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088B1 - 라이센스 정보 확인장치, 라이센스 정보 확인방법 및라이센스 정보 확인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라이센스 정보 확인장치, 라이센스 정보 확인방법 및라이센스 정보 확인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088B1
KR101123088B1 KR1020050006554A KR20050006554A KR101123088B1 KR 101123088 B1 KR101123088 B1 KR 101123088B1 KR 1020050006554 A KR1020050006554 A KR 1020050006554A KR 20050006554 A KR20050006554 A KR 20050006554A KR 101123088 B1 KR101123088 B1 KR 101123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icense information
license
software
ve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5977A (ko
Inventor
히로시 쿠메
히데유키 우리타
하루키 얀베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5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3Hand-held or hand-drive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4Layer between the skin and massage elements, e.g. fluid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chnology Law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소프트웨어의 배타권 침해자 또는 라이센스 계약 위반자에게, 배타권 침해 또는 라이센스 계약 위반의 사실을 명시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라이센스 정보 확인장치는, 실행되는 소프트웨어가 정식 라이센스 계약에 근거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라이센스 정보 확인장치에 있어서, 소프트웨어에 포함되어 있는 검증 정보와의 일치성을 판단하여, 소프트웨어의 실행의 정당성을 검증하는 검증수단과, 검증수단에 의한 검증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판독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기억수단으로부터 검증 결과를 판독하여, 그 판독한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의 권리 귀속정보 및 또는 라이센스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이센스 정보, 시스템 LSI, 계약 위반, 검증 정보, 권리 귀속정보

Description

라이센스 정보 확인장치, 라이센스 정보 확인방법 및 라이센스 정보 확인 프로그램{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CONFIRMING LICENSE INFORMATION}
도 1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라이센스 정보 확인방법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내장 소프트웨어의 라이센스 판매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 LSI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라이센스 정보 및 검증 정보의 정보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라이센스?레지스터(14)의 구성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라이센스 정보의 출력 동작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시스템 LSI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내부 구성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파형 출력회로가 출력하는 출력 파형의 예를 나타낸 출력 파형도이다.
도 9는 제 3 실시예에 관한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제 3 실시예에 관한 이동통신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제 3 실시예에 관한 통신 포맷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시스템 LSI 1a: 출력 프로그램 기동 입력단자
1b: 라이센스 정보 출력단자
11: CPU 12: RAM
13: 플래시 메모리 14: 라이센스?레지스터
15: 입출력 회로(I/0) 16: 데이터 출력회로
17: 내부 버스 18: 파형 출력회로
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2a: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
2b: 라이센스 정보 2c: 검증 정보
본 발명은, 라이센스 정보 확인장치, 라이센스 정보 확인방법 및 라이센스 정보 확인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프린트 기판 등에 내장된 시스템 LSI의 소프트웨어에 관한 라이센스 정보를 판독하여, 해당 소프트웨어가 부정하게 복사된 것이 아닌지, 또는 해당 소프트웨어가 라이센스 계약에 위반하고 있지 않는 지를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시스템 LSI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저렴한 것을 조달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시스템 LSI를 내장한 기기가 보급되게 되었다. 특히, 예를 들면, 휴대전화 등의 휴대기기의 보급은 현저하여, 더욱 더 많은 확대를 위해, 휴대전화의 디자인이나 외관이 중시되는 동시에, 다종다양한 기능한 기능의 충실함이 요구되고 있다. 그 때문에, 소프트웨어 개발기업은, 다양한 기능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또한, 현재에는 하드웨어의 큰 변경을 하지 않아도, 내부에 내장된 시스템 LSI를 구동하는 내장 소프트웨어의 버전업(version-up)은 빈번하게 행해지는 상황에 있다. 그 결과, 소프트웨어 개발기업은, 하드웨어보다도 소프트웨어의 가치를 중시하여, 상세한 라이센스 계약을 휴대전화 등의 제조자 등과 체결하여 수익을 계산하려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내장 소프트웨어의 판매는, 보통 소스 코드(source code)의 제공의 형태로 행해진다. 소스 코드는, 소프트웨어 개발기업 내에서 엄중하게 비밀관리되고는 있지만, 일단 외부에 출시되어 버리면 용이하게 복제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저작권 침해행위나 라이센스 계약에 위반한 행위가 행해지는 일이 적지 않다. 특히, 해당 소스 코드가 컴파일 되어, 오브젝트 코드(object code)의 형태가 되어버리면, 소프트웨어의 저작권자 등을 직접 확인하는 것은 어렵다.
도 2는, 그와 같은 내장 소프트웨어의 라이센스 판매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O사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저작권자이고, A사는 O사와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한 유저이다. 따라서, O사와 A사는, 소프트웨어의 이용에 관 한 라이센서(licenser)와 라이센시(licensee)의 관계에 있다.
제 1의 문제점은, O사와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하지 않는 유저(unlicesed user) B사가, 적법하게 구입한 시스템 LSI에, 어떠한 수단으로 소프트웨어를 입수하여, 그 소프트웨어를 시스템 LSI에 내장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유저 B사는 휴대 기기를 구성하는 프린트 기판 상에 시스템 LSI와 펌웨어(firmware)로서의 불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배치하고, 플래시 메모리에 소프트웨어의 오브젝트 코드를 기록하면, 소프트웨어밖에 아무런 라이센스 계약을 행하지 않고 있는 것에 관계없이, 휴대 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 2의 문제점은, O사와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한 A사가, 라이센스 계약에 위반해서 소프트웨어의 버전업을 하고, 그 버전업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라이센스 계약에서는, 동작 보증을 제공하지 않은 형태로, 어느 정도의 오브젝트 코드의 버전업을 인정하는 내용을 체결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컴파일시의 옵션으로도 오브젝트 코드는 바뀐다. 그러나, 계약 내용에 따라서는, 제공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업을 금지하는 조항이 설정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특히, 라이센서 O사가 직접 제공하여 해당 시스템의 주요 부분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에 대해서, 그것의 버전업을 계약상 일체 금하는 일이 있다. 그 경우, 시장에서의 사양변경의 요구는 빈번하게 있기 때문에, 정규의 유저이면서, 그 개발 부담을 경감하는 것 등의 이유로, 라이센스 계약에 위반해서 소프트웨어의 버전업을 행할 가능성은 부정할 수 없다. 소스 코드를 수중에 가지고 있는 정규의 유저 A사가 그것의 버전업을 행하는 것은 용이하다. 따라서, 라이센서 O사로서, 그와 같은 행위를 검지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 9-69044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저작권 침해행위 또는 라이센스 계약 위반에 의해, 라이센서 O사의 소프트웨어 또는 버전업된 소프트웨어 내장, 실행 등의 이용이 행해진 경우, O사는, 스스로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해당 침해자 또는 위반자에 대하여도 그 사실을 명시하고 싶다고 생각한다. 그 경우, 적어도 해당 소프트웨어의 특정 및 해당 라이센스 계약의 특정을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해당 소프트웨어의 특정에는, 해당 라이센스 계약에서 제공한 오브젝트 코드의 특정 부분의 일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소프트웨어가 일단 휴대 기기 등에 내장되어 버린 후에, 휴대 기기 등을 파괴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의 특정 등을 행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완성된 휴대 기기의 기능 등으로부터 라이센스 계약에 위반한 소프트웨어가 휴대 기기 등에 내장되어 있다고 추측은 할 수 있다. 그러나, 라이센서 O사는, 역시 그것의 확증을 가질 수 없다.
휴대 기기에 따라서는, 펌웨어로서의 EPROM을 소켓에 꽂아, 교환 가능하게 하고 있는 타입의 것도 있다. 그러나, 공간적인 제약에서 현재의 휴대 기기는 플래 시 메모리를 채용하고, 후일 전기적으로 고쳐쓰기 가능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간단하게 오브젝트 코드를 꺼낼 수 있는 것은 적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 중에는, 특정한 단자(pin)의 조작에 의해, 그것의 내용을 판독하는 모드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간단히 오브젝트 코드를 추출하는 것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오브젝트 코드가 라이센스 계약 등에 따르는 것인지 아닌지를 간단하게 판별하는 것을 목적이라고 한다. 바꿔 말하면, 오브젝트 코드가 라이센스 계약 등에 따른 것인지 아닌지를 판별함으로써, 행위자가 한 행위가 저작권 침해행위 또는 라이센스 계약 위반 행위라고 하는 사실을, 행위자에게 명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령 라이센스 계약에 관한 오브젝트 코드가 라이센스 계약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그 라이센스 정보를 간단하게 판독할 수 있으면, 그 휴대 기기를 제공하는 비정규 유저 B에 대하여, 적어도 저작권의 침해를 주장할 수 있다. 즉, 비정규 유저 B는 저작권자인 O사의 허락을 받지 않고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것이 된다.
또한, 그 라이센스 정보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의 관리 번호 등에 의해 오브젝트 코드를 특정할 수 있으면, 그리고 상기 라이센스 계약에 위반해서 오브젝트 코드의 특정 부분의 개정이 행해지고 있었던 것을 검지할 수 있으면, O사는 정규 유저 A에 대하여 라이센스 계약에 위반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어떤 경우에도 유저가 상당한 기술력을 갖고, 그 결과 라이센스 정보 등을 판독할 수 있으면, 그것의 버전업을 행하고, 그 검증을 빠져나가는 행위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완전한 은닉을 목표로 해서 암호 등을 이용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라이센스 계약 등의 위반의 사실을 간단하게 명시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암호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것은 도리어 본 발명의 목적에서 벗어날 우려가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 1의 본 발명의 라이센스 정보 확인장치는, 실행되는 소프트웨어가 정식 라이센스 계약에 근거한 것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라이센스 정보 확인장치에 있어서, 소프트웨어에 포함되어 있는 검증 정보와의 일치성을 판단하여, 소프트웨어의 실행의 정당성을 검증하는 검증수단과, 검증수단에 의한 검증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판독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검증 결과를 판독하고, 그 판독된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의 권리 귀속정보 및 또는 라이센스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의 본 발명의 라이센스 정보 확인방법은, 실행되는 소프트웨어가 정식 라이센스 계약에 근거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라이센스 정보 확인방법에 있어서, 검증수단이, 소프트웨어에 포함되어 있는 검증 정보와의 일치성을 판단하여, 소프트웨어의 실행의 정당성을 검증하고, 기억수단이, 검증수단에 의한 검증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출력수단이, 판독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기억수단으로부터 검증 결과를 판독하고, 그 판독한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의 권리 귀속정보 및 또는 라이센스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의 본 발명의 라이센스 정보 확인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포함되어 있는 검증 정보와의 일치성을 판단시켜, 소프트웨어의 실행의 정당성을 검증시키는 검증수단, 검증수단에 의한 검증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시키는 기억수단과, 판독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기억수단으로부터 검증 결과를 판독하고, 그 판독된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의 권리 귀속정보 및 또는 라이센스 정보를 출력시키는 출력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소프트웨어가 정식 라이센스 계약에 근거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확인시키는 프로그램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라이센스 정보 확인장치, 라이센스 정보 확인방법 및 라이센스 정보 확인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A) 제 1 실시예
우선, 본 발명의 라이센스 정보 확인장치, 라이센스 정보 확인방법 및 라이센스 정보 확인 프로그램의 제 1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저작권자를 O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나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저작권의 권리 귀속관계의 정보 및 라이센스 관계를 출력시켜, 확인하는 경우의 적용에 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의 라이센스 정보 확인방법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일부에 라이센스 정보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갖고, 특정한 레지스터(이하, 라이센스?레 지스터라고 한다)의 특정의 입력단자(이하, 출력 프로그램 기동 입력단자라고 한다)가 유효한 경우에,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시스템 LSI의 특정한 단자(이하, 라이센스 정보 출력단자라고 한다)에 라이센스 정보 등을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이, 라이센스 정보 등에 근거하여 적어도 라이센스 정보의 동일성을 확인하고, 또한, 라이센스 계약에서 버전업을 금지한 부분에 대해서 오브젝트 코드의 동일성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이, 첫째, 라이센스 정보를 해시(hash)한 값의 테이블(이하, 해시?테이블이라고 한다)과의 비교에 의해 라이센스 정보의 동일성을 확인하고, 두 번째로, 복수의 오브젝트 코드에 대하여 할당된 패리티(parity)의 테이블(이하, 패리티?테이블이라고 한다)과의 비교에 의해, 해당 라이센스 계약에서 버전업을 금지한 부분에 대해서 오브젝트 코드의 동일성을 확인함으로써, 그 확인 결과를 라이센스 정보 등에 포함시키는 방법이다. 이때, 출력 프로그램 기동 입력단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수시 입력할 수 있으며,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이 그 값을 검사한다.
이하, 제 1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라이센스 정보 확인방법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에서는, 복수의 입력단자 또는 출력 단자를 갖는 시스템 LSI(1)의 외관을 나타내는 동시에, 시스템 LSI(1)가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구성 이미지 및 시스템 LSI(1)가 출력하는 출력 파형을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시스템 LSI(1)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장치 에 내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을 실행하는 집적회로이다. 또한, 시스템 LSI(1)는, 출력 프로그램을 기동하기 위한 기동 비트를 입력하기 위한 출력 프로그램 기동 입력단자(1a)와, 라이센스 정보를 출력하는 라이센스 정보 출력단자(1b)를 갖는다.
시스템 LSI(1)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의 실행중에, 출력 프로그램 기동 입력단자(1a)에 유효한 입력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아닌지가 감시되어, 유효한 입력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에 포함되는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2a)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의 오브젝트 코드의 동일성, 및, 저작권 정보 및 라이센스 정보(이하, 라이센스 정보라고 한다)의 동일성을 확인하고, 그 검증 결과를 포함하는 라이센스 정보를 라이센스 정보 출력단자(1b)에서 출력하는 것이다. 이때, 시스템 LSI(1)의 상세한 내부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은, 시스템 LSI(1)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는 기능 프로그램으로, 시스템 LSI(1)에서 실행됨으로써, 그 기능이 실현되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의 구성은, 그것의 일부에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2a)을 갖는다.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2a)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의 실행중에, 출력 프로그램 기동 입력단자(1a)를 감시하도록 하여, 출력 프로그램 기동 입력단자(1a)에 유효한 입력이 있었던 경우에 기동하는 것이다. 또한,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2a)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의 오브젝트 코드 및 라이센스 정보 를, 검증 정보를 이용하여 정당성이 있는 것인지 아닌지를 검증하여, 그 라이센스 정보를 출력시키는 것이다.
또한,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2a)은, 바람직하게는, 라이센서 O사가 직접 제공하여 시스템의 주요 부분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의 주요 부분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에 실행되는 것으로, 그것의 버전업을 계약상 일절 금지한 것의 일부에 배치해야 하는 것이다. 그것의 한가지 이유는, 유저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의 개발의 지장이 되어서는 안된다고 하는 점에 있다. 또한, 그 이외의 이유로서는, 유저에 의한 버전업을 금하고 있으므로, 오브젝트 코드의 동일성 확인에 포함시킬 수 있다고 하는 점에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채용하지 않지만, 시스템 LSI(1)가 타이머 인터럽트 등으로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2a)을 정기적으로 실행하는 방식을 채용해도 된다. 본 실시예가 이러한 방식을 채용하지 않은 것은, 타이머 인터럽트 등의 자원을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의 개발의 지장이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은, 그것의 일부에 라이센스 정보(2b)와 검증 정보(2c)를 포함한다. 도 4는, 라이센스 정보(2b) 및 검증 정보(2c)의 정보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라이센스 정보(2b)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의 저작 표시 및 라이센스 관계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라이센서(licenser)이나 저작권자(the copyright-holder)의 특정 정보, 라이센스 대상이 되는 소프트웨어의 특정 정보, 라이센스 계약 자체의 특정 정보, 라이센시(licensee)의 특정 정보, 기타 라이센스 기간 정보, 라이센스의 조건 정보 등이 있다. 도 4a에 나타낸 예에서는, 라이센스 정보는, 「이 소프트웨어의 저작권은 O 주식회사가 소유하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관리 번호 XXXX-XXXX-XXXX 라이센스 번호 YYYY-YYYY-YYYY 라이센시 A 주식회사 라이센스 기관 2004년 1월 1일부터 5년간 라이센스 조건 타사 대여 등의 금지; 버전업의 금지」로 한다.
검증 정보(2c)는,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2a)의 실행에 의해 오브젝트 코드 및 라이센스 정보의 검증시에 사용되는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검증 정보(2c)는, 크게 2개를 갖고, 1개는 라이센스 대상이 된 소프트웨어의 오브젝트 코드의 일치 확인에 사용되고, 또 1개는 라이센스 정보의 일치 확인에 사용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검증 정보(2c)는, 이 이외에 검증 정보 자체를 검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데, 이하에서는 오브젝트 코드 검증용의 검증 정보 및 라이센스 정보 검증용의 검증 정보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같이, 검증 대상마다 별개의 검증 정보를 준비한 것은, 오브젝트 코드와 라이센스 정보가 서로 상당히 다른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검증 정보의 내용은, 검증 대상으로 하는 정보(오브젝트 코드 및 라이센스 정보)에 따라 다른 것으로 한다.
오브젝트 코드는, 본 실시예에서는 라이센스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기본적으로 명령 코드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오브젝트 코드는, 라이센시에 제공하는 소스 코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가령, 검증 정보를 이용하여 오브젝트 코드의 완전 동일성의 검증을 꾀하려고 하면, 그 검증 정보도 상당한 정보량을 요구할 것이다.
그러나, 그러면 소스 코드 전체의 크기를 쓸데없이 늘려버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의 개발에 제한을 가해 버리는 것이나, 또한 플래시 메모리 등에 존재하는 기억영역의 제한을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도 된다.
따라서, 어느 정도 오브젝트 코드의 동일성 확인의 정밀도를 희생으로 해서 검증을 행하는 것이 적절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B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여, 오브젝트 코드의 검증을 꾀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오브젝트 코드의 일치 확인방법은, 명령 32바이트마다 1비트의 패리티를 할당하는 것으로 하였다. 따라서, 예를 들면, 2M 바이트의 오브젝트 코드에 대하여, 8K 바이트의 검증 정보가 필요하다. 이 정도의 검증으로도, 큰 오브젝트 코드의 버전업을 판단할 수 있다. 패리티에 관한 검증 정보의 전체는 패리티?테이블을 구성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의 일부에 부가된다.
한편, 라이센스 정보는 그것의 1단어 1단어가 정확한 것이 아니면 안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라이센서가 특별히 지정할 수 없으면, 상대방에 대하여 자기가 채권자인 것을 명시하여, 주장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라이센스 정보의 검증 정보는 비트 연산을 이용한 해시를 사용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라이센스 정보의 정보량은 많지 않다고 생각되므로, 라이센스 정보의 전체를 암호화해 두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실제로 채용불가능한 것도 없지만, 그것의 암호화 및 해독이 용이하지 않은 점, 은닉 자체를 직접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지 않은 점 등의 이유에서 채용하지 않았다. 해시를 만드는 비트 연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코드의 특수성을 이용한 PJW 해시(Aho, Sethi, and Ullman pp. 434-438)가 있다. 라이센스 정보의 정보량은 많지 않다고 생각되므로, 해시에 관련되는 계산의 부담은 작다. 해시에 관한 검증 정보의 전체는 해시?테이블을 구성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의 일부에 부가된다. 그리고, 해시함수에 의해 얻어진 해시값이, 해시?테이블에 있는 값인 경우에, 라이센스 정보는 동일하다고 판단하고, 해시?테이블에 없는 경우, 라이센스 정보는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또한, 도 1은, 시스템 LSI(1)로부터 출력될 수 있는 라이센스 정보의 출력 파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의 출력 파형예는, 시스템 LSI(1)가 갖는 데이터 출력회로(후술한다)가 출력한 파형예로서, 라이센스 정보의 출력에 있어서, 동기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도 1의 출력 파형은 반복하여 출력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것은, 후단에 접속 가능한 로직 아날라이저 등으로 출력 파형을 관측하는 경우, 관측되는 출력 파형의 판독을 편의적으로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라이센스 정보의 출력은, 시스템 LSI(1)가 갖는 라이센스?레지스터가 일시적으로 기억한 내용이다. 이와 같이, 라이센스?레지스터의 내용을 출력 오프로 하도록 한 것은, 라이센스의 정도가 다른 형식의 라이센스 정보가 출력되는 방식은 라이센스 정보의 관리의 복잡함을 초래하여, 타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시스템 LSI(1)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내부 구성도 이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시스템 LSI(1)는, 내부 버스(17)를 거쳐, CPU(11), RAM(12), 플래시 메모리(13), 라이센스?레지스터(14), 입출력(I/0)회로(15), 데이터 출력회로(16)를 갖고, 또한 출력 프로그램 기동 입력단자(1a), 라이센스 정보 출력단자(1b)를 갖는다.
CPU(11)는, 시스템 LSI(1)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이다. CPU(11)는, RAM(12)이나 플래시 메모리(13)에 기억되어 있는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처리 프로그램의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RAM(12)은, CPU(11)가 실행하는 처리 프로그램 또는 처리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다. 플래시 메모리(13)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 등을 기억하는 것이다.
라이센스?레지스터(14)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의 실행중에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2a)이 기동하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의 라이센스 번호 및 소프트웨어 관리 번호가 입력되고, 또한,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2a)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의 오브젝트 코드 및 라이센스 정보의 검증 결과가 입력되어, 이들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것이다. 또한, 라이센스?레지스터(14)는, 내부에 구비하는 I/0 제어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비공개의 I/0 어드레스가 지정되어, 라이센스 정보 출력단자(1b)가 선택되었을 때로서, 동시에 출력 프로그램 기동 입력단자(1a)의 입력이 유효할 때,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있었던 정보를, 라이센스 정보 출력단자(1b)로부터 데이터 출력회로(16)를 거쳐 라이센스 정보로서 출력하는 것이다.
이때, 라이센스?레지스터(14)는, 예를 들면, 유저 매뉴얼 등의 간행물에서 개시되어 있지 않은 비공개의 것이다.
출력 프로그램 기동 입력단자(1a)의 입력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의 실행중에 수시 입력할 수 있고,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2a)이 그 값을 검사한다. 출력 프로그램 기동 입력단자(1a)의 논리값이 'L'로 되고 있을 때에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 본체(2a)의 기동이 행해진다. 무엇보다도, 파워 온시에 출력 프로그램 기동 입력단자(1a)를 소정의 값으로 해 놓으면, 내부 레지스터가 셋트되어, 내부 레지스터를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2a)이 검사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시스템 LSI(1)가 CMOS로 구성될 때에는, 출력 프로그램 기동 입력단자(1a)를 고저항으로 풀업(pull-up)해 두는 방법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출력 프로그램 기동 입력단자(1a)는 NC(no connection)으로 있어야 하지만, 시스템 LSI(1)의 단자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다른 기능을 갖는 입력단자로 겸용할 수 있다. 또한, 라이센스 정보 출력단자(1b)도, 바람직하게는 NC로 있어야 하지만, 시스템 LSI(1)의 단자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다른 기능을 갖는 출력 단자로 겸용할 수 있다. 유저 매뉴얼에 있어서는, 출력 프로그램 기동 입력단자나 라이센스 정보 출력단자를 「예약」 단자로 해 두고, 유저에 대하여 그 사용을 금지해 두는 것이 좋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라이센스?레지스터(14)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라이센스?레지스터(14)의 구성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라이센스?레지스터(14)는, 16비트 구성의 레지스터를 적용하여, 각 비트에 다음과 같은 의미를 부가하고 있다. 이때, 라이센스?레지스터(14)의 비트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2비트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도 5에 있어서, 비트 B15는, 라이센스 정보의 불일치/일치를 나타내는 비트이다. 비트 B15는, 라이센스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리셋트되고, 불일치의 경우에 셋트된다.
비트 B14는, 오브젝트 코드의 불일치/일치를 나타내는 비트이다. 비트 B14는, 오브젝트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 리셋트되고, 불일치의 경우에 셋트된다.
비트 B13은, 검증정보 자체의 불일치/일치를 나타내는 비트이다. 비트 B13은, 검증정보 자체가, 일치하는 경우에 리셋트되고, 불일치의 경우에 셋트된다.
비트 B12는, 예약 비트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 예를 들면, 검사가 이미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비트로서, 또는 라이센스 정보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비트로서 이용할 수 있다.
비트 B11~비트 B6는, 라이센스 번호로서, 라이센스 계약을 특정하는 비트이다.
비트 B5~비트 B0는, 소프트웨어 관리 번호로서, 라이센스에 관한 소프트웨어를 특정하는 비트이다.
따라서, 라이센스 번호나 소프트웨어 관리 번호를 세밀하게 관리하고 싶은 경우, 라이센스 번호 등에 많은 비트를 할당하고 싶은 경우에는, 라이센스?레지스터(14)를 32비트 구성으로 해야 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라이센스 정보의 확인 방법의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참 조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라이센스 정보의 출력 동작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서, 시스템 LSI(1)에 파워 ON 리셋트가 걸리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이 실행된다(S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이 실행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의 일부에 포함되는 해당 시스템의 주요 부분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에, 아울러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2a)도 실행된다(S2).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2a)이 아울러 실행됨으로써, 출력 프로그램 기동 입력단자(1a)가 감시되어, 출력 프로그램 기동 입력단자(1a)가 유효한지 아닌지 판단된다(S4).
출력 프로그램 기동 입력단자(1a)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통상대로 유저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본체(2)가 실행된다(S4).
한편, 출력 프로그램 기동 입력단자(1a)가 유효한 경우(S3),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 본체(2a)가 실행되어, S5 이후의 동작이 행해진다. 이때, 출력 프로그램 기동 입력단자의 입력(S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중에 수시 입력가능하다.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2a)이 실행됨으로써, 우선, 첫째로, 검증 정보(2c) 자체의 정당성이 확인된다(S5).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검증 정보(2c)는, 검증정보 자체(2C)를 검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검증 정보(2c)의 정당성이 판단된 다.
그리고, 검증 정보(2c)가 정당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라이센스?레지스터(14)의 B13 비트가 리셋트되고(S5), 검증 정보(2c)에 개정 등이 행해져 부당한 경우에는, B13 비트가 셋트된다(S11).
검증 정보(2c)가 정당하다고 판단되면,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2a)이 실행됨으로써, 두 번째로, 라이센스 정보(2b)의 동일성이 확인된다(S6).
라이센스 정보(2b)의 동일성의 확인은, 검증 정보(2c)로서 미리 준비한 해시?테이블의 값과, 미리 준비한 해시함수를 이용하여 계산된 해시값이 완전하게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행한다(S7).
그리고, 해시값이, 완전하게 일치하는 경우에는 라이센스 정보(2b)가 완전하게 일치한다고 판단하여, 라이센스?레지스터(14)의 B15 비트가 리셋트되고(S7), 어느 하나가 불일치인 경우에는 라이센스 정보(2b)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라이센스?레지스터(14)의 B15 비트가 셋트된다(S12).
라이센스 정보(2b)가 정당하다고 판단되면,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2a)이 실행됨으로써, 세 번째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의 특정 부분으로서, 라이센스 계약에서 프로그램 버전업을 금지한 부분에 대해, 오브젝트 코드의 일치가 확인된다(S8).
오브젝트 코드의 동일성의 확인은, 검증 정보(2c)로서 미리 준비한 패리티?테이블의 값과, 계산한 패리티가 완전하게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함으로써 행한다(S9).
그리고, 패리티가, 완전하게 일치한 경우에만, 라이센스?레지스터(14)의 B14 비트가 리셋트되고(S9), 어느 하나가 불일치인 경우에는, 라이센스?레지스터 B14 비트가 셋트된다(S13).
단, 본 실시예에서는, 오브젝트 코드의 일치에는 명령 코드만을 대상으로 하고, 라이센스 정보(2b)나 검증 정보(2c)를 포함하는지 않는 것으로 했다. 또한, 오브젝트 코드의 동일성의 일치 확인에는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2a)을 포함시킬 수 있다.
라이센스 정보(2b) 및 오브젝트 코드의 동일성이 검증되면, 다음에,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 본체(2a)가 실행됨으로써, 라이센스?레지스터(14)가 기억하는 내용이, 동기신호와 함께, 데이터 출력회로(16)를 거쳐 라이센스 정보 출력단자(1b)에 출력된다(S10).
이때, 라이센스 정보 출력단자(1b)에 접속 가능한 로직 아날라이저는, 라이센스 정보 출력단자(1b)로부터 1회만의 출력 파형도 잡지만, 싱크로스코프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데이터 출력회로(16)는, 주기적으로 반복된 출력 파형을 출력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라이센스 정보 출력단자(1b)에 로직 아날라이저 등을 접속하고, 로직 아날라이저 등이 라이센스?레지스터(14)의 내용을 판독함으로써, 플래시 메모리 등에 내장된 소프트웨어에 관한 라이센스 정보 등을 용이하게 판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악질적인 비정규 유저가, 상기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을 버전업하고, 또는 검사 정보를 버전업한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그와 같은 저작권의 침해 등을 검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예를 들면, 라이센스 정보가 전혀 출력되지 않는 개조도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해당 오브젝트 코드가 라이센스 계약 등에 따른 것인지 아닌지, 간단하게 판별하고 싶은, 다시 말하면 그것에 의해 해당 위반자에 대하여 라이센스 계약 또는 저작권에 위반한다고 하는 사실을 명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본 발명이 이러한 목적에 부합되는 것은 명확하여, 악질적인 비정규 유저는 당초부터 제외하고 있다.
(B) 제 2 실시예
다음에,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라이센스 번호 등을 정확하게 특정하는 것을 주안점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해당 소프트웨어의 이용 허락이나 버전업 등의 유무를, 더욱 간단한 수단으로 상대방에게 명시하는 쪽이 간편하다. 그래서, 제 2 실시예에서는, 오브젝트 코드 및 라이센스 정보의 검증 결과에 따른 수종류의 규칙적인 파형을 이용하여 상대방에 명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7은, 제 2 실시예의 시스템 LSI(1)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시스템 LSI(1)의 하드웨어 구성은, 내부 버스(17)를 거쳐, CPU(11), RAM(12), 플래시 메모리(13), 라이센스?레지스터(14), I/0(15), 파형 출력회로(18)를 갖고, 또한 출력 프로그램 기동 입력단자(1a), 라이 센스 정보 출력단자(1b)를 갖는다.
이때, 도 7은, 도 3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의 시스템 LSI(1)의 구성과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부호를 붙여 표시한다.
도 7에 있어서, 제 2 실시예의 시스템 LSI(1)는, 예를 들면, 유저 매뉴얼에서 개시되지 않고 있는 비공개의 라이센스?레지스터(14) 이외에, 파형 출력회로(1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출력회로(16)가, 라이센스?레지스터(14)의 내용을 추출하여, 라이센스 정보 출력단자(1b)에 출력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했지만, 제 2 실시예에서는 파형 출력회로(18)가, 라이센스?레지스터(14)의 내용에 근거하는 수종류의 규칙적인 파형을, 라이센스 정보 출력단자(1b)로 출력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시스템 LSI(1)에 있어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의 오브젝트 코드 및 라이센스 정보의 동일성의 확인 방법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시스템 LSI(1)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의 실행중, 출력 프로그램 기동 입력단자(1)에 유효한 입력이 있는지 아닌지를 감시하고, 유효한 입력이 있는 경우에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 본체(2a)를 실행해서 오브젝트 코드 및 라이센스 정보의 동일성을 확인하고 검증 결과를 라이센스?레지스터(14)에 기록한다.
파형 출력회로(18)는, 라이센스?레지스터(14)의 내용에 따라, 미리 설정된 수종류의 규칙적인 파형을 이용하여, 라이센스 정보 출력단자(1b)에 출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 결과, 제 1 실시예와 같이, 동기신호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게 되었 다.
도 8은, 파형 출력회로(18)가 출력하는 출력 파형의 예를 나타낸 출력 파형도이다. 도 8a에서는, 파형 출력회로(18)가 4종류의 규칙적인 파형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출력 파형의 예를 나타낸다.
도 8a에 있어서, (a)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의 오브젝트 코드 및 라이센스 정보의 검증 처리가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즉,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 본체(2a)가 실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의 출력 상태이다. 이 경우, 라이센스 정보 출력단자(1b)에의 출력이 없기 때문에 논리값은 「L」이다. 이때, 도 8에서는, 이 상태를 보통 상태로 표시한다.
(b)는, 오브젝트 코드 및 라이센스 정보의 양쪽이 일치한 경우의 출력 상태이다. 이 경우의 출력 파형은, 듀티(duty) 50%인 규칙적인 출력 파형을 갖는다.
(c)는, 오브젝트 코드가 불일치이며 및 라이센스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의 출력 상태이다. 이 경우의 출력 파형은, 듀티 50%를 넘는 규칙적인 출력 파형을 갖는다.
(d)은, 오브젝트 코드가 일치하고 및 라이센스 정보가 불일치인 경우의 출력 상태이다. 이 경우의 출력 파형은, 듀티 50%를 밑도는 규칙적인 출력 파형을 갖는다.
(e)는, 오브젝트 코드가 불일치이며 및 라이센스 정보가 불일치인 경우의 출력 상태이다. 이 경우의 출력 파형은, 전체로서 듀티 50%이지만, 국소적으로 듀티가 변화하는 규칙적인 출력 파형을 갖는다.
이와 같이, 파형 출력회로(18)가, 오브젝트 코드 및 라이센스 정보의 검증 결과에 따라, 각각 다른 파형을 출력함으로써, 예를 들면, 라이센스 정보 출력단자(1b)에 싱크로스코프를 접속해서 출력 파형을 관측할 수 있으므로, 소프트웨어에 관한 라이센스 정보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이때, 상세한 해석은, 다른 방법, 예를 들면, 제 1 실시예에 의해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8b는, 파형 출력회로(18)가, 라이센스?레지스터(14)의 내용에 따라, 미리 설정된 4종류의 규칙적인 음을 할당한 경우의 예시이다.
이때, 본 실시예의 4종류의 규칙적인 파형(음)은, 예를 들면, 모뎀 장치(modem)에 의한 변조음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음의 조합과 같이 출력되는 경우로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주파수가 높은 변조를 건 소리는 「삐- 음」으로 들리고, 주파수가 낮은 변조를 건 소리는 「부- 음」으로 들린다.
도 8b에 있어서 (a)은 통상 상태의 출력 파형을 나타낸다. 이 경우, 도 8a에서 설명한 경우와 동일한 상태이다.
(b)는, 오브젝트 코드 및 라이센스 정보의 양쪽이 일치한 경우의 출력 상태이다. 이 경우의 출력 파형은, 듀티(duty) 50%의 규칙적인 반복 소리를 낸다.
(c)는, 오브젝트 코드가 불일치이고 및 라이센스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의 출력 상태이다. 이 경우의 출력 파형은, 듀티 50%를 넘는 규칙적인 반복 소리를 낸다.
(d)는, 오브젝트 코드가 일치하고 및 라이센스 정보가 불일치인 경우의 출력 상태이다. 이 경우의 출력 파형은, 듀티 50%을 밑도는 규칙적인 반복 소리를 낸다.
(e)는, 오브젝트 코드가 불일치이며 및 라이센스 정보가 불일치인 경우의 출력 상태이다. 이 경우의 출력 파형은, 전체로서 듀티 50%이지만, 국소적으로 듀티가 변화하는 규칙적인 반복음을 낸다.
이와 같이, 파형 출력회로(18)가, 오브젝트 코드 및 라이센스 정보의 검증 결과에 따라, 각각 다른 가청주파수에 의한 파형을 출력함으로써, 예를 들면, 라이센스 정보 출력단자(1b)에 콘덴서 등을 거쳐서 스피커를 접속하면, 소프트웨어에 관한 라이센스 정보를 용이하게 듣고 구별할 수 있다. 상세한 해석은, 다른 방법, 예를 들면, 제 1 실시예에 의해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파형 출력회로(18)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의 오브젝트 코드 및 라이센스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수종류의 규칙적인 파형을 출력하기 때문에, 그 출력 파형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에 관한 라이센스 정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C) 제 3 실시예
다음에, 제 3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3 실시예는, 이동통신 단말(예를 들면, PHS 단말, 휴대전화기 등)에 탑재되어 있는 시스템 LSI에 관한 것으로서, 시스템 LSI에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라이센스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의 통신 시퀀스(Sequence)의 통신 정보에 실어, 외부의 통신장치에 제공하는 경우의 적용에 관해 설명한다. 이에 따라, 외부통신장치와 접속하는 모니터에 라이센스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제 3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3 실시예의 구성은, 피검증 소프트웨어가 내장된 시스템 LSI를 갖는 피검증측의 이동통신장치(3), 검증측의 이동통신장치(4), 이동통신장치 4에 접속가능한 정보표시장치(모니터)(5)를 갖는다.
이때, 이하에서는, 이동통신장치 3 및 4를 PHS 단말로 한 경우의 적용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동통신장치 3 및 4는, 도시되지 않은 PHS 기지국 및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이동통신 가능한 것이다.
이동통신장치 3은, 피검증 소프트웨어가 내장된 시스템 LSI를 갖는 것이다. 이동통신장치 3이 탑재하는 시스템 LSI는,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시스템 LSI(1)를 적용가능하다.
도 10은, 이동통신장치 3의 주요한 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동통신장치 3은, 시스템 LSI(1), 통신제어부(31), 통신부(32)를 구비한다.
통신제어부(31)는, PHS 통신에 관련되는 통신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통신부(32)는, 통신제어부(31)의 제어하에, 시스템 LSI(1)로부터 검증 결과(오브젝트 코드 및 라이센스 정보의 검증 결과)를 받고, 통신 시퀀스시에 사용되는 메시지 통지에 검증 결과를 포함하여, 그 검증 결과를 포함한 메시지 통지를 송신하는 것이다.
이동통신장치 3은, 전원투입후, PHS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통신의 확립을 행한다. 이때, 이동통신장치 3으로부터 PHS 기지국에 통신되는 통신 시퀀스에 사용되 는 메시지 통지에 검증 결과를 삽입한다.
도 11은, PHS의 무선관리(RT: Radio Frequency Transmission Management)에서 사용되는 메시지 중에서, PS-ID 통지 등에 포함되는 PS-ID(PS Identifier)의 코딩(coding)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제 2세대 무선전화에 관한 표준규격(ARIB Standard RCR STD-28 V3.3)에 따르면, PS-ID의 제 5옥텟(octet)의 상위 4비트는 예약 영역으로 되어 있어, 보통은 아무것도 기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 예약 영역에 라이센스 정보를 짜넣는 방법을 채용한다. 가령 예약 영역이 4비트라도, O사의 라이센스에 관련되는 소프트웨어인지 아닌지의 정보, 오브젝트 코드가 일치하는지 아닌지의 정보, 또는 라이센스 정보가 일치하는지 아닌지의 정보 등을, 이동통신장치 3은 송신할 수 있다.
이 검증 결과의 내장은,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2a)과 연대한 MAC층 프로토콜?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장치 4는, 검증 결과를 포함하는 PS-ID를 수신하고, 정보표시장치(5)를 이용하여 검증 결과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다른 정보요소 식별자의 예약 영역과의 조합에 의해, 더욱 상세한 라이센스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검증 결과에 한정되지 않고, 소프트웨어의 라이센스 정보 자체를 송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동통신장치 4는, 이동통신장치 3과 무선통신가능하여, 이동통신장치 3이 송신한 통신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통신 정보를 정보표시장치(5)에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장치 4를 PHS 단말로서 설명하지만, 이동통신장치 3과 통신가능하여, 통신 정보를 수신가능한 수신기이면 널리 적용가능하다.
정보표시장치(5)는, 이동통신장치 4에서 받은 통신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LSI를 탑재하는 이동통신장치가, 소프트웨어의 라이센스 정보를 통신 시퀀스의 통신 정보에 포함시켜, 외부통신장치로 송신할 수 있으므로, 소프트웨어의 라이센스 정보를,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LSI의 단자에 여유가 없는 경우 등, 하드웨어 자원을 사용하지 않고 라이센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단 모니터?시스템 등이 확립된 경우에는, 소프트웨어의 라이센스 정보를 용이하게 모니터에 표시할 수 있으므로, 내장 소프트웨어를 대량으로 취급하는 개발자나 제공자에게 간편하다.
(D) 기타 실시예
(D-1) 전술한 제 1~제 3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 등에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라이센스 정보 등을 확인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했지만, 내장된 소프트웨어에 한정되지 않고, 널리 소프트웨어에 적용가능하다.
(D-2)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는, 라이센스 정보의 동일성 확인을 한 후에, 오브젝트 코드의 동일성 확인을 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 검증의 순서는 한정되지 않고, 오브젝트 코드의 동일성 확인 후에, 라이센스 정보의 동일성 확인을 해 도 된다.
(D-3) 전술한 제 1~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3 및 도 7에 나타낸 시스템 LSI의 하드웨어 구성이나, 도 9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널리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활용예로서, 내장 소프트웨어의 라이센스 판매에 있어서 직접적인 관리방법, 특히 개개의 제품에 탑재된 소프트웨어의 특정에 효과적이다. 종래의 소프트웨어의 관리는 CD-ROM 등의 기억장치의 외관에 표시하는 것이 많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개개의 소프트웨어를 그것의 내장후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으므로, 무형의 소프트웨어를 무형의 형태로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체의 외판 소프트웨어에 응용가능한 새로운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독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소프트웨어의 실행이 라이센스 계약에 근거하는 정당한 것인지 아닌지를 검증하여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침해 또는 라이센스 계약 위반의 사실을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으며, 또한 배타권 침해자 또는 라이센스 계약 위반자에 대하여, 침해 또는 라이센스 계약 위반의 사실을 용이하게 명시할 수 있다. 그 결과, 특히 오브젝트 코드의 라이센스 계약 등에 의해 소프트웨어의 확대 판매를 꾀하려고 하는 사람에게, 유효한 검증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실행되는 소프트웨어가 정식 라이센스 계약에 근거한 것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라이센스 정보 확인장치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아울러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 본체를 기동하는 정보를 출력 프로그램 기동단자로 입력시키고, 해당 프로그램 기동단자로의 입력이 유효하며, 상기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이 실행된 경우에, 검증 정보 자체의 유효성을 판정하고,
    상기 검증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라이센스 정보와 오브젝트 코드가 함께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소정의 비트를 기억수단에 기억하는 검증수단과,
    판독신호가 입력된 때에, 상기 소프트웨어의 권리 귀속 정보 및 상기 라이센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정보 확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가, 배타적 권리의 권리 귀속정보 및 라이센스 정보를 일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정보 확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수단이,
    상기 소프트웨어의 오브젝트 코드의 전부 또는 일부의 일치성을 확인하는 오브젝트 코드 확인부와,
    상기 소프트웨어의 권리 귀속정보 및 라이센스 정보의 전부의 일치성을 확인하는 라이센스 정보 확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정보 확인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의 오브젝트 코드에 대하여 소정 비트마다 부호오류 검출 비트를 미리 할당하고, 그 할당된 부호오류 검출 비트로 이루어진 부호오류 검출 비트 테이블을 상기 검증 정보로 하고,
    상기 오브젝트 코드 확인부가, 상기 부호오류 검출 비트 테이블과 상기 부호오류 검출 비트를 대조함으로써, 상기 소프트웨어의 오브젝트 코드의 일치성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정보 확인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일방향성 함수값 테이블을 상기 검증 정보로 하고,
    상기 라이센스 정보 확인부가, 권리 귀속정보 및 라이센스 정보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일방향성 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하고, 그 산출 결과와 상기 일방향성 함수값 테이블의 대조로, 상기 소프트웨어의 권리 귀속정보 및 라이센스 정보의 일치성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정보 확인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이, 상기 기억수단의 기억 내용에 따라, 미리 정해진 규칙적인 파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정보 확인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이 출력하는 파형이, 상기 기억수단의 기억 내용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가청 주파수로 변조된 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정보 확인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이 소정의 통신방식에 따라 통신제어하는 통신제어부를 갖고, 통신제어부가, 출력된 상기 소프트웨어의 권리 귀속정보 및 라이센스 정보를, 소정 통신방식에 기초하는 통신 정보에 삽입하여 외부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정보 확인장치.
  9. 실행되는 소프트웨어가 정식 라이센스 계약에 근거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라이센스 정보 확인방법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아울러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 본체를 기동하는 정보를 출력 프로그램 기동단자로 입력시키고, 해당 프로그램 기동단자로의 입력이 유효하며, 상기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이 실행된 경우에, 검증 정보 자체의 유효성을 판정하고,
    상기 검증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라이센스 정보와 오브젝트 코드가 함께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소정의 비트를 기억수단에 기억하며,
    판독신호가 입력된 때에, 상기 소프트웨어의 권리 귀속 정보 및 상기 라이센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정보 확인방법.
  10.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가, 정식 라이센스 계약에 근거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라이센스 정보 확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아울러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 본체를 기동하는 정보를 출력 프로그램 기동단자로 입력시키고, 해당 프로그램 기동단자로의 입력이 유효하며, 상기 라이센스 정보 출력 프로그램이 실행된 경우에, 검증 정보 자체의 유효성을 판정하고,
    상기 검증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라이센스 정보와 오브젝트 코드가 함께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소정의 비트를 기억수단에 기억하는 검증수단,
    판독신호가 입력된 때에, 상기 소프트웨어의 권리 귀속 정보 및 상기 라이센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정보 확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50006554A 2004-07-13 2005-01-25 라이센스 정보 확인장치, 라이센스 정보 확인방법 및라이센스 정보 확인 프로그램 KR101123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06219 2004-07-13
JP2004206219A JP2006031169A (ja) 2004-07-13 2004-07-13 ライセンス情報確認装置、ライセンス情報確認方法及びライセンス情報確認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977A KR20060005977A (ko) 2006-01-18
KR101123088B1 true KR101123088B1 (ko) 2012-03-15

Family

ID=35600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554A KR101123088B1 (ko) 2004-07-13 2005-01-25 라이센스 정보 확인장치, 라이센스 정보 확인방법 및라이센스 정보 확인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015465A1 (ko)
JP (1) JP2006031169A (ko)
KR (1) KR101123088B1 (ko)
CN (1) CN10056553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4549B2 (en) * 2002-12-31 2010-06-08 Motorol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cured software for a wireless device
US7552093B2 (en) * 2003-12-04 2009-06-23 Black Duck Software, Inc. Resolving license dependencies for aggregations of legally-protectable content
US8700533B2 (en) * 2003-12-04 2014-04-15 Black Duck Software, Inc. Authenticating licenses for legally-protectable content based on license profiles and content identifiers
US20060116966A1 (en) * 2003-12-04 2006-06-01 Pedersen Palle M Methods and systems for verifying protectable content
US9489687B2 (en) * 2003-12-04 2016-11-08 Black Duck Softwar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software development
CN1939061A (zh) * 2004-03-31 2007-03-2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接收装置、送出装置、安全模块、以及数字权利管理系统
US7797245B2 (en) * 2005-03-18 2010-09-14 Black Duck Softwar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an area of interest in protectable content
US8010538B2 (en) * 2006-05-08 2011-08-30 Black Duck Softwar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eporting regions of interest in content files
DE102006038428A1 (de) * 2006-08-17 2008-02-2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r Programmierung eines Steuergerätes eines Kraftfahrzeugs
US8010803B2 (en) * 2006-10-12 2011-08-30 Black Duck Softwar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ed export compliance
US7681045B2 (en) * 2006-10-12 2010-03-16 Black Duck Software, Inc. Software algorithm identification
US20110178619A1 (en) * 2007-12-21 2011-07-21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Security-activated robotic tasks
JP5599557B2 (ja) 2008-08-29 2014-10-0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ライセンス判定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650195B2 (en) * 2010-03-26 2014-02-11 Palle M Pedersen Region base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JP5510535B2 (ja) * 2012-12-21 2014-06-04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ライセンス判定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460273B2 (en) * 2014-10-29 2016-10-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generation of license terms for service application marketplaces
US11366879B2 (en) * 2019-07-08 2022-06-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rver-side audio rendering licens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2892A (ko) * 1999-02-22 2001-05-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컴퓨터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40032090A (ko) * 2001-09-14 2004-04-14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인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8508A (en) * 1991-06-28 1995-08-01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License document interchange format for license management system
US5892904A (en) * 1996-12-06 1999-04-06 Microsoft Corporation Code certification for network transmission
US6189146B1 (en) * 1998-03-18 2001-02-13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oftware licensing
US7171662B1 (en) * 1998-03-18 2007-01-3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oftware licensing
WO2001092993A2 (en) * 2000-06-02 2001-12-06 Vigilant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licensing manag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2892A (ko) * 1999-02-22 2001-05-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컴퓨터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40032090A (ko) * 2001-09-14 2004-04-14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인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22146A (zh) 2006-01-18
CN100565539C (zh) 2009-12-02
JP2006031169A (ja) 2006-02-02
KR20060005977A (ko) 2006-01-18
US20060015465A1 (en)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088B1 (ko) 라이센스 정보 확인장치, 라이센스 정보 확인방법 및라이센스 정보 확인 프로그램
CN101305545B (zh) 用于管理安全可移除介质的数字版权的方法和装置
KR101514100B1 (ko) 플래쉬 저장 장치를 사용한 소프트웨어 불법 사용 방지
TWI242704B (en) Secure video card in computing device hav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US8074287B2 (en) Renewable and individualizable elements of a protected environment
EP1798656A2 (en) Locking of applications for specially marked content
US2008025636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Digital Content in Mobile Applications
CN101496020B (zh) 控制数字内容的未授权使用的方法、系统和相关设备
KR100888594B1 (ko) 라이센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2007017206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rights object from one device to another device via server
US827027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c,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040028597A (ko) 테스트 인에이블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KR20060089632A (ko) 컴퓨팅 장치상에서 다수의 특성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사용하기 위한 사용 라이센스를 획득하는 방법 및 그러한어플리케이션과 사용 라이센스
JPWO2007000993A1 (ja) 検証方法、情報処理装置、記録媒体、検証システム、証明プログラム及び検証プログラム
JP2002319230A (ja) 記録媒体、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方法、プログラム、その記録媒体
KR101640902B1 (ko) Html 문서에 포함되는 콘텐츠를 보호하는 장치 및 방법
CN104683299A (zh) 一种软件注册的控制方法、认证服务器及终端
US7225336B2 (en) System and a method for giving run authorization to a program installed on a computer
JP2004272893A (ja) ソフトウェア管理システム、記録媒体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50047001A (ko)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보호 방법 및 장치
KR20140011021A (ko)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의 무단복제 방지 및 최초 복제 추적을 위한 디지털 워터마킹 삽입 방법
JP2005056216A (ja) 音楽データのライセンス管理方法
KR100748009B1 (ko) 보호된 자료 스크리닝 방법
JP4433453B2 (ja) 音楽装置への装置idの付与方法
KR101561655B1 (ko) Uci 기반 어플리케이션 불법복제 방지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