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005B1 - 램프 데스크 - Google Patents

램프 데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005B1
KR101122005B1 KR1020090094395A KR20090094395A KR101122005B1 KR 101122005 B1 KR101122005 B1 KR 101122005B1 KR 1020090094395 A KR1020090094395 A KR 1020090094395A KR 20090094395 A KR20090094395 A KR 20090094395A KR 101122005 B1 KR101122005 B1 KR 101122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segment
lamp
desks
lam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7113A (ko
Inventor
김충덕
Original Assignee
김충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덕 filed Critical 김충덕
Priority to KR1020090094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005B1/ko
Publication of KR20110037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자신과 이웃하는 데스크의 근접 결합 여부에 따라 상부패널에 배열된 다수의 램프들 중 특정 램프를 선택 점등하여 개별 학습 및 그룹 학습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램프 데스크가 제공된다. 상기 램프 데스크는, 상부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램프가 원호 선상에서 그 내부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램프 어레이를 가지며, 양 측면에는 이웃하는 세그먼트 데스크의 근접 결합을 감지하는 접근센서들이 설치되고, 프런트에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사용자 접근 감지기를 구비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세그먼트 데스크들과;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들에 설치된 사용자 접근 감지기에 의해 사용자 접근을 감지 시 해당 세그먼트 데스크에 설치된 램프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점등시키고, 상기 접근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이웃 세그먼트 데스크의 근접 결합 개수에 대응하여 해당 세그먼트 데스크에서 동일 원호 선상에 설치된 램프만을 점등시키는 램프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R1020090094395
램프 데스크, 세그먼트 데스크, 데스크 조명, 근접센서,

Description

램프 데스크{LAMP DESK}
본 발명은 조명장치가 설치된 데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웃하는 데스크의 근접 결합 여부에 따라 상부패널의 원호 선상에 이격 배열된 다수의 램프들 중 특정 램프를 선택 점등하여 개별 학습 및 그룹 학습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램프 데스크(Lamp desk)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데스크(desk)는 앉아서 책을 읽거나 글을 쓰거나 하는 등의 학습 또는 사무를 볼 때 앞에 놓고 쓰는 상으로, 학습 또는 사무 능률을 위한 형태로 디자인되고 있다. 이와 같은 데스크는 유아/아동 등의 어린이가 사용하는 경우 학습내용에 집중할 수 있도록 디자인 된다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교육 시설, 예를 들면, 유아원, 유치원, 초등학교 등의 교육 시설에 구비된 대다수의 책상은 독립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실내는 적절한 조도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실내조명의 밝기 적절하게 유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독서 등의 행위를 장시간 하는 경우 눈도 침침해지고 집중력도 떨어지게 된 다.
책상에 비추어지는 가장 좋은 빚은 자연광이며, 자연광은 사람의 기분을 좋게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밝은 곳에서 기분이 좋을 때 기억력과 집중력은 증대하다. 따라서 공부방은 낮에는 자연광이 들어오도록 채광에 신경을 쓰고, 밤에는 다소 밝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조명시설을 해줄 필요가 있다.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르면 공부방의 조명은 전체 조명과 부분 조명으로 나누어 2중 조명을 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즉, 방 전체를 밝혀주는 전체 조명과 책상의 조명을 함께 사용하라는 얘기다.
눈의 홍체는 카메라의 조리개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집중력을 높이겠다는 의도로 책상만 밝게 하고 주변을 어둡게 하면 홍체가 좁아졌다 넓어졌다 하면서 눈이 쉽게 피로해진다. 책상 스탠드는 전자파의 발생이 적고 빛 반사를 줄이는 필름이 설치된 조명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개인마다 시력의 차이가 있어서 누구에게나 맞는 조명은 없고 상대적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너무 밝고 눈이 부셔서 공부에 방해된다는 경우를 본 적이 없다. 오랜 시간을 공부할 때 눈이 침침해 지는 것을 경험한 학생들에게 지금보다 다소 밝은 조명을 설치해 준다면 집중력 향상에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조명 하나만 바꾸어도 공부의 능률이 증대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유아원, 유치원 등은 실내에서 수업하는 경우가 일반적이고 책상에는 아무런 조명장치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유아?아동의 호기심 유발 및 집중력 향상을 위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자가 책상에 근접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책상의 상부에 구비된 램프를 점등시켜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램프 데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학습자들이 집단으로 모여 있는 공간에서 이웃하는 책상들의 근접 결합에 응답하여 책상 상부에 마련된 다수의 램프 어레이로 구성된 램프를 동일한 형태로 제어하여 학습자들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갖는 램프 데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또 다른 목적은 광원을 발산하는 램프 어레이를 구비하여 이웃하는 책상간의 근접 결합에 의하여 상기 램프 어레이의 특정 램프를 동시에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아동의 학습 호기심과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램프 데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램프가 원호(圓弧 : circular arc) 선상에서 그 내부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램프 어레이를 가지며, 양 측면에는 이웃하는 세그먼트 데스크의 근접 결합을 감지하는 접근센서들이 설치되고, 프런트에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사용자 접근 감지기를 구비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세그먼트 데스크들과;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들에 설치된 사용자 접근 감지기에 의해 사용자 접근을 감지 시 해당 세그먼트 데스크에 설치된 램프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점등시키고, 상기 접근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이웃 세그먼트 데스크의 근접 결합 개수에 대응하여 해당 세그먼트 데스크에서 동일 원호 선상에 설치된 램프만을 점등시키는 램프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램프 데스크는 적어도 4개의 세그먼트 데스크로 구성되며, 4개의 세그먼트 데스크들의 모서리를 중심으로 근접 결합 되었을 때 상기 램프 데스크는 원형 데스크를 구성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의 양측면에 설치된 접근센서들 각각은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의 꼭짓점(apex)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이웃하는 세그먼트 데스크의 측면과 맞닿았을 때 스위칭 되어 근접 결합을 감지하는 푸시버튼스위치(push button switch)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의 프런트에 설치된 사용자 접근 감지기는 프런트상에 위치하는 인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에 설치된 램프 어레이는 상부패널(upper plate panel)의 내부에서 일정한 원호 선상에서 그 내부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램프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램프제어유닛은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들의 양측면에 설치된 푸시버튼스위치의 출력으로 해당 근접 결합 된 세그먼트 데스크의 개수를 검출하고, 상기 검 출된 근접 결합 개수에 따라 해당 세그먼트 데스크들에 설치된 램프 어레이의 램프 중 동일 원호 선상에 배열된 램프를 선택 점등하는 램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외부로부터 전원(power source, 예를 들면 220VAC)을 입력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램프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들에 설치된 램프 어레이에 배열된 램프 중 해당 램프에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램프 데스크는 적어도 2 이상의 세그먼트 데스크들의 상부패널에 다수의 램프들을 다수의 동심 원호 상에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의 측면에 이웃하는 세그먼트 데스크가 근접하여 결합되었을 때 이들의 근접 결합 상태의 개수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상호 근접 결합된 세그먼트 데스크의 상부패널에 배열된 램프를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그 빛이 램프 데스크의 중앙으로 모이도록 함으로써 학습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램프 데스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램프 데스크(10)를 구성하는 세그먼트 데스크의 일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램프 데스크(10)는 상부패널이 원형인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램프 데스크(10)는 4분할되어 4개의 세그먼트 데스크(11, 13, 15, 17)가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이웃하는 세그먼트 데스크(1x: 여기서 x는 1, 3, 5, 7을 의미함)의 측면에 맞닿도록 결합되어 사용될수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4개의 세그먼트 데스크(1x)들의 꼭짓점을 기준으로 양측면의 이웃하는 세그먼트 데스크(1y: 여기서 y는 1, 3, 5, 7로서 x≠y이다)가 근접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4개의 세그먼트 데스크(1x 또는 1y)들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패널(12)과 이를 지면에 지지하는 서포터(14) 및 상기 서포터(14)를 지면에서 고정하기 위한 플레이트(1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1x 또는 1y)의 상부패널(12)에는 원호 선상에서 그 내부의 중심 방향에 이격 배열된 다수의 램프(LA1~LA4)로 구성된 램프 어레이(LAMi : 여기서 i는 정수 1, 2, 3, 4이며, 이하 같다)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램프들(LA1~LA4)은 상부패널(12)에 매입되거나 매몰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유리 등으로 덮어져 있다.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1x)의 상부패널(12)의 양측면에는 이웃하는 세그먼트 데스크(1y)의 또 다른 측면이 맞닿았을 때 "턴온"되어 근접 결합을 감지하는 우측 감지기(RSS :Right Sensing Switch), 좌측감지기(LSS: Left Sensing Switch)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좌측감지기(LSS), 우측감지기(RSS)는 푸시버튼스위치로서, 상부패널(12)의 측면에 이웃하는 세그먼트 데스크(1x 또는 1y)의 측면이 맞닿았을 때 눌려져 "턴온"된다.
상기 도 1, 도 2와 같이 구성된 램프 데스크(10)는 목조, ABS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각 세그먼트 데스크들(1x 또는 1y)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에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사용자 접근 감지기(UAS : User Access sensor)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사용자 접근 감지기(UAS)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어 프런트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한다. 도 2에 도시된 각 세그먼트 데스크(1x)에 설치된 사용자 접근 감지기(UAS), 좌측감지기(LSS) 및 우측감지기(RSS)는 전방의 인체유무를 감지하거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이웃하는 세그먼트 데스크(1y)가 맞닿는 것을 감지하는 데스크 센서(SDS)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1과 같이 구성된 램프 데스크(10)의 세그먼트 데스크(1x)의 양측면에 이웃하는 세그먼트 데스크(1y)들이 결합되는 개수에 따라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1x) 및 이에 근접 결합된 세그먼트 데스크(1y)의 상부패널(12)에 설치된 램프 어레이내의 램프(LA1~LA4) 중 특정 램프가 선택적으로 점등된다.
예를 들면, 세그먼트 데스크(15)가 독립하여 있을 때는 그 상부패널(12)의 외곽에 설치된 램프(LA1)가 점등되고 두 개의 세그먼트 데스크(1x, 1y)의 측면이 근접하여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근접 결합된 두 개의 세그먼트 데스크(1x, 1y)의 상부패널(12)의 두 번째 동심 원호에 위치한 램프(LA2)가 점등된다. 즉, 세그먼트 데스크(1x)와 (1y)의 양측면에 결합된 세그먼트 데스크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점차적으로 동심(중앙) 방향으로 위치한 램프가 점등되도록 제어된다.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1x)의 상부패널(12)에 설치된 램프(LA1~LA4)의 점등은 도 3에 도시된 램프제어유닛(100)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며, 이의 동작은 하기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램프 데스크의 램프제어유닛(100)의 구체적 실시 예시도로서, 각각의 세그먼트 데스크(1x 또는 1y)의 상부패널(12)의 프런트에 설치된 사용자 접근 감지기(UAS), 상기 상부패널(12)의 좌측면에 설치된 좌측감지기(LSS) 및 상기 상부패널(12)의 우측면에 설치된 우측감지기(RSS)로 구성된 데스크 센서(SDSi : 여기서 i는 1, 2, 3, 4 중의 어느 하나를 의미함)들과, 상기 데스크 센서(SDSi)의 출력에 의해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1x 또는 1y)들의 프런트에 사용자가 있는지의 여부 및 이웃하는 세그먼트 데스크(1x 또는 1y)와의 근접 결합 상태를 검출하여 해당 세그먼트 데스크(1x 또는 1y)들의 상부패널(12)에 설치된 각각 설치된 램프 어레이(LAM1~LAM4)내의 램프(LA1~LA4) 중 특정한 램프를 점등/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램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CNT)와,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1x 또는 1y)의 상부패널(12)에 각각 설치된 램프 어레이(LAM1~LAM4)들과 상기 제어부(CNT)의 사이에 접속되며 있으며, 상기 제어부(CNT)로부터 출력되는 램프제어신호에 따라 각 세그먼트 데스크(1x 또는 1y)들의 각 상부패널(12)에 설치된 램프 어레이(LAM1~LAM4)내의 램프(LA1~LA4) 중 어느 하나에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PS)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램프 어레이(LAM1~LAM4)들 각각은 세그먼트 데스크(11, 13, 15, 17)의 각 상부패널(12)에 설치된 4개의 램프(LA1~LA4)를 의미한다.
도 3에 도시된 램프제어유닛(100)은 도 1과 같은 램프 데스크(10)를 구성하는 4개의 세그먼트 데스크(11, 13, 15, 17) 중에서 어느 하나에만 설치되며, 램프제어유닛(100)이 설치된 세그먼트 데스크(1x)를 제외한 나머지 세그먼트 데스크(1y)에는 데스크 센서(SASi)와 램프 어레이(LAM1~LAM4)만이 설치되며, 상기 각 세그먼트 데스크(1x, 1y)의 데스크 센서(SASi) 및 램프 어레이(LAM1~LAM4)는 상기 램프제어유닛(100)의 제어부(CNT)와 전원 공급부(PS)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3에서 데스크 센서(SDS1~SDS4)는 도 1의 세그먼트 데스크(11, 13, 15, 17)들의 상부패널(12)의 프런트,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에 도시된 램프 데스크(10)를 구성하는 세그먼트 데스크(11, 13, 15, 17)들이 독립적으로 있을 때와 두 개가 근접 결합되었을 때, 세 개가 근접 결합되어 있을 때 및 네 개가 근접 결합되어 있을 때 램프 데스크(10)의 상부패널(12)의 평면형상 및 각 세그먼트 데스크(1x, 1y)의 램프(LA1~LA4)의 점등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a~도 4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램프 데스크(1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램프 데스크(10)를 구성하는 4개의 세그먼트 데스크(1x 또는 1y)들이 도 4a와 같이 각각 독립하여 있고, 프런트에 사용자가 위치한 경우 각 세그먼트 데스크(1x 또는 1y)의 프런트에 설치된 사용자 접근 감지 기(UAS)는 각각의 데스크 앞에 사용자가 위치하여 있음을 감지하여 해당신호를 제어부(CNT)로 입력시킨다.
예들 들어, 세그먼트 데스크(15)의 프런트에 사용자가 위치하여 데스크 센서(SAD)내의 사용자 접근 감지기(UAS)가 해당 사용자의 감지신호를 제어부(CNT)로 출력한 경우, 제어부(CNT)는 세그먼트 데스크(15)의 프런트에 사용자가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15)의 상부패널(12)에 설치된 램프(LA3)를 점등시키기 위한 램프제어신호를 전원 공급부(PS)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전원 공급부(PS)는 상기 제어부(CNT)로부터 출력된 램프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세그먼트 데스크(15)의 상부패널(12)에 설치된 램프 어레이(LAM3) 내의 램프(LA1)에 전원전압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램프제어유닛(100)의 동작에 의하여 도 4a와 같이 세그먼트 데스크(15)의 상부패널(12)의 원호 중 외곽에 배열된 램프(LA1)만이 점등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자신에게 할당된 세그먼트 데스크(15)의 프런트에 근접함에 따라 프런트에 가장 가까운 램프(LA1)를 점등시켜 개인적인 학습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책 읽기와 같은 개인적인 활동을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램프 데스크(10)를 구성하는 또 따른 세그먼트 데스크(17)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15)의 꼭지점을 기준으로 일측면에 맞닿아 결합되면, 세그먼트 데스크(15)의 상부패널(12)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감지기(RSS)와 세그먼트 데스크(17)의 상부패널(12)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감지기(LSS)가 각각 눌려져 "턴온"된다.
상기 두 세그먼트 데스크(15, 17)에 각각 설치된 우측감지기(RSS)와 좌측감지기(LSS)가 각각 "턴온"되어 해당 감지신호가 제어부(CNT)로 공급되면, 상기 제어부(CNT)는 세그먼트 데스크(15, 17)의 측면이 맞닿아 결합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15, 17)의 상부패널(12)에 설치된 램프 어레이(LAM3, LAM4) 중 두 번째 원호 선상에 배치된 램프(LA2)만을 점등시키기 위한 램프제어신호를 전원 공급부(PS)로 공급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PS)는 제어부(CNT)로부터 출력되는 램프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세그먼트 데스크(15, 17)의 각 상부패널(12)에 배열된 램프 어레이(LAM3, LAM4)내의 램프(LA1~LA4) 중 램프(LA2)에만 전원을 공급하여 점등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램프 데스크(10)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세그먼트 데스크(1y)의 측면에 세그먼트 데스크(1y)가 근접 결합됨에 따라 상기 두 세그먼트 데스크(1x, 1y)의 상부패널(12)상에서 비추어지는 빛의 초점은 원호 선상의 외곽에서 중심방향으로 위치한 램프(LA2)로 이동되어 조명된다.
즉, 2개의 세그먼트 데스크(1x, 1y)의 좌우측이 근접 결합되었을 때 상기 두 세그먼트 데스크(1x, 1y)의 상부패널(12)에서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다수의 원호상에 배열된 다수의 램프(LA1~LA4) 중에서 결합된 두 세그먼트 데스크(1x, 1y)의 중심으로 빛의 초점을 이동시킴으로써 그룹 활동의 집중력을 높인다.
실험에 의하면, 특정한 세그먼트 데스크(1x)에 학습자가 근접하여 있는 상태에서 이웃하는 세그먼트 데스크(1y)의 사용자가 해당 세그먼트 데스크(1y)를 이웃하는 세그먼트 데스크(1x)의 측면으로 이동하여 그룹 활동을 실시할 때, 램프데스 크(10)의 빚은 센터로 움직임으로써 하나의 램프 데스크(10)에 포함된 모든 학습자들이 공통되는 그룹지역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그룹학습효율을 배가되었다.
도 4b와 같이 세그먼트 데스크(15)와 (17)이 근접 결합되어 그 상부에 배열된 램프(LA2)가 점등 된 상태에서 이들에 이웃하는 또 다른 세그먼트 데스크(13)가 도 4c와 같이 세그먼트 데스크(15)의 일측면에 근접 결합되는 경우,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15)의 데스크 센서(SDS3)의 좌측감지기(LSS)와 세그먼트 데스크(13)의 데스크 센서(SDS2)의 우측감지기(RSS)가 이들의 결합에 따라 스위칭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데스크 센서(SDS3)내의 좌측감지기(LSS), 우측감지기(RSS)는 모두 "턴온"상태를 이며, 데스크 센서(SDS2)의 우측감지기(RSS) 및 데스크 센서(SDS4)의 좌측감지기(LSS)만이 "턴온"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데스크 센서(SDSi)들의 출력을 입력하는 제어부(CNT)는 각 데스크 센서(SDSi)들 내의 좌측감지기(LSS)와 우측 감지기(RSS)의 "턴온"상태를 검출하여 3개의 세그먼트 데스크(13, 15, 17)가 도 4c와 같은 상태로 결합되었음을 쉽게 검출할 수 있다.
도 4c와 같은 상태로 3개의 세그먼트 데스크(13, 15, 17)들이 결합된 상태를 검출한 제어부(CNT)는 각 세그먼트 데스크(13, 15, 17)들의 상부패널(12)에설치된 4개의 램프(LA1~LA4) 중 3번째 원호상에 배치된 램프(LA3)만을 점등하기 위한 램프제어신호를 전원 공급부(PS)로 공급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PS)는 제어부로(CNT)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램프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각 세그먼트 데스크(13, 15, 17)의 상부패널(12)에 설치된 램프(LA3)에만 전원전압을 공급하여 도 4c와 같이 3번째 원호선상에 빛을 비추어 초점을 센터를 이동시킨다.
끝으로, 도 4d와 같이 4개의 세그먼트 데스크(11, 13, 15, 17)들의 측면이 모두 맞닿게 결합되면 도 3에 도시된 데스크 센서(SDSi)내의 모든 좌측감지기(LSS)와 우측감지기(RSS)들은 "턴온"상태로 된다. 이때, 제어부(CNT)는 4개의 세그먼트 데스크(11, 13, 15, 17)들이 모두 결합되었다고 판단하고, 4개의 세그먼트 데스크(11, 13, 15, 17)의 상부패널(12) 상에 배열된 램프(LA1~LA4) 중 가장 중심에 위치한 램프(LA4)만을 점등시키기 위한 램프제어신호를 전원부(PS)로 공급한다. 상기 전원부(PS)는 상기 제어부(CNT)로부터 출력되는 램프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각각의 세그먼트 데스크(11, 13, 15, 17)의 상부패널(12)상에 배열된 램프(LA4)에만 전원전압을 공급하여 점등시킴으로써 램프 데스크(10)의 빛은 더욱 중앙으로 이동된다.
테스트에 의하면, 아동의 학습자들이 데스크에서 그룹학습을 할 때, 의도적으로 데스크 상에 비추어지는 빛의 초점을 의도적으로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분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학습에 집중하는 효율이 높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램프 데스크(10)는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사용할 있는 4개의 세그먼트 데스크(1x 또는 1y)의 상부패널의 원호 선상에서 그 내부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램프(LA1~LA4)를 배열설치하고,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1x 또는 1y)들의 측면 근접 결합 상태에 따라 개인적인 학습(업무)를 위한 조명, 그룹 학습을 위한 조명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 군집을 이루어 학습을 지도하는 유치원, 학교 등의 교육기관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램프 데스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램프 데스크의 세그먼트 데스크의 일부분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램프 데스크의 램프제어유닛의 회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램프 데스크의 램프 점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면의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램프 데스크, 11, 13, 15, 17 : 세그먼트 데스크,
12 : 상부패널, 14 : 서포터,
16 : 플레이트, SDS1~SDS4: 데스크 센서,
CON : 제어부, PS : 전원 공급부,
LA1~LA4 : 램프. UAS : 사용자접근센서,
LSS : 좌측감지기, RSS : 우측감지기.

Claims (4)

  1. 상부패널에 조명이 비추어지는 램프 데스크에 있어서,
    상부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램프가 원호 선상에서 그 내부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램프 어레이를 가지며, 양 측면에는 이웃하는 세그먼트 데스크의 근접 결합을 감지하는 접근센서들이 설치되고, 프런트에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세그먼트 데스크들과;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들에 설치된 사용자 감지센서들에 의해 사용자 접근을 감지 시 해당 세그먼트 데스크에 설치된 램프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점등시키고, 상기 접근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이웃 세그먼트 데스크의 근접 결합 개수에 대응하여 해당 세그먼트 데스크에서 동일 원호 선상에 설치된 램프만을 점등시키는 램프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데스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의 양측면에 설치된 접근센서들 각각은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의 측면에 이웃하는 또 다른 세그먼트 데스크의 측면이 맞닿았을 때 스위칭 되어 근접 결합을 감지하는 푸시버튼스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데스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의 프런트에 설치된 사용자감지센서는 전방의 인체 유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데스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램프제어유닛은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들의 양측면에 설치된 다수의 접근센서들의 출력으로 근접 결합 된 세그먼트 데스크의 개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근접 결합 개수에 따라 해당 세그먼트 데스크들에 설치된 램프 어레이의 램프 중 동일 원호 선상에 배열된 램프를 선택 점등하는 램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램프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세그먼트 데스크들에 설치된 램프 어레이에 배열된 램프 중 해당 램프에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데스크.
KR1020090094395A 2009-10-05 2009-10-05 램프 데스크 KR101122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395A KR101122005B1 (ko) 2009-10-05 2009-10-05 램프 데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395A KR101122005B1 (ko) 2009-10-05 2009-10-05 램프 데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113A KR20110037113A (ko) 2011-04-13
KR101122005B1 true KR101122005B1 (ko) 2012-03-09

Family

ID=4404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395A KR101122005B1 (ko) 2009-10-05 2009-10-05 램프 데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0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504Y1 (ko) 2000-03-15 2000-08-16 세현물산주식회사 장식탁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504Y1 (ko) 2000-03-15 2000-08-16 세현물산주식회사 장식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113A (ko)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8692B2 (ja) 照明装置
EP1792553A2 (en) Illuminated mirror
KR20120110663A (ko) 조명 점등 장치 및 조명 제어 방법
CN101999253A (zh) 用于控制连接的消耗装置负载的用户接口设备和方法、以及使用这样的用户接口设备的光系统
US10412791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S2293214T3 (es) Metodo para controlar parametros de iluminacion, dispositivo de control, sistema de iluminacion.
US8087794B2 (en) Self-illuminating book with mode-switchable page-embedded lighting
JP2007311055A (ja) 携帯型照明装置
Jensen et al. ShadowLamp: An Ambient Display with Controllable Shadow Projection using Electrochromic Materials.
US9243764B2 (en) Luminair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uminaire
US10327299B2 (en) Lighting apparatus
KR101122005B1 (ko) 램프 데스크
JP2009238529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US20160102823A1 (en) Light-emitting panel
KR101291233B1 (ko) 조명등 노브 스위치
KR101597778B1 (ko) 다기능 베개장치
US20110205736A1 (en) Dynamic Light-Spot Pictures Generation Device
CN211352503U (zh) 一种渐变式触控氛围灯
KR101023189B1 (ko) 사용자의 제스처를 이용한 체험형 엘이디 감성 조명장치
US20070087658A1 (en) Interactive toy including transparent container
KR20130019145A (ko) 투명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KR101836885B1 (ko) 독서실 책상용 조명장치
KR200478752Y1 (ko) 다목적 보안등
KR102284242B1 (ko) 조명 장치
JP2006324138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