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991B1 - 지향성 스피커를 가진 휴대폰 - Google Patents

지향성 스피커를 가진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991B1
KR101125991B1 KR1020050042224A KR20050042224A KR101125991B1 KR 101125991 B1 KR101125991 B1 KR 101125991B1 KR 1020050042224 A KR1020050042224 A KR 1020050042224A KR 20050042224 A KR20050042224 A KR 20050042224A KR 101125991 B1 KR101125991 B1 KR 101125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speaker
directional
rod
ri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9319A (ko
Inventor
김정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2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991B1/ko
Publication of KR20060119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향성 스피커를 가진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스피커가 케이싱 내장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케이싱에서 상승 돌출한 중앙돌부와; 상기 중앙돌부를 둘러 싸고 요입되며, 복수의 스피커홀이 형성된 환형골부와; 상기 환형골부를 둘러 싸면서 상승 돌출한 지향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스피커의 토출음을 특정 방향으로 지향시켜서 휴대폰 사용자 외의 제3자에 대한 소음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향성 스피커를 가진 휴대폰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향성 스피커를 가진 휴대폰{MOBILE PHONE HAVING A DIRECTING-TYPE SPEAKER}
도 1은 종래의 휴대폰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스피커를 가진 휴대폰의 일 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라인(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a는 도 2의 지향성 스피커를 차단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4b는 도 2의 지향성 스피커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폴더부 22: 환형골부
23: 스피커홀 31: 지향 장치
32: 지향돌부 33: 중앙돌부
34: 차단날개 35: 상승부
36a: 상승채널 36b: 수평채널
36c: 수직채널 37a: 상승로드
37b: 수평로드 37c: 수직로드
38: 탄성부 39: 손잡이부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피커의 토출음을 특정 방향으로 지향시키는 지향성 스피커를 가진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가정이나 사무실 등 한정된 공간에서 사용되는 유선 전화와 달리 장소의 제약없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통화할 수 있는 무선 통신기기이다.
이러한 휴대폰은 그 형태에 따라 바형, 폴더형, 슬라이드형, 스위블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 중에서 폴더형 휴대폰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폴더형 휴대폰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체부(100)에는 전면에 형성된 다수의 입력키(110)와, 송화부를 이루는 마이크(120)와, 배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130)를 포함한다.
폴더부(200)는 힌지부(300)를 통하여 본체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전면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LCD부(210)가 형성되고, 통상적으로 상측에는 수화부인 스피커(220)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체부(100)와 폴더부(200)는 폴더형 휴대폰에 대한 명칭으로서, 모든 형태의 휴대폰을 포괄하는 경우에 이들은 간단히 '케이싱'이라고 칭할 수 있고, 이하에서는 이러한 용어를 병용함을 주지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휴대폰에 있어서, 최근에는 뮤직폰, MP3폰 등과 같은 이름을 가지고서 음악을 플레이하는 기능이 강화된 휴대폰들이 널리 판매되고 있다. 그에 따라, 휴대폰의 스프커(220)는 그 기능이 강력해져서 사용자의 만족을 극대화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사운드의 강화는 사용자 이외의 제3자에게는 오히려 소음 공해가 될 수도 있다. 대게는 이어폰을 사용하면 되는 것이나, 실내와 달리 야외에서는 이어폰을 잘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공해 유발은 스피커(220)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아무런 지향성을 갖지 못한 것이 하나의 이유가 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오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합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휴대폰의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일정한 방향으로만 지향되도록 하는 지향성 스피커를 가진 휴대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향성 스피커를 가진 휴대폰은 스피커가 케이싱 내장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케이싱에서 상승 돌출한 중앙돌부와; 상기 중앙돌부를 둘러 싸고 요입되며, 복수의 스피커홀이 형성된 환형골부와; 상기 환형골부를 둘러 싸면서 상승 돌출한 지향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돌부에 각 일 단부가 집중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차단날개와; 상 기 복수의 차단날개가 상기 지향돌부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전개되어 상기 복수의 스피커홀을 차단하도록 구동하는 날개전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날개전개부는 상기 복수의 차단날개의 집중된 단부 측에 삽입되며, 가변 종단면을 가지는 상승부와; 상기 상승부의 넓은 단면을 가지는 측에 연결되고, 암나사산이 형성된 상승채널에 수나산이 형성되어 배치되는 상승로드와; 상기 상승로드에 수직하게 연결되며, 반원형의 수평채널에 배치되는 수평로드와; 상기 수평로드에 수직하게 연결되며, 일단에 형성된 손잡이부가 상기 휴대폰 본체 외부로 노출되며 반원형의 수직채널을 따라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수직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질 수 있다.
상기 수직로드는 상기 수평로드를 관통하여 연장하고, 상기 수직로드의 하단부에는 탄성부가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는 압축코일스프링과 판스프링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상승부는 원추형이거나 절두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향돌부는 상기 중앙돌부 보다 더 돌출하도록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스피커를 가진 휴대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도 1에서 도시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특별히 도시되어 있지 않거나 도시되어 있더라도 참 조번호를 부여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 1의 도시 및 참조번호를 원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스피커를 가진 휴대폰의 일 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의 폴더부 또는 케이싱(20)의 전면부 상측에는 두개의 스피커(미도시)와 그에 관한 지향 장치(30)가 형성된다.
이러한 지향 장치(30)는 케이싱(20)에서 상승 돌출한 중앙돌부(31)와, 그러한 중앙돌부(31)를 둘러 싸고 요입되며 스피커에서 발생한 소리가 외부로 토출되는 스피커홀(32')이 형성된 환형골부(32)와, 이러한 환형골부(32)를 둘러 싸고서 상승 돌출한 환형의 지향돌부(33)를 포한한다.
나아가, 중앙돌부(31)에는 방사상으로 전개하여 스피커홀(32')을 차단하는 차단날개(34)가 복수로 구비되고, 이러한 차단날개(34)를 조작하여 전개시키기 위한 손잡이부(39)는 수직채널(36c)를 그 이동 경로로 한다.
이들에 대하여, 도 2의 라인(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인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복수의 차단날개(34)는 중앙돌부(31)에 그 일 단부들이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지향돌부(33)를 향하는 타 단부는 지향돌부(33)를 향하여 약간 위로 완만하게 경사진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차단날개(34)를 전개하기 위한 날개전개부는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먼저, 원뿔 또는 절두원추형의 상승부(35)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승부(35)는 복수의 차단날개(34)의 인접한 단부들 사이의 틈으로 삽입되어 상승함으로써 차단 날개(34)의 단부에 힘을 가하여 차단날개(34)를 전개시키고, 하강함으로써 차단날개(34)들에 가하는 힘이 제거되어 차단날개(34)들이 중앙돌부(31) 내로 모이게 한다.
위와 같은 상승부(35)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하여, 케이싱(20)의 전면에 대해 수직 방향(두께방향)으로 형성된 상승채널(36a)에는 상승로드(37a)가 구비된다. 상승로드(37a)의 일 단부는 상승부(35)와 연결되어 있고, 타 단부는 수나사산(37a')이 형성되어 암나사산(36a')이 형성된 상승채널(36a) 내에 설치된다.
상승로드(37a)를 그 자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승로드(37a)에 수직하게 연결된 수평로드(37b)와, 그러한 수평로드(37b)에 수직하게 연결된 수직로드(37c)가, 각각 상승채널(36a)에 수직하게 형성된 수평채널(36b)과 그러한 수평채널(36b)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채널(36c)에 배치된다.
수직로드(37c)는 수평로드(37b)에 고정된 형태가 아니라, 그를 관통하여 수직채널(36c)을 통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이동을 위하여, 수직로드(37c)의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부(39)의 반대측 단부에는 탄성부(38)가 설치된다. 이러한 탄성부(38)는 압축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서 구성된다.
이제, 도 4a 및 도 4b와 위의 도 3을 참조하여 지향 장치(30)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도 2의 지향성 스피커를 차단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b는 도 2의 지향성 스피커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차단날개(34)가 중앙돌부(31)에 결집된 형태에서 스피커홀(32')을 통해 토출되는 소리는 환형의 지향돌부(33)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지향성을 가지게 된다. 이는 도 4a에서 볼 수 있으며, 스피커홀(32')은 차단날개(34)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지향돌부(33)는 그 지향성을 보다 강화하기 위하여 중앙돌부(31) 보다 더 돌출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손잡이부(39)를 상승채널(36a)의 암나사(36a')와 상승로드(37a)의 수나사(37a')가 상호 작용하여 상승로드(37a)의 단부에 형성된 상승부(35)가 지향돌부(33)들의 결집된 단부들 사이로 삽입되어 상승하게 한다. 그러면, 차단날개(34)들은 지향돌부(33)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전개하게 된다(D 방향으로 전개). 그에 따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홀(32')은 차단날개(34)에 의해 차단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전개되는 차단날개(34)가 환형골부(32)나 스피커홀(32')에 쌓이게 되는 이물질을 막아줌으로 인하여, 지향돌부(33)를 보다 높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지향성은 더욱 강화됨은 자명하다.
사용자는 평상 시에는, 도 4b와 같이, 환형골부(32)나 스피커홀(32')을 이물질로 부터 보호하면서, 스피커의 지향성이 필요한 경우에 지향 장치(30)를 조작하여, 도 4a와 같은, 지향 상태를 구현하면 된다.
나아가, 수직로드(37c)가 수평로드(37b)에 수직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탄성부(38)가 구비됨에 따라, 케이싱(20)의 외부로 돌출한 손잡이부(39)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손잡이부(39)가 파손되지 않는다. 특히, 이상과 같은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는 본체부(100)와 폴더부(200)가 접혀서 중첩되게 배열되는 경우에는 손잡이부(39)가 폴더부(200) 내로 삽입되어서 양자간의 이격 공간을 발생시키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차단날개(34)를 전개하거나 원위치시키는 메카니즘을 채용함으로 해서, 지향돌부(33)를 더욱 많이 돌출시켜도 환형골부(32)나 스피커홀(32') 내의 이물질의 적층을 방지하면서, 스피커의 지향성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외의 제3자에 대한 소음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향성 스피커를 가진 휴대폰은 스피커에서 토출되는 소리를 일정 방향으로만 지향시켜 휴대폰의 사용자가 아닌 제3자에 대한 소음 피해를 저감함과 동시에, 스피커홀이 이물질로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스피커가 케이싱 내장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케이싱에서 상승 돌출한 중앙돌부와;
    상기 중앙돌부를 둘러 싸고 요입되며, 복수의 스피커홀이 형성된 환형골부와;
    상기 환형골부를 둘러 싸면서 상승 돌출한 지향돌부와;
    상기 중앙돌부에 각 일 단부가 집중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차단날개와;
    상기 복수의 차단날개가 상기 지향돌부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전개되어 상기 복수의 스피커홀을 차단하도록 구동하는 날개전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향성 스피커를 가진 휴대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전개부는
    상기 복수의 차단날개의 집중된 단부 측에 삽입되며, 가변 종단면을 가지는 상승부와;
    상기 상승부의 넓은 단면을 가지는 측에 연결되고, 암나사산이 형성된 상승채널에 수나산이 형성되어 배치되는 상승로드와;
    상기 상승로드에 수직하게 연결되며, 반원형의 수평채널에 배치되는 수평로드와;
    상기 수평로드에 수직하게 연결되며, 일단에 형성된 손잡이부가 상기 휴대폰 본체 외부로 노출되며 반원형의 수직채널을 따라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수직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 스피커를 가진 휴대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로드는 상기 수평로드를 관통하여 연장하고,
    상기 수직로드의 하단부에는 탄성부가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 스피커를 가진 휴대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압축코일스프링과 판스프링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 스피커를 가진 휴대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부는 원추형이거나 절두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 스피커를 가진 휴대폰.
  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돌부는 상기 중앙돌부 보다 더 돌출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 스피커를 가진 휴대폰.
KR1020050042224A 2005-05-19 2005-05-19 지향성 스피커를 가진 휴대폰 KR101125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224A KR101125991B1 (ko) 2005-05-19 2005-05-19 지향성 스피커를 가진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224A KR101125991B1 (ko) 2005-05-19 2005-05-19 지향성 스피커를 가진 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319A KR20060119319A (ko) 2006-11-24
KR101125991B1 true KR101125991B1 (ko) 2012-03-19

Family

ID=37706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224A KR101125991B1 (ko) 2005-05-19 2005-05-19 지향성 스피커를 가진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99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473Y1 (ko) * 2000-12-30 2001-06-01 주식회사기린텔레콤 양방향 스피커
KR100328486B1 (ko) * 1999-09-29 2002-03-16 송재인 전자기기의 소형 스피커
KR20030002977A (ko) * 2001-07-03 2003-01-09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KR20030033695A (ko) * 2001-10-24 2003-05-01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양방향 스피커
JP2004282221A (ja) * 2003-03-13 2004-10-07 Citizen Watch Co Ltd 小型薄型指向性スピーカー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電子機器
KR20050011978A (ko) * 2003-07-24 2005-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486B1 (ko) * 1999-09-29 2002-03-16 송재인 전자기기의 소형 스피커
KR200225473Y1 (ko) * 2000-12-30 2001-06-01 주식회사기린텔레콤 양방향 스피커
KR20030002977A (ko) * 2001-07-03 2003-01-09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KR20030033695A (ko) * 2001-10-24 2003-05-01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양방향 스피커
JP2004282221A (ja) * 2003-03-13 2004-10-07 Citizen Watch Co Ltd 小型薄型指向性スピーカー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電子機器
KR20050011978A (ko) * 2003-07-24 2005-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319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473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EP1900059B1 (en) Extendable antenna and speaker box
EP1760996B1 (en) Slide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KR20030041372A (ko) 듀얼 윙 폴더 단말기
WO2003103173A1 (ja) 携帯無線端末
KR101125991B1 (ko) 지향성 스피커를 가진 휴대폰
US9106728B2 (en) Mobile terminal
KR100866945B1 (ko)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
KR200384472Y1 (ko) 곡선 슬라이드형 휴대전화 단말기
ES2296374T3 (es) Terminal de radiocomunicacion.
JP4822717B2 (ja) 携帯型電子機器
EE04412B1 (et) Madalas sagedusalas tõstetud sageduskarakteristikuga telefon
JP4521486B2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装置
KR100667531B1 (ko) 폴더부의 흔들림이 방지되는 폴더형 휴대폰
DE50103795D1 (de) Schnurloses telefon
KR200243626Y1 (ko) 휴대폰용 심카드칩의 착탈장치
JP4313134B2 (ja) 携帯端末機器
EP1509026A3 (en) Folding cellular telephone
KR100516753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50046684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183196Y1 (ko) 휴대용 전화기 어셈블리
KR200272764Y1 (ko) 3단구조의 핸드폰
KR100690765B1 (ko) 폴더 및 슬라이드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KR20080032554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홀 개폐장치
KR20060033966A (ko) 회전형 폴더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