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132B1 - LED type bulb having replaceable power supply - Google Patents

LED type bulb having replaceable power supp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132B1
KR101123132B1 KR1020100086537A KR20100086537A KR101123132B1 KR 101123132 B1 KR101123132 B1 KR 101123132B1 KR 1020100086537 A KR1020100086537 A KR 1020100086537A KR 20100086537 A KR20100086537 A KR 20100086537A KR 101123132 B1 KR101123132 B1 KR 101123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heat dissipation
led module
rod
bul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5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24013A (en
Inventor
이건국
Original Assignee
테크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테크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6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132B1/en
Publication of KR20120024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0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1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7Details of housings or cases, i.e. the parts between the light-generating element and the bases;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housings or c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8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pins or wi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 교체가 가능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에 있어서, 방열구의 상면과 전원공급부 커버의 저면 주연부에 방열구로부터 전원공급부 커버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암,수 결합수단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 내에 설치된 전원공급부의 바닥면에는 한 쌍의 탄성 클립형 전원 출력단자를 설치하며, 상기 방열구의 LED 모듈 설치판 상면에는 전원 공급봉이 통과되는 구멍을 구비한 한 쌍의 전원 공급봉 지지보스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LED 모듈의 기판 상면에는 상기 전원 공급봉 지지보스를 통해 끼워져 상기 방열구의 상면에 전원공급부 커버를 결합할 때 전원 공급봉 지지보스의 상부로 노출된 일부가 상기 전원공급부의 탄성 클립형 전원 출력단자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전원 공급봉을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전원공급부의 고장시 별도의 납땜 등의 공정 없이 방열구로부터 전원공급부가 내장된 전원공급부 커버만 분리 교체할 수 있어 전원공급부의 고장에 따른 수리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공급부의 고장에도 불구하고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전체를 폐기시킴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유발 및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소비자에게 백열 전구를 발광다이오드형 전구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비력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자체의 방열기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생산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등 자체의 경량화를 실현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공급시켜 주는 전원공급부와 방열구 사이의 절연문제를 완벽히 해결할 수 있어 누전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발광다이오드형 전구의 방열구에 먼지 등이 쌓이지 않게 되어 전등 자체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수명도 대폭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iode type light bulb that can be replaced with a power supply, and in particular, in the known light emitting diode type light bulb, so that the power supply cover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port and the lower edge of the power supply cover. A male and male coupling means, respectively, and a pair of elastic clip type power output terminal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wer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power supply unit cover, and a hole through which the power supply rod passes through the top surface of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of the heat dissipation port. A pair of power supply rod support bosses are formed to protrud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ED module is inserted through the power supply rod support bosses to couple the power supply cover to the top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port. Part exposed to the upper part is respectively transferred to the elastic clip type power output terminals of the power supply unit. The enemy a pair of power supply rods to be coupled to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xed installation.
Therefore, in case of failure of the power supply,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replace only the power supply cover with a built-in power supply from the heat dissipation hole without any separate soldering process, which can greatly reduce the repair cost due to the failure of the power supply and also break down the power supply. Neverthel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unnecessary economic loss caused by the disposal of the entire light emitting diode bulb, and also to promote the power consumption that enables consumers to replace the incandescent bulb with the light emitting diode bulb. In addition, the heat dissipation function of the light emitting diode-type bulb itself can be greatly improved,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can be reduced, and the light weight of the lamp itself can be realized,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insulation problem between heat sinks can be completely solved.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ccidents caused by, and is capable of greatly extending a long period of time that even if dust or the like to the ventilation holes of the light-emitting diode-type light bulb is not accumulat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lamp itself as well as the use life.

Description

전원공급부 교체가 가능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LED type bulb having replaceable power supply}LED type bulb having replaceable power supply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 교체가 가능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천정이나 벽 등지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백열전구 대신 그보다도 전력소모가 적고 소형화가 가능해 경제적이며, 다양한 조명광과 높은 시인성으로 조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제조되는 발광다이오드형 전구의 방열구와 전원공급부 커버를 별도의 고정구나 공구의 사용 없이 분해/조립 가능하게 형성시켜 전원공급부의 고장시 별도의 납땜 등의 공정 없이 방열구로부터 전원공급부가 내장된 전원공급부 커버만 분리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고장수리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공급부의 고장에도 불구하고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전체를 폐기시킴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유발 및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소비자에게 백열 전구를 발광다이오드형 전구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비력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방열구 자체는 사출을 통해 성형하되, LED 모듈의 기판이 직접 고정 설치되는 방열구의 바닥면에는 열 확산도와 열 전도도가 각각 알루미늄보다 대략 3배 및 2배 높은 특성을 갖는 카본알루미늄(carbonic aluminum; CarbAlTM) 복합소재를 이용하여 성형한 수개의 방열봉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관통되게 설치하여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자체의 방열기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iode type light bulb which can be replaced with a power supply, and more particularly, it is economical because it can consume less power and can be miniaturized instead of incandescent lamps widely used in ceilings or walls of buildings, and it is economical with various lighting lights and high visibility. By disassembling / assembling the heat dissipation hole and the power supply cover of the light emitting diode bulb manufactured to maximize the lighting effect, it is possible to disassemble / assemble without the use of a separate fixture or a tool. It is possible not only to reduce the cost of repairing the trouble by separating and replacing the power supply cover with a built-in power supply, but also to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by discarding the entire LED bulb in spite of the failure of the power supply. Avoid unnecessary economic losses And it can promote the power consumption that can be used to replace the incandescent bulb with the light emitting diode-type bulb to the consumer, and the heat sink itself is molded by injection, but the hea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sink that the substrate of the LED module is directly fixed The light emitting diode type is installed by passing through several heat sink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using carbonic aluminum (CarbAl TM ) composite material having diffusion and thermal conductivity approximately 3 times and 2 times higher than aluminum, respectively. Invented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of the bulb itself, as well as to reduce production costs.

종래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조명등으로는, 전구 또는 형광등이 있는데, 이와 같은 전구 또는 형광등은 소비 전력이 높아 자원을 낭비하고, 환경보호에 지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발열하는 것이 원인으로 환경 온도를 상승시켜 전등의 사용 수명을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Conventionally, the lighting lamps widely used in general homes and offices include light bulbs or fluorescent lamps. Such light bulbs or fluorescent lamps consume a lot of power due to high power consumption, which not only interfere with environmental protection, but also easily generate heat. As a cause, there was a problem affecting the service life of the lamp by raising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따라서, 최근 들어서는 전력소모가 적고 소형화가 가능해 경제적이며, 다양한 조명광과 높은 시인성으로 조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등들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recently, low power consumption and miniaturization are possible and economical, and various lighting lights and high visibility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lighting lamps using light emitting diodes that can maximize lighting effects.

이때 상기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라 함)는 다수의 캐리어(Carrier)가 전자인 N형 반도체 결정과 다수의 캐리어가 정공인 P형 반도체 결정이 서로 접합된 구조를 가지는 광전변환 반도체 소자로서, PN접합에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할 때에 발생하는 자연방출 광을 이용한 반도체 발광소자를 말한다.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is a photoelectric conversion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n N-type semiconductor crystal in which a plurality of carriers are electrons and a P-type semiconductor crystal in which a plurality of carriers are holes are bonded to each other. The semiconductor device refers to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ing spontaneous emission light generated when electrons and holes injected into a PN junction recombine.

이와 같은 LED는 광전변환 효율이 높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매우 낮아 열발생이 적고, 열적 방전적 발광이 아니기 때문에 여열시간이 불필요하여 점등, 소등속도가 빠르다.Since the LED has high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the power consumption is very low, so there is little heat generation, and since it is not thermally discharged light, no extra heat time is required, and thus the lighting and extinguishing speed is fast.

또한, 가스나 필라멘트가 없기 때문에 충격에 강하고 안전하며, 안정적인 직류 점등방식의 채택으로 전력소모가 적고, 고 반복인 펄스 동작이 가능하고 시신경의 피로를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수명이 반영구적이면서 다양한 색상의 조명효과도 낼 수 있고, 작은 광원을 사용함에 따라 소형화가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gas or filament, it is strong in shock, safe, and adopts stable DC lighting method, which consumes less power, enables high-repetitive pulse operation, reduces optic nerve fatigue, and has a long service life. The lighting effect of color can also be produced, and miniaturization is possible by using a small light source.

그러나, 이와 같은 LED는 LED 칩의 구동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휘도 및 사용 수명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LEDs have a problem of affecting brightness and service life due to heat generated when the LED chip is driven.

이와 같은 발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설계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전등의 케이스를 성형하되 그 외주면에 방열핀을 일체로 형성하고, 또한 방열핀에 의해서 방열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지만, 달성 가능한 효과는 한정되어 가장 바람직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In order to overcome this heat generation problem, the conventional design, which is mainly used, is to form a case of a lamp made of aluminum alloy, but the heat dissipation fins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heat dissipation fins are used to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effect. Is limited and cannot be said to be the most preferable.

즉, 종래의 발광다이오드형 전구는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하여 케이스 및 방열핀을 성형할 때 알루미늄 합금부재를 다이케팅 금형을 이용하여 압착하는 방식을 통해 LED의 구동시 발생되는 열을 원활히 방열시키기 위해 형성시키는 방열핀들이 케이스의 외주면에 일체로 성형한 형태를 갖는다.That is, the conventional light-emitting diode-type bulb is formed to smoothly dissipate heat generated when driving the LED by pressing the aluminum alloy member using a die casting mold when molding the case and the heat radiation fin using the aluminum alloy. The heat dissipation fins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그러나 이와 같이 다이케스팅 금형을 이용하여 방열핀을 일체로 구비하는 케이스를 성형할 경우, 알루미늄으로 된 케이스 본체 자체는 물론 방열핀들을 얇게 성형할 수 없어 제품의 경량화가 불가능하고 방열면적을 극대화할 수 없으므로 LED의 구동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다이케스팅 금형을 통해 알루미늄 합금형 케이스를 성형할 경우, 후 가공을 통해 전선공 및 사사공 등을 별도로 성형시켜 주어야 하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원재료비 및 제품의 생산원가가 많이 들게 되고, 또한 동일 체적에 방열핀을 일체로 성형시킴으로 인해 내부의 공간이 적어 협소한 공간에 상부 커버나 투광 캡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보스 등을 성형시키기에 매우 힘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molding a case having heat dissipation fins integrally by using a die casting mold, the heat dissipation fins as well as the case body itself made of aluminum cannot be molded thinly, thus making it im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product and maximizing the heat dissipation area. Not only can not effectively dissipate heat generated during operation, but also when molding the aluminum alloy case through the die casting mold, after the wire processing and thread hole must be molded separately through the post-processing,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decreases as well It costs a lot of raw materials and the cost of production, and since the heat radiation fins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same volume, there is little space inside, so it is very easy to form a boss for detachably installing the top cover or floodlight cap in a narrow space. There are problems such as being difficult.

따라서 최근 일부에서는 발광다이오드형 전구의 케이스를 성형할 때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 본체는 압출 성형하고, 이에 결합되는 수개의 방열핀과 상기 방열핀들이 방사형으로 결합되게 하는 원판형 캡은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얇은 철판을 절단 및 절곡하는 형태를 통해 제작하여, 본체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방열핀의 방열면적을 증대시켜 주는 방식을 통해 발광다이오드들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알루미늄으로 성형한 본체에 비해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도록 한 경우도 제시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when forming a case of a light emitting diode type bulb, a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is extruded, and several heat dissipation fins coupled thereto and a disc cap for radially coupling the heat dissipation fins are thin using a press mold. By cutting and bending the steel plate, the heat dissipation area of the radiating fins fixed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is increased to effectively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s compared to the aluminum molded body. One case is also presented.

그러나, 상기한 모든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본체 자체 및 형성 또는 설치되는 방열핀이 결국 모두 금속으로 성형되어 있어 경량화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공급시켜 주는 전원공급부와 금속재의 본체 사이에서 누전이 발생될 경우 감전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However, all the above-described light emitting diode-type light bulb body itself and the heat radiation fins formed or installed are all formed of metal, thereby limiting the weight reduction, and short-circuit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metal body. If this happens, there is a risk of electric shock.

따라서 이와 같은 절연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부에서는 전원공급부 자체를 고가의 절연형으로 성형하고 있으나 이 경우 제품의 생산원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또 일부에서는 본체의 방열부에 절연도장 처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역시 원가가 상승하게 됨은 물론 절연도장으로 인해 방열효과가 크게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insulation problem, some of the power supply itself is molded into expensive insulation type, but in this case,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increases, and in some cases, the insulation coating is applied to the heat dissipation part of the main body. In addition, the cost rises, as well as the heat dissipation effect is greatly reduced due to the insulating coating.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할 경우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본체에 형성된 방열핀 사이에 먼지 등이 쌓이게 되어 전등 자체의 신뢰성이 저하됨은 물론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when long-term use, dust is accumulated between the heat radiation fins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diode-type light bulb body,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of the lamp itself is lowered and the life is shortened.

한편, 종래 대부분의 발광다이오드형 전구는 전원공급부가 내장되는 전원공급부 커버와 투광 캡이 각각 스크류를 통해 방열구의 상,하면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고정 설치한 구성을 가지고 있음은 물론 전원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LED 모듈에 공급시켜 주기 위한 전선의 양단자는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자와 LED 모듈의 전원공급단자에 납땜을 통해 각각 직접 고정 설치된 구성을 가지고 있어 제품의 생산성 저하로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conventional light emitting diode-type light bulb is a power supply cover and a light-emitting cap that is built in the power supply is installed to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t dissipation through the screw, respectively, or fixedly installed integrally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In addition, both terminals of the wire for supplying the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to the LED module have a configuration that is directly fixed by soldering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LED modu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cost rises due to the decrease.

뿐만 아니라, 발광다이오드형 전구를 사용하다 보면 대략 60,000시간의 수명을 갖는 LED에 비해 그 수명이 15,000 시간으로 매우 짧은 특성을 갖는 전해콘덴서 등이 구비된 전원공급부가 LED보다 먼저 고장을 일으키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when using a light emitting diode-type bulb, a power supply unit equipped with an electrolytic capacitor, which has a very short characteristic of 15,000 hours compared to an LED having a life of approximately 60,000 hours, may fail before the LED. There is a lot happening.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대부분의 발광다이오드형 전구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전원공급부가 내장되는 전원공급부 커버와 투광 캡이 각각 스크류를 통해 방열구의 상,하면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고정 설치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Nevertheless, in the conventional light emitting diode type bulbs,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upply cover and the light emitting cap, each of which has a built-in power supply unit, are respectively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t dissipation port through screws, or by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It has a fixed installation.

따라서, 발광다이오드 전구 사용 중 전원공급부의 고장시 전자의 경우 공구를 이용하여 수개의 스크류를 일일이 풀과 전선의 인두로 납땜부위를 분리시킨 다음 전원공급부가 내장된 새로운 전원공급 커버로 교체해야만 되어 고장수리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게 되고, 후자의 경우는 고가의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자체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해야만 되어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게 됨은 물론 발광다이오드 전구 자체의 폐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게 되며, 또한 이와 같은 요인으로 인해 소비자가 백열 전구를 발광다이오드형 전구로 교체 사용하는데 많은 망설임을 주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Therefore, if the power supply part breaks down while using the light emitting diode bulb,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 soldering part must be separated by using a tool, and the soldering part is separated by the iron of the wire and then replaced by a new power supply cover with a built-in power supply. In the latter case, expensive and time-consuming repairs are required. In the latter case, the expensive light-emitting diode bulb itself must be replaced with a new one, resulting in unnecessary economic loss, and also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the disposal of the light-emitting diode bulb itself. Due to such a factor, there is a problem that consumers give a lot of hesitation to replace the incandescent bulb with a light emitting diode type bulb.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백열전구 대신 그보다도 전력소모가 적고 소형화가 가능해 경제적이며, 다양한 조명광과 높은 시인성으로 조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제조되는 발광다이오드형 전구의 방열구와 전원공급부 커버 사이를 별도의 공구나 고정구의 사용 없이 손쉽게 분해/조립 가능하도록 성형함은 물론 전원공급부와 LED 모듈 사이를 별도의 전선 사용 없이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원공급부의 고장시 별도의 납땜 등의 공정 없이 방열구로부터 전원공급부가 내장된 전원공급부 커버만 분리 교체할 수 있어 전원공급부의 고장에 따른 수리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공급부의 고장에도 불구하고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전체를 폐기시킴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유발 및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소비자에게 백열 전구를 발광다이오드형 전구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비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전원공급부 교체가 가능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light emitting diode type is manufactured to maximize the lighting effect with a variety of illumination light and high visibility, economical and less power consumption than that of incandescent bulbs It is molded to be easily disassembled / assembled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hole of the bulb and the cover of the power supply without using any tools or fixtures, and it is possible to connect and disconnect the power supply and the LED module without using a separate wire. In this case, only the power supply cover with a built-in power supply can be separated and replaced from the heat dissipation port without additional soldering, which can greatly reduce the repair cost due to the failure of the power supply.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the entire disposal of the bulb.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emitting diode-type light bulb that can be replaced with a power supply that can prevent inducement and unnecessary economic loss in advance, and also promote the consumption power of replacing the incandescent light bulb with a light-emitting diode-type light bulb. ha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열구를 금속재로 성형하지 않고 사출을 통해 성형하되, LED 모듈의 기판이 직접 고정 설치되는 방열구의 바닥면에는 열 확산도와 열 전도도가 각각 알루미늄보다 대략 3배 및 2배 높은 특성을 갖는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를 이용하여 성형한 수개의 방열봉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관통되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자체의 방열기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생산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등 자체의 경량화를 실현시킬 수 있는 전원공급부 교체가 가능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the heat dissipation through injection without molding the metal material, the heat diffusion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port in which the substrate of the LED module is directly installed is approximately three times and twice higher than aluminum, respectively By installing several heat-dissipating rods formed using a carbon aluminum composite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through, the heat dissipation function of the light emitting diode bulb itself can be greatly improved, and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emitting diode-type light bulb that can replace a power supply that can realize light weight of the lamp itself.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공급시켜 주는 전원공급부와 방열구 사이의 절연문제를 완벽히 해결할 수 있어 누전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발광다이오드형 전구의 방열구에 먼지 등이 쌓이지 않게 되어 전등 자체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수명도 대폭 연장시킬 수 있는 전원공급부 교체가 가능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pletely solve the insulation problem between the power supply and the heat dissipation port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diode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due to short circuit, even if used for a long ti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emitting diode-type light bulb which can replace a power supply that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lamp itself and also prolong the life of the lamp itself.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통형 몸체의 바닥부에 LED 모듈 설치판을 일체로 구비하고 LED 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켜 주는 방열구와; 기판에 수개의 LED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된 형태를 갖는 LED 모듈과; LED 모듈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전원공급부와; 소켓에 결합되는 베이스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는 전원공급부가 설치되는 전원공급부 커버와; LED들에서 발생되는 빛은 투과시키고 각종 이물질의 유입은 차단하는 투광 캡;이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에 있어서, 상기 방열구의 상면과 전원공급부 커버의 저면 주연부에 방열구로부터 전원공급부 커버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암,수 결합수단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 내에 설치된 전원공급부의 바닥면에는 한 쌍의 탄성 클립형 전원 출력단자를 설치하며, 상기 방열구의 LED 모듈 설치판 상면에는 전원 공급봉이 통과되는 구멍을 구비한 한 쌍의 전원 공급봉 지지보스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LED 모듈의 기판 상면에는 상기 전원 공급봉 지지보스를 통해 끼워져 상기 방열구의 상면에 전원공급부 커버를 결합할 때 전원 공급봉 지지보스의 상부로 노출된 일부가 상기 전원공급부의 탄성 클립형 전원 출력단자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전원 공급봉을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n LED module mounting plate integrally at the bottom of the cylindrical body and a heat dissipation port for dissipating heat generated from the LED module; An LED module having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LEDs are provided on a substrat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a power voltage necessary for driving the LED module; A power supply cover having a base coupled to the socket and having a power supply installed therein; A light emitting diode type light bulb that transmits light generated from the LEDs and blocks inflow of foreign matters; The light emitting diode type light bulb of which a mutually disassembled assembly is possible. Each of the male and male coupling means for detachably coupling the cover is provided, and a pair of elastic clip type power output terminal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wer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power supply unit cover. A pair of power supply rod support bosses having a hole through which a power supply rod passes through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and the power supply cover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by being inserted through the power supply rod support boss on the substrate upper surface of the LED module. An elastic clip of the power supply part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power supply rod support boss when engaging A pair of power supply rods electrically coupled to each of the type power output terminals is installed.

이때, 상기 암,수 결합수단은 전원공급부 커버 저부의 주연부 내측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방열구의 상부 주연부에는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의 걸림홈에 걸려지는 걸림고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female and male coupling means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power supply cover cover bottom, and the upper edge of the heat dissip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ring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of the power supply cover.

또, 상기 암,수 결합수단은 전원공급부 커버 저부 외측에 평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는 수개의 걸림구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하고, 상기 방열구의 상부 외측으로는 화살형상을 갖고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의 걸림구에 끼워져 걸려지는 수개의 탄성 걸고리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emale and male coupling means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power supply cover cover bottom portion of the flat section having a "c" shap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has an arrow shape on the upper outside of the heat dissipation opening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f the number of elastic hooks to be caught in the locking hole of the power supply cover.

또한, 상기 방열구의 상면과 전원공급부 커버의 저면 주연부에 방열구로의 전원공급부 커버 오결합에 의해 정,부극성을 갖는 LED 모듈의 전원 공급봉들이 전원공급부에 설치된 한 쌍의 탄성 클립형 전원 출력단자에 오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기와 홈으로 구성되는 오결합방지수단을 더 성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rods of the LED module having positive and negative polarity are connected to a pair of elastic clip type power output terminals installed at the power supply unit by misalignment of the power supply unit cover to the heat dissipation port at the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por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ower supply cover. In order to prevent the misalign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rther misalignment preventing means consisting of a projection and the groove.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의 저면에는 전원 공급봉 통과공을 구비하고 그 상부에 위치되는 전원공급부의 이탈 방지와, 방열구에서 상방부로 유입되는 열기를 차단시켜 주는 받침판겸 열 차단판을 더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power supply cover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rod through-hole and the fixing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heat shield plate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power supply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and to block the heat flowing into the upper portion from the heat radiating opening It features.

한편, 상기 방열구는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하고, 상기 방열구의 바닥부에 형성된 LED 모듈 설치판에서 LED 모듈의 LED가 배치되는 위치에는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로 성형한 수개의 방열봉들을 수직방향 직립되게 설치하되, 상기 방열봉의 저면이 LED 모듈의 기판과 직접 접촉되도록 LED 모듈 설치판을 관통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heat dissipation port is injection-molded with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heat dissipation rods formed of a carbon aluminum composite material are installed vertically at a position where the LED of the LED module is disposed in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eat dissipation port. However,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rod i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through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bstrate of the LED module.

이때, 상기 방열구를 사출 성형할 때 LED 모듈 설치판에 수개의 방열구 설치공을 형성한 상태에서 방열봉들을 억지 끼워 맞춤 형식을 통해 고정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방열봉을 방열구 사출금형 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방열구의 사출 성형시 방열봉들이 상기 방열구의 LED 모듈 설치판에 일체로 인서트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in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heat dissipation, the heat dissipation rods are fixedly installed by forcing the heat dissipation rods in a state in which several heat dissipation holes are formed in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or the heat dissipation rod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heat dissipation injection mold. Arrangement and the heat dissipation rods during injection molding of the heat dissipation 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 is integrally fixed to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of the heat dissipation port.

또, 상기 방열봉 설치공 주연부에는 방열봉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주는 보강돌기를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eat dissipation rod installation peripher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projections are further protruded to cover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rod.

상기에서 방열구의 사출 성형시 LED 모듈 설치판에 수개의 방열구 설치공을 성형하거나, 또는 수개의 방열구 설치공과 함께 보강돌기를 일체로 성형하여 방열구 설치공 내에 방열봉들을 억지로 삽입 설치할 경우, 상기 방열봉의 외주면과 방열봉 설치공 사이 또는 상기 방열봉의 외주면과 방열봉 설치공 주연부에 돌출 성형된 보강돌기 사이에 점 본딩을 더 실시하여 방열봉의 고정력을 증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se of injection molding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the heat dissipation rods are formed by molding several heat dissipation holes in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or by integrally molding the reinforcement protrusion together with several heat dissipation holes in the heat dissipation hole. Point bonding is further per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heat dissipation rod installation hole or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rod and the reinforcing protrusion protrudingly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heat dissipation rod installation hole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of the heat dissipation rod.

또한, 상기 LED 모듈의 기판은 절연성 알루미늄 또는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 중 어느 한 소재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bstrate of the LED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lded of any one of insulating aluminum or carbon aluminum composite material.

한편, 상기 방열봉은 카본 덩어리를 800-900℃의 로에 넣고 가열하여 소정 체적을 갖는 압축 성형 금형 내에 넣고, 알루미늄 용융물을 압축 성형 금형 내로 부어 넣고 프레스를 이용 가압시켜 알루미늄 용융물이 카본에 형성된 공극 내로 합침되게 한 다음 소성 후 카본의 외부에서 경화된 알루미늄은 제거하고 공극 내로 알루미늄이 함침된 상태를 갖는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를 소정 체적 및 부피를 갖는 원봉 또는 사각봉의 형태로 절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heat dissipation rod is placed in a furnace at 800-900 ° C. to be heated and placed in a compression molding mold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the aluminum melt is poured into the compression molding mold and pressurized using a press to coalesce the aluminum melt into voids formed in the carbon. After the sintering, the aluminum cured from the outside of the carbon is removed, and the carbon aluminum composite material having a state in which aluminum is impregnated into the pores is cut into a round or square rod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and volume.

이때, 상기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의 방열봉에 대한 열 확산도는 0.84㎠/sec를 갖는 알루미늄 대비 2.55㎠/sec를 갖고, 열 전도도는 237W/mk를 갖는 알루미늄 대비 425W/mk를 가지며, 경도는 2.7g/㎤를 갖는 알루미늄 대비 2.3g/㎤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thermal diffusivity of the heat dissipation rod of the carbon aluminum composite material has a 2.55 ㎠ / sec compared to aluminum having a 0.84 ㎠ / sec, the thermal conductivity has a 425 W / mk compared to aluminum having a 237 W / mk, hardness 2.7 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2.3g / cm3 compared to aluminum having / cm3.

또한, 상기 방열봉의 체적(㎣)은 LED 모듈의 전체 정격출력(Watt) X 1,600±500이고, 표면적(㎟)은 LED 모듈의 전체 정격출력(Watt) X 600±2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heat dissipation rod (㎣) is the total rated output (Watt) X 1,600 ± 500 of the LED module, the surface area (mm 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tal rated output (Watt) X 600 ± 200 of the LED modu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광다이오드형 전구에 의하면, 백열전구 대신 그보다도 전력소모가 적고 소형화가 가능해 경제적이며, 다양한 조명광과 높은 시인성으로 조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제조되는 발광다이오드형 전구의 방열구와 전원공급부 커버 사이를 별도의 공구나 고정구의 사용 없이 손쉽게 분해/조립 가능하도록 성형함은 물론 전원공급부와 LED 모듈 사이를 별도의 전선 사용 없이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원공급부의 고장시 별도의 납땜 등의 공정 없이 방열구로부터 전원공급부가 내장된 전원공급부 커버만 분리 교체할 수 있어 전원공급부의 고장에 따른 수리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공급부의 고장에도 불구하고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전체를 폐기시킴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유발 및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소비자에게 백열 전구를 발광다이오드형 전구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비력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diode type light bulb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incandescent light bulb, it consumes less power and can be miniaturized, which is economical, and is made of a light emitting diode type light bulb which is manufactured to maximize the lighting effect with various lighting lights and high visibility. It is molded to be easily disassembled / assembled between the heat sink and power supply cover without the use of a separate tool or fixture, and the power supply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dis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and the LED module without using a separate wire. In this case, only the power supply cover with a built-in power supply can be separated and replaced from the heat dissipation port without additional soldering, which can greatly reduce the repair cost due to the failure of the power supply. Environment by Disposing of the Whole Light Bulb The salt and caused unnecessary economic los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also capable of promoting the current consumption that enables the consumer to replace the light-emitting diode-type light bulb for the incandescent bulb.

또한, 방열구 자체를 금속재로 성형하지 않고 사출을 통해 성형하되, LED 모듈의 기판이 직접 고정 설치되는 방열구의 바닥면에는 열 확산도와 열 전도도가 각각 알루미늄보다 대략 3배 및 2배 높은 특성을 갖는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를 이용하여 성형한 수개의 방열봉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관통되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자체의 방열기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생산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등 자체의 경량화를 실현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eat dissipation hole itself is formed by injection without molding a metal material, but the carbon having heat dissipation and thermal conductivity approximately 3 times and 2 times higher than aluminum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where the substrate of the LED module is directly fixed and installed. By installing several heat-dissipating rods formed by using aluminum composite materials at regular intervals, the heat dissipation function of the light emitting diode bulb itself can be greatly improved, and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can be reduced as well as the lamp itself. The weight reduction can be realized.

뿐만 아니라,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공급시켜 주는 전원공급부와 방열구 사이의 절연문제를 완벽히 해결할 수 있어 누전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발광다이오드형 전구의 방열구에 먼지 등이 쌓이지 않게 되어 전등 자체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수명도 대폭 연장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In addition, it can completely solve the insulation problem between the power supply that supplies power to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heat dissipation port, thus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due to a short circuit.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such as not only stacking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lamp itself, but also greatly extend the lif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가 적용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가 적용된 전구의 일부 절취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가 적용된 전구의 종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가 적용된 전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가 적용된 전구의 종 단면도.
도 6은 카본과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의 방열봉을 성형하는 제조 공정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emitting diode-type light bulb to which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ght bulb to which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lb to whic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ght bulb to whic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lb to which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6 is a manufacturing process of forming a heat radiation rod of a carbon aluminum composite material using carbon and aluminu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가 적용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가 적용된 전구의 일부 절취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가 적용된 전구의 종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emitting diode-type light bulb to whic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partially cuta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ght bulb to whic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3 is a firs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ngitudinal cross section of the bulb to which the embodiment is applied is shown.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가 적용된 전구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가 적용된 전구의 종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카본과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의 방열봉을 성형하는 제조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ght bulb to which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bulb to which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6 is carbon using carbon and aluminum. Shown is a manufacturing process for forming a heat dissipation rod of an aluminum composite material.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원통형 몸체(11)의 바닥부에 LED 모듈 설치판(12)을 일체로 구비하고 LED 모듈(2)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켜 주는 방열구(1)와; 기판(22)에 수개의 LED(21)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된 형태를 갖는 LED 모듈(2)과; LED 모듈(2)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전원공급부(3)와; 전구 소켓에 결합되는 베이스(41)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는 전원공급부(3)가 설치되는 전원공급부 커버(4)와; LED(21)들에서 발생되는 빛은 투과시키고 각종 이물질의 유입은 차단하는 투광 캡(5);이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에 있어서, A heat dissipation port (1) having an integrated LED module mounting plate (12) at the bottom of the cylindrical body (11) and dissipating heat generated from the LED module (2); An LED module 2 having a form in which several LEDs 21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substrate 22; A power supply unit 3 for supplying a power voltage necessary for driving the LED module 2; A power supply cover 4 having a base 41 coupled to the bulb socket and having a power supply 3 installed therein; In the light-emitting diode type light bulb that transmits light generated from the LEDs 21 and blocks the inflow of various foreign matters (5);

상기 방열구(1)의 상면과 전원공급부 커버(4)의 저면 주연부에 방열구(1)로부터 전원공급부 커버(4)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암,수 결합수단(7)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 내에 설치된 전원공급부(3)의 바닥면에는 한 쌍의 탄성 클립형 전원 출력단자(3a)를 설치하며, 상기 방열구(1)의 LED 모듈 설치판(12) 상면에는 전원 공급봉(23)이 통과되는 구멍(123)을 구비한 한 쌍의 전원 공급봉 지지보스(124)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LED 모듈(2)의 기판(22) 상면에는 방열구(1)의 LED 모듈 설치판(12) 상면에 형성된 전원 공급봉 지지보스(124)를 통해 끼워져 상기 방열구(1)의 상면에 전원공급부 커버(4)를 결합할 때 전원 공급봉 지지보스(124)의 상부로 노출된 일부가 상기 전원공급부(3)의 탄성 클립형 전원 출력단자(3a)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전원 공급봉(23)을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female and male coupling means (7) for removably coupling the power supply cover (4) from the heat dissipation hole (1)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1) and the bottom periphery of the power supply cover (4).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wer supply unit (3) installed in the power supply cover 4, a pair of elastic clip-type power output terminal (3a) is installed, the power supply on the top surface of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12 of the heat dissipation port (1) A pair of power supply rod support bosses 124 having a hole 123 through which the supply rods 23 pass are formed to protrude, and the LED of the heat dissipation port 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2 of the LED module 2. Inserted through the power supply rod support boss 12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mounting plate 12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ower supply rod support boss 124 when the power supply cover 4 is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port 1. Part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elastic clip type power output terminals 3a of the power supply unit 3, respectively. And a pair of power supply rods (23),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installation.

이때, 상기 암,수 결합수단(7) 중 그 일 실시 예는, 전원공급부 커버(4) 저부의 주연부 내측에 걸림홈(71)을 형성하고, 상기 방열구(1)의 상부 주연부에는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의 걸림홈(71)에 탄력적으로 걸려지는 걸림고리(7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one embodiment of the female and male coupling means (7), the engaging groove 71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bottom of the power supply cover 4, the upper periphery of the heat dissipation port (1) the power supply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ring 72 is formed to be elastically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71 of the cover (4).

또, 상기 암,수 결합수단(7)의 다른 실시 예는, 전원공급부 커버(4) 저부 외측에 평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는 수개의 걸림구(74)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하고, 상기 방열구(1)의 상부 외측으로는 화살형상을 갖고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의 걸림구(74)에 끼워져 걸려지는 수개의 탄성 걸고리(75)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female and male coupling means 7, the protruding formation of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74 having a flat cross section having a "C" shape on the outside of the bottom of the power supply cover 4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ddition, the upper and outer sides of the heat dissipation opening (1) has an arrow shape and protrudingly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everal elastic hooks 75 to be fitted to the locking hole 74 of the power supply cover (4). It is done.

또한, 상기 방열구(1)의 상면과 전원공급부 커버(4)의 저면 주연부에 방열구(1)로의 전원공급부 커버(4) 오결합에 의해 정,부극성(+,-)을 갖는 LED 모듈(2)의 전원 공급봉(23)들이 전원공급부(3)에 설치된 한 쌍의 탄성 클립형 전원 출력단자(3a)에 오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기(81)와 홈(82)으로 구성되는 오결합방지수단(8)을 더 성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D module (2) having positive and negative polarities (+,-) by the misalignment of the power supply cover (4) to the heat dissipation hole (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1) and the bottom edge of the power supply cover (4). To prevent the misalignment of the power supply rods 23) of the power supply unit 23 with the pair of elastic clip type power output terminals 3a installed in the power supply unit 3, and the protrusions 81 and the grooves 82. The means 8 is characterized by further molding.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의 저면에는 전원 공급봉 통과공(421)을 구비하고 그 상부에 위치되는 전원공급부(3)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방열구(1)에서 상방부로 유입되는 열기를 차단시켜 주는 받침판겸 열 차단판(42)을 더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wer supply cover 4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rod through hole 421 and prevents the sepa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3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as well as the heat flowing into the upper portion from the heat dissipation port 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late and the heat shield plate 42 for blocking further installed.

한편, 상기 방열구(1)는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하고, 상기 방열구(1)의 LED 모듈 설치판(12)에서 LED 모듈(2)의 LED(21)가 배치되는 위치에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로 성형한 수개의 방열봉(6)들을 수직방향 직립되게 설치하되, 상기 방열봉(6)의 저면이 LED 모듈(2)의 기판(22)과 직접 접촉되도록 LED 모듈 설치판(12)을 관통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dissipation port (1) is injection-molded with a synthetic resin material, molded in a carbon aluminum composite material at the position where the LED 21 of the LED module (2) is disposed on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12 of the heat dissipation port (1). One or more heat dissipation rods 6 are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rod 6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12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rod 6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bstrate 22 of the LED module 2. It is characterized by one.

이때, 상기 방열구(1)를 사출 성형할 때 LED 모듈 설치판(12)에 수개의 방열구 설치공(121)을 형성한 상태에서 방열봉(6)들을 억지 끼워 맞춤 형식을 통해 고정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방열봉(6)을 방열구 사출금형 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방열구(1)의 사출 성형시 방열봉(6)들이 상기 방열구(1)의 LED 모듈 설치판(12)에 일체로 인서트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when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1, the heat dissipation rods 6 are fixedly installed through an interference fit type in a state in which several heat dissipation hole mounting holes 121 are formed in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12, or The heat dissipation rod 6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in the heat dissipation injection mold, and the heat dissipation rods 6 are integrally inserted and fixed to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12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1 when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1 is performed. It is characterized by one.

또, 상기 방열봉 설치공(121) 주연부에는 방열봉(6)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주는 보강돌기(122)를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eat dissipation rod installation hole 121, the periphery of the heat dissipation rod 6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ement protrusion 122 for wrapping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urther protruded.

상기에서 방열구(1)의 사출 성형시 LED 모듈 설치판(12)에 수개의 방열구 설치공(121)을 성형하거나, 또는 수개의 방열구 설치공(121)과 함께 보강돌기(122)를 일체로 성형하여 방열구 설치공(121) 내에 방열봉(6)들을 억지로 삽입 설치할 경우, 상기 방열봉(6)의 외주면과 방열봉 설치공(121) 사이 또는 상기 방열봉(6)의 외주면과 방열봉 설치공(121) 주연부에 돌출 성형된 보강돌기(122) 사이에 점 본딩을 더 실시하여 방열봉(6)의 고정력을 증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mentioned injection molding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1, several heat dissipation hole installation holes 121 are formed in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12, or several reinforcement protrusions 122 are integrally formed together with several heat dissipation hole installation holes 121. In the case of forcibly inserting the heat dissipation rods 6 into the heat dissipation hole installation hole 121,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rod 6 and the heat dissipation rod installation hole 121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rod 6 and the heat dissipation rod installation hole. (121) It is characterized by increasing the fixing force of the heat dissipation bar 6 by further performing point bonding between the reinforcement protrusions 122 protrudingly formed on the periphery.

또, 상기 LED 모듈(2)의 기판(22)은 절연성 알루미늄 또는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 중 어느 한 소재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bstrate 22 of the LED module 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lded of any one of insulating aluminum or carbon aluminum composite material.

한편, 상기 방열봉(6)은 카본(30) 덩어리를 800-900℃의 로에 넣고 가열한 후 이를 소정 체적을 갖는 압축 성형 금형(31) 내에 넣고, 알루미늄 용융물(32)을 압축 성형 금형(31) 내로 부어 넣은 후 프레스(33)를 이용 가압시켜 알루미늄 용융물이 카본에 형성된 공극 내로 합침되게 한 다음 소성 후 카본의 외부에서 경화된 알루미늄은 제거하고 공극 내로 알루미늄이 함침된 상태를 갖는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를 소정 체적 및 부피를 갖는 원봉 또는 사각봉의 형태로 절단하여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dissipation rod 6 is placed in a furnace of 800-900 ° C and heated after the mass of the carbon (30) in the compression molding mold 31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the aluminum melt 32 to the compression molding mold 31 ) And then pressurized using a press (33) to cause the aluminum melt to coalesce into the voids formed in the carbon, and after firing, the carbon-aluminum composite material having a state in which the aluminum cured outside of the carbon is impregnated and the aluminum is impregnated into the void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lded by cutting in the form of a round bar or square bar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and volume.

이때, 상기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의 방열봉(6)에 대한 열 확산도는 0.84㎠/sec를 갖는 알루미늄 대비 2.55㎠/sec를 갖고, 열 전도도는 237W/mk를 갖는 알루미늄 대비 425W/mk를 가지며, 경도는 2.7g/㎤를 갖는 알루미늄 대비 2.3g/㎤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thermal diffusivity of the heat dissipation rod 6 of the carbon aluminum composite material has a 2.55 ㎠ / sec compared to aluminum having a 0.84 ㎠ / sec, the thermal conductivity has a 425 W / mk compared to aluminum having a 237 W / mk, hardness Is characterized by having 2.3 g / cm 3 compared to aluminum having 2.7 g / cm 3.

또한, 상기 방열봉(6)의 체적(㎣)은 LED 모듈의 전체 정격출력(Watt) X 1,600±500이고, 표면적(㎟)은 LED 모듈의 전체 정격출력(Watt) X 600±2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olume (㎣) of the heat dissipation rod 6 is the total rated output (Watt) X 1,600 ± 500 of the LED module, the surface area (mm 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tal rated output (Watt) X 600 ± 200 of the LED module. It is done.

여기서 미설명 부호 111은 방열구(1) 외부의 찬공기와 그 내부의 더운 공기가 원활이 유동되며 방열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 유동공이다.Here, reference numeral 111 is an air flow hole to allow the cold air and the hot air inside the heat dissipation hole (1) to smoothly flow and heat dissipa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발광다이오드형 전구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light emitting diode-type bulb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는, 기본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는 몸체(11)의 바닥부에 LED 모듈 설치판(12)을 일체로 구비된 방열구(1)와, LED 모듈(2), 전원공급부(3), 전구 소켓에 결합되는 베이스(41)를 구비한 전원공급부 커버(4) 및 투광 캡(5)으로 구성되어 있다.First, the light emitting diode-type light bulb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heat dissipation hole 1 having an LED module mounting plate 12 integrally formed at a bottom of a body 11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 LED module 2, It consists of a power supply section 3, a power supply cover 4 with a base 41 coupled to the bulb socket and a floodlight cap 5.

이와 같이 구성된 공지의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중, 상기 방열구(1)의 상면과 전원공급부 커버(4)의 저면 주연부에 방열구(1)로부터 전원공급부 커버(4)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암,수 결합수단(7)을 각각 구비시켜 주고,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 내에 설치된 전원공급부(3)의 바닥면에는 LED 모듈(2)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원 공급봉(23)이 탄력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탄성 클립형 전원 출력단자(3a)를 설치하며, 또한 상기 방열구(1)의 LED 모듈 설치판(12) 상면에는 전원 공급봉(23)이 통과되는 구멍(123)을 구비한 한 쌍의 전원 공급봉 지지보스(124)를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LED 모듈(2)의 기판(22) 상면에는 한 쌍의 전원 공급봉(23)을 고정 설치하여 상기 전원 공급봉(23)들이 방열구(1)의 LED 모듈 설치판(12) 상면에 형성시킨 전원 공급봉 지지보스(124)의 구멍(123)을 통해 끼워져, 상기 방열구(1)의 상면에 전원공급부 커버(4)를 결합할 때 전원 공급봉 지지보스(124)의 상부로 노출된 일부가 상기 전원공급부(3)의 탄성 클립형 전원 출력단자(3a)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Of the known light emitting diode-type light bulb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 arm for detachably coupling the power supply cover 4 from the heat dissipation hole 1 to the upper edge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1 and the bottom periphery of the power supply cover 4. Each of the male coupling means 7 is provided, and a pair of power supply rods 23 installed on the LED module 2 are elastically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wer supply 3 installed in the power supply cover 4. A pair of elastic clip-type power output terminals 3a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hole 123 through which the power supply rod 23 passes through the top surface of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12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1. And a pair of power supply rod support bosses 124 having a protruding dir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pair of power supply rods 23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22 of the LED module 2. When the power supply rods 23 ar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12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1 Inserted through the hole 123 of the power supply rod support boss 124, a portion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ower supply rod support boss 124 when the power supply cover 4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opening 1 It is the main technical component to be electrically coupled to each of the elastic clip-type power output terminals (3a) of the power supply (3).

즉, 상기 방열구(1)와 전원공급부 커버(4)을 별도의 스크류 등을 사용하지 않고 이들에 구비시킨 암,수 결합수단(7)을 이용하여 손쉽게 분해/조립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전원공급부(3)와 LED 모듈(2)에서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수단으로 전선을 사용하지 않고 방열구(1)의 상면에 전원공급부 커버(4)를 결합할 때 전원 공급봉 지지보스(124)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된 LED 모듈(2)의 전원 공급봉(23)들이 상기 전원공급부(3)의 저면에 설치된 탄성 클립형 전원 출력단자(3a)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That is, the heat dissipation port 1 and the power supply cover 4 to be easily disassembled / assembled using the female and male coupling means 7 provided therein without using a separate screw or the like, and the power supply unit ( 3) and the means for supplying the power voltage from the LED module 2 is fitted to the power supply rod support boss 124 when the power supply cover 4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port 1 without using wires. It is a main technical component that the power supply rods 23 of the LED module 2 coupled in the form ar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elastic clip type power output terminals 3a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power supply unit 3, respectively. .

따라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의 사용 중 전원공급부(3)가 고장을 일으켜 교체가 필요할 경우, 드라이버나 전기 인두 등과 같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방열구(1)로부터 전원공급부 커버(4)를 쉽게 분리한 다음 새로운 전원공급부(3)가 내장된 전원공급부 커버(4)로 교체할 수 있어 전원공급부(3)의 고장에 따른 수리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전원공급부(3)의 고장에도 불구하고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전체를 폐기시킴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유발 및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 백열 전구를 발광다이오드형 전구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비력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f the power supply unit 3 breaks down during use of the LED bulb and needs replacement, the power supply cover 4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heat dissipation port 1 without using a tool such as a screwdriver or an electric iron. The new power supply unit 3 can be replaced with a built-in power supply cover 4,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repair cost due to the failure of the power supply unit 3, and in spite of the failure of the power supply unit 3, In addition to prevent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unnecessary economic loss caused by the disposal of the entire type of bulbs,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power consumption to enable consumers to replace the incandescent bulbs with light emitting diode-type bulbs.

한편, 상기에 있어서 전원공급부 커버(4)와 방열구(1)를 스크류와 같은 고정구와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그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호 결합된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호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제시한 상기 암,수 결합수단(7)은 다양한 형태를 제시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 일 실시 예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 저부의 주연부 내측에 걸림홈(71)을 형성하고, 상기 방열구(1)의 상부 주연에는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의 걸림홈(71)에 탄력적으로 걸려지는 걸림고리(72)를 형성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the power supply cover 4 and the heat dissipation port (1) as a means for maintaining the mutually coupled form as well as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out the use of a tool such as a screw and a fixture. The female and male coupling means 7 can be pres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o FIG. 3, the inner side of the bottom of the power supply cover 4 is shown. A locking groove 71 was formed, and a locking ring 72 was elastically hooked to the locking groove 71 of the power supply cover 4 at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1.

이때, 상기 방열구(1)의 상부 주연부에는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개의 절결홈(73)을 더 형성시켜 줌으로써 상기 걸림고리(72)들이 절결홈(73)들에 의해 수개로 분리 성형되어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구비하게 된다.At this time, by forming a plurality of cutout grooves 73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upp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eat dissipation port (1), the hook ring 72 is separated by a plurality of cutout grooves 73 to form an elastic force itself It will be provided.

따라서, 이들을 상호 결합시키고자 할 때에는 전원공급부(3)가 내장된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를 방열구(1)의 상부 개방부에 위치시킨 후 상부에서 하방향을 향해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를 강하게 눌러주게 되면 상기 방열구(1)의 상부 주연부에 형성된 걸림고리(72)들이 절결홈(73)의 기능으로 전원공급부 커버(4)의 저부 주연부 내측면에 밀리어 휘어지면서 억지로 삽입되다가 전원공급부 커버(4)에 형성된 걸림홈(71)의 위치에 이르면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고리(72)들이 걸림홈(71)에 걸려져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couple them together, the power supply cover 4 having the power supply unit 3 built therein is positioned at the upper opening of the heat dissipation port 1, and then the power supply cover 4 is directed from the upper side downward. When pressed strongly, the hooks 72 formed on the upper periphery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1 are forcibly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ttom periphery of the power supply cover 4 as a function of the notch groove 73, and are forcibly inserted into the power supply unit. Reaching the position of the locking groove 71 formed in the cover 4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locking ring 72 is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71 to maintain a stat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에 내장된 전원공급부(3)가 고장이나 이를 교체하기 위해 방열구(1)로부터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를 분해하고자 할 때에는 방열구(1)와 전원공급부 커버(4)를 양손으로 잡고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를 강하게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의 걸림홈(71)에 걸려 있던 방열구(1)의 걸림고리(72)들이 전술과 반대로 걸림홈(71)으로부터 이탈되며 내측으로 휘어졌다가 전원공급부 커버(4)의 저부 주연부 내측면을 벗어나는 순간 자체의 복원력에 원 위치되며 방열구(1)와 전원공급부 커버(4)가 상호 분리된다.In addition, when the power supply unit 3 built in the power supply unit cover 4 is broken or to disassemble the power supply unit cover 4 from the heat dissipation port 1 in order to replace it, the heat dissipation port 1 and the power supply unit cover ( When holding the 4) with both hands and pulling out the power supply cover 4 strongly, the hooks 72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1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71 of the power supply cover 4 are locked in the opposite manner to the above. The heat dissipation port 1 and the power supply cover 4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being displaced from the 71 and bent inward and then returning to their own restoring force at the moment of leaving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peripheral part of the power supply cover 4.

이와 같이 방열구(1)로부터 분리시킨 전원공급부 커버(4)를 버리고 새로운 전원공급부 커버(4) 즉,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 전원공급부(3)가 내장된 전원공급부 커버(4)를 다시 상기 방열구(1)에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간단히 결합시키는 동작으로 고장수리 또는 전원공급부의 교체를 완료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the power supply cover 4 separated from the heat dissipation hole 1 is discarded, and the new power supply cover 4, that is, the power supply cover 4 in which the power supply unit 3 functions as a normal function, is installed again.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simple operation can be used to complete the troubleshooting or replacement of the power supply.

한편, 상기 암,수 결합수단(7)에 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 저부 외측에 평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는 수개의 걸림구(74)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하고, 상기 방열구(1)의 상부 외측으로는 화살형상을 갖고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의 걸림구(74)에 끼워져 걸려지는 수개의 탄성 걸고리(75)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female and male coupling means (7), as shown in Figure 4 and 5, a flat cross-section on the outer side of the bottom of the power supply cover 4 has a "C" shape Several locking holes 74 having protruding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upper and outer sides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1 has an arrow shape, and several hooks are fitted to the locking holes 74 of the power supply cover 4. The elastic hook 75 was formed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이와 같은 구성의 암,수 결합수단(7)을 갖는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와 방열구(1)를 상호 결합시키는 방법도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3)가 내장된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를 방열구(1)의 상부 개방부에 위치시킨 후 상부에서 하방향을 향해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를 눌러주게 되면 상기 방열구(1)의 상부 주연부에 형성된 화살형상의 탄성 걸고리(75)들이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 저부 외측에 형성된 수개의 걸림구(74) 내로 끼워져 걸려지게 되어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와 방열구(1)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coupling the power supply cover 4 and the heat dissipation device 1 having the female and male coupling means 7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o each other includes the power supply cover having the power supply 3 embedded therein ( 4) is positioned on the upper opening of the heat dissipation opening (1) and then press the power supply cover (4) from the top to the downward direction, the arrow-shaped elastic hook 75 formed in the upp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eat dissipation opening (1) They are hooked into several hooks 74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ottom of the power supply cover 4 so as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power supply cover 4 and the heat dissipation hole 1 ar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에 내장된 전원공급부(3)가 고장이나 이를 교체하기 위해 방열구(1)로부터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를 분해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의 걸림구(74) 내에 까워져 걸려진 상태를 갖는 화살형상의 탄성 걸고리(75)들을 양측에서 잡고 그 폭이 상기 걸림구(74)의 폭보다 좁아지도록 내측으로 눌러준 상태에서 상기 방열구(1)를 하방부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방열구(1)의 탄성 걸고리(75)들이 전원공급부 커버(4)에 형성된 걸림구(74)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므로 방열구(1)와 전원공급부 커버(4)가 상호 분리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power supply unit 3 built in the power supply cover 4 is broken or to disassemble the power supply cover 4 from the heat dissipation port 1 in order to replace it, the power supply cover 4 is caught. Holding the arrow-shaped elastic hooks 75 having a state of being caught in the sphere 74 on both sides and pressing the inward so that the width thereof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latch 74, the heat dissipation opening 1 When pulled downward, the elastic hooks 75 of the heat dissipation holes 1 are released from the catches 74 formed in the power supply cover 4, so that the heat dissipation holes 1 and the power supply cover 4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

한편, LED(21)는 직류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소자이므로 전원전압을 공급할 때 필히 정,부극성(+,-)을 정확히 연결 공급시켜야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LED 21 is a device driven by a DC voltage, the positive and negative polarities (+,-) must be correctly connected and supplied when the power supply voltage is supplied.

따라서, 전원공급부 커버(4)와 방열구(1)를 상호 결합할 때에는 정,부극성(+,-)을 갖고 전원공급부(3)에 설치된 한 쌍의 탄성 클립형 전원 출력단자(3a)와, 정,부극성(+,-)을 갖고 LED 모듈(2)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 공급봉(23)들의 극성이 상호 동일극성을 갖는 단자 및 봉에 정확히 결합되어야만 한다.Therefore, when the power supply cover 4 and the heat dissipation hole 1 are coupled to each other, a pair of elastic clip type power output terminals 3a having positive and negative polarities (+,-) and installed in the power supply unit 3, The polarities of the power supply rods 23 having the negative polarity (+,-) and installed in the LED module 2 must be correctly coupled to the terminals and the rods having the same polarity to each other.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열구(1)의 상면과 전원공급부 커버(4)의 저면 주연부에 돌기(81)와 홈(82)이루어지는 오결합방지수단(8)을 더 성형시켜 줌으로써 방열구(1)로의 전원공급부 커버(4) 오결합에 의해 정,부극성(+,-)을 갖는 LED 모듈(2)의 전원 공급봉(23)들이 전원공급부(3)에 설치된 한 쌍의 탄성 클립형 전원 출력단자(3a)에 오결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1 and the lower peripheral edge of the power supply cover 4 are formed in the heat dissipation hole 1 by further forming a misalignment preventing means 8 formed of the projections 81 and the grooves 82. A pair of elastic clip-type power output terminals in which the power supply rods 23 of the LED module 2 having positive and negative polarities (+,-) are installed in the power supply unit 3 due to a mismatch of the power supply cover 4. Misassociation with 3a) can be prevented.

이때, 상기 오결합방지수단(8)으로 제시되는 돌기(81)와 홈(82)은 각각 방열구(1)의 상면과 전원공급부 커버(4)의 저면 중 그 어디에 형성시켜도 무관하고, 그 개수는 1개일 수도 있고, 수 개일 수도 있으나, 수 개를 성형할 경우에는 각각의 간격이 서로 상이하게 설정해야만 오결합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jections 81 and the grooves 82, which are presented as the misalignment preventing means 8, may be formed at any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ower supply cover 4, respectively, There may be one or several, but in the case of forming several, the intervals must be set differently from each other to prevent erroneous bonding.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의 저면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킬 경우 그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3)를 고정시키는데 어려움이 발생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LED 모듈(2)에서 발생되어 후술하는 방열봉(6)을 통해 방열구(1)의 내부로 전달된 열기의 일부가 전원공급부 커버(4) 내로 유입되어 전원공급부(3)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전자부품의 구동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bottom surface of the power supply cover 4 is kept in an open state, it may be difficult to fix the power supply unit 3 installed therein, as well as generated by the LED module 2 to be described later. A part of the heat transferred into the heat dissipation hole 1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rod 6 may be introduced into the power supply cover 4 to adversely affect driving of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installed in the power supply unit 3.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의 저면에는 전원 공급봉 통과공(421)을 구비한 받침판겸 열 차단판(42)을 열융착 또는 수크류 등을 이용한 고정방법 등으로 통해 고정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4)에 내장된 전원공급부(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방열구(1)에서 상방부로 유입되는 열기를 차단시켜 줄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late and the heat shield plate 42 having the power supply rod through hole 421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power supply cover 4 by a fixing method using heat fusion or sock.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3 embedded in the power supply unit cover 4 as well as to block heat flowing into the upper portion from the heat dissipation port 1.

이 밖에도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열구(1)를 금속재로 성형하지 않고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함은 물론 상기 방열구(1)의 LED 모듈 설치판(12)에서 LED 모듈(2)의 LED(21)가 배치되는 위치에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로 성형한 수개의 방열봉(6)들을 수직방향 직립되게 설치하되, 상기 방열봉(6)의 저면이 LED 모듈(2)의 기판(22)과 직접 접촉되도록 LED 모듈 설치판(12)을 관통되게 설치한 것을 또 다른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D 21 of the LED module 2 is disposed on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12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1 as well as injection molding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without molding the heat dissipation hole 1 into a metal material. The heat dissipation rods 6 formed of a carbon aluminum composite material are installed in the vertical position so that the heat dissipation rods 6 are vertically erecte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rod 6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bstrate 22 of the LED module 2. The installation through the mounting plate 12 is another major technical component.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열구(1)를 성형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방열구 자체를 방열핀이 일체로 구비되도록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을 이용하여 성형시키지 않고, 내열성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되, 상기 방열구(1)의 LED 모듈 설치판(12)에서 LED 모듈(2)에 설치되어 있는 LED(21)가 위치되는 부위에 각각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를 이용하여 사각봉 또는 원봉의 형태로 성형한 방열봉(6)들을 고정 설치하였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forming the heat dissipation port 1, the heat dissipation hole itself is injection molded using heat-resistant synthetic resin, without using a metal such as aluminum, so that the heat dissipation fin is integrally provided as in the prior art, but the heat dissipation port 1 Heat dissipation rod (6) molded in the form of a square rod or round rod using a carbon aluminum composite material at the site where the LED 21 installed in the LED module 2 is positioned in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12 of They were fixed.

이때, 상기 방열봉(6)의 저면은 방열구(1)의 바닥부에 일체로 성형된 LED 모듈 설치판(12)을 관통시켜 LED 모듈(2)의 기판(22)에 직접 접촉되게(즉, 방열봉(6)의 저면이 LED 모듈(2)이 설치되는 LED 모듈 설치판(12)의 저면과 평행하게) 설치하여 LED(21)에서 발생되어 기판(22)을 통해 전도되는 열이 방열구(1)의 LED 모듈 설치판(12)에 고정 설치된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의 방열봉(6)에 직접 전달된 다음 상기 방열봉(6)들을 통해 공기중으로 원활히 방열되도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rod 6 penetrates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12 integrally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1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bstrate 22 of the LED module 2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rod 6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12 on which the LED module 2 is installed, and heat generated from the LED 21 and conducted through the substrate 22 is applied to the heat dissipation hole ( It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heat dissipation rod 6 of the carbon aluminum composite material fixed to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12 of 1) and then to be radiated to the air smoothly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rods (6).

또한, 상기 방열봉(6)들을 LED 모듈 설치판(12)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하는 방법으로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상기 방열구(1)를 사출 성형할 때 LED 모듈 설치판(12)에 수개의 방열구 설치공(121)을 형성한 다음 방열봉(6)들을 억지 끼워 맞춤 형식을 통해 고정설치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상기 방열봉(6)을 방열구 사출금형 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방열구(1)의 사출 성형시 방열봉(6)들이 상기 방열구(1)의 LED 모듈 설치판(12)에 일체로 인서트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re are two methods for fixing the heat dissipation rods 6 through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12, one of which is an LED module mounting plate (when injection molding the heat dissipation port 1). 12) to form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hole installation holes 121, and then to install the heat dissipation rods 6 through the interference fit type, another is to set the heat dissipation rod 6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in the heat dissipation injection mold The heat dissipation rods 6 are arranged to be integrally inserted into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12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1 during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1.

즉, 상기 방열구(1)를 내열성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할 경우 상기 방열봉(6)을 방열구(1)의 사출 성형 후 방열구(1)의 LED 모듈 설치판(12) 상에 형성된 방열봉 설치공(121)에 방열봉(6)들을 삽입 설치하는 것이고, 또 다른 방법은 상기 방열봉(6)을 사출금형 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방열구(1)의 사출 성형시 방열봉(6)들이 방열구(1)의 LED 모듈 설치판(12)에 일체로 인서트 고정되도록 하는 것인데, 상기 방열봉(6)들의 고정상태 및 작업성 등으로 고려해 볼 때 후자의 방법이 더욱 강한 고정력을 가지게 됨은 물론 후 가공이 필요 없게 된다.That is, in the case of injection molding the heat dissipation opening 1 with a heat-resistant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heat dissipation rod mounting hole formed on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12 of the heat dissipation opening 1 after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heat dissipation opening 6 is performed. The heat dissipation rods 6 are inserted into the heat sinks 121, and another method is to arrange the heat dissipation rods 6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injection mold and dissipate the heat dissipation rods 6 during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heat dissipation holes 1. The insert is fixed to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12 of (1) integrally, considering the fixed state and workability of the heat dissipation rods 6, the latter method has a stronger fixing force, as well as post-processing You do not need this.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열봉(6)의 고정력을 보다 강화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방열구(1)의 LED 모듈 설치판(12)에 천공시킨 방열봉 설치공(121) 주연부에 보강돌기(122)를 더 돌출 성형시켜 주어 상기 LED 모듈 설치판(12)의 방열봉 설치공(121)에 방열봉(6)들을 억지 끼움 방식에 의해 고정 설치하거나, 상기 방열봉(6)들을 사출 성형시 인서트 고정 설치할 때 상기 방열봉(6)의 외주면 일부를 상기 보강돌기(122)가 감싸주도록 하였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urther strengthen the fixing force of the heat dissipation rod 6, a reinforcement protrusion 122 is formed at the periphery of the heat dissipation rod mounting hole 121 perforated in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12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1. By further protruding molding, the heat dissipation rods 6 are fixedly installed to the heat dissipation rod mounting holes 121 of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12 by an interference fit method, or the heat dissipation rods 6 are fixed to the insert during injection molding. When the reinforcement protrusion 122 is wrapped around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rod (6).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방열구(1)의 사출 성형시 LED 모듈 설치판(12)에 수개의 방열구 설치공(121)을 성형하거나, 또는 수개의 방열구 설치공(121)과 함께 보강돌기(122)를 일체로 성형하여 방열구 설치공(121) 내에 방열봉(6)들을 억지로 삽입 설치할 때, 상기 방열봉(6)의 외주면과 방열봉 설치공(121) 사이 또는 상기 방열봉(6)의 외주면과 방열봉 설치공(121) 주연부에 돌출 성형된 보강돌기(122)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점 본딩을 더 실시하여 방열봉(6)의 고정력을 더욱 증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방식도 제시하는 바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1), if necessary, molding the several heat dissipation hole installation holes 121 in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12, or reinforced with several heat dissipation hole installation holes 121. When the protrusion 122 is integrally molded to insert the heat dissipation rods 6 into the heat dissipation hole 12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rod 6 and the heat dissipation rod installation hole 121 or the heat dissipation rod 6 are installed. In addition, the point bonding is further applied to the gap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rod installation hole 121 and the reinforcement protrusion 122 protrudingly formed at the periphery of the heat dissipation rod installation hole 121 to further increase the fixing force of the heat dissipation rod 6. I suggest.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한 상기 방열봉(6)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중량 및 체적을 갖는 카본(30) 덩어리를 800-900℃의 로에 넣고 가열한 후, 이를 압축 성형 금형(31) 내에 넣고, 알루미늄 용융물(32)을 상기와 같이 카본 덩어리가 들어 있는 압축 성형 금형(31) 내로 부어 넣은 후 프레스(33)를 이용 가압시켜 알루미늄 용융물이 카본에 자체적으로 형성된 공극 내로 합침되게 한 다음, 소성 후 카본의 외부에서 경화된 알루미늄은 제거하고 공극 내로 알루미늄이 고르게 함침된 상태를 갖는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를 소정 체적 및 부피를 갖는 원봉 또는 사각봉의 형태로 절단하여 성형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dissipation rod 6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after heating the carbon 30 mass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and volume in a furnace of 800-900 ℃, it is compression molded mold 31 Inside the aluminum melt 32 into a compression mold 31 containing carbon lumps as described above and pressurized using a press 33 to cause the aluminum melt to coalesce into the pores formed in the carbon itself, After the firing, the aluminum cured from the outside of the carbon is removed, and the carbon aluminum composite material having a state in which aluminum is evenly impregnated into the voids is formed by cutting into a round or square bar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and volume.

이와 같이 성형한 상기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의 방열봉(6)에 대한 열 확산도와 열 전도도 및 경도를 실험한 결과, 열 확산도는 0.84㎠/sec를 갖는 알루미늄 대비 2.55㎠/sec로 약 3배 이상 높은 값이 나타나고, 열 전도도는 237W/mk를 갖는 알루미늄 대비 425W/mk로 약 2배 정도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경도는 2.7g/㎤를 갖는 알루미늄 대비 2.3W/mk를 나타냈다.The thermal diffusivity, thermal conductivity and hardness of the heat dissipation rod 6 of the carbon aluminum composite material thus formed were tested. As a result, the thermal diffusivity was about 3 times higher than that of aluminum having 0.84 cm 2 / sec. Value, the thermal conductivity was about 2 times higher than that of aluminum having 237 W / mk, which was about 2 times higher, and the hardness was 2.3 W / mk compared to aluminum having 2.7 g / cm 3.

따라서, 상기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로 성형한 방열봉(6)을 이용하여 LED(21)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할 경우 일반 방열구(1) 자체를 알루미늄으로 성형한 것에 비하여 2-3배의 효과를 더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refore, when heat dissipating heat generated from the LED 21 by using the heat dissipation rod 6 formed of the carbon aluminum composite material, the heat dissipation port 1 itself has a 2-3 times effect as compared with the molding of aluminum. It can be seen that more can be obtained.

이때, 상기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로 성형된 방열봉(6)의 경도가 전술한 바와 같이 2.7g/㎤를 갖는 알루미늄과 거의 비슷하게 2.3g/㎤를 가지므로 프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방열구(1)의 LED 모듈 설치판(12)에 형성된 방열봉 설치공(121)에 방열봉(6)들을 억지로 압입 설치할 때 방열봉(6) 자체가 일그러지거나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hardness of the heat dissipation rod 6 formed of the carbon aluminum composite material has 2.3 g / cm 3 almost similar to that of aluminum having 2.7 g / cm 3 as described above, the LED of the heat dissipation port 1 using a press When the heat dissipation rods 6 are press-fitted to the heat dissipation rod mounting holes 121 formed in the module mounting plate 12, the heat dissipation rod 6 itself is not distorted or crush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열구(1)를 내열성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시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에 적용시켜도 방열에 아무런 문제가 없는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열 확산도와 열 전도도가 알루미늄에 비해 각각 대략 3배 및 2배 더 좋은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로 성형한 방열봉(6)을 방열구(1)의 LED 모듈 설치판(12)에서 LED가 배치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하여 LED에서 발생되는 열을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로 성형한 방열봉(6)을 이용하여 곧 바로 방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problem in heat dissipation even when the heat dissipation port 1 is injection-molded with a heat-resistant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pplied to a light emitting diode-type light bulb. Heat-dissipating rods 6 formed of doubled and twice better carbon-aluminum composite materials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positions where the LEDs are arranged on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12 of the heat dissipation holes 1 to heat heat generated from the LEDs. This is because the heat dissipation rod 6 formed of a material can be immediately released.

뿐만 아니라, 방열효과가 가장 낮은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한 방열구(1)에 설치되는 상기 방열봉(6)의 체적 및 표면적은 방열효과에 지대한 영향을 주게 됨에 따라 본 출원인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시험을 통해 얻은 상수를 LED 모듈(2)의 전체 정격출력(Watt)에 곱해주는 형식으로 각각의 바디에 설치되는 방열봉에 대한 체적 및 표면적을 구했는데, 각각의 방광다이오드형 전구에 설치되는 상기 방열구(1)의 체적(㎣)은 LED 모듈(2)의 전체 정격출력(Watt)에 상수인 1,600±500을 곱하여 얻었고, 표면적(㎟)은 LED 모듈(2)의 전체 정격출력(Watt)에 상수인 600±200을 곱하는 방식을 통해 얻어 그 값에 맞도록 상기 방열봉(6)을 성형하여 설치하였다.In addition, as the volume and surface area of the heat dissipation rod 6 installed in the heat dissipation hole 1 injection-molded with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the lowest heat dissipation effect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heat dissipation effect, the applicant has many tests to solve this problem. The volume and surface area of the heat dissipation rods installed in each body wer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constant obtained through the multiplied by the total rated output power (Watt) of the LED module (2). The volume of (1) wa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total rated output (Watt) of the LED module (2) by a constant 1,600 ± 500, the surface area (mm2) is a constant of the total rated output (Watt) of the LED module (2) The heat dissipation rods 6 were molded and installed in such a manner that they were multiplied by 600 ± 200.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LED 모듈(2)의 기판(22)을 에폭시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지 않고 절연성 알루미늄 판재로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로 성형시켰는데, 이와 같이 상기 LED 모듈(2)의 기판(22)을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로 성형시키게 되면 LED 모듈(2)의 기판(22) 자체에서도 방열기능이 이루어지게 되어 발광다이오드형 전구에 대한 방열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rate 22 of the LED module 2 is molded into a carbon aluminum composite material as needed, including molding an insulating aluminum plate without using an epoxy printed circuit board. When the substrate 22 of the LED module 2 is formed of a carbon aluminum composite material, heat dissipation is also performed on the substrate 22 itself of the LED module 2,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heat dissipation effect on the LED bulb. Will be.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 : 방열구
11 : 몸체 111 : 공기 유동공
12 : LED 모듈 설치판 121 : 방열구 설치공
122 : 보강돌기 123 : 구멍
124 : 전원 공급봉 지지보스
2 : LED 모듈 21 : LED
22 : 기판 23 : 전원 공급봉
3 : 전원공급부 3a : 탄성 클립형 전원 출력단자
4 : 전원공급부 커버 41 : 베이스
42 : 받침판겸 열 차단판 421 : 전원 공급봉 통과공
5 : 투광 캡
6 : 방열봉
7 : 암,수 결합수단 71 : 걸림홈
72 : 걸림고리 73 : 절결홈
74 : 걸림구 75 : 탄성 걸고리
8 : 오결합방지수단
81 : 돌기 82 : 홈
30 : 카본 31 : 압축 성형 금형
32 : 알루미늄 용융물 33 : 프레스
1: heat sink
11 body 111 air flow hole
12: LED module mounting plate 121: heat sink installation hole
122: reinforcement protrusion 123: hole
124: Power supply rod support boss
2: LED Module 21: LED
22: substrate 23: power supply rod
3: power supply 3a: elastic clip type power output terminal
4: power supply cover 41: base
42: support plate and heat shield plate 421: power supply rod through hole
5: floodlight cap
6: heat dissipation rod
7: female and male coupling means 71: locking groove
72: hook ring 73: notch groove
74: hanger 75: elastic hook
8: means for preventing misalignment
81: projection 82: groove
30: carbon 31: compression molding mold
32: aluminum melt 33: press

Claims (14)

몸체의 바닥부에 LED 모듈 설치판을 일체로 구비하고 LED 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켜 주는 방열구와; 기판에 수개의 LED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된 LED 모듈과; LED 모듈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전원공급부와; 소켓에 결합되는 베이스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는 전원공급부가 설치되는 전원공급부 커버와; LED들에서 발생되는 빛은 투과시키고 각종 이물질의 유입은 차단하는 투광 캡;이 상호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에 있어서,
상기 방열구의 상면과 전원공급부 커버의 저면 주연부에 방열구로부터 전원공급부 커버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암,수 결합수단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 내에 설치된 전원공급부의 바닥면에는 한 쌍의 탄성 클립형 전원 출력단자를 설치하며, 상기 방열구의 LED 모듈 설치판 상면에는 전원 공급봉이 통과되는 구멍을 구비한 한 쌍의 전원 공급봉 지지보스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LED 모듈의 기판 상면에는 상기 전원 공급봉 지지보스를 통해 끼워져 상기 방열구의 상면에 전원공급부 커버를 결합할 때 전원 공급봉 지지보스의 상부로 노출된 일부가 상기 전원공급부의 탄성 클립형 전원 출력단자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전원 공급봉을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부 교체가 가능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A heat dissipation port integrally provided with an LED module mounting plate at the bottom of the body and dissipating heat generated from the LED module; An LED modul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Ds on the substrat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a power voltage necessary for driving the LED module; A power supply cover having a base coupled to the socket and having a power supply installed therein; A light emitting cap which transmits light generated from the LEDs and blocks inflow of various foreign matters;
A male and a male coupling means for detachably coupling the power supply cover from the heat dissipation port to the upper edge of the heat dissipation por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ower supply cover, respectively, and a pair of bottoms of the power supply installed in the power supply cover. An elastic clip-type power output terminal of the heat dissipation port, and a pair of power supply rod support bosses having a hole through which a power supply rod passes through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of the heat dissipation, and the power supply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of the LED module. A pair of pins inserted through the supply rod support boss a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elastic clip type power output terminals of the power supply unit when the portion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ower supply rod support boss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port. Light-emitting diode with replaceable power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upply rod is fixed Type bulb.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수 결합수단은,
전원공급부 커버 저부의 주연부 내측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방열구의 상부 주연부에는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의 걸림홈에 걸려지는 걸림고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부 교체가 가능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emale and male coupling means,
The light-emitting diode type light bulb of claim 1, wherein a locking groove is formed inside the periphery of the bottom of the power supply cover, and a locking ring is formed on the locking groove of the power supply co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수 결합수단은,
전원공급부 커버 저부 외측에 평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는 수개의 걸림구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하고, 상기 방열구의 상부 외측으로는 화살형상을 갖고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의 걸림구에 끼워져 걸려지는 수개의 탄성 걸고리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부 교체가 가능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emale and male coupling means,
On the outside of the bottom of the power supply cover, a flat section is formed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having a "c" shape, and the upper and outer sides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have an arrow shape and are fitted into the hooks of the power supply cover. Light-emitting diode-type light bulb replaceable power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formation of several elastic hook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열구의 상면과 전원공급부 커버의 저면 주연부에 방열구로의 전원공급부 커버 오결합에 의해 정,부극성을 갖는 LED 모듈의 전원 공급봉들이 전원공급부에 설치된 한 쌍의 탄성 클립형 전원 출력단자에 오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결합방지수단을 더 성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부 교체가 가능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upply rods of the LED module having positive and negative polarities are misaligned with a pair of elastic clip type power output terminals installed in the power supply by misalignment of the power supply cover to the heat dissipation part at the upper edge of the heat dissipation port and the bottom edge of the power supply cover. Light-emitting diode type light bulb, which can be replaced by a power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molded to prevent the misalignment means to prev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 커버의 저면에는 전원 공급봉 통과공을 구비하고 그 상부에 위치되는 전원공급부의 이탈 방지와, 방열구에서 상방부로 유입되는 열기를 차단시켜 주는 받침판겸 열 차단판을 더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부 교체가 가능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surface of the power supply cover cover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rod through hole and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power supply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support plate and heat blocking plate for blocking the heat flowing into the upper portion from the heat dissipation port is further installed Light-emitting diode bulb that can be replaced with a power supp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열구는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하되, 상기 방열구의 바닥부에 형성된 LED 모듈 설치판에서 LED 모듈의 LED가 배치되는 위치에는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로 성형한 수개의 방열봉들을 수직방향 직립되게 설치하되, 상기 방열봉의 저면이 LED 모듈의 기판과 직접 접촉되도록 LED 모듈 설치판을 관통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부 교체가 가능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dissipation port is injection-molded with a synthetic resin material, but in the position where the LED of the LED module is disposed in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eat dissipation, the heat dissipation rods formed of carbon aluminum composite material are installed vertically upright, The light emitting diode-type bulb that can replace the power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rod is installed through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so as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bstrate of the LED modul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열봉은 방열구를 사출 성형할 때 LED 모듈 설치판에 형성시킨 수개의 방열구 설치공에 억지 끼워 맞춤 형식을 통해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부 교체가 가능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The method of claim 6,
The heat dissipation rod is light-emitting diode-type bulb that can be replaced by the power supply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is fixed through the interference fit in the several heat dissipation hole installation hole formed in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when injection molding the heat dissipa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열봉은 방열구를 사출 성형할 때 사출금형 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방열구의 사출 성형시 방열봉들이 상기 방열구의 LED 모듈 설치판에 일체로 인서트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부 교체가 가능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The method of claim 6,
The heat dissipation ro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in the injection mold when the heat dissipation port is injection molded, and the heat dissipation rods may be integrally inserted and fixed to the LED module mounting plate of the heat dissipation hole during injection molding of the heat dissipation port. LED Bulb.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방열봉 설치공 주연부에는 방열봉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주는 보강돌기를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부 교체가 가능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light emitting diode-type light bulb of the power supply unit replacemen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dissipation rod installation periphery further protruded forming a reinforcing projection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rod.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방열봉의 외주면과 방열봉 설치공 사이 또는 상기 방열봉의 외주면과 방열봉 설치공 주연부에 돌출 성형된 보강돌기 사이에 점 본딩을 더 실시하여 방열봉의 고정력을 증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부 교체가 가능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9,
The power supply can be replaced by increasing the fixing force of the heat dissipation rod by performing point bonding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rod and the heat dissipation rod installation hole or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rod and the reinforcing protrusion protrudingly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heat dissipation rod installation hole. LED Bulb.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의 기판은 절연성 알루미늄 또는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 중 어느 한 소재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부 교체가 가능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bstrate of the LED module is a light emitting diode-type light bulb, which can be replaced with a power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ny one of insulating aluminum or carbon aluminum composite material.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열봉은 카본 덩어리를 800-900℃의 로에 넣고 가열하여 소정 체적을 갖는 압축 성형 금형 내에 넣고, 알루미늄 용융물을 압축 성형 금형 내로 부어 넣고 프레스를 이용 가압시켜 알루미늄 용융물이 카본에 형성된 공극 내로 합침되게 한 다음 소성 후 카본의 외부에서 경화된 알루미늄은 제거하고 공극 내로 알루미늄이 함침된 상태를 갖는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를 소정 체적 및 부피를 갖는 원봉 또는 사각봉의 형태로 절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부 교체가 가능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The method of claim 6,
The heat dissipation rod was placed in a furnace at 800-900 ° C. and heated to be placed in a compression molding mold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and the aluminum melt was poured into the compression molding mold and pressed using a press to cause the aluminum melt to coalesce into the voids formed in the carbon. Next, after the firing, the aluminum hardened from the outside of the carbon is removed, and a carbon aluminum composite material having a state in which aluminum is impregnated into the voids is cut in the form of a round rod or a square rod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and volume. LED Bulb.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카본알루미늄 복합소재의 방열봉에 대한 열 확산도는 0.84㎠/sec를 갖는 알루미늄 대비 2.55㎠/sec를 갖고, 열 전도도는 237W/mk를 갖는 알루미늄 대비 425W/mk를 가지며, 경도는 2.7g/㎤를 갖는 알루미늄 대비 2.3g/㎤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부 교체가 가능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The method of claim 12,
The thermal diffusivity of the heat dissipation rod of the carbon aluminum composite material has 2.55 cm 2 / sec compared to aluminum having 0.84 cm 2 / sec,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has 425 W / mk compared with aluminum having 237 W / mk, and the hardness is 2.7 g / cm 3 Light emitting diode-type light bulb, which can be replaced with a power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2.3g / ㎠ compared with aluminum.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열봉의 체적(㎣)은 LED 모듈의 전체 정격출력(Watt) X 1,600±500이고, 표면적(㎟)은 LED 모듈의 전체 정격출력(Watt) X 600±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부 교체가 가능한 발광다이오드형 전구.







The method of claim 6,
The volume of the heat dissipation rod (㎣) is the total rated power (Watt) X 1,600 ± 500 of the LED module, the surface area (mm 2) is the power supply replac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total rated output (Watt) X 600 ± 200 of the LED module LED light bulbs available.







KR1020100086537A 2010-09-03 2010-09-03 LED type bulb having replaceable power supply KR1011231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537A KR101123132B1 (en) 2010-09-03 2010-09-03 LED type bulb having replaceable power supp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537A KR101123132B1 (en) 2010-09-03 2010-09-03 LED type bulb having replaceable power supp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013A KR20120024013A (en) 2012-03-14
KR101123132B1 true KR101123132B1 (en) 2012-03-20

Family

ID=4613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537A KR101123132B1 (en) 2010-09-03 2010-09-03 LED type bulb having replaceable power supp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13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614B1 (en) * 2012-08-09 2013-10-29 이슬기 Led lighting module for improving heat dissipation and light efficiency
CN106523944A (en) * 2016-12-29 2017-03-22 东莞市合将艺光光电科技有限公司 Improved corn light
US20240077190A1 (en) * 2023-11-10 2024-03-07 Xiamen Topstar Lighting Co., Ltd. Filament lam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0811A (en) 2003-07-28 2005-02-24 Osram Sylvania Inc Light emitting diode light source assembly
WO2009108337A1 (en) 2008-02-28 2009-09-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Integrated led driver for led socket
KR100956653B1 (en) 2009-12-22 2010-05-10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Led lamp
KR20100081422A (en) * 2009-01-06 2010-07-15 황일규 A separable led electric bulb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0811A (en) 2003-07-28 2005-02-24 Osram Sylvania Inc Light emitting diode light source assembly
WO2009108337A1 (en) 2008-02-28 2009-09-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Integrated led driver for led socket
KR20100081422A (en) * 2009-01-06 2010-07-15 황일규 A separable led electric bulb
KR100956653B1 (en) 2009-12-22 2010-05-10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Led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013A (en)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114B1 (en) Led lamp substituting for halogen lamp
KR100933990B1 (en) Led lamp for power saving
KR101033990B1 (en) Power led type guard lamp using carbonic aluminum compodsites
CN101970932A (en) Light fixture assembly and led assembly
KR101123132B1 (en) LED type bulb having replaceable power supply
KR100945459B1 (en) A heat dissipating device of led lamp
CN201757293U (en) LED bulb structure
WO2013166920A1 (en) Led light source device
KR101322614B1 (en) Led lighting module for improving heat dissipation and light efficiency
CN202835120U (en) Light emitting diode (LED) bicycle lamp for motorbike
KR101264213B1 (en) An assembling led light bulb
KR20100104004A (en) A separable power supply and led light apparatus having that
KR101039556B1 (en) Socket type LED lighting device having double cooling fin structure
KR100956653B1 (en) Led lamp
KR200455032Y1 (en) Fluorescent lamp type LED lamp
CN201772414U (en) High-power LED independent radiating structure
KR101162238B1 (en) LED type bulb having injection molding type radiant heat hall
KR101362073B1 (en) Fixing structure for led lamp's a pcb module
KR101039553B1 (en) Socket type LED lighting device having double cooling fin structure
KR101482525B1 (en) LED lighting appatatus combined with socket
CN201983119U (en) Light-emitting diode (LED) spot lamp with radiating function
KR200462533Y1 (en) LED lamp
CN203585899U (en) Large-power LED (light emitting diode) piercing lamp
CN208794065U (en) A kind of lens module
CN210050670U (en) Ceiling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