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532B1 - Hot air blower combined with boiler using electric arc reactor device - Google Patents
Hot air blower combined with boiler using electric arc reactor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29532B1 KR101129532B1 KR1020090118545A KR20090118545A KR101129532B1 KR 101129532 B1 KR101129532 B1 KR 101129532B1 KR 1020090118545 A KR1020090118545 A KR 1020090118545A KR 20090118545 A KR20090118545 A KR 20090118545A KR 101129532 B1 KR101129532 B1 KR 1011295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action tank
- solution
- electric arc
- heat exchanger
- aqueous solu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6/00—Combined water and air hea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30—Electrode boil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2—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 F24H3/08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3/085—The tubes containing an electrically heated intermediate fluid, e.g. w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7/00—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 F24H7/02—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아크를 이용하여 온수 및 온풍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온수온풍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온수온풍기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의 입구측에 설치된 열교환기; 용액을 저장하는 반응탱크와, 상기 용액의 내부에 전기 아크(electric arc)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반응탱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전극봉을 포함하는 전기아크 반응장치; 상기 반응탱크에서 가열된 상기 용액을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출수관; 상기 열교환기에서 냉각된 상기 용액을 상기 반응탱크로 회수하는 회수관; 상기 송풍기, 상기 열교환기, 상기 전기아크반응장치, 상기 출수관 및 상기 회수관을 내부에 수용하며, 흡기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된 축열탱크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반응탱크에 연결된 외부출수관과 외부회수관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hot water warmer that produces a large amount of hot water and warm air using an electric arc. Hot water warm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ower; A heat exchanger installed at an inlet side of the blower; An electric arc reactor including a reaction tank for storing a solution and a plurality of electrodes installed through the reaction tank to generate an electric arc inside the solution; An outlet pipe for supplying the solution heated in the reaction tank to the heat exchanger; A recovery tube for recovering the solution cooled in the heat exchanger to the reaction tank; A housing accommodating the blower, the heat exchanger, the electric arc reaction device, the discharge pipe, and the recovery pipe therein and having an intake port; It includes an external discharge pipe and an external recovery pipe connected to the reaction tank to heat the water stored in the heat storage tank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액의 내부에 전기 아크가 발생하는 시점부터 소비전력이 급격히 낮아지기 때문에 아주 적은 전력비용으로 대량의 온풍과 온수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전기식이어서 이산화탄소나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wer consumption is sharply lowered from the time when the electric arc occurs inside the aqueous solu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large amount of warm air and hot water at a very low power cost.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not emitting carbon dioxide or pollutants as it is electric.
Description
본 발명은 온수온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온수용액 등의 내부에 전기 아크를 발생시켜서 발생한 온수와 증기를 이용하여 난방용 온풍과 온수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온수온풍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 water warm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t water warmer capable of producing a large amount of hot air and hot water for heating using hot water and steam generated by generating an electric arc inside an ion aqueous solution.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 등과 같은 전천후 영농시설에는 겨울철에도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적정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난방수단으로서 온풍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all-weather farming facilities such as vinyl houses are frequently used as a heating means to maintain the proper temperature required for the growth of crops in winter.
온풍기는 열원의 종류에 따라 전기식, 가스식, 석유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전기식 온풍기는 PTC세라믹 발열체 또는 유도가열 발열체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오염물질의 배출이 없는 장점이 있지만 대규모의 영농시설에 사용할 경우에는 엄청난 전력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eaters can be classified into electric, gas, and petroleum according to the type of heat source. Electric heaters use PTC ceramic heating elements or induction heating elements, which do not emit pollutants, but are used in large-scale farming facilities.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ar huge power costs.
이 때문에 영농시설에서는 대부분 석유나 가스를 이용한 온풍기가 주로 사용 되고 있으나, 석유나 가스를 사용하면 이산화탄소와 오염물질의 배출이 불가피하고 연료비도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For this reason, in most farming facilities, hot air blowers using oil or gas are mainly used, but when oil or gas is used, carbon dioxide and pollutants are inevitably discharged and fuel costs are excessively consumed.
한편 온풍기를 사용하더라도 온수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온수기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이로 인해 농가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even if you use a hot air heater, if you need to use hot water to install a separate water heater because of this situation is increasing the burden on the farm.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소한의 비용으로 온수와 온풍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오염물질이나 이산화탄소도 발생시키지 않는 고효율의 전기식 온수온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high-efficiency electric hot water heater that can produce a large amount of hot water and warm air at a minimum cost, and does not generate pollutants or carbon dioxide.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송풍기; 상기 송풍기의 입구측에 설치된 열교환기; 용액을 저장하는 반응탱크와, 상기 용액의 내부에 전기 아크(electric arc)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반응탱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전극봉을 포함하는 전기아크 반응장치; 상기 반응탱크에서 가열된 상기 용액을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출수관; 상기 열교환기에서 냉각된 상기 용액을 상기 반응탱크로 회수하는 회수관; 상기 송풍기, 상기 열교환기, 상기 전기아크반응장치, 상기 출수관 및 상기 회수관을 내부에 수용하며, 흡기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된 축열탱크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반응탱크에 연결된 외부출수관과 외부회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용액은, 나트륨계 이온수용액, 황토지장수, 산성이온수용액, 카본수용액, MEG(Mono Ethylene Glycol) 용액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전극봉은, 스프링용 경강선(SWRH), 저합금 고장력강(Low alloy high tension steel), 부식저항 저합금 고장력강, 고장력계 탄소강, 탄화규소(SiC), 칸탈(kanthal), 하스텔로이(Hastelloy), 인코넬(inconel), 모넬(monel), 텅스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온풍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lower; A heat exchanger installed at an inlet side of the blower; An electric arc reactor including a reaction tank for storing a solution and a plurality of electrodes installed through the reaction tank to generate an electric arc inside the solution; An outlet pipe for supplying the solution heated in the reaction tank to the heat exchanger; A recovery tube for recovering the solution cooled in the heat exchanger to the reaction tank; A housing accommodating the blower, the heat exchanger, the electric arc reaction device, the discharge pipe, and the recovery pipe therein and having an intake port; An external discharge pipe and an external recovery pipe connected to the reaction tank for heating the water stored in the heat storage tank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wherein the solution is, sodium-based ion aqueous solution, yellow soil liquor, acidic ion water solution, carbon aqueous solution, At least one of Mono Ethylene Glycol (MEG) solu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the spring hard wire (SWRH), low alloy high tension steel, corrosion resistance low alloy high tensile steel, high tensile strength carbon steel, silicon carbide It provides a hot water heater comprising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SiC), Kantal, Hastelloy, Inconel, Monel, Tungsten.
상기 나트륨계 이온수용액은, 물과 나트륨화합물을 혼합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물과 나트륨화합물을 중량비 100 : 0.6~0.8 의 범위로 혼합한 것으로서 수소이온농도(PH)가 11.00 ~ 12.70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queous sodium-based aqueous solution is a mixture of water and a sodium compou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xture of water and sodium compounds in a weight ratio of 100: 0.6 ~ 0.8 range of hydrogen ion concentration (PH) of 11.00 ~ 12.70 It may be characterized as a range.
또한 상기 나트륨계 이온수용액은 황토지장수에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PH 11.00 ~ 12.70 의 범위로 제조한 이온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dium-based aqueous solu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ion aqueous solution prepared in the range of PH 11.00 ~ 12.70 by adding sodium hydroxide to the yellow soil longevity.
또한 상기 황토지장수는 물과 황토를 7:3 내지 10:3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으로서 PH 11.00 ~ 11.6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cher longevity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mixture of water and ocher in a weight ratio of 7: 3 to 10: 3 in the range of PH 11.00 ~ 11.60.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아크 반응장치에서 수용액의 내부에 전기 아크가 발생하는 시점부터 소비전력이 급격히 낮아지기 때문에 아주 적은 전력비용으로 대량의 온풍과 온수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전기식이어서 이산화탄소나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wer consumption is sharply lowered from the time when the electric arc occurs inside the aqueous solution in the electric arc reactor, it is possible to produce a large amount of warm air and hot water at a very low power cost.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not emitting carbon dioxide or pollutants as it is electric.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수온풍기(100)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온수온풍기(100)는 하우징(102)의 내부에 설치된 전기아크 반응장치(10), 송풍기(110), 송풍기(110)의 흡입구측에 설치되어 전기아크 반응장치(10)에서 생산된 온수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기(120)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열교환기(120)는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을 하기 위해서 라디에이터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여러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하우징(102)의 하부에는 바퀴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전을 위하여 하우징(102)을 접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mount a wheel under the
또한 하우징(102)에는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흡기구(140)와 송풍기(110)의 토출구에 연결된 송풍배관(150)이 결합된다. 흡기구(140)를 대신하여 하우징(102)에 소정의 흡기배관을 장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전기아크 반응장치(10)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반응탱크(11), 상기 반응탱크(11)의 내부에 저장되는 소정 성분의 수용액(14), 상기 수용액(14)에 일부가 침지된 다수의 전극봉(12)을 포함한다.The
반응탱크(11)는 그 용도에 따라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수 생산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렴한 합성수지 재질이 사용될 수 있고, 증기 생산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압에 대비하여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The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전기아크 반응장치(10)는 수용액(14)의 내부에 전기 아크(arc)를 발생, 유지시킴으로써 종래의 저온전기분해 방식에 비해서 전력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수용액(14)의 내부에 전기 아크가 발생한 이후부터 소비되는 전류량이 급격히 줄어들기 때문이다.In particular, the
한편 반응탱크(11)의 내부에 전기 아크가 발생하면 전극봉(12)에 전기적 충격이 가해지기 때문에 전극봉(12)의 재질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저온 전기분해장치에서 사용되는 전극봉은 주로 구리, 백금 등의 재질인데, 이러한 재질의 전극봉에 상용전원을 인가하여 전기 아크를 발생시키면 전기적 충격으로 인하여 전극봉이 순식간에 파손되어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ctric arc is generated in the
또한 동일한 전극봉(12)이라 하더라도 수용액(14)의 종류에 따라 소손되는 정도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수용액(14)과 전극봉(12)을 적절히 선택하여 조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전기아크 반응장치(10)에 적합한 전극봉(12)의 재질과 수용액(14)의 성분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even in the
이러한 전기아크 반응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20)와 연결되고, 전원공급부(20)의 동작은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된다.The
전원공급부(20)는 전원선을 통해 전극봉(12)의 각 연결단자(13)에 연결되며, AC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고, AD컨버터(미도시)를 통해 변환된 DC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0 may be connected to each
제어부(30)는 반응탱크(11)에 설치된 온도센서(32), 비상용 온도센서(34) 등의 감지결과를 피드백하여 전원공급부(20)의 전원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The
즉, 온도센서(32)의 감지결과를 피드백하여 각 전극봉(12)으로의 전원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수용액(14)의 온도를 목표온도로 유지시킨다.That is, the temperature of the
그 밖에도 제어부(30)에는 비상용 온도센서(34)에서 과열온도를 감지하면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는 비상용 전원차단수단(미도시)을 설치할 수 있다. 제어부(30)의 제어동작에 이용되는 센서는 전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압력센서, 실내온도센서 등도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밖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30)에는 작업자가 시스템의 각종 변수(예, 수용액 목표온도, 실내목표온도, 허용압력 등)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스위치, 버튼, 터치스크린 등)과 비상시에 소정의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또는 발광수단 등이 연결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전기아크 반응장치(10)의 반응탱크(11)에는 내부에서 생산된 고온의 수용액을 열교환기(120)로 공급하는 출수관(17)과,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수용액을 반응탱크(11)로 회수하는 회수관(19)이 연결된다. 출수관(17)에는 역류방지를 위한 체크밸브(18)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출수관(17) 또는 회수관(19)에는 펌프(P1)가 설치된다.In the
송풍기(110)는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를 송풍배관(150)을 통해 외부로 토출시킨다. 열교환기(120)로 유입된 공기는 흡기구(140)를 통해 하우징(102)의 내부로 공급된다.The
또한 전기아크 반응장치(10)의 반응탱크(11)에는 하우징(102)의 외부에 설치된 축열탱크(200)와 연결되는 외부출수관(210)과 외부회수관(220)이 각각 연결된다. 축열탱크(200)에는 가열하고자 하는 물이 저장되며 외부출수관(210)과 외부회수관(220)은 축열탱크(200)의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배관(도면에는 보이지 않음)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열교환배관의 내부에는 반응탱크(11)의 수용액(14)이 순환하게 된다. 외부출수관(210)에는 펌프(P2)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이와 달리 반응탱크(11)의 내부에 열교환배관(도면에는 보이지 않음)을 설치하고, 열교환배관의 내부로 축열탱크(200)의 물을 순환시킬 수도 있다.Alternatively, a heat exchange pipe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side the
또한 반응탱크(11)에는 수용액(14)을 보충하기 위한 수용액보충관(16)이 연결될 수 있고,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벤트(15)가 설치될 수 있으며, 반응탱크(11)의 저부 또는 측면 하단부에는 수용액(14)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밸브를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반응탱크(11)는 하우징(102)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하우징(102)의 바닥에 다수의 지지봉(4)을 설치하고, 지지봉(4)의 상단에 반응탱크(1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반응탱크(11)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전기적 절연을 위하여 지지봉(4)의 하단부와 하우징(102)의 사 이에는 방진절연고무(6)를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수온풍기(100)의 핵심적인 구성요소인 전기아크 반응장치(10)에 사용되는 수용액(14)과 전극봉(12)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다음의 표 1은 본 발명의 전기아크 반응장치(10)에 사용되는 수용액(14)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MEG 용액은 수용액인지 여부에 상관없이 편의상 함께 표시하였다.Table 1 below shows the types of the
[표 1] 수용액의 종류[Table 1] Types of Aqueous Solutions
Kinds
나트륨계
이온수용액
Sodium
Ion Aqueous Solution
(중량비 100: 0.6 ~ 0.8)Water + Sodium Hydroxide (NaOH)
(Weight ratio 100: 0.6-0.8)
(중량비 100: 1: 1.2)Water + Sodium Chloride (NaCl) + Sodium Glutamate
(Weight ratio 100: 1: 1.2)
(중량비 100: 0.6 ~ 0.8)Water + sodium glutamate
(Weight ratio 100: 0.6-0.8)
(중량비 100: 0.6 ~ 0.8)Water + Sodium Nitrate (NaNO 3 )
(Weight ratio 100: 0.6-0.8)
(중량비 100: 0.6 ~ 0.8)Water + Sodium Sulfide (Na 2 S)
(Weight ratio 100: 0.6-0.8)
(중량비 100: 0.6 ~ 0.8)Water + Sodium Sulfate (Na 2 SO 4 )
(Weight ratio 100: 0.6-0.8)
(중량비 100: 0.6 ~ 0.8)Water + Sodium Carbonate (Na 2 CO 3 )
(Weight ratio 100: 0.6-0.8)
(중량비 100: 0.6 ~ 0.8)Water + Sodium Hydrocarbonate (NaHCO 3 )
(Weight ratio 100: 0.6-0.8)
Ocher longevity + sodium hydroxide
Water + loess powder (weight ratio 70:30)
이온수용액acid
Ion Aqueous Solution
Carbon aqueous solution
(중량비 100: 10~20)Water + Carbon (Graphite, Charcoal) Powder
(Weight ratio 100: 10-20)
MEG용액
MEG solution
MEG + sodium ion solution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나트륨계 이온수용액, 황토지장수, 산성이온수용액, 카본수용액, MEG(Mono Ethylene Glycol)용액 등을 반응탱크(11)에 넣고 전극봉(12)간에 아크를 발생시킨다.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dium-based aqueous solution, the yellow soil longevity, the acidic ion water solution, the carbon aqueous solution, the MEG (Mono Ethylene Glycol) solution, etc. are placed in the
나트륨계 이온수용액은 물과 나트륨화합물을 혼합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물과 나트륨화합물을 중량비 100 : 0.6~0.8 의 범위로 혼합하여, 수소이온농도(PH)가 11.00 ~ 12.70 의 범위인 것을 사용한다. Sodium-based aqueous solution is a mixture of water and sodium compound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ixing the water and sodium compounds in a weight ratio of 100: 0.6 ~ 0.8, the hydrogen ion concentration (PH) is in the range of 11.00 ~ 12.70 Use it.
나트륨화합물은 수산화나트륨(NaOH), 글루탐산나트륨, 질산나트륨(NaNO3), 황화나트륨(Na2S), 황산나트륨(Na2SO4), 탄산나트륨(Na2CO3),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밖에도 염화나트륨, 차아황산나트륨, EDTA2나트륨, EDTA2칼슘나트륨, 아황산나트륨, 주석산나트륨, 푸마르산나트륨, L-글루탐산나트륨, 5'이노신산이나트륨, 5'리보뉴크레오티드이나트륨, DL-주석산나트륨, 아질산나트륨, 사카린나트륨, 다하이드로초산나트륨, 안식향산나트륨 등이 사용될 수 있다.Sodium compounds include sodium hydroxide (NaOH), sodium glutamate, sodium nitrate (NaNO 3 ), sodium sulfide (Na 2 S), sodium sulfate (Na 2 SO 4 ), sodium carbonate (Na 2 CO 3 ), sodium bicarbonate (NaHCO 3 ) At least one can be selected. In addition, sodium chloride, sodium hyposulfite, EDTA2 sodium, EDTA2 calcium sodium, sodium sulfite, sodium tartarate, sodium fumarate, sodium L-glutamate, disodium 5'inosuccinate, sodium sodium ribonuate, sodium DL-tartrate, sodium nitrite, saccharin Sodium, sodium polyhydroacetate, sodium benzoate and the like can be used.
다른 실시예로서, 물에 염화나트륨(NaCl)과 글루탐산나트륨을 각각 100: 1: 1.2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PH 11.00 ~ 12.70 의 범위로 제조한 이온수용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an ion aqueous solution prepared in the range of PH 11.00 to 12.70 by mixing sodium chloride (NaCl) and sodium glutamate in a weight ratio of 100: 1: 1.2, respectively, may be used.
또 다른 실시예로서, 황토지장수에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PH 11.00 ~ 12.70 의 범위로 제조한 이온수용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황토지장수는 물에 황토분말을 100 : 20의 중량비로 첨가한 후, 예를 들어 600RPM의 교반기로 약 30분간 교반한 다음 24시간 동안 황토를 침전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된다.As another embodiment, an ion aqueous solution prepared in the range of PH 11.00 to 12.70 by adding sodium hydroxide to ocher longevity may be used. At this time, the ocher jangjang is prepared by adding ocher powder to water in a weight ratio of 100: 20, for example, stirring for about 30 minutes with a stirrer of 600 RPM and then precipitating ocher for 24 hours.
황토지장수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과 황토를 7:3 내지 10: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PH 11.00 ~ 11.60의 범위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only loess longevity is used, it is preferable to mix water and loess at a weight ratio of 7: 3 to 10: 3 to prepare in the range of PH 11.00 to 11.60.
산성이온수용액은 공지된 산성화합물을 이용하여 PH 2.0 ~ 2.5 의 범위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초산, 빙초산, 글루코산, 구연산, 인산, 주석산, 젖산, 아디피산, 푸마르산, 글리산, 글리산, 솔빈산, 디하이드로초산(DHA), 안식향산, 프로피온산, 발효식초, 오렌지액, 레몬액, 사과액, 콜라, 맥주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acidic ion aqueous solution is preferably prepared in the range of PH 2.0 ~ 2.5 using a known acidic compound. For example acetic acid, glacial acetic acid, gluconic acid, citric acid, phosphoric acid, tartaric acid, lactic acid, adipic acid, fumaric acid, glycic acid, glycic acid, sorbic acid, dihydroacetic acid (DHA), benzoic acid, propionic acid, fermented vinegar, orange juice, lemon Liquids, apple liquids, cola, beer and the like can be used.
카본수용액은 물에 흑연, 참숯 등의 카본분말을 100: 10 ~ 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queous carbon solution is preferably prepared by mixing carbon powder such as graphite and charcoal in water at a weight ratio of 100: 10 to 20.
MEG 용액은 MEG에 흑연, 참숯 등의 카본분말을 100: 10 ~ 20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일 수도 있고, MEG에 전술한 나트륨계 이온수용액을 혼합하여 PH 11.00 ~ 12.70 의 범위로 제조된 것일 수도 있다.The MEG solution may be a mixture of carbon powders such as graphite and charcoal in MEG at a weight ratio of 100: 10 to 20, or may be prepared in the range of PH 11.00 to 12.70 by mixing the aforementioned sodium-based aqueous solution with MEG. .
전술한 이온수용액 등에 후술하는 재질의 전극봉(120)을 사용하면, 전기 아크가 발생한 이후에도 반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전극봉(12)의 손상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PH범위가 전술한 기준보다 작은 경우에는 전기저항반응이 약해서 전기 아크가 발생하지 않고, 이보다 큰 경우에는 상용전원(220V, 380V)에서 폭발적인 전기저항반응이 일어나 전극봉(12)의 용융이나 소손이 발생하게 된다.When the
한편 전기아크 반응장치(10)에 사용되는 전극봉(12)의 재질은 스프링용 경강선(SWRH), 저합금 고장력강(Low alloy high tension steel), 부식저항 저합금 고장력강 또는 고장력계 탄소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재질에 니켈, 백금 또는 소정의 합금을 도금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material of the
경강선은 탄소성분이 0.4% ~ 0.96% 함량을 가진 경강선재를 열처리 과정을 거친 후 신선한 선재로서 고인장력을 가지는 특성이 있다. Hard wire is characterized by having high tensile strength as a fresh wire after heat treatment of hard steel wire having a carbon content of 0.4% ~ 0.96%.
저합금 고장력강은 일반 구조용 탄소강(構造用炭素鋼)에 소량의 합금원소를 첨가한 것으로서, 통상 HT(High-Ten)으로 표시되고 인장강도가 50kg/mm2 이상, 항복점이 30kg/mm2 이상이며 내식성, 가공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Low alloy high tensile steel is a small amount of alloying element added to general structural carbon steel, usually expressed as HT (High-Ten), tensile strength is 50kg / mm 2 or more, yield point is 30kg / mm 2 or more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workability.
고장력계 탄소강은 0.2%정도의 탄소를 함유한 탄소강에 규소, 망간, 니켈, 크롬, 구리 등을 첨가한 것으로서 50kg/mm2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진다.High tensile carbon steel is a carbon steel containing about 0.2% of carbon, and includes silicon, manganese, nickel, chromium and copper, and has a tensile strength of 50 kg / mm 2 or more.
다른 실시예로서, 탄화규소(SiC)나 칸탈(kanthal)을 사용할 수도 있고, 하스텔로이(Hastelloy), 인코넬(inconel), 모넬(monel), 텅스텐 등의 특수강봉을 사용할 수 있다. 탄화규소는 열전도도가 크면서도 내용해성, 내용융성, 내산화성이 뛰어난 특성이 있고, 칸탈은 철-크롬-알루미늄의 합금으로서 전열저항 합금중에서 가장 높은 온도에 견디는 특성이 있다. 또한 하스텔로이는 니켈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내산합금이며, 인코넬은 니켈-크롬-철-탄소 등의 합금으로서 내열성이 뛰어난 특성 이 있다.As another embodiment, silicon carbide (SiC) or kanthal may be used, and special steel bars such as Hastelloy, Inconel, Monel, and tungsten may be used. Silicon carbide has high thermal conductivity, but also has excellent solvent resistance, solvent resistance, and oxidation resistance, and Kantal is an iron-chromium-aluminum alloy, which has the highest temperature resistance among heat-resisting alloys. Hastelloy is an acid alloy containing nickel as a main component, and Inconel is an alloy such as nickel-chromium-iron-carbon and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이러한 전극봉(12)은 단상전원에 연결할 경우에는 2개를 사용하고, 3상 전원에 연결할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를 사용할 수 있다. 반응탱크(11)의 용량이 큰 경우에는 2쌍 이상의 전극봉(12)을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단상전원인 경우에는 2n(n은 1 이상의 정수)개의 전극봉(12)이 설치되고, 3상전원인 경우에는 3n(n은 1 이상의 정수)개의 전극봉(12)이 설치된다.Two
또한 전극봉(12)이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반응탱크(11)의 상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반응탱크(11)의 측면부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전극봉(12)과 반응탱크(11)와의 경계부에는 고무패킹 등의 절연성 고정부재가 설치되어야 한다. 특히 금속재질의 반응탱크(1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극봉(12)이 반응탱크(11)와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In addition, since the
반응탱크(10)의 외부로 노출된 전극봉(12)의 단부에는 전원연결을 위한 연결단자(13)가 형성된다. 연결단자(13)에 인가되는 전원은 상용 AC전원일 수도 있고, 직류일 수도 있다.The end of the
이하에서는 도 3의 순서도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수온풍기(100)의 작동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먼저 전술한 성분의 수용액(14)을 반응탱크(11)에 채워 넣고 사용자가 온수온풍기의 작동스위치(미도시)를 누르면 각 전극봉(12)에 전력이 공급되며, 전도성을 띈 수용액(14)이 저항성 발열을 하면서 수용액(14)의 온도가 점차 상승한다. 이 과정에서 인가되는 전류량도 점차 증가한다. (ST11, ST12)First, the
그런데 전술한 성분의 수용액(20)이 약 80℃ 까지 가열되면 각 전극봉(14)의 사이에 전기 아크(arc)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도 4의 사진과 같이 수용액(14)의 내부에 화염구(火焰球)가 발생한다.However, when the aqueous solution 20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 is heated to about 80 ° C., an electric arc is generated between the
특히 아크가 발생한 이후부터는 오히려 소비전력이 감소하기 시작한다.In particular, power consumption begins to decrease after the arc occurs.
즉, 도 4와 같은 용량의 반응탱크(11)에 저장된 수용액(14)을 상온에서 약 80℃까지 상승시키는 과정에서는 소비전류가 최초 약 10A에서 약 50A까지 상승하였으나, 아크가 발생한 이후에는 소비전류가 점차 감소되면서 수용액(14)의 끓는점 부근에서는 약 10A의 수준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at is,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같이 전기아크 반응장치(10)를 온수발생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수용액(14)의 목표온도를 끓기 직전의 온도인 약 95℃ 내지 99℃ 의 수준으로 설정해 두면 된다. 전극봉을 이용하는 종래 방식에 의하면 오랜 시간 가열하여도 아크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전류량이 감소하는 현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ST13, ST14)Therefore, when the
반응탱크(11)의 수용액이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제어부(30)는 펌프(P1)와 송풍기(110)를 작동시킨다. 출수관(17)을 통해 압송된 고온의 수용액은 열교환기(120)를 거치면서 냉각된 후 회수관(19)을 통해 반응탱크(11)로 회수된다. 이 과정에서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가 송풍배관(150)을 통해 외부로 송출된다. (ST15)When the aqueous solution of the
만일 축열탱크(200)에 저장된 물을 목표온도로 가열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제어부(30)는 축열탱크(200)에 설치된 온도센서(미도시)의 검출결과를 피드백하여 펌프(P2)를 제어한다. 즉, 축열탱크(200)의 온수가 목표온도에 미달하면 펌프(P2)를 동작시켜서 축열탱크(20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고,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펌프(P2)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If it is set to heat the water stored in the
실험에 따르면 축열탱크(200)에 약 14℃의 냉수를 571리터 채운 상태에서 전기아크 반응장치(10)의 3개의 전극봉(12)에 380V 상용전원(R,S,T)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약 60분 만에 축열탱크(200)의 물이 82℃까지 가열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온수온풍기(100)가 대량의 온풍과 온수를 동시에 생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ST16)According to the experiment, th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제1 실시예는 반응탱크(11)에서 생산된 온수를 열교환기(120)로 공급하는 구성인데 반하여, 제2 실시예는 반응탱크(11)에서 생산된 고온의 증기를 열교환기(120)로 공급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The firs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supply hot water produced in the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수온풍기(100)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하우징(102)의 내부에 전기아크 반응장치(10), 송풍기(110), 열교환기(120) 등이 설치되고, 외부 축열탱크(200)와의 열교환을 위하여 반응탱크(11)에 외부출수관(210)과 외부회수관(220)이 연결되는 점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수온풍기(100)는 반응탱크(11)에 열교환기(120)로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공급관(21)과 응축수를 회수하는 응축수회수관(22)이 연결된 점에 차이가 있다. However, the hot water warmer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응축수회수관(22)에는 응축수를 반응탱크(11)로 압송하는 펌프(P3)가 설치된다. 응축수회수관(22)을 직접 반응탱크(11)에 연결하는 대신, 반응탱크(11)로 수용액을 보충하기 위하여 설치된 수용액 저장탱크(도 6의 40)에 응축수회수관(22)을 연결할 수도 있다.The
한편 열교환기(22)의 출구에는 응축수를 일시 저장하는 트랩(130)을 설치하고, 응축수회수관(22)을 상기 트랩(130)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트랩(130)에는 소정의 수위센서를 설치하여 응축수가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제어부(30)가 펌프(P3)를 작동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a
제2실시예에서는 반응탱크(11)의 내부에서 고온의 증기를 생성되고, 생성된 증기는 자체 압력에 의해 열교환기(120)로 이동하게 된다. 다만 고압의 증기를 생성해서 외부로 배출시키기 때문에 단순히 온수를 생산하여 순환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전기아크 반응장치(10)의 구성이 다소 복잡해 질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high temperature steam is generated inside the
도 6의 구성도와 도 7의 제품사시도는 증기 생산용으로 설계된 전기아크 반응장치(100)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roduct of FIG. 7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n
이에 따르면 반응탱크(11)의 상부에는 증기배출관(28)이 일단이 연결되고 증기배출관(28)의 타단은 증기공급관(21)에 연결된다. 증기배출관(28)이 연결되는 연 결노드(N)를 중심으로 증기공급관(21)의 일 측에는 기액분리기(60)가 설치되고, 증기공급관(21)의 타 측에는 수위조절탱크(50)와 증기공급관(21)을 연결하는 압력피드백관(62)이 연결된다.Accordingly, one end of the
기액분리기(60)는 배출된 증기에 포함된 액체를 분리하는 역할을 하며, 분리된 액체는 액체회수관(61)을 통해 트랩(80)으로 보내지고, 트랩(80)에서 다시 수용액저장탱크(40)로 보내진다. 액체회수관(61)에는 역류방지를 위한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as-
압력피드백관(62)은 수위조절탱크(50)와 반응탱크(11)의 내부압력을 동일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수위조절탱크(50)의 수위를 통해 반응탱크(11) 내부의 수위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수위조절탱크(50)에는 수위센서(51)가 설치되며, 제어부(30)가 수위센서(51)의 검출결과를 피드백하여 펌프(P4)를 제어함으로써 반응탱크(11)의 내부로 수용액을 보충할 수 있다.The
증기공급관(21)에는 각종밸브(91,92)가 설치되며, 특히 과도압력시에 안전을 위하여 오픈되는 안전밸브(93)가 설치되어야 한다. 그밖에도 증기공급관(21)에는 압력게이지(94), 온도게이지(95), 이상압력게이지(96), 절연플랜지(97)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수용액저장탱크(40)에 저장된 수용액은 펌프(P4)를 통해 반응탱크(11)의 내부로 공급되며, 펌프(P4)와 반응탱크(11)를 연결하는 수용액보충관(16)에는 역류방지를 위한 체크밸브(98)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펌프(P4)와 수용액저장탱크(40)를 연결하는 파이프에는 이물질 제거를 위한 스트레이나(99)를 설치할 수 있 다.The aqueous solution stored in the aqueous
전술한 액체회수관(61), 압력피드백관(62), 수용액보충관(16) 등은 플렉시블(flexible) 호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The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수온풍기(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어부(30)에 설정된 수용액의 목표온도가 끓는점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작동스위치를 온(ON)시키면 수용액이 약 80℃ 에 도달한 이후부터 반응탱크(11)의 내부에 전기 아크가 발생하고 이후 수용액 끓으면서 대량의 증기가 발생하게 된다.In order to use the
생성된 증기는 증기공급관(21)을 거쳐 열교환기(120)로 공급되고,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면서 응축되어 트랩(130)에 저장된다. The generated steam is supplied to the
제어부(30)는 반응탱크(11)에 설치된 압력센서 또는 온도센서의 검출결과를 피드백하여 설정된 압력 또는 온도에 도달하면 송풍기(110)를 작동시킨다. 열교환기(120)에 온도센서 등을 설치하여 이의 검출결과를 피드백하여 송풍기(1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가 송풍배관(150)을 통해 외부로 송출된다.The
또한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면서 생성된 응축수가 트랩(130)에 소정 수위 이상으로 채워지면 펌프(P3)를 동작시켜 응축수를 반응탱크(11) 또는 수용액 저장탱크(40)로 회수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수온풍기(100)는 전기아크 반응장치(10)의 반응탱크(11)에서 가열된 수용액과의 열교환을 통해 온풍을 생산하는 한편 축열탱크(200)에 저장된 물을 가열시킨다.The hot water warm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s hot air through heat exchange with an aqueous solution heated in the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수온풍기(100)는 반응탱크(11)에서 생산된 증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온풍을 생산하는 한편 반응탱크(11)에서 가열된 수용액을 이용하여 축열탱크(20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한다.In addition, the hot water warmer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produces hot air through heat exchange with steam produced in the
그런데 이와 같이 하나의 반응탱크(11)에서 가열된 수용액 또는 증기를 이용하여 열교환기(110) 및 축열탱크(200)와 동시에 열교환을 수행하면 반응탱크(11)의 수용액(14)의 온도손실이 커져서 안정적인 전기아크 반응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However, when the heat exchange i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제3 실시예는 이에 대비한 것으로서, 수용액을 끓는 점 이하로 가열하는 제1 전기아크 반응장치(10a)와 증기를 생산하는 제2 전기아크 반응장치(10b)를 구비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제1 및 제2 전기아크 반응장치(10a,10b)의 구성은 각각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The third embodiment, in contrast, has a first
제1 전기아크 반응장치(10a)의 반응탱크(11)에는 출수관(17)의 일단이 연결되고, 출수관(17)의 타단은 제2 전기아크 반응장치(10b)의 반응탱크에 연결된다. 출수관(17)에는 펌프(P5)와 역류방지를 위한 체크밸브(18)가 설치된다.One end of the
또한 제1 전기아크 반응장치(10a)의 반응탱크(11)에는 외부출수관(210)과 외부회수관(220)의 각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외부출수관(210)과 외부회수관(220)의 각 타단은 외부의 축열탱크(200)에 설치된 열교환배관(미도시)에 연결된다.In addition, each end of the
제2 전기아크 반응장치(10b)의 반응탱크(11)에는 증기공급관(21)의 일단이 연결되며, 증기공급관(21)의 타단은 송풍기(110)의 입구측에 설치된 열교환기(120)의 일단에 연결된다. One end of the
또한 열교환기(120)의 타단에는 응축수를 일시 저장하는 트랩(130)이 설치되고, 응축수회수관(22)이 트랩(130)과 제1 전기아크 반응장치(10a)의 반응탱크(11)에 연결된다. 응축수회수관(22)의 일단을 제1 전기아크 반응장치(10a)의 반응탱크(11)에 연결하는 대신 별도의 수용액 저장탱크에 연결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따라서 제1 전기아크 반응장치(10a)의 반응탱크(11)에서 가열된 수용액(11)은 출수관(17)을 통해 제2 전기아크 반응장치(10b)의 반응탱크(11)로 공급되고, 제2 전기아크 반응장치(10a)의 반응탱크(11)에서 생산된 증기는 증기공급관(21)을 통해 열교환기(120)로 공급된다.Therefore, the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응축수는 펌프(P3)의 작동에 의해 제1 전기아크 반응장치(10a)의 반응탱크(11) 또는 미도시된 수용액 저장탱크로 회수된다.The condensed water condensed while passing through the
한편 축열탱크(20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해야 하는 경우에는 펌프(P2)가 작동하여 제1 전기아크 반응장치(10a)의 반응탱크(11)에서 가열된 수용액을 축열탱크(200)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배관(미도시)을 통해 순환시킨다.Meanwhile,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modified or modified in various forms. By the way, if the embodiment modified or modified as described also includes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of course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수온풍기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hot water hea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전기아크 반응장치의 전원연결 구성도2 is a power connection diagram of the electric arc reactor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수온풍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흐름도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ot 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반응탱크의 내부에 전기 아크가 발생한 모습을 나타낸 사진Figure 4 is a photograph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electric arc inside the reaction tank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수온풍기의 구성도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rm water hea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수온풍기에 사용되는 전기아크 반응장치의 구성도 및 제품 사시도6 and 7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roduct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arc reactor used in the hot 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온수온풍기의 구성도8 is a block diagram of a warm water heat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전기아크 반응장치 11: 반응탱크10: electric arc reactor 11: reaction tank
12: 전극봉 13: 연결단자12: electrode 13: connecting terminal
14: 수용액 16: 수용액보충관14: aqueous solution 16: aqueous solution
17: 출수관 19: 회수관17: exit pipe 19: recovery pipe
20: 전원공급부 21: 증기공급관20: power supply 21: steam supply pipe
22: 응축수회수관 30: 제어부22: condensate recovery pipe 30: control unit
40: 수용액 저장탱크 50: 수위조절탱크40: aqueous solution storage tank 50: water level control tank
60: 기액분리기 80: 트랩60: gas-liquid separator 80: trap
91,92: 밸브 93: 안전밸브91, 92: valve 93: safety valve
94: 압력게이지 100: 온수온풍기94: pressure gauge 100: hot water heater
102: 하우징 110: 송풍기102: housing 110: blower
120: 열교환기 130: 트랩120: heat exchanger 130: trap
140: 흡기구 150: 송풍배관140: intake vent 150: blowing piping
200: 축열탱크 210: 외부출수관200: heat storage tank 210: external water pipe
220: 외부회수관220: external recovery pipe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8545A KR101129532B1 (en) | 2009-12-02 | 2009-12-02 | Hot air blower combined with boiler using electric arc reactor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8545A KR101129532B1 (en) | 2009-12-02 | 2009-12-02 | Hot air blower combined with boiler using electric arc reactor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1986A KR20110061986A (en) | 2011-06-10 |
KR101129532B1 true KR101129532B1 (en) | 2012-03-29 |
Family
ID=44396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8545A KR101129532B1 (en) | 2009-12-02 | 2009-12-02 | Hot air blower combined with boiler using electric arc reactor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29532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8694B1 (en) | 2013-02-04 | 2014-06-17 | 주식회사 브이비엠 | Heating system using heater for ion-electrode |
KR101467400B1 (en) * | 2013-02-04 | 2014-12-10 | 주식회사 브이비엠 | Heating device using heater for ion-electrode |
CN110332595A (en) * | 2019-06-05 | 2019-10-15 | 北京航天控制仪器研究所 | A kind of automatic control hold over system of combination distributed optical fiber temperature measurement hos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3358Y1 (en) * | 2015-09-17 | 2017-05-08 | 김용수 | The heater |
CN108844053B (en) * | 2018-05-18 | 2019-09-17 | 河南科技大学 | A kind of fire tube waste heat boiler being able to ascend utilization rate of waste heat |
KR102475593B1 (en) * | 2018-11-02 | 2022-12-08 | 김노을 | Heating system and vehicle having the same |
KR102197715B1 (en) * | 2018-11-02 | 2020-12-31 | 김노을 | Heating system and vehicle having the same |
CN110006022B (en) * | 2019-05-14 | 2024-01-05 | 山东北辰机电设备股份有限公司 | High-voltage electrode boiler |
KR102310938B1 (en) * | 2021-01-15 | 2021-10-08 | 조행훈 | Hot-air blower with all heat circulation structure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2986B1 (en) | 2002-08-16 | 2004-08-04 | 김정옥 | The boiler using of carbon heat medium and the control method |
-
2009
- 2009-12-02 KR KR1020090118545A patent/KR10112953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2986B1 (en) | 2002-08-16 | 2004-08-04 | 김정옥 | The boiler using of carbon heat medium and the control method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8694B1 (en) | 2013-02-04 | 2014-06-17 | 주식회사 브이비엠 | Heating system using heater for ion-electrode |
KR101467400B1 (en) * | 2013-02-04 | 2014-12-10 | 주식회사 브이비엠 | Heating device using heater for ion-electrode |
CN110332595A (en) * | 2019-06-05 | 2019-10-15 | 北京航天控制仪器研究所 | A kind of automatic control hold over system of combination distributed optical fiber temperature measurement hos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1986A (en) | 2011-06-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9532B1 (en) | Hot air blower combined with boiler using electric arc reactor device | |
KR20100057481A (en) | Boiler system using electric arc reactor device | |
US6740436B2 (en) | Hydrogen/oxygen generating system with temperature control | |
US5094734A (en) | Water treatment unit | |
TW406140B (en) | Electrolytic cell for producing a mixed oxidant gas | |
US20090074389A1 (en) | Heater device and related method for generating heat | |
KR20110109398A (en) | Highly efficient sodium hypochlorite generator with heat exchanger | |
CA2648480A1 (en) | Household appliances which utilize an electrolyzer and electrolyzer that may be used therein | |
KR101146762B1 (en) | A production device of Sodium Hypochlorite | |
US20110180396A1 (en) | Hydrogen generator system for a catalytic hydrogen burner | |
JP6065237B2 (en) | Steam generation system | |
KR200417036Y1 (en) | Sodium Hypochloride Generating System Having Soft water Temperature Controller. | |
CN112853388A (en) |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electrolyte waste heat for power generation using organic rankine cycle | |
KR101714587B1 (en) | High-Efficiency On-Site Device for Production of Sodium Hypochlorite | |
CN113969409B (en) | Hydrogen and oxygen production system | |
US20060291822A1 (en) | Sheldon electro-matrix core | |
KR20110097465A (en) | Electric arc reactor device, electric boiler system using the same and electrode bar assembly for the same | |
JP4599487B2 (en) | Water-cooled vertical electrolytic cell | |
US7171111B2 (en) | Method of heating water with rod shaped electrodes in a two-dimensional matrix | |
US7764869B2 (en) | Heater apparatus | |
KR20110051178A (en) | Electric arc reactor device and method of generating hot water or vapor using the same | |
CN214664525U (en) | Boiler flue gas heat recovery unit | |
JPS5829175Y2 (en) | Header of electrolytic cell | |
CN2496880Y (en) | Hydrogen and oxygen preparation apparatus by electrolysis of water | |
EP0615003A1 (en) | Alkali metal hypochlorite generation-storage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