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666B1 - 친환경의 고강도 내충격 하수관 - Google Patents

친환경의 고강도 내충격 하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666B1
KR101123666B1 KR1020110054373A KR20110054373A KR101123666B1 KR 101123666 B1 KR101123666 B1 KR 101123666B1 KR 1020110054373 A KR1020110054373 A KR 1020110054373A KR 20110054373 A KR20110054373 A KR 20110054373A KR 101123666 B1 KR101123666 B1 KR 101123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esin
inner layer
pvc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태
Original Assignee
(주)피피아이평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피아이평화 filed Critical (주)피피아이평화
Priority to KR1020110054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6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33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the walls consisting of two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을 내부층과 외부층의 이중으로 형성하되, 내부층은 PE(Polyethylene) 또는 PP(Plypropylene)로 형성하고, 외부층은 PVC(Polyvinyl chloride)를 기본 물질로 하여 형성하며, 상기 내부층의 재질(PE 또는 PP)과 외부층의 재질(PVC) 간의 열 수축률의 차이에 따른 일체형으로 압출 성형하기 위한 요건을 만족시키기(불가능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층의 재질(PE 또는 PP)에 열 수축률의 차이를 없애면서 밀접하게 성형 되도록 하기 위한 보조물질로서 나노탄산칼슘을 투입(혼합)하여 성형하여서 된 친환경의 고강도 내충격 하수관이다.
본 발명은, 하수관을 내부층과 외부층의 이중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내충격을 향상(강화)시킬 수 있다.
고, 상기 내부층의 재질(PE 또는 PP)에 보조물질로서 나노탄산칼슘을 투입(혼합)하여 줌으로써, 내부층을 외부층에 일체로 성형할 수 있고, 물리적 성질(관의 내구성과 휨에 대한 저항력 및 뒤틀림 응력)이 증대되며, 외부층은 경직성이 탁월하여 휨강도가 뛰어나고 수압강도와 충격강도를 높일 수 있중금속이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외부층을 형성하는 PVC(Polyvinyl chloride)에 안정제와 아크릴을 투입(혼합)하여 줌으로써, 안정제에 의해서는 작업성과 수지의 유통성 및 표면광택을 양호하게 하고 중금속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아크릴에 의해서는 내충격성과 인장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내부층과 외부층의 두께의 비를 용도에 따라 적정하게 조정하여 제조(성형)할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의 고강도 내충격 하수관{A Shock Resistantable High Density Sewage Pipe of Durability}
본 발명은 하수를 배출시키기는 하수관에 있어서, 유해성 물질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도록 개선한 친환경의 고강도 내충격 하수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하수관을 내부층과 외부층의 이중으로 형성하되, 내부층은 PE(Polyethylene) 또는 PP(Plypropylene)로 형성하고, 외부층은 PVC(Polyvinyl chloride)를 기본 물질로 하여 형성하며, 상기 내부층의 재질(PE 또는 PP)과 외부층의 재질(PVC) 간의 열 수축률의 차이에 따른 일체형으로 압출 성형하기 위한 요건을 만족시키기(불가능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층의 재질(PE 또는 PP)에 열 수축률의 차이를 없애면서 밀접하게 성형 되도록 하기 위한 보조물질로서 나노탄산칼슘을 투입(혼합)하여 성형하여 줌으로써, 내부층을 외부층에 일체로 성형할 수 있고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며 중금속이 배출되지 않도록 된 전혀 새로운 개념의 친환경의 고강도 내충격 하수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하수관은 오폐수를 이송시키는 관으로서, PVC와 PE 및 PP 재질로만 성형(제작) 된다.
그러나 그 재질의 장점과 단점에 의해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우선 PVC재질의 하수관(1)의 경우, 경직성 즉, 휨강도와 강한 수압강도를 가지며, 하수관(1)과 하수관(1)의 연결을 위해서 본드 접착방식인 본딩이 가능하다.
즉, 관과 관을 본드 결합으로 연결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PVC 하수관의 경우 원료배합과정에서 인체에 해로운 안정제가 첨가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물론 이러한 납성분이 첨가된 안정제를 사용하다가 근래에 와서 납성분이 없는 안정제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다른 재질인 PE 하수관의 경우 수지의 연성으로 인하여 파이프 복원력이 없고, 경직성이 없어 문제가 크며, 하수관(1)과 하수관(1) 간의 연결을 위해서 본딩 접착이 어렵다.
따라서 이들을 결합하기 위해서 열 융착 방식이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 결합방식은 복잡하고, 그 결합의 품질 및 시공상의 불량요소가 많아 실시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하수관을 내부층과 외부층의 이중으로 형성하되, 내부층은 PE(Polyethylene) 또는 PP(Plypropylene)로 형성하고, 외부층은 PVC(Polyvinyl chloride)를 기본 물질로 하여 형성하며, 상기 내부층의 재질(PE 또는 PP)과 외부층의 재질(PVC) 간의 열 수축률의 차이에 따른 일체형으로 압출 성형하기 위한 요건을 만족시키기(불가능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층의 재질(PE 또는 PP)에 열 수축률의 차이를 없애면서 밀접하게 성형 되도록 하기 위한 보조물질로서 나노탄산칼슘을 투입(혼합)하여 성형하여서 된 친환경의 고강도 내충격 하수관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수관을 내부층과 외부층의 이중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내충격을 향상(강화)시킬 수 있고, 상기 내부층의 재질(PE 또는 PP)에 보조물질로서 나노탄산칼슘을 투입(혼합)하여 줌으로써 내부층을 외부층에 일체로 성형할 수 있고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며 중금속이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도록 된 친환경의 고강도 내충격 하수관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층을 형성하는 PVC(Polyvinyl chloride)에 안정제와 아크릴을 투입(혼합)하여 줌으로써, 안정제에 의해서는 작업성과 수지의 유통성 및 표면광택을 양호하게 하고 중금속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아크릴에 의해서는 내충격성과 인장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도록 된 친환경의 고강도 내충격 하수관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층과 외부층의 두께의 비를 용도에 따라 적정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친환경의 고강도 내충격 하수관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PP 또는 PE 수지를 압출 성형시킨 내부층(110)과, PVC수지를 기본재질로 이용하여 압출 성형되는 외부층(120)을 일체의 하수관으로 압출 성형한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은 중량비로 PP 또는 PE 수지 100에 대하여 나노탄산칼슘 100-115%를 투입하여 압출 성형하여, 상기 나노탄산칼슘이 PP수지와 PVC수지의 열 수축률의 차이를 없애고 밀착 성형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내충격 하수관(100)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의 고강도 내충격 하수관은, 하수관을 내부층과 외부층의 이중으로 형성하되, 내부층은 PE(Polyethylene) 또는 PP(Plypropylene)로 형성하고, 외부층은 PVC(Polyvinyl chloride)를 기본 물질로 하여 형성하며, 상기 내부층의 재질(PE 또는 PP)과 외부층의 재질(PVC) 간의 열 수축률의 차이에 따른 일체형으로 압출 성형하기 위한 요건을 만족시키기(불가능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층의 재질(PE 또는 PP)에 열 수축률의 차이를 없애면서 밀접하게 성형 되도록 하기 위한 보조물질로서 나노탄산칼슘을 투입(혼합)하여 성형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수관을 내부층과 외부층의 이중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내충격을 향상(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내부층의 재질(PE 또는 PP)에 보조물질로서 나노탄산칼슘을 투입(혼합)하여 줌으로써, 내부층을 외부층에 일체로 성형할 수 있고, 물리적 성질(관의 내구성과 휨에 대한 저항력 및 뒤틀림 응력)이 증대되며, 외부층은 경직성이 탁월하여 휨강도가 뛰어나고 수압강도와 충격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중금속이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외부층을 형성하는 PVC(Polyvinyl chloride)에 안정제와 아크릴을 투입(혼합)하여 줌으로써, 안정제에 의해서는 작업성과 수지의 유통성 및 표면광택을 양호하게 하고 중금속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아크릴에 의해서는 내충격성과 인장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내부층과 외부층의 두께의 비를 용도에 따라 적정하게 조정하여 제조(성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PVC 재질의 하수관을 보인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을 보인 사시도.
도 2b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을 연결관에 의해 연결시키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을 연결관(200)에 의해 연결시키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은 하수관에 관한 것이라는 점에서 종래의 하수관과 유사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은 외부층(120)과 내부층(110)의 이중 구조된 압출 방식의 파이프라는 것과, 상기 외부층(120)은 PVC로 형성하여 경직성과 휨강도 및 수압 강도가 탁월하고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끼리의 연결이 본딩 접합에 의해 가능하다는 것과, 그리고 내부층(110)은 인체에 무해한 PP 또는 PE 재질로 형성(성형)하여 각종 유체를 이송시키는 파이프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주지적인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도 2a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은, 중량비로 PP 또는 PE수지 100에 대하여 나노탄산칼슘 100 ~ 115%를 투입하여 압출 성형 되는 내부층(110)과, PVC수지를 기본 물질로 하여 압출 성형 되는 외부층(120)이 일체로 성형(형성) 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부층(110)을 성형할 때에 첨가되는 나노탄산칼슘이 PP 또는 PE 수지와 PVC수지의 열 수축률의 차이를 없애 밀착 성형 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의 주지적인 특징은 외부층(120)과 내부층(110)의 재질 상의 차이가 있으나 일체형(일체)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외부층(120)과 내부층(110)은 세밀하게 살펴보지 않는다면 육안으로 식별이 곤란할 정도로 일체화되어 압출 성형된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이다.
그러나, 실상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을 이루는 상기 외부층(120)을 이루는 PVC 재질과 내부층(110)을 이루는 PP 또는 PE 재질은 서로 열에 대한 팽창률과 수축률이 다르기 때문에 이들 자체만으로는 일체(일체형)로의 압출성형이 불가능하다.
즉, PVC수지의 수축률은 4/1,000이고, PP 또는 PE 수지의 수축률은 18 ~ 25/1,000이다.
결국, 만일 같은 조건에서 상기 외부층(120)과 내부층(110)을 이루는 PVC와 PP(또는 PP)가 수축을 하게 된다면, 내부층(110)이 더 많이 수축하여 외부층(120)과 내부층(110)이 서로 일체로 결합 되지 못하고 2개의 관으로 분리되어 버리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이러한 재질의 열 수축율의 차이를 해결(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층(110)을 제작함에 있어 상기 내부층(110)의 재료인 PP(또는 PE)에 나노탄산칼슘을 첨가하는 것이다.
상기 나노탄산칼슘의 첨가 비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중량비로 PP 수지가 100%가 투입되리 경우, 나노탄산칼슘은 100-145%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수치의 산출은 본 출원인이 무수히 많은 실험을 통해 검증된 것으로, 상기 나노탄산칼슘이 145%이상이 투입된다면 외부층(120)과 내부층(110)의 열 수축률의 차이로 외부층(120)이 쪼개지는 현상이 발생 될 우려가 많고, 100%이하가 투입된다면 내부층(110)과 외부층(120)이 별도의 관으로 분리되어 압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PP에 대한 나노탄산칼슘의 배합비율을 본 발명에서 중요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나노탄산칼슘의 물성을 살펴보면, 주로 공지된 제품인 탄산칼슘 마스타비치를 사용하는데, 그 성분은 탄산칼슘(CaCo3)에 분산제를 투입하고, 그외에 다수의 첨가물을 투입하여 혼합한 물질이다.
물론 이 나노탄산칼슘의 특성은 수축률을 보강시키고, 휨과 뒤틀림을 방지하며, 인장강도의 상승을 가져외며, 또한 굴곡 강도의 상승과 제품의 중량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나노탄산칼슘은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발생(유출)시키지 않으므로 하수관에 사용함에 무리가 없다는 것이 검증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은, 이러한 나노탄산칼슘과 PP(또는 PE)의 혼합물로 내부층(110)을 형성시키고, PVC를 기본 물질로 하여 외부층(120)을 형성시키되, 일체의 형태인 압출성형의 방식으로 제작을 한다.
상기 외부층(120)은 PVC만으로 성형할 수 있고, 상기 PVC를 기본 물질로 하여 안정제와 아크릴을 혼합하여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외부층(120)을 성형할 때에 사용되는 PVC는, 내산 및 내알칼리성이 우수하고, 내수성도 양호하며, 노화성ㆍ내유성ㆍ난연성ㆍ및 착색성이 우수하며, 또한 성형 가공성이 뛰어나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외부층(120)을 PVC에 안정제와 아크릴을 혼합하여 성형할 때에, 바람직하게는 PVC 80 ~ 95중량% : 안정제 2 ~ 6중량% : 아크릴 2 ~ 15중량%로 혼합한 수지혼합물을 사용하며, 또한 이때에 PVC는 중합도(P)가 1,000 ~ 1,3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배관용 파이프를 제작하는데 베이스 수지로 사용하는 대부분의 PVC는 중합도가 1,000인 PVC를 사용하고 있고,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내충격 파이프는 중합도가 1,100~1,300인 PVC를 베이스 수지로 하여 파이프를 성형한다.
상기 PVC는 중합도가 높으면 기계적 성질은 강하지만 가공온도가 높고 가공성이 떨어져 압출하기가 힘들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이프를 성형하는 베이스 수지로서 중합도가 1,100~1,300인 PVC를 사용하는데, 이는 PVC의 중합도가 1,300 이상일 경우는 가공성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PVC에 혼합되는 아크릴은 파이프의 내충격성 및 인장강도를 향상시키고, 자외선에 의해 PVC가 쉽게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에서 외부층(120)의 성형물로는, 중합체를 이루는 혼합비율(단위) 즉, 중합도(P)가 1,100 ~ 1,300인 PVC 80 ~ 95중량%와 안정제 2 ~ 6중량% 및 아크릴 2 ~ 15중량%로 혼합한 수지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정제를 2 ~ 6중량%의 혼합 비율은 중합도(P)가 1,100 ~ 1,300인 PVC수지를 압출성형할 때에 가장 바람직한 혼합비이다.
상기 PVC에 투입되는 안정제는 무독성 안정제로서 Octylton 안정제 또는 Ca-Zn계 안정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정제는 파이프를 압출성형할 때에 작업성과 수지의 유동을 높이고 성형된 파이프의 표면광택을 좋게 하며 중금속이 배출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PVC수도관을 제조할 때 MBS(methacrylate-butadiene-styrene plastic)를 첨가하여 최대정수압과 수격압 및 토압에 견디도록 강도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상기 MBS는 PVC충격보강제의 대표적 수지로 경질 PVC제품에 충격강도를 향상시키는 반면에 인장 강도가 떨어는 단점이 있다.
종래와 같이 MBS의 첨가로 인해 인장 강도가 저하된 수도관은 내구성이 떨어져, 반복적인 스트레스에 견디지 못하고 고수압 또는 워터햄머 등에 의한 파손 및 크랙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을 제조할 때에 MBS 대신에 아크릴을 첨가하게 되면, 아크릴이 PVC수지 내부에 조밀하면서도 균일하게 분산되고 휘발성이 약하기 때문에, 아크릴 성분이 상기 PVC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내충격성과 인장강도가 상승하게 되고, 뿐만 아니라 시간이 흐르더라도 파이프의 내충격성과 인장강도가 저하되지 않게 된다.
상기 아크릴을 2~15중량% 혼합시키는 것은, 아크릴을 2중량%보다 적게 혼합시키게 되면 파이프의 내충격성과 인장강도가 향상되지 않고, 아크릴이 15중량%보다 많게 혼합되면 오히려 인장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을 제조하기 위하여 PVC수지에 아크릴을 첨가시켜 성형 제조한 고강도 내충격 파이프와 종래의 일반 수도관의 장기내압에서의 견디는 시간을 비교하고, 종래의 일반 내충격 파이프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을 제조하기 위한 고강도 내충격 파이프의 인장강도를 비교하여 보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일반 내충격 파이프

고강도 내충격 파이프
장 기 내 압
(단위:시간)

21

243.6
인 장 강 도
(단위:kgf/㎠)

500 ~ 510

530 ~ 540
- 장기내압 시험 조건
시험온도 : 20℃
작용내압 : 44 kgf/㎠
시편 : 직경 100mm 크기의 내충격 파이프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을 제조하기 위한 고강도 내충격 파이프는, 종래의 내충격 수도관에 비하여 장기내압에 대해 오래 견딜 수 있고, 인장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ㆍ내후성 등 기계적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며, 특히 오랜 시간이 흐르더라도 기계적 물리적 특성이 변하지 않음을 확인 수 있었다.
결국, 상기와 같이 나노탄산칼슘과 PP(또는 PE)의 혼합물로 내부층(110)을 형성시키고, 내충격성ㆍ내후성 등 기계적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물리적 특성이 변하지는 고강도 내충격 파이프를 외부층(120)으로 형성하게 되면, 서로 다른 재질의 열 수축률을 해소하면서 하나의 관(파이프)으로 제작하며, 동시에 더욱 튼튼하고, 내구성이 강하며, 인체에 무해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은 외부층(120)이 PVC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과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의 각 단부에 접착제(150)를 도포하여 이음관(200)의 양측에 형성된 접속부(210)(220)에 삽입하여 간단히 결합(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은 PP나 PE 재질로만 성형된 종래의 하수관과 같이 열융착으로 관을 연결하여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성이 우수하여 작업시간과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에서 상기 외부층을 PVC로 제작하는 주요한 이유는 그 재질에서 발생 되는 경직성 즉, 강한 휨강도와 수압강도 때문이며, 따라서 지반이나 건축물의 내부에 묻혀서 강한 하중을 받을지라도 찌그러지거나 깨지는 일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적한 점 이외의 중요한 특징으로 PVC 재질의 단점인 발암물질이 하천 등으로 흘러들어가 자연환경을 파괴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이 아니라, PVC의 장점인 본딩 접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은 이러한 내부층(110)과 외부층(120)으로 형성시킴에 있어, 그 두께의 차이를 다양하게 하여 형성(제작)할 수가 있다.
즉, 도시된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눈으로는 식별하기 힘드나 가상의 선으로 구획시켜 본 발명의 하수관의 내부층(110)과 외부층(120)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을 제조함에 상기 내부층(110)과 외부층(120)의 두께를, 50 : 50으로 제작할 수가 있고, 40 : 60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30 : 70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20 : 80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10 : 90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5 : 95의 비율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이러한 다양한 실시 예로 실현 가능한 본 발명은 이외의 다양한 두께차이를 둔 상태로 다양하게 제작이 가능하고, 내부층은 물리적 성질(관의 내구성과 휨에 대한 저항력 및 뒤틀림 응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외부층은 경직성이 탁월하여 휨강도가 뛰어나고 수압강도와 충격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따라서 더욱 안정되고 내구성이 높으며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내충격 하수관(10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한정된 내부층(110)과 외부층(120)의 두께 차 외에도 아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단지 상기 PE와 나노탄산칼슘이 혼합된 내부층(110)의 두께가 두꺼우면 두꺼울수록 그 하수관(100)의 제작비용은 상승하는 결과를 가져오지만 보다 안정되고 내구성이 높으며 인체에 무해할 소지가 높다는 장점은 증가 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하수관 100: 친환경 내충격하수관
110: 내부층 120: 외부층
150: 접착제 200: 이음관

Claims (4)

  1. PP 또는 PE 수지를 압출 성형시킨 내부층(110)과, PVC수지를 기본재질로 이용하여 압출 성형되는 외부층(120)을 일체의 하수관으로 압출 성형한 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은 중량비로 PP 또는 PE 수지 100에 대하여 나노탄산칼슘 100-115%를 투입하여 압출 성형하여, 상기 나노탄산칼슘이 PP수지와 PVC수지의 열 수축률의 차이를 없애고 밀착 성형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내충격 하수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체로 성형 되는 내부층(110)과 외부층(120)은;
    내부층(110)와 외부층(120)의 두께의 비가, 내부층(110) 5 ~ 50 : 외부층(120) 95 ~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의 고강도 내충격 하수관.
  4. 삭제
KR1020110054373A 2011-06-07 2011-06-07 친환경의 고강도 내충격 하수관 KR101123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373A KR101123666B1 (ko) 2011-06-07 2011-06-07 친환경의 고강도 내충격 하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373A KR101123666B1 (ko) 2011-06-07 2011-06-07 친환경의 고강도 내충격 하수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3666B1 true KR101123666B1 (ko) 2012-03-20

Family

ID=4614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373A KR101123666B1 (ko) 2011-06-07 2011-06-07 친환경의 고강도 내충격 하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6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743B1 (ko) 2012-07-26 2014-02-20 (주)피피아이평화 고강도 및 내동파성이 우수한 배관용 p.v.c. 파이프
KR101979861B1 (ko) 2018-09-11 2019-05-17 푸른나래(주) 삼중 구조를 구비하는 합성수지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제조방법
KR20220019645A (ko) 2020-08-10 2022-02-17 주식회사 예담케미칼 세라믹 미소구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437A (ko) * 2008-07-09 2010-01-19 이종호 친환경 고강도 내충격 수도관
KR20100124469A (ko) * 2009-05-19 2010-11-29 주식회사 젠트로 나노입자의 합성수지와 무기물성분으로 이루어진 성형물, 이를 포함하는 복수층의 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437A (ko) * 2008-07-09 2010-01-19 이종호 친환경 고강도 내충격 수도관
KR20100124469A (ko) * 2009-05-19 2010-11-29 주식회사 젠트로 나노입자의 합성수지와 무기물성분으로 이루어진 성형물, 이를 포함하는 복수층의 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743B1 (ko) 2012-07-26 2014-02-20 (주)피피아이평화 고강도 및 내동파성이 우수한 배관용 p.v.c. 파이프
KR101979861B1 (ko) 2018-09-11 2019-05-17 푸른나래(주) 삼중 구조를 구비하는 합성수지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제조방법
KR20220019645A (ko) 2020-08-10 2022-02-17 주식회사 예담케미칼 세라믹 미소구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3391B1 (ko) 아라미드섬유 보강 폴리염화비닐수지관의 제조방법
CN101532591B (zh) Upvc管材或管件及其制备方法
KR100909183B1 (ko)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214800B1 (ko) 중심층에 c-pvc를 함유하는 3층 구조 내충격 상수도관
KR100937735B1 (ko) 4중 구조의 폴리염화비닐관
KR101123666B1 (ko) 친환경의 고강도 내충격 하수관
CN106589585A (zh) 高强度聚丙烯(pp‑hm)双壁波纹管及生产工艺
KR100733133B1 (ko) 파이프 제조용의 수지조성물, 이를 이용한 다층구조의 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수득되는 다층구조의 파이프
CN102996913A (zh) 一种新型高强度hdpe复合管及其生产方法
CN102702651A (zh) 一种纳米级增韧增强的pvc-m管材
CN104072901B (zh) 一种埋地用改性pvc非开挖专用通信管及其制备方法
CN103044840A (zh) 聚丙烯树脂组合物及大口径热态缠绕结构壁管生产工艺
KR101417941B1 (ko) 강도와 내수압이 우수한 경질 ipvc파이프 수지 조성물 및 경질 ipvc파이프
JP2003261730A (ja) フッ化ポリビニリデンをベースとする組成物
KR101266515B1 (ko) 다층 구조의 수지 파이프
KR101731912B1 (ko) 4중 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CN105128346A (zh) 碳纤维增强hdpe双壁缠绕管的制作方法
CN100587304C (zh) 多层管
JP2019530807A (ja) 強化用繊維の増強、その利用、及び強化用繊維の製造方法
KR101882456B1 (ko) 상ㆍ하수도용 삼중벽 내충격 경질폴리염화비닐관의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내충격 경질폴리염화비닐관
KR200411789Y1 (ko) 삼중벽관
KR100761803B1 (ko) 무독성 내충격 수도관
KR100786773B1 (ko) 인장강도 및 내후성을 향상시킨 고강도 파이프 제조용수지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고강도 파이프
CN110726013B (zh) 一种pe管件及其生产工艺
KR100734020B1 (ko) 열용착성이 보강된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