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490B1 - Method for generating pedestrian network using existing spatial datasets - Google Patents

Method for generating pedestrian network using existing spatial datase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490B1
KR101129490B1 KR1020100071998A KR20100071998A KR101129490B1 KR 101129490 B1 KR101129490 B1 KR 101129490B1 KR 1020100071998 A KR1020100071998 A KR 1020100071998A KR 20100071998 A KR20100071998 A KR 20100071998A KR 101129490 B1 KR101129490 B1 KR 101129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network
road
spatial information
pedestr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9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10452A (en
Inventor
유기윤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71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490B1/en
Publication of KR20120010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4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4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63Structures of map data
    • G01C21/387Organisation of map data, e.g. version management or database structures
    • G01C21/3878Hierarchical structures, e.g. lay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3Labelling using text of road map data items, e.g. road names, POI nam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활용한 보행자 네트워크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a) 기 구축된 제1 공간정보가 입력자료로 메인 메모리에 입력되고, 메인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상기 기 구축된 제1 공간정보에서 1단계 보행 공간이 추출되는 단계와; (b) 기 구축된 제2 공간정보가 입력자료로 메인 메모리에 입력되고, 메인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상기 기 구축된 제2 공간정보에서 2단계 보행 공간이 추출되는 단계와; (c) 상기 단계(a)에서 추출된 보행 공간에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있는 메인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이용한 선형화를 통하여 1등급 기본 네트워크가 생성되는 단계와; (d) 상기 단계(b)에서 추출된 보행 공간에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있는 메인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이용한 선형화를 통하여 2등급 기본 네트워크가 생성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c)와 (d)에서의 기본 네트워크와 출입구 레이어에서 추출된 출입구 정보를 병합하여 PNS에서 활용할 수 있는 노드-링크의 네트워크 구조가 메인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생성되는 단계로 구성됨으로써, 보행자 네트워크를 구축함에 있어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네트워크 생성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구축비용도 절감하여 보다 정밀한 네트워크 생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generating a pedestrian network using pre-built spatial information, wherein (a) the pre-built first spatial information is input to the main memory as input data, and the pre-built system is stored using a program in the main memory. Extracting a one-step walking space from one spatial information; (b) inputting pre-built second spatial information into the main memory as input data, and extracting a two-step walking space from the pre-built second spatial information using a program in the main memory; (c) generating a first-class basic network through linearization using a program in a main memory including a skeleton algorithm in the walking space extracted in step (a); (d) generating a class 2 basic network through linearization using a program in a main memory including a skeleton algorithm in the walking space extracted in step (b); and (e) step (c). In step (d), the network structure of the node-link that can be utilized in the PNS by merging the gateway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basic network and the gateway layer is generated by using a program in the main memory, thereby constructing a pedestrian network. It not only facilitates network creation 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but also reduces construction costs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more precise network creation.

Description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활용한 보행자 네트워크 생성방법 {Method for generating pedestrian network using existing spatial datasets}Method for generating pedestrian network using existing spatial information {Method for generating pedestrian network using existing spatial datasets}

본 발명은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활용한 보행자 네트워크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가에서 제공하는 공간정보인 수치지도와 도로명주소 기본도 또는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지도 및 항공사진, 위성영상 등을 바탕으로 보행 공간을 추출하고, 추출된 보행 공간에 두 단계 선형화 과정을 수행하여 보행자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generating a pedestrian network using pre-established spatial informa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umerical map, a road name address base map or an internet map, an aerial photograph, satellite image,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generating a pedestrian network by extracting a pedestrian space and performing a two-step linearization process on the extracted pedestrian space.

일반적으로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의 대표적인 서비스(killer application)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차량용 내비게이션(Car Navigation System: 이하 'CNS'라 함)은 도로중심선을 바탕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이용한 최단경로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휴대용인터넷 와이브로(WiBro), 무선랜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환경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넷북(Netbook), 스마트폰(Smart Phone), GPS(Global Position System) 수신이 가능한 핸드폰 등 휴대용 장비(device)의 발달로 차량 내부에서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내비게이션의 사용이 용이해졌다.In general, the Car Navigation System (CNS), which is widely used as a killer application of Location Based Service, provides drivers with the shortest route using a network based on a road center line. Providing. Recently, however, wireless network environments such as WiBro and Wi-Fi, as well a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Netbook, Smart Phone, and GPS (Global Position System) are received. The development of portab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has made it easy to use the navigation not only inside the vehicle but also from the outside.

그러나 현재 CNS는 도로중심선을 따라 자동차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바탕으로 최단경로를 제공하고 있으나, 보행자는 자동차와 달리 이동이 자유로와 도로중심선만으로 이루어진 CNS의 네트워크를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는 보행자를 위한 새로운 네트워크 정보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However, at present, the CNS provides the shortest path based on the network information on the space where the car can move along the road center line.However, unlike cars, pedestrians have limitations in using the CNS network, which is free to move and only the road center line. . This means that new network information for pedestrians is needed.

보행자의 이동 특성을 고려한 네트워크와 관련된 연구는 크게 2가지, 노드-링크 그래프 구조와 비 그래프 구조로 나눌 수 있다. 먼저, 그래프 구조의 경우 CNS의 네트워크에 보행자의 이동이 가능한 객체(Object)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거나 스페이스 신택스(Space Syntax)를 활용하여 보행자의 이동특성을 고려한 네트워크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비 그래프구조로 보행자는 도로중심선을 따라 이동하지 않고, 기존의 그래프 구조의 구축 및 갱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선과 면을 이용한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Ota(2004)는 도심지는 2차원의 복합객체(면)로 외곽지나 소로(narrow alleys)는 1차원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Tang and Pun-Cheng(2004)은 대부분의 GIS 상용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중심선 자동생성 과정은 정교한 정보를 생성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귀찮은 일이라고 주장한다. 이에 공간에 대하여 보행이 가능하다고 정의되는 공간객체(도로, 인도, 도로로 둘러싸인 블록(block))는 면으로 도로에서의 제한적인 보행 공간(육교, 횡단보도)이나 보행 가능한 객체(계단)는 선으로 구조화하였다. Walter et al.(2006)은 넓은 지역의 벡터자료를 오직 도로에 대해서만 유용하고 보행자나 도로로 둘러싸인 블록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며 래스터 자료로 도심지나 블록을 모델링하였다. 그러나 선과 면을 고려한 네트워크, 즉 비 그래프 구조에서 방향을 나타내는 선이나 중심선 등을 생성하여 경로를 탐색한다.The research related to the network considering the pedestrian movement characteristic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the node-link graph structure and the non-graph structure. First, in the case of a graph structure, information about an object that can be moved by a pedestrian is added to a CNS network, or a network that considers a pedestrian's movement characteristics is created by using a space syntax. Next, we propose a network using lines and plan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onstructing and updating existing graph structures without moving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road. Ota (2004) is a two-dimensional complex (surface) in the downtown area, and narrow alleys in one dimension. Tang and Pun-Cheng (2004) argue that the centerline auto-generation process provided by most GIS commercial programs is limited to generating sophisticated information and is time-consuming and cumbersome. Therefore, a space object (a block surrounded by roads, sidewalks, and roads) that is defined as being able to walk with respect to a space is a face, and a limited pedestrian space (passage, crosswalk) or a walkable object (stair) on a road is a line. Structured. Walter et al. (2006) modeled urban areas or blocks with raster data, saying that large area vector data is useful only for roads and not for blocks surrounded by pedestrians or roads. However, the path is searched by creating a line or a center line indicating a direction in a network considering a line and a face, that is, a non-graph structure.

기본적으로 벡터구조의 자료가 래스터자료 구조보다 많은 속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최단경로를 탐색할 수 있어 전자의 경우가 보행자 내비게이션 시스템(Pedestrian Navigation System : 이하 'PNS'라 함)에서 활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 일례로 최근 미국의 내비게이션 지도 제작회사인 나브텍(NAVTEQ)에서는 북미지역에 대하여 기존의 차량용 네트워크에 인도, 공원, 육교(overpasses), 보행가능 지역(auto-free pedestrian zones) 등의 정보를 추가한 보행자용 지도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노키아 Ovi Maps3.0으로 상용화하여 노키아 휴대폰에 무료로 다운받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와 인터넷사이트 Ovi Maps (http://maps.ovi.com)를 통하여 도보 시 최단경로를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인터넷 Ovi Maps에서 서비스 되는 경로탐색의 예로, 미국 텍사스 샌안토니오의 Institute of Texan Cultures에서 Fairchild Park까지의 경로를 드라이브와 도보 옵션으로 각각 탐색하였다. 도 1(a)는 드라이브 옵션으로 탐색된 경로이며, 도 1(b)는 도보 옵션으로 제공되는 경로로, 횡단보도 정보가 추가되어 서로 상이한 경로가 제공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Basically, the vector data can contain more properties than the raster data structure. Based on this, the shortest path can be searched, so the former is used in the Pedestrian Navigation System (PNS). It is a situation. For example, in recent years, the US navigation mapping company, Navtek, has added information about vehicles, such as India, parks, overpasses, and auto-free pedestrian zones, to North America. A pedestrian map was created and commercialized as Nokia Ovi Maps3.0, which can be downloaded for free on Nokia mobile phones and the shortest path when walking through the Internet site Ovi Maps (http://maps.ovi.com). Providing. Figure 1 is an example of the route search service on the Internet Ovi Maps, the route from the Institute of Texan Cultures in San Antonio, Texas, USA to the Fairchild Park was explored by the drive and walking options respectively. FIG. 1 (a) shows a route searched with a drive option, and FIG. 1 (b) shows a route provided with a walking option, and crosswalk information is added to provide a different route.

이처럼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보행자를 위한 네트워크는 도로중심선을 중심으로 주요도로와 이 주요도로를 가로지르는 보행 공간 즉, 횡단보도, 육교, 지하도 등의 정보를 추가하여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 말하면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고려한 후에 이를 반영한 네트워크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있다.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보행자 네트워크는 주요도로 위주로 구축되어 있어 건물 주변까지만 경로탐색이 제공되고 있거나 CNS의 도로중심선을 그대로 활용하고 횡단보도와 육교만을 추가하여 보행자의 자유로운 이동특성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The current network for pedestrians is being provided by adding information on the main road and pedestrian spaces that cross the main roads, such as pedestrian crossings, overpasses, and underpasses. In other words, after considering the space for pedestrians to move, the network is created and provided. The pedestrian network currently being serviced is built around the main roads, so the route search is provided only to the periphery of the building.

따라서, CNS의 도로중심선이나 주요도로 위주의 네트워크가 아니라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 즉, 인도, 횡단보도 뿐만 아니라 도로로 둘러싸인 블록 내의 보행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반영이 요구된다. 또한 향후 보행자를 위한 네트워크는 개별 건물의 출입구를 통하여 건물 출입구까지의 경로뿐만 아니라 출입구를 통하여 건물 내부의 네트워크까지 연계된 PNS가 제공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flect not only the CNS road center line or the main road-oriented network but also the space where pedestrians can move, that is, sidewalks and crosswalks, as well as spaces that can be walked in blocks surrounded by roads. In addition, the network for pedestrians in the future will need to provide a PNS linked to the network inside the building through the entrance as well as the path to the building entrance through the entrance of the individual building.

그러나 이들 보행자를 위한 객체를 조사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 일례로 구글(Google)의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2006년 한해에만 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비용에 1.9억불, 2007년에는 24억불로 우리나라 돈 2.4조원을 투자하였다. 상기 비용이 모두 네트워크 구축비용은 아니지만 데이터를 구축 및 관리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이 요구되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time and money are required to construct a network by examining objects for these pedestrians. For example, according to Google's performance report, Korea invested 2.4 trillion won in 2006, $ 1.9 billion in data center construction and operation costs, and $ 2.4 billion in 2007. Although the above costs are not all network building costs, it shows simply that high costs are required to build and manage dat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자동으로 보행자 네트워크 데이터를 구축함으로써 구축에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네트워크 생성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구축비용도 절감하여 보다 정밀한 네트워크 생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한 보행자 네트워크 생성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uild a pedestrian network data automatically by using the already built spatial information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construction to facilitate network creation In addition, it provides a pedestrian network generation method tha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more precise network creation by reducing construction cost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 기 구축된 제1 공간정보가 입력자료로 메인 메모리에 입력되고, 메인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상기 기 구축된 제1 공간정보에서 1단계 주요도로 주변의 선형화를 위한 보행 공간이 추출되는 단계와;(a) pre-built first spatial information is input to the main memory as input data, and a pedestrian space for linearization around the main road is extracted from the pre-built first spatial information using a program in the main memory; Wow;

(b) 기 구축된 제2 공간정보가 입력자료로 메인 메모리에 입력되고, 메인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상기 기 구축된 제2 공간정보에서 2단계 구축 대상지역의 주요도로로 둘러싸인 블록 내 보행 공간의 선형화를 위한 보행 공간이 추출되는 단계와;(b) Linearization of the pedestrian space in the block surrounded by the main road of the second-stage construction target area from the pre-built second spatial information by using the program in the main memory as input data to the main memory as input data. Extracting a walking space for;

(c) 상기 단계(a)에서 추출된 보행 공간에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있는 메인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이용한 선형화를 통하여 1등급 기본 네트워크가 생성되는 단계와;(c) generating a first-class basic network through linearization using a program in a main memory including a skeleton algorithm in the walking space extracted in step (a);

(d) 상기 단계(b)에서 추출된 보행 공간에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있는 메인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이용한 선형화를 통하여 2등급 기본 네트워크가 생성되는 단계, 및(d) generating a second-class basic network through linearization using a program in main memory including a skeleton algorithm in the walking space extracted in step (b); and

(e) 상기 단계(c)와 (d)에서의 기본 네트워크와 출입구 레이어에서 추출된 출입구 정보를 병합하여 PNS에서 활용할 수 있는 노드-링크의 네트워크 구조가 메인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생성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본 특징으로 한다.
(e) merging the basic network and the gateway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gateway layer in steps (c) and (d) to generate a node-link network structure that can be utilized in the PNS using a program in the main memory. It is the basic characteristic to become.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인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활용한 보행자 네트워크 생성방법은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자동으로 보행자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구축에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네트워크 생성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구축비용도 절감하여 보다 정밀한 네트워크 생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며, 보행자 네트워크의 출입구 노드에 내부 환경의 네트워크를 연계하면 외부 환경뿐 아니라 내부 환경에서도 PNS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edestrian network generation method using the pre-built spatial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not only facilitates network creation by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construction by automatically constructing a pedestrian network using the pre-built spatial information.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creating more precise network by reducing construction cost, and by connecting the internal network to the entrance node of the pedestrian network, it is possible to provide PNS not only in the external environment but also in the internal environment.

도 1 은 현재 인터넷사이트(http://maps.ovi.com)에서 제공중인 보행자 경로탐색서비스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2 는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보행자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기 구축된 공간정보 중 하나인 수치지도의 지형지물 분류체계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1단계 주요도로 주변의 선형화를 위한 보행 공간 생성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도면.
도 5 는 1단계 주요도로 주변의 선형화를 위한 보행 공간 생성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6 은 2단계 구축 대상지역의 주요도로로 둘러싸인 블록 내의 선형화를 위한 보행 공간 생성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도면.
도 7 은 2단계 구축 대상지역의 주요도로로 둘러싸인 블록 내의 선형화를 위한 보행 공간 생성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8 은 1단계 주요도로 주변의 보행 공간의 선형화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9 는 2단계 구축 대상지역의 주요도로로 둘러싸인 블록 내의 보행 공간의 선형화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10 은 보행자 네트워크를 생성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11 은 보행자 네트워크를 생성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12 및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적용하여 단계별로 생성된 결과물을 예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screen of a pedestrian route search service currently provided by the Internet site (http://maps.ovi.com).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pedestrian network using pre-built spatial informa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eature classification system of a digital map, which is one of prebuilt spatial informa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generation of a pedestrian space for linearization around a main stage 1 road.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edestrian space generation for linearization around a main stage 1 road; FIG.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of generating a pedestrian space for linearization in a block surrounded by a main road of a two-step construction target area; FIG.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generation of a pedestrian space for linearization in a block surrounded by a main road of a two-stage construction target area;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linearization of the walking space around the main road of the first stage.
Fig. 9 is a flowchart showing the linearization of pedestrian spaces within blocks surrounded by main roads of the two-stage construction target area.
10 shows a flowchart for creating a pedestrian network.
11 shows a detailed flowchart for creating a pedestrian network.
12 and 13 illustrate the results generated step by step by apply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2는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보행자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전체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보행 공간(walking space)을 국가기본도인 수치지도와 행정안전부에서 무료로 제공하고 있는 도로명주소 기본도 등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분석하여 1단계 선형화를 위한 보행 공간을 추출(S10)한다. 다음으로 보행 공간을 국가기본도인 수치지도와 행정안전부에서 무료로 제공하고 있는 도로명주소 기본도 등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분석하여 2단계 선형화를 위한 보행 공간을 추출(S20)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S10)에서 추출된 1단계 선형화를 위한 보행 공간에 대해서 1단계 주요도로 주변의 선형화를 수행하여 1등급 기본 네트워크를 생성(S30)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S20)에서 추출된 2단계 선형화를 위한 보행 공간에 대해서 2단계 블록 내의 선형화를 수행하여 2등급 기본 네트워크를 생성(S40)한다. 마지막으로 상기(S30, S40)에서 생성된 기본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최단경로탐색 서비스를 위한 자료 즉, 보행자 네트워크를 생성(S50)하는 단계이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verall process of generating a pedestrian network by using previously constructed spatial information. As shown in FIG. 2, first, a walking space is provided free of charge by the national map and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e pedestrian space for the linearization of the first stage is extracted by analyzing the spatial information, such as the basic road map of the name of the road (S10). Next, it analyzes the spatial information, such as the digital map of the national basic map and the road name address basic map provid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for free, to extract the pedestrian space for two-step linearization (S20). Subsequently, linearization around the main stage of the first stage is performed on the walking space for the linearization of the first stage, which is extracted in step S10, to generate a first-class basic network (S30). Subsequently, linearization is performed in the two-stage block with respect to the walking space for the two-stage linearization extracted in S20 to generate a second-class basic network (S40). Finally, based on the basic networks generated at S30 and S40, data for the shortest path search service, ie, a pedestrian network, is generated (S50).

보행 공간을 기 구축된 공간정보에서 추출하기 전에 보행 공간에 대한 정의와 기 구축된 공간정보에서 획득 가능한 보행 공간의 정보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먼저 선행연구 및 이미 서비스되고 있는 PNS를 바탕으로 보행 공간을 분석하고, 보행자 네트워크를 생성하기 위하여 분석된 항목의 예를 다음의 표 1에 도시하였다.
Before extracting pedestrian space from the pre-built spatial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definition of the pedestrian space and the information of the pedestrian space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built spatial information. Therefore, first, the analysis of the walking space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already serviced PNS, and an example of the analyzed items to create a pedestrian network are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112010048190153-pat00001
Figure 112010048190153-pat00001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선행연구와 서비스되고 있는 보행자 경로탐색 서비스를 통하여 보행자가 이동을 할 수 있는 공간과 보행자가 이동을 할 수 없는 공간, 즉 장애물로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각각에 포함되는 세부적인 공간객체를 살펴보면,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에는 인도, 산책로, 자전거도로, 광장, 다리(육교), 횡단보도, 지하도, 공원, 보행 공간, 건물 출입구, 계단이 포함된다. 보행자가 이동할 수 없는 공간 즉, 장애물은 건물, 도로, 산, 하천/호수가 포함되며, 이때 건물 내부는 보행이 가능한 공간이나 건물 자체는 보행자가 돌아가야 하는 장애물이며, 도로의 경우도 보행자가 다닐 수 있는 공간(인도, 횡단보도, 지하도, 육교 등)이 정해져 있고, 나머지 공간은 주로 자동차가 이동하는 공간으로 보행자가 이동을 할 수 없는 공간이다.As shown in Table 1 above, the pedestrian path search service that is provided in the previous research and servic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space in which a pedestrian can move and a space in which a pedestrian cannot move, that is, an obstacle. Looking at the detailed spatial objects included in each, pedestrians can include sidewalks, walkways, bicycle paths, squares, bridges (pedestrian bridges), pedestrian crossings, underpasses, parks, pedestrian spaces, building entrances, and stairs. Spaces that cannot be moved by pedestrians, such as obstacles, include buildings, roads, mountains, and rivers / lakes.In this case, the space inside the building is a walking space, but the building itself is an obstacle for pedestrians to go around. There is a space (india, pedestrian crossing, underpass, overpass, etc.), and the rest of the space is mainly a space where cars move, and pedestrians cannot move.

이렇게 분석된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현재 기 구축된 공간정보에 구축되어 관리되는지 여부를 분석하여 해당 데이터(레이어)를 활용하여 보행 공간을 추출(S10, S20)해야 한다.The pedestrians analyzed in this way should be analyzed whether or not the space that can be moved is built and managed in the existing spatial information, and should use the corresponding data (layer) to extract the walking space (S10, S20).

먼저,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기 구축된 공간정보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작하고 판매하는 국가기본도인 수치지도와 행정안전부에서 도로명주소 관리를 목적으로 구축한 도로명주소 기본도를 주로 활용하였으며, 기타 인터넷 포털사이트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다.First, the pre-established spatial information to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used the digital map, which is a national base map produced and sold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nd the road name address basic map built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for the purpose of managing road name addresses. Target data from internet portal sites.

국가기본도인 수치지도는 수치지도 작성 작업 규칙에 근거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1:1,000과 1:5,000 그리고 1:25,000의 축척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수치지도 지형지물 분류체계로, 축척에 관계없이 교통, 건물, 시설물, 식생, 수계지형, 경계, 주기 등 8개의 대분류로 분류하고 하부에 동일한 성격의 지형지물을 소분류로 분류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분류 교통의 경우는 도로경계, 도로중심선, 인도(보도), 횡단보도, 안전지대, 육교, 교량, 교차로, 입체교차부, 인터체인지, 터널, 터널입구, 정거장 등 22개의 지형지물이 포함된다. 이들 소분류에 포함되는 지형지물은 각각에 대하여 하나의 레이어로 구축되며 공간정보(벡터자료구조)와 속성정보가 연계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로중심선 레이어에 도로중심선이 그려져 있으면, 해당 도로중심선에는 도로번호, 도로의 명칭, 도로의 구분, 도로의 시점과 종점, 포장재질, 분리대 유?무, 차로수, 도로폭, 일방통행 관련 정보 등의 속성정보가 연결되어 있다. 수치지도 지형지물에는 A, B, …, H 등과 같이 대분류는 알파벳 한 글자로, 소분류는 숫자 3자리(001-999)로 고유번호가 할당되어 있다.The digital map, which is the national base map, is produced based on the numerical mapping rules and consists of scales of 1: 1,000, 1: 5,000 and 1: 25,000. 3 is a digital map feature classification system, which is classified into eight major categories such as traffic, buildings, facilities, vegetation, aquatic landforms, boundaries, and cycles regardless of the scale, and the features of the same characteristics are classified into subclasses below. For example, in the case of large-scale traffic, 22 features such as road boundaries, road center lines, sidewalks, crosswalks, safety zones, overpasses, bridges, intersections, solid intersections, interchanges, tunnels, tunnel entrances, and stops Included. The features included in these subcategories are constructed in one layer for each, and spatial information (vector data structure) and attribute information are linked. For example, if a road center line is drawn in the road center line layer, the road center line contains the road number, the name of the road, the classification of the road,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road, the pavement material, the presence and absence of lanes, the number of lanes, the width of the road, and the one-way road. Attribute information such as related information is linked. Digital map features include A, B,... Major classifications are one letter of the alphabet, such as H, and small classifications are assigned a unique number with three digits (001-999).

행정안전부의 도로명주소 기본도는 새주소를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축된 공간정보로, 한 달 주기로 갱신되고 있으며 현재 자료 신청인에게 무료로 배포하고 있다. 도로명주소 기본도는 수치지도와 같은 분류체계는 가지고 있지 않고, 공간객체별로 해당 레이어에 공간정보와 속성정보가 연계되어 있으며, 도로명주소를 관리하기 위한 부가적인 속성정보는 별도의 테이블로 관리되고 있다. 예를 들어 건물 레이어의 경우는 각 건물의 공간정보에 건물관리번호, 도로구간관리번호, 건물군관리번호, 도로명관리번호, 지하여부, 건물번호 본번과 부번, 건물명, 상세건물명, 건물상태, 건물용도코드, 지상 및 지하 층수 등의 속성정보가 연계되어 관리되고 있다. 구축되어 있는 공간정보는 실폭도로, 도로구간, 도로구간이력, 도로명판, 기초구간, 건물, 건물이력, 건물군, 출입구, 연결선, 지하철선로, 철도선로, 교량, 공원, 하천?호수, 터널, 지하철역사, 지하철출입구, 철도역사, 기타표지판 등이 포함된다.The road name address map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s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ed for the purpose of managing the new address. It is updated every month and is currently distributed free of charge to applicants. The road name address base map does not have a classification system like a digital map, and spatial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are linked to the corresponding layer for each spatial object, and additional attribute information for managing road name addresses is managed in a separate table. . For example, in case of building layer, the building management number, road section management number, building group management number, road name management number, underground part, building number main and minor, building name, detailed building name, building status, building Attribute information such as application codes, ground and underground levels is linked and managed. The constructed spatial information includes the actual road, road section, road section history, road nameplate, base section, building, building history, building group, entrance, connecting line, subway line, railway line, bridge, park, river, lake, tunnel , Subway stations, subway gates, railway stations, and other signs.

다음의 표 2에 보행 공간과 보행할 수 없는 공간(장애물)을 바탕으로 기 구축된 공간정보 별로 해당되는 레이어를 분석하였다.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인 인도, 산책로, 자전거도로, 광장, 다리(육교), 횡단보도, 지하도, 공원, 보행 공간, 건물 출입구, 계단 중에서 현재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기 구축된 공간정보에는 인도, 다리(육교), 횡단보도, 지하도, 공원, 건물 출입구 등에 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으며, 장애물은 건물, 도로, 산, 하천/호수를 모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장애물에 추가적으로 성, 지하철 선로, 철도선로, 터널 정보를 추가하였다. 도시 내에 존재하는 성은 보행을 할 수 없는 공간이며, 지상에 존재하는 지하철과 철도선로 또한 장애물이다. 터널의 경우는 도로가 그 내부로 지나가는 구조로 보행을 할 수 없는 장애물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특이한 경우로 수치지도에는 산(경계 정보)이나 공원에 대한 정보가 구축되어 있지 않으며, 도로명주소 기본도에는 보행 공간이 포함된 공원과 장애물인 산 경계가 공원 레이어에 함께 관리되고 있다.
In the following Table 2, the corresponding layers were analyzed for each pre-established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the pedestrian space and the non-walkable space (obstacles). India, promenade, bicycle path, plaza, bridge (viaduct), crosswalk, underpass, park, pedestrian space, building entrance, stairs, etc., which can be moved by pedestrians Information on bridges, viaducts, pedestrian crossings, underpasses, parks, and entrances to buildings can be used. Obstacles can utilize buildings, roads, mountains, and rivers / lake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tle, subway line, railway line, and tunnel information are added to the obstacle. Castles in the city are not pedestrian spaces, and underground subway and rail lines are also obstacles. In the case of tunnels, roads are classified as obstacles that cannot be walked due to the structure passing by them. In an unusual case, however, information on mountains (boundary information) or parks is not constructed in the digital map, and the park boundary containing the pedestrian space and mountain boundaries are managed in the park layer.

Figure 112010048190153-pat00002
Figure 112010048190153-pat00002

기 구축된 공간정보에는 중복으로 관리되는 레이어가 존재하며, 이들 공간정보의 구축된 시기가 상이하다. 수치지도는 5년 주기로 갱신이 되고 있으며, 수치지도 1:1,000과 1:5,000 또한 구축된 시기가 상이하다. 도로명주소 기본도는 앞에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한 달 단위로 갱신이 되고 있다.There is a layer managed in duplicate in the previously constructed spatial information, and the construction time of these spatial information is different. The digital maps are updated every five years, and the digital maps 1: 1,000 and 1: 5,000 were also constructed differently. As mentioned above, the road name address base map is updated on a monthly basi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로명주소 기본도를 근간으로 하여 수치지도에 추가적인 정보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도로명주소 기본도는 건물단위의 새주소 관리를 목적으로 함으로서 건물과 관련된 정보는 최신의 정보가 관리된다고 볼 수 있으나, 도로의 경우는 주요하게 관리되는 공간객체가 아니다. 이에 도로와 관련된 정보는 가장 최근에 구축된 국가기본도인 1:5,000 수치지도를 활용한다. 또한 보행자가 도로에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인 횡단보도는 1:1,000 수치지도에만 구축되어 있어 해당 정보는 1:1,000 수치지도를 활용한다. 다음의 표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최종적인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정리하여 도시한 예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approach in a manner of utiliz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digital map based on the road name address base map. The road name address base map is for the purpose of managing the new address of the building unit, so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building can be regarded as the latest information. However, the road is not the main managed spatial object. The road-related information uses the 1: 5,000 numerical map, which is the most recent national base map. In addition, crosswalks, which are spaces for pedestrians to move on the road, are built only on 1: 1,000 digital maps. Table 3 below is an example showing the final pre-built spatial informa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2010048190153-pat00003
Figure 112010048190153-pat00003

보행 공간을 최대한 실세계를 반영할 수 있는 수준으로 획득해야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으로 양질의 보행자 네트워크가 생성될 수 있다. 두 단계의 선형화(1단계: 주요도로 주변의 선형화, 2단계: 블록 단위의 선형화)를 위하여 보행 공간도 이에 맞게 보행 공간을 추출한다. 1단계 주요도로 주변의 선형화는 구축 대상 지역의 주요도로 주변의 보행 공간인 인도와 도로에서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는 횡단보도와 육교를 추출하고, 2단계 블록 단위의 선형화를 위하여 주요도로로 둘러싸인 블록 내에서 보행 공간을 추출한다.
A pedestrian network of good quality can be generated by the method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only when the walking space is obtained at a level that can reflect the real world as much as possible. Pedestrian space is also extracted accordingly for two stages of linearization (step 1: linearization around the main road and step 2: linearization of blocks). Linearization around the first stage main road extracts pedestrian crossings and overpasses for pedestrians from sidewalks and roads, which are the pedestrian spaces around the main road in the construction area, and within the block surrounded by the main road for linearization of the second stage block unit. Extract the walking space.

1. 1단계 주요도로 주변의 선형화를 위한 보행 공간 추출(1. Extraction of pedestrian space for linearization around the first stage main road ( S10S10 ))

도 4는 1단계 주요도로 주변의 선형화를 위한 보행 공간 추출(S10)에 대한 개념도로, 1단계에서는 주요도로의 양안에 있는 인도와 주요도로를 가로지르는 횡단보도와 육교와 관련된 기본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것이 목적으로, 주요도로(1)에서 횡단보도와 육교가 겹치는 부분을 제거(2)하고, 실제 도로 폭에서 인도 폭을 뺀 만큼만 새롭게 도로경계로 정의한다. 이 도로경계는 보행자가 다닐 수 없는 공간 즉, 장애물로 주요도로 장애물(3)이라 한다. 다음으로 도곽 레이어에 일정거리 만큼 버퍼를 수행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할 넓은 도곽 레이어를 생성(4)하고, 넓은 도곽 레이어에서 주요도로 경계(주요도로의 도로 폭)를 제거(5)한다. 최종적으로 주요도로의 도로 폭이 제거된 영역(5)에 주요도로 장애물(3)을 병합함으로써, 인도 폭 만큼의 차이와 횡단보도와 육교가 제거된 보행 공간(흰색)이 생기며, 선형화가 수행되는 공간(6)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pedestrian space extraction (S10) for linearization around the main road in step 1, and in the first step, a basic network related to pedestrian crossings and viaducts crossing both main roads and main roads in both sides of the main road is generated. For this purpose, it removes the part where the pedestrian crossing and the pedestrian bridge overlaps on the main road (1) and newly defines the road boundary as much as the road width is subtracted from the actual road width. This road boundary is called a main road obstacle (3) as a space, that is, an obstacle that pedestrians cannot travel. Next, buffer the contour layer by a certain distance to generate a wide contour layer to apply the metho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4), and remove the main road boundary (road width of the main road) from the large contour layer (5) do. Finally, by merging the main road obstacles 3 into the area 5 in which the road width of the main road has been removed, a difference in the width of the sidewalk and a walking space (white) in which pedestrian crossings and overpasses are removed, and linearization is performed Space (6).

도 5는 1단계 주요도로 주변의 선형화를 위한 보행 공간 추출(S10)을 위한 흐름도로, 1단계에서 사용되는 입력자료인 기 구축된 제1 공간정보는 수치지도(1:5,000)의 도로중심선 레이어(100), 도로경계 레이어(200), 수치지도(1:1,000)의 도곽 레이어(300), 수치지도(1:1,000)의 횡단보도 레이어(400)와 수치지도(1:5,000)의 육교 레이어(500)로 이는 메인 메모리에 입력된다. 여기서, 도곽 레이어(300)는 수치지도에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단위(mesh)로 우리나라 전체는 여러 장의 도곽으로 나누어 공간정보가 관리된다.5 is a flowchart for extracting a walking space (S10) for linearization around a main road in step 1, wherein the first spatial information, which is input data used in step 1, is a road center line layer of a digital map (1: 5,000). 100, the road boundary layer 200, the contour layer 300 of the numerical map (1: 1,000), the crosswalk layer 400 of the numerical map (1: 1,000) and the viaduct layer of the numerical map (1: 5,000) At 500 it is entered into the main memory. Here, the contour layer 300 is a mesh that manages data in a digital map, and the whole of Korea is divided into several maps to manage spatial information.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제16조(보도) 3항에 보도의 유효 폭은 최소 2m 이상, 불가피한 경우 1.5m 이상으로 할 수 있다고 나와 있으며, 『도시계획시설의 결정?구축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제9조(도로구분) 1. 다. 보행자전용도로에는 폭 1.5m 이상의 도로로 보행자전용도로를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인도의 설치에 대해서는 보행자의 안전과 자동차 등의 원활한 통행을 고려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인도가 설치되어야 하는 도로 폭이나 최소로 요구되는 차선 수 등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1단계에서 주요도로라 함은 도로명 주소에서 정의하고 있는 대로와 로(路)의 기준 즉, 도로 폭이 12m 이상(S111)인 도로로 정의한다.Article 16 (Pressure) of the Rules on Structural and Facility Standards of Roads states that the effective width of sidewalks can be at least 2 m, and inevitably 1.5 m or more. Rule on Installation Standards Article 9 (Road Classification) Pedestrian-only roads are defined as pedestrian-only roads with a width of 1.5m or more. However, for the installation of India, it is installed in consideration of the safety of pedestrians and smooth traffic such as cars, and the criteria for the road width and the minimum number of required lanes are not clear. Therefore, in the first step, the main road is defined as the road name address and road standard, that is, a road having a road width of 12 m or more (S111).

이렇게 하여 도로중심선 레이어(100)에서 도로 폭이 12m 이상인 주요도로 중심선(1800)을 추출(S112)하고, 주요도로 중심선(1800, S112)과 중첩되는 주요도로 경계(2500, S113)를 도로경계 레이어(200)에서 추출한다.In this way, the main road centerline 1800 having a road width of 12 m or more is extracted from the road center line layer 100 (S112), and the main road boundary lines 2500 and S113 overlapping the main road centerlines 1800 and S112 are road boundary layers. Extract at 200.

주요도로 중심선(S112)에서 수치지도(1:1,000)의 횡단보도 레이어(400)와 수치지도(1:5,000)의 육교 레이어(500)에서 횡단보도와 육교 정보를 획득하여 병합(merge)(S114)한 후에 주요도로 중심선에서 횡단보도와 육교를 제거(S115)한다. 횡단보도와 육교는 보행자가 이동이 가능한 공간으로, 장애물이 아니기 때문에 주요도로 중심선에서 제거하게 된다. 상기(S115)에서 생성된 주요도로 중심선에 실제 도로 폭에서 양쪽의 인도 폭 만큼을 뺀 거리로 버퍼(buffer)를 수행(S116)하여 주요도로 장애물을 생성한다.In the main road center line (S112), the crosswalk layer 400 of the digital map (1: 1,000) and the pedestrian crossing layer 500 of the digital map (1: 5,000) are acquired and merged (Merge) (S114). After removing the crosswalk and the viaduct from the main line of the main road (S115). Pedestrian crossings and overpasses are spaces for pedestrians to move around, and are not obstructions. A main road obstacle is generated by performing a buffer (S116) at a distanc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width of both sidewalks from the actual road width to the main road centerline generated in S115.

선형화 과정(S30, S40)에서 적용될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은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영역(부분 영역)의 경계 부근에서 Y자 모양으로 생성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보행 공간을 선형화할 때, 이를 수행하는 장비(컴퓨터)의 한계로, 전체 영역을 부분 영역으로 잘라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을 적용하게 되므로, 부분 영역별로 스켈레톤(skeleton)에 의해 생성되는 선형이 부분 영역의 경계에서도 직선으로 생성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한 부분 영역을 1:1,000 수치지도의 도곽 경계로 하나, 앞에서 언급한 문제(부분 영역의 경계에서 Y자 모양으로 선형이 생성되는 것)를 해결하기 위하여 1:1,000 수치지도의 도곽 경계보다 넓은 영역을 생성하여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선형화를 수행한 후, 생성된 스켈레톤(skeleton) 선형을 1:1,000 수치지도의 도곽 경계로 잘라냄으로써 즉, 부분 영역 경계에서 Y자 모양으로 생성된 선형을 잘라냄으로써,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에 1:1,000 수치지도의 도곽 레이어(300)에 일정거리만큼 버퍼를 적용(S117)하여 실제 도곽 레이어(300)보다 넓은 도곽 레이어(1700)를 생성(S118)한다.Skeleton algorithm to be applied in the linearization process (S30, S4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Y-shape generated near the boundary of the region (partial region) to which the algorithm is applied. However, when linearizing the walking spac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equipment (computer) to do this, the entire region is cut into partial regions and the skeleton algorithm is applied, so the linear lines generated by the skeleton for each partial region are partial. It should also be created in a straight line at the boundary of the area.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al region for applying a skeleton algorithm is defined as a contour boundary of a 1: 1,000 digital map, and solves the above-mentioned problem (a linear shape is generated at the boundary of the partial region in a Y shape). In order to perform linearization by applying a skeleton algorithm by creating an area wider than the contour boundary of the 1: 1,000 digital map, cut out the generated skeleton alignment into the contour boundary of the 1: 1,000 digital map. We try to solve the problem of the skeleton algorithm by cutting out the Y-shaped alignment at the partial region boundary. The buffer is applied to the contour layer 300 of the 1: 1,000 numerical map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117) to generate a contour layer 1700 that is wider than the actual contour layer 300 (S118).

주요도로 경계(2500, S113)를 넓은 도곽 레이어에서 제거함(S118)으로써 실제 도로 폭 만큼이 제거된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S116)에서 생성된 주요도로 장애물을 병합(S119)하여 주요도로 양안의 보행 공간인 인도와 주요도로를 가로지르는 횡단보도와 육교를 생성한다.By removing the main road boundary (2500, S113) from the wide contour layer (S118) to create a region removed by the actual road width, merge the main road obstacles generated in the above (S116) (S119) of both main roads Create pedestrian crossings and viaducts across India's pedestrian spaces and main roads.

한편, 상기 1단계 주요도로 주변의 선형화를 위한 보행 공간 추출(S10)과정은 이를 컴퓨터로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언어를 통해 직접 알고리즘을 코딩하여 메인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상용 소프트웨어인 아크지아이에스(ArcGIS) 모델러를 통해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walk space extraction (S10) process for linearization around the main road of the first step is performed by a program stored in the main memory by coding an algorithm directly through a programming language in order to perform this by a computer, or ARGIS, which is commercial software. This is done through the (ArcGIS) modeler.

2. 2단계 구축 대상지역의 주요도로로 둘러싸인 블록 내에서 보행 공간의 선형화를 위한 보행 공간 추출(2. Extraction of pedestrian space for linearization of pedestrian space in the block surrounded by main roads S20S20 ))

도 6은 2단계 구축 대상지역의 주요도로로 둘러싸인 블록 내에서 보행 공간의 선형화를 위한 보행 공간 추출(S20)에 대한 개념도로, 2단계는 블록 내의 보행 공간을 추출하는 것이 목적으로, 주요도로 중심선(1)에서 일정거리만큼 버퍼를 수행(2)하여 넓은 도곽 레이어(실제 1:1,000 수치지도 도곽 레이어보다 넓은 범위)에서 제거함으로써, 넓은 블록을 생성(3)한다.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pedestrian space extraction (S20) for linearizing pedestrian spaces within a block surrounded by main roads of a two-step construction target area, and the second step is to extract pedestrian spaces within a block. In step 1), buffers are perform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2) to remove them from the wide contour layer (a wider range than the actual 1: 1,000 numerical map contour layer), thereby generating a wide block (3).

다음으로, 건물군, 건물, 하천/호수 등의 레이어를 중첩하여 장애물 레이어를 생성(4)한다. 이렇게 생성된 장애물 레이어(4)를 상기에서 생성한 넓은 블록(3)에서 제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블록 내의 보행 공간(파란색)을 생성(5)한다.Next, an obstacle layer is generated (4) by overlapping layers such as a building group, a building, and a river / lake. The obstacle layer 4 thus generated is removed from the wide block 3 generated above to finally generate a walking space (blue) in the block (5).

도 7은 2단계 구축 대상지역의 주요도로로 둘러싸인 블록 내 보행 공간의 선형화를 위한 보행 공간 추출에 대한 흐름도로, 입력자료인 기 구축된 제2 공간정보는 수치지도(1:5,000)의 성 레이어(1100), 도로명주소 기본도의 건물군 레이어(600), 공원 레이어(700), 건물 레이어(800), 지하철선로 레이어(900), 철도선로 레이어(1000), 하천/호수 레이어(1200), 철도역사 레이어(1300), 지하철역사 레이어(1400)가 필요한데, 이는 메인 메모리에 입력된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extraction of a walking space for linearization of a walking space in a block surrounded by a main road of a two-step construction target region. The second spatial information, which is an input data, is a castle layer (1: 5,000) of a numerical map (1: 5,000). 1100), building group layer 600 of road name address base map, park layer 700, building layer 800, subway line layer 900, railway line layer 1000, river / lake layer 1200, railway History layer 1300 and subway station layer 1400 are required, which are input into the main memory.

또한 1단계 선형화에서 생성된 넓은 도곽 레이어(1700), 주요도로 중심선 레이어(1800)가 요구되며,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항공사진이나 위성영상에서 추출된 아파트나 학교, 공공기관과 같은 건물군 및 공원 내부에 있는 내부도로 레이어(1600)가 사용된다.In addition, a wide contour layer (1700) and a main road centerline layer (1800) generated in the first stage linearization are required, and buildings and parks such as apartments, schools, and public institutions extracted from aerial photographs or satellite images provided on the Internet are required. An inner road layer 1600 is used.

주요도로 중심선 레이어(1800)에서 일정거리만큼 버퍼를 적용(S211)하여, 넓은 도곽 레이어(1700)에서 제거(S212)한다. 그 결과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이 적용될 넓은 블록 레이어가 생성된다.The buffer is applied to the main road centerline layer 18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211), and then removed from the wide outline layer 1700 (S212). The result is a wide block layer to which the skeleton algorithm will be applied.

건물군 및 공원의 내부도로 레이어(1600)는 건물군과 공원의 내부에 존재하는 건물이나 건물군 등을 제거하고, 보행할 수 있는 내부도로만을 추출한 레이어이다. 내부도로 레이어(1600)는 보행할 수 있는 도로이므로, 장애물을 생성할 때 내부도로 레이어가 존재하는 건물군이나 공원은 제외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건물과 건물군 중에서 공원 안에 존재하는 건물군은 장애물로 고려하지 않았으며, 내부도로(1600)와 중첩되는 공원 레이어도 장애물로 고려하지 않았다. 즉, 이미 건물군과 공원은 보행 공간인 내부도로 레이어(1600)가 사용되므로 내부도로가 있는 공원과 공원 레이어와 겹치는 건물이나 건물군은 장애물로 고려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건물군 레이어(600)와 공원 레이어(700)를 중첩하여 공원 위에 있는 건물군을 삭제(S213)한다.The inner road layer 1600 of the building group and the park is a layer which extracts only an inner road that can remove the building group or the building group existing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group and the park. Since the inner road layer 1600 is a walkable road, a building group or a park in which the inner road layer exists when the obstacle is generated should be excluded. For this purpose, the building group existing in the park among buildings and building groups was not considered as an obstacle, and the park layer overlapping with the inner road 1600 was not considered as an obstacle. That is, since the building group and the park already use the inner road layer 1600 as a walking space, the building or the building group overlapping the park and the park layer having the inner road need not be considered as an obstacle. Therefore, the building group on the park is deleted by overlapping the building group layer 600 and the park layer 700 (S213).

상기에서 생성된 건물군(S213)을 지나는 보행할 수 있는 공간인 주요도로(1800)나 내부도로(1600)를 제거(erase)하여 최종적인 건물군 레이어(2100,S214)로 한다. 도로명주소 기본도와 1:5,000 수치지도의 구축 및 갱신 시기가 상이하여 도로 위에 건물이 지나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건물 레이어(800)가 주요도로(1800) 위에 존재하는 경우는 제거(S216)한다.The main road 1800 or the inner road 1600, which is a space for walking through the building group S213 generated above, is removed to form final building group layers 2100 and S214. It is often the case that buildings pass on the road because the base of the road name address and the 1: 5,000 digital map are different. Therefore, if the building layer 800 is present on the main road 1800 is removed (S216).

또한 공원 레이어와 겹치는 건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생성된 공원 안에 있는 건물군이 삭제(S214)된 최종 건물군(2100)에 포함되는 건물을 삭제(S217)하여 최종적인 건물 레이어(2200)를 생성한다.Also, in order to remove the building overlapping the park layer, the building included in the final building group 2100 in which the building group in the park generated above is deleted (S214) is deleted (S217) to generate the final building layer 2200. do.

도로명주소 기본도의 지하철선로 레이어(900), 철도선로 레이어(1000), 1:5,000 수치지도의 성 레이어(1100)에는 일정거리만큼 버퍼를 적용(S218)하여, 각 레이어별로 임의의 경계정보를 생성한다.A buffer is applied to the subway line layer 900 of the road name address base map, the railway line layer 1000, and the castle layer 1100 of the 1: 5,000 numerical map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218), and arbitrary boundary information is applied to each layer. Create

다음으로 상기 단계에서 생성된 장애물 즉, 건물군을 지나는 주요도로(1800) 및 내부도로(1600)를 제거(S214)하여 생성된 최종 건물군 레이어(2100), 공원 내의 내부도로를 제거(S215)하여 생성된 최종 공원 레이어, 공원 안에 존재하지 않고 보행 공간이 제거된 건물군(2100) 내 건물을 삭제(S217)하여 생성된 최종 건물 레이어(2200), 버퍼가 적용(S218)된 지하철선로, 철도선로, 성 레이어, 그리고 하천/호수 레이어(1200), 철도역사 레이어(1300), 지하철 역사 레이어(1400)를 병합하여 블록 내의 장애물을 생성(S219)한다. 이렇게 생성된 장애물을 상기(S212)에서 생성된 넓은 블록에서 제거(S220)하여 넓은 블록 내의 보행 공간을 생성한다.Next, the final building group layer 2100 generated by removing the main road 1800 and the internal road 1600 passing through the obstacles generated in the step, that is, the building group (S214), and removing the internal road in the park (S215). The final park layer generated by deleting the building in the building group (2100), the pedestrian space is not present in the park, the final building layer (2200), buffer applied (S218) subway line, railway The obstacles in the block are generated by merging the track, the castle layer, the river / lake layer 1200, the railway station layer 1300, and the subway station layer 1400 (S219). The obstacle thus generated is removed from the wide block generated in S212 to generate a walking space in the wide block.

또한, 상기 2단계 구축 대상지역의 주요도로로 둘러싸인 블록 내 보행 공간의 선형화를 위한 보행 공간 추출(S20)과정도 이를 컴퓨터로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언어를 통해 직접 알고리즘을 코딩하여 메인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상용 소프트웨어인 아크지아이에스(ArcGIS) 모델러를 통해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pedestrian space extraction (S20) process for linearizing the pedestrian space in the block surrounded by the main road of the second stage construction target area is performed by a program stored in the main memory by coding an algorithm directly through a programming language to perform this by a computer. Or through the commercial software ArcGIS modeler.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S10, S20)에서 생성된 보행 공간에 대하여 두 단계에 걸친 선형화(1단계: 주요도로 주변의 선형화, 2단계: 블록 단위의 선형화)를 수행하여 보행자 네트워크 생성을 위한 기본 네트워크를 생성(S30, S40)하는 단계이다.Meanwhile, hereinafter, the linear network for generating the pedestrian network is performed by performing linearization in two steps (step 1: linearization around the main road and step 2: block linearization) on the walking space generated in S10 and S20. To generate (S30, S40).

두 단계로 나누어 이루어지는 기본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과정으로서, 1단계 주요도로 주변의 선형화는 상기(S10)에서 생성된 주요도로 주변의 보행 공간인 인도와 횡단보도와 육교에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선형화시키는 과정이고, 2단계는 상기(S20)에서 생성된 주요도로로 둘러싸인 블록 내에서 보행 공간에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선형화시키는 과정이다. 본 발명에서 보행 공간에서 선형을 생성하기 위하여 적용된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은 세선화(thinning)의 한 기법으로 이진영상(binary image)에서 대상 영역(foreground)의 경계에서부터 안쪽으로 침식하면서 대상 영역 가운데 픽셀이 한 줄이 남을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알고리즘으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영역의 경계에서 Y자 모양의 선형이 생기고, 특히 교차점(junction)에서 왜곡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래스터 영상에서 선형을 추출할 때 널리 사용되는 알고리즘 중에 하나이다.
As a process of creating a basic network divided into two stages, linearization around the main road in the first step is performed by applying a skeleton algorithm to sidewalks, pedestrian crossings, and overpasses, which are the pedestrian spaces around the main road generated in S10. The linearization process is performed, and the second step is a linearization process by applying a skeleton algorithm to the walking space in the block surrounded by the main road generated in S20. In the present invention, a skeleton algorithm applied to generate a linear shape in a walking space is a thinning technique, which erodes inward from the boundary of the foreground background in a binary image, while the center pixel of the target area is eroded. As described above, the algorithm is repeatedly performed until one line remains. As described above, a Y-shaped linearity occurs at the boundary of the region, and in particular, distortion occurs at the junction. Nevertheless, it is one of the widely used algorithms for extracting linearity from raster images.

3. 1단계 주요도로 주변의 보행 공간의 선형화(3. Linearization of pedestrian space around the first stage main road ( S30S30 ))

도 8은 1단계 주요도로 주변의 선형화(S30)에 대한 흐름도로, 상기(S10)에서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이 대상 영역의 경계에서 Y자 모양의 선형이 생성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실제 대상 영역보다 더 넓은 영역에 대하여 보행 공간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보행 공간(1900)에 대하여 보행 가능 여부(S311)에 따라 보행 공간은 0(S313), 그렇지 않고 장애물인 공간은 NODATA(S312)를 할당하여 픽셀크기 1m인 이진영상(binary image)을 생성한다. 1m는 보행자의 어깨너비로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는 최소 공간으로 볼 수 있으며, 보행 공간(0)에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을 적용(S314)하여 보행 공간을 선형화시킨다.FIG. 8 is a flowchart of linearization around the main road of step 1 (S30). In S10, the skeleton algorithm considers a case where a Y-shaped linear is generated at the boundary of the target area, and thus, the actual target area. Create walking space for a wider area. The walk space is 0 (S313) according to whether the walking space 1900 is generated or not (S313). Otherwise, the obstacle space is allocated NODATA (S312) to obtain a binary image having a pixel size of 1m. Create 1m can be seen as the minimum space that the pedestrian can move to the shoulder width of the pedestrian, and the walking space is linearized by applying a skeleton algorithm (S314) to the walking space (0).

따라서 네트워크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래스터 구조인 선형을 벡터구조로 변환(S315)한다. 이 때, 교차로에는 한 개의 교차점이 생성되어야 하지만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선형화한 경우는 한 개가 아닌 여러 개의 교차점이 생성이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교차로에 여러 개의 교차점이 생성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형의 각 세그먼트(점과 점으로 연결된 선, 즉 선분) 중에서 임계치(픽셀크기)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S316)하여, 임계치보다 작은 세그먼트는 제거(S317)하고, 상기 단계(S317)에서 임계치보다 작아 제거된 세그먼트를 병합(integrate)(S318)하여 연결된 노드-링크 구조의 네트워크를 생성한다.Therefore, in order to generate a network, a linear raster structure is converted into a vector structure (S315). At this time, one intersection should be generated at the intersection, but when linearized by applying the skeleton algorithm, a problem arises in that several intersections are created instead of on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multiple intersections are generated at the intersec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each of the linear segments (a line connected to the point, that is, a line segment) is smaller than a threshold (pixel size) (S316). In operation S317, the segment that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is integrated in operation S317, in operation S318, to generate a network of connected node-link structures.

상기 단계(S318)에서 벡터 구조로 변환된 선형에 선형 데이터에 많이 적용되는 더글라스-퓨커(Douglas-Peucker)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선형 단순화를 수행(S319)하여, 생성된 선형 중간에 존재하는 불필요한 절점(vertex)을 제거한다. 이렇게 하여 최종적으로 도로 등급이 1등급인 기본 네트워크 데이터(2300)가 생성(S320)된다.In operation S318, linear simplification is performed by applying a Douglas-Peucker algorithm, which is frequently applied to linear data, to an alignment converted into a vector structure (S319), and unnecessary nodes existing in the middle of the generated linear ( vertex). In this way, basic network data 2300 having a road grade of 1 is finally generated (S320).

한편, 상기 1단계 주요도로 주변의 선형화(S30)과정은 이를 컴퓨터로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언어를 통해 직접 알고리즘을 코딩하여 메인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상용 소프트웨어인 아크지아이에스(ArcGIS) 모델러를 통해 이루어진다.
In the meantime, the linearization (S30) process around the main road in step 1 is performed by a program stored in the main memory by coding an algorithm directly through a programming language to perform this by a computer, or by using an arcGIS modeler, which is commercial software. Is done through.

4. 2단계 구축 대상지역의 주요도로로 둘러싸인 블록 내의 보행 공간의 선형화(4. Linearization of pedestrian space in the block surrounded by main roads S40S40 ))

도 9는 2단계 블록 내 보행 공간의 선형화(S40)에 대한 흐름도로, 상기(S20)에서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이 대상 영역의 경계에서 Y자 모양의 선형이 생성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실제 대상 영역보다 더 넓은 영역에 대하여 보행 공간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S20)단계에서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이 블록 경계에서 Y자 모양의 선형이 생성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실제 블록 경계보다 더 넓은 블록에서 보행 공간을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도로경계 레이어(200)를 넓은 도곽 레이어(1700)에서 제거함으로써 실제 도로로 둘러싸인 블록의 경계 레이어(S411)를 생성한다. 실제 도로로 둘러싸인 블록의 경계 레이어(S411)는 2단계 블록 내 선형화 과정 중 넓은 블록 경계(S212)에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넓은 블록 경계에 생성된 Y자 모양의 왜곡된 선형이 실제 블록 경계(S411)만큼만 잘라냄(clip)으로써, 블록 경계에 생성된 Y자 모양의 왜곡된 선형을 제거하는데 활용된다.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linearization of a walking space in a two-stage block (S40). In S20, the skeleton algorithm considers a case where a Y-shaped linear is generated at the boundary of the target area. Create walking space for an area wider than the area. In addition, in step S20, the skeleton algorithm generates a walking space in a block wider than the actual block boundary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a Y-shaped linear is generated at the block boundary. For this purpose, the boundary layer S411 of the block surrounded by the actual road is generated by removing the road boundary layer 200 from the wide outline layer 1700. The boundary layer (S411) of the block surrounded by the actual road is applied to the wide block boundary (S212) during the linearization process in the two-stage block. By cutting only as much as (S411), it is utilized to remove the Y-shaped distorted linearity generated at the block boundary.

다음으로 상기(S20)단계에서 생성된 보행 공간(2000)에 대하여 보행 공간 여부(S412)에 따라 보행 공간은 0(S414)을, 그렇지 않은 장애물은 NODATA(S413)를 부여하여, 픽셀 크기 1m의 이진영상을 생성하고, 스켈레톤(skeleton)을 적용(S415)하여 생성된 래스터 구조의 선형을 벡터 구조의 선형으로 변환(S416)한다. 이 때, 교차로에는 한 개의 교차점이 생성되어야 하지만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선형화한 경우는 한 개가 아닌 여러 개의 교차점이 생성이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교차로에 여러 개의 교차점이 생성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형의 각 세그먼트(점과 점으로 연결된 선, 즉 선분) 중에서 임계치(픽셀크기)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S417)하여, 임계치보다 작은 세그먼트는 제거(S418)하고, 상기 단계(S418)에서 임계치보다 작아 제거된 세그먼트를 병합(integrate)(S419)하여 연결된 노드-링크 구조의 네트워크를 생성한다. 상기 단계(S419)에서 벡터 구조로 변환된 선형에 선형 데이터에 많이 적용되는 더글라스-퓨커(Douglas-Peucker)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선형 단순화를 수행(S420)하여, 생성된 선형 중간에 존재하는 불필요한 절점(vertex)을 제거하는 일련의 과정은 1단계 선형화와 동일하다.Next, with respect to the walking space 2000 generated in the above step S20, the walking space is given with 0 (S414) and the obstruction is given with NODATA (S413) according to whether the walking space is S412. The binary image is generated, and the linearity of the generated raster structure is converted to the linearity of the vector structure by applying a skeleton (S415) (S416). At this time, one intersection should be generated at the intersection, but when linearized by applying the skeleton algorithm, a problem arises in that several intersections are created instead of on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generating multiple intersections at the intersec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each of the linear segments (a line connected by a point or a line, that is, a line segment) is smaller than a threshold (pixel size) (S417). In operation S418, in operation S418, the removed segment is integrated (S419) to generate a network of connected node-link structures. In step S419, a linear simplification is performed by applying a Douglas-Peucker algorithm, which is frequently applied to linear data, to a linear converted into a vector structure (S420), and unnecessary nodes existing in the middle of the generated linear ( The process of removing the vertices is equivalent to one-step linearization.

블록 경계에서 Y자 모양의 선형이 생성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생성된 블록 경계 레이어(S411)로 상기(S420)에서 생성된 벡터구조의 선형을 잘라낸다(S421). 그 결과 블록 경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왜곡 선형을 제거할 수 있고 2등급 기본 네트워크(2400)를 생성(S422)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Y-shaped linear is generated at the block boundary, the linear structure of the vector structure generated at S420 is cut out using the generated block boundary layer S411 (S421).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distortion linearity that may occur at the block boundary and generate a second-class basic network 2400 (S422).

또한, 상기 2단계 블록 내 보행 공간의 선형화(S40)과정도 이를 컴퓨터로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언어를 통해 직접 알고리즘을 코딩하여 메인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상용 소프트웨어인 아크지아이에스(ArcGIS) 모델러를 통해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linearization of the walking space in the two-stage block (S40) is also performed by a program stored in the main memory by coding an algorithm directly through a programming language in order to perform this by a computer, or arcGIS modeler which is commercial software. Is done through.

5. 보행자 네트워크 생성(5. Create a pedestrian network ( S50S50 ))

도 10은 보행자 네트워크를 생성(S50)하기 위한 흐름도로, 입력자료로 메인 메모리에 입력되어 있는 도로명주소 기본도의 출입구 레이어(1500)에서 출입구 정보를 추출(S510)하고, 상기(S30)에서 생성된 1등급 기본 네트워크(2300)와 상기(S40)에서 생성된 2등급 기본 네트워크(2400)를 병합(S520)하고, 상기(S510)에서 추출된 출입구와 네트워크(S520)를 연결하는 링크를 생성함(S530)으로써 보행자 네트워크를 생성(S540)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FIG. 10 is a flowchart for generating a pedestrian network (S50), and extracts the doorway information from the doorway layer 1500 of the road name address basic diagram inputted into the main memory as input data (S510), and generates the above (S30). Merges the first-class basic network 2300 and the second-class basic network 2400 generated in S40 (S520), and generates a link connecting the entrance and the network extracted from the S510 to the network (S520). In operation S530, a pedestrian network is generated.

도 11은 보행자 네트워크를 생성(S50)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로, 상기(S20)에서 생성되어 추출된 건물군 레이어(2100)와 건물 레이어(2200) 각각과 도로명주소 기본도의 출입구 레이어(1500)를 중첩하여 건물군이나 건물 위에 있는 출입구를 추출(S511-S512)한다. 이렇게 추출된 건물군 위에 있는 출입구(S511)와 건물 위에 있는 출입구(S512)를 병합(S513)하여 최종적인 출입구 레이어를 생성한다.FIG. 11 is a detailed flowchart for generating a pedestrian network (S50), each of the building group layer 2100 and the building layer 2200 generated and extracted in S20, and the entrance layer 1500 of the basic road name address map. Overlapping the building group or the entrance on the building to extract (S511-S512). The entrance (S511) on the extracted building group and the entrance (S512) on the building are merged (S513) to generate a final entrance layer.

상기(S30)에서 생성된 1등급 기본 네트워크(2300)와 상기(S40)에서 생성된 2등급 기본 네트워크(2400)를 1:1,000 수치지도의 도곽 레이어(300)로 잘라내어(S521-S522), 대상 영역 경계에 생성된 Y자 모양의 왜곡된 선형을 제거한다. 상기 단계(S521-S522)에서 생성된 1등급과 2등급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하여 2등급 네트워크에서 1등급 네트워크와 인접한 포인트를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된 포인트에서 1등급 네트워크까지 최단거리에 있는 포인트를 1등급 네트워크에서 추출한다. 1등급 네트워크에서 1등급 네트워크와 인접한 포인트와 이들 인접한 포인트와 최단거리에 있는 1등급 네트워크 위에 있는 포인트 간의 연결선(선분)을 생성함으로써 1등급 네트워크와 2등급 네트워크를 연결해 준다.The first-level basic network 2300 generated at S30 and the second-level basic network 2400 generated at S40 are cut into the contour layer 300 of the 1: 1,000 numerical map (S521-S522). Remove the Y-shaped distorted alignment created at the boundary of the region. In order to connect the first-class and second-class networks generated in the above steps (S521-S522), a point adjacent to the first-class network is extracted from the second-class network, and the point having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extracted point to the first-class network is 1 Extract from the rating network. The first-class network connects the first-class network to the second-class network by creating a connection line (line segment) between the points adjacent to the first class network and the points above the first class network at the shortest distance.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2등급 기본 네트워크에서 상기(S10)에서 생성된 주요도로경계 레이어(2500)와 인접한 2등급 기본 네트워크의 포인트(S523)를 추출한다. 1등급 기본 네트워크에서 상기(S523)에서 추출된 포인트와 최단거리에 있는 포인트를 1등급 네트워크에서 추출(S524)하고, 2등급 기본 네트워크의 포인트(S523)와 1등급 기본 네트워크의 포인트(S524) 간의 연결 링크를 생성(S525)한다. 결과적으로 1등급 기본 네트워크(S522)와 2등급 기본 네트워크(S521), 그리고 두 기본 네트워크의 연결 링크(S525)를 병합(S526)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를 생성한다.In more detail, in the second-level basic network, a point S523 of the second-class basic network adjacent to the main road boundary layer 2500 generated in S10 is extracted. In the first-class basic network, the points extracted in the above-mentioned (S523) and the shortest points are extracted from the first-class network (S524), and between the points of the second-class basic network (S523) and the points of the first-class basic network (S524). Create a connection link (S525). As a result, one network is created by merging (S526) the first-class basic network (S522), the second-class basic network (S521), and the connection link (S525) of the two basic networks.

건물의 출입구까지의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병합된 기본 네트워크(S526)에 상기(S513)에서 생성된 출입구를 연결하면 보행자를 위한 네트워크가 생성된다. 이 과정도 1단계와 2단계 기본 네트워크를 병합하는 과정과 유사하게, 출입구(S513)에서 병합된 기본 네트워크(S528)까지 최단거리에 있는 포인트를 병합된 기본 네트워크(S526)에서 추출(S531)한다. 이렇게 추출된 최단거리에 있는 포인트(S531)와 출입구(S513)를 연결하는 링크를 생성(S532)하고, 이것을 병합된 기본 네트워크(S526)와 병합함(S533)으로써, 건물의 출입구까지 안내할 수 있는 최종적인 보행자 네트워크를 생성하게 된다.In order to provide a path to the doorway of the building, when the doorway generated in S513 is connected to the merged basic network S526, a network for pedestrians is created. Similar to the process of merging the first and second basic networks, this process also extracts the points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entrance (S513) to the merged basic network (S528) in the merged basic network (S526) (S531). . By generating a link connecting the point (S531) and the entrance (S513) at the shortest distance extracted in this way (S532) and merging it with the merged basic network (S526) (S533), it can be guided to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Create the final pedestrian network.

상기(S533)에서 생성된 보행자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경로탐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노드-링크의 그래프 구조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S533)에서 생성된 보행자 네트워크에서 노드(포인트) 정보를 추출(S541)하여 각 노드 별로 객체식별자(ID)를 생성하고, 링크의 ID를 부여(S542)한다. 상기(S533)에서 생성된 보행자 네트워크의 각각의 링크에 각 링크를 구성하는 시작노드와 끝노드의 ID(S542)를 추가(S543)한다.In order to provide a route search service using the pedestrian network generated in S533,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graph structure of the node-link. To this end, node (point)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pedestrian network generated in S533 (S541) to generate an object identifier (ID) for each node, and a link ID is assigned (S542). To each link of the pedestrian network generated in S533, an ID S542 of a start node and an end node constituting each link is added (S543).

추가적으로 보행자에게 최단경로를 제공하는 경로탐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최단거리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노드간의 거리 즉, 링크의 길이 정보와 경로탐색 시 탐색된 노드에 인접한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C링크(Clink)정보를 생성(S544)한다. 이렇게 하여 PNS에서 건물의 출입구까지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자유로운 보행자의 이동공간을 고려한 보행자 네트워크가 생성(S545)된다.In addition, Clink provides the distance between nodes needed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shortest distance in order to provide the path search service providing the shortest path to the pedestrian, that is, the link length information and the link information adjacent to the discovered node during the path search. Information is generated (S544). In this way, a pedestrian network in consideration of a moving space of a free pedestrian capable of providing a path from the PNS to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is generated (S545).

한편, 상기 보행자 네트워크를 생성(S50)하는 과정은 이를 컴퓨터로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언어를 통해 직접 알고리즘을 코딩하여 메인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상용 소프트웨어인 아크지아이에스(ArcGIS) 모델러를 통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pedestrian network (S50) is performed by a program stored in the main memory by coding the algorithm directly through a programming language in order to perform this by a computer or through a commercial software ArcGIS modeler (ArcGIS) modeler. .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적용하여 단계별로 생성된 결과물을 예시한 도면으로, 각각에 대해서 설명하면 (a)는 주요도로 중심선에서 횡단보도와 육교를 제거하고, 인도 폭 만큼이 제거된 길이만큼 버퍼를 수행하여 생성된 1단계 장애물(S116)을 나타내고, (b)에서 흰색으로 표현된 부분은 넓은 도곽 레이어에서 주요도로 경계를 제거하고, 상기(a)의 1단계 장애물(회색)을 병합하여 생성된 1단계 보행 공간(S119)을 나타내며, (c)에서 빨간색 실선은 상기(b)의 1단계 보행 공간에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생성된 래스터구조의 스켈레톤을 나타내고, (d)는 상기(c)의 스켈레톤을 벡터구조의 선형으로 변환하여 선형 단순화 과정을 거친 후 1:1,000 수치지도의 도곽 레이어로 잘라낸(clip) 1등급 기본 네트워크(S522)이다.12 and 13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results generated step by step by apply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ach description, (a) removes pedestrian crossings and viaducts from the center line of the main road, and the width of the guideway Represents a one-step obstacle S116 generated by performing a buffer as long as the length removed, and the part indicated in white in (b) removes the boundary of the main road in a wide contour layer, and the one-step obstacle (gray) in (a). ) Represents a one-step walk space (S119) generated by merging), and the solid red line in (c) represents a skeleton of the raster structure generated by applying a skeleton algorithm to the first-step walk space of (b), (d) is a first-class basic network (S522) which is converted into a linear structure of a vector structure by converting the skeleton of (c) into a linear structure, and then clipping it into a contour layer of a 1: 1,000 digital map.

또한, (e)에서 회색 폴리곤은 건물, 건물군, 지하철선로, 철도선로, 버퍼가 수행된 성, 하천/호수, 공원 등이 병합된 2단계 장애물(S219)을 나타내고, (f)의 초록색 폴리곤은 넓은 블록 레이어에서 상기(e)의 2단계 장애물을 제거하여 생성된 2단계 보행 공간(S220)을 의미하고, (g)에서 파란색 실선은 상기(f)의 2단계 보행 공간에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생성된 래스터구조의 스켈레톤을 나타내고, (h)는 상기(g)의 스켈레톤을 벡터구조의 선형으로 변환하여 선형 단순화 과정을 거친 후 블록 경계 레이어로 잘라내고(clip), 1:1,000 수치지도의 도곽 레이어로 다시 잘라내어(clip) 생성된 2단계 기본 네트워크(S521)이다.In addition, the gray polygon in (e) represents a two-stage obstacle (S219) in which a building, a building group, a subway line, a rail line, a buffered castle, a river / lake, a park, etc. are merged, and the green polygon of (f) Denotes a two-stage walk space (S220) generated by removing the two-stage obstacle of (e) in the wide block layer, and the solid blue line in (g) represents a skeleton in the two-stage walk space of (f). The skeleton of the raster structure generated by applying the algorithm is represented, and (h) converts the skeleton of (g) into a linear structure of the vector structure, undergoes a linear simplification process, and cuts it into a block boundary layer (clip). It is a two-stage basic network (S521) generated by clipping again to the contour layer of the digital map.

그리고 (i)에서는 빨간색 실선인 상기(d)의 1단계 기본 네트워크와 파란색 실선인 상기(h)의 2단계 기본 네트워크와 이들 1단계 기본 네트워크와 2단계 네트워크 간의 최단거리의 연결 링크(검은색 굵은 실선)가 병합된 모습(S526)을 나타내고, (j)는 상기(i)에서 병합된 기본 네트워크(회색 실선)와 출입구간의 연결 링크(빨간색 실선)가 병합된 모습(S533)이다. (k)에서 회색 실선은 상기(j)의 선형에 링크 ID를 부여하고, 각 링크의 시작노드(빨간색 점)와 끝노드(빨간색 점)를 찾아 노드 ID를 부여한 최종적인 보행자 네트워크(S545)로, 보행자 네트워크의 링크에는 각 링크의 ID와 시작노드 ID와 끝노드 ID가, 보행자 네트워크의 노드에는 각 노드의 ID가 속성테이블에 저장된다.And (i) the first-level basic network of (d), which is a solid red line, and the second-level basic network of (h), which is a solid blue line, and the shortest distance connection link between these first-level basic networks and a second-level network (black and thick The solid line) shows the merged state (S526), and (j) shows the merged link (solid solid line) between the basic network (gray solid line) merged in (i) and the entrance (S533). In (k), the solid gray line is a final pedestrian network (S545) which gives a link ID to the linearity of (j), finds the start node (red dot) and the end node (red dot) of each link, and assigns the node ID. In the link of the pedestrian network, the ID, start node ID, and end node ID of each link are stored, and the ID of each node is stored in the attribute tabl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100: 수치지도(1:5,000) 도로중심선 200: 수치지도(1:5,000) 도로경계
300: 수치지도(1:1,000) 도곽 400: 수치지도(1:1,000) 횡단보도
500: 수치지도(1:5,000) 육교 600: 도로명주소 기본도 건물군
700: 도로명주소 기본도 공원 800: 도로명주소 기본도 건물
900: 도로명주소 기본도 지하철선로 1000: 도로명주소 기본도 철도선로
1100: 수치지도(1:5,000) 성 1200: 도로명주소 기본도 하천/호수
1300: 도로명주소 기본도 철도역사 1400: 도로명주소 기본도 지하철역사
1500: 도로명주소 기본도 출입구 1600: 건물군/공원 내부도로
1700: 넓은 도곽
1800: 1단계 선형화에서 생성된 주요도로 중심선
1900: 1단계 선형화를 위한 보행 공간
2000: 2단계 선형화를 위한 보행 공간
2100: 추출된 건물군 2200: 추출된 건물
2300: 1등급 기본 네트워크 2400: 2등급 기본 네트워크
2500: 1단계 선형화에서 생성된 주요도로 경계
100: numerical map (1: 5,000) road center line 200: numerical map (1: 5,000) road boundary
300: Numerical map (1: 1,000) Outline 400: Numerical map (1: 1,000) Crosswalk
500: numerical map (1: 5,000) overpass 600: road name address base map building group
700: road name address base map park 800: road name address base map
900: road name address basic map subway line 1000: road name address basic map railway line
1100: numerical map (1: 5,000) Castle 1200: road name address basic map river / lake
1300: Road name address basic map railway station 1400: Road name address basic map subway station
1500: Road name address basic road entrance and exit 1600: Building group / park internal road
1700: wide road
1800: main road centerline created in one-step linearization
1900: Walking space for one-step linearization
2000: walking space for two-step linearization
2100: extracted building group 2200: extracted building
2300: Class 1 Basic Network 2400: Class 2 Basic Network
2500: Main road boundary created by one-step linearization

Claims (11)

(a) 기 구축된 제1 공간정보가 입력자료로 메인 메모리에 입력되고, 메인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상기 기 구축된 제1 공간정보에서 1단계 주요도로 주변의 선형화를 위한 보행 공간이 추출되는 단계와;
(b) 기 구축된 제2 공간정보가 입력자료로 메인 메모리에 입력되고, 메인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상기 기 구축된 제2 공간정보에서 2단계 구축 대상지역의 주요도로로 둘러싸인 블록 내 보행 공간의 선형화를 위한 보행 공간이 추출되는 단계와;
(c) 상기 단계(a)에서 추출된 보행 공간에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있는 메인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이용한 선형화를 통하여 1등급 기본 네트워크가 생성되는 단계와;
(d) 상기 단계(b)에서 추출된 보행 공간에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있는 메인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이용한 선형화를 통하여 2등급 기본 네트워크가 생성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c)와 (d)에서의 기본 네트워크와 출입구 레이어에서 추출된 출입구 정보를 병합하여 PNS에서 활용할 수 있는 노드-링크의 네트워크 구조가 메인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생성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활용한 보행자 네트워크 생성방법.
(a) pre-built first spatial information is input to the main memory as input data, and a pedestrian space for linearization around the main road is extracted from the pre-built first spatial information using a program in the main memory; Wow;
(b) Linearization of the pedestrian space in the block surrounded by the main road of the second-stage construction target area from the pre-built second spatial information by using the program in the main memory as input data to the main memory as input data. Extracting a walking space for;
(c) generating a first-class basic network through linearization using a program in a main memory including a skeleton algorithm in the walking space extracted in step (a);
(d) generating a second-class basic network through linearization using a program in main memory including a skeleton algorithm in the walking space extracted in step (b); and
(e) merging the basic network and the gateway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gateway layer in steps (c) and (d) to generate a node-link network structure that can be utilized in the PNS using a program in the main memory. Method for generating a pedestrian network using pre-established spatial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제1 공간정보는 수치지도(1:5,000)의 도로중심선 레이어(100), 도로경계 레이어(200), 수치지도(1:1,000)의 도곽 레이어(300), 수치지도(1:1,000)의 횡단보도 레이어(400)와 수치지도(1:5,000)의 육교 레이어(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활용한 보행자 네트워크 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patial information of step (a) includes the road center line layer 100 of the digital map (1: 5,000), the road boundary layer 200, the contour layer 300 of the digital map (1: 1,000), and the digital map ( 1: 1,000) pedestrian network generation method using the pre-established spatial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walk layer 400 and the overpass layer 500 of the digital map (1: 5,0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의 제2 공간정보는 수치지도(1:5,000)의 성 레이어(1100), 도로명주소 기본도의 건물군 레이어(600), 공원 레이어(700), 건물 레이어(800), 지하철선로 레이어(900), 철도선로 레이어(1000), 하천/호수 레이어(1200), 철도역사 레이어(1300), 지하철역사 레이어(1400), 건물군 및 공원의 내부도로 레이어(1600), 상기 단계(a)에서 생성되는 넓은 도곽 레이어(1700)와 주요도로 중심선 레이어(18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활용한 보행자 네트워크 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patial information of step (b) includes the castle layer 1100 of the numerical map (15,000), the building group layer 600 of the basic road name address map, the park layer 700, the building layer 800, and the subway. Track layer 900, railway track layer 1000, river / lake layer 1200, railway history layer 1300, subway history layer 1400, interior layer of building group and park layer 1600, the step ( Method for generating a pedestrian network using the pre-built spatial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e contour layer (1700) and the main road centerline layer (1800) generated in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메인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은,
도로 폭이 일정한 값을 초과하는 주요도로 중심선(1800)이 제1 공간정보인 도로중심선 레이어(100)에서 추출되고, 주요도로 중심선과 중첩되는 주요도로 경계(2500)가 제1 공간정보인 도로경계 레어어(200)에서 추출되는 단계와;
주요도로 중심선에서 제1 공간정보인 수치지도(1:1,000)의 횡단보도 레이어(400)와 제1 공간정보인 수치지도(1:5,000)의 육교 레이어(500)에서 횡단보도와 육교 정보를 획득하여 제거되는 단계와;
실제 도로 폭에서 양쪽의 인도 폭 만큼을 뺀 거리를 상기에서 최종적으로 생성된 주요도로 중심선에 버퍼(buffer)를 수행(S120)하여 주요도로 장애물이 생성되는 단계와;
제1 공간정보인 수치지도(1:1,000)의 도곽 레이어(300)에 일정거리만큼 버퍼를 적용하여 실제 도곽 레이어(300)보다 넓은 도곽 레이어(1700)가 생성되는 단계, 및
주요도로 경계를 넓은 도곽 레이어에서 제거함으로써 실제 도로 폭 만큼이 제거된 영역이 생성되고, 상기에서 생성된 주요도로 장애물을 병합(merge)하여 주요도로 양안에 보행 공간인 인도와 주요도로를 가로지르는 횡단보도와 육교가 생성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활용한 보행자 네트워크 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gram in the main memory of step (a),
The road boundary where the main road center line 1800 whose road width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is extracted from the road center line layer 100 which is the first spatial information, and the main road boundary 2500 that overlaps the main road center line is the first spatial information. Extracting the rare layer 200;
Acquire pedestrian crossing and viaduct information from the pedestrian crossing layer 400 of the digital map (1: 1,000), which is the first spatial information, and the viaduct layer 500, of the digital map (1: 5,000), which is the first spatial information, from the main road center line. Removing by;
Generating a main road obstacle by performing a buffer on the main road center line finally subtracted from the actual road width by subtracting both sidewalk widths (S120);
Generating a contour layer 1700 wider than the actual contour layer 300 by applying a buffer to the contour layer 300 of the numerical map (1: 1,000), which is first spatial informa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By removing the main road boundary from the wide contour layer, an area removed by the actual road width is created, and the main road obstacles generated above are merged to cross the sidewalks and the main roads on both sides of the main road. Pedestrian network generation method using the pre-established spatial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generating a sidewalk and overpa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의 메인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은,
제2 공간정보인 주요도로 중심선 레이어(1800)에 일정거리만큼 버퍼를 적용하여 제2 공간정보인 넓은 도곽 레이어(1700)에서 제거함으로써 넓은 블록 레이어가 생성되는 단계와;
제2 공간정보인 건물군 레이어(600)와 공원 레이어(700)를 중첩하여 공원 위에 있는 건물군이 삭제된 후, 제2 공간정보인 건물군을 지나는 주요도로(1800)나 내부도로(1600)를 제거하여 최종적인 건물군 레이어(2100)가 생성되는 단계와;
제2 공간정보인 건물 레이어(800)가 주요도로(1800) 위에 존재하는 경우는 건물이 삭제되고, 공원 레이어와 겹치는 건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생성된 최종적인 건물군(2100)에 존재하는 건물이 삭제되어 최종적인 건물 레이어(2200)가 생성되는 단계와;
제2 공간정보인 도로명주소 기본도의 지하철선로 레이어(900), 철도선로 레이어(1000), 수치지도(1:5,000)의 성 레이어(1100)에는 일정거리만큼 버퍼를 적용(S218)하여, 각 레이어별로 경계정보가 생성되는 단계와;
최종 건물군 레이어(2100), 공원 내의 내부도로를 제거하여 생성된 최종 공원 레이어, 최종 건물 레이어(2200), 버퍼가 적용된 지하철선로, 철도선로, 성 레이어, 그리고 제2 공간정보인 하천/호수 레이어(1200), 철도역사 레이어(1300), 지하철 역사 레이어(1400)를 병합하여 블록 내의 장애물이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장애물을 상기에서 생성된 넓은 블록에서 제거하여 보행 공간이 생성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활용한 보행자 네트워크 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gram in the main memory of step (b),
Generating a wide block layer by applying a buffer to the center line layer 1800 as the second spatial informa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removing the same from the wide contour layer 1700 as the second spatial information;
After the building group on the park is deleted by overlapping the building group layer 600, which is the second spatial information, and the park layer 700, the main road 1800 or the inner road 1600 passing through the building group, which is the second spatial information, is deleted. Removing the final building group layer 2100;
If the building layer 800, which is the second spatial information, exists on the main road 1800, the building is deleted and the building existing in the final building group 2100 generated above to remove the building overlapping the park layer. Removing the final building layer 2200;
A buffer is applied to the subway line layer 900, the rail line layer 1000, and the castle layer 1100 of the numerical map (1: 5,000) of the second spatial informa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218). Generating boundary information for each layer;
Final building group layer 2100, final park layer created by removing internal roads in the park, final building layer 2200, buffered subway lines, railway lines, castle layers, and river / lake layers, which are second spatial information. (1200) merging the railway history layer (1300), subway history layer (1400) to generate obstacles in the block, and
And a step of generating a walking space by removing the obstacle from the wide block generated in the above blo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의 메인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은,
상기 단계(a)에서 생성된 보행 공간에 대하여 보행 가능 여부에 따라 보행 공간은 0, 장애물인 공간은 NODATA를 할당하여 일정한 픽셀크기의 이진영상(binary image)이 생성되는 단계와;
보행 공간(0)에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보행 공간이 선형화되고, 래스터 구조인 선형이 벡터구조로 변환되는 단계와;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선형화함으로써 교차로에 여러 개의 교차점이 생성되는 경우 선형의 각 세그먼트 중에서 임계치(픽셀크기)보다 작은 세그먼트는 제거되고 임계치보다 작아 제거된 세그먼트는 병합(integrate)되는 단계, 및
벡터 구조로 변환된 선형에 더글라스-퓨커(Douglas-Peucker)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선형 단순화를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도로 등급이 1등급인 기본 네트워크(2300)가 생성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활용한 보행자 네트워크 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gram in the main memory of step (c),
Generating a binary image having a predetermined pixel size by allocating a zero walking space and an obscure space according to whether the walking space generated in the step (a) is capable of walking;
Applying a skeleton algorithm to the walking space (0) so that the walking space is linearized and a linear raster structure is converted into a vector structure;
When multiple intersections are generated at the intersection by linearizing by applying a skeleton algorithm, segments smaller than the threshold (pixel size) of each segment of the linear are removed, and segments which are smaller than the threshold are removed, and
Performing a linear simplification by applying a Douglas-Peucker algorithm to a linear transformed vector structure, and finally generating a basic network 2300 having a road grade of 1 Pedestrian network generation method using constructed spatial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의 메인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은,
실제 블록 경계보다 더 넓은 블록에서 생성된 상기 단계(b)의 보행 공간에 대하여 도로경계 레이어(200)를 넓은 도곽 레이어(1700)에서 제거함으로써 실제 도로로 둘러싸인 블록의 경계 레이어가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단계(b)에서 생성된 보행 공간에 대하여 보행 공간 여부에 따라 보행 공간은 0을, 장애물은 NODATA를 부여하여, 일정한 픽셀 크기의 이진영상이 생성되는 단계와;
보행 공간(0)에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생성된 래스터 구조의 선형이 벡터 구조의 선형으로 변환되는 단계와;
스켈레톤(skeleton)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선형화함으로써 교차로에 여러 개의 교차점이 생성되는 경우 선형의 각 세그먼트 중에서 임계치(픽셀크기)보다 작은 세그먼트는 제거되고 임계치보다 작아 제거된 세그먼트는 병합(integrate)되며, 이들 선형에 대하여 더글라스-퓨커(Douglas-Peucker) 선형 단순화가 수행되는 단계, 및
상기에서 생성된 블록 경계 레이어로 상기에서 생성된 벡터구조의 선형을 잘라내어 2등급 기본 네트워크(2400)가 생성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활용한 보행자 네트워크 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gram in the main memory of step (d),
Generating a boundary layer of the block surrounded by the actual road by removing the road boundary layer 200 from the wide contour layer 1700 for the walking space of step (b) generated in the block wider than the actual block boundary;
Generating a binary image having a constant pixel size by giving a walking space of 0 and an obstacle of NODATA according to whether the walking space is generated in the walking space generated in step (b);
Converting the linearity of the raster structure generated by applying a skeleton algorithm to the walking space 0 into the linearity of the vector structure;
If multiple intersections are created at the intersection by linearizing by applying the skeleton algorithm, segments smaller than the threshold (pixel size) are removed from each segment of the alignment, and those segments smaller than the threshold are merged. Where Douglas-Peucker linear simplification is performed for, and
And generating a second-class basic network 2400 by cutting out the linearity of the vector structure generated by the generated block boundary layer.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의 메인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은,
(f) 입력자료로 메인 메모리에 입력된 도로명주소 기본도의 출입구 레이어(1500)에서 출입구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와;
(g) 상기 단계(c)와 (d)에서 각각 생성된 1등급 기본 네트워크와 2등급 기본 네트워크가 병합되는 단계, 및
(h) 상기 단계(f)에서 추출된 출입구 정보와 상기 단계(g)에서 병합된 기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링크가 생성됨으로써 보행자 네트워크가 생성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활용한 보행자 네트워크 생성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7,
The program in the main memory of step (e),
(f) extracting the doorway information from the doorway layer 1500 of the road name address base map inputted into the main memory as input data;
(g) merging the first-class basic network and the second-class basic network generated in steps (c) and (d), respectively, and
(h) generating a pedestrian network by generating a link connecting the doorway information extracted in step (f) and the basic network merged in step (g). How to create a pedestrian network.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f)는 상기 단계(b)에서 생성되어 추출된 건물군 레이어(2100)와 건물 레이어(2200) 각각과 도로명주소 기본도의 출입구 레이어(1500)를 중첩하여 건물군이나 건물 위에 있는 출입구를 추출하고, 건물군 위에 있는 출입구와 건물 위에 있는 출입구를 병합하여 최종적인 출입구 레이어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활용한 보행자 네트워크 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f) overlaps the building group layer 2100 and the building layer 2200, which are generated and extracted in the step (b), with each of the building layer 2200 and the doorway layer 1500 of the basic road name address map. Extracting and merging the doorway on the building group with the doorway on the building to create a final doorway lay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g)는,
상기 단계(c)에서 생성된 1등급 기본 네트워크(2300)와 상기(d)에서 생성된 2등급 기본 네트워크(2400)가 1:1,000 수치지도의 도곽 레이어(300)로 잘라내어 지는 단계와;
도곽 레이어(300)로 잘라내져 생성된 2등급 기본 네트워크에서 상기 단계(a)에서 생성된 주요도로 경계 레이어(2500)와 인접한 2등급 기본 네트워크의 포인트가 추출되는 단계와;
1등급 기본 네트워크에서 상기 2등급 기본 네트워크에서 추출된 포인트와 최단거리에 있는 포인트가 1등급 기본 네트워크에서 추출되는 단계와;
상기 2등급 기본 네트워크의 포인트와 1등급 기본 네트워크의 포인트 간의 연결 링크가 생성되는 단계, 및
1등급 기본 네트워크, 2등급 기본 네트워크와 두 기본 네트워크를 연결한 연결 링크를 병합하여 1등급과 2등급 기본 네트워크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생성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활용한 보행자 네트워크 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8,
Step (g) is,
Cutting the first-level basic network 2300 generated in step (c) and the second-level basic network 2400 generated in step (d) into the contour layer 300 of the 1: 1,000 numerical map;
Extracting points of the second-class basic network adjacent to the boundary layer 2500 of the main road generated in the step (a) from the second-class basic network cut and formed by the contour layer 300;
Extracting, from the first-class basic network, the points extracted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points extracted from the second-class basic network;
Generating a connection link between the points of the second-class basic network and the points of the first-class basic network, and
Leverage the pre-established spatial information, which consists of the steps of creating a network of 1st and 2nd basic network by merging connection link connecting 1st class basic network, 2nd class basic network and 2nd basic network How to create a pedestrian network.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h)는,
출입구에서 병합된 기본 네트워크에 최단거리에 있는 포인트가 추출되는 단계와;
상기의 병합된 기본 네트워크에 최단거리에 있는 포인트와 출입구를 연결하는 링크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의 병합된 기본 네트워크와 병합함으로써 보행자 네트워크가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에서 생성된 보행자 네트워크에서 노드(포인트) 정보를 추출하여 각 노드 별로 객체식별자(ID)를 생성하고, 링크(선형)의 ID가 부여되는 단계와;
상기에서 생성된 보행자 네트워크의 각 링크를 구성하는 시작노드와 끝노드에 상기에서 생성한 노드 ID가 추가되는 단계, 및
보행자에게 최단경로를 제공하는 경로탐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최단거리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노드간의 거리, 즉, 링크의 길이 정보와 경로탐색 시 탐색된 노드에 인접한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C링크(Clink)정보가 생성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활용한 보행자 네트워크 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8,
Step (h) is,
Extracting a point at the shortest distance to the basic network merged at the entrance and exit;
Generating a link connecting a point and an entrance at the shortest distance to the merged basic network and merging it with the merged basic network to generate a pedestrian network;
Extracting node (point) information from the generated pedestrian network, generating an object identifier (ID) for each node, and assigning an ID of a link (linear);
Adding the node ID generated above to a start node and an end node constituting each link of the generated pedestrian network; and
C link that provides distance between nodes, that is, link length information and link information adjacent to the discovered node during path search, to calculate the shortest distance in order to provide the path search service that provides the shortest path to pedestrians. A method for generating a pedestrian network using pre-established spatial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generating information.
KR1020100071998A 2010-07-26 2010-07-26 Method for generating pedestrian network using existing spatial datasets KR1011294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998A KR101129490B1 (en) 2010-07-26 2010-07-26 Method for generating pedestrian network using existing spatial datase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998A KR101129490B1 (en) 2010-07-26 2010-07-26 Method for generating pedestrian network using existing spatial datase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452A KR20120010452A (en) 2012-02-03
KR101129490B1 true KR101129490B1 (en) 2012-03-28

Family

ID=45834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998A KR101129490B1 (en) 2010-07-26 2010-07-26 Method for generating pedestrian network using existing spatial datase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49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160B1 (en) * 2013-07-03 2014-05-19 (주)경봉 Method of analyzing cctv blind spot and finding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cctv by mash-up
CN109459024B (en) * 2018-10-31 2022-07-19 武汉大学 Indoor navigation data model construction and path planning method under different behavior modes
KR102404934B1 (en) * 2020-12-18 2022-06-08 주식회사 에프엠웍스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assage centerl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1956A (en) 2003-03-28 2004-10-28 Toshiba Corp Device for creating network for pedestrians, and method and program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1956A (en) 2003-03-28 2004-10-28 Toshiba Corp Device for creating network for pedestrians, and method and program therefor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전자공학회
한국도로학회
한국측량학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452A (en) 201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21173B (en) A kind of deep learning method of combination OSM and remote sensing image extraction overpass
Patnaik et al. Divisive Analysis (DIANA) of hierarchical clustering and GPS data for level of service criteria of urban streets
Beil et al. CityGML and the streets of New York-A proposal for detailed street space modelling
Jiang et al. Underpass clearance checking in highway widening projects using digital twins
Bassani et al. 3D GIS based evaluation of the available sight distance to assess safety of urban roads
Ballester et al. Automatic pedestrian network generation
CN113076638A (en) BIM and VISSIM microscopic simulation-based bidirectional traffic diversion simulation method
Pearce et al. Comparing accessibility and connectivity metrics derived from dedicated pedestrian networks and street networks in the context of Asian cities
KR101129490B1 (en) Method for generating pedestrian network using existing spatial datasets
Jwa Pedestrian network models for mobile smart tour guide services
Jadhav et al.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Black Spots on Islampur–Ashta State Highway, Maharashtra, India
Zhang et al. APE: An Open and Shared Annotated Dataset for Learning Urban Pedestrian Path Networks
Touya et al. Generalising unusual map themes from OpenStreetMap
Barberi et al. BIM applied to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Treccani et al. Accessible path finding for historic urban environments: feature extraction and vectorization from point clouds
Dunne et al. A large scale method for extracting geographical features on bus routes from OpenStreetMap and assessment of their impact on bus speed and reliability
Treccani et al. Automating the inventory of the navigable space for pedestrians on historical sites: Towards accurate path planning
Kim et al. Proposal for the generation of network data for pedestrians in South Korea using large-scale maps
Vorobyev et al. Development of requirements for a digital road model as a means of implementing an information service for road users
Salleh et al. Feasibility Study on Walkable City Through Implementation of Car-Free Zones and its Effect on Traffic Movement in Georgetown, Penang Using GIS Network Analysis
Rahman et al. Allocating Of New Potential Bus Stop Location Using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technique
González-Collazo et al. Enhancing urban pathfinding for pedestrians through fusion of mls and hmls data
Kasemsuppakorn Methodology and algorithms for pedestrian network construction
KR102714460B1 (en) Cloud sourcing-based autonomous vehicle dedicated map provis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SOLARZ et al. AIRBORNE LASER SCANNER AS A DATA SOURCE FOR BUILDING SELECTED ELEMENTS OF AN INTELLIGENT DATABASE FOR TRANSPOR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