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941B1 - 플라스틱 거푸집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941B1
KR101123941B1 KR1020090134586A KR20090134586A KR101123941B1 KR 101123941 B1 KR101123941 B1 KR 101123941B1 KR 1020090134586 A KR1020090134586 A KR 1020090134586A KR 20090134586 A KR20090134586 A KR 20090134586A KR 101123941 B1 KR101123941 B1 KR 101123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uter body
dovetail
groove
plastic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4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7907A (ko
Inventor
김용상
춘 수 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폼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폼코리아
Priority to KR1020090134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941B1/ko
Publication of KR20110077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3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 E04G2009/02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by a flange of the board's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새시부재를 서로 교차 연결한 금속 프레임이 플라스틱으로 된 틀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틀체의 테두리에는 소정개소마다 타이 홈과 웨지 공이 형성된 구성의 플라스틱 거푸집에 있어서, 압출 성형 된 단면 사각관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방향 양측에 수직 홈(20)과 절개 홈(22)이 일체로 연통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앞 뒤쪽 열린 방향의 상 하면에도 절개 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 면이 두껍게 형성된 타설면(24)으로 형성되고 내측 면에는 도브테일 돌기(26)와 도브테일 홈(28)이 배치되어 있는 외곽체(2)와; 상기 외곽체(2)의 내부로 수납 배치되는 사각 테두리(40)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보강 리브(42)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사각 테두리(40)에는 웨지 공(4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곽체(2)의 도브테일 돌기(26)와 도브테일 홈(28)에 각각 결합되는 대응 도브테일 홈(48)과 대응 도브테일 돌기(50)를 구비한 보강 틀(4)로 구성된다.
거푸집, 합성수지 거푸집, 플라스틱 거푸집, 보강리브

Description

플라스틱 거푸집{reinforced plastic euroform}
본 발명은 합성수지를 재료로 한 플라스틱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면 사각관체 형상으로 압출하여 일정 길이로 절단한 외곽체의 내부로 사출 성형한 보강 틀을 수납시킨 구성으로 되는 플라스틱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을 축조함에 있어서, 내ㆍ외 벽체, 기둥, 보 등은 배근 후에 거푸집을 세우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것으로 성형하고 있다.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거푸집은 현장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 사용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일정 규격으로 정형화된 거푸집을 사용하고 있다. 거푸집은 안쪽에 방수판재를 구비한 철제 틀로 구성되고, 상기 철제 틀은 파이프, 웨지, 폼 타이 등을 통해 인접하는 다른 철제 틀과 연결될 수 있어야 하므로 그 테두리 면에 웨지 공이 중심에 형성된 타이 홈을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의 거푸집은 철제 틀에 의해 중량이 무겁다는 단점이 있어서 현장 작업자에게 취급상의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 때문에 중량을 줄인 거푸집으로 일부에서 플라스틱 거푸집의 실용화를 시도하고 있다.
플라스틱 거푸집은 철제 틀로 된 거푸집에 비해 중량이 가볍고 특히 자체 발 수성과 고유의 탄력성이 작용하여 양생 된 콘크리트 면에서 쉽게 분리되므로 해체작업이 간편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강도가 약하여 콘크리트 하중을 받으면 판면이 휘어져 버리는 문제점을 나타낸다.
한국 등록특허 제469849호와 제492221호는 각각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철제 틀을 합성수지 틀로 대체하고, 방수판재는 내부에 망상구조의 금속 보강패널이 위치하도록 성형한 거푸집과, 합성수지 틀의 내부에도 망상구조의 금속 보강패널이 위치하도록 성형한 거푸집을 제안하여, 플라스틱 거푸집의 문제점, 즉 콘크리트 하중을 충분하게 받쳐 주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금속 보강패널로 플라스틱의 취약점을 보강하면 콘크리트 하중을 받쳐줄 수 있지만 건축 현장에서 필요한 구조적 견고성을 갖추지는 못한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구조로 보강된 플라스틱 거푸집에서 금속 보강패널은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에서 교차 연결된 부분을 포함하게 되고, 이 부분은 건축 현장에서 낙하, 타격, 하중의 국부적 집중 등이 원인으로 되는 강한 외부 충격을 받으면 쉽게 어긋나면서 거푸집 자체의 손상으로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거푸집의 모서리 부분이 외부 충격에 취약한 문제점은 인서트 사출로 생산되는 플라스틱 거푸집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어떤 종류의 플라스틱 거푸집은 모서리 부분에 보강구조를 부여하여 국부적 취약성을 해결하고 있으나 이 경우 보강구조는 상당한 두께로 베풀어져야 효과가 있고, 두께를 증대시키면 거푸집의 중량이 무거워져 현장에서의 취급에 힘이 들게 되는 단점이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플라스틱 거푸집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 즉 모서리부분의 취약성을 국부적 보강구조를 채용하지 않고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구성으로 된 플라스틱 거푸집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거푸집은, 새시부재를 서로 교차 연결한 금속 프레임이 플라스틱으로 된 틀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틀체의 테두리에는 소정개소마다 타이 홈과 웨지 공이 형성된 구성의 플라스틱 거푸집으로서, 압출 성형 된 단면 사각관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방향 양측에 수직 홈과 절개 홈이 일체로 연통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앞 뒤쪽 열린 방향의 상 하면에도 절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 면이 두껍게 형성된 타설면으로 형성되고 내측 면에는 도브테일 돌기와 도브테일 홈이 배치되어 있는 외곽체와; 상기 외곽체의 내부로 수납 배치되는 사각 테두리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보강 리브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사각 테두리에는 웨지 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곽체의 도브테일 돌기와 도브테일 홈에 각각 결합 되는 대응 도브테일 홈과 대응 도브테일 돌기를 구비한 보강 틀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틱 거푸집은, 새시부재를 서로 교차 연결한 금속 프레임이 플라스틱으로 된 틀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틀체의 테두리에는 소정개소마다 타이 홈과 웨지 공이 형성된 구성의 플라스틱 거푸집으로서, 압출 성형 된 단면 사각관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방향 양측에 수직 홈과 절개 홈이 일체로 연통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앞 뒤쪽 열린 방향의 상 하면에도 절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 면이 두껍게 형성된 타설면으로 형성되고 내측 면에는 도브테일 돌기와 도브테일 홈이 배치되어 있는 외곽체와; 상기 외곽체의 도브테일 돌기와 도브테일 홈에 끼워지는 대응 도브테일 홈 및 대응 도브테일 돌기를 구비하고 단면이 골판 형상의 코러게이트로 되는 보강 틀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플라스틱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외곽체의 앞 뒤쪽 열린 방향으로 마감판이 더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감판은 상기 외곽체의 열린 방향 외경에 일치하는 넓이로 형성되고 바깥 면에 타이 홈이 형성된 외부 판과, 이 외부 판의 뒤쪽에 연속하여 상기 외곽체의 내경에 일치하는 넓이로 돌출 형성된 내부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판에는 타이 홈의 중심에 자리하는 위치로 웨지 공이 형성된 구성으로 된다.
또한, 상기 보강 틀의 보강 리브는 격자, 허니 컴, 마름모, 원형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의 도형이 사방 연속하여 배치된 구성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틀은 복수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각 보강 틀의 사각 테두리가 맞닿는 부분에 상호 일치하는 위치로 노치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노치에는 체결구가 끼워져서 상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고 측방의 걸림 턱으로 상기 사각 테두리가 맞닿은 부분을 일체로 연결하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플라스틱 거푸집은 외곽체와 보강 틀 전체가 플라스틱으 로 성형 되는 것이므로 자원 재활용이 가능하고, 콘크리트 하중을 지지하는 외곽체와 그 내부의 보강 틀은 각각 별개로 성형하여 조립하는 것이므로 파손이 발생하면 파손된 외곽체 또는 보강 틀을 교체하면 되므로 수리 정비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외곽체의 내부로 수납되는 보강 틀은 도브테일 홈과 도브테일 돌기,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대응 도브테일 돌기와 도브테일 홈 사이의 연결에 의해 견고하게 일체로 조립된다.
게다가 콘크리트 하중을 지지하는 타설 면은 그 후방 측이 일체로 연결 조립되는 보강 틀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 되기 때문에 상기 타설 면에 휨 현상이 생기지 않아 미려한 시공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 틀을 복수 배치하는 경우에, 사각 테두리에 형성된 노치로 체결구를 끼워 일체가 되게 하는 것이므로 외곽체의 내부에서 보강 틀이 이동되거나 흔들리는 일이 없다.
또 압출 성형 가능한 코러게이트 구조의 보강 틀은 최소의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 예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외곽체(2)와 그 내부로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 틀(4)과 상기 외곽체(2)의 열린 부분에 장착되는 마감판(6)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거푸집을 도시하고 있다.
외곽체(2)는 단면 사각관체 형상으로 압출하여 일정 길이로 절단 성형하여 되는 것으로서, 그 길이방향 양측으로 수직 홈(20)과 절개 홈(22)이 각각 연통된 상태로 형성되고, 또한 앞 뒤쪽 열린 방향의 상 하면에도 절개 홈(22)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곽체(2)의 한쪽 면(도면에서는 하측 면)은 반대쪽 면에 비해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콘크리트 하중을 받치는 타설면(24)으로 형성되고, 내측 면에는 도브테일 돌기(26)와 도브테일 홈(28)이 소정개소마다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 틀(4)은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마련되어서 외곽체(2)의 내부로 수납 배치되는 것이며, 그 길이는 상기 외곽체(2)의 길이에 비해 약간 짧게 설정하여 수납 배치되면 앞 뒤쪽 열린 방향으로 상기 마감판(6)이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이 남게 해야 한다.
보강 틀(4)은 실제에 있어서 외곽체(2)의 내부 공간에 일치하는 사각 테두리(40)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는 격자모양의 보강 리브(42)로 채워져 있음과 아울러 상기 사각 테두리(40)에 형성된 웨지 공(44) 부근을 벽체(46)로 구획하여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외곽체(2)의 내측 면에 형성된 도브테일 돌기(26)와 도브테일 홈(28)에 각각 결합하는 대응 도브테일 홈(48)과 대응 도브테일 돌기(50)를 소정개소에 구비하고 있다.
한편, 사각 테두리(40)에서 앞 뒤쪽 열린 방향에 일치하는 부분에는 웨지 공(44) 대신에 단순한 원형 공(5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감판(6)은 상기 외곽체(2)의 열린 방향 외경에 일치하는 넓이를 가지고 소정개소마다 타이 홈(60)이 형성된 외부 판(62)을 구비하고 있고, 이 외부 판(62)의 뒤쪽에는 상기 외곽체(2)의 내경에 일치하는 넓이를 가진 내부 판(64)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 판(64)에는 타이 홈(60)의 중심에 자리하는 위치로 웨지 공(66)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플라스틱 거푸집은, 외곽체(2)를 압출 및 펀칭 공정을 통해, 그리고 보강 틀(4)과 마감판(6)은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보강 틀(4)은 외곽체(2)의 내부에 수납되는 것으로 조립 완료되고, 이 과정에서 도 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외곽체(2)의 도브테일 돌기(28)와 도브테일 홈(28)에는 보강 틀(4)의 대응 도브테일 홈(48)과 대응 도브테일 돌기(50)가 각각 끼워지면서 일체로 연결되기 때문에 조립 완료 후에는 외곽체(2)의 내부에서 보강 틀(4)이 흔들리거나 따로 움직이거나 하지 않는다.
또, 보강 틀(4)을 외곽체(2)의 내부에 수납 조립할 때 양측에 형성된 웨지 공(44)은 상기 외곽체(2)의 수직 홈(2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로 고정되어야 한다.
이렇게 보강 틀(4)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외곽체(2)의 앞 뒤쪽 열린 방향으로 약간의 공간이 남게 되고, 이 공간으로 마감판(6)의 내부 판(64)을 끼워 맞추어 조립하고 외부 판(62)의 둘레와 외곽체(2)의 두께부분 사이로 세트 스크루를 나사 연결하여 일체로 조립한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거푸집은 모든 소재가 플라스틱으로 성형 되기 때문에 자원 재활용이 가능하고, 콘크리트 하중을 지지하는 외곽체(2)와 그 내부의 보강 틀(4)이 각각 별개로 성형 되어 조립되는 것이므로 파손이 발생하면 외곽체(2) 또는 보강 틀(4)을 교체하면 되므로 수리 정비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콘크리트 하중을 지지하는 타설 면(26)은 일체로 연결 조립되는 보강 틀(4)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 되기 때문에 상기 타설 면(26)에 휨 현상이 생기지 않아 미려한 시공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 틀(4)에서 보강 리브(42)는 도시한 격자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허니 컴 형태나 마름모, 원형 등 보강 기능을 나타내는 형태라면 어떤 것이라도 도입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보강 틀(4)을 복수 배치하는 경우에, 도 1로 나타낸 실시 예에서 각 보강 틀(4)은 별개로 삽입 설치되는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인접하는 보강 틀(4) 끼리 일체가 되도록 연결할 수도 있다.
복수의 보강 틀(4)을 상호 연결하는 경우에는 도 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틀(4)의 사각 테두리(40)가 맞닿는 부분에 상호 일치하는 위치로 노치(54)를 형성하고, 이 노치(54)에 끼워져 위치 고정되면서 상면은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체결구(56)의 측방 걸림 턱(58)에 의해 양 보강 틀(4)이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로도 실시할 수 있다.
또 보강 틀(4)은 예시한 바와 같이 보강 리브(42)를 갖춘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도 4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골판 형태로 전개되는 코러게이트(corrugate) 구조로도 실시할 수 있다.
코러게이트 구조로 되는 보강 틀(4)의 경우에도 외곽체(2)의 도브테일 돌기(26)와 도브테일 홈(28)에 끼워지는 대응 도브테일 홈(48)과 대응 도브테일 돌기(50)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코러게이트 구조의 보강 틀(4)은 외곽체(2)와 동일하게 압출 성형할 수 있고, 옆 방향으로 작용하는 자체 탄성력을 가짐에 따라 상기 외곽체(2)의 내부에 긴밀하게 밀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한 플라스틱 거푸집은 상하 또는 좌우로 연속 배치될 때, 인접하는 외곽체(2)가 구비하고 있는 수직 홈(20)이 상호 일치하면서 통상의 플랫 타이 바가 삽입될 수 있는 타이 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수직 홈(2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웨지 공(44)이 상호 연통하여 통상의 폼 타이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곽체(2)를 압출함에 있어서, 압출의 기술적 문제로 인하여 내부 공간의 앞 부분 지름이 넓고 뒤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압출되는 경우도 있는바, 이 경우에는 도 5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외곽체(2)의 타설 면(24) 반대쪽으로 절결(59)을 형성하여 열어 두면, 보강 틀(4)을 수납 조립하는 과정에서 앞 부분과 뒷부분 간의 내부 지름 오차를 흡수하면서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거푸집에 관한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외곽체 내부에 보강 틀을 수납하여 조립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보강 틀의 복수 배치에 사용되는 체결구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 보강 틀의 다른 예로서 코르게이트 구조로 된 보강 틀을 외곽체에 수납하여 조립한 예를 도 2에 대응하여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관련하는 분해 사시도.
삭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외곽체 4: 보강 틀
6: 마감판 20: 수직 홈
22: 절개 홈 24: 타설면
삭제
삭제
26: 도브테일 돌기 28: 도브테일 홈
40: 사각 테두리 42: 보강 리브
44: 웨지 홈 46: 벽체
48: 대응 도브테일 홈 50: 대응 도브테일 돌기
52: 원형 공 54: 노치
56: 체결구 58: 걸림 턱
59: 절결 60: 타이 홈
62: 외부 판 64: 내부 판
66: 웨지 공

Claims (6)

  1. 새시부재를 서로 교차 연결한 금속 프레임이 플라스틱으로 된 틀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틀체의 테두리에는 소정개소마다 타이 홈과 웨지 공이 형성된 구성의 플라스틱 거푸집에 있어서,
    압출 성형 된 단면 사각관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방향 양측에 수직 홈(20)과 절개 홈(22)이 일체로 연통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앞 뒤쪽 열린 방향의 상 하면에도 절개 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 면이 두껍게 형성된 타설면(24)으로 형성되고 내측 면에는 도브테일 돌기(26)와 도브테일 홈(28)이 배치되어 있는 외곽체(2)와;
    상기 외곽체(2)의 내부로 수납 배치되는 사각 테두리(40)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보강 리브(42)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사각 테두리(40)에는 웨지 공(4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곽체(2)의 도브테일 돌기(26)와 도브테일 홈(28)에 각각 결합되는 대응 도브테일 홈(48)과 대응 도브테일 돌기(50)를 구비한 보강 틀(4)로 구성된 플라스틱 거푸집.
  2. 새시부재를 서로 교차 연결한 금속 프레임이 플라스틱으로 된 틀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틀체의 테두리에는 소정개소마다 타이 홈과 웨지 공이 형성된 구성의 플라스틱 거푸집에 있어서,
    압출 성형 된 단면 사각관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방향 양측에 수직 홈(20)과 절개 홈(22)이 일체로 연통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앞 뒤쪽 열린 방향의 상 하면에도 절개 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 면이 두껍게 형성된 타설면(24)으로 형성되고 내측 면에는 도브테일 돌기(26)와 도브테일 홈(28)이 배치되어 있는 외곽체(2)와;
    상기 외곽체(2)의 도브테일 돌기(26)와 도브테일 홈(28)에 끼워지는 대응 도브테일 홈(48) 및 대응 도브테일 돌기(50)를 구비하고 단면이 골판 형상의 코러게이트로 되는 보강 틀(4)로 구성된 플라스틱 거푸집.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외곽체(2)의 앞 뒤쪽 열린 방향으로 마감판(6)이 더 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거푸집.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6)은 상기 외곽체(2)의 열린 방향 외경에 일치하는 넓이로 형성되고 바깥 면에 타이 홈(60)이 형성된 외부 판(62)과, 이 외부 판(62)의 뒤쪽에 연속하여 상기 외곽체(2)의 내경에 일치하는 넓이로 돌출 형성된 내부 판(6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판(64)에는 타이 홈(60)의 중심에 자리하는 위치로 웨지 공(66)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거푸집.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틀(4)의 보강 리브(42)는 격자, 허니 컴, 마 름모, 원형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의 도형이 사방 연속하여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거푸집.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틀(4)은 복수 배치되고, 각 보강 틀(4)의 사각 테두리(40)가 맞닿는 부분에 상호 일치하는 위치로 노치(54)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노치(54)에는 체결구(56)가 끼워져서 상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고 측방의 걸림 턱(58)으로 상기 사각 테두리(40)가 맞닿은 부분을 일체로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거푸집.
KR1020090134586A 2009-12-30 2009-12-30 플라스틱 거푸집 KR101123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586A KR101123941B1 (ko) 2009-12-30 2009-12-30 플라스틱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586A KR101123941B1 (ko) 2009-12-30 2009-12-30 플라스틱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907A KR20110077907A (ko) 2011-07-07
KR101123941B1 true KR101123941B1 (ko) 2012-03-23

Family

ID=44917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4586A KR101123941B1 (ko) 2009-12-30 2009-12-30 플라스틱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9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6422B (zh) * 2017-11-06 2023-10-13 环维电子(上海)有限公司 一种塑封模具及塑封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454U (ko) * 1994-05-10 1995-12-16 이정식 거푸집용 판넬
KR960002475Y1 (ko) * 1993-06-23 1996-03-25 신지호 건축용 패널
JP2000034834A (ja) 1998-07-16 2000-02-02 Sumika Plastech Co Ltd 樹脂製コンクリート型枠
KR20000021208U (ko) * 1999-05-24 2000-12-26 채의숭 요철형 강판이 설치된 플라스틱 거푸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475Y1 (ko) * 1993-06-23 1996-03-25 신지호 건축용 패널
KR950033454U (ko) * 1994-05-10 1995-12-16 이정식 거푸집용 판넬
JP2000034834A (ja) 1998-07-16 2000-02-02 Sumika Plastech Co Ltd 樹脂製コンクリート型枠
KR20000021208U (ko) * 1999-05-24 2000-12-26 채의숭 요철형 강판이 설치된 플라스틱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907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426B1 (ko) 건축용 pc벽체구조물
KR20100009969U (ko) 거푸집패널 조립식 프레임
KR20190112903A (ko) 단열재를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설치방법
US20090057533A1 (en) Form panel for construction
JPH08333891A (ja) 型枠用中空パ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型枠システム
KR20080006425U (ko) 콘크리트 패널 성형장치
KR200448085Y1 (ko) 거푸집패널 조립식 프레임
KR101091123B1 (ko) 플라스틱 거푸집
KR101679666B1 (ko) 중고층 모듈러 건축물용 코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WO2011138573A2 (en) A construction system
KR101123941B1 (ko) 플라스틱 거푸집
KR101090449B1 (ko) 강도 보강된 플라스틱 거푸집
KR102252141B1 (ko) 거푸집 겸용 건축물 벽체
KR100585495B1 (ko) 흙막이용 패널
JP6577757B2 (ja) 型枠構造物
KR101388248B1 (ko) 유로폼 타입의 와플형 슬래브 거푸집 및 와플형 슬래브 거푸집의 시공방법
KR100889338B1 (ko) 거푸집용 조립식 패널
KR200222871Y1 (ko) 건축물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
KR101846305B1 (ko) 에어 단열 건축자재
KR102086030B1 (ko)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어셈블리
KR101111349B1 (ko)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강판보
KR20140112175A (ko) 형틀 일체형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02013B1 (ko) 고강도 유로폼 거푸집
KR20170111300A (ko) 탈형 보조 판넬을 갖는 거푸집 판넬
KR101326176B1 (ko) 거푸집용 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