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131B1 - Method for providing data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using touch screen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data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using touch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131B1
KR101122131B1 KR1020100009830A KR20100009830A KR101122131B1 KR 101122131 B1 KR101122131 B1 KR 101122131B1 KR 1020100009830 A KR1020100009830 A KR 1020100009830A KR 20100009830 A KR20100009830 A KR 20100009830A KR 101122131 B1 KR101122131 B1 KR 101122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index
outpu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8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90190A (en
Inventor
김정훈
김성구
Original Assignee
김성구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구,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성구
Priority to KR1020100009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131B1/en
Publication of KR20110090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1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1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20Bending sheet met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22Auxiliary equipment, e.g. positio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대한 양의 정보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데이터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입력단계, 제1인덱스DB 검색단계, 제2인덱스DB 검색단계, 데이터DB 검색단계 및 데이터 출력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제공방법을 공급하며,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 제1인덱스DB, 제2인덱스DB 및 데이터DB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 후 정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검색하기 때문에 방대한 양의 정보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providing method that can quickly respond to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the information input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the first index DB search step, the second index DB search step, data DB search step and data output step; It provides a data providing method including a, and searches for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after sequentially moving along the first index DB, the second index DB and the data DB to retrieve the data from the vast amount of information It is effective to provide quickly.

Description

데이터 제공방법 및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DATA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USING TOUCH SCREEN}Data providing method and data providing method using touch screen {METHOD FOR PROVIDING DATA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USING TOUCH SCREEN}

본 발명은 입력되는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data on input information.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은 정보의 종류 또는 정보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검색방법이 존재한다. 특히, 현대사회의 경우 정보의 양이 많아지고 정보의 크기 또한 거대해짐에 따라 보다 신속하게 정보를 검색하여 입력된 정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검색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신속히 검색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그 중 정보에 해당되는 데이터의 저장위치를 가진 인덱스를 이용하여 정보검색속도를 개선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There are various search methods for search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or the size of the information. In particular, in the modern society, as the amount of information increases and the size of information increases, a search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by searching for information more quickly is required. Accordingly, a technology for quickly searching for various information has been developed, and a technology for improving information search speed by using an index having a storage location of data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has been disclosed.

하지만 종래의 인덱스를 이용한 정보의 검색방법은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단순히 그 정보에 대한 인덱스를 확인하고, 인덱스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의 저장위치에 따라 데이터를 검색하였기 때문에 방대한 양의 정보에 신속히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conventional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using the index, when the information is input, simply check the index for the information, and searched the data according to the storage location of the data contained in the index to respond quickly to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대한 양의 정보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데이터 제공방법을 공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data providing method capable of quickly responding to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데이터 제공방법은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입력단계; 상기 정보입력단계에 따라 입력된 정보를 제1인덱스DB에서 검색하는 제1인덱스DB 검색단계; 상기 제1인덱스DB 검색단계에 따라 검색된 상기 정보에 해당되는 제1저장위치를 제2인덱스DB에서 검색하는 제2인덱스DB 검색단계; 상기 제2인덱스DB 검색단계에 따라 검색된 상기 제1저장위치에 해당되는 제2저장위치를 데이터DB에서 검색하는 데이터DB 검색단계; 및 상기 데이터DB 검색단계에 따라 검색된 상기 제2저장위치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a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input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A first index DB search step of searching for information inpu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put step in a first index DB; A second index DB searching step of searching a second index DB for a first storag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searched according to the first index DB searching step; A data DB search step of searching a data DB for a second storag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orage location searched according to the second index DB search step; And a data output step of outputt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torage location searched according to the data DB search ste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그리고 상기 제1인덱스DB 및 상기 데이터DB는 복수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저장된 단일파일들의 집합이고, 상기 제2인덱스DB는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저장된 단일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index DB and the data DB are a set of single files classified and stored in a plurality of groups, and the second index DB is a single file classified and stored in a group.

또한, 상기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데이터 출력단계에 따라 출력되는 데이터는 상기 단어의 해설(解說)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word, and the data output according to the data output step may be an explanation of the word.

그리고 출력정보를 스크린에 표시하는 출력정보 표시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입력단계는 상기 출력정보 표시단계에서 출력된 출력정보로부터 상기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output information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output information on the screen. Further, wherein the information input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from the output information output in the output information display step.

또한, 상기 출력정보 입력단계에서 입력되는 상기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출력정보 입력단계는 상기 출력정보가 표시된 스크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가 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formation input in the output information input step may include at least one word, and the output information input step may include touching the at least one word on a screen on which the output information is displayed to input the at least one word. It is characterized by.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제공방법은 전자책(Electronic Book)을 스크린에 출력하는 전자책 출력단계; 상기 전자책(Electronic Book)이 출력된 스크린의 텍스트가 터치되어 상기 텍스트를 입력받는 텍스트 입력단계; 상기 텍스트 입력단계에 따라 입력된 상기 텍스트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데이터 검색단계; 및 상기 데이터 검색단계에 따라 검색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a data providing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book output step of outputting an electronic book (Electronic Book) on the screen; A text input step of touching text on a screen on which the electronic book is output and receiving the text; A data search step of searching for data corresponding to the text input according to the text input step; And a data output step of outputting data retrieved according to the data search ste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음악을 재생하는 음악 재생단계; 상기 음악의 가사를 스크린에 출력하는 가사 출력단계; 상기 가사가 출력된 스크린의 텍스트가 터치되어 상기 텍스트를 입력받는 텍스트 입력단계; 상기 텍스트 입력단계에 따라 입력된 상기 텍스트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데이터 검색단계; 및 상기 데이터 검색단계에 따라 검색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usic playback step of playing music; Lyrics output step of outputting the lyrics of the music on the screen; A text input step of touching text on the screen on which the lyrics are output to receive the text; A data search step of searching for data corresponding to the text input according to the text input step; And a data output step of outputting data retrieved according to the data search ste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단계; 상기 동영상의 자막을 스크린에 출력하는 자막 출력단계; 상기 자막이 출력된 스크린의 텍스트가 터치되어 상기 텍스 트를 입력받는 텍스트 입력단계; 상기 텍스트 입력단계에 따라 입력된 상기 텍스트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데이터 검색단계; 및 상기 데이터 검색단계에 따라 검색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video playback step of playing a video; A subtitle output step of outputting a subtitle of the video on a screen; A text input step of touching text on the screen on which the subtitle is output to receive the text; A data search step of searching for data corresponding to the text input according to the text input step; And a data output step of outputting data retrieved according to the data search ste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그리고 상기 데이터 검색단계는 상기 텍스트 입력단계에 따라 입력된 텍스트를 제1인덱스DB에서 검색하는 제1인덱스DB 검색단계; 상기 제1인덱스DB 검색단계에 따라 검색된 상기 텍스트에 해당되는 제1저장위치를 제2인덱스DB에서 검색하는 제2인덱스DB 검색단계; 상기 제2인덱스DB 검색단계에 따라 검색된 상기 제1저장위치에 해당되는 제2저장위치를 데이터DB에서 검색하는 데이터DB 검색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출력단계는 상기 데이터DB 검색단계에 따라 검색된 상기 제2저장위치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ata search step includes: a first index DB search step of searching for a text input from the first index DB according to the text input step; A second index DB searching step of searching a second index DB for a first storag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text searched according to the first index DB searching step; A data DB search step of searching a data DB for a second storag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orage location searched according to the second index DB search step; The data output step may include outputt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torage location searched according to the data DB search step.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 제1인덱스DB, 제2인덱스DB 및 데이터DB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 후 정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검색하기 때문에 방대한 양의 정보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is searched after sequentially moving along the first index DB, the second index DB, and the data DB, the desired data can be searched for from a vast amount of information. It is effective to provide quickly.

또한, 제1인덱스DB는 복수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데이터의 검색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index DB is classified into and stored in a plurality of groups, the first index DB can be efficiently processed to improve the search speed of data.

그리고 데이터DB는 복수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된 정보에 해당되는 데이터의 검색속도가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data DB is classified and stored in a plurality of groups, the search speed of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is improved.

또한, 스크린을 터치함으로 인해 정보를 입력받기 때문에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를 통해 정보를 입력받을 때 발생되는 불편함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formation is received by touching the screen, there is an effect of removing the inconvenience caused when receiving information through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아울러 문장, 단어, 자막 및 가사 등이 출력되는 스크린을 터치하여 데이터를 제공받기 때문에 문장, 단어, 자막 및 가사 등이 출력되는 스크린과 데이터를 함께 확인할 수 있어서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이 가능한 편리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ata is provided by touching the screen on which the sentences, words, subtitles and lyrics are output, the screen and the data on which the sentences, words, subtitles and lyrics are output can be checked together so that the multitasking is convenient. hav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제공장치의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providing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 technical parts already know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구성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제공장치(100)는 인덱스를 이용하여 정보 및 정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신속히 검색하는 장치에 대한 기술에 관계하는데 도1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cription of an apparatus for quickly searching for information and data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by using an index,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n in FIG. 1.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제공장치(100)는 케이스(미도시), 입력부(110), 저장부(120), 제어부(130), 영상출력부(140), 음성출력부(150) 및 전원공급부(16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not shown), an input unit 110, a storage unit 120, a controller 130, an image output unit 140, an audio output unit 150, and a power supply unit ( 160) and the like.

케이스(미도시)는 본 발명의 데이터 제공장치(100)의 틀을 형성하고, 입력부(110), 저장부(120), 제어부(130), 영상출력부(140), 음성출력부(150) 및 전원공급부(160) 등을 수용하는 곳이다. 이러한 케이스(미도시)의 재질은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을 보호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지만 내구성이 뛰어나고 생산비가 저렴한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미도시)에는 본 발명의 데이터 제공장치(100)에서 표시되는 내용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영상출력부(1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case (not shown) forms a frame of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n input unit 110, a storage unit 120, a controller 130, an image output unit 140, and an audio output unit 150. And it is a place for receiving the power supply unit 160 and the like. The material of the case (not shown) may be any material as long as the material can protect the structure accommodated therein, but it is preferably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nd low production cost.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one side of the case (not shown) is opened so that the image output unit 140 which can check the contents displayed by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outside is installed.

이러한 케이스(미도시)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영상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형태면 어떠한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지만 휴대가 가능하여 손쉽게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uch a case (not shown) may be manufactured in any form as long as it can output data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40, but is portable so that information can be easily carried out. It is desirable to be made compact so that it can be input and receiv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입력부(110)는 제1정보를 입력받는 곳이다. 또한, 입력부(110)는 출력정보에서 제1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출력정보는 영상출력부(140)를 통해 스크린에 출력되는 정보로써 스크린에 출력될 수 있는 형태의 정보이면 어떠한 형태의 정보도 가능하지만 문장, 단어, 자막 및 가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정보는 문장, 단어, 자막 및 가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로 이루어지는 출력정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포함하는 텍스트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10)는 버튼, 키보드, 전자팬 및 마우스 등과 같이 제1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지만 제1정보가 편리하게 입력될 수 있도록 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제1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put unit 110 is a place for receiving first information. In addition, 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the first information from the output information. Herein, the output information is information output on the screen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40, and any type of information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information that can be output on the screen. However, the output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sentence, word, subtitle, and lyrics. It is preferable. In addition, the first information may be made of text including at least one word selected from outpu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information among sentences, words, subtitles, and lyrics. The input unit 110 may be made of anything as long as it can receive the first information, such as a button, a keyboard, an electronic fan, and a mouse. However, a person at a character or a specific loc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can conveniently enter the first information. When the hand or the object touches,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is made of a form that can receive the first information.

즉, 입력부(110)는 적외선을 방출하여 화면에 수많은 사각형 격자를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격자에 손끝이나 기타 물체가 접촉되는 경우, 접촉된 위치에 해당되는 제1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터치판넬(touch panel)로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input unit 110 emits infrared rays to form a number of rectangular grids on the screen, and when the fingertips or other objects are in contact with the grid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touch panel may receive fir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ed positions. touch panel).

또한, 입력부(110)는 영상출력부(140) 및 음성출력부(150) 등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put unit 110 may receive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image output unit 140, the audio output unit 150, and the like.

저장부(120)는 제1인덱스DB(121), 제2인덱스DB(122) 및 데이터DB(123)가 저장되어 있는 곳이다.The storage unit 120 is where the first index DB 121, the second index DB 122, and the data DB 123 are stored.

제1인덱스DB(121)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제1정보와 같은 내용의 제2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곳이다. 또한, 제1인덱스DB(121)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제1정보에 해당되는 데이터의 제1저장위치가 저장되어 있는 곳이다. 이러한 제1인덱스DB(121)에는 제1정보를 제1인덱스DB(121)에서 검색하여 제2정보를 확인하는 동시에 제1저장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2정보 및 제1저장위치가 하나의 구조체로 이루어져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index DB 121 is a place where second information having the same content as the firs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is stored. In addition, the first index DB 121 is where the first storage location of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is stored. The first index DB 12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information and the first storage location have one structure so that the first information can be retrieved from the first index DB 121 to confirm the second information and the first storage location. It is preferable to be made up and stored.

여기서 제1저장위치는 제2인덱스DB(122)에 저장된 제2저장위치의 주소를 나타내는 것이다.Here, the first storage location represents an address of the second storage location stored in the second index DB 122.

또한, 제1인덱스DB(121)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제공장치(100)의 설계 시 결정되는 알파벳 및 한글과 같은 언어의 표기에 쓰는 문자에 따라 복수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저장된 단일파일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ndex DB 121 is a set of single files that ar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and stored according to alphabets and characters used in the notation of a language such as Korean, which are determined at the time of designing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one.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제공장치(100)의 설계 시 결정되는 문자가 알파벳인 경우, 제1인덱스DB(121)는 A로 시작하는 단어들에 대한 단일파일 내지 Z로 시작하는 단어들에 대한 단일파일의 집합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haracter determined in the design of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lphabet, the first index DB 121 may be a single file to words starting with A to words starting with Z. It can consist of a set of single files for.

즉, 제1인덱스DB(121)는 A로 시작되는 단어를 묶은 파일부터 Z로 시작되는 단어를 묶은 파일까지의 집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알파벳으로 표기되는 언어는 영어인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first index DB 121 may be composed of a set of files enclosing a word beginning with A to a file enclosing a word beginning with Z. At this time, the language represented by the alphabet is preferably English.

제2인덱스DB(122)는 제2저장위치가 기록되어 있는 곳이다. 여기서 제2저장위치는 데이터DB(123)에 저장된 데이터의 주소를 나타내는 것이다.The second index DB 122 is where the second storage location is recorded. Here, the second storage location indicates the address of data stored in the data DB 123.

이러한 제2인덱스DB(122)는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저장된 단일파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index DB 122 is preferably composed of a single file stored classified into one group.

데이터DB(123)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제1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곳이다. 이때, 데이터DB(123)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는 제1정보에 대한 추가정보, 사전적 의미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정보에 대한 해설(解說)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ata DB 123 is where data about the firs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is recorded. In this case, the data recorded in the data DB 123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first information, a dictionary meaning, and the like, and preferably include a commentary on the first information. Do.

또한, 데이터DB(123)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제공장치(100)의 설계 시 결정되는 알파벳 및 한글과 같은 언어의 표기에 쓰는 문자에 따라 복수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저장된 단일파일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DB 123 may be composed of a set of single files classified and stored in a plurality of groups according to a character used in the representation of a language such as alphabet and Korean, which is determined at the time of designing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제공장치(100)의 설계 시 결정되는 문자가 알파벳인 경우, 제1인덱스DB(121)는 A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해석에 대한 단일파일 내지 Z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해석에 대한 단일파일의 집합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haracter determined in the design of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lphabet, the first index DB 121 is a word starting with a single file to Z for interpretation of words starting with A. It can consist of a set of single files for their interpretation.

즉, 데이터DB(123)는 A로 시작되는 단어의 해석을 묶은 파일부터 Z로 시작되는 단어의 해석을 묶은 파일까지의 집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알파벳으로 표기되는 언어는 영어이고, 단어의 해석은 영어단어의 해석인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data DB 123 may be configured as a set from a file binding the interpretation of a word beginning with A to a file binding the interpretation of a word beginning with Z. At this time, the language represented by the alphabet is English,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d is preferably an English word interpretation.

한편, 저장부(120)는 동영상 및 음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Meanwhile, the storage 120 may store a video and a voice.

제어부(130)는 입력부(110), 저장부(120), 영상출력부(140), 음성출력부(150) 및 전원공급부(160)를 제어하는 곳이다. 또한, 제어부(13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제1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고, 영상출력부(140) 또는 음성출력부(150)를 통해 검색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곳이다.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input unit 110, the storage unit 120, the image output unit 140, the audio output unit 150, and the power supply unit 16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searches for data about the firs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and outputs the data retrieved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40 or the audio output unit 150.

즉, 제어부(130)는 입력부(110)를 통해 제1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제1인덱스DB(121)에서 제1정보에 대한 제2정보를 검색하고 제2정보와 하나의 구조체로 이루어져 있는 제1저장위치를 제2인덱스DB(122)에서 검색한다.That is, when the first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the controller 130 searches for the secon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information in the first index DB 121, and includes the second information and one structure. The first storage location is retrieved from the second index DB 122.

이후, 제2인덱스DB(122)에서 제1정보에 대한 제2저장위치를 확인하고 데이터DB(123)에서 제1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고 영상출력부(140) 또는 음성출력부(150)를 통해 검색된 데이터를 출력한다.Thereafter, the second index DB 122 checks the second storage location for the first information, retrieves the data for the first information from the data DB 123, and outputs the image output unit 140 or the audio output unit 150. Output the data retrieved through.

또한, 제어부(13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영상출력부(140)를 통해 출력정보를 출력하고, 출력된 출력정보에서 제1정보를 입력받은 뒤, 제1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outputs the output information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40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receives the first information from the output information, and then inputs the first information. You can search for data.

즉, 제어부(130)는 출력정보에서 제1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제1인덱스DB(121)에서 제1정보에 대한 제2정보를 검색하고 제2정보와 하나의 구조체로 이루어져 있는 제1저장위치를 제2인덱스DB(122)에서 검색한다.That is, when the first information is selected from the output information, the controller 130 retrieves the secon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information from the first index DB 121 and stores the first information including the second information and one structure. The location is retrieved from the second index DB 122.

이후, 제2인덱스DB(122)에서 제1정보에 대한 제2저장위치를 확인하고 데이터DB(123)에서 제1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고 영상출력부(140) 또는 음성출력부(150)를 통해 검색된 데이터를 출력한다.Thereafter, the second index DB 122 checks the second storage location for the first information, retrieves the data for the first information from the data DB 123, and outputs the image output unit 140 or the audio output unit 150. Output the data retrieved through.

또한, 제어부(130)는 저장부(120), 영상출력부(140) 및 음성출력부(150)를 제어하여 동영상 및 음성을 재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storage 120, the image output unit 140, and the audio output unit 150 to play the video and the audio.

한편, 제어부(13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데어터 검색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data sear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영상출력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제1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곳이다. 이러한 영상출력부(140)는 입력부(110)의 터치판넬과 결합되어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mage output unit 140 outputs data for the first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The image output unit 140 is preferably made of a screen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touch panel of the input unit 110 to output data.

즉, 영상출력부(140) 및 입력부(110)는 스크린 및 터치판넬이 결합되어 출력 및 입력이 함께 이루어지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마련될 수 있다.That is, the image output unit 140 and the input unit 110 may be provided as a touch screen in which a screen and a touch panel are combined to output and input together.

또한, 영상출력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제1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출력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output unit 140 may output output information for receiving the first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또한, 영상출력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문자나 화상과 같은 정보를 전자 매체에 기록하여 서적처럼 이용할 수 있는 전자책(Electronic Book)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output unit 140 may output an electronic book that can be used as a book by recording information such as a text or an image on an electronic medium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또한, 영상출력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동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영상출력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동영상의 자막을 스크린에 함께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output unit 140 may output a video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In this case, the image output unit 140 may output the subtitles of the video together on the scre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또한, 영상출력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재생되는 음악의 가사를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mage output unit 140 may output the lyrics of the music reproduc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음성출력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제1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곳이다. 즉, 제어부(130)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는 영상출력부(140) 또는 음성출력부(15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음성출력부(150)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oice output unit 150 outputs data for the first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That is, the data retrieved by the controller 130 may be provided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40 or the audio output unit 150. The voice output unit 150 preferably includes a speaker for outputting voice.

또한, 음성출력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oice output unit 150 may output a vo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전원공급부(160)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제공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곳이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60)는 데이터 제공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가 가능하도록 소형으로 제작된 데이터 제공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베터리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wer supply unit 160 is a pla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160 may be made of any type as long as it can supply power to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00, and a battery or the like may be used to supply power to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00 which is made small so as to be portable. It is preferable to comprise.

<방법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method>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데이터 제공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제공방법에 대해 도2에 도시된 흐름도를 따라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하되,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ata providing method using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order of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2, bu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1. 출력정보 표시단계<S201>1. Output information display step <S201>

출력정보를 스크린에 표시한다.Display the output information on the screen.

이때, 스크린에 표시되는 출력정보는 문장, 단어, 자막 및 가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outpu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entences, words, subtitles, and lyrics.

2. 정보입력단계<S202>2. Information input step <S202>

단계 S201에 따라 표시된 출력정보에서 제1정보를 입력받는다.Firs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output information displayed in step S201.

이때, 입력되는 제1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포함하는 텍스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put first information may be made of text including at least one word.

또한, 제1정보는 출력정보가 표시된 스크린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포함하는 텍스트가 터치되어 입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nformation may be input by touching text including at least one word on a screen on which output information is displayed.

3. 제1인덱스DB 검색단계<S203>3. The first index DB search step <S203>

단계 S202에 따라 입력된 정보를 제1인덱스DB에서 검색한다.In step S202, the input information is retrieved from the first index DB.

4. 제2인덱스DB 검색단계<S204>4. Second index DB search step <S204>

단계 S203에 따라 검색된 제1정보에 해당되는 제1저장위치를 제2인덱스DB에서 검색한다.In step S203, a first storag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retrieved first information is retrieved from the second index DB.

5. 데이터DB 검색단계<S205>5. Data DB search step <S205>

단계 S204에 따라 검색된 제1저장위치에 해당되는 제2저장위치를 데이터DB에서 검색한다.In step S204, a second storag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retrieved first storage location is searched in the data DB.

6. 데이터 출력단계<S206>6. Data output step <S206>

단계 S205에 따라 검색된 제2저장위치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출력한다.In step S205, data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second storage location is output.

이와 같이 단일파일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제1인덱스DB 및 데이터DB와, 하나의 단일파일로 이루어진 제2인덱스DB를 통해 제1정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검색하기 때문에 방대한 양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그에 대한 데이터를 신속히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such, the first index DB and the data DB composed of a single file and the second index DB composed of a single file are searched for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formation, thereby efficiently process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ovide data about it quickly.

<적용례><Application example>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데이터 제공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제공방법의 적용례에 대해 도3에 도시된 흐름도를 따라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하되,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data providing method using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order of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3, bu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1. 문자 출력단계<S301>1. Character output step <S301>

문자로 이루어진 전자책(Electronic Book)을 스크린에 출력한다.Print an electronic book consisting of letters on the screen.

2. 텍스트 입력단계<S302>2. Text input step <S302>

전자책(Electronic Book)이 출력된 스크린의 텍스트가 터치되어 터치된 텍스트를 입력받는다.The text on the screen on which the electronic book is output is touched to receive the touched text.

3. 제1인덱스DB 검색단계<S303>3. The first index DB search step <S303>

단계 S302에 따라 입력된 텍스트를 제1인덱스DB에서 검색한다.The text input in step S302 is searched for in the first index DB.

4. 제2인덱스DB 검색단계<S304>4. Second index DB search step <S304>

단계 S303에 따라 검색된 상기 텍스트에 해당되는 제1저장위치를 제2인덱스DB에서 검색한다.In step S303, the first storag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text is searched in the second index DB.

5. 데이터DB 검색단계<S305>5. DB search step <S305>

단계 S304에 따라 검색된 상기 제1저장위치에 해당되는 제2저장위치를 데이터DB에서 검색한다.In step S304, a second storag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first storage location is searched in the data DB.

6. 데이터 출력단계<S306>6. Data output step <S306>

단계 S305에 따라 검색된 상기 제2저장위치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In step S305, data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second storage location is output.

한편, 본 발명에 대한 다른 적용례로 단계 S301은 음성출력부를 통해 재생되는 음악의 가사를 스크린에 출력하며, 단계 S302는 가사가 출력된 스크린의 텍스트가 터치되어 터치된 텍스트를 입력받는다. 이후의 단계는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여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S301 outputs the lyrics of the music played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on the screen, and in step S302, the text of the screen on which the lyrics are output is touched. Subsequent steps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will be omitted.

아울러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적용례로 단계 S301은 영상출력부를 통해 재상되는 동영상의 자막을 스크린에 출력하며, 단계 S302는 자막이 출력된 스크린의 텍스트가 터치되어 터치된 텍스트를 입력받는다. 이후의 단계는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In addition, in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S301 outputs the caption of the video reproduced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to the screen, and in step S302, the text of the screen on which the caption is output is touched. Subsequent steps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will be omitted.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only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nderstoo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described below.

100 : 데이터 제공장치
110 : 입력부
120 : 저장부
121 : 제1인덱스DB 122 : 제2인덱스DB
123 : 데이터DB
130 : 제어부 140 : 영상출력부
150 : 음성출력부 160 : 전원공급부
100: data providing device
110: input unit
120: storage unit
121: first index DB 122: second index DB
123: Data DB
130: control unit 140: image output unit
150: voice output unit 160: power supply unit

Claims (9)

입력부가 제1정보를 입력받는 정보입력단계;
제어부가 상기 정보입력단계에 따라 입력된 제1정보와 같은 내용의 제2정보를 제1인덱스DB에서 검색하는 제1인덱스DB 검색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인덱스DB 검색단계에 따라 검색된 상기 제2정보에 해당되는 제1저장위치를 제2인덱스DB에서 검색하는 제2인덱스DB 검색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인덱스DB 검색단계에 따라 검색된 상기 제1저장위치에 해당되는 제2저장위치를 데이터DB에서 검색하는 데이터DB 검색단계; 및
영상출력부 또는 음성출력부가 상기 데이터DB 검색단계에 따라 검색된 상기 제2저장위치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인덱스DB 및 상기 데이터DB는 복수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저장된 단일파일들의 집합이고,
상기 제2인덱스DB는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저장된 단일파일이고,
상기 제1인덱스DB에는 상기 제1정보를 상기 제1인덱스DB에서 검색하여 상기 제2정보를 확인하는 동시에 상기 제1저장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정보 및 상기 제1저장위치가 하나의 구조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공방법.
An information input step of receiving, by the input unit, first information;
A first index DB search step of the control unit searching for the second information having the same content as the first information inpu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put step in the first index DB;
A second index DB search step of the control unit searching a second storage DB for a first storag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formation searched according to the first index DB search step;
A data DB search step of the control unit searching a second storag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orage location searched in the second index DB search step in a data DB; And
A data output step of outputt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torage location searched according to the data DB search step; Including,
The first index DB and the data DB is a collection of single files stored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The second index DB is a single file stored classified into one group,
The first index DB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information and the first storage location are one such that the first information can be retrieved from the first index DB to confirm the second information and to identify the first storage location. Characterized in that
How to provide dat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데이터 출력단계에 따라 출력되는 데이터는 상기 단어의 해설(解說)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information is composed of at least one word,
Data output according to the data output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scription of the word (解說)
How to provide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부가 출력정보를 스크린에 표시하는 출력정보 표시단계; 및
상기 입력부가 상기 출력정보 표시단계에서 출력된 출력정보로부터 상기 제1정보를 입력받는 출력정보 입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 output information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output information on the screen by the image output unit; And
And an output information input step in which the input unit receives the first information from the output information output in the output information display step.
How to provide dat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정보 입력단계에서 상기 입력부가 입력받는 상기 제1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출력정보 입력단계는 상기 출력정보가 표시된 스크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가 터치되어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information input by the input unit in the output information input step is composed of at least one word,
In the output information input step, the at least one or more words are touched on the screen on which the output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the input unit receives the at least one or more words.
How to provide dat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0009830A 2010-02-03 2010-02-03 Method for providing data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using touch screen KR1011221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830A KR101122131B1 (en) 2010-02-03 2010-02-03 Method for providing data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using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830A KR101122131B1 (en) 2010-02-03 2010-02-03 Method for providing data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using touch 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190A KR20110090190A (en) 2011-08-10
KR101122131B1 true KR101122131B1 (en) 2012-03-07

Family

ID=44928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830A KR101122131B1 (en) 2010-02-03 2010-02-03 Method for providing data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using touch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13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190A (en)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53125C (en) Multi-window display method and system
Pavel et al. Sceneskim: Searching and browsing movies using synchronized captions, scripts and plot summaries
JP4218758B2 (en) Subtitle generating apparatus, subtitle generating method, and program
US9053098B2 (en) Insertion of translation in displayed text consisting of grammatical variations pertaining to gender, number and tense
KR20080000203A (en) Method for searching music file using voice recognition
JP2012079252A (en) Information terminal,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CN104182381A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system
Celikyilmaz et al. Resolving referring expressions in conversational dialogs for natural user interfaces
CN103631784B (en) Page content retrieval method and system
KR101567449B1 (en) E-Book Apparatus Capable of Playing Animation on the Basis of Voice Recognition and Method thereof
JP5083155B2 (en)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with dictionary function
CN102402298A (en) Pinyin input method and user word adding method and system of same
KR101122131B1 (en) Method for providing data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using touch screen
JP7229296B2 (en) Relate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system
WO2006115174A1 (en) Electronic dictionary device
KR100707727B1 (en) A portable file player
JP2016212374A (en) Voice output device, voice output method, and program
KR1026562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ssociative chinese learning contents using images
CN103678467A (en) Information display control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control method, information display control system
WO200706917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data files
TWM585415U (en) User-adapted language learning system
KR102171373B1 (en) Apparatus for korean morphemic analysis and method for the same
KR20040040960A (en) Digital study apparatus
JP2001006295A (en)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as well as information providing medium
CN102043768A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bookmarks of e-boo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