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980B1 - 진동 스피커 - Google Patents

진동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980B1
KR101123980B1 KR1020100051151A KR20100051151A KR101123980B1 KR 101123980 B1 KR101123980 B1 KR 101123980B1 KR 1020100051151 A KR1020100051151 A KR 1020100051151A KR 20100051151 A KR20100051151 A KR 20100051151A KR 101123980 B1 KR101123980 B1 KR 101123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portion
vibration
ben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621A (ko
Inventor
김상원
정현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1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980B1/ko
Publication of KR20110131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4Manufacturing aspects of the magnetic circuit of loudspeaker or microphon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3Transducers capable of generating both sound as well as tactile vibration, e.g. as used in cellular 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고, 마이크로 스피커와 진동 모터의 기능을 함께 구현하는 진동 스피커가 제공된다.
상기 진동 스피커는 그 구성 일예로서, 하우징의 내부에 제공되는 진동 발생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진동부 상에 배치되고 하우징에 접합되는 음향발생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조립되고, 기기 본체와의 탄성 접속을 위하여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절곡 단자부와, 상기 절곡 단자부에 진동방향에 대응하여 연이어 형성되는 진동방향 대응형 접속 단자부로 이루어진 단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 스피커측 단자부와 기기측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부를 일체형으로 구조 개선하여 제조 간소화를 가능하게 하여 제품 단가를 낮추게 함은 물론, 진동 방향 대응형으로 단자부 구조를 형성시키어 안정적인 접속 유지를 통한 작동성의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 스피커{VIBRATION SPEAKER}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고, 마이크로 스피커와 진동 모터의 기능을 함께 구현하는 진동 스피커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기기 본체부와 접속되는 단자부를 구조 개선하여 기존에 비하여 간소화시키고 전기적 접속은 용이하게 하는 한편, 진동방향 대응형으로 제공하여 진동 중에도 안정적인 접속을 유지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제조 비용 절감과 작동성을 향상시킨 진동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진동 스피커는 음향 발생 기능과 진동 발생 기능을 동시 수행하기 위한 다기능 엑츄에이터로서, 통상 이동통신 단말기(모바일 기기)와 게임기 등의 휴대용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즉, 알려진 진동 스피커는, 마이크로 스피커와 진동 모터의 기능을 함께 구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진동 스피커는 고주파 전류 또는 저주파 전류가 선택적으로 인가되어 음향을 발생시키거나 진동이 유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휴대 전화)와 같은 음향의 재생을 필요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영상,음향 그리고 데이터 통신 등의 융합화가 이루어지면서 신호 처리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이 이어지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진동 스피커는, 기기의 초 슬림화에 맞추어, 초소형 및 초슬림형으로 요구되어 있고, 따라서 기기 외형틀은 유지되어도 진동 스피커는 더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요구되고 있다.
한편, 알려진 통상의 진동 스피커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보이스 코일에 고주파 신호가 인가되면, 보이스 코일과 마그네트 및 보이스코일 사이의 상호 전자기력에 의해 떨림판이 미세하게 떨리면서 음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보이스코일에 저주파 신호가 인가되면, 보이스코일과 마그네트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요크의 순간적인 상,하 운동이 발생되고, 이때 판 스프링을 매개로 케이스에 진동이 전달되어 기기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진동스피커는 이동 통신 기기본체와 접속되어 진동 스피커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용 접속 단자부가 필요하다.
한편,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알려진 종래의 진동 스피커의 경우에는, 단자를 기판을 이용하여 처리하고 외부에서 별도의 기구물을 이용해서 진동 스피커의 단자에 접속시키거나, 진동 스피커 단자에 리드 와이어 등의 남땜 접속 부품을 연결하고 그 상대편을 기기 본체 측에 연결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즉, 종래 진동 스피커의 경우, 진동 스피커의 접촉 대상인 기기본체에 단자 접속용의 별도 부품이 반드시 필요하거나, 진동 스피커 측에 별도의 리드 와이어를 납땜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통하여 접속하거나 또는, 진동 스피커에 별도 기판(PCB)을 사용하고 이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용 스프링 등의 별도 기구물 등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 진동 스피커의 경우에는 기기 본체와 진동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추가적인 접속 기구들이 제공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경우, 진동스피커 자체에 기기 본체 측과 직접 접촉하여 전원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별도 접속 요소(부품)들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진동 스피커의 경우에는 접속 관련 단자 부품들이 과도하게 필료하기 때문에, 제품 공정이 늘어나고 이는 결국 제품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는 한편, 부품 증가로 생산 단가도 높은 문제가 있었다.
특히, 종래 진동 스피커의 경우, 진동 스피커의 진동 방향에 대응하여 단자부구조를 개선하여 진동 스피커와 기기 본체부 간 접속이 진동 중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기술이 구체적으로 제안된 바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기기 본체부와 접속되는 단자부를 구조 개선하여 기존에 비하여 간소화시키고 전기적 접속은 용이하게 하는 한편, 진동방향 대응형으로 제공하여 진동 중에도 안정적인 접속을 유지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제조 비용 절감과 작동성을 향상시킨 진동 스피커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제공되는 진동 발생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진동 발생부 상에 배치되는 음향 발생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조립되고, 기기 본체부와의 탄성 접속을 위하여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절곡 단자부와, 상기 절곡 단자부에 진동방향에 대응하여 연이어 형성되는 진동방향 대응형 접속 단자부로 이루어져 상기 진동과 음향 발생부를 구동토록 제공되는 단자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진동 스피커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자부가 끼움 조립되는 단자 조립개구와, 상기 단자부와 접속되는 기판의 탑재를 가능토록 제공되는 기판 탑재부 및, 상기 단자부의 절곡 단자부가 탑재토록 제공되는 단자 탑재부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단자 조립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자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된 단자 조립블록에 한쌍이 마주하여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접지 단자부와 급전 단자부로 구성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단자 조립블록에 구비된 조립 개구에 끼워져 조립되고, 일부가 노출되어 기판과 접속되는 조립 단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 단자부는, 상기 단자부에 구비된 조립 단자부에서 직각으로 상향 절곡되는 제1 절곡 단자부와, 상기 제1 절곡 단자부에서 수평하게 직각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 단자부 및, 상기 제2 절곡 단자부에서 둔각 범위내에서 절곡되어 접속 단자부의 진동방향 대응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제3 절곡 단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방향 대응형 접속 단자부는, 상기 제3 절곡 단자부의 단부에서 만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면서 제3 절곡 단자부를 매개로 진동방향과 동일방향의 기기 본체부 접속방향을 유지토록 구성된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 단자부에 기기 본체와의 접속을 더 긴밀하게 유지토록 제공되는 접속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진동 스피커에 의하면, 진동 스피커 자체의 코일 또는 전원 공급부를 연결하는 단자부와 진동 스피커를 기기 측에 연결하는 접촉 단자부를 일체형으로 구조 개선하여, 구조 간소화와 제조 공정의 간소화를 가능하게 하여 제품 단가를 낮추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동 스피커의 진동 방향에 대응하여 단자부 형상을 구현하여, 진동 중에도 기기와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기기 작동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스피커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체형 단자부를 갖는 진동 스피커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본 발명 진동 스피커의 단자부를 도시한 요부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스피커(1)를 도시하고 있고,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적 특징인 단자부(90)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동 스피커(1)는, 크게 하우징(10)의 내부에 제공되는 진동 발생부(30)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진동부 상에 배치되고 하우징에 접합되는 음향발생부(50)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조립되고, 기기 본체와의 탄성 접속을 위하여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 단자부(92)와, 상기 절곡부에 진동방향에 대응하여 연이어 형성되는 진동방향 대응형 접속 단자부(94)로 이루어진 단자부(90)를 포함하여 그 일 실시예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동 스피커(1)는, 앞에서 설명한 진동발생기능을 제공하는 진동발생부(30)와 음향발생기능을 제공하는 음향발생부(50)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다음, 상기 본 발명의 진동발생부(30)와 음향발생부(50)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1 및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동발생부(30)와 음향발생부(5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하우징(10)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원형 형태의 원통체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 및 상부에는 각각 하부 플레이트(12)와 구멍이 형성된 보호판(커버)(18)가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12)와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음향발생부(50)의 떨림판(52) 사이는 차폐되면서 진동공간(V)이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진동 스피커(1)에서, 상기 진동발생부(3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36)가 탑재되는 중앙의 요크(32)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36)는 상면에 상부 플레이트(38)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요크(36)는 진동을 증폭시키는 분동체(34)가 연계되고, 이와 같은 요크(36)의 분동체(34)는 케이스(10)의 내주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판(40)(예컨대, 판 스프링)을 매개로 하우징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음향발생부(5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에 에지가 접합되는 떨림판(52)을 포함하고, 이와 같은 떨림판(52)에는 상기 마그네트(36)의 주위로 마그네트와 분동체 사이에 위치되는 보이스코일(54)(진동코일)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보이스코일과 마그네트는 음향발생과 진동발생을 구현하는 데에 동시에 사용되는 것이나, 단지 위치 배열을 기준으로 하여 요크에 마그네트가 탑재되어 진동발생부에 포함시키고, 떨림판에 보이스코일이 부착되어 음향발생부에 포함한 것이다.
이와 같은 기본적으로 진동발생부(30)와 음향발생부(5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진동 스피커에서, 보이스코일(52)에 고주파 신호가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단자부(90)를 통하여 인가되면, 상기 보이스 코일(52)과 마그네트(36)의 상호 전자기력에 의해 떨림판(52)이 미세하게 떨리면서 음향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동시에, 상기 보이스코일(52)에 단자부(90)를 통하여 저주파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보이스코일(52)과 마그네트(36)사이에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요크(32)가 상,하 운동을 구현하고, 이와 같은 상,하 운동은 분동체(34)와 연결된 탄성판(40)을 통해 하우징(10)으로 전달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판(40) 사이로 요크(32)에 배치된 분동체(34)는 질량을 크게하여 진동량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 도 1,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진동 스피커(1)의 상기 단자부(90)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단자부(90)는, 크게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조립되고, 기기 본체(모바일 기기 본체)와의 탄성 접속을 위하여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절곡 단자부(92)와, 상기 절곡 단자부에 진동방향에 대응하여 연이어 형성되는 진동방향 대응형 접속 단자부(94)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자부(9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복잡한 부품 구조를 간소화하고, 납땜 등의 공정상 지연 작업을 제거 가능하게 하고, 특히 단자를 진동방향 대응형으로 형성시키어, 기기본체와의 전기적 접속이 진동이 발생되는 도중에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진동 스피커(1)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자부(90)를 간단하게 끼움 조립하면서 기기본체와의 접속과 기판(PCB)의 단자부 접속을 매개로 탑재 가능하게 하는 단자 조립블록(70)을 포함한다.
즉, 상기 단자 조립블록(70)은, 하우징(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중앙에는 단자부(90)의 조립 단자부(96)의 외부 노출단(96a)에 탑재되는 기판(PCB)(미도시)의 블록 탑재를 위한 기판 탑재부(7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자 조립블록(70)은 양측으로 상기 단자부(90)의 조립 단자부(96)가 간단하게 끼움 조립되고, 따라서 착탈 가능하게 되는 단자 조립개구(72)가 일체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단자 조립블록(70)는, 중앙에 오목하게 상기 기판 탑재부(74)가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상부에는 단자부(90)의 절곡 단자부(92)와 접속 단자부(94)가 탑재되는 단자 탑재부(76)를 포함하고, 이와 같은 단자 탑재부(76)는 블록 상부 평면에서 오목하게 파여져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기판 탑재부에서는 단자부의 조립 단자부(96)가 일부 노출되어 이부분에서의 탑재되는 기판(미도시)과의 전기적 접속을 구현한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동 스피커(1)에서, 상기 단자부(90)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자 조립블록(70)에 한쌍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접지 단자부(90a)와 급전 단자부(90b)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기기본체의 전원 공급부와 접속된 상태에서 전원은 급전 단자부로 인가되고, 접지 단자부는 기기와 진동 스피커 쇼트 등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상기 접지 단자부(90a)와 급전 단자부(90b)의 형태는 서로 반대방향 일 뿐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이들을 구분하지 않고 단자부(90)로 설명한다.
다음, 본 발명의 단자부(90)는, 도 1 및 도 3,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자 조립블록(70)의 양측으로 수평하게 관통 형성된 단자 조립개구(72)에 끼워져 조립되고, 블록에 탑재되는 기판과 접속되는 조립 단자부(9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조립 단자부(96)는, 블록의 조립개구를 통과하여 기판과 접속되기 위한 외부 노출되는 노츨단부(96a)를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노출단부는 단자 조립블록의 중앙 기판 탑재부(74)의 폭에 따라 결정됨은 물론이다.
다음, 본 발명의 단자부(90)에서 실질적인 탄성 작용을 가능하게 하여 기기 본체의 전원 공급부와의 긴밀한 전기적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절곡 단자부(92)를 포함한다.
즉, 도 3 및 도 4와 같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절곡 단자부(92)는, 상기 단자 조립블록에 끼움 조립된 조립 단자부(96)의 끝에서 일체로 직각으로 상향 절곡되는 제1 절곡 단자부(92a)와, 상기 제1 절곡 단자부에서 수평하게 직각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 단자부(92b) 및, 상기 제2 절곡 단자부(92b)에서 둔각(도 4의 Θ)의 범위내에서 절곡되어 접속 단자부의 진동방향 대응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제3 절곡 단자부(92c)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절곡 단자부(92a)는 블록 외곽으로 수평한 조립 단자부(96)의 끝에서 일체로 직각으로 상향 절곡되고, 제2 절곡 단자부(92b)는 상기 제1 절곡 단자부에서 다시 블록 내측을 향하여 수평하게 직각으로 절곡된다.
결국, 본 발명의 상기 조립 단자부(96)와 제1,2 절곡 단자부(92a)(92b)는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는, 블록의 조립 개구에 끼워지면서, 블록의 단자 탑재부(76)에 긴밀하게 안착 고정되는 'ㄷ'자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제3 절곡 단자부(92c)는 상기 제2 절곡 단자부(92b)에서 절곡되되, 둔각(도 4의 Θ)의 범위내에서 절곡되기 때문에, 상기 제3 절곡 단자부의 단부에 형성된 접속 단자부(94)는, 진동 스피커(1)의 진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기 본체부의 전원 공급부와의 접속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3 절곡 단자부(92c)는 제2 절곡 단자부에서 수평하다가 둔각으로 절곡되면서 경사방향으로 신장되어 접속 단자부가 형성되므로, 기기본체와의 접속시 탄성 작용은 상하방향(진동방향)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안정적인 접속을 유지시킨다.
결국, 조립 블록에서 외부 노출 탑재되는 제1 내지 제3 절곡부의 상호 작용으로 조립블록의 상부에서 노출된 상태에서 단자부 전체의 탄성 작동을 구현하는 것이다.
다음,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방향 대응형 접속 단자부(94)는, 상기 제3 절곡 단자부(92c)의 단부에서 만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면서 앞에서 설명한 제1 내지 제3 절곡 단자부의 상호 탄성 작용을 매개로 진동방향(도 2의 P)과 동일방향의 접속방향(도 1,3의 P)을 유지토록 제공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만곡된 접속 단자부(94)의 상부에는 기기 본체부와의 접속을 더 긴밀하게 유지토록 제공되는 접속단(98)을 포함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단자부(90)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고, 절곡 제작이 용이하면서 절곡부에서의 탄성 작용이 가능한 알려진 구리, 동 판재를 이용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조립 단자블록(70)은 실제로는 도 1과 같이, 하우징(10)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진동 스피커(1)는, 진동발생시 단자부의 기기 본체의 전원 공급부와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단자부와 기판 등의 상호 접속 탑재가 용이하여, 전체적으로 기존에 비하여 부품 구조 간소화를 가능하게 하고, 제조 공정상의 비용 절감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 진동 스피커 10.... 하우징
30.... 진동 발생부 32.... 요크
36.... 마그네트 40.... 탄성부재(판)
50.... 음향발생부 52.... 떨림판
54.... 보이스코일 70.... 하우징의 단자 조립부
72.... 단자 조립개구 90.... 단자부
92a,92b,92c.... 제1 내지 제3 절곡 단자부
94.... 진동방향 대응형 접속 단자부 96.... 조립 단자부
98.... 접속단

Claims (6)

  1. 하우징의 내부에 제공되는 진동 발생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진동 발생부 상에 배치되는 음향 발생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조립되고, 기기 본체부와의 탄성 접속을 위하여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절곡 단자부와, 상기 절곡 단자부에 진동방향에 대응하여 연이어 형성되는 진동방향 대응형 접속 단자부로 이루어져 상기 발생부들을 구동토록 제공되는 단자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진동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가 끼움 조립되는 단자 조립개구;
    상기 단자부와 접속되는 기판의 탑재를 가능토록 제공되는 기판 탑재부; 및,
    상기 단자부의 절곡 단자부가 탑재토록 제공되는 단자 탑재부;
    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단자 조립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스피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된 단자 조립블록에 한쌍이 마주하여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접지 단자부와 급전 단자부로 구성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단자 조립블록에 구비된 조립 개구에 끼워져 조립되고, 일부 노출되어 탑재되는 기판과 접속되는 조립 단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스피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단자부는, 상기 단자부에 구비된 조립 단자부에서 직각으로 상향 절곡되는 제1 절곡 단자부; 및,
    상기 제1 절곡 단자부에서 수평하게 직각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 단자부; 및,
    상기 제2 절곡 단자부에서 둔각 범위내에서 절곡되어 접속 단자부의 진동방향 대응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제3 절곡 단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스피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방향 대응형 접속 단자부는, 상기 제3 절곡 단자부의 단부에서 만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면서 제3 절곡 단자부를 매개로 진동방향과 동일방향의 기기 본체부 접속방향을 유지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스피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부에 기기 본체부와의 접속을 긴밀하게 유지토록 제공되는 접속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스피커.
KR1020100051151A 2010-05-31 2010-05-31 진동 스피커 KR101123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151A KR101123980B1 (ko) 2010-05-31 2010-05-31 진동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151A KR101123980B1 (ko) 2010-05-31 2010-05-31 진동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621A KR20110131621A (ko) 2011-12-07
KR101123980B1 true KR101123980B1 (ko) 2012-03-23

Family

ID=4549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151A KR101123980B1 (ko) 2010-05-31 2010-05-31 진동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9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612B1 (ko) * 2022-05-10 2023-10-12 크레신 주식회사 이어폰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945B1 (en) 2000-07-10 2002-02-06 Samsung Electro Mech Speaker terminal connection apparatus
KR200376901Y1 (ko) 2004-11-25 2005-03-10 박용언 진동 모터 복합형 스피커
KR200386087Y1 (ko) 2005-03-04 2005-06-07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마이크로스피커의 프레임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945B1 (en) 2000-07-10 2002-02-06 Samsung Electro Mech Speaker terminal connection apparatus
KR200376901Y1 (ko) 2004-11-25 2005-03-10 박용언 진동 모터 복합형 스피커
KR200386087Y1 (ko) 2005-03-04 2005-06-07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마이크로스피커의 프레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621A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6227B1 (en) Mobile terminal
JP5804769B2 (ja) 電磁継電器
US9985508B2 (en) Vibrating motor
CN107113504B (zh) 振动输出装置和包括振动输出装置的便携式电子设备
CN102386744A (zh) 水平振动电机
KR101148530B1 (ko) 선형 진동자
US10764688B2 (en) Speaker
KR20060112014A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엑츄에이터 모듈
KR101123980B1 (ko) 진동 스피커
US11309780B2 (en) Vibration motor
US12009719B2 (en) Vibration generating device
CN1956604A (zh) 骨传导麦克风及其制造方法
US8855355B2 (en) Micro-speaker
CN205792137U (zh) 线性振动马达
CN202218203U (zh) 压电振动器
JP3408470B2 (ja) 電子機器
CN112954090B (zh) 屏幕发声设备
JP7340620B2 (ja) 振動発生装置
CN213126468U (zh) 扬声器模组及电子设备
US20240235356A1 (en) Motor vibrating device
JP4866987B2 (ja) 振動発生装置の携帯端末機器への実装構造
KR200290556Y1 (ko) 탄성부재를 이용한 전자제품과 다목적 부저와의 전기적접속구조
JP4186704B2 (ja) スピーカ、そのスピーカを用いたスピーカシステム、電子機器および装置
KR101185030B1 (ko)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KR20050001018A (ko) 소형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