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487B1 - 차량용 워터펌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워터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487B1
KR101131487B1 KR1020090070026A KR20090070026A KR101131487B1 KR 101131487 B1 KR101131487 B1 KR 101131487B1 KR 1020090070026 A KR1020090070026 A KR 1020090070026A KR 20090070026 A KR20090070026 A KR 20090070026A KR 101131487 B1 KR101131487 B1 KR 101131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mp
vehicle
pump housing
rotor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2341A (ko
Inventor
임창식
정기호
이장호
변병준
손영기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캄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캄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캄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0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48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2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10Pumping liquid coolant; Arrangements of coolan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02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cooling-air
    • F01P7/0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cooling-air by varying pump speed, e.g. by changing pump-drive gear ratio
    • F01P7/048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cooling-air by varying pump speed, e.g. by changing pump-drive gear ratio using electrical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2Arrangements for cooling other engine or machin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10Pumping liquid coolant; Arrangements of coolant pumps
    • F01P5/12Pump-driv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워터펌프가 작동되면서 스테이터부에서 발생 되는 열을 상기 워터펌프에서 순환되는 냉각수와 열교환을 통해 방열을 실시할 수 있는 차량용 워터펌프에 관한 것이다.
워터펌프, 전기, 구동, 몰딩, 발열

Description

차량용 워터펌프{Water Pu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구동 방식에 의해 엔진으로 냉각수를 공급시키는 차량용 워터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을 적정수준의 온도로 유지시켜 주는 엔진 냉각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한 냉각장치는 엔진이 냉각될 때 서서히 냉각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엔진의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엔진 냉각장치는 라디에이터, 냉각팬, 서머스탯, 워터펌프 및 구동밸트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냉각수는 워터펌프에 의해 라디에이터에서 흡입되어 실린더블럭, 흡기 매니폴드, 배기 매니폴드 및 실린더헤드의 워터재킷을 순환하고 다시 라디에이터로 되돌아가 냉각을 실시하게 된다.
워터펌프는 작동 중 발생되는 고열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방열을 실시하고 있는 추세이며, 보다 효과적인 방열을 위해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구동 방식에 의해 작동되는 워터펌프의 열해를 방지하고 방열성능이 향상된 차량용 워터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워터펌프 내부에 구비된 스테이터부를 몰딩하고, 몰딩된 스테이터부에서 발생 되는 발열을 냉각수와의 접촉에 의해 방열을 실시할 수 있는 차량용 워터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에서 발생되는 과열을 안정적으로 해소시켜 엔진 연비 및 차량 상품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차량용 워터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워터펌프는 냉각수가 순환되는 임펠러부와; 상기 임펠러부와 결합되며, 순환된 냉각수가 다시 유출되는 워터펌프 하우징; 및 상기 워터 펌프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냉각수와 열교환을 통해 방열을 실시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워터펌프 하우징은 내부에 설치된 격벽을 기준으로 냉각수가 유동하는 제1 영역과, 냉각수가 유동하지 않는 제2 영역으로 구획된다.
상기 워터펌프 하우징에는 냉각수가 워터펌프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면에 유입홀이 구비된다.
상기 워터펌프 하우징에는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의 방열을 실시하기 위한 방열홈이 구비된다.
상기 방열홈은 워터펌프 하우징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의 길이 방향 상에 구비된다.
상기 유입홀은 상부 직경(d1)과 하부 직경(d2)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다.
상기 유입홀은 워터펌프 하우징의 상면 중앙을 기준으로 동심원을 갖으며 다수개가 이격 배치된다.
상기 구동부는 냉각수가 워터펌프 하우징 내부를 경유하여 임펠러로 이동되도록 중공의 회전축이 구비된 로터와; 상기 로터가 삽입되며 다수개의 코일 단위체가 냉각수와 접촉되지 않도록 몰딩이 이루어진 스테이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
상기 로터는 부분적으로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부분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터의 외주면에는 스테이터부의 내주면을 향해 냉각수를 회오리 형태로 유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에는 로터 회전시 상기 회전축의 축정렬을 위한 부시가 삽입된다.
상기 부시는 탄소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테이터부는 원주 방향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코일 단위체가 상호간에 밀착된 위치에 공간이 구비된 방열홀과; 상기 방열홀과 연통되고 상기 방열홀 내부로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스테이터부의 내주면에 개구된 다수개의 개구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구홀은 코일 단위체의 세로 방향을 따라 슬롯형태로 개구된다.
상기 스테이터부는 다수개의 코일 단위체가 일체 몰딩 되거나, 일체 코팅된다.
상기 코팅은 코일 단위체의 외측 형상을 따라 이루어진다.
상기 코팅은 코일 단위체의 외측에 동일 두께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테이터부의 하측에는 다수개의 코일 단위체에 권취된 코일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기판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영역에는 기판부에 구비된 연결핀과 결합되는 제어기판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수는 유입홀을 통해 워터 펌프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회전축의 하단으로 유동하면서 구동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임펠러부와 워터 펌프 하우징간의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 상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워터펌프는 전기식 워터펌프 작동시 발생 되는 발열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방열이 이루어짐으로써 발열에 따른 워터펌프의 고장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워터펌프는 냉각수를 이용한 수냉식으로 스테이터부의 발열을 해소하고, 이와 동시에 워터펌프의 효율적인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워터펌프는 차량 구동시 엔진의 과열을 안정적으로 해소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워터펌프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워터펌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워터펌프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워터펌프에 구비된 코일 단위체 및 로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워터펌프에 구비된 기판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워터펌프에 구비된 스테이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워터펌프의 작동 상태도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워터펌프(1)는 워터펌프 하우징(200)의 상부에 임펠러부(100)가 결합되고, 상기 임펠러부(100)의 상부에 커버 하우징(10)이 결합된다.
상기 커버 하우징(10)에는 관 형태의 와류실이 구비되어 있어서, 임펠러에 의해 가압된 냉각수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워터펌프 하우징(200)은 내부에 격벽(202)이 구비되고, 상기 격벽(202)을 기준으로 냉각수가 유동되는 제1 영역(210)과, 냉각수가 유동하지 않는 제2 영역(220)으로 구획된다.
상기 제1 영역(210)은 와류실(10)을 통해 유입된 냉각수가 임펠러부(100)를 통해 유입되는 영역으로서, 항시 냉각수가 유출,입 되는 영역이다.
상기 격벽(202)에는 후술할 로터(310)의 회전축(302) 하단이 삽입되는 관 형태의 축 가이드가 구비된다.
워터펌프 하우징(200)은 상면에 다수개의 유입홀(230)이 상기 워터펌프 하우징(300)의 중앙을 기준으로 동심원을 갖으며 동일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유입홀(230)은 직경이 동일 크기로 관통되거나, 상부 직경을 d1, 하부 직경을 d2라고 할 때, d1<d2의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왜냐하면, 냉각수가 유입홀(230)의 상부를 통해 공급될 때, 상기 유입홀(230)을 경유하면서 워터펌프 하우징(200)의 제1 영역(210)으로 확산 공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입홀(230)의 위치는 후술할 스테이터부(320)와 로터(310) 사이에 구비된 간극과 동일선상에 구비됨으로써, 유입홀(230)을 통해 유입된 냉각수의 일부가 상기 간극으로 유입되어 구동부(300)의 작동에 따른 방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워터펌프 하우징(200)에는 내주면과 외주면의 길이 방향 상에 다수개의 방열홈(240)이 구비됨으로써, 열교환된 냉각수와 접촉되면서 방열이 이루어진다.
방열홈(240)은 내주면과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내, 외주면에 모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방열홈(240)은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워터펌프 하우징(200)의 외측으로 고온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키기 위해서 구비된다.
워터펌프 하우징(200) 내부에 위치하는 로터(310)에는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진 회전축(302)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302)은 워터펌프 하우징(200)을 통해 유동되는 냉각수가 이동되는 통로 역활을 한다. 회전축(302)은 내경이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로터(310)는 후술할 구동부(30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로터(310)의 외주면에는 냉각수가 회오리(나선) 형태로 스테이터부(320)의 내주면을 향해 이동되도록 가이드 돌기(312)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312)는 로터(310)의 외주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로터(31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가 동일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가이드 돌기(312)는 로터 회전시 냉각수가 워터펌프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보다 원활히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312)에 의해 상기 워터펌프 하우징(200)의 내측 상부에 위치한 냉각수가 하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된다.
상기 로터(310)는 냉각수와의 접촉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외주면에 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코팅층은 최소한의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져 있다.
회전축(302)에는 하단부에 부시(400)가 설치된다. 상기 부시(400)는 냉각수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므로 탄소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재질로의 대처도 가능함을 밝혀 둔다.
구동부(300)에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테이터부(320)가 구비된다. 상기 스 테이터부(320)는 내부에 철심이 구비된 다수개의 코일 단위체(304)가 링 형태로 상호 간에 밀착 연결된다.
상기 코일 단위체(304)는 전면이 로터(310)를 향해 곡률지게 이루어지고, 후면은 워터펌프 하우징(200)의 내주면 곡률과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좌, 우측면은 냉각수가 유동가능하도록 공간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은 코일 단위체가 상호 간에 결합 되면서 방열홀(322)을 이루게 된다.
방열홀(322)은 개구홀(324)과 연통되어 냉각수가 유입된다. 개구홀(324)은 코일 단위체(304)의 세로 방향을 따라 슬롯 형태로 개구된다.
코일 단위체(304)는 개별 단위체의 외부 전체에 몰딩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개별 단위체의 외측에 코팅액이 코팅될 수 있다.
코팅은 코일 단위체(304)의 외측을 따라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밀착되어 이루어지며, 냉각수와의 안정적인 열교환을 위하여 상기 코일 단위체(304)의 외측에 최대한 밀착된 상태로 몰딩이 이루어진다.
상기 스테이터부(320)는 기판부(500)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기판부(500)에는 하면에 별도의 회로라인이 형성되어 있어서 다수개의 코일 단위체(304)에서 인출된 코일에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기판부(500)는 워터펌프 하우징(200)의 제2 영역(220)에 별도로 구비된 제어기판(600)과 연결핀(502)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구비된 스테이터부(320)는 일반적으로 전동기에 구비된 고정자 역활을 하고, 로터(310)는 회전자 역활을 한다.
제2 영역(220)에는 기판부(500)에 구비된 연결핀(502)과 결합되는 제어기판(600)이 위치한다. 상기 제어기판(600)은 로터(310) 및 코일 단위체(304)의 작동에 연관된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워터펌프의 작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가 시동을 온(On) 하게 되면서 엔진(미도시)이 작동되고, 상기한 엔진 내부에 구비된 실린더(미도시)내부로 공급된 연료와 연소가 이루어지면서 피스톤이 왕복 운동된다.
상기한 실린더 내부에서 연소시 발생되는 연소가스의 온도는 2000 ~ 2500℃의 온도 범위를 갖는 고온 상태로서, 엔진의 지속적인 작동에 따라 피스톤과 실린더를 포함하는 실린더 블록 전체가 과열되기 시작한다.
상기한 엔진의 과열은 워터펌프(1)가 작동되면서 엔진으로 냉각수가 공급되어 엔진의 과열이 해소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기판(600)에 구비된 제어소자(미도시)가 로터(310) 회전에 필요한 작동전류를 연결핀(502)을 통해 기판부(500)에 인가한다.
다수개의 코일 단위체(304)는 인가된 전류를 공급받고, 스테이터부(320)의 중앙에 설치된 로터(31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스테이터부(320)는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코일 단위체(304)에서 자기장이 변화되고, 로터(310)에 유도전류가 발생되면서 상기 로터(310)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작동된다.
회전축(302)은 상단이 임펠러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회전축(302)의 회전 작동과 연동되어 임펠러의 회전이 이루어지며, 커버 하우징(10)을 통해 공급된 냉각수가 유입홀(230)을 통해 워터펌프 하우징(200)의 제1 영역(210)으로 공급된다.
상기 유입홀(230)은 워터펌프 하우징(200)의 상부 중앙을 기준으로 다수개가 동일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어서, 워터펌프 하우징(200)의 내부로 균일하게 공급된다.
유입홀(230)은 상, 하부 직경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도 2b참조), 이에 해당되는 일 실시예로 d1보다 d2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넓은 직경을 갖게 됨으로써, 워터펌프 하우징(200) 내부로 유입되는 냉각수가 확산 공급되는 효과를 유발하게 된다.
제어기판(600)은 제2 영역(220)에 위치해 있어서, 제1 영역(210)을 통해 유동되는 냉각수가 상기 제2 영역(220)으로 유입될 수 없으므로, 냉각수에 의한 부식 내지 합선으로 인한 워터펌프의 고장 발생을 사전에 안정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워터펌프의 냉각수 이동에 따른 작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냉각수는 유입홀(230)을 통해 유입되어 제1 영역(210)으로 이동된다. 로터(310)는 상기 제1 영역(210)에 위치한 코일 단위체(304)로 냉각수를 이동시켜 상기 코일 단위체(304)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과 열교환을 실시하고, 부시(400)를 경유하여 회전축(302)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부시(400)는 로터(310)와 미세한 간격을 갖고 있어서 도면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가 이동될 수 있다.
냉각수는 회전축(302)의 하단에서 임펠러(10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회전축(302)의 하부에 있는 냉각수가 상부로 이동된다.
워터펌프에 구비된 구동부에서의 방열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워터펌프(1)가 지속적으로 작동되면서 코일 단위체(304)에 각각 권취된 코일(305)에서는 열(Heat)이 발생되고, 발생된 열은 스테이터부(320)의 원주 방향과, 외측 방향으로 열전달된다.
스테이터부(3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발생되는 열은 개별 단위체에 권취된 코일(305)을 통해 열 방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코일(305)은 방열홀(322)을 통해 열이 외측으로 방출되면서, 도면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홀(324)을 통해 유입된 냉각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코일 단위체(304)의 외측에 몰딩된 부분과 냉각수가 지속적인 접촉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코일 단위체(304)는 외측에 도포된 몰딩이 동일 두께로 이루어져 있어서 냉각수와 균일한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다수개의 코일 단위체(304)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이 안정적으로 해소된다.
스테이터부의 외측 방향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스테이터부(320)는 워터펌프 하우징(200)의 내주면과 이격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부(320)에서 발생된 열은 워터펌프 하우징(320)으로 전도된다.
워터펌프 하우징(200)에 전도된 열은 방열홈(240) 및 상기 방열홈(240)이 미형성된 워터펌프 하우징(200)을 통해 동시에 열전도 되고, 상대적으로 많은 접촉 면적을 갖는 방열홈(240)에 의해 워터펌프 하우징(200)의 외측으로 안정적인 열전도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테이터부(320)의 원주 방향과 외측 방향으로 전도되는 열은 방열홀(322)과 방열홈(240)을 통해 워터펌프(1) 내부에서의 발열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인 방열을 실시하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테이터부의 열전달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냉각수는 로터(310)가 회전되면서 원심력에 의해 워터펌프 하우징(200)의 내주면을 향해 이송되고, 상기 로터(310)에 구비된 가이드 돌기(312)에 의해 상기 워터펌프 하우징(200)의 내측 상부에서 하측으로 용이하게 냉각수가 유동 된다.
코일 단위체(304)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코일 단위체(304)의 외측에 코팅된 부분과 냉각수가 접촉되면서, 방열홀(322)로 고온의 열이 방열 된다.
냉각수는 도면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되면서, 코일 단위체(304)에서 방열된 고온의 열을 워터펌프 하우징(200)의 내주면으로 신속히 이동시킨다.
상기 코일 단위체(304)는 외측에 코팅액이 도포된 상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코팅액은 코일(305)과 최소한의 두께를 갖음으로써, 다수개의 코일 단위체(304)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이 안정적으로 해소된다.
냉각수는 코일(305)의 열을 흡수하여, 스테이터부(320)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홈(240)을 통해 방열을 실시한 후에, 임펠러의 흡입 압력에 의해 회전축(302)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지속적으로 순환되면서 워터펌프에서 발생 되는 고온의 열을 방열하게 된다.
따라서, 엔진에서 발생 되는 고온의 열을 안정적으로 극복하여, 냉각된 냉각수를 지속적으로 공급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로터(310)는 외측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어서, 워터펌프(1)에 설치된 상태에서 냉각수와의 지속적인 접촉에 의한 부식 또는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워터펌프의 분해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워터펌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워터펌프에 구비된 코일 단위체 및 로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워터펌프에 구비된 기판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워터펌프에 구비된 스테이터부를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워터펌프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워터펌프 100 : 임펠러부
200 : 워터펌프 하우징 210 : 제1 영역
220 : 제2 영역 230 : 유입홀
300 : 구동부 302 : 회전축
310 : 로터 320 : 스테이터부
312 : 가이드 돌기 400 : 부시
500 : 기판부 600 : 제어기판

Claims (21)

  1. 임펠러부;
    상기 임펠러부와 결합 되고, 임펠러부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가 유출되는 워터펌프 하우징; 및
    상기 워터 펌프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냉각수가 워터펌프 하우징 내부를 경유하여 임펠러로 이동되도록 중공의 회전축이 구비된 로터;
    상기 로터가 삽입되며 다수개의 코일 단위체가 냉각수와 접촉되지 않도록 몰딩이 이루어진 스테이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부는
    코일 단위체가 상호 간에 밀착된 위치에서 발생 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공간이 구비된 방열홀;
    상기 방열홀과 연통되고 상기 방열홀 내부로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스테이터부의 내주면에 개구된 다수개의 개구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로터와 스테이터부 사이에 냉각수가 유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4. 임펠러부;
    상기 임펠러부와 결합 되고, 임펠러부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가 유출되는 워터펌프 하우징; 및
    상기 워터 펌프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냉각수가 워터펌프 하우징 내부를 경유하여 임펠러로 이동되도록 중공의 회전축이 구비된 로터;
    상기 로터가 삽입되며 다수개의 코일 단위체가 냉각수와 접촉되지 않도록 몰딩이 이루어진 스테이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의 외주면에는 스테이터부의 내주면을 향해 냉각수를 회오리 형태로 유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5. 제1 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로터 회전시 상기 회전축의 축정렬을 위한 부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6. 제1 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외측에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홀은 코일 단위체의 세로 방향을 따라 슬롯형태로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9. 제1 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부는 다수개의 코일 단위체가 일체 몰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10. 제1 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부는
    다수개의 코일 단위체가 일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코일 단위체의 외측 형상을 따라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코일 단위체의 외측에 동일 두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13. 제1 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부의 하측에는 다수개의 코일 단위체에 권취된 코일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기판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14.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는
    유입홀을 통해 워터 펌프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회전축의 하단으로 유동하면서 구동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임펠러부와 워터 펌프 하우징간의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 상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15. 임펠러부;
    상기 임펠러부와 결합 되고, 임펠러부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가 유출되는 워터펌프 하우징; 및
    상기 워터 펌프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워터펌프 하우징은
    내부에 설치된 격벽을 기준으로 냉각수가 유동하는 제1 영역과, 냉각수가 유동하지 않는 제2 영역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16. 제1 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펌프 하우징에는
    냉각수가 워터펌프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면에 유입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17. 임펠러부;
    상기 임펠러부와 결합 되고, 임펠러부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가 유출되는 워터펌프 하우징; 및
    상기 워터 펌프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워터펌프 하우징에는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의 방열을 실시하기 위한 방열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홈은
    워터펌프 하우징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의 길이 방향 상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은
    상부 직경(d1)과 하부 직경(d2)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은 워터펌프 하우징의 상면 중앙을 기준으로 동심원을 갖으며 다수개가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21.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는
    기판부에 구비된 연결핀과 결합 되는 제어기판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워터펌프.
KR1020090070026A 2009-07-30 2009-07-30 차량용 워터펌프 KR101131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026A KR101131487B1 (ko) 2009-07-30 2009-07-30 차량용 워터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026A KR101131487B1 (ko) 2009-07-30 2009-07-30 차량용 워터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341A KR20110012341A (ko) 2011-02-09
KR101131487B1 true KR101131487B1 (ko) 2012-04-02

Family

ID=43772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026A KR101131487B1 (ko) 2009-07-30 2009-07-30 차량용 워터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4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206B1 (ko) 2013-07-18 2015-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캔드 모터 펌프
KR20160106264A (ko) 2015-03-02 2016-09-12 명성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워터펌프
KR101939282B1 (ko) * 2017-12-13 2019-01-18 (주)씨에스이 Free-end play-free 타입의 bldc 펌프
WO2020145436A1 (ko) * 2019-01-10 2020-07-16 명화공업주식회사 워터펌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3490A (ja) * 1999-01-26 2000-08-02 Aisin Seiki Co Ltd 電動ウォ―タポンプ
JP2005315224A (ja) 2004-04-30 2005-11-10 Yamada Seisakusho Co Ltd 電動ウォーターポン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3490A (ja) * 1999-01-26 2000-08-02 Aisin Seiki Co Ltd 電動ウォ―タポンプ
JP2005315224A (ja) 2004-04-30 2005-11-10 Yamada Seisakusho Co Ltd 電動ウォーターポンプ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206B1 (ko) 2013-07-18 2015-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캔드 모터 펌프
KR20160106264A (ko) 2015-03-02 2016-09-12 명성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워터펌프
KR101939282B1 (ko) * 2017-12-13 2019-01-18 (주)씨에스이 Free-end play-free 타입의 bldc 펌프
WO2020145436A1 (ko) * 2019-01-10 2020-07-16 명화공업주식회사 워터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341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3654B2 (en) Electrically driven pump
US9966818B2 (en) Water-cooled motor
CN101043169B (zh) 从电机绕组端部匝除热的方法和装置以及电机
CN102472290B (zh) 鼓风机
EP1010873B1 (en) Cooling water circulating apparatus
EP2628915B1 (en) Water pump for a vehicle
CN207939353U (zh) 一种电机和车辆
KR101131487B1 (ko) 차량용 워터펌프
JP6884230B2 (ja) 電動機
KR101697592B1 (ko) 회전전기기계
KR102046891B1 (ko) 전동기
CN109450151A (zh) 内置散热风道的永磁伺服电机
CN111030383A (zh) 一种用于低温环境中的自泵式喷油内循环散热电机
KR102141867B1 (ko) 워터펌프
JP7168689B2 (ja) 電動冷却液ポンプ
KR20200007293A (ko) 전동기
CN110011448A (zh) 永磁电机、压缩机和空调器
KR20080089975A (ko)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
KR20140066880A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구동모터 방열장치
KR102154751B1 (ko) 전동식 오일펌프
CN219672928U (zh) 电子水泵和车辆
CN209462116U (zh) 永磁电机、压缩机和空调器
KR102027834B1 (ko) 전자식 워터펌프
CN219672927U (zh) 电子水泵和车辆
CN111503054B (zh) 一种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