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850B1 - 화분용 급수구조 - Google Patents

화분용 급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850B1
KR101125850B1 KR1020090098290A KR20090098290A KR101125850B1 KR 101125850 B1 KR101125850 B1 KR 101125850B1 KR 1020090098290 A KR1020090098290 A KR 1020090098290A KR 20090098290 A KR20090098290 A KR 20090098290A KR 101125850 B1 KR101125850 B1 KR 101125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inner tube
tube member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1219A (ko
Inventor
김종영
Original Assignee
김종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영 filed Critical 김종영
Priority to KR1020090098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8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41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용 급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의 식재된 화분에 설치되어, 이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안정되게 급수하는 것으로, 특히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따라 물의 배수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성한 화분용 급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화분, 급수구조, 식물, 배수, 내관부재, 외관부재

Description

화분용 급수구조{Water supply structure for flowerpot}
본 발명은 화분용 급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의 식재된 화분에 설치되어, 이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안정되게 급수하는 것으로, 특히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따라 물의 배수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성한 화분용 급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에 배수 및 공기순환을 위해 소정 크기의 통공을 형성한 화분 내부로 식물을 지탱함과 동시에 물과 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분토를 채워 구성한다.
이러한 분토에 식물을 식재하면, 분토에는 식물의 뿌리가 형성되고 분토의 상부에는 줄기와 잎이 형성되는데, 식물이 식재된 분토에 일정 시간의 간격으로 물을 직접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가정에서는 물주는 주기를 맞추기 어려워 식물이 고사하거나 수분 공급이 과다해 식물이 썩어 폐사하는 경우가 많으며, 장기간의 여행을 하는 경우 식물의 관리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당 분야에서는 상기 화분에 물을 자동으로 줄 수 있는 급수구조를 마련하여, 물주기에 따른 편리와 안정성을 도모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잎이나 줄기에 물이나 영양제를 미립되게 분무시켜 주어야 하는 종류와, 분토에 물을 부어 뿌리에 주어야 하는 종류, 그리고, 시기에 따라 물을 주는 부위가 변화되는 종류의 식물들이 존재한다.
그런데 종래 화분용 급수구조는, 항시 일정한 경로와 일정한 형태로 분토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주도록 구성된 관계로, 다양한 종류의 식물의 재배에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의 식재된 화분에 설치되어, 이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안정되게 급수하는 것으로, 특히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따라 물의 배수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성한 화분용 급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급수구조는,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생육에 요구되는 물을 공급하는 화분용 급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조는, 화분에 기립되게 설치되어 물 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화분으로 배수하는 급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급수관은, 몸체에 하부 급수구와 상부 급수구가 상하 이격되게 형성된 하부 개방형의 외관부재와; 상기 외관부재의 중공에 상하 승강구조로 설치되며, 몸체에 토출구가 형성된 하부 개방형의 내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관부재의 하부에는 물 공급관이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내관부재의 하단과 외관부재의 내벽 사이에는 차폐링이 설치되어, 상기 물 공급관을 통해 외관부재를 통해 유입된 물은 내관부재로 유입되어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내관부재에는, 물 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과의 저항에 의해 부양력을 생성하는 저항편이 설치되어,
상기 물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생성된 내관부재의 부양력이 내관부재의 하강력 보다 낮으면, 내관부재의 토출구는 외관부재의 하부 급수구와 연통하여 하부 급수구를 통해 물을 배출하고, 상기 물공급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생성된 내관부재의 부양력이 내관부재의 하강력 보다 높으면, 내관부재의 토출구는 외관부재의 상부 급수구와 연통하여 상부 급수구를 통해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관부재와 내관부재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내관부재는 스프링의 탄반력과 자중에 의해 하강하려는 하강력을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구의 가장자리에는 밀폐링이 설치되어, 토출구는 밀폐링을 통해 외관부재에 형성된 상부 급수구, 또는 하부 급수구와 밀폐상태를 이루어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상부 급수구에는 분무노즐이 마련되어, 상기 상부 급수구를 통해 토출되는 물은, 분무노즐을 통해 미립되게 분무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급수구조는, 물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따라 내관부재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내관부재에 형성된 토출구가 외관부재에 형성된 상부 급수구, 또는 하부 급수구와 택일하여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급수구조는 물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따라, 상부 급수구를 통한 급수와 하부 급수구를 통한 급수가 택일하여 이루어지므로, 관리자는 수압에 따라 물의 배수 위치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부 급수관에 분무노즐을 설치하면, 상부 급수구을 통해 배수되는 물은 미립되게 분무하여 배출되고, 또 하부 급수구을 통해서는 분무되지 아니한 자연적 배수가 이루어지므로, 관리자는 수압의 변경을 통해 물의 배수형태를 채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무노즐이 마련된 상부 급수구의 배수를 통해 관리자는, 영양제나 살충제 등을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잎 부위와 줄기부위에 균일하게 분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화분용 급수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급수구조를 마련한 화분의 외형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급수구조과 급수구조를 마련된 화분의 단면 구조, 및 급수구조를 통한 급수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급수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물의 생육공간을 형성하는 화분(100)에 설치되어,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생육에 요구되는 물을 공급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도면을 보면 상기 화분(100)은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복수개의 화분(100)을 지지봉(110)을 통해 상하 이격되게 적층시켜, 좁은 공간에 보다 많은 식물이 생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화분(100)에, 수압에 따라 물의 배수지점이 변경되는 급수구조를 마련하여, 수압의 조절을 통해 각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서 뿌리부위, 또는 식물의 잎부위와 줄기부위의 택일적인 급수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급수구조는, 기본적으로 식물이 식재된 화분에 기립되게 설치되어 물 공급관(30)을 통해 주입되는 물을 화분(100)에 식재된 식물에 배수하는 급수관(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급수관(1)에는 펌프(31) 또는 수전으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30)이 연통하여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급수관(1)은, 몸체에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부위에 물을 급수하는 하부 급수구(11)와, 줄기나 잎부위에 물을 급수하는 상부 급수구(12)가 상하 이격되게 형성된 하부 개방형의 외관부재(10)와; 상기 외관부재(10)의 중공에 상하 승강구조로 설치되며, 몸체에 토출구(21)가 형성된 하부 개방형의 내관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을 보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관부재(10)에 상부 급수구(12)와 하부 급수구(11)를 상하 교번되게 형성하고 내관부재(20)에는 토출구(21)를 상하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적층된 각 화분(100)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주는 과정이 일괄하여 구현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개방된 외관부재(10)의 하부에는 물 공급관(30)이 연결되며, 상기 내관부재(20)의 하단과 외관부재(10)의 내벽 사이에는 차폐링(22)이 설치되어, 물 공급관(30)을 통해 외관부재(10)로 공급된 물은 내관부재(20)로 유입되어 토출구(21)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내관부재(20)의 위상 변화에 의해 외관부재(10)에 형성된 상부 급수구(12)와 하부 급수구(11)와 택일하여 연통하는 내관부재(20)의 토출구(21)에는 밀폐링(21a)이 설치되어서, 택일적인 연통상태를 형성하는 토출구(21)와 하부 급수구(11), 또는 토출구(21)와 상부 급수구(12)가 밀폐링(21a)을 통해 안정된 밀폐상태를 이루어 상호 연통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외관부재(10)의 중공에 상하 승강구조로 설치된 내관부재(20)에는, 물 공급관(30)을 통해 급수관(1)으로 유입되는 물과의 저항에 의해 부양력을 생성하는 저항편(23)이 설치되며,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물 공급관(30)을 통해 유입되는 물과의 안정적인 저항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 역 깔대기 형상의 저항편(23)을 내관부재(20)에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내관부재(20)와 외관부재(10) 사이에는 내관부재(20)을 하향 지지하는 스프링(13)이 설치되어, 상기 내관부재(20)는 스프링(13)의 탄발력에 의해 하향하려는 하강력을 갖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줄기부위와 잎부위에 물을 배수하는 상부 배출구(12)에는, 배수되는 물을 미립되게 분무하는 분무노즐(12a)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구조는, 기본적으로 도 2a와 도 3a와 같이 물 공급관(30)을 통해 유입되는 물과, 내관부재(20)에 설치된 저항편(23) 사이에 생성되는 부양력이 내관부재(20)의 하강력 보다 낮으면 내관부 재(20)의 토출구(21)는 외관부재(10)의 하부 급수구(11)와 연통하여 하부 급수구(11)를 통해 물을 배출하고, 도 2b와 도 3b와 같이 물 공급관(30)을 통해 유입되는 물과, 내관부재(20)에 설치된 저항편(23) 사이에 생성되는 부양력이 내관부재(20)의 하강력 보다 높으면 내관부재(20)의 토출구(21)는 외관부재(10)의 상부 급수구(12)와 연통하여 상부 급수구(12)를 통해 물을 배출하게 된다.
즉, 관리자가 급수관(1)에 물을 저압으로 유입시키면 내관부재(20)의 부양력은 내관부재(20)의 하강력 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하므로, 내관부재(20)는 하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도 2a와 도 3a와 같이 상기 내관부재(20)에 형성된 토출구(21)는 외관부재(10)에 형성된 하부 급수구(11)와 연통하여, 하부 급수구(11)를 통해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부위로 물을 배수한다.
그리고, 관리자가 급수관(1)에 물을 고압으로 유입시키면 내관부재(20)의 부양력은 내관부재(20)의 하강력 보다 높은 상태를 유지하여 내관부재(20)는 상승하게 되므로, 도 2b와 도 3b와 같이 상기 내관부재(20)에 형성된 토출구(21)는 외관부재(10)에 형성된 상부 급수구(12)와 연통한다.
이에 따라, 상기 내관부재(20)에 형성된 토출구(21)는 외관부재(10)에 형성된 상부 급수구(12)를 통해 화분(100)에 식재된 식물의 줄기부위와 잎부위에 물을 배수되는데, 상기 상부 급수구(12)를 통해 배수되는 물은 분무노즐(12a)을 통해 미립된 형태로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줄기부위와 잎부위에 분무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급수구조는, 급수관(1)에 공급되는 수압 조절을 통해 물의 분무위치와 분무형태를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급수구조를 마련한 화분의 외형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급수구조과 급수구조를 마련된 화분의 단면 구조, 및 급수구조를 통한 급수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급수관
10. 외관부재 11. 하부 급수구
12. 상부 급수구 12a. 분무노즐
13. 스프링
20. 내관부재 21. 토출구
21a. 밀폐링 22. 차폐링
23. 저항편
30. 물 공급관 40. 펌프
100. 화분 110. 지지봉

Claims (4)

  1.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생육에 요구되는 물을 공급하는 화분용 급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조는, 화분에 기립되게 설치되어 물 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화분으로 배수하는 급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급수관은, 몸체에 하부 급수구와 상부 급수구가 상하 이격되게 형성된 하부 개방형의 외관부재와; 상기 외관부재의 중공에 상하 승강구조로 설치되며, 몸체에 토출구가 형성된 하부 개방형의 내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관부재의 하부에는 물 공급관이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내관부재의 하단과 외관부재의 내벽 사이에는 차폐링이 설치되어, 상기 물 공급관을 통해 외관부재를 통해 유입된 물은 내관부재로 유입되어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내관부재에는, 물 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과의 저항에 의해 부양력을 생성하는 저항편이 설치되어,
    상기 물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생성된 내관부재의 부양력이 내관부재의 하강력 보다 낮으면, 내관부재의 토출구는 외관부재의 하부 급수구와 연통하여 하부 급수구를 통해 물을 배출하고, 상기 물공급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생성된 내관부재의 부양력이 내관부재의 하강력 보다 높으면, 내관부재의 토출구는 외관부재의 상부 급수구와 연통하여 상부 급수구를 통해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관부재와 내관부재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내관부재는 스프링의 탄반력과 자중에 의해 하강하려는 하강력을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의 가장자리에는 밀폐링이 설치되어, 토출구는 밀폐링을 통해 외관부재에 형성된 상부 급수구, 또는 하부 급수구와 밀폐상태를 이루어 연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급수구에는 분무노즐이 마련되어, 상부 급수구를 통해 토출되는 물은 분무노즐을 통해 미립되게 분무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구조.
KR1020090098290A 2009-10-15 2009-10-15 화분용 급수구조 KR101125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290A KR101125850B1 (ko) 2009-10-15 2009-10-15 화분용 급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290A KR101125850B1 (ko) 2009-10-15 2009-10-15 화분용 급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219A KR20110041219A (ko) 2011-04-21
KR101125850B1 true KR101125850B1 (ko) 2012-03-28

Family

ID=44047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290A KR101125850B1 (ko) 2009-10-15 2009-10-15 화분용 급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8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35331A (ja) * 2013-10-08 2015-12-10 エスアンドデ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水生植物を利用した空気浄化及び冷房システム、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を利用した動力発生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3538U (ko) 1976-06-05 1977-12-12
JPH029047U (ko) * 1988-07-01 1990-01-22
KR20030032267A (ko) * 2001-10-17 2003-04-26 이재학 베란다용 입체조립식 채소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3538U (ko) 1976-06-05 1977-12-12
JPH029047U (ko) * 1988-07-01 1990-01-22
KR20030032267A (ko) * 2001-10-17 2003-04-26 이재학 베란다용 입체조립식 채소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219A (ko) 201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040272U (zh) 一种智能型花盆
CN103891583A (zh) 花盆自动补水装置
CN201450926U (zh) 便于灌浇的花盆
KR102039379B1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CN103053357A (zh) 一种智能型花盆
CN104542071A (zh) 花盆
CN104206199A (zh) 一种立式花盆
CN205161284U (zh) 一种自动灌溉绿植墙
CN204426130U (zh) 花盆
CN201602016U (zh) 自动浇水花盆
CN203313819U (zh) 盆景植物滴灌器
KR101125850B1 (ko) 화분용 급수구조
CN203167664U (zh) 便于通氧和浇水的花盆
CN201042142Y (zh) 可自动浇水的夹层花盆
KR101519965B1 (ko) 식물 재배용 친환경 양변기 물탱크 덮개
CN105325199A (zh) 一种简易通气贮水花盆
CN103477957A (zh) 自动浇花器
CN211832099U (zh) 漫排式植物栽培挂接托盘
CN203261937U (zh) 家用绿色植物补水器
CN207340714U (zh) 一种花卉扦插幼苗养护盆
KR101380567B1 (ko) 화분용 급수기
CN202425373U (zh) 双壁保水花盆
CN203279573U (zh) 一种立式花盆
CN105532292B (zh) 智能阳台盆景植物养殖系统
JP2016067342A (ja) 水耕栽培プラン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