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867B1 - 전기침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침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867B1
KR101128867B1 KR1020090127633A KR20090127633A KR101128867B1 KR 101128867 B1 KR101128867 B1 KR 101128867B1 KR 1020090127633 A KR1020090127633 A KR 1020090127633A KR 20090127633 A KR20090127633 A KR 20090127633A KR 101128867 B1 KR101128867 B1 KR 101128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needle
stimulation
cathode
single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1158A (ko
Inventor
유회준
송기석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127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867B1/ko
Publication of KR20110071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02Using electric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02Skin piercing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17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with leads or electrodes penetrat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침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침 치료장치는, 제1 침 및 제2 침; 및 상기 제1 침 및 상기 제2 침에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된 자극 주파수에 동기화되는 단일 위상 자극 펄스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침 및 상기 제2 침에 공급하는 양방향 펄스 공급부를 포함한다.
전기침, 자극 주파수, 단일 위상 자극 펄스, 양방향 펄스 공급부

Description

전기침 치료장치{ELECTRICAL NEEDLES THERAPHY APPARATUS}
본 발명은 전기침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침 치료기는, 차세대 대체 의료 분야에 적용가능하게 되어, 동양뿐만 아니라 서양에서도 관심을 받고 있다. 따라서, 최근 전기침 치료기는 의료뿐 만 아니라, 비만, 제모 등의 미용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전기침 치료기는 치료를 위한 전기 자극 한 채널이 자극용 침과 접지용 침이 분리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환자의 안전을 위하여는, 환자에 유입되거나 빠져나오는 전하의 중성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전기침 치료기를 구성하는 자극용 침에서 유입되는 전하와 자극용 침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전하의 양이 같아야 한다. 따라서, 기존의 전기침 치료기는 이중 위상 자극 회로를 사용하여 단방향에서 전하 중성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침 치료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침 치료기는, 자극용 침(10a), 접지용 침(10b), 자극용 침(10a)과 접지용 침(10b)에 연결된 이중 위상 자극 회로(미도시)로 구성된다.
종래의 전기침 치료기는, 자극용 침(10a)과 접지용 침(10b)이 나누어져 있어 단방향으로만 전기 자극(화살표로 도시)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기침 치료기는, 전하 중성화를 위하여 자극용 침에서 유입되는 전하가 이중 위상으로 유입이 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종래의 전기침 치료기는, 불필요한 이중 위상 자극 회로가 포함이 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전기침을 자극용 침과 접지용 침으로 교대로 동작하게 하는 것에 의하여, 기존의 이중 위상 자극 회로를 사용하지 않고도 인체에 전하의 유입과 유출을 교대로 반복하여 전하 중성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전기침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단방향 전기 자극을 사용하는 전기침 치료장치의 이중 위상 자극 회로를 사용하지 않는 것에 의하여, 불필요한 하드웨어가 설치되는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나아가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전기침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침 치료장치는, 제1 침 및 제2 침; 및 상기 제1 침 및 상기 제2 침에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된 자극 주파수에 동기화되는 단일 위상 자극 펄스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침 및 상기 제2 침에 공급하는 양방향 펄스 공급부를 포함한다.
양방향 펄스 공급부는, 자극 주파수에 동기화되는 단일 위상 자극 펄스를 생성하는 단일 위상 자극부; 및 단일 위상 자극부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단일 위상 자극 펄스를 양극 펄스 및 음극 펄스로 분배하여 상기 양극 펄스는 상기 제1 침에 공급하고 상기 음극 펄스는 상기 제2 침에 공급하는 자극 방향 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극 주파수의 한 주기에 포함되는 상기 양극 펄스의 폭과 크기의 곱의 총합은 동일 주기에 포함되는 상기 음극 펄스의 폭과 크기의 곱의 총합과 동일하다.
자극 방향 결정부는, 양극 펄스 및 음극 펄스를 자극 주파수에 동기화시킨 다.
또한, 자극 방향 결정부는, 상기 자극 주파수의 상승 엣지 영역에서는 상기 양극 펄스를 상기 제1 침으로 공급하고, 상기 자극 주파수의 하강 엣지 영역에서는 상기 음극 펄스를 상기 제2 침으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자극 주파수의 한 주기에 포함되는 상기 양극 펄스와 상기 음극 펄스의 개수비는 1: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극 주파수의 한 주기에 포함되는 상기 양극 펄스와 상기 음극 펄스의 개수비는 m:n (m, n은 정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전기침을 자극용 침과 접지용 침으로 교대로 동작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이중 위상 자극 회로를 사용하지 않고도 인체에 전하의 유입과 유출을 교대로 반복하여 전하 중성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단방향 전기 자극을 사용하는 전기침 치료장치의 이중 위상 자극 회로를 사용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하드웨어가 설치되는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나아가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 외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침 치료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침 치료장치는, 한 쌍의 전기침(100), 양방향 펄스 공급부(200)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기침이 한 쌍의 전기침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전기침일 수 있다.
한 쌍의 전기침(100)은, 어느 하나의 전기침이 자극용 침으로 작동되고, 다른 하나의 전기침이 접지용 침으로 작동된다. 또한, 한 쌍의 전기침(100)은, 외부의 양방향 펄스 공급부로부터 그 내부의 전류의 크기 및 위상이 제어되고, 제어된 전류의 크기 및 위상을 이용하여 인체(Human Body, H.B)를 치료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전기침 치료장치는 환자의 안전을 위하여 주입된 전하량과 빠져 나오는 전하량이 같도록 전하 중성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때, 전하 중성화가 이루어지면, 인체에 오랜 시간동안 전기 자극을 가하였을 때, 인체에 전하가 쌓이지 않게 된다., 일반적인 전기침 치료장치에서는, 전기침이 자극용 침과 접지용 침으로 구분되어 각각이 양극 또는 음극의 단방향으로만 전기 자극이 이루어져 전하 중성화를 위하여 자극용 침에서 유입되는 전하가 이중 위상으로 유입되어야 했기 때문에, 별도의 이중 위상 자극 회로가 구비되어야 했다. 그러나, 본 전기침 치료장치에서는, 한 쌍의 전기침(100)이, 이러한 기존의 나누어진 전기침을 교대로 각각이 자극용 침과 접지용 침으로 동작하게 함으로써, 전기 자극의 방향을 양극 또는 음극으로 교대로 바꾸어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하가 인체(H.B)로 유입되는 것과 인체(H.B)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교대로 반복하여, 기존의 이중 위상 자극 회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하 중성화가 이룰수 있다. 한편, 음극 및 양극은 전기 자극을 위한 1 채널을 형성하는 한 쌍의 침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전기 자극은 자극 주파수에 동기화되어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양방향 펄스 공급부(200)는, 단일 위상 자극부(220)와 자극 방향 결정부(210)를 포함한다.
단일 위상 자극부(220)는, 자극 주파수에 대하여 단일 위상 자극 펄스를 생성한다. 단일 위상 자극부(22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자극 주파수에 동기화된 단일 위상 자극 펄스를 생성한다.
자극 방향 결정부(210)는, 단일 위상 자극부(220)에 의하여 생성된 단일 위상 자극 펄스를 양극 펄스 및 음극 펄스로 분배하여 한 쌍의 전기침 치료기(100)에 교대로 공급한다. 자극 방향 결정부(210)는, 분배된 양극 펄스 및 음극 펄스를 한 쌍의 전기침(100) 중 어느 하나의 침에는 양극 펄스를 공급하고, 다른 하나의 전기침에는 음극 펄스를 공급한다. 이때, 양극 펄스 및 음극 펄스는 단일 위상 자극부(220)에 공급된 자극 주파수에 동기화된다. 예를 들면, 자극 방향 결정부(210)는, 자극 주파수의 상승 엣지(rising edge) 영역에서는 양극 펄스를 공급하고, 자 극 주파수의 하강 엣지(falling edge) 영역에서는 음극 펄스를 공급한다. 양극 펄스 및 음극 펄스가 자극 주파수에 동기화되는 것에 관하여는 도 4 및 도 5의 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의 전기침 치료장치의 단일 위상 자극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침 치료장치의 단일 위상 자극부는, 자극 주파수에 맞추어 단일 위상 자극 펄스를 생성한다.
단일 위상 자극부(도 2의 220)는, 외부로부터 자극 주파수가 공급되고, 그 자극 주파수의 상승 엣지 영역이나 하강 엣지 영역에 동기화되는 단일 위상 자극 펄스를 생성하여, 자극 방향 결정부(도 2의 210)로 공급한다.
도 4는 도 2의 전기침 치료장치의 자극 방향 결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침 치료장치의 자극 방향 결정부(도 2의 210)는, 도 3에서의 단일 위상 자극부(도 2의 220)에서 만든 단일 위상 자극 펄스를 한 쌍의 전기침(도 2의 100)으로 적절하게 분배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자극 방향 결정부는, 단일 위상 자극부에서 만든 단일 위상 자극 펄스를 양극 펄스 및 음극 펄스로 분배하여, 분배된 양극 펄스 및 음극 펄스를 한 쌍의 전기침 각각으로 공급해준다. 한편, 도 4에서는 자극 방향 결정부가, 단일 위상 자극 펄스를 양극 펄스 및 음극 펄스로 1:1 방식으로 분배하는 것을 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단일 위상 자극 펄스를 양극 펄스 및 음극 펄스로 분배하는 비율은, 필요에 따라 2:1, 3:2..., m:n (m, n은 정수)로 조절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전기침 치료장치의 양방향 전기자극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침 치료장치는, 단일 위상 자극 펄스를 분배하여 한 쌍의 전기침에 교대로 공급한다. 도 5는 음극 및 양극의 양방향으로 전기 자극을 수행하는 전기침 치료장치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음극 및 양극은 전기 자극을 위한 1 채널을 형성하는 한 쌍의 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침 치료장치는, 한 쌍의 전기침에서 여러가지 분배방식(도 5는 1:1 분배방식을 도시한 것이다.)으로 전기 자극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분배방식으로 음극 및 양극의 양방향으로 전기 자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양방향 펄스 공급부는, 단일 위상 자극부에 공급되는 자극 주파수를 동기화 신호로 공유한다. 이때, 양방향 펄스 공급부는, 동기화 신호의 상승 엣지 영역(rising edge, 이하 Re라 한다.)에서는 양극이 자극용 침(100a)으로 쓰이게 되고, 음극이 접지용 침(100b)으로 쓰이게 되도록 함으로써, 전기 자극(A)이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폴링 엣지 영역(falling edge, 이하 Fe라 한다.)에서는 음극이 자극용 침(100b)으로 쓰이게 되고, 양극이 접지용 침(100a)으로 쓰이게 되도록 함으로써, 전기 자극(B)이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양방향 펄스 공급부는, 동기화 신호의 상승 엣지 영역(Re) 및 하강 엣지 영역(Fe)에서 자극의 방향을 교대로 바꾸어 주고, 이를 통해 인체에 유입되는 전하량이 서로 상쇄되도록 하여 전하 중성화를 이루지도록 한다. 또한, 양방 향 펄스 공급부는, 1:1에서 m:n과 같은 분배하는 방식을 달리하여 자극을 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2의 전기침 치료장치의 펄스 분배 방식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침 치료장치는, 한 쌍의 전기침에서 여러가지의 펄스 분배 방식을 통하여 전기자극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펄스 분배 방식에 의하여 음극 및 양극 방향으로 전기 자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6은, 여러가지 펄스 분배 방식의 예로서, 1:1 분배방식, 2:1 분배방식, 3:2 분배방식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이때, 여러가지의 펄스 분배 방식은, m:n으로 일반화된다. 예를 들면, 1:1 분배방식은,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하는 전하 펄스와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는 전하 펄스의 개수가 1:1 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m:n분배 방식은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하는 전하 펄스와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는 전하 펄스의 개수가 m:n 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하는 전하량과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는 전하량이 자극 주기 내에서는 같아야 전하 중성화가 이루어지고, 전하 중성화가 이루어져야 오랜 시간 동안 인체를 자극을 하였을 때 인체에 전하가 쌓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전기침을 자극용 침과 접지용 침으로 교대로 동작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이중 위상 자극 회로를 사용하지 않고도 인체에 전하의 유입과 유출을 교대로 반복하여 전하 중성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단방향 전기 자극을 사용하는 전기침 치료장치의 이중 위상 자극 회로를 사용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하드웨어가 설치되는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나아가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침 치료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침 치료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전기침 치료장치의 단일 위상 자극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의 전기침 치료장치의 자극 방향 결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2의 전기침 치료장치의 양방향 전기자극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2의 전기침 치료장치의 펄스 분배 방식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Claims (6)

  1. 제1 침 및 제2 침; 및
    상기 제1 침 및 상기 제2 침에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된 자극 주파수에 동기화되는 단일 위상 자극 펄스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침 및 상기 제2 침에 공급하는 양방향 펄스 공급부를 포함하는, 전기침 치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펄스 공급부는,
    상기 자극 주파수에 동기화되는 단일 위상 자극 펄스를 생성하는 단일 위상 자극부; 및
    상기 단일 위상 자극부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단일 위상 자극 펄스를 양극 펄스 및 음극 펄스로 분배하여 상기 양극 펄스는 상기 제1 침에 공급하고 상기 음극 펄스는 상기 제2 침에 공급하는 자극 방향 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극 주파수의 한 주기에 포함되는 상기 양극 펄스의 폭과 크기의 곱의 총합은 동일 주기에 포함되는 상기 음극 펄스의 폭과 크기의 곱의 총합과 동일한, 전기침 치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방향 결정부는, 상기 양극 펄스 및 상기 음극 펄스를 상기 자극 주파수에 동기화시키는, 전기침 치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방향 결정부는,
    상기 자극 주파수의 상승 엣지 영역에서는 상기 양극 펄스를 상기 제1 침으로 공급하고,
    상기 자극 주파수의 하강 엣지 영역에서는 상기 음극 펄스를 상기 제2 침으로 공급하는, 전기침 치료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주파수의 한 주기에 포함되는 상기 양극 펄스와 상기 음극 펄스의 개수비는 1:1인, 전기침 치료장치.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주파수의 한 주기에 포함되는 상기 양극 펄스와 상기 음극 펄스의 개수비는 m:n (m, n은 정수)인, 전기침 치료장치.
KR1020090127633A 2009-12-21 2009-12-21 전기침 치료장치 KR101128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633A KR101128867B1 (ko) 2009-12-21 2009-12-21 전기침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633A KR101128867B1 (ko) 2009-12-21 2009-12-21 전기침 치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158A KR20110071158A (ko) 2011-06-29
KR101128867B1 true KR101128867B1 (ko) 2012-03-26

Family

ID=4440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633A KR101128867B1 (ko) 2009-12-21 2009-12-21 전기침 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8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2055A (zh) * 2016-07-21 2017-02-22 王晓 一种骨科治疗仪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214Y1 (ko) 2000-06-09 2000-11-15 김수진 전자적으로 침을 시술하는 장치
KR20070079964A (ko) * 2007-07-18 2007-08-08 장복현 레이저 저주파 부항기 이온영동 자석침 의 조화 치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214Y1 (ko) 2000-06-09 2000-11-15 김수진 전자적으로 침을 시술하는 장치
KR20070079964A (ko) * 2007-07-18 2007-08-08 장복현 레이저 저주파 부항기 이온영동 자석침 의 조화 치료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대한전자공학회)
논문2.(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2055A (zh) * 2016-07-21 2017-02-22 王晓 一种骨科治疗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158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7022B2 (en) Architectures for sharing of current sources in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10207109B2 (en) System for combining electrical waveforms into a combined electrical waveform
EP2968932B1 (en) Neuromodulation system for providing multiple modulation patterns in a single channel
EP3791923A1 (en) Interleaved multi-contact neuromodulation therapy with reduced energy
EP2866888B1 (en) System for compounding low-frequency sources for high-frequency neuromodulation
CN101687097B (zh) 神经刺激系统
US201303041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ped phased current delivery
US200300931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al stimulation
EP3755426B1 (en) Stimulation waveforms with high-and low-frequency aspects in an implantable stimulator device
KR101128867B1 (ko) 전기침 치료장치
CN102488966B (zh) 一种电针
US201503358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burst and tonic stimulation
US1018886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ombined tonic DBS and random DBS
US201400319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large diameter nerve fiber stimulation using sequential activation of electrodes
US11160726B2 (en) Plasma stimulation apparatus and acupuncture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230310854A1 (en) Alternating electric field waveform for electrosensation reduction
CN104548339A (zh) 一种微电流刺激仪控制系统
KR101913025B1 (ko) 플라즈마 자극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침술 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