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541B1 -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 Google Patents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541B1
KR101124541B1 KR1020110057083A KR20110057083A KR101124541B1 KR 101124541 B1 KR101124541 B1 KR 101124541B1 KR 1020110057083 A KR1020110057083 A KR 1020110057083A KR 20110057083 A KR20110057083 A KR 20110057083A KR 101124541 B1 KR101124541 B1 KR 101124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variable
block
brick
insertab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4964A (ko
Inventor
이현철
임소연
박현구
고성석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57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541B1/ko
Publication of KR20110074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2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the walls being characterised by fillings in all cavities in order to form a wal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다양한 재료, 크기, 색상 및 형태를 갖으며 삽입과 제거가 용이한 가변 블록을 이용하여 모자이크 식으로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한 디자인 가변 벽체를 제공하는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A insert-type design variable brick}
본 발명은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다양한 재료, 크기, 색상 및 형태를 갖으며 삽입과 제거가 용이한 가변 블록을 이용하여 모자이크 식으로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한 디자인 가변 벽체를 제공하는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체는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벽돌을 다층 적층한 조적식 벽체 및 에이취 빔을 이용하여 칸막이를 처리한 경량 벽체 등이 있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벽체는 패널 등을 이용하여 시공하고자하는 벽체 형태를 먼저 만든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건조시켜 형성하는 벽체를 의미하고, 상기 경량 벽체는 에이취 빔으로 뼈대를 형성하고, 그 표면에 패널 등을 부착한 형태의 벽체를 의미하고, 상기 조적식 벽체는 벽돌을 다층으로 적층한 형태의 벽체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조적식 벽체는 건축물의 내벽 및 담장 등에 시공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상기 조적식 벽체는 내벽 또는 담장을 시공 시, 벽돌을 적층한 후 그 표면에 미장 몰탈을 처리하여 마감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적식 벽체의 디자인은 상기 미장 몰탈의 표면에 페인트 등으로 색칠하는 형태로 디자인을 변경할 뿐 벽체 자체의 형상이나 형태를 바꾸기 위해서는 상기 미장 몰탈을 다시 시공하거나 벽체 자체를 다시 시공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자인 가변 벽체에 삽입되는 삽입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삽입 블록이 손쉽게 삽입 또는 제거되어 디자인의 변경이 가능한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 측면에 평면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삽입 블록 또는 색상이 다른 삽입 블록을 삽입하기 위한 블록 삽입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상기 블록 삽입부에 삽입되는 삽입 블록에 의해 디자인이 가변되고, 상기 블록 삽입부가 둘 이상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블록 삽입부들의 평면 형상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며, 상기 각각의 삽입 블록 및 상기 각각의 블록 삽입부는 서로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은 황토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은 재질이 황토로 이루어져 있어 친환경적인 삽입 블록,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은 다양한 형태의 삽입 블록을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에 삽입할 수 있어 벽체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가변할 수 있는 디자인 가변 벽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은 삽입 블록의 교체가 용이한 삽입 블록 및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을 제공하여 디자인을 손쉽게 변경 가능한 디자인 가변 벽체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성형틀의 일 부품인 슬롯 유닛들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성형틀의 일 부품인 하부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성형틀을 이용하여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삽입 블록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자인 가변 벽체를 조적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자인 가변 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성형틀의 일 부품인 슬롯 유닛들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성형틀의 일 부품인 슬롯 유닛(100)들은 도 1의 (a) 내지 (f)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롯 유닛(100)들은 유닛 삽입부(110)와 기둥(1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유닛 삽입부(110)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유닛 삽입부(110)는 이후 설명될 하부 패널(200)에 구비된 패널 삽입부(210)에 삽입됨으로, 상기 유닛 삽입부(110)가 동일한 형태로 구비되어야 상기 패널 삽입부(210)에 아무런 제약 없이 원하는 배치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유닛 삽입부(110)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정사각형의 형태를 띠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둥(120)은 도 1의 (a) 내지 (f)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정사각형(도 1의 (a)에 도시)일 수도 있고, 원형(도 1의 (b)에 도시)일 수도 있고, 육각형(도 1의 (c)에 도시)일 수도 있다. 즉, 상기 기둥(120)은 상기 유닛 삽입부(110)상에 구비되되, 평면 형상이 원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120)은 도 1(d) 내지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유닛 삽입부(110) 상에 복 수개의 기둥(120)이 구비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의 (a) 내지 (f)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슬롯 유닛(100)은 일정 형태,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 형태를 가진 유닛 삽입부(110) 상에 평면 형상이 원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기둥(1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성형틀의 일 부품인 하부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성형틀의 하부 패널(200)은 일측 표면 상에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슬롯 유닛(100)의 유닛 삽입부(110)가 삽입되는 패널 삽입부(210)를 하나 이상 구비하고 있다.
이때, 도 2에서는 네 개의 패널 삽입부(210)를 일렬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하나 이상 구비하여도 무방하며, 또한 두 줄 이상으로 배열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성형틀을 이용하여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성형틀을 이용하여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성형틀의 하부 패널(200)을 준비한다.
이어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패널(200)의 패널 삽입부(210)에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슬롯 유닛(100)들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슬롯 유닛(100)의 유닛 삽입부(110)가 상기 하부 패널(200)의 패널 삽입부(210)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슬롯 유닛(100)을 삽입한다.
한편, 상기 슬롯 유닛(100)은 도 3에서는 도 1(a)에 도시된 평면 형상이 정사각형이 슬롯 유닛(100)을 삽입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 1의 (b) 내지 (f)에 도시된 다양한 형태의 기둥(120)을 구비한 슬롯 유닛(100)을 선택하여 다양한 슬롯 유닛(100)을 삽입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롯 유닛(100)이 장착된 하부 패널(200)의 네 측면에 각각 측면 패널들(310, 320, 330, 34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부 패널(350)도 상기 측면 패널들(310, 320, 330, 340)과 함께 준비한다.
이때, 상기 측면 패널들(310, 320, 330, 340)이 상기 하부 패널(200)의 네 측면에 체결됨으로 상부는 입구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이어서,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패널(200)과 측면 패널들(310, 320, 330, 340)에 의해 형성된 수용 공간에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400)의 재료를 채워 넣는다. 이때, 상기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400)의 재료는 황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패널들(310, 320, 330, 340)이 상기 하부 패널(200)의 네 측면에 체결되어 형성됨으로써 형성된 입구 영역에 상기 상부 패널(350)을 덮는다. 이때, 상기 상부 패널(350)은 상기 측면 패널들(310, 320, 330, 340)에 의해 형성된 입구 영역에 비해 작은 크기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 패널(350)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상부 패널(350)이 상기 측면 패널들(310, 320, 330, 340)에 의해 형성된 수용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 패널(350)을 상기 입구 영역에 덮은 후 상기 상부 패널(350)을 가압하여 상기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의 재료(400)를 가압하는 동시에 가열하여 상기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400)의 재료를 성형하여 도 3의 (e)에 도시된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400)을 완성한다.
이때, 상기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400)은 일측 측면에 이후 설명될 삽입 블록을 삽입하기 위한 블록 삽입부(410)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다. 이때, 상기 블록 삽입부(410)는 상기 슬롯 유닛(100)의 기둥(120)과 동일한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400)들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성형틀을 이용하여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400)을 제조한 것으로 상기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성형틀의 하부 패널(200)의 패널 삽입부(210)에 삽입된 슬롯 유닛(100)들의 형상에 따라 상기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400)들의 블록 삽입부(410)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된다.
즉, 도 4의 (a)에 도시된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400)의 블록 삽입부(410)는 평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도록 제조되었고, 도 4의 (b)에 도시된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400)의 블록 삽입부(410)는 평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도록 제조되었고, 도 4의 (c)에 도시된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400)의 블록 삽입부(410)는 평면 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도록 제조되었고, 도 4의 (d)에 도시된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400)의 블록 삽입부(410)는 평면 형상이 원형, 사각형 및 다각형이 섞여 있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제조되었고, 도 4의 (e) 내지 (h)에 도시된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400)들은 상기 도 4의 (a) 내지 (d)에 형성된 블록 삽입부(410)가 이렬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제조되는 등 상기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400)의 블록 삽입부(410)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400)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황토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친환경적이고, 상기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성형틀에 의해 벽돌 형태로 제조되되, 일측 측면에 삽입 블록을 삽입하기 위한 블록 삽입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삽입 블록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삽입 블록(500)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사각형(도 5의 (a) 및 (d)에 도시), 원형(도 5의 (b) 및 (e)에 도시) 및 다각형(도 5의 (c) 및 (f)에 도시) 등의 다양한 형태인 기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 블록(500)은 목질계, 섬유계, 고무계 및 플라스틱계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황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 블록(500)은 각각 다른 색상을 띠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삽입 블록(500)으로 이후 설명될 디자인 가변 벽체(600)의 외부 디자인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삽입 블록(500)의 일측 표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 블록(500)이 상기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400)의 블록 삽입부(410)에 삽입되었을 때 노츨되는 표면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삽입 블록(500)의 측면에 홈(510)을 둘 이상 구비하고 있다.
상기 홈(510)들은 상기 삽입 블록(500)을 상기 삽입형 디자인 가변 블록(400)의 블록 삽입부(410)에 삽입하거나 제거할 때, 집게 등을 이용하여 상기 삽입 블록(500)을 잡기 위한 것이다.
이때, 도 5의 (a) 내지(c)에서는 두 개의 홈(51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 5의 (d) 내지 (f)에서는 네 개의 홈(51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상기 삽입 블록(500)을 상기 삽입부(410)에 삽입하거나 제거할 때 편리한 개수의 홈(510)들을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홈(510)은 둘 이상 구비되면 몇 개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자인 가변 벽체를 조적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자인 가변 벽체(60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400)을 조적함으로써 외형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400)들은 몰탈(610)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몰탈(610)은 시멘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몰탈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몰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400)을 조적하여 원하는 크기 및 형태로 디자인 가변 벽체(600)의 외형을 형성한 후에는 상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다양한 형태의 평면 형상 및 색상을 가진 삽입 블록(500)들을 상기 삽입형 디자인 가변 ㅂ벽돌(400)의 블록 삽입부(410)들에 삽입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디자인 가변 벽체(60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삽입 블록(500)은 상기 삽입 블록(500)에 구비된 홈(510)들을 집게(700)로 집음으로 손쉽게 상기 블록 삽입부(410)에 삽입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삽입 블록(500)을 제거할 때도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집게(700)를 이용하여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상기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400)의 블록 삽입부(410)의 평면 형상이 사각형인 것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다양한 형태의 블록 삽입부(410)를 구비한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400)을 조적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자인 가변 벽체(600)는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디자인 가변 벽체(600)를 조적함에 있어 다양한 형태의 블록 삽입부(410)를 구비한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400)을 조적하고, 상기 블록 삽입부(410)에 다양한 형태의 평면 형상 및 다양한 색상을 가진 삽입 블록(500)을 삽입하여 원하는 형태의 그림 또는 문양이 상기 디자인 가변 벽체(600)의 외부 표면에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자인 가변 벽체(600)는 상기 삽입 블록(500)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음으로 색상이 다른 삽입 블록(500)으로 교체하여 전혀 새로운 형태의 그림 또는 문양으로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자인 가변 벽체(600)는 황토를 주재료로 하고 있어 친환경적인 벽체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슬롯 유닛 200 : 하부 패널
400 :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500 : 삽입 블록
600 : 디자인 가변 벽체

Claims (2)

  1. 황토로 이루어지며 평면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삽입 블록 또는 색상이 다른 삽입 블록을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블록 삽입부를 구비하여 상기 블록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삽입 블록의 평면 형상 또는 색상에 의해 디자인이 가변되고,
    상기 복수의 블록 삽입부는 각각 동일한 형상을 갖거나 서로 다른 형상을 갖고,
    상기 블록 삽입부의 평면 형상과 상기 블록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삽입 블록의 평면 형상을 동일하며,
    상기 삽입 블록은 황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2. 삭제
KR1020110057083A 2011-06-13 2011-06-13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KR101124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083A KR101124541B1 (ko) 2011-06-13 2011-06-13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083A KR101124541B1 (ko) 2011-06-13 2011-06-13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293A Division KR101091798B1 (ko) 2009-04-10 2009-04-10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및 이들을 이용한 디자인 가변 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964A KR20110074964A (ko) 2011-07-05
KR101124541B1 true KR101124541B1 (ko) 2012-03-16

Family

ID=4491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083A KR101124541B1 (ko) 2011-06-13 2011-06-13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5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6389A (ja) * 2003-09-03 2005-03-24 Koichi Matsud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6389A (ja) * 2003-09-03 2005-03-24 Koichi Matsud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964A (ko) 201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8347B2 (ja) 構造物及び建造物用の光伝達構成要素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14508868A5 (ko)
US7165374B2 (en) Wall system and method
KR100953477B1 (ko) 거푸집 겸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US8839593B2 (en) Pre-cast blocks for use in column construction
US20240159048A1 (en) Cast Stone Corner Hardscaping Block
KR101091798B1 (ko)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및 이들을 이용한 디자인 가변 벽체
KR101124541B1 (ko) 삽입형 디자인 가변 벽돌
KR101104311B1 (ko) 패널형 줄눈 인조석과 시공방법 및 제조방법
US7749346B1 (en) Decorative inlay repair method
TWI513883B (zh) 間隔物件的連接方式及組成
US20150091207A1 (en) Center insulated concrete form
WO2019215368A1 (es) Paneles y pilares machihembrados, aislantes y con material de residuos, para conformar paredes
KR101991072B1 (ko) 패턴블록과 이를 이용한 패턴블록조립체
US20120159888A1 (en) Cultured stone masonry unit
JP3172428U (ja) 装飾用コンクリート壁
TWI585274B (zh) 快速組合式牆系統及其板面系統
KR200381501Y1 (ko) 적층식 콘크리트 장식 블럭
JP4625422B2 (ja) 組積用ブロック及び組積ブロックの構築方法
ES2617059B1 (es) Procedimiento de construcción de cerramientos verticales, bloque empleado en la construcción y cerramiento vertical obtenido
JPH10292551A (ja) 躯体壁・擁壁等の構築用ブロック
RU23448U1 (ru) Быстромонтируем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KR20200001993U (ko) 담장용 블록
RU2434105C2 (ru)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варианты)
TWM527464U (zh) 快速組合式牆系統及其板面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