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683B1 - Model apparatus of learning earthquake - Google Patents

Model apparatus of learning earthquak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683B1
KR101124683B1 KR1020090052557A KR20090052557A KR101124683B1 KR 101124683 B1 KR101124683 B1 KR 101124683B1 KR 1020090052557 A KR1020090052557 A KR 1020090052557A KR 20090052557 A KR20090052557 A KR 20090052557A KR 101124683 B1 KR101124683 B1 KR 101124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quake
vibration
vibration table
experimental model
learning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5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33827A (en
Inventor
배형진
Original Assignee
배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형진 filed Critical 배형진
Priority to KR1020090052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683B1/en
Publication of KR20100133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8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6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4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build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4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geology

Abstract

지진의 현상과 특성 등을 가상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하는 지진 학습용 모형장치를 개시한다. 프레임이 포함된다. 진동 테이블은 프레임 상에 진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피 실험모형은 진동 테이블 상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가상 지진에 의한 현상을 관찰할 수 있게 한다. 진동 기구는 피 실험모형에 가상 지진의 영향이 가해지게 진동 테이블을 진동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가상 지진에 의해 피 실험모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지진의 현상과 특성 등을 학습할 수 있다. An earthquake learning modeling apparatus that allows students to virtually learn the phenomenon and characteristics of an earthquake. A frame is included. The vibration table is vibratedly supported on the frame. The experimental model is placed on a vibration table and allows the user to observe the phenomenon caused by the virtual earthquake. The vibrating mechanism vibrates the vibrating table so that the simulated earthquake influences the experimental model. Accordingly, the user can observe the effect on the experimental model by the virtual earthquake, and can learn the phenomen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quake accordingly.

Description

지진 학습용 모형장치{Model apparatus of learning earthquake}Model apparatus of earthquake learning

본 발명은 지진의 현상과 특성 등을 가상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하는 지진 학습용 모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thquake learning model device that enables to virtually learn the phenomen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quake.

우리나라와 인접한 일본에서는 수 많은 지진이 발생되고 있고, 강진 발생시 강진으로 인하여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지진에 대한 대비를 위해 각종 건축물을 건축할 때 강진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진 설계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예전에는 대부분의 지진들이 거의 약한 지진들이어서 민감한 사람이 감지할 수 있을 정도에 불과하였으나, 근래에는 지진의 발생빈도가 많아지면서 일반인들이 감지할 정도까지의 지진까지도 발생하고 있다. Many earthquakes occur in Japan adjacent to Korea, and when earthquakes occur, there are many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s caused by earthquakes. Therefore, the earthquake-resistant design to withstand the earthquake when building various buildings to prepare for earthquakes. In Korea, most of the earthquakes were weak earthquakes in the past, which is only enough to be detected by sensitive people, but recently, earthquakes are increasing so that earthquakes until the general public can detect them.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지진에 대한 대비책이 미미할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은 지진에 대하여 실질적인 현상과 유사한 경험을 갖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지진 대비를 위한 내진 설계의 필요성을 크게 못 느끼고 있고, 지진 발생시 그 피해나 대처 방법 등에 대해서도 지식이 전무한 편이다. 따라서, 지진에 의한 현상과 지진의 특성 등을 가상으로나마 학습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However, in addition to the lack of earthquake preparedness in our country, the general public does not have experience similar to the actual phenomenon. Therefore, the earthquake-proof design for earthquake preparedness is not felt very much, and there is no knowledge about the damage or countermeasures in case of an earthquak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evice that can virtually learn the phenomenon caused by the earthquak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thquake.

본 발명의 과제는 가상 지진에 의해 피 실험모형에 미치는 영향을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게 하여, 지진의 특성 등을 학습할 수 있게 하는 지진 학습용 모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thquake learning model device that allows the user to observe the effect on the experimental model by the virtual earthquake, to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thquake.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진 학습용 모형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진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진동 테이블; 상기 진동 테이블 상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가상 지진에 의한 현상을 관찰할 수 있게 하는 피 실험모형; 및 상기 피 실험모형에 가상 지진의 영향이 가해지게 상기 진동 테이블을 진동시키는 진동 기구;를 포함한다. Earthquake learning mode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rame; A vibrating table that is vibrated on the frame; An experimental model disposed on the vibration table to allow a user to observe a phenomenon caused by a virtual earthquake; And a vibrating mechanism for vibrating the vibrating table such that a virtual earthquake i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model.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 지진에 의해 피 실험모형에 미치는 영향을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게 하여, 지진의 현상과 특성 등을 학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observe the effect of the simulated earthquake on the experimental model, so that the phenomen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quake can be learned.

본 발명에 따르면, 피 실험모형이 고층의 모형 건축물인 경우, 진동 주파수에 따른 고층 건축물의 상태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사용자에게 간접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고층의 모형 건축물에 다양한 물체를 담을 수 있는 통을 설치한 경우, 고층 건축물의 최상층에 어떠한 물체를 올려놓느냐에 따라 고층 건축물의 진동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perimental model is a high-rise model building, the user can indirectly show how the state of the high-rise building changes according to the vibration frequency. In case of installing a container that can hold various objects in the high-rise model building, the vibration change of the high-rise building can be observed depending on what object is placed on the top floor of the high-rise building.

본 발명에 따르면, 피 실험모형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다수의 철편들을 포함하는 경우, 공진 현상을 관찰 및 학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perimental model includes a plurality of iron pieces having different lengths, the resonance phenomenon can be observed and learned.

본 발명에 따르면, 피 실험모형이 비커에 고은 모래와 물을 섞어 넣어 구성된 경우, 액상화 현상을 관찰 및 학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perimental model is composed of mixed silver sand and water in a beaker, the liquefaction phenomenon can be observed and lear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 학습용 모형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rthquake learning mode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지진 학습용 모형장치는 프레임(110)과, 진동 테이블(120)과, 피 실험모형(130), 및 진동 기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and 2, the earthquake learning model device includes a frame 110, a vibration table 120, an experimental model 130, and a vibration mechanism 140.

프레임(110)은 그 위에 진동 테이블(120)을 진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The frame 110 vibratesly supports the vibration table 120 thereon.

진동 테이블(120)은 프레임(110)에 진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진동 테이블(120)은 그 위에 피 실험모형(130)이 배치된다. 진동 테이블(120)은 진동 기구(140)에 의해 진동하여 가상 지진을 발생시킬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진동 테이블(120)은 진동하는 과정에서 피 실험모형(130)에 가상 지진의 영향을 받게 할 수 있다. The vibration table 120 is supported by the frame 110 so as to vibrate. The vibration table 120 has an experimental model 130 disposed thereon. The vibration table 120 may be vibrated by the vibration mechanism 140 to generate a virtual earthquake. Accordingly, the vibration table 120 may be affected by the virtual earthquake in the experimental model 130 in the process of vibrating.

피 실험모형(130)은 진동 테이블(120)의 진동시 그 진동을 전달받을 수 있게 진동 테이블(120) 상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피 실험모형(130)에 진동이 가해져 가상 지진의 영향을 받을 때, 사용자는 가상 지진에 의한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피 실험모형(130)은 진동 테이블(120) 상에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거나, 진동 테 이블(120) 상에 별도의 고정 수단 없이 면 접촉 상태로 놓일 수 있다. The experimental model 130 is disposed on the vibration table 120 to receive the vibration when the vibration table 120 vibrates. Accordingly, when vibration i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model 130 to be affected by the virtual earthquake, the user may observe the phenomenon caused by the virtual earthquake. The experimental model 130 may be fixed by the fixing means on the vibration table 120, or may be placed in the surface contact state without a separate fixing means on the vibration table 120.

진동 기구(140)는 진동 테이블(120)을 진동시켜, 피 실험모형(130)에 가상 지진의 영향이 가해질 수 있게 한다. 진동 기구(140)는 가동 부위가 진동 테이블(120)에 장착되고, 고정 부위가 프레임(110)에 장착될 수 있다. The vibrating mechanism 140 vibrates the vibrating table 120 so that the virtual earthquake may b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model 130. The vibration mechanism 140 may have a movable portion mounted on the vibration table 120 and a fixing portion mounted on the frame 110.

전술한 구성의 지진 학습용 모형장치는 가상 지진에 의해 피 실험모형(130)에 미치는 영향을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게 하여, 지진의 현상과 특성 등을 학습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가상 지진에 의한 피 실험모형(130)의 피해 모습이나, 어떻게 피 실험모형(130)을 내진 설계하면 피 실험모형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지 등을 학습할 수 있게 한다. The seismic learning model device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enables the user to observe the effect on the experimental model 130 by the virtual earthquake, thereby learning the phenomen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quak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learn how the damage of the experimental model 130 by the virtual earthquake, or how to design the earthquake proof model 130 to reduce the damage of the experimental model.

한편, 진동 기구(1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141)과, 회전 모터(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캠(141)은 진동 테이블(120)의 홈(120a)에 삽입되고, 적어도 양측 부위가 홈(120a)의 내벽에 접촉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캠(141)은 회전 중심이 수직을 향하게 배치된다. Meanwhile, the vibration mechanism 140 may include a cam 141 and a rotation motor 142,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am 141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20a of the vibration table 120 and is formed such that at least both portions contact the inner wall of the groove 120a. Here, the cam 141 is disposed so that the rotation center is vertical.

회전 모터(142)는 프레임(110)에 지지된다. 회전 모터(142)는 회전축(142a)이 캠(141)의 편심축(141a)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캠(141)의 회전시 진동 테이블(120)이 설정 진동 폭을 갖고 진동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폭은 편심축(141a)과 회전축(142a) 간의 거리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The rotary motor 142 is supported by the frame 110. The rotary motor 142 has a rotation shaft 142a is fixed to the eccentric shaft 141a of the cam 141. Accordingly, when the cam 141 rotates, the vibration table 120 may vibrate with a set vibration width. Here, the vibration width may be set by the distance between the eccentric shaft 141a and the rotation shaft 142a.

그리고, 회전 모터(142)는 회전 속도가 제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진동 테이블(120)의 진동 주파수를 원하는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 가 진동 주파수를 높이기 위해서는 회전 모터(142)의 회전 속도를 높이도록 제어하면 되고, 이와 반대로 진동 주파수를 낮추기 위해서는 회전 모터(142)의 회전 속도를 낮추도록 제어하면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피 실험모형(130)에 가해지는 진동 주파수를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10)의 외면에는 회전 모터(142)의 전원을 온,오프 시키기 위한 전원 버튼(101)과, 회전 모터(14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레버(102)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프레임(110)과 진동 테이블(120) 사이에는 다수의 베어링이 설치되어 진동 테이블(120)의 움직임을 원활히 안내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motor 142 is controllable. Accordingly, the user can adjust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vibration table 120 to a desired value. That is, the user may control to increas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ry motor 142 in order to increase the vibration frequency, and conversely, to reduce the vibration frequency, the user may control to lowe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ry motor 142. Therefore, the user can set the vibration frequency applied to the experimental model 130 to a desired value. 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10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button 101 for turning on, off the power of the rotary motor 142, and operation lever 102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ry motor 142. have. 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bearings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rame 110 and the vibration table 120 to smoothly guide the movement of the vibration table 120.

다른 예로, 진동 기구(2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241)과, 탄성 부재(242), 및 회전 모터(2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캠(241)은 진동 테이블(120)의 일측에 배치된다. 예컨대, 캠(241)은 회전 중심이 수직을 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캠(241)은 진동 테이블(120)의 하면에 형성된 돌출부(121)에 대응되거나, 진동 테이블(120)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vibration mechanism 240 may include a cam 241, an elastic member 242, and a rotation motor 243,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cam 241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vibration table 120. For example, the cam 241 is disposed so that the rotation center is vertical. The cam 241 may correspond to the protrusion 12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vibration table 120 or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vibration table 120.

탄성 부재(242)는 캠(241)이 진동 테이블(120)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게 캠(241)에 탄성력을 가한다. 예컨대, 탄성 부재(242)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진동 테이블(120)과 프레임(1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242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cam 241 so that the cam 241 can rotate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vibration table 120.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242 may be formed of a tension coil spring, and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vibration table 120 and the frame 110.

회전 모터(243)는 프레임(110)에 지지된다. 회전 모터(243)는 회전축(243a)이 캠(241)의 편심축(241a)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캠(241)의 회전시 진동 테이블(120)이 설정 진동 폭을 갖고 좌우로 진동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폭은 편심축(241a)과 회전축(243a) 간의 거리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The rotary motor 243 is supported by the frame 110. In the rotary motor 243, a rotation shaft 243a is fixed to the eccentric shaft 241a of the cam 241. Accordingly, when the cam 241 rotates, the vibration table 120 may vibrate from side to side with a set vibration width. Here, the vibration width may be set by the distance between the eccentric shaft 241a and the rotation shaft 243a.

그리고, 회전 모터(243)는 회전 속도가 제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진동 테이블(120)의 진동 주파수를 원하는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프레임(110)과 진동 테이블(120) 사이에는 다수의 베어링이 설치되어 진동 테이블(120)의 움직임을 원활히 안내할 수도 있다.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ry motor 243 can be controlled. Accordingly, the user can adjust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vibration table 120 to a desired value. 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bearings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rame 110 and the vibration table 120 to smoothly guide the movement of the vibration table 120.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피 실험모형(130)의 일 예로, 베이스 판(1311)과, 좌,우 측판(1312), 및 다수의 적층 부재들(1313)을 포함하여, 고층의 모형 건축물(1310)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판(1311)은 진동 테이블(120)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베이스 판(1311)은 진동 테이블(120) 상에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거나, 진동 테이블(120) 상에 별도의 고정 수단 없이 면 접촉 상태로 놓일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1, as an example of the experimental model 130, a high-rise model building including a base plate 1311, left and right side plates 1312, and a plurality of laminated members 1313. 1310). The base plate 1311 is disposed on the vibration table 120. Here, the base plate 1311 may be fixed by the fixing means on the vibration table 120, or may be placed in a surface contact state without a separate fixing means on the vibration table 120.

좌,우 측판(1312)은 베이스 판(1311)에 서로 이격되고 수직하게 고정된다. 적층 부재(1313)들은 좌,우 측판(1312) 사이에서 상하로 서로 이격된다. 그리고, 적층 부재(1313)들은 좌,우 측판(1312)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다단으로 적층된다.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131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vertically fixed to the base plate 1311. The stacking members 131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vertically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1312.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stacking members 1313 are fix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1312 and stacked in multiple stages.

전술한 구성의 모형 건축물(1310)은 고층 건축물에 대한 지진의 영향을 사용자에게 간접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즉, 고층 건축물에 진동이 가해질 때, 진동 주파수에 따른 고층 건축물의 상태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사용자에게 간접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The model building 13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indirectly show the user the effect of the earthquake on the high-rise building. That is, when vibration is applied to the high-rise building, the state of the high-rise building according to the vibration frequency may be indirectly shown to the user.

한편, 적층 부재(1313)들 중 최상측에 위치한 적층 부재의 상면에 물, 삶은 계란, 날 계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담을 수 있게 통(1316)이 더 설치될 수 있 다. 이는 고층 건축물의 최상층에 어떠한 물체를 올려놓느냐에 따라 고층 건축물의 진동 변화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On the other hand, the tub 1316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acking member located on the top of the stacking members 1313 to contain any one selected from water, boiled eggs and raw eggs. This is to observe the vibration change of the high-rise building according to what object is placed on the top floor of the high-rise building.

상술하면, 통(1316)에 물을 담은 경우, 통(1316)에 물을 담지 않은 경우보다 모형 건축물(1310)의 흔들림이 작아짐을 관찰할 수 있다. 이는 모형 건축물(1310)의 흔들림과 역으로 통(1316)의 물이 흔들리어 서로 흔들림을 상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통(1316)에 날 계란을 담은 경우와, 통(1316)에 삶은 계란을 담은 경우를 비교하여, 어떤 경우가 모형 건축물(1310)의 흔들림이 작아질 수 있는지 관찰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container 1316 contains water, the shaking of the model building 1310 may be observed to be smaller than when the container 1316 does not contain water. This shows that the water of the barrel 1316 is shaken to counteract the shaking of the model building 1310 and conversel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serve in which case the shaking of the model building 1310 can be reduced by comparing the case in which the raw eggs are contained in the barrel 1316 and the case of the boiled eggs in the barrel 1316.

피 실험모형(130)의 다른 예로, 단층의 모형 건축물(13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층 건축물(1320)은 베이스 판(1321)과, 좌,우 측판(1322)과, 좌,우 측판(1322)의 상단에 양단이 연결된 상판(1323), 및 상판(1323)의 좌,우단과 양단이 연결되고 중앙이 볼록하게 꺾인 절곡판(1324)을 포함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of the experimental model 130, it may be composed of a single-story model building 1320. In this case, the single-story building 1320 has a base plate 1321, left and right side plates 1322, a top plate 1323 connected at both ends to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1322, and a left side of the top plate 1323. It may include a bending plate 1324 which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right end and is convexly curved at the center thereof.

피 실험모형(130)의 또 다른 예로, 서로 다른 길이로 진동 테이블(120)에 수직하게 배치된 다수의 철편(13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공진 현상을 관찰할 수 있기 위해서이다. 공진 현상이란 진동계가 그 고유 주파수와 동일한 진동 주파수를 가진 외력을 주기적으로 받아 진폭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As another example of the experimental model 130, the test piece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ron pieces 1330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vibration table 120 at different lengths. This is because the resonance phenomenon can be observed. The resonance phenomen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vibration system receives a periodic external force having the same vibration frequency as its natural frequency, and the amplitude increases markedly.

진동 테이블(120)의 진동 주파수를 변화시켜 가는 과정에서, 서로 길이가 다른 철편(1330)들 중 진동 주파수와 동일한 고유 주파수를 갖는 철편이 크게 움직이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진 현상을 학습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vibration table 120, it can be observed that among the iron pieces 1330 having different lengths, the iron pieces having the same natural frequency as the vibration frequency move greatly. Through this, the resonance phenomenon can be learned.

또한, 주파수가 낮아질수록 길이가 긴 철편이 크게 진동을 하고, 주파수가 커질수록 길이가 짧은 철편이 크게 진동을 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낮은 진도에서는 고층 건축물이 크게 흔들릴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철편(1330)들은 철편 베이스(1331) 상에 서로 이격되어 하단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철편 베이스(1330)는 진동 테이블(120) 상에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거나, 진동 테이블(120) 상에 별도의 고정 수단 없이 면 접촉 상태로 놓일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observed that the lower the frequency, the longer the iron pieces vibrate, and the larger the frequency, the shorter iron pieces vibrate.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high-rise buildings can be greatly shaken at low progress. The iron pieces 133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iron piece base 1331 and the bottom thereof may be fixed. Here, the iron piece base 1330 may be fixed by the fixing means on the vibration table 120, or may be placed in a surface contact state without a separate fixing means on the vibration table 120.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피 실험모형의 또 다른 예로, 비커에 고은 모래와 물을 섞어 넣어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액상화(liquefaction) 현상을 관찰할 수 있기 위해서이다. 연약한 모래지반에서 지하수의 수위가 높을 때 지진의 진동에 의해 지반 전체가 액체처럼 되는 현상을 지반 액상화라고도 한다. 특히, 모래 입자가 작고 크기가 고를 때 발생하기 쉽다. Although not shown, another example of the experimental model may be a mixture of silver sand and water in a beaker. This is because the liquefaction phenomenon can be observed. Ground liquefaction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entire ground becomes liquid due to the earthquake vibration when the groundwater level is high in the soft sandy ground. In particular, they are likely to occur when the sand particles are small and of a uniform size.

이때, 모래나 물이 흘러 나오는 현상을 유동화 현상이라 한다. 이러한 액상 지반에서 모래입자는 물 속에 떠 있는 상태가 되어 그 속을 유동하기 때문에 유사 현상(流砂 現象) 또는 퀵샌드라고도 한다. 이 상태에서는 건축물이 침하하거나 모래를 포함한 지하수가 지표로 분출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At this time, a phenomenon in which sand or water flows is called a fluidization phenomenon. In such liquid ground, sand particles float in water and flow in them, which is also called a similar phenomenon or quick sand. In this state, buildings may sink or groundwater, including sand, may erupt into the surface.

전술한 바와 같이, 비커에 고은 모래와 물을 섞어 넣어 구성된 피 실험모형에 대해 진동을 가함으로써, 물기가 위로 올라오는 것을 관찰하는 것을 통해, 액상화 현상을 학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iquefaction phenomenon can be learned by observing the water rises by applying vibration to an experimental model composed of mixed sand and water in a beaker.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 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Could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 학습용 모형장치에 대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ismic learning mode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진동 기구의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vibration mechanism in FIG. 2;

도 4는 도 2에 있어서, 진동 기구의 다른 예에 대한 측면도. 4 is a side view of another example of the vibration mechanism in FIG. 2;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진동기구의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FIG. 5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vibration mechanism in FIG. 4. FIG.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major symbols in the drawings>

110..프레임 120..진동 테이블110.frame 120.vibration table

130..피 실험모형 140,240..진동 기구130 .. Experimental model 140,240 .. Vibration mechanism

Claims (7)

삭제delete 프레임; frame; 상기 프레임 상에 진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진동 테이블; A vibrating table that is vibrated on the frame; 상기 진동 테이블 상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가상 지진에 의한 현상을 관찰할 수 있게 하는 피 실험모형; 및 An experimental model disposed on the vibration table to allow a user to observe a phenomenon caused by a virtual earthquake; And 상기 피 실험모형에 가상 지진의 영향이 가해지게 상기 진동 테이블을 진동시키는 진동 기구;를 포함하는 지진 학습용 모형장치에 있어서, In the earthquake learning model device comprising a; vibration mechanism for vibrating the vibration table so that the effect of the virtual earthquake i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model, 상기 진동 기구는: The vibration mechanism is: 상기 진동 테이블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캠; 및 A cam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vibration table; And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캠의 회전시 상기 진동 테이블이 설정 진동 폭을 갖고 진동할 수 있게 상기 캠의 편심축에 회전축이 고정되며, 상기 진동 테이블의 진동 주파수가 조정될 수 있게 회전 속도가 제어 가능한 회전 모터;It is supported by the frame, the rotation axis is fixed to the eccentric shaft of the cam so that the vibration table vibrates with a set vibration width when the cam rotates, the rotation speed is controllable so that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vibration table can be adjusted Rotary motor; 를 포함하는 지진 학습용 모형장치. Earthquake learning model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 2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피 실험모형은, The experimental model is 상기 진동 테이블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판; A base plate disposed on the vibration table; 상기 베이스 판에 서로 이격되고 수직하게 고정된 좌,우 측판; 및 Left and right side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vertically fixed to the base plate; And 상기 좌,우 측판 사이에서 상하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좌,우 측판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다단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적층 부재들;A plurality of lamination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vertically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and both ends are fix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respectively, and stacked in multiple stages; 을 포함하는 지진 학습용 모형장치. Earthquake learning model device comprising a.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적층 부재들 중 최상측에 위치한 적층 부재의 상면에 물, 삶은 계란, 날 계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담을 수 있게 통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학습용 모형장치. Earthquake learning mode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ub is further installed to contain any one selected from the water, boiled eggs, raw egg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minated member located on the uppermost of the laminated members. 제 2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피 실험모형은, The experimental model is 공진 현상을 관찰할 수 있게 서로 다른 길이로 상기 진동 테이블에 수직하게 배치된 다수의 철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학습용 모형장치. Earthquake learning mode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iron piece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vibration table with different lengths to observe the resonance phenomenon. 제 2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피 실험모형은, The experimental model is 액상화 현상을 관찰할 수 있게 비커에 고은 모래와 물을 섞어 넣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학습용 모형장치. Earthquake learning mode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ker is composed of mixed sand and water to observe the liquefaction phenomenon.
KR1020090052557A 2009-06-12 2009-06-12 Model apparatus of learning earthquake KR1011246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557A KR101124683B1 (en) 2009-06-12 2009-06-12 Model apparatus of learning earthqua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557A KR101124683B1 (en) 2009-06-12 2009-06-12 Model apparatus of learning earthqua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827A KR20100133827A (en) 2010-12-22
KR101124683B1 true KR101124683B1 (en) 2012-04-13

Family

ID=43509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557A KR101124683B1 (en) 2009-06-12 2009-06-12 Model apparatus of learning earthquak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68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904B1 (en) * 2016-07-25 2018-01-22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Earthquake simulation system with earthquake reappearance device for primary wave and sencondary wave, and vibration device for natural frequency wave of earthquake test objects
KR20190057874A (en) 2017-11-21 2019-05-29 경복대학교 산학협력단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afety teaching aid
KR20230097771A (en) 2021-12-24 2023-07-03 장준영 board game having Jenga
KR20230100072A (en) 2021-12-28 2023-07-05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Electric safety education play equip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8878A1 (en) * 2017-07-27 2019-01-31 Newsouth Innovations Pty Ltd Shaking device
CN108269462B (en) * 2018-01-23 2024-01-23 北京科技大学 Small-size assembled structural dynamics teaching experiment table
KR102149237B1 (en) * 2018-04-03 2020-08-28 현은주 Earthquake experience apparatus
IT201800004947A1 (en) * 2018-04-27 2018-07-27 Sensory entertainment system in a geological environment
CN109724761A (en) * 2019-02-21 2019-05-07 河南工业大学 A kind of vertical tube group storehouse model test platform
CN112542080B (en) * 2020-12-16 2022-04-08 中国科学院空天信息创新研究院 Simulation test device based on three-dimensional digital earth geological disaster
CN112767817A (en) * 2021-02-02 2021-05-07 淄博职业学院 Virtuality and reality combined building construction process informatization teaching device
CN113539005A (en) * 2021-08-20 2021-10-22 北京星际元会展有限公司 Earthquake-resistant building test interactio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1148A (en) * 1997-12-01 1999-06-18 Sekisui House Ltd Device for visually checking vibration of building due to earthquake
US7032452B1 (en) * 2004-10-12 2006-04-25 National Kaohsiung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Earthquake simulating vibration table
KR100847310B1 (en) * 2007-10-24 2008-07-21 주식회사 에이치아이디 Earthquake experience system
JP2008176182A (en) 2007-01-22 2008-07-31 Sekisui House Ltd Vibration control structure experience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1148A (en) * 1997-12-01 1999-06-18 Sekisui House Ltd Device for visually checking vibration of building due to earthquake
US7032452B1 (en) * 2004-10-12 2006-04-25 National Kaohsiung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Earthquake simulating vibration table
JP2008176182A (en) 2007-01-22 2008-07-31 Sekisui House Ltd Vibration control structure experience apparatus
KR100847310B1 (en) * 2007-10-24 2008-07-21 주식회사 에이치아이디 Earthquake experience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904B1 (en) * 2016-07-25 2018-01-22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Earthquake simulation system with earthquake reappearance device for primary wave and sencondary wave, and vibration device for natural frequency wave of earthquake test objects
KR20190057874A (en) 2017-11-21 2019-05-29 경복대학교 산학협력단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afety teaching aid
KR20230097771A (en) 2021-12-24 2023-07-03 장준영 board game having Jenga
KR20230100072A (en) 2021-12-28 2023-07-05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Electric safety education play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827A (en)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683B1 (en) Model apparatus of learning earthquake
Setareh et al. Pendulum tuned mass dampers for floor vibration control
JP2008176182A (en) Vibration control structure experience apparatus
KR101803313B1 (en) Simulation apparatus to experience earthquake
JP2011128320A (en) Liquefaction experimental device and liquefaction experimental method
KR102060887B1 (en) Earthquake experience system
JP2017085849A (en) Vibration motor
CN106128285B (en) A kind of masonry structure building Seismic mechanism shows model
JPH01131763A (en) Vibration damper for structure
KR100847310B1 (en) Earthquake experience system
JP2012207652A (en) Wave power generator
CN107784917B (en) Demonstration device for simulating building shock insulation
KR20190020550A (en) Pendulum Electronic Generator
JP3106618U (en) Structure vibration experiment equipment
JPH01131767A (en) Vibration damper for structure
KR20120004001A (en) Golf training plate
JP3748913B2 (en) Building infrastructure with strong earthquake control function in buildings
JP2014009696A (en) Seismic isolation member and seismic isolation device employing the same
JPWO2014178109A1 (en) Gravity balance type seismic isolation device
KR102029414B1 (en)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afety teaching aid
CN107833519B (en) Simulation system for simulating earthquake isolation of modern building
CN208315055U (en) Earthquake virtual experience device
JP2005171641A (en) Vibration control device of building
JPH11256597A (en) Base-isolating structure and damping method thereof
JPH03103578A (en) Wave-making water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