푸시부(5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시술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돌출된다. 조절부(940)는 니들 푸시부(500)의 푸시부(540)가 봉합침 조립체(300)에 수용된 한 쌍의 봉합침(10)의 선단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니들 푸시부(50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절부(940)는 180도 간격을 두고 회전되어 푸시부(540)의 위치가 180도 간격으로 변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연결부(920)와 조절부(940)는 몸체부 내부로의 결합을 위해 상호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봉합침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봉합침 조립체(300) 내부에는 한 쌍의 봉합침(10) 및 이를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30)로 이루어진 단위체가 봉합침 조립체(300) 내부에 2개가 수용된다. 이에, 조절부(940)는 4개의 봉합침(10)이 순차적으로 방출되도록 90도 간격을 두고 회전된다. 여기서, 조절부(940)는 단위체의 봉합침(10)이 순차적으로 방출되도록 회전 방향이 정해진다. 도 14에 도시된 조절부(940)는 단위체의 배치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봉합침 조립체(300) 내부에 수용되는 한 쌍의 봉합침(10)으로 구성된 단위체는 2개를 초과하여 수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절부(940)의 회전 간격은 봉합침 조립체(300) 내부에 수용된 단위체들 갯수에 대응되어 변동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1)의 작동 과정을 이하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장치의 작동 사시도이다.
우선, 전술한 도 5 내지 도 7의 과정에 의해 봉합침 조립체(300)와 몸체부(100)를 상호 결합한다. 일 실시 예의 시술인 자궁절제부를 봉합하기 위해 도 15에 도시된 수술용 봉합장치(1)를 질 내부로 삽입시킨다.
질 내부로 삽입된 수술용 봉합장치(1)의 봉합침 조립체(300)가 절개 부위에 도달되면 시술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 푸시부(500)의 가압부(520)를 가압한다. 그러면, 몸체부(100) 내부의 푸시부(540)는 한 쌍의 봉합침(10) 중 어느 하나의 봉합침(10)에 가압력을 제공하고, 이에 해당 봉합침(10)은 방출되어 절개 부위 영역에 관통된다. 봉합침(10)에 연결된 봉합사(30)의 일부도 방출된다.
도 16의 상태에서 시술자가 가압력을 해제하면, 탄성부재(70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부(520)는 가압 해제위치로 복원된다. 봉합침 조립체(300) 내부에 수용된 나머지 한 개의 봉합침(10)을 방출하기 위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는 푸시 조절부(900)를 180도 회전시킨다. 이때, 푸시 조절부(900)에 연결된 니들 푸시부(500)는 푸시 조절부(900)의 회전에 연동됨으로 푸시부(540)의 위치는 변동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조절부(900)를 회전 시킨 후 도 15의 과정처럼 시술자는 니들 푸시부(500)의 가압부(520)를 가압한다. 그러면, 봉합침 조립체(300)에 남아있던 봉합침(10)과 함께 봉합사(30)도 방출되어 절개 부위 영역에 관통된다. 이렇게 2개의 봉합침(10)이 방출되어 절개 부위에 관통되면, 2개의 봉합침(10)을 상호 매듭지어 절개 부위를 봉합한다.
봉합침(10)이 방출된 후, 시술자는 봉합침 조립체(300)와 몸체부(100)를 분리시키고 봉합침(10)이 수용된 새로운 봉합침 조립체(300)를 몸체부(100)와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도 15 내지 도 18의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여 절개 부위를 봉합한다.
이에, 한 쌍의 봉합침 및 이를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로 이루어진 단위체가 수용된 봉합침 조립체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봉합침을 순차적으로 방출시킴으로써, 시술의 난이도를 감소시킴과 함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 복강경 수술도구의 단점을 극복하여 봉합침의 순차적인 방출과 봉합침 상호 간의 매듭에 의해 절개 부위의 봉합이 이루어지므로, 봉합에 따른 시술 소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수술용 봉합장치 10: 봉합침
30: 봉합사 100: 몸체부
120: 제1몸체부 140: 제2몸체부
142: 이동 가이드부 160: 돌기수용부
160': 돌기수용부 300: 봉합침 조립체
320: 카트리지 322: 카트리지 몸체
324: 니들 수용부 326: 봉합사 수용부
328: 연통홈 340: 돌기부
340': 돌기부 400: 체결지지부재
500: 니들 푸시부 520: 가압부
540: 푸시부 560: 푸시 가이드부
566: 가이드 수용부 700: 탄성부재
900: 푸시 조절부 920: 연결부
940: 조절부

Claims (17)

  1.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며, 적어도 한 쌍의 봉합침 및 상기 한 쌍의 봉합침을 각각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가 수용되는 봉합침 조립체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봉합침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봉합침을 상기 봉합침 조립체로부터 외부로 방출시키는 니들 푸시부와;
    상기 니들 푸시부와 연결되고 한 쌍의 상기 봉합침이 순차적으로 방출되도록, 한 쌍의 상기 봉합침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기 니들 푸시부에 의해 제공되는 가압력의 제공위치를 조절시키는 푸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니들 푸시부 및 상기 푸시 조절부가 내부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통 형상으로 마련된 제1몸체부와;
    일측은 상기 봉합침 조립체가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제1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봉합침에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니들 푸시부가 왕복 이동되도록 통 형상으로 마련된 제2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침 조립체는,
    상기 봉합침 및 상기 봉합사가 상기 니들 푸시부에 의해 방출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상기 제2몸체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몸체와;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내부에 한 쌍의 상기 봉합침이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니들 수용부와,
    한 쌍의 상기 니들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봉합침들을 상호 연결한 상기 봉합사를 수용하는 봉합사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수용부들과 상기 봉합사 수용부 사이에는 상기 니들 수용부들과 상기 봉합사 수용부가 상호 연통되는 연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통홈은 상기 봉합침의 지름보다는 작고 상기 봉합사의 지름보다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침 조립체와 상기 제2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와 맞물리는 돌기수용부가 마련되어, 상기 봉합침 조립체와 상기 제2몸체부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상기 돌기수용부는 상호 상기 니들 푸시부의 왕복 이동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봉합장치는,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와 상기 돌기수용부의 체결 시,
    상기 제2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어, 상기 돌기부와 상기 돌기수용부의 상호 체결 방향으로의 이탈을 저지 및 허용하기 위해 상기 돌기부와 상기 돌기수용부의 체결 영역을 수용 및 수용 해제하는 체결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푸시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 돌출되어, 시술자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고 상기 봉합침들에 접촉되어, 상기 가압부로부터 전달된 가압력을 각각의 상기 봉합침으로 제공하는 푸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는 상기 가압부에 대해 편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푸시부는,
    상기 가압부에 수용되며, 상기 푸시부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푸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부 내부와 상기 푸시 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에는 이동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부와 맞물려서 상기 니들 푸시부의 왕복 이동에 따른 편심을 방지하는 가이드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조절부는,
    상기 니들 푸시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니들 푸시부의 길이 방항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푸시부가 상기 봉합침들의 선단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푸시부의 위치를 조절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니들 푸시부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봉합침들에 대해 상기 푸시부를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니들 푸시부가 상기 봉합침을 가압하는 가압위치와 상기 봉합침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되는 가압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16. 몸체부와;
    한 쌍의 봉합침 및 상기 한 쌍의 봉합침를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로 이루어진 단위체가 적어도 하나 수용되며,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리지를 갖는 봉합침 조립체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봉합침에 가압력이 제공되도록 편심 배치되는 푸시부를 가지고 상기 봉합침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봉합침을 상기 봉합침 조립체로부터 외부로 방출시키는 니들 푸시부와;
    상기 니들 푸시부와 연결되고 한 쌍의 상기 봉합침이 순차적으로 방출되도록, 상기 니들 푸시부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한 쌍의 상기 봉합침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기 푸시부의 위치를 조절시키는 푸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17.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며, 적어도 한 쌍의 봉합침 및 상기 한 쌍의 봉합침을 각각 상호 연결하는 봉합사가 수용되는 봉합침 조립체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봉합침이 순차적으로 방출되도록, 한 쌍의 상기 봉합침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기 봉합침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봉합침을 상기 봉합침 조립체로부터 외부로 방출시키는 니들 푸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장치.
KR1020100010679A 2010-02-05 2010-02-05 수술용 봉합장치 KR101132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679A KR101132070B1 (ko) 2010-02-05 2010-02-05 수술용 봉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679A KR101132070B1 (ko) 2010-02-05 2010-02-05 수술용 봉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054A KR20110091054A (ko) 2011-08-11
KR101132070B1 true KR101132070B1 (ko) 2012-04-02

Family

ID=44928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679A KR101132070B1 (ko) 2010-02-05 2010-02-05 수술용 봉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0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082B1 (ko) * 2014-11-21 2016-02-15 김기성 복강경 포트 사이트 폐쇄 장치
KR101712611B1 (ko) * 2016-08-05 2017-03-06 김기성 복강경 포트 사이트 개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923A (ko)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이앰 복강경 수술 보조구
KR101942060B1 (ko) 2017-08-09 2019-01-24 한문석 복강경 수술 보조구
KR102120596B1 (ko) 2019-11-14 2020-06-09 한문석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KR20210121665A (ko) 2020-03-31 2021-10-08 한문석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KR102197000B1 (ko) 2019-05-17 2020-12-30 한문석 트로카 일체형 봉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371Y1 (ko) 2003-09-08 2003-12-06 박경도 복강경 수술 기구
JP3729861B2 (ja) * 1995-06-07 2005-12-21 メッドトロニック・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傷口閉鎖デバイス
KR100803388B1 (ko) 2007-06-04 2008-02-13 김동준 생체분해 원사 삽입 키트
JP4137249B2 (ja) * 1998-10-10 2008-08-20 エシコン・エンド−サージェリ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結び目を形成するための手術用器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9861B2 (ja) * 1995-06-07 2005-12-21 メッドトロニック・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傷口閉鎖デバイス
JP4137249B2 (ja) * 1998-10-10 2008-08-20 エシコン・エンド−サージェリ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結び目を形成するための手術用器具
KR200335371Y1 (ko) 2003-09-08 2003-12-06 박경도 복강경 수술 기구
KR100803388B1 (ko) 2007-06-04 2008-02-13 김동준 생체분해 원사 삽입 키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082B1 (ko) * 2014-11-21 2016-02-15 김기성 복강경 포트 사이트 폐쇄 장치
WO2016080639A1 (ko) * 2014-11-21 2016-05-26 김기성 복강경 포트 사이트 폐쇄 장치
US10307146B2 (en) 2014-11-21 2019-06-04 Ki Seong KIM Laparoscopic port site closure device
KR101712611B1 (ko) * 2016-08-05 2017-03-06 김기성 복강경 포트 사이트 개폐 장치
US10492824B2 (en) 2016-08-05 2019-12-03 Ki Seong KIM Laparoscopic port perforation and closur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054A (ko)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070B1 (ko) 수술용 봉합장치
US20210267590A1 (en) Surgical fastener delivery and locking mechanism
US11779326B2 (en) Stitching device with long needle
EP2992835B1 (en) Devices for facilitating closing and clamping of an end effector of a surgical device
ES2279301T3 (es) Instrumento de grapado quirurgico que incorpora un mecanismo de disparo enchavetado.
JP6138905B2 (ja) 組織内に外科用締結具を供給し、同時に、供給された外科用締結具の数及び位置を反映する外部マークを生成するためのデバイス
RU2579624C2 (ru) Аппликаторные инструменты, имеющие изогнутые и шарнирно-сочлененные валы для развертывания хирургических креплений и способы для них
ES2625411T3 (es) Instrumentos aplicadores que tienen tapas de extremo distal para facilitar el posicionamiento exacto de sujetadores quirúrgicos durante los procedimientos de reparación abierta
US7648514B1 (en) Deep endoscopic staple and stapler
CA2980685A1 (en) Articulating medical device
KR20180083400A (ko) 관절형 샤프트 및 관절운동 제어 요소를 갖는 수술용 패스너를 분배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기구
BR112014022894B1 (pt) Dispositivos de fixação para dispensar prendedores cirúrgicos
WO200611577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ture placement
MXPA06007225A (es) Instrumento quirurgico con un eje articulado con doble cierre de pivote y marco de pivote individual establecido.
KR101942060B1 (ko) 복강경 수술 보조구
CN110049731A (zh) 用于网片和组织固定的外科紧固件
RU2667609C2 (ru) Хирургические крепежные элементы с шарнирными соединениями и наконечниками, выполненными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отклоняться
RU2310405C2 (ru) Сшивающий аппарат с атравматическими иглами
WO2021045644A1 (ru) Сш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 фильерами
CN108378885A (zh) 一种具有空钉仓安全保险装置的外科吻合器钉仓组件
EP188794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ture pla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