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611B1 -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및 기관차 속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및 기관차 속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611B1
KR101122611B1 KR1020090087409A KR20090087409A KR101122611B1 KR 101122611 B1 KR101122611 B1 KR 101122611B1 KR 1020090087409 A KR1020090087409 A KR 1020090087409A KR 20090087409 A KR20090087409 A KR 20090087409A KR 101122611 B1 KR101122611 B1 KR 101122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omotive
speed
distance
wag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9641A (ko
Inventor
이창희
Original Assignee
이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희 filed Critical 이창희
Priority to KR1020090087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611B1/ko
Publication of KR20110029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12Control gea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locomotives from remote points in the train or when operating in multiple un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93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7/931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및 기관차 속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장치는 기관차의 전방에 위치한 전방기관차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기관차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부; 상기 감지된 상기 전방기관차와의 거리가 기준거리값 이하인 경우, 상기 기관차의 속도가 상기 전방기관차의 속도 이하가 되도록 상기 속도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전방에 위치하는 기관차와의 간격에 따라 속도를 조절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커플링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원격에서 기관차의 속도제어 및 커플링을 수행할 수 있다.
기관차, 화차, 속도제어, 커플링, 원격

Description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및 기관차 속도제어방법 { LOCOMOTIVE VELOCITY CONTROL APPARATUS AND LOCOMOTIVE VELOCITY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및 기관차 속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관차 또는 기관차의 차량 간의 거리에 따라 속도를 조절하는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및 기관차 속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관차는 화물 또는 승객을 목적지로 운송한다. 근래에는 기관차에 운송되는 화물의 양 또는 승객의 수가 점점 늘어나기 때문에 일정한 배차간격에 따라 기관차를 운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무인운전시스템의 발달로 기관차가 정해진 시간에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며 운행하는 기술이 주로 채택되어 사용되지만, 운행 중의 돌발상황으로 인해 기관차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없는 상황이 빈번하다. 이 때, 종래의 기관차제어시스템은 이러한 돌발상황을 운전자에게 단순히 통지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여전히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한 충돌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또한, 화물을 여러 대의 기관차에 의해 운송하는 경우 기관차와 화차와의 결합 및 분리가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기관차와 화차와의 결합은 운전자의 직접적인 조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한 사고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는 기관차와의 간격에 따라 속도를 조절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및 기관차 속도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플링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및 기관차 속도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원격에서 기관차의 속도제어 및 커플링을 수행할 수 있는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및 기관차 속도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관차의 전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비상정지를 통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및 기관차 속도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기관차의 전방에 위치한 전방기관차와의 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기관차 주변의 기상상황 및 철로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기관차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부와; 상기 기관차 및 상기 전방기관차의 속도와, 기상상황과, 철로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기준거리값을 주기적으로 변경하고, 상기 기관차와 상기 전방기관차와의 거리가 상기 기준거리값 이하인 경우, 상기 기관차의 속도가 상기 전방기관차의 속도 이하가 되도록 상기 속도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차 속도제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감지부는 기관차 주변의 기상상황 및 철로상태를 더 감지하고, 상기 제 어부는 상기 기관차 및 상기 전방기관차의 속도와, 기상상황과, 철로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거리값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기관차는 후방에 위치하는 화차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리감지부는 상기 화차와의 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화차와의 거리와 상기 기관차의 속도가 비례하도록 상기 속도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관차와 상기 화차와의 커플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기관차 전방의 장애물을 더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기관차가 정지하도록 상기 속도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원격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장치로부터 명령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명령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속도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기관차별 및 상기 화차별로 상이한 채널 또는 ID를 할당하여 상기 원격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기관차의 전방에 위치한 전방기관차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감지된 상기 전방기관차와의 거리가 기준거리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거리판단단계; 상기 감지된 상기 전방기관차와의 거리가 기준거리값 이하인 경우, 상기 기관차의 속도가 상기 전방기관차의 속도 이하가 되도록 상기 기관차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차 속도제어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상기 감지단계는 기관차 주변의 기상상황 및 철로상태를 더 감지하고, 상기 기관차 및 상기 전방기관차의 속도와, 기상상황과, 철로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거리값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거리변경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는 상기 화차와의 거리를 더 감지하고, 상기 속도조절단계는 상기 감지된 상기 화차와의 거리와 상기 기관차의 속도가 비례하도록 상기 기관차의 속도를 조절하며, 상기 기관차와 상기 화차와의 커플링을 수행하는 커플링 수행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는 상기 기관차 전방의 장애물을 더 감지하고, 상기 속도조절단계는, 상기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기관차가 정지하도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제어장치로부터 명령신호를 수신하는 명령신호 수신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속도조절단계는 상기 수신된 명령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관차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명령신호 수신단계는 상기 기관차별 및 상기 화차별로 상이한 채널 또는 ID를 할당하여 명령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및 기관차 속도제어방법에 의하면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는 기관차와의 간격에 따라 속도를 조절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및 기관차 속도제어방법에 의하면 기관차와 화차 간의 커플링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및 기관차 속도제어방법에 의하면 원격에서 기관차의 속도제어 및 기관차와 화차간의 커플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및 기관차 속도제어방법에 의하면 기관차의 전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비상정지를 통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및 기관차 속도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장치(100)는 감지부(10)와, 속도조절부(20)와, 제어부(30)를 포함한다.
감지부(10)는 기관차(L)의 전방에 위치한 전방기관차(P)와의 거리를 감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부(10)는 기관차(L)의 전단에 장착되어 적외선과, 초음파와, 레이저 중 어느 하나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전방기관차에 의해 반사되는 적외선과, 초음파와, 레이저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부(10)는 기관차 간의 거리를 감지하므로 레이저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장치(100)는 송신부터 수신까지 걸리는 시간에 기초하여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한 기관차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지부(10)는 기관차(L) 주변의 기상상황 및 철로상태를 더 감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야간이나 우천시나 안개가 발생하는 등과 같이 기관차(L) 주변의 기상상황이 좋지 않거나 철로가 곡선으로 되어 있는 구간인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후술할 제어부(30)로 송신한다.
또한, 감지부(10)는 기관차(L)의 진행방향 쪽으로 전방기관차(P)가 아닌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속도조절부(20)는 기관차(100)의 속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속도조절부(20)는 가속부, 브레이크, 변속기, 연료펌프(이상 미도시)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가변저항을 변경함으로써 자동적으로 기관차(L)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거리감지부(10)에 의해 감지된 기관차(L)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기관차(P)와의 거리가 기준거리값 이하인 경우, 기관차(L)의 속도가 전방기관차(P)의 속도 이하가 되도록 속도조절부(20)를 제어한다.
여기서, 기준거리값은 일종의 안전거리로서 전방기관차(L)의 현재 속도와, 기상상황과, 철로상태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관차(L) 및 전방기관차(P)가 고속으로 운행하고 있는 경우의 기준거리값은 저속으로 운행하고 있는 경우의 기준거리값보다 크다. 그리고, 감지부(10)에 포함된 레인센서 등에 의해 비가 내리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야간이나 안개가 발생하는 경우 등의 기준거리값은 맑은 날씨에서의 기준거리값보다 작다. 또한, 감지부(10)에 의해 철로가 직선으로 감지된 경우의 기준거리값은 곡선으로 감지된 경우의 기준거리값보다 크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전방기관차(P)와의 거리가 기준거리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관차(L)는 양단에 모두 운전실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기관차(L)가 전진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후진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0)는 마이컴과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기준거리값 및 속도 등은 별도의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0)는 기관차(L)의 운전실에 마련되어 운전자로부터 직접 운행에 필요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격지에서 운행에 필요한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30)는 전방기관차(P)가 아닌 장애물이 기관차(L)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기관차(L)가 정지하도록 속도조절부(2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기관차(L)의 전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비상정지를 통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장치(100)는 기관차(L)와 전방에 위치한 전방기관차(P)와의 거리(d)가 기준거리값 이하인 경우, 기관차(L)의 속도가 전방기관차(P)의 속도 이하가 되도록 속도조절부(20)를 제어한다. 이로써, 기관차 간의 충돌로 인한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0)는 전방기관차(P)의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기관차(L)의 속도 역시 일정하게 유지하여 기관차(L)와 전방기관차(P)와의 거리(d)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방기관차(P)의 속도는 감지부(10)에 의해 감지된 전방기관차(P)와의 거리 및 기관차(L)의 현재 속도에 의해 산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기관차(L)에 화차(F)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장치(40)가 더 포함된다. 결합장치(40)는 탄성을 가지는 고리형태로 기관차(L)와 화차(F)에 각각 마련되어 기관차(L)와 화차(F)가 낮은 속도로 진행하면 커플링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기관차(L) 및 화차(F)의 속도 및 각각의 배치상태에 따라 제어부(30)는 기관차(L)가 후진하도록 속도조절부(20)를 제어하여 화차(F)와 커플링을 수행할 수 있고, 기관차(L)가 화차(F)의 전방에서 화차(F)와 동일한 속도로 전진하는 경우에는 제어부(30)가 기관차(L)의 속도를 낮추도록 속도조절부(20)를 제어하여 화차(F)와의 커플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장치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장치의 제3실시예는 원격 제어장치(R)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4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30)는 원격 제어장치(R)로부터 명령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신호에 기초하여 속도조절부(20)를 제어한다. 이로써, 운전자가 원격에서 원격 제어장치(R)를 이용하여 기관차의 운행 여부 및 커플링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운전자가 원격에서 운행 또는 커플링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30)는 자동적으로 전방기관차(P)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운행할 수 있도록 하고, 화차(F)와의 커플링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장치의 제3실시예에 의해 운전자가 기관차(L)의 운행 및 커플링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0)는 기관차(L) 및 화차(F)가 복수 대인 경우 일정한 주파수 대역 내에서 기관차(L)별 및 화차(F)별로 상이한 채널 또는 ID를 할당하여 원격 제어장치(R)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장치가 원격지의 사용자에 의해 원격 제어장치(R)를 통해 제어되는 경우 제어부(30)는 기관차(L)의 내부로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의 크기와, 기관차(L) 주변의 온도 및 압력과, 전파상태와 같은 기관차(L)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원격 제어장치(R)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른 원격 제어장치(R)의 기울어짐과, 배터리 잔량 이상과, 기관차(L)와의 통신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기관차(L)의 비상정지 명령을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방법은 먼저 기관차(L)의 전방에 위치한 전방기관차(P)와의 거리를 감지한다(S610). 그리고, 단계 S610에서 감지된 전방기관차(P)와의 거리가 기준거리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20).
마지막으로, 단계 S610에서 감지된 전방기관차(P)와의 거리가 기준거리값 이하인 경우, 기관차(L)의 속도가 전방기관차(P)의 속도 이하가 되도록 기관차(L)의 속도를 조절한다(S630).
여기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610에서 기관차(L) 주변의 기상상황 및 철로상태를 더 감지하고, 기관차(L) 및 전방기관차(P)의 속도와, 기상상황과, 철로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기준거리값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거리변경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방법에 의하면 단계 S610은 화차(F)와의 거리를 더 감지하고, 단계 S630은 단계 S610에서 감지된 화차(F)와의 거리와 기관차(L)의 속도가 비례하도록 기관차(L)의 속도를 조절하며, 기관차(L)와 화차(F)와의 커플링을 수행하는 커플링 수행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기관차(L)와 화차(F)와의 커플링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방법에 의하면 원격 제어장치(R)로부터 명령신호를 수신하는 명령신호 수신단계를 더 포함하고, 단계 S630은 명령신호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명령신호에 기초하여 기관차(L)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운전자가 원격지에서 원격 제어장치(R)를 이용하여 기관차의 운행 여부 및 커플링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방법은 기관차(L) 및 화차(F)가 복수 대인 경우 일정한 주파수 대역 내에서 기관차(L)별 및 화차(F)별로 상이한 채널 또는 ID를 할당하여 원격 제어장치(R)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방법은 단계 S610에서 전방기관차(P)가 아닌 장애물이 기관차(L)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단계 S630에서 기관차(L)가 정지하도록 속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기관차(L)의 전방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비상정지를 통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장치에 의해 기관차가 주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장치에 의해 기관차와 화차와의 커플링이 수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장치에 의해 기관차가 원격으로 제어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관차 속도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감지부 20 : 속도조절부
30 : 제어부 40 : 결합장치
50 : 통신부
100, 200, 300 :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L : 기관차 F : 화차
R : 원격 제어장치

Claims (12)

  1. 기관차(L)의 전방에 위치한 전방기관차(P)와의 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기관차(L) 주변의 기상상황 및 철로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10)와;
    상기 기관차(L)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부(20)와;
    상기 기관차(L) 및 상기 전방기관차(P)의 속도와, 기상상황과, 철로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기준거리값을 주기적으로 변경하고, 상기 기관차(L)와 상기 전방기관차(P)와의 거리가 상기 기준거리값 이하인 경우, 상기 기관차(L)의 속도가 상기 전방기관차(P)의 속도 이하가 되도록 상기 속도조절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차(L)는 후방에 위치하는 화차(F)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장치(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10)는 화차(F)와의 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감지부(10)에 의해 감지된 화차(F)와의 거리와 상기 기관차(L)의 속도가 비례하도록 상기 속도조절부(20)를 제어하여 상기 기관차(L)와 화차(F)와의 커플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10)는 상기 기관차(L) 전방의 장애물을 더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감지부(10)에 의해 상기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기관차(L)가 정지하도록 상기 속도조절부(2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5. 제1항과, 제3항과,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격 제어장치(R)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원격 제어장치(R)로부터 명령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명령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속도조절부(2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6. 삭제
  7. 기관차(L)의 전방에 위치한 전방기관차(P)와의 거리 및 기관차(L) 주변의 기상상황 및 철로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기관차(L) 및 상기 전방기관차(P)의 속도와, 기상상황과, 철로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기준거리값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감지단계(S610);
    상기 감지된 상기 전방기관차(P)와의 거리가 기준거리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거리판단단계(S620);
    상기 감지된 상기 전방기관차(P)와의 거리가 기준거리값 이하인 경우, 상기 기관차(L)의 속도가 상기 전방기관차(P)의 속도 이하가 되도록 상기 기관차(L)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단계(S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차 속도제어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S610)는 화차(F)와의 거리를 더 감지하고,
    상기 속도조절단계(S630)는 상기 감지된 화차(F)와의 거리와 상기 기관차(L)의 속도가 비례하도록 상기 기관차(L)의 속도를 조절하며,
    상기 기관차(L)와 화차(F)와의 커플링을 수행하는 커플링 수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차 속도제어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90087409A 2009-09-16 2009-09-16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및 기관차 속도제어방법 KR101122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409A KR101122611B1 (ko) 2009-09-16 2009-09-16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및 기관차 속도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409A KR101122611B1 (ko) 2009-09-16 2009-09-16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및 기관차 속도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641A KR20110029641A (ko) 2011-03-23
KR101122611B1 true KR101122611B1 (ko) 2012-06-14

Family

ID=43935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409A KR101122611B1 (ko) 2009-09-16 2009-09-16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및 기관차 속도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6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594B1 (ko) * 2016-08-19 2017-08-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의 실시간 속도 최적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차의 실시간 속도 최적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1861A (ja) 1981-11-10 1983-05-17 オムロン株式会社 車両の運行制御装置
JPH075921A (ja) * 1993-06-15 1995-01-10 Nippon Yusoki Co Ltd 無人作業車の走行停止制御装置
US6587763B2 (en) * 2001-11-12 2003-07-01 East Japan Railway Company Train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070036405A (ko) * 2005-09-29 2007-04-03 에프엠전자(주) 주행하는 궤도차량에서의 선로 상의 사람 및 장애물 감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1861A (ja) 1981-11-10 1983-05-17 オムロン株式会社 車両の運行制御装置
JPH075921A (ja) * 1993-06-15 1995-01-10 Nippon Yusoki Co Ltd 無人作業車の走行停止制御装置
US6587763B2 (en) * 2001-11-12 2003-07-01 East Japan Railway Company Train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070036405A (ko) * 2005-09-29 2007-04-03 에프엠전자(주) 주행하는 궤도차량에서의 선로 상의 사람 및 장애물 감지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594B1 (ko) * 2016-08-19 2017-08-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의 실시간 속도 최적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차의 실시간 속도 최적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641A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3267B2 (en) Vehicle safety system
US87446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mi-autonomous vehicular convoys
KR102118672B1 (ko) 열차 제어 방법 및 열차 제어 시스템
AU2016336955B2 (en) Train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625524B1 (ko) 대차 시스템 및 대차의 제어방법
US20040015275A1 (e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trains
JP6270518B2 (ja) 作業車両の管制システム
JP6247904B2 (ja) 鉱山用運搬車両
US11572084B2 (en) Integrated systems for passenger bus
US1175501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industrial truck as well as a system comprising a superordinate control unit and an industrial truck
CN112005183A (zh) 用于控制车队的方法
JP2024045726A (ja) 自動列車運転システムにおける列車の車上装置
US11385066B2 (en) Vehicle navigation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230373514A1 (en) Predictive vehicle operating assistance
JP2001357491A (ja) 隊列走行統括制御装置及び隊列走行制御装置
US202101095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Unmanned Self-Powered Follow Vehicle Following A Lead Vehicle With Independent Hazard Avoidance By The Follow Vehicle
CN112026854B (zh) 机车控制方法和车载控制设备
CN112550343A (zh) 一种适用于货运列车的自动挂车方法及装置
JP6658961B2 (ja) 車上制御装置およびホームドア制御システム
JP3300915B2 (ja) 列車制御システム
KR101489886B1 (ko) 스마트 시그널을 이용한 열차 제어 시스템
KR101122611B1 (ko) 기관차 속도제어장치 및 기관차 속도제어방법
US11161486B2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17199401A (ja) 鉱山用運搬車両
JP4832457B2 (ja) 自動列車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