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029B1 -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029B1
KR101126029B1 KR1020100038909A KR20100038909A KR101126029B1 KR 101126029 B1 KR101126029 B1 KR 101126029B1 KR 1020100038909 A KR1020100038909 A KR 1020100038909A KR 20100038909 A KR20100038909 A KR 20100038909A KR 101126029 B1 KR101126029 B1 KR 101126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me
main body
rock
hol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9288A (ko
Inventor
이상령
Original Assignee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00038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029B1/ko
Publication of KR20110119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E02D15/02Handling of bulk concrete specially for foundation or hydraulic engineering purposes
    • E02D15/06Placing concrete under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1/00Methods or apparatus for flushing boreholes, e.g. by use of exhaust air from motor
    • E21B21/06Arrangements for treating drilling fluids outside the boreho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인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는, 천공 홀 내부에 잔존하는 암반 슬라임을 제거해 주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천공 홀 내부로 삽입되며,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 내부로 유체 및 암반 슬라임을 공급해 주는 흡기관; 및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와 암반 슬라임 중 유체만 상기 배출부를 통해 상기 본체 외부로 방출시켜 주는 펌프부를 포함하며, 상기 암반 슬라임은, 상기 본체 내부에 축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SLIME IN PUNCHED HOLE}
본 발명은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천공 홀 하부에 침강된 암반 슬라임을 천공 홀에서 제거시켜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신축할 때, 건축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기둥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다수의 홀을 천공하는 작업을 한다. 이때, 다수의 홀을 천공할 때 발생하는 암반 슬라임이 천공 홀 하부에 침강되어 축적된다. 이로 인해, 천공 홀에 삽입되는 기둥은, 천공 홀 내부에서 점차적으로 침하된다. 이에 기둥의 선단 지지력값이 설계 기준값보다 낮아지거나 예상침하량보다 실제침하량이 크게 될 경우 건축물의 하중을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며, 심할 경우 건축물 침하 또는 구조 균열 등의 심각한 구조 결합의 요인으로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종래에도 천공 홀 내부에 잔존하는 암반 슬라임을 제거해 주는 작업을 하였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 홀(4) 하부에 에어를 공급하여 천공 홀(4) 상부로 유체(2) 및 암반 슬라임(3)을 배출시켜 제거해 주는 air surging 방식과, 버켓식의 양동이를 천공 홀(4)에 낙하시켜 유체(2) 및 암반 슬라임(3)을 퍼 올려 제거하는 mechanical surging 방식 등이 있다.
그러나 에어 공급 및 양동이를 이용한 종래 방식은, 암반 슬라임을 제거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슬라임 제거 작업 도중에도 다시 암반 슬라임이 침강되어 천공 홀 내부의 암반 슬라임 제거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기둥의 선단 지지력값이 설계 기준값보다 낮을 경우 다시 재시공해야 하므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공 홀 내부에 침강되어 있는 암반 슬라임을 제거해 주는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는, 천공 홀 내부에 잔존하는 암반 슬라임을 제거해 주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천공 홀 내부로 삽입되며,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 내부로 유체 및 암반 슬라임을 공급해 주는 흡기관; 및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와 암반 슬라임 중 유체만 상기 배출부를 통해 상기 본체 외부로 방출시켜 주는 펌프부를 포함하며, 상기 암반 슬라임은, 상기 본체 내부에 축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부는, 일측은 상기 배출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유체를 유입하는 펌프 유입부와 연결되어 있는 샌드 펌프; 및 상기 샌드 펌프를 감싸고 있으며, 상기 샌드 펌프 내부로 상기 암반 슬라임이 공급되지 않도록 해 주는 필터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기관의 일측에는, 상기 유체 및 상기 암반 슬라임 공급을 제어해 주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흡기관 내측벽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개폐 부재; 및 일측은 상기 개폐 부재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흡기관 내측벽에 고정되어 있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샌드 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개폐 부재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그 가장 자리에 상기 흡기관이 배치되고, 상기 펌프부가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하부 외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가 상기 천공 홀의 하부면에 접할때, 상기 천공 홀 하부에 침강된 상기 암반 슬라임을 교란시켜 주는 제2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에 장착되어 상기 유체를 강제로 방출시켜 주는 배출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샌드 모터의 흡입력을 이용함으로써, 천공 홀 내부의 침강된 암반 슬라임을 보다 완벽하게 제거하여 기둥의 선단 지지력이 설계값 이하로 감소되지 않도록 해 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암반 슬라임을 제거하는 속도가 기존 장치들에 비해 신속하여 작업 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슬라임 제거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를 이용한 작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의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의 경우 air surging 방식과, mechanical surging 방식을 주로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들은, 천공 홀 내부의 암반 슬라임에 대한 제거율이 낮아 암반 슬라임이 침강되어 있는 천공 홀에 기둥을 타설할 경우, 기둥 역시 침강 현상이 발생되어 기둥의 선단 지지력이 설계값보다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는, 샌드 모터를 이용하여 천공 홀 내부에 잔존하는 암반 슬라임을 천공 홀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함에 따라 제거 속도가 빠르고, 제거율도 높은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에 비해 천공 홀에 삽입되는 기둥의 선단 지지력이 설계값보다 낮아지는 문제점을 최소화하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를 이용한 작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의 동작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1)는, 크게 본체(10), 흡기관(20), 및 펌프부(30)를 포함하고 있다.
본체(10)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1)의 기본 몸체로서, 천공 홀(4)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본체(10)는 양중 고리 등을 이용하여 천공 홀(4) 내부에 삽입된다. 또한, 본체(10)가 천공 홀(4)에 삽입될 때, 부력에 의해 천공 홀(4) 내부로 삽입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본체(10) 내부에 유체를 채운 상태로 천공 홀(4)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 측벽에는 배출부(10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0) 내부에는 펌프부(30)가 배치되어 있으며, 흡기관(20)이 연통되어 있다.
흡기관(20)은, 천공 홀(4)에 잔존하는 유체(2)와 암반 슬라임(3)을 본체(10) 내부로 유입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관(20)은 8개로 본체(10)에 장착되어 있으나 8개에 한정되지 않고, 천공 홀(4)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공 홀(4)의 경우 800 ㎜ 내지 3000 ㎜로 그 크기가 다양한데, 천공 홀(4)의 크기가 800mm로 근접할 경우 흡기관(20)이 8개 미만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3000㎜에 근접하거나 초과할 경우 8개 이상이 장착될 수 있다.
흡기관(20)의 일측은 본체(10) 외부에 돌출되고 흡입구(2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기관(20)의 타측은 본체(10) 내부에 연통되어 있고, 유출구(24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흡기관(20)의 일측에는, 개폐부(200)가 장착되어 있다. 개폐부(200)는, 펌프부(30)가 가동되어 흡입력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개방되어 본체(10) 내부로 유체와 암반 슬라임(3)을 유입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개폐부(20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개폐 부재(210) 및 제1 탄성 부재(220)를 포함하고 있다. 개폐 부재(210)는 흡기관(20) 내측벽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1 탄성 부재(220)의 일측은 개폐 부재(21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흡기관(20) 내측벽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펌프부(30)가 가동되어 흡입력이 발생하면, 개폐 부재(210)는 흡기관(20) 내측벽에 힌지 결합된 부위를 기준으로 자연스럽게 접혀서 흡기관(20)을 개방시켜 주며, 펌프부(30)가 가동을 멈추면 제1 탄성 부재(220)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흡기관(20)을 폐쇄시켜 준다.
또한, 흡기관(20)은, 본체(10) 내부의 가장 자리에 8개가 배치된다. 흡기관(20)이 본체(10)의 가장 자리에 배치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본체(10) 중앙부의 공간이 넓어진다. 이에 따라 보다 많은 양의 암반 슬라임(3)을 본체(10) 내부에 축적시킬 수 있으며, 이는 한번의 제거 작업을 하더라도 천공 홀(4)에서 많은 양의 암반 슬라임(3)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흡기관(20)의 타측에 형성된 유출구(240) 방향은, 본체(10)의 내측벽을 마주 보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흡기관(20)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230)에서 유입되는 유체(2) 및 암반 슬라임(3)은 본체(10) 내측벽을 향하면서 공급된다. 즉, 본체(10) 중앙부에 배치된 펌프부(30)를 향해 유체(2) 및 암반 슬라임(3)이 직접적으로 공급되지 않으므로, 펌프부(30)에 가해질 수 있는 유체(2) 및 암반 슬라임(3)의 압력을 줄여 준다. 결국, 간접적으로 유체(2) 및 암반 슬라임(3)을 공급받는 펌프부(30)는, 보다 원활하게 펌프 작업을 할 수 있다.
펌프부(30)는, 본체(10) 내부에 배치되며, 흡기관(20)을 통해 유입된 유체(2)와 암반 슬라임(3) 중 유체(2)만 배출부(100)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방출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펌프부(30)는 샌드 펌프(300) 및 필터망(310)을 포함하고 있다.
샌드 펌프(300)는, 펌프 유입부(301)와 연결되어 진흙이나 모래 등의 암반 슬라임(3)과 유체(2)를 함께 퍼 올려 주는 펌프이다. 이때, 샌드 펌프(300)를 통해 암반 슬라임(3)까지 본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터망(310)이 샌드 펌프(300)를 감싸고 있다. 필터망(310)에 의해 암반 슬라임(3)은 본체(10) 중앙부 내부에 남겨져 쌓이게 된다. 이후에 본체(10) 내부에 암반 슬라임(3)이 소정 량이 쌓이게 되면, 본체(10)를 천공 홀(4) 외부로 끌어 올려 본체(10) 내부에 축적된 암반 슬라임(3)을 제거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은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기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 요소들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하부 외측면에 제2 탄성 부재(110)가 더 포함되어 있다. 본체(10)가 천공 홀(4) 하부면에 접할 경우, 제2 탄성 부재(110)는 본체(10)의 자중 무게에 의해 눌려 압축된다. 이후에 본체(10)를 끌어 올리거나 상하로 움직이면 복원력에 의해 제2 탄성 부재(110)는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렇게 제2 탄성 부재(110)가 눌리거나 복원되는 것을 반복하게 되면, 천공 홀(4) 하부에 침강되어 있는 암반 슬라임(3)이 제2 탄성 부재(110)에 의해 교란된다. 교란된 암반 슬라임(3)은 천공 홀(4) 내부를 부유함에 따라, 보다 원활하게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1)에 흡입되어 암반 슬라임(3)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은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기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 요소들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100)에 장착되는 배출 펌프(120)를 더 포함한다. 배출 펌프(120)에 의해 유체(2)가 본체(10) 외부로 방출될 때 방출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주어 작업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 슬라임 제거 장치 2 : 유체
3 : 암반 슬라임 4 : 천공 홀
10 : 본체 100 : 배출부
110 : 제2 탄성 부재 120 : 배출 펌프
20 : 흡기관 200 : 개폐부
210 : 개폐 부재 220 : 제1 탄성 부재
230 : 흡입구 240 : 유출구
30 : 펌프부 300 : 샌드 펌프
301 : 펌프 유입부 310 : 필터망

Claims (7)

  1. 암반 슬라임이 내부에 축적되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면서 천공 홀 내부에 삽입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와 연통되어 유체 및 암반 슬라임이 개폐부의 개폐에 의해 유입되도록 하는 흡기관,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와 암반 슬라임 중 유체만 상기 배출부를 통해 상기 본체 외부로 방출시켜 주도록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펌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천공 홀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 중앙부에 설치되는 펌프부의 샌드펌프와,
    상기 샌드펌프를 둘러싸게 설치되는 필터망과,
    내부 가장자리에 서로 간격을 두고 유체 및 슬라임을 배출하게 설치된 다수의 흡기관과,
    상기 흡기관의 하단 내측벽에 힌지 결합되어 제1탄성부재에 의해 닫히고 샌드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개구되도록 설치되는 개폐부재와,
    본체의 외부 저면에 암반 슬라임을 교란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00038909A 2010-04-27 2010-04-27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 KR101126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909A KR101126029B1 (ko) 2010-04-27 2010-04-27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909A KR101126029B1 (ko) 2010-04-27 2010-04-27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288A KR20110119288A (ko) 2011-11-02
KR101126029B1 true KR101126029B1 (ko) 2012-03-20

Family

ID=45390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909A KR101126029B1 (ko) 2010-04-27 2010-04-27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0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2288B2 (ja) * 1990-03-12 1996-09-11 三井建設株式会社 スライムの処理方法
JP2002088758A (ja) * 2000-09-20 2002-03-27 Taiyo Kiso Kk スライム処理工法と、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2288B2 (ja) * 1990-03-12 1996-09-11 三井建設株式会社 スライムの処理方法
JP2002088758A (ja) * 2000-09-20 2002-03-27 Taiyo Kiso Kk スライム処理工法と、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288A (ko) 201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4222B2 (ja) 揚水ユニット、軟弱土壌改良工法、地盤掘削工法、汚染土壌浄化工法、及び復水工法
CN101641489B (zh) 带有流体清洁器的钻具
US7086472B1 (en) Device and method of collecting solids from a well
JP5178635B2 (ja) 地下水位低下装置
JP2006231259A (ja) 揚砂システム
KR100880439B1 (ko) 현장타설말뚝 천공기의 슬라임 제거장치 및 방법
KR101557473B1 (ko) 지하수 지열 굴착공 토사 슬러리 배출 장치 및 방법
JP3867984B2 (ja) 揚水装置
RU48205U1 (ru) Скважинный насосный агрегат (варианты)
KR101126029B1 (ko) 천공 홀 슬라임 제거 장치
KR100665868B1 (ko) 고압 천공수의 재사용 기능이 부가된 물햄머를 이용한지반천공 공법
KR100732646B1 (ko) 슬라임 제거를 위한 메커니컬 펌프
JP3567411B2 (ja) 揚水装置
RU66417U1 (ru) Погружной скважинный насосный агрегат для добычи нефти, шламоуловитель и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й клапан погружного скважинного насосного агрегата
KR100740722B1 (ko) 굴착공 바닥의 암편 제거장치
CN111485944A (zh) 抽排装置
JP2004011873A (ja) 液体タンク
KR101199792B1 (ko) 발파공 내의 물 배수장치
KR200388323Y1 (ko) 수중 모터 펌프 장치
RU2203394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кважины при ее эксплуатации
JP3051326B2 (ja) 高速泥水分離装置
CN104153737A (zh) 用于管柱组件中释放水力激荡的装置及管柱组件
SU173556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забо скважины
KR101134929B1 (ko) 인라인 펌프
RU2474674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кважин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