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940B1 -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세교정방법 - Google Patents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세교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940B1
KR101130940B1 KR1020100004121A KR20100004121A KR101130940B1 KR 101130940 B1 KR101130940 B1 KR 101130940B1 KR 1020100004121 A KR1020100004121 A KR 1020100004121A KR 20100004121 A KR20100004121 A KR 20100004121A KR 101130940 B1 KR101130940 B1 KR 101130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gth
size
breathing
width
en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4066A (ko
Inventor
신왕홍
Original Assignee
신왕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왕홍 filed Critical 신왕홍
Priority to KR1020100004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940B1/ko
Publication of KR20110084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 A63B2213/005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with respiratory gas delivering means, e.g. O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정치수의 폭(L1)과, 상하길이(L2), 및 전후길이(L3)를 가진 단편으로 구성되어, 상기 폭(L1)과 상하길이(L2)로 이루어진 전단부면과 후단부면; 상기 폭(L1)과 전후길이(L3)로 이루어진 상부면과 하부면; 및 상기 상하길이(L2)와 전후길이(L3)로 이루어진 일측부면과 타측부면;으로 구분되며, 상기 폭(L1)의 크기는 3.8mm이고, 상기 상하길이(L2)의 크기는 26mm이며, 상기 전후길이(L3)의 크기는 50mm인 것이 특징이고, 여기에 상기 상부면에는 일체로 돌출형성되거나 또는 별개로 형성되어 접철된 윗입술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코호흡을 원할하게 하도록 함으로써, 폐에 풍부한 공기량이 흡입 및 배출되도록 하여 인체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도록 하며, 동시에 횡경막의 수축이완을 원할하게 할 뿐만 아니라, 척추를 곧게 하는 척추기립근과 종둔근을 잘 발달시켜 자세교정을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세교정방법{Breathing assistance unit with the function of correction and Method of posture correction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호흡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발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폐를 횡경막을 이용하여 팽창 및 수축시켜 폐속으로 풍부한 공기가 코를 통해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인체가 필요로 하는 산소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자세교정을 도와주는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세교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에는 수백 가닥의 근육들과 신경들이 구성되어 있는데, 특히 폐 뒤쪽에는 척추를 세워주는 역할을 하는 척추기립근이라는 근육이 머리 바로 밑에서 엉덩이 부분까지 배치되어 있고, 폐는 그 척추에서 나온 갈비뼈에 둘러싸여 있으며, 폐 아래쪽에는 횡경막이 위치되어 있다. 척추기립근은 허리 근육이라고도 하며, 척추기립근의 하부 양측에는 중둔근이라는 엉덩이 근육이 가로로 크게 대들보처럼 위치되어 있다.
또한, 인간의 폐는 통상 1회 호흡에 대략 500㎖의 공기를 흡입하여 혈액을 통해 이 근육들의 모세혈관에 필요로 하는 산소를 공급하는데, 이때 횡경막의 수축 및 이완정도에 따라 폐의 공기흡입량 및 폐를 통한 인체 각 부분들에 산소공급량이 결정된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잘못된 자세나 잘못된 보행 내지 운동으로 인하여 척추기립근이나 중둔근이 발달되지 않게 되었고, 대신 허벅지근육이나 중둔근 밑의 소둔근, 배근육을 사용하여 보행 내지 운동하게 됨으로써 관절염이나 척추측만증 또는 골반불균형 등 다양한 질환을 겪고 있다.
더욱이, 현대인들의 잘못된 자세 또는 오래도록 앉거나 서서 일하게 되는 상황에 의해, 척추가 많이 휘어지게 되고, 그 결과 호흡시 횡경막의 수축이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숨이 차거나 가슴의 답답함을 토로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인체는 자연스럽게 부족한 산소공급을 입으로 호흡하면서 심호흡이나 가슴호흡으로 대체공급받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비염, 천식, 축농증, 편도선염 등 알레르기 질환이 있으면 코막힘으로 고생을 하거나, 잠잘때 옆으로 자거나 엎드려서 자게 되면 아래쪽 부분의 콧구멍이 자연스럽게 막히기 때문에 인체는 자연적으로 입으로 호흡을 하게 된다. 이때 입호흡이 편한 호흡이라 착각하게 되면서 입호흡이 습관으로 자리잡게 되고, 이와 같은 입호흡이 장기가 지속되다 보면 치아부정교합, 주걱턱, 아데노이드형 얼굴 등 얼굴변형까지 초래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입으로 하는 호흡은 각종 병원균이 입을 통해 침투 후 목에 있는 편도를 통해 백혈구를 타고 인체에 침투하기가 쉬워져서 신체의 면역력을 약하게 하며, 각종 기관지염에 걸릴 확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코골이 증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더욱 큰 단점은 머리 및 신체 각 부위에 산소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호흡은 인체의 자세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코호흡이 원활하다는 것은 횡경막의 수축이완이 원할하다는 것이고, 횡경막의 수축이완이 원할하다는 것은 척추를 곧게 하는 척추기립근 및 척추기립근과 연계되어 허리를 보완하는 중둔근이 잘 발달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바른 자세로 걷는 보행은 호흡과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로서, 바른자세의 보행을 하게 되면 보행과 동시에 코호흡을 하는데 전혀 무리가 없게 된다.
이에 본 출원인은 현대인들이 겪는 호흡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올바른 자세를 갖도록 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품인 호흡보조장치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가벼워 사용공간과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될 수 있는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본 발명품인 호흡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코호흡을 원할하게 하는 것을 배우고, 동시에 횡경막의 수축이완을 원할하게 할 뿐만 아니라, 척추를 곧게 하는 척추기립근과 종둔근을 잘 발달시켜 자세교정을 도와주는 자세교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는,
일정치수의 폭(L1)과, 상하길이(L2), 및 전후길이(L3)를 가진 단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폭(L1)의 크기는 3.5~4.5mm이고, 상하길이(L2)의 크기는 22~27mm이며, 전후길이(L3)의 크기는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폭(L1)의 크기는 3.8mm이고, 상하길이(L2)의 크기는 26mm이며, 전후길이(L3)의 크기는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흡보조장치의 외측으로 일정두께를 가진 탄성재질의 보호외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는,
일정치수의 폭(L1)과, 상하길이(L2), 및 전후길이(L3)를 가진 단편으로 구성되어, 상기 폭(L1)과 상하길이(L2)로 이루어진 전단부면과 후단부면; 상기 폭(L1)과 전후길이(L3)로 이루어진 상부면과 하부면; 및 상기 상하길이(L2)와 전후길이(L3)로 이루어진 일측부면과 타측부면으로 구성된 측부면;으로 구분되며, 상기 상부면에는 일체로 돌출형성되거나 또는 별개로 형성되어 접철된 윗입술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폭(L1)의 크기는 3.5~4.5mm이고, 상하길이(L2)의 크기는 22~27mm이며, 전후길이(L3)의 크기는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폭(L1)의 크기는 3.8mm이고, 상하길이(L2)의 크기는 26mm이며, 전후길이(L3)의 크기는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흡보조장치의 외측으로 일정두께를 가진 탄성재질의 보호외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는 경보음발생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경보음발생수단은
상기 폭(L1)과 상하길이(L2)로 이루어진 전단부면에 형성된 하나의 장방형 관통홀;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전단부면에 대응되는 후단부면에 이격되게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관통홈; 및 상기 전단부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상하길이(L2)와 전후길이(L3)로 이루어진 일측부면과 타측부면으로 구성된 측부면 중 어느 한 측부면에 상기 전단부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장방형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홀과 상기 2개의 관통홈 사이에는 2개의 연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2개의 연통로 내부에는 전후이동이 가능한 이동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를 이용한 자세교정방법은
제 1 항 또는 제 5 항의 호흡보조장치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준비된 호흡보조장치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윗니와 아랫니의 중심위치에 각각 대응되게 맞물리도록 하는 제2단계; 및
상체를 바르게 세우고 입술근육인 구륜에 힘을 준 채로 구륜호흡을 하거나 또는 윗입술을 들어올려 상기 제5항의 호흡보조장치의 윗입술 지지부에 윗입술이 걸쳐지도록 하여 코호흡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를 이용한 자세교정방법은
상기 제3단계의 구륜호흡 또는 코호흡을 하면서 척추기립근과 종둔근을 이용하여 보행연습을 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는 코호흡을 원할하게 하도록 함으로써, 코를 통한 폐속으로의 공기흡입량이 많아 질뿐만 아니라, 공기흡입 및 배출이 훨씬 원활하게 되어 인체 각 근육 및 기관들에게 전달되는 산소의 공급량이 많아지게 되고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적절하게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각종 질병을 치유 내지 완화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는 코호흡을 원할하게 하도록 함과, 동시에 횡경막의 수축이완을 원할하게 할 뿐만 아니라, 척추를 곧게 하는 척추기립근과 중둔근을 잘 발달시켜 허리를 강화하고 자세교정을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외측면에 보호외피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에 경보음발생수단을 구비한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외측면에 보호외피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에 경보음발생수단을 구비한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100)는 일정치수(L1×L2×L3)의 폭(L1), 상하길이(L2), 전후길이(L3)를 가진 직육면체 형상의 단편으로서, 폭(L1)과 상하길이(L2)로 이루어진 전단부면(10)과 후단부면, 폭(L1)과 전후길이(L3)로 이루어진 상부면(20)과 하부면; 및 상하길이(L2)와 전후길이(L3)로 이루어진 일측부면과 타측부면으로 구성된 측부면(30);으로 구분되며, 그 자체로서 윗니와 아랫니의 중앙위치에 맞물리도록 사용된다.
재질은 특별하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치아(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맞물리는 것이므로 물기(또는 침)를 흡수해도 변형이 되지 않으며 공기유통도 될 수 있는 나무재질이 가장 바람직하며, 인체에 해롭지 않은 플라스틱 재질도 무방하다.
또한, 호흡보조장치(100)의 각 치수중 폭(L1)은 3.5~4.5mm, 바람직하게는 3.8mm가 적합하고, 상하길이(L2)는 22~27mm, 바람직하게는 25mm, 또는 26mm, 가장 바람직하게는 26mm가 적합하다. 또한, 전후길이(L3)는 대략 50mm가 적합하다.
여기서, L1의 치수제한은 인접해 있는 치아에 영향을 주지않고 편안하게 맞물리도록 하기에 적합한 크기일 뿐만 아니라, 윗입술의 무게중심점 위치를 잡는데 적합한 크기이다. 또한, 치아 사이에 맞물었을때 얼굴의 좌우대칭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착용후 호흡훈련으로 인하여 원할한 횡경막 수축이완과 척추기립근 및 중둔근의 균형발달로 인하여 인체가 대칭적으로 되도록 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L1의 치수가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치아 사이에 끼이게 되어 치아사이가 벌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L1의 치수가 상기 범위보다 크면, 무게중심위치가 분산되어 중심점 위치를 잡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L2의 치수제한은 호흡보조장치(100)를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맞물렸을때, 턱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 구강을 팽창시켜 공기가 통과하는 기도를 넓히도록 함으로써, 폐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을 충분하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구강을 통하지 않고 코를 통해 폐로 충분한 공기가 흡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치수크기로서, 자연스럽게 가슴 및 허리를 펴게 되어 횡경막의 수축이완이 원할하게 되고 그럼으로써 척추의 자세교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L2의 치수를 갖는 호흡보조장치(100)를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맞물고 코호흡을 하게 되면, 척추기립근과 중둔근에 힘이 들어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L2의 치수가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입호흡도 병행되어 코를 통해 폐속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현저하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척추기립근이나 중둔근에 미치는 효과가 전혀 없게 된다. 또한, L2의 치수가 상기 범위보다 크면 턱관절에 이상이 발생되게 된다.
인체의 구강구조는 대략 13세 정도 되면 완성이 된다는 것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L2의 치수는 13세 이상의 사람에게는 누구에게나 적합한 치수이다.
L3의 치수제한은 휴대하기에 간편하고, 치아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도 치아 사이에 맞물렸을때 중심을 잡기에 적합한 치수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호흡보조장치(100)의 형상을 직육면체 단편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본 발명에서 정한 치수의 효과를 나타내는 다양한 형상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들숨(흡입하는 공기)이 입호흡에 의해 곧바로 기도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코호흡만으로 들숨이 비강 깊숙이 흡입됨과 동시에 횡경막으로 향하는 신경을 직접 자극하여 횡경막의 수축이완을 원할하게 하고 그럼으로써 척추기립근과 중둔근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호흡보조장치(100)는 사용시 구륜호흡과 함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구륜호흡이란 입술둘레의 근육인 구륜을 사용하는 들숨에만 적용되는 호흡법으로, 입술을 벌린채 앞으로 쭉 내민다음 구륜에 강한 힘을 주며 코로 숨을 들이마시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호흡보조장치(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흡보조장치(100)의 상부면(20)과 하부면 외측으로 일정두께(1/2(L'2-L2)), 또는 상부면(20)과 하부면 및 측부면(30) 외측으로 일정두께(1/2(L'2-L2) 및 1/2(L'1-L1))를 가진 탄성재질의 보호외피(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외피를 호흡보조장치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보호외피(60)는 본 발명인 호흡보조장치를 치아 사이에 맞물었을때, 딱딱한 재질로 인하여 치아가 손상되거나 받게 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호외피(60)의 재질은 그 두께로 인하여 맞물린 호흡보조장치의 상하길이(L2)의 치수가 변하지 않도록 그 탄성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200)는 상부면(20)에 소정 높이(h)로 일체로 돌출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되어 부착된 윗입술 지지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윗입술 지지부(40)는 본 발명인 호흡보조장치를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맞물었을때 윗입술을 소정높이로 들어올려 지지해 주는 것으로, 호흡보조장치 상부면(20) 중심부에서 돌출되어 상부면을 따라 전단부면(10) 측으로 굽어져 형성된 갈고리 형상이다.
이와 같은 윗입술 지지부(40)는 도 1에 도시된 호흡보조장치(100)만을 사용할 때 구륜호흡을 하기 위해 입술근육인 구륜에 힘을 주어 코호흡 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척추기립근 및 중둔근이 잘 발달되도록 돕는다.
이때, 윗입술 지지부(40)의 높이(h)는 상부면(20)으로부터 대략 15mm가 바람직하다. 또한, 윗입술 지지부(40)의 말단은 전단부면(10)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호흡보조장치를 치아에 맞물었을때, 윗입술 지지부(40)가 잇몸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는 윗입술 지지부(40)의 형상을 갈고리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ㄱ'자형, 봉우리(∩)형, ▽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도 2에 도시된 호흡보조장치(200)는 윗입술 지지부(4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호흡보조장치(200)와 같이, 윗입술 지지부(40)가 측부면(30) 중 어느 한쪽(일측부면 또는 타측부면)으로 접혀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별개로 형성된 후 접철부(B)로 연결된 접철식으로 형성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흡보조장치(100)를 윗니와 아랫니 중심 위치에 맞물고 구륜호흡을 하거나, 윗입술 지지부(40)를 더 포함한 본 발명인 호흡보조장치를 윗니와 아랫니 중심 위치에 맞물고 윗입술이 들어올려져 코호흡을 하게 되면, 코를 통한 폐속으로의 공기흡입량이 많아 질뿐만 아니라, 공기흡입 및 배출이 훨씬 원활하게 되어 인체 각 근육 및 기관들에게 전달되는 산소의 공급량이 많아지게 되고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적절하게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각종 질병을 치유 내지 완화시키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의 호흡보조장치를 사용한 채 구륜호흡 내지 코호흡하게 되면, 척추기립근과 종둔근이 강해지게 되고 척추기립근과 종둔근을 사용하여 보행 또는 운동을 하는 경우 인체의 중력중심을 상방 중심으로 향하도록 하는 효과를 볼 수 있게 되어 자세교정의 효과 및 각종 질환, 특히 척추로 인하여 발생되는 질환이 치유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호흡보조장치(200)도 딱딱한 재질로 인하여 치아와 윗입술 내측이 손상되거나 받게 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외측으로 다양한 형상의 일정두께를 가진 탄성재질의 보호외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400)는 유사시 호루라기 대신 사용가능하도록 경보음발생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경보음발생수단은 호흡보조장치(400)의 폭(L1)과 상하길이(L2)로 이루어진 전단부면(10)에 형성된 하나의 장방형 관통홀(12), 관통홀(12)과 각각 연통되도록 전단부면에 대응되는 후단부면(10')에 이격되게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관통홈(12'a,12'b), 및 전단부면(10)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관통홀 및 관통홈과 연통되도록 상하길이(L2)와 전후길이(L3)로 이루어진 일측부면과 타측부면으로 구성된 측부면(30) 중 어느 한 측부면(일측부면 또는 타측부면)에 전단부면(10)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소정폭의 장방형 홀(32)로 구성된다.
이때, 전단부면(10)의 하나의 관통홀(12)과 후단부면(10')의 2개의 관통홈(12'a, 12'b) 사이에는 2개의 연통로(17a,17b)가 형성되며, 2개의 연통로(17a,17b)는 측부면(30)의 장방형 홀(32) 위치부터 분지된 것으로, 관통홀(12)과 2개의 관통홈(12'a,12'b) 및 장방형 홀(32)은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2개의 연통로(17a,17b) 내부에는 호흡 즉 날숨과 들숨에 따라 전후이동 가능한 이동부(미도시)가 내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자세교정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1단계: 도 1에 도시된 윗입술 지지부(40)가 없는 호흡보조장치(100) 또는 도 2에 도시된 윗입술 지지부(40)가 있는 호흡보조장치(200)를 준비한다.
2단계: 준비된 호흡보조장치의 상부면(20)과 하부면이 윗니와 아랫니의 중심에 각각 대응되게 맞물리도록 한다.
이때, 전단부면(10)이 구강내부로 향하도록 삽입한다.
3단계: 상체를 바르게 세우고 입술근육인 구륜에 힘을 준 채로 구륜호흡을 하거나 또는 윗입술을 들어올려 호흡보조장치(200)의 윗입술 지지부(40)에 윗입술이 걸쳐지도록 한 다음 코호흡을 한다.
이때, 윗입술 지지부(40)가 구비되지 않은 호흡보조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륜호흡을 통해 코호흡을 하게 되는 것이고, 윗입술 지지부(40)가 구비된 호흡보조장치(2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윗입술이 수직으로 들어올려지므로써, 코호흡을 하게 되는 것이다.
정적인 자세, 즉 바닥 또는 의자 등에 앉은 자세나 서 있는 자세 등 상체를 바르게 편 바른자세를 취한 상태에서도 제3단계까지의 과정을 행함으로써 척추기립근과 종둔근의 발달이 이루어지게 되고, 횡경막의 수축이완도 원할하게 이루어져 자세교정의 효과를 갖게 된다.
4단계: 3단계의 구륜호흡 내지 코호흡을 하면서 척추기립근과 종둔근을 이용하여 보행연습을 한다. 이와 같은 연습에 의해 척추기립근과 종둔근은 점차적으로 발달하게 되며, 바른 자세로 인하여 횡경막의 수축이완도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100,200,300,400: 호흡보조장치 10: 전단부면
10': 후단부면 12: 관통홀
12'a,12'b: 관통홈 17a,17b: 연통로
20: 상부면 30: 측부면
32: 장방형홀 40: 윗입술 지지부
60: 보호외피 B: 접철부
h: 높이 L1,L2,L3:단편 치수

Claims (13)

  1. 일정치수의 폭(L1)과, 상하길이(L2), 및 전후길이(L3)를 가진 단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폭(L1)의 크기는 3.5~4.5mm이고, 상기 상하길이(L2)의 크기는 22~27mm이며, 상기 전후길이(L3)의 크기는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폭(L1)의 크기는 3.8mm이고, 상기 상하길이(L2)의 크기는 26mm이며, 상기 전후길이(L3)의 크기는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보조장치의 외측으로 일정두께를 가진 탄성재질의 보호외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
  5. 일정치수의 폭(L1)과, 상하길이(L2), 및 전후길이(L3)를 가진 단편으로 구성되어,
    상기 폭(L1)과 상하길이(L2)로 이루어진 전단부면과 후단부면;
    상기 폭(L1)과 전후길이(L3)로 이루어진 상부면과 하부면; 및
    상기 상하길이(L2)와 전후길이(L3)로 이루어진 일측부면과 타측부면으로 구성된 측부면;으로 구분되며,
    상기 상부면에는 일체로 돌출형성되거나 또는 별개로 형성되어 접철된 윗입술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폭(L1)의 크기는 3.5~4.5mm이고, 상기 상하길이(L2)의 크기는 22~27mm이며, 상기 전후길이(L3)의 크기는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폭(L1)의 크기는 3.8mm이고, 상기 상하길이(L2)의 크기는 26mm이며, 상기 전후길이(L3)의 크기는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보조장치의 외측으로 일정두께를 가진 탄성재질의 보호외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보조장치는 경보음발생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음발생수단은
    상기 폭(L1)과 상하길이(L2)로 이루어진 전단부면에 형성된 하나의 장방형 관통홀;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전단부면에 대응되는 후단부면에 이격되게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관통홈; 및
    상기 전단부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상하길이(L2)와 전후길이(L3)로 이루어진 일측부면과 타측부면으로 구성된 측부면 중 어느 한 측부면에 상기 전단부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장방형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과 상기 2개의 관통홈 사이에는 2개의 연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2개의 연통로 내부에는 전후이동이 가능한 이동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5 항의 호흡보조장치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준비된 호흡보조장치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윗니와 아랫니의 중심위치에 각각 대응되게 맞물리도록 하는 제2단계; 및
    상체를 바르게 세우고 입술근육인 구륜에 힘을 준 채로 구륜호흡을 하거나 또는 윗입술을 들어올려 상기 제5항의 호흡보조장치의 윗입술 지지부에 윗입술이 걸쳐지도록 하여 코호흡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를 이용한 자세교정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구륜호흡 또는 코호흡을 하면서 척추기립근과 종둔근을 이용하여 보행연습을 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를 이용한 자세교정방법.
KR1020100004121A 2010-01-15 2010-01-15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세교정방법 KR101130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121A KR101130940B1 (ko) 2010-01-15 2010-01-15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세교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121A KR101130940B1 (ko) 2010-01-15 2010-01-15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세교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066A KR20110084066A (ko) 2011-07-21
KR101130940B1 true KR101130940B1 (ko) 2012-03-29

Family

ID=4492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121A KR101130940B1 (ko) 2010-01-15 2010-01-15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세교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9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5324A (en) 1986-05-08 1988-08-23 Lake Jr John R Sports mouthguard with shim
US5165423A (en) 1991-09-30 1992-11-24 Fowler Ian K Tooth guard whistle
US20080178892A1 (en) 2007-01-30 2008-07-31 Han Haduong Method and system for swallow control resulting in improved pos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5324A (en) 1986-05-08 1988-08-23 Lake Jr John R Sports mouthguard with shim
US5165423A (en) 1991-09-30 1992-11-24 Fowler Ian K Tooth guard whistle
US20080178892A1 (en) 2007-01-30 2008-07-31 Han Haduong Method and system for swallow control resulting in improved pos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066A (ko)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own et al. Respiratory dysfunction and management in spinal cord injury
CN206152033U (zh) 助力呼吸装置
ES2624189T3 (es) Aparato para ventilación asistida mejorada
KR102222940B1 (ko) 호흡 훈련 장치
CN105748278B (zh) 胸廓辅助呼吸装置
US10420905B2 (en) CPR template
CN205434614U (zh) 胸廓辅助呼吸装置
KR101130940B1 (ko) 교정기능을 갖는 호흡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세교정방법
US10532171B2 (en) Tracheostomy or endotracheal tube adapter for speech
JP6568196B2 (ja) 改善された補助換気用の装置及び方法
CN109431776A (zh) 一种心内科双重呼吸装置
CN213942034U (zh) 一种呼吸训练器
KR102246205B1 (ko) 객담 제거 보조 장치
Lee et al. A study on the cough augmentation using a belt-driven assistive
CN210228845U (zh) 无痛胃镜辅助氧气面罩组件
ES2683015A1 (es) Dispositivo para la mejora del patrón ventilatorio e hiperinsuflación pulmonar
KR102551910B1 (ko)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
Rie Physical therapy in the nursing care of respiratory disease patients
RU2747610C2 (ru) Дыхательный внутриротовой тренажер, картридж для дыхательного внутриротового тренажера, способ тренировки при помощи заявленного дыхательного внутриротового тренажера
IPV PHYSIOTHERAPY INTERVENTIONS
CN206934421U (zh) 一种麻醉面罩
Spirometers et al. KEY TERMS
CN115888033A (zh) 一种呼吸训练器
JP2009028389A (ja) 腹圧呼吸法習得のための訓練補助用マウスピース
Kass et al. Chest physiotherapy f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