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124B1 - Trenchless reparing apparatus of pipeline - Google Patents

Trenchless reparing apparatus of pipe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124B1
KR101123124B1 KR1020100026890A KR20100026890A KR101123124B1 KR 101123124 B1 KR101123124 B1 KR 101123124B1 KR 1020100026890 A KR1020100026890 A KR 1020100026890A KR 20100026890 A KR20100026890 A KR 20100026890A KR 101123124 B1 KR101123124 B1 KR 101123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inlet
main body
variable diameter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8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07642A (en
Inventor
안효실
Original Assignee
안효실
(주) 경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효실, (주) 경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안효실
Priority to KR1020100026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124B1/en
Publication of KR20110107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6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1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1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eve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4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29C63/3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being turned inside o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을 굴착하지 않고 보강튜브를 반전하여 지하에 매설된 관로의 내면에 부착시키는 관로의 전체보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강 튜브(10)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는 반원형 보강 튜브 투입구(111)를 포함하며, 시공하고자 하는 보강 튜브(10)의 관경에 대응하는 규격을 가지는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에 결합시킨 보강 튜브(10)를 반전시켜 관로의 내면에 삽입한 후, 튜브 폐쇄 수단(160)을 이용하여 보강 튜브(10)를 폐쇄한 후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를 장치 본체(110)에서 분리하고 투입구 덮개(150)를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에 설치하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한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반원형 투입구를 통하여 보강 튜브를 공급하도록 하여,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구동 부하를 감소시켜 비교적 낮은 압력으로도 원활하게 보강 튜브의 팽창/반전 투입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를 사용하여 다양한 관경을 가지는 보강 튜브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입구 덮개를 사용하여, 일단 보강 튜브를 삽입한 후 경화 공정을 위한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충분한 작업공간을 손쉽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하나의 본체만으로도 순차적으로 여러 장소에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overall repair of the pipeline to invert the reinforcing tube without digging the ground to attach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nderground pipe line, more specifically a semi-circular reinforcement tube that can be supplied smoothly reinforcement tube (10) Including the inlet 111, inverting the reinforcement tube 10 coupled to the split typ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having a standard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tube 10 to be installed, and then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line, After closing the reinforcing tube 10 by using the tube closing means 160 to separate the remov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from the apparatus main body 110 and to install the inlet cover 150 in the remov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excavated total repair device for a pipeline that can b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lying the reinforcement tube through the semi-circular inlet, to enable a smooth supply, as well as to reduce the driving load to perform the expansion / inversion of the reinforcement tube smoothly even at a relatively low press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use a reinforcement tube having a variety of diameters by using a separate variable diameter inlet port.
On the other hand, by using the inlet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removable variable diameter inlet, it is possible to easily secure a sufficient working space for connecting the device for the curing process after inserting the reinforcement tube once, as well as a single bod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struction can be made in several places in sequence.

Description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Trenchless reparing apparatus of pipeline}Trenchless reparing apparatus of pipeline

본 발명은 일 측 말단에 튜브 가이드(112)가 내측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보강 튜브(10)를 공급받는 반원형 보강 튜브 투입구(111)가 형성되어 있고, 타 측 말단에 체결공(116)이 3 개 이상 타공되어 있는 투입구 어댑터 장착 플렌지(1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압력 공급구(113)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 상기 튜브 가이드(112)에 연결되어 설치된 누기 방지 수단(120)과, 외측에 형성된 3 개 이상의 어댑터 체결공(132)을 통하여 상기 투입구 어댑터 장착 플렌지(115)에 어댑터 체결 수단(117)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앙에 투입구 삽입공(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 삽입공(134)의 주변 외측으로 투입구 체결공(133)이 3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 어댑터(130)와, 상기 보강 튜브(10)의 관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고 상기 보강 튜브(10)를 뒤집어 결합할 수 있도록 테이퍼(taper) 형상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투입구 삽입공(134)에 삽입될 수 있는 튜브 장착구(1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튜브 장착구(141)의 외측으로 3 개 이상의 체결공(143)이 타공된 투입구 플렌지(14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투입구 어댑터(130)에 투입구 체결 수단(144)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와, 3개 이상 덮개 체결공(152)이 타공된 덮개 플렌지(15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으며, 결합된 경우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를 외부로부터 밀폐할 수 있으며, 중앙에 공급공 마개(154)로 개폐 가능한 스팀 공급공(153)이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 덮개(150)와,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의 외부에서 상기 보강 튜브(10)를 폐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튜브 폐쇄 수단(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e guide 112 is connected to the inner side at one end, the semi-circular reinforcement tube inlet 111 receives the reinforcement tube 10 is formed, the fastening hole 116 at the other end 3 Inlet adapter mounting flange 115 which is perforated more than two is installed, the pressure supply port 113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and the tube guide 112 inside the main body 110 formed on one side. I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inlet adapter mounting flange 115 by the adapter fastening means 117 through the leakage preventing means 120 and the three or more adapter fastening holes 132 formed on the outside, and is inserted in the center Insertion hole 134 is formed, the inlet adapter 130 and three or more inlet fastening hole 133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let insertion hole 134 and the diameter of the reinforcement tube 10 Said beams have a corresponding diameter A tube mounting hole 141 is formed to have a tapered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steel tube 10 can be turned upside down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4, and the tube mounting hole 141 is formed. Inlet flange 142 having three or more fastening holes 143 perforated to the outside thereof is formed so that the detach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let adapter 130 by the inlet fastening means 144. ) And three or more cover fastening holes 152 are formed in the cover flange 151 is formed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mov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when combined with the removable variable diameter inlet ( 140 can be sealed from the outside, the inlet cover 150 is formed with a steam supply hole 153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supply hole stopper 154 in the center, and the outside of the remov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Reinforcement tube (10) Trenchless of the chan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ing means comprises a tube 160 that is installed to close up to about the entire repair device (100).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되어 노후된 상ㆍ하수관 및 산업용 관로(가스,전기,통신 등)를 보수하기 위해선 관로가 매설된 지면을 굴착하여 노후된 관로를 신관으로 교체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보수하는 방식이 적용된다.In general, in order to repair old water and sewage pipes and industrial pipes (gas, electricity, communication, etc.) that are buried underground, the method of replacing old pipes with new pipes or partially repairing them is excavated.

그러나 이러한 지면 굴착방식은 주변 환경의 손상과 더불어 공사가 완료된 후, 토양의 침식으로 인한 지면 침하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혼잡한 도심지역의 경우 교통체증을 유발하고 시민들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관로가 매설된 지면 또는 도로를 굴착하지 않고 관로를 보수할 수 있는 비굴착 보수공법이 국내 현실에 맞도록 개발되어 시행되고 있다.
However, this ground excavation method, along with damage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fter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not only occurs ground subsidence due to soil erosion, but also causes problems such as traffic jams and inconvenience to citizens in crowded urban areas. Therefore, in recent years, a non-excavation repair method that can repair a pipeline without digging the ground or road where the pipeline is buried has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meet the domestic reality.

상기한 비굴착 보수공법은 견인공법과 반전공법으로 양분되고 있으나, 기존의 관로 내부면에 연질의 보강튜브를 도포함에 있어서 보강튜브를 거꾸로 뒤집어서 반전시킬 때 기존관에 부착된 수분 및 이물질을 반전 진행방향 쪽으로 밀어내는 특성을 갖는 반전공법이 견인공법에 비하여 보강튜브의 부착력이 우수함은 물론 기존 관로의 부분적인 파손부위의 보수에 매우 효과적이다.The non-excavation repair method is divided into a traction method and an inversion method. However, when applying a soft reinforcement tube to the inner surface of an existing pipe, the moisture and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existing tube are reversed when the reinforcement tube is reversed and reversed. The reversal method having the characteristic of pushing in the direction is superior to the reinforcement method, and the reinforcement tube has excellent adhesion force and is very effective in repairing the partial breakage portion of the existing pipeline.

또한, 상기한 반전공법은 물의 수두차를 이용하는 수압 반전과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는 공기압 반전으로 양분되는 것으로, 전자의 수압 반전은 기존 관로의 내부에 물을 채우고 연질 보강튜브를 경화시킬 때 물의 온도를 70℃ 이상으로 데우기 위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반전작업 후 하천에 방류하는 물은 생태계의 교란 및 파괴가 우려되고, 특히 도심지에서 기존 관로의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공급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In addition, the reversal method is divided into hydraulic pressure reversal using the water head difference and air pressure reversal using the air pressure, the former hydraulic pressure reversal is to fill the water in the existing pipe and to harden the soft reinforcement tube It takes a lot of time and money to warm up above 70 ℃, and the water discharged to the river after the reversal operation is concerned about the disturbance and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in particular, the supply of water to the interior of the existing pipeline in the downtown is very difficult situation.

한편, 후자의 공기압 반전은 공기압축기를 이용함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전혀 구애받지 않아 매우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역구배 관로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반전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으로 인해 대부분의 공사현장에서 널리 적용된다.On the other hand, the latter reversal of air pressure is very economical as it is not affected at all by time and place by using an air compressor, and can be applied to reverse gradient pipelines, and it is widely used in most construction sites due to the advantage of freely adjusting the reversal speed. Apply.

이와 같은 공기압을 이용한 반전장치의 일례로는 선출원 되어 특허등록 제10-0784782호로 특허등록이 허여된 『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의 비굴착전체보수공법』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선등록 발명은 베이스판의 상부에 직립 설치되고 일측에 반전 지지부가 형성되며 타측의 개방부 선단에 결속홀더가 형성되는 한편, 상하로 이격 설치된 격벽 및 이중격벽을 매개로 구획되어 내부 일측에 에어챔버가 마련된 고정본체와,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된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보강튜브가 공급되는 공급로가 형성되며, 타측 선단이 결속홀더에 끼움, 결속되는 셔틀본체와, 상기 공급로의 후단에 형성된 블럭지지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제1 압지대가 설치된 제1 누기방지챔버와, 상기 블럭지지대(31)의 후단에 형성된 에어백지지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제2압지대가 설치된 제2 누기방지챔버와, 상기 블럭지지대에 안착되고 중앙에 보강튜브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통과시키는 튜브홈이 형성된 탄성블럭과, 상기 에어백지지대 및 제2 압지대에 형성된 삽지부에 각각 안착된 상태로 상호 밀착하는 한 쌍의 에어백(60)과, 상기 이중격벽(16)의 상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경화작업시 이중격벽(16)의 삽입홈에 하단부가 끼워지는 반전막이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As an example of such an inverter using air pressure, a non-excavation total repair device for a pipeline and a non-excavation total repair method for a pipeline using the same are proposed. The pre-registered invention is installed upright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the reverse support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binding holder is formed at the tip of the open portion of the other side, while partitioned through the partitions and double partitions installed up and down spaced on the inside one side A fixed main body provided with an air chamber and a supply path which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a transfer rail installed in the base plate and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tube on one side thereof,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tted into the binding holder and is coupled to the shuttle main body; A first leakage preventing chamber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lock support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upply path and provided with a first blotting member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nd provided at an upper part of the air bag support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lock support 31; A second leakage preventing chamber provided with a second pressure zone to be slidably movable; and a reinforcement tube elastically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block support. An elastic block having a tube groove pressurized by a pressure path, a pair of airbags 60 closely contacting each other in a state of being seated in an inserting portion formed in the airbag support and the second blotting paper, and the double partition 16 It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slidably, and relates to a non-excavation overall repair device of the pipe lin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everse membrane plate fitted to the lower e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double partition 16 during the curing operation.

그러나, 상기한 선등록 발명은, 보강 튜브의 단면이 일직선에 가까운 상태로 공급되므로, 시공시 단면이 원형으로 팽창되는 보강 튜브내부로 아직 팽창되지 않은 보강 튜브가 공급되면서 외부의 팽창된 보강 튜브와 간섭을 일으켜 작동이 원활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조금이나마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튜브를 1회 이상 접은 상태로 공급하여 팽창과정에서 펼쳐지도록 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수지가 침착되어 있는 보강 튜브의 특성으로 인하여 보강 튜브에 침착된 수지의 점착력에 의해 접혀진 보강 튜브가 펴지는 작동이 원활하지 않으며 많은 구동 부하를 가져오게 되어,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더욱 강한 압력을 보강 튜브 내에 공급하여야 하기에 압력 누설의 문제 및 높은 압력에 의한 장치 파열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pre-registered invention, since the cross-section of the reinforcing tube is supplied in a state close to a straight line, the reinforcement tube is not yet expanded into the reinforcement tube that the cross-section is expanded in a circular shape during construction and the external expanded reinforcement tube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is not smooth due to interference. In order to prevent this, a method of supplying the reinforcing tube in a folded state at least once and expanding it is proposed, bu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inforcing tube in which the resin is deposited, Unfolding of the folded reinforcement tube is not smooth and brings a lot of driving loads, so to overcome this, there is a problem of pressure leakage and the risk of device rupture due to high pressure, because a higher pressure must be supplied into the reinforcement tube. There was this.

또한, 보강 튜브의 경화 작업시 고정 본체로부터 셔틀 본체를 분리,개방하여 보강튜브 내부에 균일한 온도를 공급하기 위한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함은 물론 반전막이판이 열전도 방사호스를 빈틈없이 감싼 상태로 에어챔버를 밀폐하여 에어가 외부로 누설됨을 방지하는 효과를 달성하고자 하나, 셔틀 본체의 크기가 비교적 큰 편이어서 경화 작업시 비교적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것은 물론, 단순히 반전 막이판을 사용하여 에어 챔버를 밀폐하는 불완전한 밀폐 구조에 의하여 비교적 긴 시간이 소요되는 경화 과정 중 보강 튜브 내의 공기가 누설되어 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during hardening of the reinforcement tube, the shuttle body is separated and opened from the fixed body to secure a sufficient working space for supplying a uniform temperature to the inside of the reinforcement tube. In order to achieve the effect of preventing air from leaking to the outside by sealing the chamber, the shuttle body is relatively large in size, thus occupy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space during the hardening operation, and simply inverting the air chamber by using an inverted membrane plate. Due to the incomplete sealing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essure in the reinforcing tube may leak due to the leakage of air in the reinforcing tube during the curing process which takes a relatively long time.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반원형 투입구를 통하여 보강 튜브를 공급하도록 하여,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구동 부하를 감소시켜 비교적 낮은 압력으로도 원활하게 보강 튜브의 팽창/반전 투입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invention described above, to supply the reinforcement tube through the semi-circular inlet, to enable a smooth supply, as well as to reduce the driving load smoothly at a relatively low pressure expansion / The task is to make it possible to carry out the reverse charging process.

또한,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를 사용하여 다양한 관경을 가지는 보강 튜브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construction using a reinforcement tube having various diameters using a separate variable diameter diameter inlet.

한편,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입구 덮개를 사용하여, 일단 보강 튜브를 삽입한 후 경화 공정을 위한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충분한 작업공간을 손쉽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하나의 본체만으로도 순차적으로 여러 장소에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On the other hand, by using the inlet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removable variable diameter inlet, it is possible to easily secure a sufficient working space for connecting the device for the curing process after inserting the reinforcement tube once, as well as a single body The task is to allow construction in several places in sequence.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는, 일 측 말단에 튜브 가이드(112)가 내측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보강 튜브(10)를 공급받는 반원형 보강 튜브 투입구(111)가 형성되어 있고, 타 측 말단에 체결공(116)이 3 개 이상 타공되어 있는 투입구 어댑터 장착 플렌지(1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압력 공급구(113)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 상기 튜브 가이드(112)에 연결되어 설치된 누기 방지 수단(120)과, 외측에 형성된 3 개 이상의 어댑터 체결공(132)을 통하여 상기 투입구 어댑터 장착 플렌지(115)에 어댑터 체결 수단(117)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앙에 투입구 삽입공(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 삽입공(134)의 주변 외측으로 투입구 체결공(133)이 3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 어댑터(130)와, 상기 보강 튜브(10)의 관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고 상기 보강 튜브(10)를 뒤집어 결합할 수 있도록 테이퍼(taper) 형상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투입구 삽입공(134)에 삽입될 수 있는 튜브 장착구(1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튜브 장착구(141)의 외측으로 3 개 이상의 체결공(143)이 타공된 투입구 플렌지(14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투입구 어댑터(130)에 투입구 체결 수단(144)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와, 3개 이상 덮개 체결공(152)이 타공된 덮개 플렌지(15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으며, 결합된 경우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를 외부로부터 밀폐할 수 있고, 중앙에 공급공 마개(154)로 개폐 가능한 스팀 공급공(153)이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 덮개(150)와,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의 외부에서 상기 보강 튜브(10)를 폐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튜브 폐쇄 수단(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non-excavation total repair device of the condu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e guide 112 is connected to the inner side at one end, the semi-circular reinforcement tube inlet 111 is supplied with the reinforcement tube 10 And a main body 110 having an inlet adapter mounting flange 115 having three or more fastening holes 116 perforated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having a pressure supply port 113 formed at one side thereof. The adapter to the inlet adapter mounting flange 115 through the leakage preventing means 120 connected to the inner tube guide 112 of the main body 110 and three or more adapter fastening holes 132 formed on the outside. It is detachably connected by the fastening means 117, the insertion hole insertion hole 134 is formed in the center, three or more insertion hole fastening holes 133 are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sertion hole insertion hole 134 Inlet adapter (130) And,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tube 10 has a tapered cylindrical shape to be coupled to the reinforcement tube 10 inverted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4 A tube mounting hole 141 is formed, and an inlet flange 142 formed with three or more fastening holes 143 is formed outside the tube mounting hole 141 to fasten the inlet to the inlet adapter 130. Detach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which is detachably coupled by means 144, and cover flange 151 in which at least three cover fastening holes 152 are perforated are formed, so that the vari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is formed. Can be detachably coupled, when coupled, the remov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can be sealed from the outside, the inlet cover is formed with a steam supply hole 153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a supply hole stopper 154 in the center 150 and up External to the separate variable-diameter input port 14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ing means comprises a tube 160 that is installed to close the reinforcing tube 10.

또한, 상기 튜브 폐쇄 수단(160)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며, 요철형상의 홈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상부 폐쇄판(161)과,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상부 폐쇄판(161)에 형성된 요철 형상의 홈에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는 요철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폐쇄판(162)과, 상기 상부 폐쇄판(161)과 상기 하부 폐쇄판(162)을 탈착 가능하게 밀착시켜 결합시켜서, 상기 상부 폐쇄판(161)과 상기 하부 폐쇄판(162)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보강 튜브(10)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폐쇄판 개폐수단(16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tube closing means 16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 upper closing plate 161 is formed of a plurality of grooves of the concave-convex shape,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 upper closing plate 161 The lower closing plate 162 is formed with a groove having a concave-convex shape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of the concave-convex shape formed in the c), and the upper closing plate 161 and the lower closing plate 162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closing plate opening and closing means 163 for closing the reinforcement tube 10 passing between the upper closing plate 161 and the lower closing plate 162. do.

한편, 상기 본체(110)는 본체 지지대(1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압력 공급구(113)는 상기 본체 지지대(170)의 회전축(171)을 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누기 방지 수단(120)은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 조절레버(125)와 연결된 조절나사(124)에 의해 간격조절이 가능한 제 1 탄성 튜브 지지판(122)와 제 2 탄성 튜브 지지판(123) 사이에 설치된 타이어형 탄성 튜브(12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누기 방지를 위한 격벽(127)이 더 설치되며, 타이어형 탄성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조 누기 방지 수단(126)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11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support 170, the pressure supply port 113 is formed through the rotation shaft 171 of the main body support 170, the leakage preventing means 120 ) Is a tire type elasticity installed between the first elastic tube support plate 122 and the second elastic tube support plate 123 which are adjustable by the adjusting screw 124 connected to the control lever 125 installed on the main body 1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ube 121, the partition wall 127 for preventing leakage is further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the secondary leakage preventing means 126 is configured to include a tire-type elastic tube is further installed.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반원형 투입구를 통하여 보강 튜브를 공급하도록 하여,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구동 부하를 감소시켜 비교적 낮은 압력으로도 원활하게 보강 튜브의 팽창/반전 투입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lying the reinforcement tube through the semi-circular inlet, to enable a smooth supply, as well as to reduce the driving load to perform the expansion / inversion of the reinforcement tube smoothly even at a relatively low press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또한,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를 사용하여 다양한 관경을 가지는 보강 튜브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use a reinforcement tube having a variety of diameters by using a separate variable diameter inlet port.

한편,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입구 덮개를 사용하여, 일단 보강 튜브를 삽입한 후 경화 공정을 위한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충분한 작업공간을 손쉽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하나의 본체만으로도 순차적으로 여러 장소에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by using the inlet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removable variable diameter inlet, it is possible to easily secure a sufficient working space for connecting the device for the curing process after inserting the reinforcement tube once, as well as a single bod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struction can be made in several places in sequence.

도 1: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의 전체 외관 사시도.
도 2: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의 전체 구성 단면도.
도 3: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의 전체 외관 사시도.
도 4: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의 전체 구성 단면도.
도 5: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의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부의 사시도.
도 6: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의 각각의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부의 단면도.
도 7: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의 작동과정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hole appearance of the unexcavation whole repair apparatus of the pipeline by the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2 is an overall configuration cross-sectional view of a non-excavation overall repair apparatus for a pipel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verall appearance of a non-excavation overall repair apparatus for a pipeli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verall configuration cross-sectional view of a non-excavation total repair apparatus for a pipeli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variable diameter feeding part of a non-drilling total repair device for a pipel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each of the separate variable diameter inserts of the non-drilling total repair device for the pipel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peration process diagram of the non-excavation total repair device of the pipel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non-excavation overall repair apparatus for a pipe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크게 본체(110), 누기 방지 수단(120), 투입구 어댑터(130),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 투입구 덮개(150) 및 튜브 폐쇄 수단(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he main body 110, the leakage preventing means 120, the inlet adapter 130, the detach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the inlet cover 150, and the tube closing means 160 are illustrated in FIG. 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먼저, 본체(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 측 말단에 튜브 가이드(112)가 내측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보강 튜브(10)를 공급받는 반원형 보강 튜브 투입구(1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원형 보강 튜브 투입구(111)에 의해 상기 보강 튜브(10)는 기존의 발명들과 달리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상태로 상기 본체(110)내부로 투입되므로, 후술할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의 튜브 장착구(141)로 원활하게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체(110)의 타 측 말단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체결공(116)이 3 개 이상 타공되어 있는 투입구 어댑터 장착 플렌지(11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에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외부의 압력공급수단에서 압력이 인가된 공기를 공급 받을 수 있는 압력 공급구(113)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10)의 형상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본체(110)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면서 그 일측 말단의 중앙 상부로 상기 반원형 보강 튜브 투입구(111)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시공시 상기 본체(110)의 설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체 지지대(1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압력 공급구(113)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본체 지지대(170)의 회전축(171)을 통하여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110)의 각도와 상관없이 원활하게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대(170)는 본 발명의 비굴착 전체 보수장치(10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동용 바퀴나 캐스터를 하면에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대(170)를 차량에 탑재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First, the main body 11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main body 110 has a tube guide 112 connected to an inner side thereof, and a semicircular reinforcement tube inlet 111 for receiving the reinforcement tube 10 is forme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By the semi-circular reinforcement tube inlet 111, the reinforcement tube 10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10 in a state having a semi-circular cross-section unlike the existing invention, the separation of the vari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smoothly pass through the tube mounting holes 141.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S. 1 and 2, an inlet adapter mounting flange 115 having three or more fastening holes 116 is provided therein. 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pressure supply port 113 capable of receiving air to which pressure is applied from an external pressure supply means. The main body 1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 1 or 2, 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main body 110,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shown in FIG. 3 or 4. It is also possible to have the semi-circular reinforcement tube inlet 111 is formed in the central upper portion of the one end of the. Meanwhile, the main body 110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support 170 as shown in FIG. 1 so that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main body 110 can be easily adjusted during construction. In this case, the pressure supply port 113 is formed through the rotation shaft 171 of the main body support 170 as shown in Figure 1, so that the compressed air smoothly regardless of the angle of the main body 110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be supplied.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17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moving wheel or caster on the lower surface as shown in Figure 1 for smooth movement of the non-excavation overall repair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170 ) Is also preferably configured to be mounted on a vehicle.

다음으로, 누기 방지 수단(12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누기 방지 수단(120)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본체(110)의 내부 상기 튜브 가이드(112)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본체(110) 내부에 공급된 압축공기가 상기 반원형 보강 튜브 투입구(111)를 통하여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누기 방지 수단(120)을 구성하는 실시예로는 상기 보강 튜브(110)의 상하로 탄성 블럭을 설치하는 사용하는 구성, 상기 보강 튜브(110)의 상하로 에어백(Air bag)을 설치하는 구성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 튜브(10)가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형태로 공급되는 것을 고려할 때,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누기 방지 수단(120)은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 조절레버(125)와 연결된 조절나사(124)에 의해 간격조절이 가능한 제 1 탄성 튜브 지지판(122)와 제 2 탄성 튜브 지지판(123) 사이에 설치된 타이어형 탄성 튜브(1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용하는 상기 보강 튜브(10)의 두께와 크기에 따라 상기 조절레버(125)를 조절하여 상기 제 1 탄성 튜브 지지판(122)과 제 2 탄성 튜브 지지판(12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타이어형 탄성 튜브(121)의 종 방향 압착에 따른 횡방향 팽창의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보강 튜브(10)에의 압착 정도 및 이에 따른 누기 방지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Next, the leakage preventing means 120 will be described. The leakage preventing means 120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inner tube guide 112 of the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ure 2, the compressed air supplied into the main body 110 is the semi-circular reinforcement tube It has a function of preventing leakage through the inlet 111. An embodiment of configuring the leakage preventing means 120 is configured to install an elastic block up and down the reinforcement tube 110, and to install an air bag up and down the reinforcement tube 110.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However, when considering that the reinforcing tube 10 is supplied in the form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leakage preventing means 120 is provided with an adjustment lev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tire-type elastic tube 121 installed between the first elastic tube support plate 122 and the second elastic tube support plate 123 that can be adjusted by the adjustment screw 124 connected to the 125. . In this case, by adjusting the control lever 125 according to the thickness and size of the reinforcing tube 10 to be use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astic tube support plate 122 and the second elastic tube support plate 123 The degree of lateral expansion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compression of the tire-shaped elastic tube 121 may be adjusted to adjust the degree of compression to the reinforcement tube 10 and the degree of leakage prevention accordingly.

한편,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누기 방지를 위한 격벽(127)이 더 설치되며, 타이어형 탄성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조 누기 방지 수단(126)이 더 설치되도록 하여 더욱 효율적인 누기방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격벽(127)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보조 누기 방지 수단(126)을 구성하는 타이어형 탄성 튜브와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별도로 상기 본체(110)에 직접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2, a partition 127 for preventing leakage is furth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and an auxiliary leakage preventing means 126 configured to include a tire type elastic tube is further installed. It is desirable to enable more efficient leakage prevention.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the partition wall 127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tire type elastic tube constituting the auxiliary leakage preventing means 126, and may be direct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110 separately. It is also possible.

다음으로, 투입구 어댑터(1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투입구 어댑터(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외측에 형성된 3 개 이상의 어댑터 체결공(132)을 통하여 상기 본체(110)의 상기 투입구 어댑터 장착 플렌지(115)에 어댑터 체결 수단(117)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시공하고자 하는 상기 보강 튜브(10)의 관경에 따라 그 규격을 달리하는 후술할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가 장착될 수 있는 투입구 삽입공(134)이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투입구 삽입공(134)의 직경은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시공하고자 하는 상기 보강 튜브(10)의 관경에 따라 각각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시공에 사용하는 상기 보강 튜브(10)의 관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110)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나의 상기 본체(110)을 사용하여서도 다양한 규격의 상기 보강 튜브(10)를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투입구 삽입공(134)의 주변 외측으로는 투입구 체결공(133)이 3 개 이상 형성되어 있어, 후술할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가 체결 수단에 의하여 장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Next, the inlet adapter 130 will be described. 1 and 2, the inlet adapter 130 is an adapter fastening means to the inlet adapter mounting flange 115 of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three or more adapter fastening holes 132 formed on the outside Removably connected by 117, the insertion hole insertion hole 134 that can be equipped with a remov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to be described later to vary the standard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tube 10 to be installed is It is formed in the center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inlet insertion hole 134 is configured to have a different diameter depending on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tube 10 to be constructed as shown in Figure 6, the reinforcement tube used for construction (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10) it is preferable to be selectively mounted to the main body 1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reinforcement tube 10 of various standards even using one main body 110. On the other hand, three or more inlet fastening holes 133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inlet insertion hole 134, so that the vari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mounted by the fastening means.

다음으로,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보강 튜브(10)의 관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고 상기 보강 튜브(10)를 뒤집어 결합할 수 있도록 테이퍼(taper) 형상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투입구 삽입공(134)에 삽입될 수 있는 튜브 장착구(14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튜브 장착구(141)의 외측으로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3 개 이상의 체결공(143)이 타공된 투입구 플렌지(14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투입구 어댑터(130)에 투입구 체결 수단(144)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는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시공하고자 하는 상기 보강 튜브(10)의 관경에 따라 각각 다른 직경의 상기 튜브 장착구(141)를 가지도록 구성하여, 시공에 사용하는 상기 보강 튜브(10)의 관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투입구 어댑터(130)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the remov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will be described. The remov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tube 10, as shown in FIG. 2, and has a tapered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reinforcing tube 10 can be coupled upside down. Has a tube mounting hole 141 is formed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4. Meanwhile, as shown in FIGS. 2 and 5, an inlet flange 142 having three or more fastening holes 143 formed therein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tube mounting hole 141. In the inlet fastening means 144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he split typ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is configured to have the tube mounting holes 141 of different diameters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tube 10 to be constructed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tube 10, it is preferable to be selectively mounted to the inlet adapter 130.

다음으로, 투입구 덮개(15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투입구 덮개(150)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3개 이상 덮개 체결공(152)이 타공된 덮개 플렌지(15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에 덮개 체결수단(150)을 사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에 결합된 경우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를 외부로부터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투입구 덮개(150)의 중앙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공급공 마개(154)로 개폐 가능한 스팀 공급공(153)이 형성되어 있어 도 7의 (d)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스팀 공급 장치(200)로부터 시공된 상기 보강 튜브(10) 내부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Next, the inlet cover 150 will be described. The inlet cover 150 has a cover flange 151 formed with three or more cover fastening holes 152 perforated as shown in FIG. 5, and the cover fastening means 150 in the detach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I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using, when coupled to the remov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is configured to seal the remov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from the outside. Meanwhile, a steam supply hole 153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supply hole stopper 154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let cover 150 as illustrated in FIGS. 5 and 6, and as illustrated in FIG. 7D. As described above, steam may be supplied into the reinforcing tube 10 constructed from the steam supply device 200.

다음으로, 튜브 폐쇄 수단(16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튜브 폐쇄 수단(160)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의 외부에 설치되며, 도 7의 (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보강 튜브(10)를 폐쇄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한 튜브 폐쇄 수단(160)을 구성하는 실시예로는 여러 가지 구성이 가능하며, 그 일 실시예로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튜브 폐쇄 수단(160)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며 요철형상의 홈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상부 폐쇄판(161)과,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상부 폐쇄판(161)에 형성된 요철 형상의 홈에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는 요철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폐쇄판(162)과, 상기 상부 폐쇄판(161)과 상기 하부 폐쇄판(162)을 탈착 가능하게 밀착시켜 결합시켜서 상기 상부 폐쇄판(161)과 상기 하부 폐쇄판(162)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보강 튜브(10)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폐쇄판 개폐수단(163)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the tube closing means 16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 the tube closing means 160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separat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and may close the reinforcing tube 10 as illustrated in FIG. 7C. It has a function. As the embodiment of the tube closing means 160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s shown in Figure 1 the tube closing means 16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and uneven The upper closure plate 161 is formed of a plurality of grooves, and the groove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the grooves of the concave-convex shape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s of the concave-convex shape formed in the upper closure plate 161 is formed The lower closure plate 162 and the upper closure plate 161 and the lower closure plate 162 to be detachably bonded to each other to pass between the upper closure plate 161 and the lower closure plate 162.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losing plate opening and closing means 163 to close the reinforcing tube 10 to be configured.

한편, 상기 어댑터 체결수단(117), 상기 투입구 체결 수단(144), 상기 덮개 체결수단(미도시) 및 폐쇄판 개폐수단(163)을 구성하는 실시예로는 단순한 너트와 볼트 결합, 사용의 편의를 위한 나비 너트와 볼트의 결합 등 대단히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는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 of the adapter fastening means 117, the inlet fastening means 144, the cover fastening means (not shown) and the closing plate opening and closing means 163 as a simple nut and bolt coupling, convenience of use For example, a wide variety of embodiments are possible, such as a combination of a butterfly nut and a bolt, and since the technology is widely known and used in the ar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상기 보강 튜브(10)를 공급하는 튜브 공급 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튜브 공급 수단은 구동 수단에 연결된 하나 이상 다수개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튜브 공급 수단을 구성하는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는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tube supply means (not shown) for supplying the reinforcing tube 10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Such tube feeding means may comprise one or more rollers connected to the drive means. Since the technology for constructing the tube supply means is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non-excavation overall repair apparatus for the pipe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보강 튜브 반전 공정1) reinforcement tube reversal process

먼저, 시공하고자 하는 보강 튜브(10)의 관경에 적합한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와 이에 대응하는 투입구 어댑터(130)를 선택한 후,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체(110)에 투입구 어댑터(130)를 장착한다. 그 후, 보강 튜브(10)의 일 말단을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반원형 보강 튜브 삽입구(111)를 통하여 누기 방지 수단(160)을 통하도록 삽입하여 튜브 장착구(141)에 한 번 뒤집어 장착시킨 후, 튜브 장착구(140)가 투입구 삽입공(134)에 삽입되어 보강 튜브(10)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를 투입구 어댑터(130)에 장착한다. 다음으로, 도 7의 (a)~(b)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체(110)의 압력 공급구(113)를 통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보강 튜브(10)가 반전되며 관로에 밀착되며 삽입되도록 한다.First, the separable variable tube diameter inlet 140 and the inlet adapter 130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tube 10 to be constructed are selected, and then the inlet adapter 13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 2. )). Thereafter, one end of the reinforcing tube 10 is inserted through the semi-circular reinforcing tube insertion hole 111 through the leakage preventing means 160, as shown in FIG. After the installation, the tube mounting hole 140 is inserted into the inlet insertion hole 134 so that the reinforcement tube 10 is firmly fixed and the detach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is mounted in the inlet adapter 130. Next, as shown in (a) to (b) of FIG. 7 to supply compressed air through the pressure supply port 113 of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reinforcement tube 10 is inverted and tightly inserted into the pipeline. do.

2) 보강 튜브 폐쇄 및 본체 분리 공정2) Reinforcement tube closing and body separation process

상기한 보강 튜브(10)의 반전이 완료되면, 도 7의 (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폐쇄 수단(160)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 외측에서 상기 보강 튜브(10)를 폐쇄하여 누기를 방지한 상태에서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를 상기 본체(110)의 상기 투입구 어댑터(130)로부터 분리한다. 이 경우, 상기 폐쇄 수단(160)에 의하여 어떠한 누기도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보강 튜브(10)의 일 말단은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에 고정된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므로, 작업 공간확보가 대단히 용이하여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reversal of the reinforcement tube 10 is completed, as shown in (c) of FIG. 7, the reinforcement tube 10 is removed from the remov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outside by using the closing means 160. The remov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is separated from the inlet adapter 130 of the main body 110 in a closed state to prevent leakage. In this case, one end of the reinforcement tube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fixed to the remov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in a state in which no leakage occurs by the closing means 160, thereby securing a working space. It is very easy to maximize the working efficiency.

또한, 이후의 공정에서는 상기 본체(110)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일단 한 장소에서 시공을 끝낸 상기 본체(110)를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에 장비 회전 효율이 대단히 높아지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main body 110 is not used in a subsequent process, since the main body 110 once completed in one place can be moved to another place and used continuously, the rotation efficiency of the equipment becomes very high. .

3) 투입구 덮개 설치 및 경화 공정3) Inlet cover installation and hardening process

상기 폐쇄 수단(160)을 이용하여 상기 보강 튜브(10)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에 상기 투입구 덮개(150)를 장착한다. 그 후, 스팀 공급 장치(200)에서 스팀 공급관(210)을 상기 스팀 공급공(153)에 연결하고 상기 폐쇄 수단(160)을 탈거한 후, 도 7의 (d)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보강 튜브(10)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여 경화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tube 10 is closed using the closing means 160, the inlet cover 150 is mounted on the split variable diameter inlet 140. Thereafter, after the steam supply pipe 210 is connected to the steam supply hole 153 in the steam supply device 200 and the closing means 160 is removed, the reinforcement as shown in FIG. Steam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tube 10 to proceed with the curing process.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optimal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meaning or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보강 튜브
100: 비굴착 전체보수장치
110: 본체
111: 반원형 보강 튜브 투입구 112: 튜브 가이드
113: 압력 공급구
115: 투입구 어댑터 장착 플렌지 116: 체결공
117: 어댑터 체결 수단
120: 누기 방지 수단
121: 원형 탄성 튜브 122: 제 1 탄성 튜브 지지판
123: 제 2 탄성 튜브 지지판 124: 조절 나사
125: 조절 레버 126: 보조 누기 방지 수단
127: 격벽
130: 투입구 어댑터
131: 플렌지 132: 어댑터 체결공
133: 투입구 체결공 134: 투입구 삽입공
140: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 141: 튜브 장착구
142: 플렌지 143: 체결공
150: 투입구 덮개 151: 덮개 플렌지
152: 덮개 체결공 153: 스팀 공급공
154: 공급공 마개
160: 튜브 폐쇄 수단 161: 상부 폐쇄판
162: 하부 폐쇄판 163: 폐쇄판 개폐수단
170: 지지대 171: 회전축
200: 스팀 공급 장치 210: 스팀 공급관
10: reinforcement tube
100: unexcavated total repair device
110:
111: semi-circular reinforcement tube inlet 112: tube guide
113: pressure supply port
115: Flange with slot adapter 116: Fastening hole
117 adapter fastening means
120: leakage prevention means
121: circular elastic tube 122: first elastic tube support plate
123: second elastic tube support plate 124: adjustment screw
125: adjustment lever 126: auxiliary leakage preventing means
127: bulkhead
130: inlet adapter
131: flange 132: adapter fastening hole
133: insertion hole fastening hole 134: insertion hole insertion hole
140: detach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1: tube mounting hole
142: flange 143: fastening hole
150: inlet cover 151: cover flange
152: cover fastening hole 153: steam supply hole
154: supply hole plug
160: tube closing means 161: upper closure plate
162: lower closing plate 163: closing plate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support 171: rotation axis
200: steam supply device 210: steam supply pipe

Claims (3)

일 측 말단에 튜브 가이드(112)가 내측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보강 튜브(10)를 공급받는 반원형 보강 튜브 투입구(111)가 형성되어 있고, 타 측 말단에 체결공(116)이 3 개 이상 타공되어 있는 투입구 어댑터 장착 플렌지(1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압력 공급구(113)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부 상기 튜브 가이드(112)에 연결되어 설치된 누기 방지 수단(120);
외측에 형성된 3 개 이상의 어댑터 체결공(132)을 통하여 상기 투입구 어댑터 장착 플렌지(115)에 어댑터 체결 수단(117)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앙에 투입구 삽입공(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 삽입공(134)의 주변 외측으로 투입구 체결공(133)이 3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 어댑터(130);
상기 보강 튜브(10)의 관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고 상기 보강 튜브(10)를 뒤집어 결합할 수 있도록 테이퍼(taper) 형상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투입구 삽입공(134)에 삽입될 수 있는 튜브 장착구(1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튜브 장착구(141)의 외측으로 3 개 이상의 체결공(143)이 타공된 투입구 플렌지(14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투입구 어댑터(130)에 투입구 체결 수단(144)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
3개 이상 덮개 체결공(152)이 타공된 덮개 플렌지(15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에 덮개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으며, 결합된 경우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를 외부로부터 밀폐할 수 있고, 중앙에 공급공 마개(154)로 개폐 가능한 스팀 공급공(153)이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 덮개(150);
상기 분리형 가변 관경 투입구(140)의 외부에서 상기 보강 튜브(10)를 폐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튜브 폐쇄 수단(16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100).
One end of the tube guide 112 is connected to the inside, a semi-circular reinforcing tube inlet 111 for receiving the reinforcing tube 10 is formed, the other end of the three or more fastening holes 116 perforations A main body 110 having an inlet adapter mounting flange 115, the pressure supply port 113 being formed on one side thereof;
Leak prevention means 120 connected to the inner tube guide 112 of the main body 110;
I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inlet adapter mounting flange 115 by the adapter fastening means 117 through three or more adapter fastening holes 132 formed on the outside, the insertion hole insertion hole 134 is formed in the center, An inlet adapter 130 having three or more inlet fastening holes 133 formed around the inlet insertion hole 134;
Tube mounting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reinforcement tube 10 and having a tapered cylindrical shape to be coupled to the reinforcement tube 10 upside down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4 A sphere 141 is formed, and an inlet flange 142 having three or more fastening holes 143 perforated outside the tube mounting hole 141 is formed, and an inlet fastening means for the inlet adapter 130 ( Detach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is detachably coupled by 144;
The cover flange 151 formed with three or more cover fastening holes 152 is formed so that the remov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may be detachably coupled using a cover fastening means. An inlet cover 150 capable of sealing the diameter inlet 140 from the outside and having a steam supply hole 153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a supply hole stopper 154 in the center thereof;
A tube closing means (160) installed to close the reinforcing tube (10) from the outside of the removable variable diameter inlet (140);
Non-excavation total repair device 100,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튜브 폐쇄 수단(160)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며, 요철형상의 홈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상부 폐쇄판(161)과,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상부 폐쇄판(161)에 형성된 요철 형상의 홈에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는 요철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폐쇄판(162)과,
상기 상부 폐쇄판(161)과 상기 하부 폐쇄판(162)을 탈착 가능하게 밀착시켜 결합시켜서, 상기 상부 폐쇄판(161)과 상기 하부 폐쇄판(162)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보강 튜브(10)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폐쇄판 개폐수단(16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ube closing means 160,
I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 upper closing plate 16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uneven grooves,
A lower closure plate 162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having grooves having an uneven shape formed in the upper closure plate 161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n uneven shape groove formed in the upper closing plate 161;
The upper closure plate 161 and the lower closure plate 162 ar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so that the reinforcing tube 10 passing between the upper closure plate 161 and the lower closure plate 162 is coupled. Non-excavation total repair device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osing plate opening and closing means (163) to be closed.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본체 지지대(1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압력 공급구(113)는 상기 본체 지지대(170)의 회전축(171)을 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누기 방지 수단(120)은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 조절레버(125)와 연결된 조절나사(124)에 의해 간격조절이 가능한 제 1 탄성 튜브 지지판(122)와 제 2 탄성 튜브 지지판(123) 사이에 설치된 타이어형 탄성 튜브(121)를 포함하여 구성며,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누기 방지를 위한 격벽(127)이 더 설치되며, 타이어형 탄성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조 누기 방지 수단(126)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비굴착 전체보수장치(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ain body 11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support 170,
The pressure supply port 113 is formed through the rotation shaft 171 of the main body support 170,
The leakage preventing means 120 is the first elastic tube support plate 122 and the second elastic tube support plate 123 that can be adjusted by the adjustment screw 124 connected to the control lever 125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It comprises a tire-type elastic tube 121 install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1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artition 127 for preventing leakage, and the auxiliary leakage preventing means 126 configured to include a tire-type elastic tube is further installed, the entire unexcavation of the pipeline Repair device 100.
KR1020100026890A 2010-03-25 2010-03-25 Trenchless reparing apparatus of pipeline KR1011231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890A KR101123124B1 (en) 2010-03-25 2010-03-25 Trenchless reparing apparatus of pipe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890A KR101123124B1 (en) 2010-03-25 2010-03-25 Trenchless reparing apparatus of pipel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642A KR20110107642A (en) 2011-10-04
KR101123124B1 true KR101123124B1 (en) 2012-03-20

Family

ID=45025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890A KR101123124B1 (en) 2010-03-25 2010-03-25 Trenchless reparing apparatus of pipe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12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61441B (en) * 2012-04-23 2016-02-24 于占国 A kind of no-dig technique pipeline construction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901A (en) * 2003-04-29 2003-08-27 (주)크린텍 Mending Apparatus and Mending Method for Non-digging Sewerage
KR20040100004A (en) * 2003-05-21 2004-12-02 주식회사 동국하이텍 Reversing apparatus of tube used in repairing water supply pipe, drainpipe and industrial pipe
KR100551199B1 (en) * 2005-08-05 2006-02-14 (주)이젠리버시스템 Reversing apparatus a pipe line repair
KR100784782B1 (en) * 2007-09-18 2007-12-14 (주)이젠리버텍 Trenchless repairing apparatus of pipeline and trenchless repairing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901A (en) * 2003-04-29 2003-08-27 (주)크린텍 Mending Apparatus and Mending Method for Non-digging Sewerage
KR20040100004A (en) * 2003-05-21 2004-12-02 주식회사 동국하이텍 Reversing apparatus of tube used in repairing water supply pipe, drainpipe and industrial pipe
KR100551199B1 (en) * 2005-08-05 2006-02-14 (주)이젠리버시스템 Reversing apparatus a pipe line repair
KR100784782B1 (en) * 2007-09-18 2007-12-14 (주)이젠리버텍 Trenchless repairing apparatus of pipeline and trenchless repairing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642A (en) 2011-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00401A1 (en) Trenchless rehabilitation device for disconnects on large-diameter concrete drainage pipe and method thereof
KR100551199B1 (en) Reversing apparatus a pipe line repair
CN109595392B (en) F-shaped reinforced concrete relay room jacking pipe
KR100925041B1 (en) Non-digging Sewerage Mending Apparatus
KR101935401B1 (en) Pipeline repairing device
KR101123109B1 (en) Trenchless reparing apparatus of pipeline with Steam supply Tube
KR101123124B1 (en) Trenchless reparing apparatus of pipeline
KR101842859B1 (en) intercepting sewer clapboard with openings for bypass and waterproof method using same
KR101196956B1 (en) Reversing apparatus for pipe line repair
KR101794254B1 (en) Continuous Air-Inversion machine for CIPP and A trenchless PIPE Rehabilitation Method using this same
KR101360172B1 (en) Manhole fill-up type water diverting method and water diverting apparatus
KR100730516B1 (en) Non-excavating lining method and non-excavating liner applied to the same
KR101123122B1 (en) Trenchless reparing apparatus of pipeline with Surface-heating Tube
KR20130063067A (en) Repairing apparatus being adaptable to sewer pipes of various inner diameter
KR100922845B1 (en) Trenchless technology with selective flange use lay underground water pipe supply and drainage
KR200369219Y1 (en) A part repair device nonexcavation type for pipe
GB2091373A (en) Method for lining pipe mains having branching domestic connection pipes
KR101254464B1 (en) Non-digging sewerage mending apparatu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209636932U (en) Reinforce the prefabricated pipe section structure of subdrainage box drain
KR20100027769A (en) Packer for sewer repairing
KR100488218B1 (en) a flange coupling tube
KR101824645B1 (en) Underground pipe repair apparatus and underground pipe repair method
CN112260183A (en) Inflatable wall bush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797599B1 (en) Fluid isolation device and temporary fluid isolation method utilizing thereof
JP2002180780A (en) Sealing method for shaft arrival of shield machine and it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