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739B1 - 만보기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만보기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739B1
KR101126739B1 KR1020100023868A KR20100023868A KR101126739B1 KR 101126739 B1 KR101126739 B1 KR 101126739B1 KR 1020100023868 A KR1020100023868 A KR 1020100023868A KR 20100023868 A KR20100023868 A KR 20100023868A KR 101126739 B1 KR101126739 B1 KR 101126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obile phone
pedometer
phone case
bluetooth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4776A (ko
Inventor
최재붕
이정민
이현부
김유경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23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739B1/ko
Publication of KR20110104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2/00Measuring distance traversed on the ground by vehicles, persons, animals or other moving solid bodies, e.g. using odometers, using pedometers
    • G01C22/006Pedo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easurement Of Distances Traversed On The Gr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만보기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는 만보기 센서; 상기 만보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운동 감지 신호를 외부에 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 그 내부에 상기 만보기 센서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는 그 내부에 휴대폰 예비 전지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공간 및 그 내부에 보조 전지를 수용하기 위한 제 2 공간을 가지며; 상기 본체의 선단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상기 본체와 함께 휴대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결합 돌출부; 상기 본체의 배면에 장착되는 태양 전지 패널;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태양 전지 패널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의 상기 휴대폰 예비 전지 및 상기 보조 전지로의 충전을 제어하며, 상기 만보기 센서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만보기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Cell Phone Case Having function of Pedometer}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만보기에 의해 계측된 도보 량을 전송할 수 있는 만보기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외출시 늘 휴대해야 하는 물품으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휴대성으로 인해 휴대폰에는 다양한 기능과의 결합이 시도되고 있다. 현재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의 경우, 휴대폰의 본연의 기능인 통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장착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하고 있다.
또한, 현대인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운동에 대한 관심이 날로 커지고 있으며, 자신의 운동량을 체크하기 위해 운동량을 표시하여 주는 장치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 중 하나인 만보기는 공지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만보기를 휴대하고 보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보행 횟수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운동 거리를 알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만보기의 경우, 자신의 운동량을 점검하는 것으로, 미 휴대시 일반 생활에 불편함이 없어, 사용자의 사용을 지속시키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만보기를 의식적으로 휴대하지 않으면서도 항상 그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무엇인가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만보기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만보기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는 만보기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만보기 센서; 상기 만보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운동 감지 신호를 외부에 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 그 내부에 상기 만보기 센서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는 그 내부에 휴대폰 예비 전지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공간 및 그 내부에 보조 전지를 수용하기 위한 제 2 공간을 가지며; 상기 본체의 선단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상기 본체와 함께 휴대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결합 돌출부; 상기 본체의 배면에 장착되는 태양 전지 패널;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태양 전지 패널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의 상기 휴대폰 예비 전지 및 상기 보조 전지로의 충전을 제어하며, 상기 만보기 센서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결합 돌출부의 선단이 L자 형으로 절곡되며, 상기 본체 및 상기 결합 돌출부는 일체로 형성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본체 및 상기 결합 돌출부의 재료는 실리콘 또는 고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 케이스에 만보기 기능을 부여하고, 휴대폰에 운동량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휴대폰을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보행량을 체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에는 예비용 휴대폰 배터리를 넣을 수 있는 구조로, 일상 생활에서는 예비용 휴대폰 배터리 캐리어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만보기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와 휴대폰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를 절단한 단면의 요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만보기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와 휴대폰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만보기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의 내부 회로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만보기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와 휴대폰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를 절단한 단면의 요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만보기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와 휴대폰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만보기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의 내부 회로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먼저,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시된 만보기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100)는 본체, 결합 돌출부(110) 및 태양 전지 패널(151)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비상 배터리(150), 블루투스 모듈(120), 제어 회로(130), 휴대폰 예비 배터리(140), 및 만보기 센서(160)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 돌출부(110)는 상기 본체의 선단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본체와 함께 휴대폰(1)을 수용하기 위한 휴대폰 수용 공간(111)을 형성한다.
상기 태양 전지 패널(15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의 배면에 장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돌출부(110)의 선단은 L자 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휴대폰 수용 공간(111) 내의 휴대폰(1)이 본 케이스(10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본체 및 상기 결합 돌출부(110)는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 및 상기 결합 돌출부(110)의 재료는 실리콘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본체 및 상기 결합 돌출부(110)의 재료로 고무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 및 상기 결합 돌출부(110)의 재료로 다양한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 회로(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보조 배터리(150) 및 상기 휴대폰 예비 배터리(14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태양 전지 패널(151)로부터 발생되는 전기를 상기 보조 배터리(150) 및 상기 휴대폰 예비 배터리(140)에 제공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150) 및 상기 휴대폰 예비 배터리(140)를 충전시킨다. 상기 보조 배터리(150)는 시판 중인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술한 만보기 기능을 갖는 케이스(100)는 결합할 휴대폰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만보기 기능을 갖는 케이스(100)를 현재 시판 중인 스마트폰에 적용하는 경우, 본 케이스의 넓이는 스마트폰과 큰 차이가 없으며, 두께는 스마트폰 대비 대략 2~3배 정도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안정적인 제품 내구성과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크기 및 무게감을 줄 수 있는 크기로, 휴대에 불편함이 없는 사이즈일 것이다.
도 4에서, 사용자가 본 케이스(100)를 휴대하는 경우, 사용자가 보행함에 따라, 보행을 상기 만보기 센서(160)에서 감지하며, 상기 보행 감지 데이터는 블루투스 모듈(120)을 통해 케이스(100)에 장착된 휴대폰(111)에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휴대폰(111)의 만보기 응용 프로그램은 수신된 상기 보행 감지 데이터를 처리하여, 보행량을 휴대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보행 데이터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만보기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만보기 센서;
    상기 만보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운동 감지 신호를 외부에 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
    휴대폰 예비 전지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공간 및 보조 전지를 수용하기 위한 제 2 공간을 내부에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선단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상기 본체와 함께 휴대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결합 돌출부;
    상기 본체의 배면에 장착되는 태양 전지 패널; 및
    상기 태양 전지 패널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의 상기 휴대폰 예비 전지 및 상기 보조 전지로의 충전을 제어하며, 상기 만보기 센서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만보기 센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보기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출부의 선단이 L자 형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보기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결합 돌출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보기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결합 돌출부의 재료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보기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결합 돌출부의 재료는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보기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20100023868A 2010-03-17 2010-03-17 만보기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1126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868A KR101126739B1 (ko) 2010-03-17 2010-03-17 만보기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868A KR101126739B1 (ko) 2010-03-17 2010-03-17 만보기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776A KR20110104776A (ko) 2011-09-23
KR101126739B1 true KR101126739B1 (ko) 2012-03-29

Family

ID=44955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868A KR101126739B1 (ko) 2010-03-17 2010-03-17 만보기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7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871B1 (ko) * 2016-12-28 2018-12-06 최경훈 스마트폰 케이스
CN113489815A (zh) * 2021-07-27 2021-10-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720A (ja) 1998-12-17 2000-06-27 Toshiba Corp 携帯無線端末用ケー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720A (ja) 1998-12-17 2000-06-27 Toshiba Corp 携帯無線端末用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776A (ko) 201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4678B1 (ko) 이동 단말기
US8787006B2 (en) Wrist-wor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therefor
EP3114824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contoured surfaces
JP6094198B2 (ja) 携帯型電子装置、通信システム、報知動作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57325B1 (ko) 광 센서들을 이용한 광통신
US20120268268A1 (en) Mobile sensory device
US20150342525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WO2015015047A1 (en) Distance estimation
CN105093913A (zh) 智能手表、操作控制方法及装置
US8995141B1 (en) Connector pin on springs
CN209594090U (zh) 电子设备
CN103631369A (zh) 电子设备以及控制方法
TWI581537B (zh) 行動顯示系統以及行動顯示裝置
CN207979138U (zh) 一种无线充电式低功耗智能手环
JP2017027465A (ja) 電子デバイスシステム、電子デバイス用カバー、及び電子デバイス
CN105359072A (zh) 触摸屏附属配件
KR102064618B1 (ko) 웨어러블 전자기기
EP3598338B1 (en) Fingerprint acquisition method and related product
EP2996316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munication management between an electronic device and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1126739B1 (ko) 만보기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CN103017878A (zh) 一种蓝牙电子称重仪
ES1142331U (es) Método de operación y Dispositivo SmartWatch con capacidad de control gestual.
CN104516564A (zh) 触控装置的警示方法及触控装置的警示系统
CN204925648U (zh) 智能手表
KR20170026811A (ko) 스마트 워치의 내장 가속도 센서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행동 인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