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978B1 - 협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협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978B1
KR101123978B1 KR1020090112552A KR20090112552A KR101123978B1 KR 101123978 B1 KR101123978 B1 KR 101123978B1 KR 1020090112552 A KR1020090112552 A KR 1020090112552A KR 20090112552 A KR20090112552 A KR 20090112552A KR 101123978 B1 KR101123978 B1 KR 101123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word
encoding
message
encoding scheme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5926A (ko
Inventor
박철균
한인득
이원진
허준
박준섭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12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978B1/ko
Priority to US12/840,459 priority patent/US8359519B2/en
Publication of KR20110055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6Distributed coding, e.g. network coding, involving channel coding
    • H04L1/0077Coopera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7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9Convolutional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7Re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소스노드에서, 제1 부호화 방식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부호화하여 제1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코드워드를 중계노드 및 목적지노드로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중계노드에서,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코드워드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메세지를 제2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제2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코드워드에서 패리티에 해당하는 부분을 상기 제1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제3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코드워드를 상기 목적지노드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목적지노드에서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코드워드 및 상기 중계노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3 코드워드를 복호화하고, 상기 제1 코드워드를 복호화하여 생성된 메세지와 상기 제3 코드워드를 복호화하여 생성된 상기 제2 코드워드의 패리티 부분을 결합하여 상기 제2 부호화 방식의 제4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4 코드워드를 복호화하여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추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협력 전송 방법이 개시된다.
협력 전송, 콘볼루셔널(convolutional) 코드, 트렐리스(trellis) 코드, 계통적(systematic) 블록 코드, 리드-솔로몬 코드, 패리티, 소스, 중계, 목적지

Description

협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통신 시스템{METHOD FOR COOPERATIVE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협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저하를 최소화 하면서 전송 데이터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협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 시스템 분야에서는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스마트 안테나 등 여러 가지 기술들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송신 전력이 제한된 상황에서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요구할 경우 오류율이 증가되고, 통신 가능 거리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계기를 이용한 협력 전송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중계기를 이용한 협력 전송 방식은 AF(Amplify-and-Forward) 방식과 DF(Decode-and-Forward) 방식으로 나눌수 있다. AF 방식은, 중계기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두 번째 프레임에서 전송하는 데이터의 크기가 단말에서 기지국에 전송하는 데이터의 크기와 동일한 특징을 갖는다. DF 방식은, 중계기에서 사용하는 부호화 (Encoding) 기법을 단말에서 사용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사용할 경우 역시 두 번째 프레임에서 전송하는 데이터의 크기가 동일하게 된다. 그러나, 단말에서 사용하는 부호화 기법과 다른 부호화 기법을 중계기에서 사용할 경우 두 번째 프레임에서 중계기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중계기에서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게 되면 기지국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서비스 품질(QoS)의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 품질의 저하를 최소화 하면서 두 번째 프레임에서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서비스 품질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협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소스노드에서, 제1 부호화 방식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부호화하여 제1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코드워드를 중계노드 및 목적지노드로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중계노드에서,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코드워드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메세지를 제2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제2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코드워드에서 패리티에 해당하는 부분을 상기 제1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제3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코드워드를 상기 목적지노드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목적지노드에서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코드워드 및 상기 중계노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3 코드워드를 복호화하고, 상기 제1 코드워드를 복호화하여 생성된 메세지와 상기 제3 코드워드를 복호화하여 생성된 상기 제2 코드워드의 패리티 부분을 결합하여 상기 제2 부호화 방식의 제4 코드워드를 생성하 고, 상기 제4 코드워드를 복호화하여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추측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협력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부호화 방식은 콘볼루셔널(convolutional)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 방식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부호화 방식은 트렐리스(Trellis)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부호화 방식은 오류 검출을 위한 패리티를 포함하는 계통적(systematic) 블록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 방식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부호화 방식은 리드-솔로몬(Reed-Solomon)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제1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되는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메세지는 순환 중복 검사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코드워드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메세지에서 상기 순환 중복 검사값을 확인하여 수신 오류 발생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호화된 메세지를 제2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제2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코드워드에서 패리티에 해당하는 부분을 상기 제1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제3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코드워드를 상기 목적지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제1 부호화 방식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부호화하여 제1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코드워드를 전송하는 소스노드;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코드워드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메세지를 제2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제2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코드워드에서 패리티에 해당하는 부분을 상기 제1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제3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코드워드를 상기 목적지노드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목적지노드에서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코드워드 및 상기 중계노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3 코드워드를 복호화하고, 상기 제1 코드워드를 복호화하여 생성된 메세지와 상기 제3 코드워드를 복호화하여 생성된 상기 제2 코드워드의 패리티 부분을 결합하여 상기 제2 부호화 방식의 제4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4 코드워드를 복호화하여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추측하는 목적지노드
를 포함하는 협력 전송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계노드에서 목적지노드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계통적 블록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 또는 리드-솔로몬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에 의해 생성되는 패리티 부분을 부호화한 코드워드가 되므로 전체 메세지를 전송하는데 비해 데이터 전송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계노드에서 CRC 확인을 통해 오류검사를 수행하고, 목적지 노드에서 메세지와 패리티를 결합하여 복호화하는 과정에서 오류검사 및 오류수정이 다시 수행되므로 서비스 품질의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협력 전송 방법이 적용된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협력 전송 방법이 적용된 통신 시스템은, 크게 소스노드(10), 중계노드(20) 및 목적지노드(3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노드(1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통신 단말이 될 수 있고, 상기 중계노드(20)는 사용자의 통신 단말과 기지국을 연결하는 중계기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목적지노드(30)는 이동통신 기지국이 될 수 있다.
상기 소스노드(10)는, 메세지(11)를 제1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는 인코더(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세지(11)는 오류 검사를 위한 순환 중복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호화 방식은 콘볼루셔널(convolutional) 코드를 이용하여 메세지(11)를 부호화할 수 있다. 상기 콘볼루셔널 코드는 오류 수정을 수행할 수 있는 코드의 일종으로 m 비트 심볼을 n 비트의 심볼로 변환하는 m/n의 코드율 갖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 콘볼루셔널 코드는 디지털 라디오, 휴대 전화, 위성 연결 및 블루투스 등과 같은 통신 분야에서 성능향상을 위해 통용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콘볼루셔널 코드로서 트렐리스(Trellis) 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스노드(10)는 상기 제1 부호화 방식으로 메세지를 부호화하여 제1 코드워드(codeword)를 생성하고 이를 중계노드(20) 및 목적지노드(30)로 전송한다.
상기 중계노드(20)는, 상기 소스노드(10)로부터 제1 코드워드를 수신하여 이를 복호화하는 디코더(21)와, 디코더에서 복호화된 메세지의 CRC값을 확인하여 오류검사를 하는 오류검사부(22)와, 오류검사 결과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메세지에 대해 제2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를 수행하고, 이에 의해 생성된 제2 코드워드에서 패리티 부분 만을 출력하는 패리티 생성부(23)와, 상기 패리티부분을 제1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는 인코드(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코드(21)는 제1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된 결과물인 제1 코드워드를 복호화한다. 제1 코드워드의 복호화에는 콘볼루셔널 코드로 부호화된 코드워드를 복호화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비터비(Viterbi)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류 검사부(22)는 복호화된 메세지의 순환 중복 검사값을 확인하여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검사하고 검사 결과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면 이후의 과정을 진행한다.
상기 패리티 생성부(23)는 제2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오류검사가 완료된 메세지를 복호화 한다. 이 때, 사용되는 제2 부호화 방식은 오류 검출을 위한 패리티를 포함하는 계통적(systematic) 블록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계통적인 코드는 입력 비트가 부호화된 출력에 나타나는 코드를 의미하며, 비계통적(non-systematic) 코드는 입력 비트가 출력에 나타나지 않는 코드를 의미한다. 또한, 블록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는 전송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소정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어 블록마다 에러 검출용 비트(bit)를 부가하는 방식으로 부호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계통적 블록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 방식은 리드-솔로몬(Reed-Solomon)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리드-솔로몬 코드는, 리드(Reed)와 솔로몬(Solomon)이 제안한 군집 형태의 오류를 정정할 수 있는 코드의 하나이다. 리드-솔로몬 코드는 'RS(m,k)'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는데, 이는 k 개의 심볼을 부호화할 때 (m-k) 개의 심볼에 해당하는 오류정정용 패리티를 부가하여 부호화함을 의미한다. 이 리드-솔로몬 코드는, 군집 오류 정정 능력이 뛰어난 특성을 가지므로, 산발 오류에 대한 정정 능력이 뛰어나 지상 무선 통신 분야와 유선 통신 및 암호 통신에 널리 쓰이는 돌림형 부호와 연결하여 산발 오류와 군집 오류가 동시에 발생하는 환경인 우주 통신이나 위성 통신, 위성 방송에서 채널 오류를 제거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이동 통신 시스템, 대역 확산 시스템 등의 통신 시스템과 컴퓨터 기억 장치, 콤팩트디스크(CD)와 디지털 녹음기(DAT) 같은 저장 매체의 오류 정정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또한, 리드-솔로몬 코드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 전송 표준에 채택되고 있다.
상기 패리티 생성부(23)는 리드-솔로몬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를 수행하고, 리드-솔로몬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에서 생성되는 코드워드에서 메세지에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한 패리티에 해당하는 부분을 출력하므로 도 1에서는 RS 패리티 생성부로 도시하였다.
상기 인코더(24)는 상기 패리티 생성부(23)에서 출력된 제2 코드워드의 패리티부분을 제1 부호화 방식(예를 들어, 콘볼루셔널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 트렐리스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으로 부호화하여 제3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이를 전송한다.
상기 목적지노드(30)는, 상기 소스노드(10) 및 중계노드(20)로부터 각각 수신된 제1 코드워드 및 제3 코드워드를 복호화하는 디코더(31)와 디코더(31)에서 복호화된 결과를 결합하여 제4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이를 다시 복호화하여 추측된 메세지(33)를 생성하는 디코더(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코더(31)는 제1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된 제1 코드워드 및 제3 코드워드를 복호화한다. 상기 제1 코드워드 및 제3 코드워드는 전술 한바와 같이 동일 한 부호화 방식인 제1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되므로 하나의 디코드(31)를 이용하여 소스노드(10) 및 중계노드(20)로부터 수신된 코드워드들을 복호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드워드를 복호화하면 메세지 부분이 생성되고, 상기 제3 코드워드를 복호화하면 제2 부호화 방식(계통적인 블록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 또는 리드-솔로몬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으로 부호화된 코드워드의 패리티 부분이 생성된다.
상기 디코더(32)는 디코더(31)에 의해 생성된 메세지부분과 패리티 부분을 결합하여 제2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것과 같은 새로운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이를 복호화하여 패리티에 의한 오류 수정이 되어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추측된 메세지(33)를 출력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협력 전송 방법을 통신 시스템의 각 노드별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협력의 협력 전송 방법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소스노드(10)에서 메세지를 생성하고(S11), 이를 제1 코드화 방식으로 부호화(콘볼루셔널 코드 또는 트렐리스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한 후(S12) 부호화에 의해 생성된 제1 코드워드를 중계노드(20) 및 목적지노드(30)로 전송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중계노드(20)에서, 상기 소스노드(10)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코드워드를 복호화(디코딩)하고(S21), 상기 복호화된 메세지에서 CRC 확인을 통해 오류가 발생하는지 검사하고(S22),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 우 복호화된 제2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계통적 블록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 또는 리드-솔로몬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하여 제2 코드워드를 생성하여 패리티를 생성하고(S33), 상기 제2 코드워드에서 패리티에 해당하는 부분을 상기 제1 부호화 방식(콘볼루셔널 코드 또는 트렐리스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으로 부호화하여 제3 코드워드를 생성하고(S34), 상기 제3 코드워드를 상기 목적지노드로 전송한다(S35).
다음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적지노드(30)에서 상기 소스노드(10)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코드워드를 복호화하여 메세지를 생성하고(S31), 상기 중계노드(20)로부터 제3 코드워드가 수신되면(S32), 상기 제3 코드워드를 복호화하고(S33), 상기 제1 코드워드를 복호화하여 생성된 메세지와 상기 제3 코드워드를 복호화하여 생성된 상기 제2 코드워드의 패리티 부분을 결합하여 상기 제2 부호화 방식(계통적 블록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 또는 리드-솔로몬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의 제4 코드워드를 생성하고(S34), 상기 제4 코드워드를 복호화하여(S36)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추측할 수 있다(S36). 상기 중계노드(20)에서 CRC 확인을 통해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S22), 중계노드(20)에서 목적지노드(30)로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상기 목적지노드(30)는 중계노드(20)로부터 제3 코드워드를 수신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에, 목적지노드(30)는 소스노드(10)로부터 수신된 제1 코드워드 만으로 메세지 추측을 수행할 수 있다(S37).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계노드에서 목적지노드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계통적 블록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 또는 리드-솔로몬 코드를 이용한 부호 화에 의해 생성되는 패리티 부분을 부호화한 코드워드가 되므로 전체 메세지를 전송하는데 비해 데이터 전송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계노드에서 CRC 확인을 통해 오류검사를 수행하고, 목적지 노드에서 메세지와 패리티를 결합하여 복호화하는 과정에서 오류검사 및 오류수정이 다시 수행되므로 서비스 품질의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협력 전송 방식과 종래의 협력 전송 방식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도 5는 프레임 에러율(FER)을 도시하며, 도 6은 쓰루풋을 도시한다.
도 5와 도 6은, 제1 및 제3 부호화 방식으로 1/2 코드율의 트렐리스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제2 부호화 방식으로 RS(255,191)의 리드-솔로몬 코드를 사용한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60GHz 대역에서의 레일리 페이딩 채널(Layleigh fading channel)에서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와 도 6에서 종래기술1은 콘볼루셔널 코드만 이용하여 메세지를 부호화 및 복호화 하여 협력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종래기술2는 리드-솔로몬 코드만 이용하여 메세지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여 협력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협력 전송 방법은 종래 기술에 비해 에러율이 현저하게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신호 대 잡음비(SNR)가 낮은 환경에서 종래기술에 따른 협력 전송 기법에 비해 더욱 높은 쓰루풋을 나타내며, 신호 대 잡음비 가 낮은 환경에서도 최대 쓰루풋을 출력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호 대 잡음 비가 매우 좋은 환경에서는 종래기술2가 더욱 높은 쓰루풋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러한 높은 신호 대 잡음 환경은 실제 통신환경에서는 구현될 수 없는 것으로 높은 쓰루풋을 나타내는 것으 큰 의미가 없다. 또한, 종래기술2는 신호 대 잡음 환경이 아주 우수하더라도 자신의 최대 쓰루풋을 출력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 5 및 도 6을 통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종래 기술에 비해 높은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면서 데이터 전송량의 감소를 통해 높은 쓰루풋을 달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및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협력 전송 방법이 적용된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협력 전송 방법을 통신 시스템의 각 노드별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협력 전송 방식과 종래의 협력 전송 방식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도 5는 프레임 에러율(FER)을 도시하며, 도 6은 쓰루풋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소스노드 11: 부호기(인코더)
20: 중계노드 21: 복호기(디코더)
22: 오류검사부 23: 패리티 생성부
24: 부호기(인코더) 30: 목적지노드
31: 복호기(디코더) 32: 복호기(디코더)

Claims (14)

  1. 소스노드에서, 제1 부호화 방식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부호화하여 제1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코드워드를 중계노드 및 목적지노드로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중계노드에서,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코드워드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메세지를 제2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제2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코드워드에서 패리티에 해당하는 부분을 상기 제1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제3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코드워드를 상기 목적지노드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목적지노드에서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코드워드 및 상기 중계노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3 코드워드를 복호화하고, 상기 제1 코드워드를 복호화하여 생성된 메세지와 상기 제3 코드워드를 복호화하여 생성된 상기 제2 코드워드의 패리티 부분을 결합하여 상기 제2 부호화 방식의 제4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4 코드워드를 복호화하여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추측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협력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호화 방식은 콘볼루셔널(convolutional)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전송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호화 방식은 콘볼루셔널(convolutional) 코드의 일종인 트렐리스(Trellis)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호화 방식은 오류 검출을 위한 패리티를 포함하는 계통적(systematic) 블록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전송 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호화 방식은 계통적(systematic) 블록 코드의 일종인 리드-솔로몬(Reed-Solomon)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제1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되는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메세지는 순환 중복 검사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코드워드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메세지에서 상기 순환 중복 검사값을 확인하여 수신 오류 발생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수신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호화된 메세지를 제2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제2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코드워드에서 패리티에 해당하는 부분을 상기 제1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제3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코드워드를 상기 목적지노드로 전송하고,
    수신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목적지 노드는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의 제1 코드워드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추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전송 방법.
  8. 제1 부호화 방식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부호화하여 제1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코드워드를 전송하는 소스노드;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코드워드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메세지를 제2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제2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코드워드에서 패리티에 해당하는 부분을 상기 제1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제3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코드워드를 전송하는 중계노드; 및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코드워드 및 상기 중계노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3 코드워드를 복호화하고, 상기 제1 코드워드를 복호화하여 생성된 메세지와 상기 제3 코드워드를 복호화하여 생성된 상기 제2 코드워드의 패리티 부분을 결합하여 상기 제2 부호화 방식의 제4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4 코드워드를 복호화하여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추측하는 목적지노드
    를 포함하는 협력 전송 통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호화 방식은 콘볼루셔널(convolutional)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전송 통신 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호화 방식은 콘볼루셔널(convolutional) 코드의 일종인 트렐리스(Trellis)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전송 통신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호화 방식은 오류 검출을 위한 패리티를 포함하는 계통적(systematic) 블록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전송 통신 시스템.
  12. 제8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호화 방식은 계통적(systematic) 블록 코드의 일종인 리드-솔로몬(Reed-Solomon) 코드를 이용한 부호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전송 통신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노드가 상기 제1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는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메세지는 순환 중복 검사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전송 통신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노드는,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코드워드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메세지에서 상기 순환 중복 검사값을 확인하여 수신 오류 발생 여부를 검사하며,
    수신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호화된 메세지를 제2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제2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코드워드에서 패리티에 해당하는 부분을 상기 제1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제3 코드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코드워드를 상기 목적지노드로 전송하고,
    수신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목적지 노드는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의 제1 코드워드로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추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전송 통신 시스템.
KR1020090112552A 2009-11-20 2009-11-20 협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통신 시스템 KR101123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552A KR101123978B1 (ko) 2009-11-20 2009-11-20 협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통신 시스템
US12/840,459 US8359519B2 (en) 2009-11-20 2010-07-21 Cooperative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552A KR101123978B1 (ko) 2009-11-20 2009-11-20 협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926A KR20110055926A (ko) 2011-05-26
KR101123978B1 true KR101123978B1 (ko) 2012-03-23

Family

ID=44062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552A KR101123978B1 (ko) 2009-11-20 2009-11-20 협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59519B2 (ko)
KR (1) KR1011239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479B1 (ko) * 2005-03-24 200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방법
US8787428B2 (en) * 2010-12-01 2014-07-22 Dynamic Invention Llc Soft forwarding for cooperative wireless communication
KR101287291B1 (ko) * 2012-02-09 2013-07-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유선 통신 시스템용 다중 홉 릴레이 협력 통신 방법
US9577673B2 (en) * 2012-11-08 2017-02-21 Micron Technology, Inc. Error correction methods and apparatuses using first and second decoders
US9712951B2 (en) * 2014-05-09 2017-07-18 Apple Inc. Extended bluetooth communication modes
WO2016076613A1 (ko) * 2014-11-10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클러스터 기반 협력 컨텐츠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588053B2 (en) * 2015-08-30 2020-03-10 Lg Electronics Inc. Cluster-based collaborative transmiss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8201481A1 (en) * 2017-05-05 2018-11-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incremental redundancy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r-harq) re-transmiss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3032A (ko) * 2006-09-08 2008-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중계 방법 및 데이터 중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403218D0 (sv) * 2004-12-30 2004-12-30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pparatus relating to communication-
US7542439B2 (en) * 2005-09-09 2009-06-02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operative relay system associated with a broadband wireless access network
US8205132B2 (en) 2007-05-07 2012-06-19 Lingna Holdings Pte., Llc Cooperative concatenated coding for wireless systems
WO2008155764A2 (en) * 2007-06-18 2008-12-24 Duolink Ltd. Wireless network architecture and method for base station utilization
KR100943317B1 (ko) 2007-11-28 2010-02-1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tbc를 적용한 협력통신 시스템
KR101429677B1 (ko) 2007-11-29 2014-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협력다이버시티를 위한 시스템, 장치및 방법
KR100976945B1 (ko) * 2007-12-17 2010-08-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순환 지연을 이용하여 협력 다이버시티를 수행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8917649B2 (en) * 2008-01-02 2014-12-2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perative wireless communications
WO2009104039A1 (en) * 2008-02-21 2009-08-2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nsmission relay using soft symbol estimation
US8281211B2 (en) * 2008-05-15 2012-10-02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lay coding
WO2010013962A2 (ko) * 2008-07-30 2010-02-04 엘지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 및 중계국의 동작 방법
JP5566065B2 (ja) * 2009-08-31 2014-08-06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及び通信方法
US8689083B2 (en) * 2010-06-15 2014-04-01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Rate-compatible protograph LDPC cod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3032A (ko) * 2006-09-08 2008-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중계 방법 및 데이터 중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926A (ko) 2011-05-26
US20110126077A1 (en) 2011-05-26
US8359519B2 (en) 201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978B1 (ko) 협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통신 시스템
JP4705978B2 (ja) 通信中継装置
Hunter et al. Cooperation diversity through coding
US8195998B2 (en) Outer coding framework
KR2019011681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극 부호를 이용한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5424951B2 (ja) 無線IMT(InternationalMobileTelecommunications)−advanced4Gネットワーク、および、無線IMT−advanced4G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通信するための方法
US10153864B2 (en) Method for dynamic and selective FD-DSDF transmission of a digital signal for a MAMRC system with several full-duplex relays, and corresponding program product and relay device
US20220077958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N111600677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JPWO2009066451A1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11552654B2 (en) Forward error control coding
KR20120063502A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중계국 장치, 무선 단말국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Rebelatto et al. Generalized distributed network coding based on nonbinary linear block codes for multi-user cooperative communications
Lee et al. Efficient cooperative transmission for wireless 3D HD video transmission in 60GHz channel
KR100964610B1 (ko) 오류정정 부호를 이용한 다이버시티 방법
US819600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etwork-coding
KR101382388B1 (ko) 무선 사운드 전송 시스템에서 데이터 패킷 재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411720B1 (ko) 엘디피시 부호의 패리티 체크 행렬을 이용해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복호기를 만드는 엘디피시 부호의 복호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엘디피시 부호 시스템
Lee et al. Efficient cooperative transmission for high speed WPAN system in 60GHz channels
Al-Moliki et al. Concatenated RS-convolutional codes for cooperative wireless communication
KR101531184B1 (ko) 상하위 계층 간의 연동을 이용한 복호화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CN117240401A (zh) 编码传输方法、解码方法和通信装置
Wang et al. A new coded cooperation algorithm
Kim Practical network-coding scheme for two-way relay channels employing a rate-compatible punctured code
Yeo et al. Coded Cooperation Scheme using Duo-Binary Turbo C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