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272B1 - 키패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키패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29272B1 KR101129272B1 KR1020060023162A KR20060023162A KR101129272B1 KR 101129272 B1 KR101129272 B1 KR 101129272B1 KR 1020060023162 A KR1020060023162 A KR 1020060023162A KR 20060023162 A KR20060023162 A KR 20060023162A KR 101129272 B1 KR101129272 B1 KR 1011292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support plate
- key
- keypad assembly
- substr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asing, e.g. sealed casings or casings reducible in siz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Force concentrator; Actuating dimp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62—Damping vibr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1—Mounting on appliance
- H01H2223/026—Hook and loo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1—Mounting on appliance
- H01H2223/028—Mounting on appliance detachab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2—Telephone handse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패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커버의 외면으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키와; 상기 키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키의 누름 동작에 의해 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기판과; 상기 커버의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되어, 상기 키와 기판을 상기 커버에 고정시키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키 및 기판이 커버에 안정적으로 장착되게 하면서 그로부터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조립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라인(Ⅱ-Ⅱ)을 따라 취한 폴더부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지지플레이트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지지플레이트가 제1 커버에 체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지지플레이트와 제1 커버의 체결 상태에 대한 변형예이고,
도 6은 도 3의 키패드 조립체 및 제1 커버 사이의 분해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부 20: 폴더부
21: 제1 커버 21a, 21b: 체결홈부
21c: 저연돌기 23: 제2 커버
29: 가이드 리브 30: 키패드 조립체
31: 키 33: 기판
35: 누름패드 37: 지지플레이트
37a,37b: 후크부 37c: 절연홈
본 발명은 키패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에 키 및 기판을 안정적으로 장착시키면서도 분리시에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하는 키패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하면서 통화할 수 있는 무선 통신기기이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장 기본적인 특성은 휴대성과 통화성이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휴대성과 통화성에 더하여 각종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집적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멀티미디어 기능에는 게임기능, 영화감상 기능, 음악 감상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음악 감상 기능을 편리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에는 외부로 노출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MP3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키가 배치된다. 이러한 키는 모드키(Modkey, Music On Demand Key)라고도 칭해진다.
모드키의 조작에 의한 신호를 입력받아 MP3를 제어하기 위한 키패드 조립체는 모드키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커버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단말기 본체에 내장된다.
이러한 키패드의 장착방식으로는 크게 2가지 방식을 들 수 있다.
먼저, 키가 장착되는 커버와 결합되는 다른 커버에 키패드 조립체의 지지수단을 결합시켜 키 등을 지지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여러 구조물이 별도로 장착되게 됨으로써 형합 누적공차가 발생하여 키패드 조립체의 조작시에 떨림/소음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다음으로, 키패드 조립체를 키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커버에 열융착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형합 누적공차를 줄여서 떨림/소음 등은 감소시키나, 키 등의 불량시 이들을 교체하기가 어려워 애프터 서비스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는 키를 가지는 키패드 조립체를 커버에 안정적으로 장착시켜서 형합 누적공차를 최소화함에 따라 키패드 조립체의 떨림/소음을 방지하면서도, 키패드 조립체를 커버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어서 애프터 서비스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키패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커버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동작하도록 하면서도 커버로부터의 분리가 용이한 키패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키패드 조립체는 키와, 기판 및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키는 키패드 조립체가 결합되는 커버의 외면으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누름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키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판은 키의 누름 동작에 연동되어 신호를 발생시켜서 눌려진 키에 부여된 특정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키와 기판은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이들을 커버에 고정시키는 지지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플레이트는 이를 위해 커버의 내면, 즉 키와 함께 외부로 노출되는 면의 반대측 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된다.
지지플레이트를 커버의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결합부는 커버의 내면에 형성되는 체결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지지플레이트에서 후크 형태로 돌출하는 후크부로 이루어진다. 반대로, 착탈결합부는 커버의 내면에서 후크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후크부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체결홈부일 수도 있다.
이러한 착탈결합부는 체결홈부에 후크부가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간단하게 체결되게 한다. 그에 따라, 커버에 지지플레이트에 의해 체결된 키나 기판에 장애가 있는 등에 의해 이들을 교체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 간단하게 지지플레이트를 커버로부터 분리하고 이들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키나 기판을 교체한 후에는 역시 지지플레이트를 커버에 간단하게 결합시켜 새로운 키나 기판을 커버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커버에 키 및 기판과 함께 지지플레이트가 결합됨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절연하기 위하여, 지지플레이트에는 절연홈이 구비된다. 절연홈은 커버의 내면에 탄성 재질, 예를 들어 고무로 돌출 형성된 절연돌기의 상단부를 수 용하여 커버와 지지플레이트 간의 진동을 절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키패드 조립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및 그에 결합되어 신호를 입력받는 키패드 조립체를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제1 및 제2 커버로 구성되고, 키패드 조립체는 일부가 제1 커버의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위의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된다.
제1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은 사용자가 누름 조작할 수 있는 키이고, 키의 누름 조작에 의해 신호를 전달하는 기판은 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또한, 지지플레이트는 이러한 키와 기판을 제1 커버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1 커버의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된다.
지지플레이트를 제1 커버의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착탈 결합부는 제1 커버의 내면과 지지플레이트의 상면 중 어느 하나에서 후크 형태로 돌출하는 후크부와, 그들 중 다른 하나에서 후크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개구되는 체결홈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후크부와 체결홈부는 스냅핏 방식으로 간단하게 체결된다. 또한, 분리 시에도 후크부가 탄성 변형되어 분리되기에, 분해 및 조립의 제약이 없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나 기판 등의 장애가 있는 경우에 간단하게 지지플레이트를 제1 커버로부터 분리하여 그들을 교체하고 다시 지지플레이트를 제1 커버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지지플레이트가 키 및 기판과 함께 제1 커버에 결합됨에 따라 이들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절연하기 위하여 절연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절연부는 지지플레이트와 제1 커버 중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절연돌기와, 그러한 절연돌기에 대응하여 다른 하나에서 절연돌기의 상단부를 수용하도록 개구된 절연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커버의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2 커버에서 내부 공간을 향하여 돌출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가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받침으로서 키가 과도한 힘으로 눌려져서 지지플레이트가 제1 커버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위와 같은 지지부는 별도의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 보다는 디스플레이모듈의 위치를 한정하도록 제2 커버에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리브를 이용하는 것이 구성의 단순화 등의 차원에서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키패드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의 제1 커버에 결합된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폴더형이 아닌 바형, 플립형, 슬라이드형 등 다른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키패드 조립체가 장착된 형태나, 나아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라도 키패드 조립체가 폴더부가 아닌 본체부에 장착된 형태로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을 환기시키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조립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10 및 20)와, 단말기 본체를 이루는 하나의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키패드 조립체(30)를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10 및 20)는 본체부(10)와 폴더부(2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된다.
본체부(10)의 전면에는 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11)가 배치되고 배면에는 단말기 본체(10 및 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본체부(10)의 내부에는 단말기 본체(10 및 20)에 장착되는 각 부품의 기능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이 장착된다. 본체부(10)의 상측 모서리에는 힌지부(15)가 구비되어, 폴더부(20)가 본체부(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한다.
폴더부(20)는 본체부(10)에 중첩되게 배치되어 본체부(10)가 배치된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 놓이는 닫힘 상태에서 힌지부(15)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본체부(10)가 배치된 평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는 평면에 배치되는 열림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이러한 열림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폴더부(2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커버(21)와 제2 커버(23)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 커버(21)의 외면에서는 외부 디스플레이 패널(25)이 중앙에 배치된다. 또한, 키패드 조립체(30)의 키(31) 또한 제1 커버(21)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키패드 조립체(3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 한다.
도 2는 도 1의 라인(Ⅱ-Ⅱ)을 따라 취한 폴더부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 조립체(30)는 키(31)와, 기판(33)과 지지플레이트(37)를 포함한다.
키(31)는 모드키(Modkey, Music On Demand Key)라고 칭해지며, 폴더부(20)가 본체부(10)에 중첩되게 배치되어 통화가 불가능한 닫힘 상태에서도 간단한 조작에 의해 MP3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키(31)는 제1 커버(21)에 형성된 홀을 통해 그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 커버(21)에 배치된다. 키(31)의 하부에는 키(31)의 누름에 연동되어 기판(33) 측으로 하강하는 누름패드(35)가 구비될 수 있다. 누름패드(35)는,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그의 하부에는 누름돌기(35a)가 돌출 형성된다.
기판(33)의 상면에는 키(31)의 누름돌기(35a)에 대응하여 스위치(33a)가 형성된다. 이러한 스위치(33a)는 사용자가 키(31)를 누름에 따라 누름패드(35)의 누름돌기(35a)에 의해 가압 되어 기판(33)에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신호는 기판(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본체부(10, 도 1 참조)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에 전달된다.
지지플레이트(37)는 기판(33)의 하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부재로서, 제1 커버(21)에 결합 된다. 그에 따라, 지지플레이트(37)는 키(31)와 누름패드(35) 및 기판(33)이 제1 커버(21)에 고정되어 작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받침대로서의 역할을 하게 한다. 또한, 지지플레이트(37)는 착탈결합부에 의해 제1 커버(21)에 착 탈 가능하게 결합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커버(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되는 키패드 조립체(30)의 지지플레이트(37)의 체결 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제2 커버(23)에서 지지플레이트(37)를 향하여 돌출하여 지지플레이트(37)가 제1 커버(21)의 내면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지지부로서는 별도의 부재를 형성하기보다는 제2 커버(23)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모듈(26)의 위치를 한정하는 가이드 리브(29)를 활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가이드 리브(29)의 높이를 디스플레이모듈(26) 보다는 높아서 지지플레이트(37)가 제1 커버(21)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그를 향해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정도로 결정하면 된다.
그에 따라, 키패드 조립체(30)의 키(31)가 과도하게 눌려짐에 따라 지지플레이트(37)가 제1 커버(21)에서 의도하지 않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위에서 설명한 착탈결합부 등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지지플레이트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지지플레이트가 제1 커버에 체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지지플레이트와 제1 커버의 체결 상태에 대한 변형예이다.
이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착탈결합부는 지지플레이트(37)에서 돌출 형성된 후크부(37a 및 37b)와 그에 대응하여 제1 커버(21)의 내면에 형성된 체결홈부 (21a 및 21b)를 포함한다.
후크부(37a 및 37b)는 체결홈부(21a 및 21b)에 스냅핏 방식으로 간단하게 체결되고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후크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나아가, 후크부(37a 및 37b)는 지지플레이트(37)의 일측 모서리에서 돌출하여 형성되는 제1 후크부(37a)와, 반대 측의 모서리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후크부(37b)로 구성된다.
체결홈부(21a 및 21b)는 제1 커버(21)의 내면에서 후크부(37a 및 37b)에 대응하여, 지지플레이트(37)가 제1 커버(21)의 내면을 향하여 가압될 때 후크부(37a 및 37b)가 스냅핏 방식으로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개구 된다. 또한, 체결홈부(21a 및 21b)는 후크부(37a 및 37b)에 대응하여 제1 후크부(37a)가 삽입되는 제1 체결홈부(21a)와, 제2 후크부(37b)가 삽입되는 제2 체결홈부(21b)로 구성 된다.
이상에서는 지지플레이트(37)에 후크부(37a 및 37b)가 형성되고 제1 커버(21)의 내면에는 체결홈부(21a 및 21b)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37)에서 후크부(37b)가 형성되는 모서리에 대향되는 모서리에는 체결홈부(37d)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또한, 체결홈부(37d)에 대응하는 제1 커버(21)의 내면에서는 단부가 후크 형태를 가지는 후크부(21d)가 돌출 형성된다. 체결 시에는 지지플레이트(37)의 후크부(37b)를 제1 커버(21)의 체결홈부(21b)에 삽입한 상태에서, 후크부(21d) 위에 지지플레이트(37)를 두고서 지지플레이트(37)를 제1 커버(21)의 내면을 향해 가압한다. 그러면, 후크부 (21d)가 지지플레이트(37)에서 멀어지게 탄성 변형되면서, 지지플레이트(37)의 체결홈부(37d)가 형성된 부분은 후크부(21d)의 상부 경사진 부분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후크부(21d)와 간단하게 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위와 같은 착탈결합부에 의해 지지플레이트(37)가 제1 커버(21)의 내면에 체결된 상태에서의 이들 사이의 진동을 절연하기 위한 절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부는 제1 커버(21)의 내면에서 돌출하는 복수의 절연돌기(21c)와, 지지플레이트(37)에서 절연돌기(21c)에 대응하여 개구되어 형성되는 절연홈(37c)을 포함한다.
이때, 절연돌기(21c)는, 예를 들어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탄성 부재로 형성되어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나아가, 절연홈(37c)은 절연돌기(21c)의 상단부가 일부 삽입될 수 있도록 절연돌기(21c)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된다.
이상에서는 절연돌기(21c)가 제1 커버(21)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고 절연홈(37c)이 지지플레이트(37)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제, 키패드 조립체(30)를 제1 커버(21)에 체결 및 분리하는 방식에 대하여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3의 키패드 조립체 및 제1 커버 사이의 분해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제1 커버(21)의 저면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그에 형성된 홈을 통해 키 (31)의 상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키(31)를 끼워 넣는다. 그 다음으로 누름패드(35)와 기판(33)을 제1 커버(21)의 저면 상에 올려놓는다.
기판(33)의 위에 지지플레이트(37)를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지지플레이트(37)의 후크부(37a 및 37b)를 각각 대응하는 체결홈부(21a 및 21b)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나서, 지지플레이트(37)를 제1 커버(21)의 내면 측을 향하여 가압한다. 그에 따라, 제1 후크부(37a)는 제1 체결홈부(21a)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제2 후크부(37b)는 제2 체결홈부(21b)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이와 같이, 지지플레이트(37)는 제1 커버(21)의 내면에 후크부(37a 및 37b)와 체결홈부(21a 및 21b)의 스냅핏 방식의 결합에 의해 간단하게 체결된다. 또한, 분해 시에서 지지플레이트(37)의 후크부(37a 및 37b)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체결홈부(21a 및 21b)에서 이탈됨에 따라 용이하게 분해된다.
또한, 지지플레이트(37)를 제1 커버(21)에 내면에 체결함에 있어서, 제1 커버(21)의 내면에 돌출 형성된 절연돌기(21c)의 상단부는 그에 대응하여 지지플레이트(37)에 형성된 절연홈(37c)에 일부 삽입되어, 제1 커버(21)와 지지플레이트(37) 사이의 진동을 절연한다.
이상과 같이 지지플레이트(37)가 제1 커버(21)의 내면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1 커버(21)는 제2 커버(23, 도 1 참조)와 체결되어 폴더부(20)를 이루게 된다.
이때, 제2 커버(23)에서 돌출하여 내부 디스플레이모듈(26)을 지지하는 가이드 리브(29, 도 2 참조)는 내부 디스플레이모듈(26) 이상의 높이로 돌출하여 지지플레이트(37)가 제1 커버(2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에 따라, 키패드 조립체(30)의 키(31)에 과도한 누름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지지플레이트(37)가 제1 커버(21)로부터 이탈되는 등의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조립체는 스냅핏 방식으로 체결되는 착탈결합부에 의해 커버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어서, 체결 과정이 간단함과 동시에 애프터 서비스 등을 위해 키패드 조립체를 커버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키패드 조립체 전체가 하나의 커버에 조립되기에 결합에 따른 누적 공차가 줄어든다.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조립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패드 조립체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키패드 조립체가 제1 커버에 조립됨과 동시에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기에 키패드 조립체를 구성하는 여러 부품간의 형합공차가 줄어들어 키의 떨림 등이 적어지게 한다. 또한, 절연부에 의해 진동이 절연되기에 키패드 조립체가 보다 안정적으로 제1 커버에 조립된 상태로 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가이드 리브에 의해 지지되기에, 키패드 조립체가 제1 커버로부터 분리되어 누름 동작이 불안정해질 우려가 없고, 가이드 리브의 높이만 조정하여 그 역할이 수행 가능하기에 별도의 지지를 위한 구성을 따로 추가할 필요가 없게 된다.
Claims (15)
- 커버의 외면으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키;상기 키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키의 누름 동작에 의해 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기판;상기 커버의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되어, 상기 키와 기판을 상기 커버에 고정시키는 지지플레이트; 및상기 커버의 내면과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커버의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결합부를 포함하고,상기 착탈결합부는,상기 지지플레이트에서 후크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내면에 형성된 체결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후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키와 상기 기판 사이에 누름돌기를 가진 채로 배치되어, 상기 키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누름돌기가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여 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는 누름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체.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착탈결합부는,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개구되어, 상기 커버의 내면에서 후크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후크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커버의 내면에서 돌출한 탄성 재질의 절연돌기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커버 간의 진동을 절연하는 절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체.
- 제1 및 제2 커버가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결합되어 신호를 입력받는 키패드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키패드 조립체는,상기 제1 커버의 외면으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키;상기 키의 하부에 놓이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키의 누름 동작에 의해 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기판;상기 제1 커버의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키와 기판을 상기 제1 커버에 고정시키는 지지플레이트; 및상기 제1 커버의 내면과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제1 커버의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결합부를 포함하고,상기 착탈결합부는,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1 커버 중 어느 하나에서 후크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후크부와;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1 커버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후크부가 삽입되어 체결되게 형성되는 체결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7항에 있어서,상기 키와 상기 기판 사이에 누름돌기를 가진 채로 배치되어, 상기 키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누름돌기가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여 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는 누름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삭제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상기 후크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모서리에서 하나 이상 형성되고,상기 체결홈부는 상기 제1 커버의 내면에서 상기 후크부에 대응하여 상기 후크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1 커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1 커버 사이의 진동을 절연하는 절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절연부는,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1 커버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탄성 재재질의 절연돌기와;상기 절연돌기가 배치되지 않은 상기 지지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1 커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절연돌기의 상단을 수용하는 절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제2 커버에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키패드 조립체의 지지플레트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모듈의 위치를 한정하도록 상기 제2 커버에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고,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지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3162A KR101129272B1 (ko) | 2006-03-13 | 2006-03-13 | 키패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US11/428,049 US7696425B2 (en) | 2006-03-13 | 2006-06-30 | Key pad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3162A KR101129272B1 (ko) | 2006-03-13 | 2006-03-13 | 키패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93248A KR20070093248A (ko) | 2007-09-18 |
KR101129272B1 true KR101129272B1 (ko) | 2012-03-26 |
Family
ID=38531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23162A KR101129272B1 (ko) | 2006-03-13 | 2006-03-13 | 키패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7696425B2 (ko) |
KR (1) | KR10112927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635748B (zh) * | 2008-07-24 | 2012-07-18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支撑架 |
US8665220B2 (en) | 2011-09-27 | 2014-03-04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System for securing a keypad to a housing |
KR101398141B1 (ko) | 2013-02-08 | 2014-05-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40352A (ja) | 2002-07-02 | 2004-02-05 | Sony Corp | 携帯情報通信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
KR200370673Y1 (ko) * | 2004-09-23 | 2004-12-23 | (주)싸이버뱅크 | 조작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단말기 |
KR20060001013A (ko) * | 2004-06-30 | 2006-01-06 | 주식회사 팬택 | 키버튼의 유동방지구조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
KR20060085603A (ko) * | 2005-01-24 | 2006-07-27 | 케이제이알텍(주) | 휴대용 전자기기의 스위치 모듈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33588Y (es) * | 1978-01-27 | 1978-07-16 | Teclado para telefonos. | |
US5875560A (en) * | 1996-11-21 | 1999-03-02 | Applied Material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surfaces in close proximity |
DE69902574T2 (de) * | 1999-02-01 | 2003-04-24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tockholm | Kommunikationsstation |
GB2367530B (en) * | 2000-10-03 | 2003-07-23 | Nokia Mobile Phones Ltd | User interface device |
TWI231693B (en) * | 2004-01-12 | 2005-04-21 | Asustek Comp Inc | Translucent key structu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20070007869A (ko) * | 2004-05-07 | 2007-01-16 | 선아로 가부시키가이샤 | 지지 테두리 부착 키 유닛 |
KR100629053B1 (ko) * | 2005-05-19 | 2006-09-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키 패드 어셈블리 |
KR100689392B1 (ko) * | 2005-05-19 | 2007-03-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키 패드와 그를 이용한 키 패드 어셈블리 |
KR100689394B1 (ko) * | 2005-06-28 | 2007-03-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장치용 키패드 어셈블리 |
KR100651413B1 (ko) * | 2005-07-15 | 2006-11-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키 패드 어셈블리 |
KR101111457B1 (ko) * | 2006-02-06 | 2012-02-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키패드 및 그를 적용한 이동단말기와 키입력 처리방법 |
US8139035B2 (en) * | 2006-06-21 | 2012-03-20 | Nokia Corporation | Touch sensitive keypad with tactile feedback |
-
2006
- 2006-03-13 KR KR1020060023162A patent/KR10112927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06-30 US US11/428,049 patent/US769642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40352A (ja) | 2002-07-02 | 2004-02-05 | Sony Corp | 携帯情報通信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
KR20060001013A (ko) * | 2004-06-30 | 2006-01-06 | 주식회사 팬택 | 키버튼의 유동방지구조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
KR200370673Y1 (ko) * | 2004-09-23 | 2004-12-23 | (주)싸이버뱅크 | 조작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단말기 |
KR20060085603A (ko) * | 2005-01-24 | 2006-07-27 | 케이제이알텍(주) | 휴대용 전자기기의 스위치 모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93248A (ko) | 2007-09-18 |
US7696425B2 (en) | 2010-04-13 |
US20070221041A1 (en) | 2007-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63263B1 (en) | Communication station | |
KR100530723B1 (ko) | 전자기기의 전원공급장치 | |
US7864513B2 (en) | Keypad modul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 |
US8772652B2 (en) |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 |
KR101129272B1 (ko) | 키패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
US8478365B2 (en) | Mobile terminal apparatus | |
KR100496960B1 (ko) | 디스플레이부 조립장치 | |
US7747009B2 (en) | Retaining device for mobile user devices | |
JP2012199867A (ja) | 携帯無線機 | |
JP2002009912A (ja) | 携帯端末装置 | |
KR100946531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조립구조 | |
KR20060065323A (ko) |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
KR100619856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 키 | |
KR200395873Y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잠금장치 | |
KR200172555Y1 (ko) | 휴대폰의 키패드 장착구조 | |
KR100652757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버튼 지지용 브라켓 설치구조 | |
US20070046636A1 (en) | Key pad assembly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 |
JP7547100B2 (ja) | ゲームコントローラ | |
JP4424749B2 (ja) | 携帯型通信端末機 | |
JP4455476B2 (ja) | 携帯機器 | |
KR100653781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에프피씨비 고정구조 및 그 방법 | |
JP4198126B2 (ja) | 接点端子の固定構造及び電子機器 | |
KR100628162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 |
JP2004088688A (ja) | 充電用卓上ホルダ | |
KR20050114979A (ko) |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