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409B1 - 호안블럭 - Google Patents

호안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409B1
KR101124409B1 KR1020080123331A KR20080123331A KR101124409B1 KR 101124409 B1 KR101124409 B1 KR 101124409B1 KR 1020080123331 A KR1020080123331 A KR 1020080123331A KR 20080123331 A KR20080123331 A KR 20080123331A KR 101124409 B1 KR101124409 B1 KR 101124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aft
protrusion
raft block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4746A (ko
Inventor
김기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산업개발
Priority to KR1020080123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409B1/ko
Publication of KR20100064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안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몸체, 상기 몸체의 하측면 상측에서 돌출된 제1돌출부와 상기 몸체의 상측면 하측에서 돌출된 제2돌출부, 그리고 상기 몸체의 좌측면 상측에서 돌출된 제3돌출부와, 상기 몸체의 우측면 하측에서 돌출된 제4돌출부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호안블럭과 다른 호안블럭을 결합할 때 서로 겹쳐치도록 결합하여 겹쳐진 틈 사이로 유수의 침투를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다.
호안블럭, 호안블록, 연결, 결합, 겹침

Description

호안블럭{Revetment block}
본 발명은 호안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안블럭과 다른 호안블럭을 결합할 때 서로 겹쳐치도록 결합하여 겹쳐진 틈 사이로 유수의 침투를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는 호안블럭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호안(護岸:revetment)이란, 하안(河岸), 해안(海岸), 둑을 보호해서 유수(流水)에 의한 물가선의 침식을 방지하거나 유실되지 않도록, 그 비탈면에 시설하는 공작물을 말한다.
이러한 호안공법은 중량과 형상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한 자연석이나 콘크리트블럭 등을 이용한 호안블럭(revetment block)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 호안블럭과 다른 호안블럭을 서로 결합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389581호(이하, 종래기술1)와 같이, 호안블럭과 다른 호안블럭간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별도의 지지부재를 타설하여 결합하였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1은 호안블럭과 다른 호안블럭간에 형성되는 고정홈 에 별도의 지지부재를 타설하여 연결시켜야만 블럭과 블럭의 견고함이 유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실용 제436634호(이하, 종래기술2)에는 별도의 지지부재 없이 블럭 자체에 걸림돌기와 걸림홈을 구비하여 블럭과 블럭을 결합하는 식생용 호안블럭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537370호(이하, 종래기술3)에는 결합헤드와 결합소켓을 구비하여 블럭과 블럭을 결합하는 하천공사용 자연형 체결식 호안블럭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2와 종래기술3은 호안블럭과 다른 호안블럭을 단순히 맞닿도록 결합시켰기 때문에, 호안블럭의 전면으로 흐르고 있는 유수가 호안블럭과 다른 호안블럭이 결합된 틈새로 쉽게 침투하여, 호안블럭의 전면에서 흐르는 유수의 흐름이 느려지면서 호안블럭의 배면으로 유수의 침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여름철 호우시 맞대어진 틈 사이로 빗물 등의 유수가 쉽게 배면으로 침투하여, 침투된 유수가 지반을 유실시키면서 호안블럭이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호안블럭과 다른 호안블럭을 결합할 때, 서로 겹쳐치도록 결합할 수 있으므로, 서로 겹쳐진 틈 사이로 유수의 침투를 최대한 억제시키는 호안블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호안블럭은 몸체, 상기 몸체의 하측면 상측에서 돌출된 제1돌출부와 상기 몸체의 상측면 하측에서 돌출된 제2돌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호안블럭은 몸체의 좌측면 상측에서 돌출된 제3돌출부와, 상기 몸체의 우측면 하측에서 돌출된 제4돌출부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호안블럭과 다른 호안블럭을 결합할 때, 서로 겹쳐치도록 결합할 수 있으므로, 호안블럭과 다른 호안블럭의 겹쳐진 틈 사이로 유수의 침투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호안블럭의 몸체에는 전면에서 배면을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관통부로 시멘트 등의 그라우트(grout)를 주입하여, 울퉁불퉁한 지반(굴착면)에 설치된 호안블럭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호안블럭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1) 본 발명의 호안블럭은 호안블럭과 다른 호안블럭을 결합할 때, 호안블럭과 다른 호안블럭의 겹쳐진 틈 사이로 유수의 침투를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지반의 약화에 따른 호안블럭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호안블럭은 몸체에 형성된 체결부재와 체결홈, 그리고 돌기와 홈에 의해, 별도의 볼트 및 연결핀 등이 없어도 호안블럭과 다른 호안블럭의 결합이 가능하므로 설치가 매우 간편하고 일체화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호안블럭과 다른 호안블럭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3) 본 발명의 호안블럭은 호안블럭과 다른 호안블럭이 고기의 비늘과 같이, 유수가 흐르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겹쳐서 결합되므로 유수의 흐름이 빠르다.
(4) 본 발명의 호안블럭은 전면으로 노출되는 별도의 연결부재가 없이도 호안블럭과 다른 호안블럭의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수가 흐를 때 마찰력이 크게 저하되어 유수의 흐름이 빠르다.
(5) 본 발명의 호안블럭은 관통부로 시멘트 등의 그라우트(grout)를 주입하여 호안블럭을 지반에 단단히 고정시켜 이탈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호안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안블럭과 다른 호안블럭을 결합할 때 서로 겹쳐치도록 결합하여 겹쳐진 틈 사이로 유수의 침투를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는 호안블럭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호안블럭(100)은 몸체(101)의 하측면(203) 상측에서 돌출된 제1돌출부(106)와, 상측면(102) 하측에서 돌출된 제2돌출부(206)로 이루어진다.
도 7은 호안블럭(100)의 상측면과 다른 호안블럭(100c)의 하측면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사항을 미루어 볼때, 호안블럭(100) 몸체(101)의 상측면(102)은 다른 호안블럭(100c) 제1돌출부(106)의 일단면(103)과 맞닿는다.
또한, 호안블럭(100) 제2돌출부(206)의 일단면(202)은 다른 호안블럭(100c) 몸체(101)의 하측면(203)과 맞닿는다.
또한, 호안블럭(100) 제2돌출부(206)의 윗면(208)은 다른 호안블럭(100c) 제1돌출부(106)의 아랫면(109)과 겹친다.
즉, 호안블럭(100)과 다른 호안블럭(100c)의 상단은 ㄴ자형상이고 하단은 ㄱ자형상이므로, 호안블럭(100)의 상단은 다른 호안블럭(100c)의 하단과 겹쳐서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호안블럭(100) 몸체(101)의 상측면(102)과 다른 호안블럭(100c) 제1돌출부(106)의 일단면(103)이 맞닿는 부분까지는 호안블럭(100)과 다른 호안블럭(100c)이 결합되는 틈새가 지반(500)을 향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어, 호안블럭의 배면(209)으로 유수가 쉽게 침투한다.
그러나, 호안블럭(100) 제2돌출부(206)의 윗면(208)과 다른 호안블럭(100c) 제1돌출부(106)의 아랫면(109)이 겹치는 부분에서 호안블럭(100) 제2돌출부(206)의 윗면(208)에 의해, 호안블럭(100)과 다른 호안블럭(100c)이 결합된 사이의 틈새가 지반(500)과 수평하게 형성되면서, 호안블럭의 배면(209)으로 유수가 침투하는 방향이 바뀐다.
즉, 호안블럭(100)과 다른 호안블럭(100c)이 결합된 사이의 틈새는 유수가 흐르는 방향에 역방향을 향하고, 겹치는 구간만큼 경로가 길어지기 때문에, 전면에서 배면으로 유수의 침투하는데 오랜시간이 걸린다.
이에 따라, 호안블럭의 전면(108)에서 제2돌출부(206) 윗면(208)까지 침투된 유수가 지반(500)으로 침투되는 것이 최대한 억제된다.
또한, 호안블럭의 전면(108)에서 배면(209)으로 유수의 침투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지반(500)의 약화에 따른 호안블럭(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호안블럭(100)과 다른 호안블럭(100c)이 결합된 구조는 유수가 흐르는 방향과 같은 방향이 되도록, 상기 호안블럭(100)의 제2돌출부(206)의 윗면(208)에 제1돌출부(106)의 아랫면(109)이 겹쳐서, 마치 고기의 비늘과 같은 형태로 배치되므로, 상부에서 하부로의 유수 흐름이 빨라져 지반으로의 유수를 최대한 억제한다.
또한, 호안블럭(100)과 다른 호안블럭(100c)이 서로 겹쳐서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별도의 연결부품을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별도의 연결부품이 호안블럭의 전면에 노출되지 않아, 유수의 흐름에 방해를 주기 않는 전면을 가져, 오래 머물지 않고 바로바로 위에서 아래로 흘려 지반으로의 배수를 최대한 억제시킨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 호안블럭(100)은 상기 몸체(101)의 좌측면(204) 상측에서 돌출된 제3돌출부(107)와, 우측면(105) 하측에서 돌출된 제4돌출부(207)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호안블럭(100)의 우측면과 다른 호안블럭(100a)의 좌측면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사항을 미루어 볼때, 호안블럭(100) 몸체(101)의 우측면(105)은 다른 호안블럭(100a) 제3돌출부(107)의 일단면(104)과 맞닿는다.
또한, 호안블럭(100) 제4돌출부(207)의 일단면(205)은 다른 호안블럭(100a) 몸체(101)의 좌측면(204)과 맞닿는다.
또한, 호안블럭(100) 제4돌출부(207)의 윗면(218)은 다른 호안블럭(100a) 제3돌출부(107)의 아랫면(119)과 겹친다.
즉, 호안블럭(100)과 다른 호안블럭(100)a)의 좌측은 ㄱ자형상이고 우측은 ㄴ자형상이므로, 호안블럭(100)의 우측은 다른 호안블럭(100a)의 좌측과 겹쳐서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호안블럭(100) 몸체(101)의 우측면(105)과 다른 호안블럭(100a) 제2돌출부(107)의 일단면(104)이 맞닿는 부분까지는 호안블럭(100)과 다른 호안블럭(100a)이 결합되는 틈새가 지반(500)을 향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어, 호안블럭의 배면(209)으로 유수가 쉽게 침투한다.
그러나, 호안블럭(100) 제4돌출부(206)의 윗면(208)과 다른 호안블럭(100a) 제2돌출부(107)의 아랫면(119)이 겹치는 부분에서 호안블럭(100) 제4돌출부(207)의 윗면(218)에 의해, 호안블럭(100)과 다른 호안블럭(100a)이 결합된 사이의 틈새가 지반(500)과 수평하게 형성되면서, 호안블럭의 배면(209)으로 유수가 침투하는 방향이 바뀐다.
즉, 호안블럭(100)과 다른 호안블럭(100a)이 결합된 사이의 틈새는 호안블럭의 전면(108)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형성되고, 수직하게 형성된 틈새의 끝단에서 이어져 다시 수평하게 형성되며, 수평하게 형성된 틈새의 끝단에서 이어져 다시 수직하게 형성되어 호안블럭의 배면(209)과 이어진다.
이에 따라, 호안블럭의 전면(108)에서 제4돌출부(207) 윗면(208)까지 침투된 유수가 지반(500)으로 침투되는 것이 최대한 억제되고, 전면(108)에서 흐르고 있던 유수는 상기 전면(108)에서 윗면(218)까지 침투된 유수로 인해 호안블럭(100)과 다른 호안블럭(100c)이 결합된 사이의 틈새 상에서 오랫동안 머물지 못하므로 호안블럭의 전면(108)상으로 빠르게 흐른다.
이때, 상기 수직하게 형성된 틈새의 끝단에서 다시 수평하게 형성되는 틈새는 호안블럭의 전면(108)에서 이어지는 일단보다 배면(209)에서 이어지는 일단이 더 높도록 경사가 지도록 형성시키면 유수의 침투를 억제하는데 더욱 효과적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출부(106)의 일단면(103) 중심부에는 상기 일단면(103)의 좌우 길이 방향으로 일정 깊이 파인 제1홈(110)이 형성된다.
제3돌출부(107)의 일단면(104) 중심부에는 상기 일단면(104)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깊이 파인 제2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홈(110)과 제2홈(111)은 서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홈(110)과 제2홈(111)의 단면은 반원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몸체(101) 상측면(102)의 상측 중심부에는 상기 상측면(102)과 제3돌출부(107)가 연장되는 좌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기(112)가 형성된다.
몸체(101) 우측면(105)의 중심부에는 상기 우측면(105)과 제1돌출부(106)가 연장되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기(113)가 형성된다.
상기 제1돌기(112)와 제2돌기(113)는 서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돌기(112)와 제2돌기(113)의 단면은 제1홈(110)과 제2홈(111)의 단면과 대응되는 반원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하로 결합된 호안블럭(100)과 다른 호안블럭(100c)에서는 호안블럭(100)의 제1돌기(112)가 다른 호안블럭(100c)의 제1홈(110)에 삽입되고, 좌우로 결합된 호안블럭(100)과 다른 호안블럭(100a)에서는 호안블럭(100)의 제2돌기(113)가 다른 호안블럭(100a)의 제2홈(111)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홈(110)(111)에 삽입된 돌기(112)(113)는 유수가 전면(108)에서 배면(209)로 침투할 때, 유수의 침투를 방해하는 지수판 역할을 할 뿐만 아니 라, 전면(108)에서 배면(209)까지 틈새의 총길이를 늘리는 역할을 병행하므로 더욱 뛰어난 지수(止水)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몸체(101) 하측면(203)의 하측 중심부에는 2개의 체결부재(210)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210)는 일단이 돌출되도록, 상기 하측면(203) 중심부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체결부재(210)는 철근 또는 강봉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돌출부(206)의 일단면(202) 중심부에는 체결홈(211)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211)은 상기 체결부재(21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재(210)가 설치되는 위치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부에 위치한 호안블럭(100)의 체결홈(211)에는 상부에 위치한 다른 호안블럭(100c)의 체결부재(210)가 삽입되므로, 호안블럭과 다른 호안블럭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게다가, 별도의 볼트 및 연결핀 등이 없어도 호안블럭과 다른 호안블럭을 쉽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매우 간편하고 일체화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호안블럭의 전면(108)으로 노출되는 별도의 연결부재가 없이도 호안블럭과 다른 호안블럭의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수가 흐를 때 마찰력이 크게 저하되어 유수의 흐름이 빨라져, 호안블럭과 다른 호안블럭이 결합된 사이의 틈새로 유수가 침투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호안블럭(100)의 중심부에는 몸체(101)의 전면(108)에서 배면(209)까지 관통된 관통부(301)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301)는 시멘트 등의 그라우트(400)(grout)를 주입할 수 있는 통로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퉁불퉁한 지반(500)(즉, 굴착면)에 호안블럭을 설치할 때에는 호안블럭의 배면(209)과 지반(500)이 맞닿는 면적이 커지도록, 관통부(301)로 그라우트(400)를 주입한다.
이에 따라, 호안블럭이 지반(500)에 단단히 고정되므로, 상기 호안블럭이 지반(5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호안블럭과 다른 호안블럭을 결합할 때 서로 겹쳐치도록 결합하여 겹쳐진 틈 사이로 유수의 침투를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이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 호안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호안블럭의 평면도.
도 3은 도 2 A-A의 단면도.
도 4는 도 2 B-B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호안블럭과 다른 호안블럭을 결합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
도 6은 본 발명의 호안블럭의 우측면과 다른 호안블럭의 좌측면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호안블럭의 상측면과 다른 호안블럭의 하측면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호안블럭 101 : 몸체 106 : 제1돌출부
107 : 제3돌출부 110 : 제1홈 111 : 제2홈
112 : 제1돌기 113 : 제2돌기 206 : 제2돌출부
207 : 제4돌출부 210 : 체결부재 211 : 체결홈
301 : 관통부 400 : 그라우트 500 : 지반

Claims (3)

  1. 몸체;
    상기 몸체의 하측면 상측에서 돌출된 제1돌출부;
    상기 몸체의 상측면 하측에서 돌출된 제2돌출부;
    상기 몸체의 좌측면 상측에서 돌출된 제3돌출부;
    상기 몸체의 우측면 하측에서 돌출된 제4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돌출부의 일단면 중심부에는 상기 제1돌출부 일단면의 좌우 길이 방향으로 일정 깊이 파인 제1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3돌출부의 일단면 중심부에는 상기 제3돌출부 일단면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깊이 파인 제2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은 서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 상측면의 상측 중심부에는 상기 몸체 상측면과 상기 제3돌출부가 연장되는 좌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 우측면의 중심부에는 상기 몸체 우측면과 상기 제1돌출부가 연장되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는 서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 하측면의 하측 중심부에는 두 개의 체결부재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체결부재는 일단이 돌출되도록 상기 몸체 하측면 중심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2돌출부 일단면 중심부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홈은 상기 체결부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재가 설치되는 위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럭.
  2. 삭제
  3. 삭제
KR1020080123331A 2008-12-05 2008-12-05 호안블럭 KR101124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331A KR101124409B1 (ko) 2008-12-05 2008-12-05 호안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331A KR101124409B1 (ko) 2008-12-05 2008-12-05 호안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746A KR20100064746A (ko) 2010-06-15
KR101124409B1 true KR101124409B1 (ko) 2012-03-21

Family

ID=42364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331A KR101124409B1 (ko) 2008-12-05 2008-12-05 호안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4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315B1 (ko) * 2010-07-09 2011-03-23 한동권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시공방법
KR101425766B1 (ko) * 2014-02-03 2014-08-05 유한회사 한스 친환경 수로 구조물
KR102325897B1 (ko) * 2021-03-10 2021-11-12 주식회사 무성건설 조립식 인터록킹 블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182A (ko) * 2001-07-26 2003-02-05 주식회사 두산콘크리트 조립블록 및 그 조립블록을 이용한 옹벽
KR200302389Y1 (ko) * 2002-10-28 2003-02-05 신홍식 옹벽축조용 블록
KR20040098434A (ko) * 2003-05-15 2004-11-20 (유) 이도건설 조립식 호안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182A (ko) * 2001-07-26 2003-02-05 주식회사 두산콘크리트 조립블록 및 그 조립블록을 이용한 옹벽
KR200302389Y1 (ko) * 2002-10-28 2003-02-05 신홍식 옹벽축조용 블록
KR20040098434A (ko) * 2003-05-15 2004-11-20 (유) 이도건설 조립식 호안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746A (ko) 201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409B1 (ko) 호안블럭
JP5405939B2 (ja) 傾斜地盤補強構造及び工法
CN204326031U (zh) 混凝土加糙墩柔性海漫结构
KR100570921B1 (ko) 교각기초부분의 세굴방지구조
CN206477308U (zh) 一种堤路兼容快装式河堤
CN213740864U (zh) 一种防滑型水利工程用护坡结构
KR100699710B1 (ko) 하천의 호안블록구조
KR20060112129A (ko) 하상 보호용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CN209339104U (zh) 弹性竖肋格栅坝
CN210597199U (zh) 园林生态护坡
CN106480853A (zh) 可与多桩配设用于侵蚀控制的地工砂肠袋
CN105714735B (zh) 一种锚固的预制混凝土六方块护坡方法及其应用装置
KR100541841B1 (ko) 하천제방블록의 체결구조
CN205576834U (zh) 防冲水利堤坝
CN217104916U (zh) 一种拼接式水利工程用河道护坡
CN211036741U (zh) 穿堤箱涵出口护砌结构
CN210917216U (zh) 一种园林景观河护岸结构
CN204418102U (zh) 曲线护岸结构
CN212801413U (zh) 水利工程中浆砌石护坡结构
CN217104920U (zh) 一种基于水利工程的生态水利护坡装置
CN218204199U (zh) 一种水利整治工程堤防防渗加固机构
CN210315398U (zh) 河道密排钢筋砼长短板桩护砌结构
CN212533929U (zh) 一种能够抵抗高强度冲刷的水利护坡
CN211772651U (zh) 一种公路工程路肩修筑板
CN218861468U (zh) 河塘边坡防护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