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482B1 - decentralized measurement system for a Bimodal Tram - Google Patents

decentralized measurement system for a Bimodal T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482B1
KR101121482B1 KR1020100065227A KR20100065227A KR101121482B1 KR 101121482 B1 KR101121482 B1 KR 101121482B1 KR 1020100065227 A KR1020100065227 A KR 1020100065227A KR 20100065227 A KR20100065227 A KR 20100065227A KR 101121482 B1 KR101121482 B1 KR 101121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odule
communication
sensor measurement
measur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2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4633A (en
Inventor
김연수
문경호
장세기
배창한
목재균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65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482B1/en
Publication of KR20120004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6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4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모달트램용 분산 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바이모달트램의 다수의 분산모듈에 설치되어 센서 계측 데이터를 측정하는 다수의 센서 계측 시스템과, 바이모달트램의 차량제어장치들의 통신 데이터를 계측하는 통신 계측 시스템과, 상기 센서 계측 시스템 및 통신 계측 시스템으로부터 계측된 센서 계측 데이터 및 통신 계측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메인 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모달트램의 분산모듈에 설치되는 각종 센서 계측시스템과 통신 계측 시스템으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서 차세대 대중교통수단인 바이모달트램의 정확한 시험 및 평가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ed measurement system for bimodal trams; A plurality of sensor measurement system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distributed modules of the bimodal tram to measure sensor measurement data, a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for measuring communication data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s of the bimodal tram, and the sensor measurement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control system for monitoring the sensor measurement data and communication measurement data measured fr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cquiring and analyzing measurement data from various sensor measuring systems and communication measuring systems installed in a distributed module of a bimodal tram in real time, accurate test and evaluation of a bimodal tram, which is a next-generation public transportation, can be performed. There is an advantage.

Description

바이모달트램용 분산 계측 시스템 { decentralized measurement system for a Bimodal Tram }Decentralized measurement system for a Bimodal Tram

본 발명은 바이모달트램용 분산 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바이모달 트램에 설치되는 각종 센서와 통신 계측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바이모달 트램에 대한 시험 및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모달트램용 분산 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ed measurement system for a bimodal tram,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test and evaluate a bimodal tram by acquiring and analyzing various sensors and communication measurement data installed in a bimodal tram in real time. A distributed measurement system for bimodal trams.

일반적으로 대중교통수단에는 지하철, 경량전철, 시내버스 등이 존재한다. 그러나 자가용 수요를 위의 대중교통수단만으로는 도로교통의 완화를 기대하기가 쉽지 않다. 수요의 이동을 위해서는 교통수단 사이에 존재하는 장벽을 없애야 하며 세 가지 대중교통의 장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퓨전모드의 대중교통 수단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지하철이나 경량전철처럼 안전 및 정시성을 갖는 운영체계에 적합하고, 전용궤도와 일반도로를 모두 주행할 수 있도록 고무차륜이 장착된 바이모달트램이 주목받고 있다.In general, public transportation includes subways, lightweight trains, and city buses. However, it is not easy to expect the easing of road traffic by public transportation alone. The shift in demand requires the elimination of barriers between transport modes and the need for a new fusion mode of public transport that can maximize the benefits of the three public transports. Therefore, bimodal trams equipped with rubber wheels, which are suitable for operating systems having safety and punctuality, such as subways or light rails, and are capable of driving both dedicated tracks and general roads, are attracting attention.

이와 같은 바이모달트램(Bimodal Tram)은 버스 유사차량에 철도 시스템 운영개념을 적용한 새로운 대중교통수단으로서, 기존의 일반도로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건설비용이 도시철도(지하철, 경전철)보다 낮고, 또한 정시성(定時性), 수송능력, 서비스를 저렴한 비용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The Bimodal Tram is a new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that applies the concept of operating the railway system to bus-like vehicles, and can use existing general roads, so the construction cost is lower than that of urban railways (subway, light rail) and on-time ( Fixed costs, transportation capacity and service can be improved at low cost.

이때, 바이모달트램은 기본적으로 2량 1편성 차량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필요에 따라 3량 1편성 또는 4량 1편성까지도 확대 운영할 수 있다. 또한 바이모달트램은 전용궤도상에서 주행하며, 필요에 따라 일반도로상에서 운행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bimodal tram is basically composed of a two-car one-piece vehicle, although not shown, can be extended to operate a three-car one-piece or four-car one-way as needed. In addition, the bimodal tram runs on a dedicated track and can be operated on a general road as needed.

이와 같은 차세대 도시대중교통수단인 바이모달트램의 차량은 하이브리드 추진, ABS 제동, AWS(All Wheel Steering), 자동운전장치 등이 복합적이고 유기적으로 결합된 시스템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The vehicle of bimodal tram, the next-generation urban public transportation, has a complex and organic combination of hybrid propulsion, ABS braking, AWS (All Wheel Steering), and automatic driving system.

따라서, 바이모달 트램이 차세대 대중교통수단으로서 적용되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져야만 하며, 특히 개발된 기술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바이모달트램의 정확한 시험 및 평가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in order to apply the bimodal tram as the next genera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a lo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have to be carried out. In particular,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technology requires the accurate test and evaluation of the bimodal tram.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이모달 트램의 시험 및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바이모달 트램에 설치되는 각종 센서들과 차량제어장치들로부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바이모달 트램의 정확한 시험 및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모달트램용 분산 계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data from various sensors and vehicle control devices installed in the bimodal tram and analyzes the bimodal tram in real time to perform the test and evaluation of the bimodal tram. Its purpose is to provide a distributed measurement system for bimodal trams that enables accurate testing and evaluation of the system.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is technical problem;

바이모달트램의 다수의 분산모듈에 설치되어 센서 계측 데이터를 측정하는 다수의 센서 계측 시스템과; 바이모달트램의 차량제어장치들의 통신 데이터를 계측하는 통신 계측 시스템과; 상기 센서 계측 시스템 및 통신 계측 시스템으로부터 계측된 센서 계측 데이터 및 통신 계측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메인 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모달트램용 분산 계측 시스템을 제공한다.A plurality of sensor measurement system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distributed modules of the bimodal tram to measure sensor measurement data; A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for measuring communication data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s of the bimodal tram; It provides a distributed measurement system for a bimodal tra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main control system for monitoring the sensor measurement data and communication measurement data measured from the sensor measurement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이때, 상기 센서 계측 시스템과 통신 계측 시스템 및 메인 제어 시스템은 스위칭 허브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ensor measurement system, the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and the main control sy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network via a switching hub.

또한, 상기 센서 계측 시스템과 통신 계측 시스템에서 상기 메인 제어 시스템에 전송되는 센서 계측 데이터와 통신 계측 데이터는 데이터 백업 장치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or measurement data and the communication measurement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or measurement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to the main control system may be stored in a data backup device.

이때, 상기 데이터 백업 장치에 저장된 센서 계측 데이터와 통신 계측 데이터는 사무실 내의 분석컴퓨터에서 분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sensor measurement data and the communication measurement data stored in the data backup devic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alysis computer in the office.

또한, 상기 센서 계측 시스템과 통신 계측 시스템은 바이모달트램의 차체1 및 차체2에 분산해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or measurement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may be provided in a vehicle body 1 and a vehicle body 2 of the bimodal tram.

이때, 상기 차체1에는 분산모듈의 위치에 따라 휠1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과, 휠2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과, 차체1실내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과, 차체1실외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과 상기 통신 계측 시스템이 구비되며, 상기 센서 계측 시스템들에서 측정된 센서 계측 데이터는 상기 메인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vehicle body 1 includes a wheel 1 module sensor measuring system, a wheel 2 module sensor measuring system, a body 1 indoor module sensor measuring system, a body 1 outdoor module sensor measuring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meas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istribution module. And sensor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sensor measurement systems are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system.

그리고, 상기 차체2에는 분산모듈의 위치에 따라 차체2실내 및 휠3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과, 차체2실외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과, ROOF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과, 엔진룸모듈1 센서 계측 시스템과, 엔진룸모듈2 센서 계측 시스템이 구비되며, 상기 센서 계측 시스템들에서 측정된 센서 계측 데이터는 상기 메인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vehicle body 2 includes a vehicle body 2 indoor and wheel 3 module sensor measuring system, a body 2 outdoor module sensor measuring system, a ROOF module sensor measuring system, an engine room module 1 sensor measuring system, and an engin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ispersion module. A room module 2 sensor measurement system is provided, and the sensor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sensor measurement systems are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system.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모달트램의 분산모듈에 설치되는 각종 센서 계측시스템과 통신 계측 시스템으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서 차세대 대중교통수단인 바이모달트램의 정확한 시험 및 평가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cquiring and analyzing measurement data from various sensor measuring systems and communication measuring systems installed in a distributed module of a bimodal tram in real time, accurate test and evaluation of a bimodal tram, which is a next-generation public transportation, can be performed.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모달트램용 분산 계측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모달트램의 분산 계측을 위한 분산모듈의 배치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휠1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휠2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체1실내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체1실외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체2실내 및 휠3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체2실외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과 ROOF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룸모듈1 센서 계측 시스템 및 엔진룸모듈2 센서 계측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계측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tributed measurement system for a bimodal t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layout view of the dispersion module for measuring the dispersion of the bimodal t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wheel 1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wheel 2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body 1 indoor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body 1 outdoor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body 2 interior and a wheel 3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body 2 outdoor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and a ROOF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ngine room module 1 sensor measurement system and an engine room module 2 sensor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이모달트램용 분산 계측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distributed measurement system for a bimodal t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이모달트램용 분산 계측 시스템은 전압강하 및 Noise를 극복하기 위하여 바이모달트램의 다수의 분산모듈에 설치한 다수의 센서 계측 시스템(100)과, 바이모달트램의 통신 데이터를 계측하는 통신 계측 시스템(200)과, 상기 센서 계측 시스템(100) 및 통신 계측 시스템(200)으로부터 계측된 센서 계측 데이터 및 통신 계측 데이터를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메인 제어 시스템(300)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distributed measurement system for bimodal tr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measurement systems 100 installed on a plurality of distributed modules of a bimodal tram and a bimodal tram to overcome a voltage drop and noise. A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200 for measuring communication data and a main control system 300 for monitoring sensor measurement data and communication measurement data measured from the sensor measurement system 100 and the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200. It is composed.

이때, 상기 센서 계측 시스템(100)과 통신 계측 시스템(200) 및 메인 제어 시스템(300)은 모두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400)를 통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바이모달트램 차량 내의 협소한 설치 장소, 전압 강하 및 Noise를 극복하기 위하여 분산 계측시스템으로 구성한다. At this time, the sensor measurement system 100, the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200 and the main control system 300 are all connected to the network through a switching hub 400, a narrow installation place in the bimodal tram vehicle In order to overcome the voltage drop and noise, it is composed of distributed measurement system.

그리고, 바이모달트램의 전원은 트램 차량용 전원(AC440V 삼상)과 외부 공급전원(AC220V 단상)을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500)를 사용하여 정전시 데이터의 보관 및 비상전원공급을 통해 안정적인 구동 및 감시 기능을 수행하며 SMPS 등의 전원장치(600)를 통해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In addition, the power of the bimodal tram can be selectively used for the tram vehicle power (AC440V three-phase) and the external power supply (AC220V single-phase), using the UPS 500 to store the data in case of power failure It performs stable driving and monitoring function through emergency power supply and converts and supplies the power to necessary power through the power supply 600 such as SMPS.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모달트램용 분산 계측 시스템은 9개의 센서 계측 시스템(100)과 1개의 통신 계측 시스템(200)으로 구성되는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10개 이상의 분산 계측시스템으로 구성함도 가능하다. Such a distributed measurement system for bimodal t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only consisting of nine sensor measurement system 100 and one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200, but composed of 10 or more distributed measurement system as needed It is also possible.

그리고, 상기 센서 계측 시스템(100)과 통신 계측 시스템(200)에서 메인 제어 시스템(300)에 전송되는 센서 계측 데이터와 통신 계측 데이터는 데이터 백업 장치(310)에 저장하고, 분석컴퓨터(320)에서 후처리(Post Processing) 프로그램과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 및 평가를 한다.
In addition, the sensor measurement data and the communication measurement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or measurement system 100 and the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200 to the main control system 300 are stored in the data backup device 310, and the analysis computer 320 Analyze and evaluate using post-processing and analysis programs.

한편,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센서 계측 시스템(100)과 통신 계측 시스템(200) 및 메인 제어 시스템(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모달트램의 차체1(10) 및 차체2(20)에 분산해서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nsor measurement system 100, the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200 and the main control system 30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ody 1 (10) and body 2 (20) of the bimodal tram as shown in FIG. It is provided by dispersing in.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차체1(10)에는 분산모듈의 위치에 따라 휠1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110)과, 휠2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120), 차체1실내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130), 차체1실외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140)과 통신 계측 시스템(200)이 구비된다. In more detail, the body 1 (10) has a wheel 1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110, the wheel 2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120, the body 1 indoor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130, the bod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ispersion module An outdoor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140 and a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200 are provided.

그리고, 차체2(20)에는 분산모듈의 위치에 따라 차체2실내 및 휠3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150), 차체2실외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160), ROOF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170), 엔진룸모듈1 센서 계측 시스템(180), 엔진룸모듈2 센서 계측 시스템(190)이 구비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ispersion module, the vehicle body 2 (20) includes the vehicle body 2 interior and wheel 3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150, the vehicle body 2 outdoor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160, the ROOF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170, and the engine room. The module 1 sensor measurement system 180 and the engine room module 2 sensor measurement system 190 are provided.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each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먼저 센서 계측 시스템(100)은 분산모듈의 각각의 설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차체1(10)의 휠1모듈에 구비되는 휠1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1모듈의 공기스프링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11)와, 공기스프링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통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12)와, 휠1모듈의 제동실린더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13)와, 브레이크라이닝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인 열전대(114)와,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을 측정하는 페달답력 센서(115)와, 바이모달트램의 주행시 진행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센서(116)와, 상기 휠1모듈에서 측정되는 다수의 센서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휠1모듈 로컬제어기(117)로 구성된다.First, the sensor measurement system 100 is present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each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ispersion module. The wheel 1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110 provided in the wheel 1 module of the vehicle body 1 10 is illustrated in FIG. 3. As described above, the pressure sensor 111 measures the pressure of the air spring of the wheel 1 module, the pressure sensor 112 measures the pressure of the air supply cylinder supplying air to the air spring, and the pressure of the brake cylinder of the wheel 1 module. Pressure sensor 113 for measuring the pressure, thermocouple 114 which is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brake lining, pedal effort sensor 115 for measuring the pedaling force of the brake pedal, and the bimodal tram in the traveling direction An acceleration sensor 116 measuring acceleration and a wheel 1 module local controller 117 collecting a plurality of sensor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wheel 1 module.

물론, 상기 휠1모듈 로컬제어기(117)로 수집되는 휠1모듈에서 측정된 센서 계측 데이터는 스위치 허브(400)를 거쳐 메인 제어 시스템(300)으로 전송된다.
Of course, the sensor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wheel 1 module collected by the wheel 1 module local controller 117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system 300 via the switch hub 400.

다음으로 차체1(10)의 휠2모듈에 구비되는 휠2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2모듈의 제동실린더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21)와, 기어박스의 토크를 측정하는 토크센서(122)와, 기어박스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회전속도센서(123)와, 트랙션모터1 및 트랙션모터2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24,125)와, 브레이크 라이닝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26)와, 상기 휠2모듈에서 측정되는 다수의 센서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휠2모듈 로컬제어기(127)로 구성된다.Next, the wheel 2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120 provided in the wheel 2 module of the vehicle body 1 10 includes a pressure sensor 121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cylinder of the wheel 2 module as shown in FIG. 4, and a gear. Torque sensor 122 for measuring the torque of the box, rotation speed sensor 123 for measur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gearbox, temperature sensors (124, 125)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traction motor 1 and traction motor 2, brake lining It consists of a temperature sensor 126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wheel, and the wheel 2 module local controller 127 for collecting a plurality of sensor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wheel 2 module.

물론, 상기 휠2모듈 로컬제어기(127)로 수집되는 휠2모듈에서 측정된 센서 계측 데이터는 스위치 허브(400)를 거쳐 메인 제어 시스템(300)으로 전송된다.
Of course, the sensor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wheel 2 module collected by the wheel 2 module local controller 127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system 300 via the switch hub 400.

다음으로 차체1(10)의 차체1실내모듈에 구비되는 차체1실내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실내의 의자의 쿠션과 등받이 및 의자바닥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센서(131,132,133)와, 차체 중앙 및 2축부위의 플로어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센서(134,135)와, 상기 차체1실내모듈에서 측정되는 다수의 센서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차체1실내모듈 로컬제어기(136)로 구성된다.Next, the body 1 indoor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130 provided in the body 1 indoor module of the body 1 10 measures vibrations of the cushion, the backrest, and the bottom of the chair in the body 1 as shown in FIG. 5. Vibration sensors (131, 132, 133), vibration sensors (134, 135) for measuring the vibration of the floor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and the two axis portion, and body 1 indoor module local controller for collecting a plurality of sensor measurement data measured in the vehicle body 1 indoor module ( 136).

물론, 상기 차체1실내모듈 로컬제어기(136)로 수집되는 차체1실내모듈에서 측정된 센서 계측 데이터는 스위치 허브(400)를 거쳐 메인 제어 시스템(300)으로 전송된다.
Of course, the sensor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vehicle body 1 indoor module collected by the vehicle body indoor module local controller 136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system 300 via the switch hub 400.

다음으로 차체1(10)의 차체1실외모듈에 구비되는 차체1실외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1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실외의 2축부위의 기어박스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센서(141)와, 2축부위 공기스프링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42)와, 기어감속기의 표면온도 및 기어박스의 윤활유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43,144)와, 상기 차체1실외모듈에서 측정되는 다수의 센서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차체1실외모듈 로컬제어기(145)로 구성된다.Next, the body 1 outdoor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140 provided in the body 1 outdoor module of the body 1 (10) is a wind speed sensor for measuring the wind speed of the gear box of the two shaft portion of the body 1 outside as shown in FIG. 141, a pressure sensor 142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the two-axis air spring, temperature sensors (143, 144) for measur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gear reducer and the lubricating oil temperature of the gearbox, and the body 1 outdoor module It consists of a vehicle body 1 outdoor module local controller 145 collecting a plurality of sensor measurement data.

물론, 상기 차체1실외모듈 로컬제어기(145)로 수집되는 차체1실외모듈에서 측정된 센서 계측 데이터는 스위치 허브(400)를 거쳐 메인 제어 시스템(300)으로 전송된다.
Of course, the sensor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vehicle body 1 outdoor module collected by the vehicle body 1 outdoor module local controller 145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system 300 via the switch hub 400.

다음으로 차체2(20)의 차체2실내 및 휠3모듈에 구비되는 차체2실내 및 휠3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1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2실내의 의자의 쿠션과 등받이 및 의자바닥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센서(151,152,153)와, 차체 중앙의 플로어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센서(154)와, 휠3의 기어박스의 토크를 특정하는 스트레인 게이지(155)와, 제동실린더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56)와, 기어박스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엔코더(157)와, 트랙션모터1과 트랙션모터2 등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58,159,159a)와, 상기 차체2실내 및 휠3모듈에서 측정되는 다수의 센서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차체2실내 및 휠3모듈 로컬제어기(159b)로 구성된다.Next, the body 2 interior and wheel 3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150 provided in the body 2 interior and the wheel 3 module of the body 2 20 is a cushion, a backrest and a chair of the chair in the body 2 interior as shown in FIG. Vibration sensors (151, 152, 153) for measuring vibration of the floor, vibration sensor (154) for measuring vibration of the floor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strain gauge (155) for specifying the torque of the gearbox of the wheel 3, pressure of the braking cylinder Pressure sensor 156 for measuring the pressure, encoder 157 for measur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gearbox, temperature sensors (158, 159, 159a)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traction motor 1 and the traction motor 2, the vehicle body 2 and The vehicle body 2 is configured to collect a plurality of sensor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wheel 3 module and the wheel 3 module local controller 159b.

물론, 상기 차체2실내 및 휠3모듈 로컬제어기(159b)로 수집되는 차체2실내 및 휠3모듈에서 측정된 센서 계측 데이터는 스위치 허브(400)를 거쳐 메인 제어 시스템(300)으로 전송된다.
Of course, the sensor measurement data measured in the vehicle body 2 and the wheel 3 module collected by the vehicle body 2 and the wheel 3 module local controller 159b are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system 300 via the switch hub 400.

다음으로 차체2(20)의 차체2실외모듈과 ROOF모듈에 구비되는 차체2실외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160)과 ROOF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17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상기 차체2실외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160)은 차체 실외에 구비되는 CNG의 연료소모량을 측정하는 질량유량계 센서(161)와, 휠3의 공기스프링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62)와, 공기스프링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통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63)와, 상기 차체2실외모듈에서 측정되는 다수의 센서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차체2실외모듈 로컬제어기(164)로 구성된다.Next, the vehicle body 2 outdoor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160 and the ROOF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170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2 outdoor module and the ROOF module of the vehicle body 2 20 are as shown in FIG. 8. That is, the vehicle body 2 outdoor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160 includes a mass flow meter sensor 161 for measuring fuel consumption of the CNG provided outside the vehicle body, a pressure sensor 162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the air spring of the wheel 3, It consists of a pressure sensor 163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the air supply cylinder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spring, and the vehicle body 2 outdoor module local controller 164 for collecting a plurality of sensor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vehicle body 2 outdoor module. .

그리고, 상기 ROOF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170)은 차체2(20)의 ROOF모듈에 구비되어 PWM 컨버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71)와, 루프박스 유닛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72)와, 상기 ROOF모듈에서 측정되는 다수의 센서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ROOF모듈 로컬제어기(173)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OOF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170 is provided in the ROOF module of the vehicle body 2 (20) and the temperature sensor 171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PWM converter, and the temperature sensor 172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roof box unit. And a ROOF module local controller 173 for collecting a plurality of sensor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ROOF module.

물론, 상기 차체2실외모듈 로컬제어기(164)와 ROOF모듈 로컬제어기(173)로 수집되는 차체2실외모듈과 ROOF모듈에서 측정된 센서 계측 데이터는 스위치 허브(400)를 거쳐 메인 제어 시스템(300)으로 전송된다.
Of course, the sensor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vehicle body 2 outdoor module and the ROOF module collected by the vehicle body 2 outdoor module local controller 164 and the ROOF module local controller 173 pass through the switch hub 400 to the main control system 300. Is sent to.

다음으로 차체2(20)의 엔진룸모듈에 구비되는 엔진룸모듈1 센서 계측 시스템(180)과 엔진룸모듈2 센서 계측 시스템(19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Next, the engine room module 1 sensor measurement system 180 and the engine room module 2 sensor measurement system 190 provided in the engine room module of the vehicle body 2 20 are as shown in FIG. 9.

즉, 엔진룸모듈1 센서 계측 시스템(180)은 차체2(20)의 엔진룸 모듈인 엔진룸의 내부 온도와 제너레이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81,182)와, 배터리팩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83)와, 상기 엔진룸 모듈에서 측정되는 다수의 센서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엔진룸모듈1 로컬제어기(184)로 구성된다.That is, the engine room module 1 sensor measurement system 180 includes temperature sensors 181 and 182 for measu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engine room which is the engine room module of the vehicle body 2 and the temperature of the generator, and the temperature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pack. A sensor 183 and an engine room module 1 local controller 184 for collecting a plurality of sensor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engine room module.

그리고, 상기 엔진룸모듈2 센서 계측 시스템(190)은 엔진룸 모듈의 배터리팩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83)와, 기어감속기의 포면온도와 기어박스의 윤활유 온도와 엔진룸의 대기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91,192,193)와, 상기 엔진룸 모듈에서 측정되는 다수의 센서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엔진룸모듈2 로컬제어기(194)로 구성된다.The engine room module 2 sensor measuring system 190 measures a temperature sensor 183 measuring a battery pack temperature of an engine room module, a surface temperature of a gear reducer, a lubricating oil temperature of a gearbox, and an atmospheric temperature of the engine room. The temperature sensor 191, 192, 193 and the engine room module 2 local controller 194 collecting a plurality of sensor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engine room module.

물론, 상기 엔진룸모듈1 로컬제어기(184)와 엔진룸모듈2 로컬제어기(194)로 수집되는 엔진룸모듈에서 측정된 센서 계측 데이터는 스위치 허브(400)를 거쳐 메인 제어 시스템(300)으로 전송된다.
Of course, the sensor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engine room module collected by the engine room module 1 local controller 184 and the engine room module 2 local controller 194 are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system 300 via the switch hub 400. do.

다음으로 통신 계측 시스템(2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모달트램에 구비되는 PLC, MDC, BMS 등의 개별장치로부터 바이모달트램 내에서의 MVB 통신부와 CAN 통신부 사이에서 메시지를 분석하고, 중재 역할을 하는 MCC(MVB to Can Converter)모듈인 MVB-CAN 통신모듈(202)과, 조향각과 굴절각의 측정항목에 대하여는 바이모달트램의 구조물에 센서의 부착이 불가하므로 기본적으로 부착 설치된 센서에서 CAN OPEN통신을 통하여 값을 받는 CAN-OPEN통신모듈(204)과, GPS와 자이로 센서의 정보를 수신하는 RS-232 통신모듈(206)과, 상기 모듈들(202,204,206)로부터 획득한 통신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통신 계측 제어기(208)로 구성된다.Next, the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200 analyzes messages between the MVB communication unit and the CAN communication unit in the bimodal tram from individual devices such as PLC, MDC, BMS, etc., which are provided in the bimodal tram as shown in FIG. The MVB-CAN communication module 202, which is an MCC (MVB to Can Converter) module that acts as an arbitration, and the measurement items of the steering angle and the deflection angle cannot be attached to the bimodal tram structure. CAN-OPEN communication module 204 receiving values through OPEN communication, RS-232 communication module 206 receiving GPS and gyro sens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easurement data obtained from the modules 202, 204, 206 are collected. It consists of the communication measurement controller 208.

이때, 상기 GPS는 위도,경도,고도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GPS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DGPS방식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에 베이스를 설치하여 운용하며, 바이모달트램의 내외부에 GPS의 안테나와 수신기를 장작하여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자이로 센서는 차체1(10)과 차체2(20)의 중심에 장착되어 차량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Pitch, Roll, Yaw 각과 각속도를 측정한다. In this case, since the GPS receives the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information and uses the DGPS method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GPS, the GPS is installed and operated outside, and the GPS antenna and receiver are mounted inside and outside the bimodal tram. Is done. The gyro sensor is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1 (10) and the vehicle body 2 (20) to measure the pitch, roll, yaw angle and angular velocity based on the center of the vehicle.

물론, 상기 통신 계측 제어기(208)로 수집되는 통신 계측 데이터는 스위치 허브(400)를 거쳐 메인 제어 시스템(300)으로 전송된다.
Of course, the communication measurement data collected by the communication measurement controller 208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system 300 via the switch hub 400.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제어 시스템(300)에서의 계측 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asurement data processing process in the main control system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먼저, 메인 제어 시스템(300)은 바이모달트램에 분산 설치한 다수의 센서 계측 시스템(100)과 통신 계측 시스템(200)으로부터 계측된 센서 계측 데이터 및 통신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여 모니터링(Monitoring)하고 데이터 백업 장치(310)에 저장한다.First, the main control system 300 collects and monitors the sensor measurement data and the communication measurement data measur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 measurement system 100 and the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200 distributed in bimodal trams. Stored in the backup device 310.

이때, 메인 제어 시스템(300)에서 구동하는 메인 제어 프로그램은 바이모달트램에 분산 설치된 센서 계측 시스템(100)과 통신 계측 시스템(200)을 통합하여 모두 제어 및 계측하고 그 계측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main control program driven by the main control system 300 integrates the sensor measurement system 100 and the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200 distributed in the bimodal tram so as to control and measure both and store the measurement data. .

또한, 메인 제어 시스템(300)에 설치된 메인 제어 프로그램은 전원 인가시 바로 동작하도록 Real-Time OS버전으로 작성된 임베디드(Embedded) 프로그램으로 제어 신호의 명령에 따라 시스템 간의 시간 동기를 맞추고, 데이터를 계측하며, TCP/IP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를 메인 제어 프로그램으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 program installed in the main control system 300 is an embedded program written in the Real-Time OS version to operate immediately upon power-on, and synchronizes time between system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command and measures data. Then, the data using TCP / IP communication is transferred to the main control program.

그리고, 메인 제어 프로그램은 전체 계측 시스템을 제어하며, 각 센서 계측프로그램에서 전송한 Data를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메인 제어 시스템(300)에 계측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측정 채널을 보정(calibration)하며, 그 결과를 화일(File)로 저장하여 보관한다. The main control program controls the entire measurement system, monitors data transmitted from each sensor measurement program, and stores measurement data in the main control system 300 when necessary. In particular, the measurement channel is calibrated, and the results are stored in a file.

또한, 메인 계측 프로그램은 하드웨어(Hardware)의 성능을 최대한 사용하며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프로그램으로 구현함으로서 사용상 용이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main measurement program maximizes the performance of the hardware and is implemented as a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program for ease of use.

이 경우 상기 메인 제어 프로그램이 수행되면 분산모듈별로 데이터를 출력하고 저장한다. In this case, when the main control program is executed, data is output and stored for each distributed module.

한편, 이와 같은 메인 제어 시스템(300)에서 처리 및 가공된 분산모듈별 센서 계측 데이터 및 통신 계측 데이터는 데이터 백업 장치(310)에 저장되며 이는 사무실 내의 분석 컴퓨터(320)에서 분석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nsor measurement data and communication measurement data for each distributed module processed and processed in the main control system 300 is stored in the data backup device 310, which is analyzed by the analysis computer 320 in the office.

이때, 상기 분석 컴퓨터(320)는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상기 센서 계측 데이터 및 통신 계측 데이터를 읽어 Data를 분석한다.
At this time, the analysis computer 320 is installed with a data analysis program to read the sensor measurement data and communication measurement data to analyze the data.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차체1 20: 차체2
100: 센서 계측 시스템 200: 통신 계측 시스템
300: 메인 제어 시스템 310: 데이터 백업 장치
320: 분석컴퓨터 400: 스위칭 허브
500: 무정전전원공급장치 600: 전원장치
10: body 1 20: body 2
100: sensor measurement system 200: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300: main control system 310: data backup device
320: analysis computer 400: switching hub
500: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600: power supply

Claims (7)

바이모달트램의 다수 분산모듈에 설치되어 센서 계측 데이터를 측정하는 다수의 센서 계측 시스템과;
바이모달트램의 차량제어장치들의 통신 데이터를 계측하는 통신 계측 시스템과;
상기 센서 계측 시스템 및 통신 계측 시스템으로부터 계측된 센서 계측 데이터 및 통신 계측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메인 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되되,
상기 센서 계측 시스템과 통신 계측 시스템은 바이모달트램의 차체1 및 차체2에서 분산해서 구비되며,
상기 차체1에는 분산모듈의 위치에 따라 휠1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과, 휠2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과, 차체1실내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과, 차체1실외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과 상기 통신 계측 시스템이 구비되며, 상기 센서 계측 시스템들에서 측정된 센서 계측 데이터는 상기 메인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모달트램용 분산 계측 시스템.
A plurality of sensor measurement system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distributed modules of the bimodal tram to measure sensor measurement data;
A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for measuring communication data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s of the bimodal tram;
And a main control system for monitoring sensor measurement data and communication measurement data measured from the sensor measurement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The sensor measuring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measuring system are provided in a vehicle body 1 and body 2 of the bimodal tram,
The body 1 includes a wheel 1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a wheel 2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a body 1 indoor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a body 1 outdoor module sensor measurement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istribution module. And the sensor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sensor measurement systems are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system.
바이모달트램의 다수 분산모듈에 설치되어 센서 계측 데이터를 측정하는 다수의 센서 계측 시스템과;
바이모달트램의 차량제어장치들의 통신 데이터를 계측하는 통신 계측 시스템과;
상기 센서 계측 시스템 및 통신 계측 시스템으로부터 계측된 센서 계측 데이터 및 통신 계측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메인 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되되,
상기 센서 계측 시스템과 통신 계측 시스템은 바이모달트램의 차체1 및 차체2에서 분산해서 구비되며,
상기 차체2에는 분산모듈의 위치에 따라 차체2실내 및 휠3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과, 차체2실외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과, ROOF모듈 센서 계측 시스템과, 엔진룸모듈1 센서 계측 시스템과, 엔진룸모듈2 센서 계측 시스템이 구비되며, 상기 센서 계측 시스템들에서 측정된 센서 계측 데이터는 상기 메인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모달트램용 분산 계측 시스템.
A plurality of sensor measurement system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distributed modules of the bimodal tram to measure sensor measurement data;
A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for measuring communication data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s of the bimodal tram;
And a main control system for monitoring sensor measurement data and communication measurement data measured from the sensor measurement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The sensor measuring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measuring system are provided in a vehicle body 1 and body 2 of the bimodal tram,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ispersion module, the vehicle body 2 includes the vehicle body 2 indoor and wheel 3 module sensor measuring system, the body 2 outdoor module sensor measuring system, the ROOF module sensor measuring system, the engine room module 1 sensor measuring system, and the engine room module. And a two sensor measurement system, wherein the sensor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sensor measurement systems are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system.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계측 시스템과 통신 계측 시스템 및 메인 제어 시스템은 스위칭 허브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모달트램용 분산 계측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sensor measuring system, a communication measuring system, and a main control system are connected to a network through a switching hub.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계측 시스템과 통신 계측 시스템에서 상기 메인 제어 시스템에 전송되는 센서 계측 데이터와 통신 계측 데이터는 데이터 백업 장치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모달트램용 분산 계측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ensor measurement data and the communication measurement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or measurement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measurement system to the main control system are stored in a data backup devic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백업 장치에 저장된 센서 계측 데이터와 통신 계측 데이터는 사무실 내의 분석 컴퓨터에서 분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모달트램용 분산 계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Distributed measurement system for bimodal tra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measurement data and communication measurement data stored in the data backup device is analyzed by an analysis computer in the off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0065227A 2010-07-07 2010-07-07 decentralized measurement system for a Bimodal Tram KR1011214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227A KR101121482B1 (en) 2010-07-07 2010-07-07 decentralized measurement system for a Bimodal Tr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227A KR101121482B1 (en) 2010-07-07 2010-07-07 decentralized measurement system for a Bimodal Tr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633A KR20120004633A (en) 2012-01-13
KR101121482B1 true KR101121482B1 (en) 2012-03-16

Family

ID=45611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227A KR101121482B1 (en) 2010-07-07 2010-07-07 decentralized measurement system for a Bimodal Tr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48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171B1 (en) * 2012-05-02 2013-06-13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Method for measuring and transmitting sensor data of rotating bod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333A (en) * 1999-03-03 2000-10-05 구자영 A monitering system and method of a railway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333A (en) * 1999-03-03 2000-10-05 구자영 A monitering system and method of a railway vehicl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2007.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633A (en) 201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Electric train energy consumption modeling
WO2016074600A1 (en) Vehicle operation monitoring, overseeing, data processing and overload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CN103129586B (en) Based on locomotive position monitoring and safety control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of track circuit
CN106774131A (en) A kind of urban track traffic energy consumption measurement control system and evaluation method
US201501790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damaged sections of a route
CN204241240U (en) A kind of safe prediction analytic system of metro vehicle bogie
CN109238753B (en) Wireless transmission monitoring system for vehicle-mounted rail transit vehicle bogie sensor
KR101198264B1 (en) sensor measuring system for a Bimodal Tram
KR101381226B1 (en) System for monitering vibration of electric train
CN204346742U (en) A kind of portable subway travelled by vehicle portion test diagnosis system
US11485393B2 (en) Vehicle control system
JP2005030370A (en) Power generation system on passing of vehicle
CN101700777B (en) Track geometric parameter measurement car
KR101121482B1 (en) decentralized measurement system for a Bimodal Tram
CN201553165U (en) Orbit geometric parameter measuring trolley
CN201820276U (en) Information displaying and recording instrument used in passenger train carriage
JP2008285118A (en) Abnormality diagnosis measuring system for railway equipment
US11318951B2 (en) Vehicle consump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RU2671796C1 (en) System of distributed control of railway for high-speed movement
JP6324682B2 (en) Maintenance vehicle
CN111695815B (en) Urban rail transit energy consumption testing and evaluating method
KR100699549B1 (en) A measurement-system of vibrate-acceleration of electromotor in electrical railway
CN1115274C (en) Tracing controller for high safety of trains
Gebauer et al. Towards autonomously driving trains on tracks with open access
CA2907387C (en) Vehicle consump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