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040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in self powered clock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in self powered clock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040B1
KR101126040B1 KR1020040052363A KR20040052363A KR101126040B1 KR 101126040 B1 KR101126040 B1 KR 101126040B1 KR 1020040052363 A KR1020040052363 A KR 1020040052363A KR 20040052363 A KR20040052363 A KR 20040052363A KR 101126040 B1 KR101126040 B1 KR 101126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module
mobile communication
tim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23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03469A (en
Inventor
강용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2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040B1/en
Publication of KR20060003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4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0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체전원 시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과 이를 기본 정보로 사용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되어 있어 시간 정보가 중요하지만, 이러한 시간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받으므로, 기지국과 통신이 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시간 정보를 전혀 알 수 없어 상기 시간 표시나 시간정보 기반 어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자체적인 전원을 통해 구동되는 시계모듈을 더 구비하고,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부가 기지국과 통신이 되는 경우 상기 시계모듈의 시간 정보를 갱신하여 시간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고, 기지국과 통신이 되지 않거나 전원 차단 중에 단순히 시간 정보만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시계 모듈의 시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 환경에 상관없이 시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어 사용자 편의를 높이며, 자체전원으로 시계가 구동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가 없는 경우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시계 모듈과 표시부만 제한 동작시켜 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 확인을 위한 환경적 제약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lf-powered clock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However,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function of displaying time information and various applications using the same as basic information, but time information is important. Since the tim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es not know the time information at all when there is no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so that the time display or time information based application does not operate normally.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lock module driven by its own power sour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er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the time information of the clock module is updated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time inform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by providing time information regardless of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time information of the clock module can be used in case the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not performed or if the user simply wants to check only the time information during power off. Since the clock is powered by its own power source, even when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present or the power is cut off, only the clock module and the display can be operated to check the time information. It works.

Description

자체전원 시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IN SELF POWERED CLOCK AND OPERATION METHOD THEREOF}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IN SELF POWERED CLOCK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보이는 순서도.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내부 LCD 11: 시계모듈10: internal LCD 11: clock module

12: 외부 LCD 13: RF 통신부12: external LCD 13: RF communication unit

14: 제어부 15: 시계모듈 전원14: control unit 15: clock module power

16: 배터리부 17: 키패드부16: battery section 17: keypad section

18: 메모리부18: memory

본 발명은 자체전원 시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지국과 통신하지 못하는 경우나 이동통신 단말 기가 정상 동작 중이 아닌 경우라도 시간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자체전원 시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lf-powered clock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in particular, in order to accurately check the time eve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not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or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in normal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ower clock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대단히 폭넓게 확산됨에 따라 많은 사용자 층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러한 많은 사용자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성능들을 자유롭게 활용하고 있다. As the us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s become very widespread, they have many user bases, and many of them have free use of various capabilitie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적인 활용방법으로 손꼽히는 것은 단연 음성 통화와 시계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시계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여러 기능들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기본 기능으로서, 이러한 시계 기능에 의한 시간 정보는 여러 내장 어플리케이션들의 기본 정보로서 이용된다. 또한, 최근에는 내부 표시부 외에 외부에서 곧바로 확인할 수 있는 외부 표시부가 부가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이러한 외부 표시부가 부가된 폴더형 및 항상 표시부가 노출되어 있는 플립형, 슬라이드형, 회전형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시간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점차 사용자들이 손목시계 대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기능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One of the basic methods of using a mobile terminal is by far a voice call and a clock function. Among them, the clock function is a basic function that is essentially used in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ime information by the clock function is used as basic information of various built-in applications. In addition, in recent years,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he external display is added in addition to the internal display, which is immediately visible from the outside, there is a trend of proliferation, such as the flip-type, slide-type, As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time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rotary type, users are increasingly using the clock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stead of the wristwatch.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LCD(1)와 외부 LCD(2)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보인 것이다. 표시부 구조만 제외하면 대부분의 이동통신 단말기도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hows a structure of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nternal LCD 1 and an external LCD 2 as shown. Except for the display unit structure, mo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a similar structure.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무선(RF)통신부(3), 통신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제어하는 제어부(4),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 모리부(5),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키패드부(7), 그리고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6)로 이루어진다. As show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radio (RF) communication unit 3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 control unit 4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nd applications, a memory unit 5 storing various information, and a user input. A keypad portion 7 for receiving and a battery 6 for providing power.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기지국과 상기 RF 통신부(3)를 통해 주기적으로 통신을 실시하는데, 이때, 기지국으로부터 시간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기반으로 시간을 표시하고, 시간 정보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을 동작시킨다. 특히, 도시된 복수의 표시부를 구비한 폴더형의 경우 외부 폴더에 항상 혹은 선택적으로 시간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base station and the RF communication unit 3 performs periodic communication. In this case, time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time is displayed based on the time. Operate information-related application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lamshell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shown in the drawing, time information is always or selectively displayed in an external folder so that the user can use it usefully.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계 기능은 자체적인 시계모듈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시간정보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시간의 정확성 측면과 사용자의 설정이 불필요하다는 측면에서는 뛰어나지만, 통신 환경의 변화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이 되지 않는다면 시간정보를 얻을 수 없어 이동통신 단말기가 시간을 표시하지 못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lock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based on its own clock module but is excellent in terms of accuracy of time and unnecessary user setting because it uses time information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if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not possible due to a change i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re is a fatal problem that the time information cannot be obtaine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not display the time.

즉, 지하나 산속, 바다위 등이나 전파 차폐 구조물이 있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시간 정보를 알 수 없고, 상기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구동되는 다양한 부가 기능들(알람, 스케줄 관리 등)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게 된다. That is, if there is a radio wave shielding structure in the basement, in the mountains, on the sea, etc., the mobile terminal does not know the time information, and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alarm, schedule management, etc.) driven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operate normally. You won't be able to.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과 이를 기본 정보로 사용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되어 있어 시간 정보가 중요하지만, 이러한 시간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받으므로, 기 지국과 통신이 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시간 정보를 전혀 알 수 없어 상기 시간 표시나 시간정보 기반 어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function for displaying time information and various applications using the same as basic information, but time information is important, but since the tim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he communication with the station is not possib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not know the time information at all, and there is a fatal problem that the time display or the time information based application does not operate normally.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자체적인 전원을 통해 구동되는 시계모듈을 더 구비하고,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부가 기지국과 통신이 되는 경우 상기 시계모듈의 시간 정보를 갱신하여 시간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고, 기지국과 통신이 되지 않거나 전원 차단 중에 단순히 시간 정보만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시계 모듈의 시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 환경에 상관없이 시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한 자체전원 시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lock module driven by its own power sour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er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the time information of the clock module is updated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time information. Self-powered clock to provide time information to the user regardless of communication environment by increasing the time, and allowing time information of the clock module to be used only when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or when power is simply wanted to check time inform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어 신호에 의해 시간을 갱신하거나 현재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시계 모듈과; 필요시 상기 시계 모듈의 지속적인 구동을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시계 모듈 전원과; 시간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시계 모듈을 제어하여 시간 정보를 갱신 또는 획득하고, 필요시 상기 표시부에 시간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lock module for updating the time by the control signal or providing current time information; A clock module power source for supplying power for continuous driving of the clock module if necessary;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ime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clock module to update or obtain time information, and to display time on the display unit if necessary.

상기 시계 모듈은 표시부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 전원이 시스템에 제공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상기 시계 모듈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에 시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ch module may be connected to a display unit to display tim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by using the watch module power if the user desires eve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ttery power is not provided to the system.

상기 시계 모듈 전원은 사용자가 교체할 수 있는 소형 배터리이거나 이동통 신 단말기 배터리 전원에 의해 충전이 가능한 충전식 소형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lock module power source may be a small battery that can be replaced by a user or a rechargeable small battery that can be charged by a batter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지국과 통신하여 정확한 시간 정보를 획득할 경우 이를 내장된 시계 모듈에 제공하여 시계 모듈의 시간을 갱신하는 단계와; 이동통신 단말기 통신 상태에 따라 기지국과 통신이 되지 않는 경우 내장된 시계 모듈로부터 시간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updating the time of the clock module by providing a built-in clock modul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btains accurate time information by 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The method may include obtaining and using time information from a built-in clock module when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is not possible accord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tat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통신 상태가 불량하여 기지국과 통신이 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기는 상기 시계 모듈로부터 획득한 시간 정보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면서 슬립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bad communication state and cannot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the controll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lude entering a sleep mode while providing only the tim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lock module to the user.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인 구성에 추가적으로 시계 모듈(11) 및 상기 시계 모듈(11)에 독립적인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자체 전원(15)이 더 구성되며, 상기 시계 모듈(11)과 외부 LCD(12)가 연결되어 상기 시계 모듈(11)이 상기 외부 LCD(12)를 직접 제어하여 시간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시계 모듈(11)이 외부 LCD(12)를 직접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부가적인 기능을 부가하기 위한 것이며, 이렇게 시계 모듈(11)이 외부 LCD(12)를 직접 제어할 수 없는 경우에도 제어부(14)를 워치독(watch dog) 기능을 가진 슬립모드로 동작시킨 다면 이동통신 단말기 시스템을 부팅하지 않고서도 단순 시계표시가 가능하다. 특히 최근에는 여러 개의 서브 제어기와 주 제어기로 이루어진 제어부를 구성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들 중 하나의 서브 제어기를 이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단순히 외부 LCD(12)를 제어하거나 시계모듈(11)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shown in FIG. 2, a self-power source for providing an independent power source to the clock module 11 and the clock module 11 in addition to the basic configuration. 15 is further configured, and the clock module 11 and the external LCD 12 are connected so that the clock module 11 can directly control the external LCD 12 to display time. 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clock module 11 to directly control the external LCD 12 is to add an additional fun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clock module 11 may directly control the external LCD 12. Even if it is not possible to operate the control unit 14 in the sleep mode with a watch dog (watch dog) function is possible to display a simple clock without boo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In particular, recently, since a control unit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controllers and a main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one sub-controller may be used. Therefore, the controller may simply control the external LCD 12 or obtain information from the clock module 11. Can be made in various ways.

상기 시계 모듈(11)은 지정된 시간 정보를 독립적으로 카운팅 하면서 년, 월, 일, 시간, 요일 정보 등을 스스로 갱신하는 동작을 지속하며, 간단한 직병렬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시간 정보를 갱신하거나 읽어올 수 있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전원을 이용하여 이들 중 전압이 높은 전원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부가된 자체전원(15) 외에도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16)와도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16)의 전압이 충분한 경우 이를 전원으로 구동되다가 그 전압이 낮아지거나 배터리가 분리되는 경우에는 부가된 자체전원(15)을 이용하여 구동을 지속할 수 있다. The clock module 11 continuously updates the year, month, day, time, day of the week information, etc. while counting the designated time information independently, and updates or reads the time information using a simple serial-to-parallel communication means.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and may be configured to be driven by a high power of these voltage using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added self power source 15 is also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ttery 16, when the volt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ttery 16 is driven when the power is lowered or when the voltage is lowered or the battery is disconnected Driving can be continued using the added self-power source 15.

상기 자체전원(15)은 사용자가 교환할 수 있는 소형 배터리일 수 있으나, 지속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 전원에 의해 충전이 가능한 충전식 소형 배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elf-power source 15 may be a small battery that can be replaced by the user, but for continuous use, the rechargeable small battery may be charged by the mobile terminal battery power.

따라서, 상기 구성을 이용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과 통신이 정상적으로 실시되어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정확한 시간 정보로 상기 시계 모듈(11)의 시간을 재 설정하여 정확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기지국과 통신이 실시되지 않아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시계 모듈(11)로부터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시간 관련 처리(단순 시계 표시, 알람이나 스케쥴과 같은 시간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를 실시할 수 있으며, 어차피 통신이 되지 않기 때문에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통화 불가 표시를 나타내면서 제어부(14)가 슬립모드에 진입한 후 주기적으로 깨어나면서 통화여부를 확인하도록 함과 동시에 시계표시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using the configur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set the correct time by resetting the time of the clock module 11 with the correct time information when the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normally performed to receive the time information, If the time information cannot be received because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not performed, the time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clock module 11 to perform time-related processing (operation of a time-based application such as simple clock display, alarm or schedule). In addition, since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anyway, the controller 14 wakes up periodically after entering the sleep mode and displays whether or not the call is mad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designer. have.

또한, 전원을 차단했거나 배터리가 없는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시계 모듈(11)과 외부 LCD(12)(그리고, 필요한 경우 소정의 제어 수단도 함께)가 동작하여 사용자에게 시간을 알려줄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power is cut off or there is no battery, the clock module 11 and the external LCD 12 (and a predetermined control means, if necessary) can be operated to inform the user of the user's selection. .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구성을 이용하는 과정을 보인 순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여부와 사용자의 시계표시 선택 여부에 따른 동작 과정을 보인 것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using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2, and illustrates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whether a communication is made and whether a user's watch display is selected as illustrated.

먼저, 단말기의 전원을 인가하면 단말기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시도하게 되는데, 정상적으로 기지국을 찾는다면 정상적인 동작을 실시하면서 내장된 시계 모듈의 시간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시간 정보로 갱신한다. 이는 최초 전원인가 시 한번만 실시할 수 있고, 기지국과 통신이 성공하는 경우(통신 불량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만 단발로 실시할 수도 있으며, 주기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First, when the power of the terminal is applied, the terminal attempts to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If the base station is normally found, the terminal updates the time of the embedded clock module with tim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while performing normal operation. This can be done only once when the initial power is applied, or it can be done only once or only periodically when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successful (when it is out of communication failure).

만일, 단말기 전원을 인가한 경우나 정상적인 상태로 동작중인 경우에 기지국과 통신이 되지 않는 다면 기지국으로부터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없으며, 정상적인 통신도 실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때 제어부는 슬립 모드로 동작하고, 내장된 시계모듈로부터 얻어지는 시간 정보가 표시부에 표시된다. 이는 시계 모듈 이 직접 표시부를 구동하여 시간을 표시하는 방법과, 제어부가 주기적으로 슬립 모드에서 깨어나 통신 상태를 확인하면서 시계모듈로부터 얻은 시간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If the terminal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when the terminal power is applied or is operating in a normal state, time information may not be obtained from the base station, and normal communication may not be performed. Therefor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operates in the sleep mode, and tim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built-in clock modul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clock module may directly drive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time, and the controller periodically wakes up from the sleep mode to check the communication state and displays the time obtained from the clock module on the display unit.

만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차단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시계 구동을 위한 입력 수단을 조작하면, 내장된 시계모듈에 의해 지속적으로 갱신되고 있는 실제 시간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표시부에 표시해 줄 수 있다. 이는 전술된 바와 같이 내장된 시계모듈이 표시부를 제어하여 표시하거나, 제어부가 잠시 이용되어 시간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방법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 전원이 차단된 경우, 단말기 배터리에 전원이 남아 있다면 이를 이용할 수 있으며, 단말기 배터리에 전원이 남아있지 않다면 내장된 시계 모듈 전원을 이용한다. If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ut off,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input means for driving the clock, the mobile terminal may acquire the actual time information continuously updated by the built-in clock module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unit. As described above, the built-in clock module may control and display the display unit, or the controller may be used for a while to display the time on the display unit. In addition, when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ut off, it can be used if power is left in the terminal battery. If power is not left in the terminal battery, the built-in clock module power is us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지국과 정상적인 통신을 실시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시간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 전원이 꺼져 있는 경우라도 시간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us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im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eve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es not perform normal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Eve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urned off, time information may be quickly confirmed. It becomes possibl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자체전원 시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자체적인 전원을 통해 구동되는 시계모듈을 더 구비하고,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부가 기지국과 통신이 되는 경우 상기 시계모듈의 시간 정보를 갱신하여 시간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고, 기지국과 통신이 되지 않거나 전원 차단 중에 단순히 시간 정보만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시계 모듈의 시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 환경에 상관없이 시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어 사용자 편의를 높이며, 자체전원으로 시계가 구동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가 없는 경우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시계 모듈과 표시부만 제한 동작시켜 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 확인을 위한 환경적 제약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lf-powered clock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ing a clock module driven through its own power sour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ler communicates with a base station. The time information of the clock module is updat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time information, and when the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not possible or the power module is simply checking the time information while the power is cut off, the time information of the clock module can be used so that the time is independent of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and the watch is powered by its own power source, so the watch module and display unit can be operated only when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present or the power is cut off.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constraints That there is an effect.

Claims (10)

제어 신호에 의해 시간을 갱신하거나 현재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시계 모듈과; A clock module for updating a time or providing current time information by a control signal; 필요시 상기 시계 모듈의 지속적인 구동을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시계 모듈 전원과; A clock module power source for supplying power for continuous driving of the clock module if necessary; 시간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ime information; 상기 시계 모듈을 제어하여 시간 정보를 갱신 또는 획득하고, 필요시 상기 표시부에 시간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update or obtain time information by controlling the clock module and to display time on the display unit if necessary. 상기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하여 정확한 시간 정보를 획득한 경우, 그 획득한 시간 정보를 상기 시계 모듈에 제공하여 상기 시계 모듈의 시간을 갱신하며, 또한 When correct time information is obtain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the tim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clock module to update the time of the clock module.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통신 상태가 불량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이 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시계 모듈로부터 획득한 시간 정보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면서 슬립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전원 시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When the communication state is poor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the mobile terminal having a self-powered clock, characterized in that entering the sleep mode while providing only the tim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lock module to the us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 모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과 상기 시계 모듈 전원을 모두 이용하며, 단말기 배터리 전원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이를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다가 단말기 배터리 전원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만 시계 모듈 전원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전원 시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clock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clock module uses both the battery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lock module power. When the terminal battery power is provided, the clock module uses the power as a driving power and only when the terminal battery power is not provid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lf-powered clock, characterized in that using the module pow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 모듈은 표시부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 전원이 시스템에 제공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상기 시계 모듈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에 시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전원 시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clock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clock module is connected to a display unit to display tim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by using the clock module power if the user desires even when the mobile terminal battery power is not provided to the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lf-powered cloc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 모듈 전원은 사용자가 교체할 수 있는 소형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전원 시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clock module power source is a small battery that can be replaced by a us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 모듈 전원은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 전원에 의해 충전이 가능한 충전식 소형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전원 시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clock module power source is a rechargeable small battery that can be charged by a mobile terminal battery power source.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지국과 통신하여 정확한 시간 정보를 획득할 경우 이를 내장된 시계 모듈에 제공하여 시계 모듈의 시간을 갱신하는 단계와;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btains accurate time information by communicating with a base station, providing the built-in clock module to update the time of the clock module; 이동통신 단말기 통신 상태에 따라 기지국과 통신이 되지 않는 경우 내장된 시계 모듈로부터 시간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Acquiring and using time information from a built-in clock module when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is not possible accord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tat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통신 상태가 불량하여 기지국과 통신이 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기는 상기 시계 모듈로부터 획득한 시간 정보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면서 슬립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전원 시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tate is poor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not possible, the controll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self-powered clock, which enters a sleep mode while providing only the tim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lock module to the user. Method of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 모듈 전원은 사용자가 교체할 수 있는 소형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전원 시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clock module power source is a small battery that can be replaced by a us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지정하는 경우 상기 시계 모듈의 시간 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전원 시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The self-powered clock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time information of the clock module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user designates it eve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urned off. Method of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단말기 배터리의 잔류 전원이 충분한 경우 이를 전원으로 하여 상기 시계 모듈과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부가 구동되고, 배터리 잔류 전원이 부족한 경우 상기 시계 모듈의 자체 전원을 이용하여 시계 모듈과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부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전원 시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The clock modul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unit are driven when the remaining power of the terminal battery is sufficien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urned off, and when the remaining battery power is insufficient, the watch module and the display unit are driven.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lf-powered c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ch module and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are driven using its own power source.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 모듈의 시간 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경우 시계 모듈이 직접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부를 제어하거나 단말기 제어부가 주기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시계 모듈의 시간 정보를 단말기 표시부에 표시해 준 후 슬립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전원 시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The time information of the clock module according to claim 8 or 9, wherein when the time information of the clock modul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lock module directly controls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or the terminal controller periodically drives the time information of the clock module. Displaying the terminal on the terminal display unit and operat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lf-powered c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mode is switched to sleep.
KR1020040052363A 2004-07-06 2004-07-06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in self powered clock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1260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363A KR101126040B1 (en) 2004-07-06 2004-07-06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in self powered clock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363A KR101126040B1 (en) 2004-07-06 2004-07-06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in self powered clock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469A KR20060003469A (en) 2006-01-11
KR101126040B1 true KR101126040B1 (en) 2012-03-19

Family

ID=37105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363A KR101126040B1 (en) 2004-07-06 2004-07-06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in self powered clock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04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190A (en) * 2002-04-02 2003-10-10 고을빛 생식마을 (주) A Tonic Composition for Complementation of Nutrition for Pregnant Woman Using Natural Fo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379B1 (en) * 2005-09-12 2007-02-1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urrent time information of mobilest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973A (en) * 1998-12-11 2001-01-05 서평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time information in portable terminal
KR200319968Y1 (en) * 2003-04-21 2003-07-12 전정욱 Cellular phone with a watch operating by own pow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973A (en) * 1998-12-11 2001-01-05 서평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time information in portable terminal
KR200319968Y1 (en) * 2003-04-21 2003-07-12 전정욱 Cellular phone with a watch operating by own pow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190A (en) * 2002-04-02 2003-10-10 고을빛 생식마을 (주) A Tonic Composition for Complementation of Nutrition for Pregnant Woman Using Natural Fo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469A (en) 200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52612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mode switching and storage medium thereof
US8879363B2 (en) Electronic timepiece
EP2866352B1 (en) Techniques for controlling a radio processor in a mobile computing device
US20160284148A1 (en) Electronic Lock With User Interface
KR20090011113A (en) Wristwatch type mobile device
US7181006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timer
JP2007064758A (en) Mobile electronic apparatus, display control program, display control method, timepiece device
KR100498941B1 (en) Composite personal digital assistant for controlling external display and method therein
CN109756289B (en) Electronic device and time correction system
US20210259049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ooperation system, maste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slav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112604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in self powered clock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6555379B2 (en) Electronic device and time display control method
KR20050023822A (en) Method for performing low power mod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7648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power saving method
EP142461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time in a terminal with built-in analog watch
JP2020060906A (en) Electronic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4345631B2 (en) Portable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06907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alarm information
KR2005007391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time automatically of analog watch of analog watch built-in terminal
JP2022166770A (en) Time switch, information terminal, and time switch system
KR20040032246A (en) Method for changing send/receive stop mode and Mobile phone embodying the same
KR20000044463A (en)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of mobile phone
KR100233670B1 (en) Automatic time setting method in smart phone
KR100523916B1 (en) Method for correcting error in liquid crystal display driv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being embodied it
KR20060098810A (en) Method for automatic control of time in c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