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350B1 -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350B1
KR101129350B1 KR1020090130198A KR20090130198A KR101129350B1 KR 101129350 B1 KR101129350 B1 KR 101129350B1 KR 1020090130198 A KR1020090130198 A KR 1020090130198A KR 20090130198 A KR20090130198 A KR 20090130198A KR 101129350 B1 KR101129350 B1 KR 101129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electrode
electrode plate
touch panel
plate
resistive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3046A (ko
Inventor
김창제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0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3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73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투명전극판과, 상기 하부 투명전극판 상에 배치되고, 일측면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컷아웃부를 갖는 상부 투명전극판, 및 상기 컷아웃부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하부 투명전극판과 상부 투명전극판 사이로 삽입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삽입부는 상기 상,하부 투명전극판의 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판과, 삽입 방향에서 상기 접속판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컷아웃부에 삽입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을 제공한다.
멀티 저항막 방식, 인쇄회로기판, 접속부, 보강 부재

Description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RESISTIVE TOUCH PANEL}
본 발명은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연성인쇄회로기판에 보강 부재가 형성되어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폭이 넓어져도 삽입 및 정렬(align)이 용이한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터치 패널의 종류는 크게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정전용량 방식은 ITO로 코팅된 단유리로 구성되어 터치 패널의 네 구석에 전압을 인가하면 고주파 전압이 터치패널 전체에 분포하게 되어 손가락으로 스크린을 터치하면 각 전류센서에서 전압 분포의 변화를 인지하게 되고 이 변화가 터치 컨트롤러를 통하여 PC 등으로 전달되어 터치 지점을 인식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저항막 방식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전도성 물질(ITO)로 코팅된 상판과 하판의 이중층 구조로 되어 있고, 상판과 하판 모두에 은 패턴이 인쇄되어 손가락, 터치 펜 등으로 눌러서 상판과 하판가 서로 맞닿게 되면 그 부분의 전위가 컨트롤러로 전달되고 컨트롤러가 다시 컴퓨터로 신호를 변환, 전달하여 PC가 그 위 치를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저항막 방식에는 전극 패턴에 따라 4선, 8선 등의 저항막 방식으로 세분화되는데 일반적인 4선 저항막 방식의 경우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폭이 좁아 상대적으로 삽입이 용이하나 16선, 32선 저항막 방식의 경우에는 배선 수가 많아져 상대적으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폭이 넓어지게 되어 상판과 하판 사이에 연성인쇄회로기판이 휘어져 삽입되거나 정확한 위치에 삽입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멀티 터치가 가능한 멀티 저항막 방식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멀티 저항막 방식 역시 배선수가 많아짐에 따라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폭이 넓어지게 되어 상, 하부 기판에 삽입 및 정렬(align)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폭이 넓어져도 삽입과 정렬(align)이 용이한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특징에 따른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은 하부 투명전극판과, 상기 하부 투명전극판 상에 배치되고, 일측면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컷아웃부를 갖는 상부 투명전극판, 및 상기 컷아웃부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하부 투명전극판과 상부 투명전극판 사이로 삽입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삽입부는 상기 상,하부 투명전극판의 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판과, 삽입 방향에서 상기 접속판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컷아웃부에 삽입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 구성에 의하여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폭이 넓어져도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속판이 휘어지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되며, 보강 부재가 컷아웃부에 대응되어 상대적으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삽입위치 정렬(align)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보강 부재가 데코 필름을 지지하여 데코 필름이 접착층에 의하여 주름 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보강 부재가 컷아웃부에 안내되어 삽입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하부 투명전극판(400)과, 상기 하부 투명전극판(400)에 대응되고 일측면에 컷아웃부(310)가 형성된 상부 투명전극판(300) 및 상기 하부 투명전극판(400)과 상부 투명전극판(300)에 삽입되는 삽입부(510)를 포함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투명전극판(400)은 기판(미도시)에 투명전도막(Indium Tin Oxide:ITO)이 형성되고 그 위에 일정한 전극 패턴(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기판은 실시 태양에 따라 두께가 조절될 수 있다.
상부 투명전극판(300)은 상기 하부 투명전극판(400)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판에 투명전도막(Indium Tin Oxide:ITO)이 형성되고 일정한 전극 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투명전극판(300)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크기로 절곡된 컷아웃부(310)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상부 투명전극판(300)과 하부 투명전극판(400) 사이에는 도트 스페이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손가락이나 터치 펜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상부 투명전극판(300)과 하부 투명전극판(400)이 접촉되는 경우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투명전극판(300)과 하부 투명전극판(400)은 실시에 맞게 4선, 5선, 또는 8선 등 다양한 전극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멀티 터치 인식이 가능한 멀티 저항막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4선, 5선, 또는 8선 등의 전극 패턴은 이미 공지된 기술과 동일 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 투명전극판(300)과 하부 투명전극판(400) 사이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500)(FLEXIBLE PRINTED CIRCUITS BOARD: FPCB)(이하 'FPCB'라 함)이 삽입되어 상기 상부 투명전극판(300)과 하부 투명전극판(400)에 형성된 전극 패턴과 연결된다.
이를 더욱 자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FPCB(500)는 도 2a와 같이 패널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삽입부(510)와 상기 삽입부(510)에 연결되어 있는 스트립 라인(530)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510)는 접속판(511)과 안내판(5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접속판(511)은 삽입방향의 선단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투명전극판(300)(400)의 전극패턴의 배선(미도시)과 연결되고, 상기 안내판(512)은 상기 접속판(511)의 후단에 배치되고 보강 부재가 접합되어 상기 접속판(511)이 투명전극판(300)(40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접속판(511)은 앞서 서술한 상부 투명전극판(300)의 컷아웃부(310)에 안내되어 정확한 삽입 지점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속판(511)의 폭은 상기 투명전극판(300)(400)의 전극패턴의 배선이 접속되도록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선 배선 저항막 방식인 경우에는 배선 수가 적어 상대적으로 접속판(511)의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으나 16선 또는 멀티 저항막의 경우에는 배선 수가 많아 상대적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접속판(511)의 폭이 상기 컷아웃부(310)의 폭과 반드시 대응되어야 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컷아웃부(310)에 의하여 상기 접속판(511)이 가이드 될 정도이면 더 크게 형성되거나 더 작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안내판(512)의 상면에는 보강 부재(Stiffener)(52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보강 부재(520)는 재질은 플라스틱이나 탄성체와 같이 상기 안내판(512)의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갖는 것이면 종류에 제한이 없다.
따라서 삽입부(510)의 가로 폭이 넓어지는 경우에도 상기 보강 부재(520)에 의하여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어 삽입이 훨씬 용이하게 된다.
상기 보강 부재(520)는 상기 안내판(512)의 상면에 별도로 형성되어 부착되지 않고 상기 안내판(512)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보강 부재(520)는 도 2b와 같이 상기 안내판(512)의 가로 폭과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접속판(511)을 투명전극판(300)(400) 사이에 삽입시킬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형성되면 족하다.
또한, 도 2c와 같이 상기 보강 부재(520)가 상기 안내판(512)의 상면과 하면에 모두 형성되어 삽입을 더욱 용이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하면의 보강부재(520)에 대응되도록 하판 투명전극기판(400)에 별도의 컷아웃부(미도시)를 형성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보강 부재(520)의 크기는 상기 컷아웃부(31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보강 부재(520)가 상기 컷아웃부(310)에 안내되어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삽입부(510)의 접속판(511)은 상기 컷아웃부(310)의 하단을 통과하여 상기 투명전극판(300)(400) 사이에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깊이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컷아웃부(310)의 형성 위치는 상기 접속판(511)의 삽입위치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상기 보강 부재(520)의 세로 폭은 접속판(511)의 삽입 깊이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즉 상기 보강 부재(520)가 상기 컷아웃부(310)에 안내되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접속판(511)의 삽입위치 및 삽입깊이가 결정되므로 상기 접속판(511)의 정렬(align)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520)가 접속판(511)의 후방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접속판(511)의 폭이 넓어지는 경우에도 평탄도를 유지하면서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이 기존의 4선 저항막 방식뿐 아니라 5선, 8선 또는 멀티 저항막 터치의 경우에도 보강 부재(520)에 의하여 FPCB(500)의 삽입판(510)이 휘어짐 없이 평탄도를 유지하면서 삽입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방향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의 또 다른 변형예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상부 투명전극판(300) 상에는 데코(Deco) 필름(100)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투명전극판(300)과 데코(Deco) 필름(100)은 접착층(200)에 의하여 부착된다.
이때 상기 보강 부재(520)의 두께는 상기 상부 투명전극판(300)과 접착 층(200)의 두께 합과 동일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투명전극판(300)과 데코(Deco) 필름(100)이 접착될 때 상기 보강 부재(520)는 상기 데코(Deco) 필름(100)과 직접 접촉하여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데코(Deco)필름(100)이 접착층(200)에 의하여 주름이 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연성회로기판(600)의 보강 부재(530)는 상기 상부 투명전극판(300)의 두께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상부 투명전극판(300)과 같이 상면에 접착제(200)가 도포되어 상기 데코(Deco)필름(100)과 접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결합사시도,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보강 부재가 컷아웃부에 안내되어 삽입된 개략도,
도 4는 도 3의 A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의 또 다른 변형예.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데코 필름 200: 접착제
300: 상부 투명전극판 310: 컷아웃부
400: 하부 투명전극판 500: 연성인쇄회로기판
510: 삽입부 511: 접속판
512: 안내판 520: 보강 부재
530: 스트립 라인

Claims (10)

  1. 하부 투명전극판;
    상기 하부 투명전극판 상에 배치되고, 일측면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컷아웃부를 갖는 상부 투명전극판; 및
    상기 컷아웃부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하부 투명전극판과 상부 투명전극판 사이로 삽입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삽입부는 상기 상,하부 투명전극판의 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판과, 삽입 방향에서 상기 접속판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컷아웃부에 삽입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투명전극판과 상부 투명전극판은 각각 기판에 투명전극과 복수 개의 전극패턴이 형성되는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턴은 4선, 8선 또는 멀티 터치 저항막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전극 패턴으로 형성되는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판은 상기 전극패턴의 배선과 연결되는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투명전극판 상에 형성되는 데코 필름을 더 포함하는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 필름은 접착층에 의하여 상부 투명전극판에 접착되는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컷아웃부가 형성된 상부 투명전극판과 상기 데코 필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데코 필름과 직접 접촉되는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상부 투명전극판과 동일한 두께를 갖고, 접착층에 의하여 상기 데코 필름과 접착되는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9. 삭제
  10. 삭제
KR1020090130198A 2009-12-23 2009-12-23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KR101129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198A KR101129350B1 (ko) 2009-12-23 2009-12-23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198A KR101129350B1 (ko) 2009-12-23 2009-12-23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046A KR20110073046A (ko) 2011-06-29
KR101129350B1 true KR101129350B1 (ko) 2012-03-26

Family

ID=44403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198A KR101129350B1 (ko) 2009-12-23 2009-12-23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3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544B1 (ko) * 2013-09-16 2020-1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패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718B1 (ko) 2004-04-13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의 접합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718B1 (ko) 2004-04-13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의 접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046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3344B2 (en) Touch sensor with integrated signal bus extensions
EP2277102B1 (en) Flex circuit with single sided routing and double sided attach
US7825906B2 (en) Coordinate detecting device
CN101533325B (zh) 双面的触感面板与挠性电路粘接
EP2097805B1 (en) Pet-based touchpad
CN101610634B (zh) 柔性印刷电路板、触摸板、显示面板和显示器
CN101610633B (zh) 柔性印刷电路板、触摸板、显示面板和显示器
US20070103446A1 (en) Wiring of touch panel
US20110315536A1 (en) Touch panel
CN103870052A (zh) 触控面板
US20150177894A1 (en) Display with touch control function
US8681091B2 (en) Bistable display device
KR20130046022A (ko) 터치 패널
KR101033155B1 (ko) 터치 패널
KR102262553B1 (ko) 터치 패널
KR101129350B1 (ko)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JP5888964B2 (ja) タッチパネル
US11385737B1 (en) Electronic device
JP2004213413A (ja) 入力装置付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822187B1 (ko) 터치 패널과, 이를 채용한 평판표시장치
KR20140056960A (ko) 저항차 보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터치 패널과 그 제조 방법
KR20150031805A (ko) 터치패널
KR102008736B1 (ko) 터치 패널 및 이의 구동방법
CN212379821U (zh) 一种高可靠性电容式触摸屏及电子设备
CN209606957U (zh) 触控显示屏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