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447B1 - 오리엔탈 나리의 소인경 비대 배지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리엔탈 나리의 소인경 비대 배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447B1
KR101121447B1 KR1020090057915A KR20090057915A KR101121447B1 KR 101121447 B1 KR101121447 B1 KR 101121447B1 KR 1020090057915 A KR1020090057915 A KR 1020090057915A KR 20090057915 A KR20090057915 A KR 20090057915A KR 101121447 B1 KR101121447 B1 KR 101121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oriental
lilium
hc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443A (ko
Inventor
최강준
고재영
홍대기
노희선
변선배
이성열
이혜경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강원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강원도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090057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4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00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18Culture media for cell or tissue culture
    • C12N5/0025Culture media for plant cell or plant tissue 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2Culture media for tissue 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6/56Liliaceae, e.g. Alstroemeria or Lilium
    • A01H6/568Lil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05Inorgan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12N2500/34Suga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리엔탈 나리의 소인경 비대 배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량요소로서 CaCl2?2H2O 510~810㎖/ℓ, KH2PO4 410~610㎖/ℓ, KNO3 1900~2900㎖/ℓ, MgSO4?7H2O 400~700㎖/ℓ 및 NH4NO3 2100~3100㎖/ℓ를 포함하고; 미량요소로서 CoCl2?6H2O 0.010~0.016㎖/ℓ, CuSO4?5H2O 0.010~0.016㎖/ℓ, Na2MoO4?2H2O 0.10~0.16㎖/ℓ, H3BO3 2.4~3.6㎖/ℓ, KI 0.32~0.52㎖/ℓ, MnSO4?4H2O 9.0~13.0㎖/ℓ 및 ZnSO4?7H2O 3.5~5.1㎖/ℓ를 포함하고; 유기영양소로서 Myo-Inositol 120~180㎖/ℓ, Nicotinic acid 0.6~0.9㎖/ℓ, Thiamine?HCl 0.1~0.2㎖/ℓ, Pyridoxine?HCl 0.6~0.9㎖/ℓ 및 Glycine 2.4~3.6㎖/ℓ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엔탈 나리의 비대 배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지는 기내 배양을 통해 소인경으로부터 조직배양구의 비대를 위해 관용적으로 사용하는 배지에 비하여, 배양기간을 줄이며, 보다 양질의 나리를 얻게 하여 나리의 생산을 통한 이윤창출을 가능케 한다.
오리엔탈 나리, 소르본느 품종, 소인경 기내 비대 배지, Fe-EDTA, 수크로오즈(sucrose)

Description

오리엔탈 나리의 소인경 비대 배지조성물{In vitro media components for fast growth of some oriental lily bulblets}
본 발명은 오리엔탈 나리의 소인경 기내 비대 배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량요소로서 CaCl2?2H2O 510~810㎖/ℓ, KH2PO4 410~610㎖/ℓ, KNO3 1900~2900㎖/ℓ, MgSO4?7H2O 400~700㎖/ℓ 및 NH4NO3 2100~3100㎖/ℓ를 포함하고; 미량요소로서 CoCl2?6H2O 0.010~0.016㎖/ℓ, CuSO4?5H2O 0.010~0.016㎖/ℓ, Na2MoO4?2H2O 0.10~0.16㎖/ℓ, H3BO3 2.4~3.6㎖/ℓ, KI 0.32~0.52㎖/ℓ, MnSO4?4H2O 9.0~13.0㎖/ℓ 및 ZnSO4?7H2O 3.5~5.1㎖/ℓ를 포함하고; 유기영양소로서 Myo-Inositol 120~180㎖/ℓ, Nicotinic acid 0.6~0.9㎖/ℓ, Thiamine?HCl 0.1~0.2㎖/ℓ, Pyridoxine?HCl 0.6~0.9㎖/ℓ 및 Glycine 2.4~3.6㎖/ℓ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엔탈 나리의 비대 배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백합(오리엔탈 나리)과는 과온대와 열대의 산지에서 많이 자란다. 여러해살이풀이 많고 뿌리줄기, 알줄기, 덩이줄기, 비늘줄기 등이 있으며 원줄기는 때로 덩굴성이거나 꽃자루 모양으로 잎이 없으며 비늘 같은 잎이 달리기도 한다. 잔가지는 때로 잎처럼 되거나, 뿌리에 달린 잎과 줄기에 달린 잎이 있으며 보통 어긋나고 육질로 된 것도 있다. 대개 홑잎이며 평행맥이지만 때로 그물맥이거나 잎자루가 덩굴손같이 되기도 한다. 백합과의 꽃은 단성화이거나 양성화이며 방사대칭이고 총상꽃차례나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화피조각은 보통 6개이며 2줄로 늘어선다. 바깥화피조각은 작거나 녹색이어서 꽃받침의 형태를 띠기도 하며 6개의 화피가 붙어 있기도 한다. 수술은 화피조각의 수와 같고 항상 화피조각과 마주 늘어서며 때로는 화피조각에 달린다. 꽃밥은 2실로서 세로로 갈라진다. 씨방은 상위, 중위, 또는 하위로서 3개의 심피(心皮)로 되고 떨어진 것도 있으나 대개 붙어 있다. 밑씨는 대부분 여러 개이다. 열매는 장과(漿果)이거나 삭과(殼果)이며 때로 심피가 일찍 떨어지고 종자가 드러나는 것도 있다. 종자에 배젖이 있다. 이 과에 속하는 대부분의 식물들은 곤충이 화분을 매개한다. 백합과는 장식용의 원예식물로 많이 쓰며 양파, 부추, 마늘 등 흔히 식용하는 식물이 많다. 250속(屬) 4,000종(種)으로 구성되고 한국에는 29속 123종이 있다. 전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백합(오리엔탈 나리)은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 백합속(Lilium) 식물을 총칭하는 말로, 주로 햇볕이 직접 쬐지 않는 숲이나 수목의 그늘 또는 북향의 서늘한 곳에서 자란다.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이거나 바소꼴인데 때로 돌려난다. 꽃은 크고 화피갈래조각은 6개로 떨어져 나며 내면에 밀구(蜜溝)가 있다. 수술은 6개이고 꽃 밥은 T자형으로 달린다. 삭과는 납작한 종자이며, 종자의 수명은 보통 3년이다. 가을에 심는 구근초로 북반구의 온대에 70~100종이 있다. 특히 동아시아에는 종류가 풍부하며 아름다운 꽃이 피는 것이 많다. 옛날부터 세계 각지에서 진귀하게 여겨왔으며 개량하여 좋은 품종을 많이 길러냈다. 땅속의 비늘줄기는 채소로 쓴다.
상기 오리엔탈 나리의 무병 조직배양구 생산을 위해서는 기내 소인경의 비대배양 과정이 필요한데 기존의 관용적인 소인경 비대를 위한 배양에는 MS배지(Murashige & Skoog Medium)에 sucrose만 6~9%로 증액하여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그러할 경우 구근의 둘레(구주)가 4cm정도까지 비대되는 데는 2번의 계대배양을 하거나 배지를 첨가하는 방법이 요구되어 왔는바, 오리엔탈 나리 품종의 소인경을 단기간내에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배지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리엔탈 나리의 기내 소인경 비대 배지개발을 위해, 배양기간별 소모되는 영양성분을 분석하였고 성분별 다양한 조성량에 따른 소인경 비대를 기간별로 분석함으로써 최적의 소인경 비대를 위한 배지조성을 결정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오리엔탈 나리(백합)의 배지조성물에 있어서, 대량요소로서 CaCl2?2H2O 510~810㎖/ℓ, KH2PO4 410~610㎖/ℓ, KNO3 1900~2900㎖/ℓ, MgSO4?7H2O 400~700㎖/ℓ 및 NH4NO3 2100~3100㎖/ℓ를 포함하고; 미량요소로서 CoCl2?6H2O 0.010~0.016㎖/ℓ, CuSO4?5H2O 0.010~0.016㎖/ℓ, Na2MoO4?2H2O 0.10~0.16㎖/ℓ, H3BO3 2.4~3.6㎖/ℓ, KI 0.32~0.52㎖/ℓ, MnSO4?4H2O 9.0~13.0㎖/ℓ 및 ZnSO4?7H2O 3.5~5.1㎖/ℓ를 포함하고; 유기영양소로서 Myo-Inositol 120~180㎖/ℓ, Nicotinic acid 0.6~0.9㎖/ℓ, Thiamine?HCl 0.1~0.2㎖/ℓ, Pyridoxine?HCl 0.6~0.9㎖/ℓ 및 Glycine 2.4~3.6㎖/ℓ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엔탈 나리의 비대 배지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지는 기내 배양을 통해 소인경으로부터 조직배양구의 비대를 위해 관용적으로 사용하는 배지에 비하여, 배양기간을 줄이며, 보다 양질의 나리를 얻게하여 나리의 생산을 통한 이윤창출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은 오리엔탈 나리(백합)의 배지조성물에 있어서, 대량요소로서 CaCl2?2H2O 510~810㎖/ℓ, KH2PO4 410~610㎖/ℓ, KNO3 1900~2900㎖/ℓ, MgSO4?7H2O 400~700㎖/ℓ 및 NH4NO3 2100~3100㎖/ℓ를 포함하고; 미량요소로서 CoCl2?6H2O 0.010~0.016㎖/ℓ, CuSO4?5H2O 0.010~0.016㎖/ℓ, Na2MoO4?2H2O 0.10~0.16㎖/ℓ, H3BO3 2.4~3.6㎖/ℓ, KI 0.32~0.52㎖/ℓ, MnSO4?4H2O 9.0~13.0㎖/ℓ 및 ZnSO4?7H2O 3.5~5.1㎖/ℓ를 포함하고; 유기영양소로서 Myo-Inositol 120~180㎖/ℓ, Nicotinic acid 0.6~0.9㎖/ℓ, Thiamine?HCl 0.1~0.2㎖/ℓ, Pyridoxine?HCl 0.6~0.9㎖/ℓ 및 Glycine 2.4~3.6㎖/ℓ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엔탈 나리의 비대 배지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리엔탈 나리는 소르본느 품종의 소인경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배지조성물은 Fe-EDTA(FeSO4?7H2O 23~33㎖/ℓ 및 Na2EDTA 32~42㎖/ℓ)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배지조성물은 수크로오즈(sucros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배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오리엔탈 나리(백합)를 비대하게 배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오리엔탈 나리의 비대 배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오리엔탈 나리를 비대하게 배양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오리엔탈 나리의 무병 조직배양구 생산을 위해서는 기내 소인경의 비대배양 과정이 필요한데, 이 기내 소인경의 급속비대를 위한 배지 성분 및 성분량에 관한 배지 개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관용적인 소인경 비대를 위한 배양에는 MS 배지(Murashige & Skoog Medium)에 sucrose만 6~9%로 증액하여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그러할 경우 구근의 둘레(구주)가 4cm정도까지 비대되는 데는 2번의 계대배양을 하거나 배지를 재차 첨가하는 방법을 사용하여야 하고, 비대되는 기간도 6~7개월정도 소요되는바, 본 발명자는 상기의 단점을 개선하여 1회 계대배양으로 3~4개월에 원하는 구주 4cm이상의 기내 구근을 생산할 수 있는 소인경 비대배지를 개발하였다. 배지개발을 위하여 오리엔탈 나리의 품종별 배양기간에 따른 양분 소모량을 분석하였고, 다양한 성분량에 따른 비대를 조사하여 오리엔탈 나리의 기내 비대에 적합한 배지 조성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오리엔탈 나리(백합)의 배지조성물은 대량요소로서 CaCl2?2H2O 510~810㎖/ℓ, KH2PO4 410~610㎖/ℓ, KNO3 1900~2900㎖/ℓ, MgSO4?7H2O 400~700㎖/ℓ 및 NH4NO3 2100~3100㎖/ℓ를 포함하고; 미량요소로서 CoCl2?6H2O 0.010~0.016㎖/ℓ, CuSO4?5H2O 0.010~0.016㎖/ℓ, Na2MoO4?2H2O 0.10~0.16㎖/ℓ, H3BO3 2.4~3.6㎖/ℓ, KI 0.32~0.52㎖/ℓ, MnSO4?4H2O 9.0~13.0㎖/ℓ 및 ZnSO4?7H2O 3.5~5.1㎖/ℓ를 포함하고; 유기영양소로서 Myo-Inositol 120~180㎖/ℓ, Nicotinic acid 0.6~0.9㎖/ℓ, Thiamine?HCl 0.1~0.2㎖/ℓ, Pyridoxine?HCl 0.6~0.9㎖/ℓ 및 Glycine 2.4~3.6㎖/ℓ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지조성물은 대량요소로서 CaCl2?2H2O 610~710㎖/ℓ, KH2PO4 460~560㎖/ℓ, KNO3 2350~2450㎖/ℓ, MgSO4?7H2O 500~600㎖/ℓ 및 NH4NO3 2550~2650㎖/ℓ를 포함하고; 미량요소로서 CoCl2?6H2O 0.012~0.014㎖/ℓ, CuSO4?5H2O 0.012~0.014㎖/ℓ, Na2MoO4?2H2O 0.12~0.14㎖/ℓ, H3BO3 3.0~3.2㎖/ℓ, KI 0.41~0.43㎖/ℓ, MnSO4?4H2O 11.0~11.4㎖/ℓ 및 ZnSO4?7H2O 4.2~4.4㎖/ℓ를 포함하고; 유기영양소로서 Myo-Inositol 140~160㎖/ℓ, Nicotinic acid 0.7~0.8㎖/ℓ, Thiamine?HCl 0.1~0.2㎖/ℓ, Pyridoxine?HCl 0.7~0.8㎖/ℓ 및 Glycine 2.8~3.2㎖/ℓ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지조성물은 대량요소로서 CaCl2?2H2O 660㎖/ℓ, KH2PO4 510㎖/ℓ, KNO3 2400㎖/ℓ, MgSO4?7H2O 555㎖/ℓ 및 NH4NO3 2600㎖/ℓ를 포함하고; 미량요소로서 CoCl2?6H2O 0.013㎖/ℓ, CuSO4?5H2O 0.013㎖/ℓ, Na2MoO4?2H2O 0.13㎖/ℓ, H3BO3 3.1㎖/ℓ, KI 0.42㎖/ℓ, MnSO4?4H2O 11.2㎖/ℓ 및 ZnSO4?7H2O 4.3㎖/ℓ를 포함하고; 유기영양소로서 Myo-Inositol 150㎖/ℓ, Nicotinic acid 0.75㎖/ℓ, Thiamine?HCl 0.15㎖/ℓ, Pyridoxine?HCl 0.75㎖/ℓ 및 Glycine 3.0㎖/ℓ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리엔탈 나리는 소르본느 품종의 소인경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배지조성물은 Fe-EDTA(FeSO4?7H2O 23~33㎖/ℓ 및 Na2EDTA 32~42㎖/ℓ)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지조성물은 Fe-EDTA(FeSO4?7H2O 27.6~28.0㎖/ℓ 및 Na2EDTA 37.1~37.5㎖/ℓ)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지조성물은 Fe-EDTA(FeSO4?7H2O 27.8㎖/ℓ 및 Na2EDTA 37.3㎖/ℓ)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배지조성물은 수크로오즈(sucros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지조성물은 수크로오즈(sucrose)를 110g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배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오리엔탈 나리(백합)를 비대하게 배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배양방법은 상기 제조된 배지조성물에 나리를 통상의 배지에서 배양하는 방법으로 배양시키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오리엔탈 나리의 소인경 비대 배지의 제조
대량요소로서 CaCl2?2H2O 660㎖/ℓ, KH2PO4 510㎖/ℓ, KNO3 2400㎖/ℓ, MgSO4?7H2O 555㎖/ℓ 및 NH4NO3 2600㎖/ℓ; 미량요소로서 CoCl2?6H2O 0.013㎖/ℓ, CuSO4?5H2O 0.013㎖/ℓ, Na2MoO4?2H2O 0.13㎖/ℓ, H3BO3 3.1㎖/ℓ, KI 0.42㎖/ℓ, MnSO4?4H2O 11.2㎖/ℓ 및 ZnSO4?7H2O 4.3㎖/ℓ; 및 유기영양소로서 Myo-Inositol 150㎖/ℓ, Nicotinic acid 0.75㎖/ℓ, Thiamine?HCl 0.15㎖/ℓ, Pyridoxine?HCl 0.75㎖/ℓ 및 Glycine 3.0㎖/ℓ를 혼합하여 배지를 준비하고, Fe-EDTA(FeSO4?7H2O 27.8㎖/ℓ 및 Na2EDTA 37.3㎖/ℓ); 및 수크로오즈(sucrose)를 110g 더 추가하여 배지를 제조하였다(B-4).
<실시예 2-16> 오리엔탈 나리의 소인경 비대 배지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구성과 같은 구성성분을 가진 배지를 제조하되, 그 구성성분들의 함량만을 달리하여 배지를 제조하였다(이하 표 1 및 표 2 참조).
[표 1] (단위 : ㎖, 당류의 경우는 g)
구분 성분 실시예 2(A-1) 실시예 3(A-2) 실시예 4(A-3) 실시예 5(A-4) 실시예 6(B-1) 실시예 7(B-2) 실시예 8(B-3)


대량
요소
(Macro-
element)
CaCl2?2H2O 660 660 660 660 660 660 660
KH2PO4 255 340 425 510 255 340 425
KNO3 2400 2400 2400 2400 2400 2400 2400
MgSO4?7H2O 555 555 555 555 555 555 555
NH4NO3 2600 2600 2600 2600 2600 2600 2600




미량
요소
(Micro-
element)

CoCl2?6H2O 0.013 0.013 0.013 0.013 0.013 0.013 0.013
CuSO4?5H2O 0.013 0.013 0.013 0.013 0.013 0.013 0.013
Na2MoO4?2H2O 0.13 0.13 0.13 0.13 0.13 0.13 0.13
H3BO3 3.1 3.1 3.1 3.1 3.1 3.1 3.1
KI 0.42 0.42 0.42 0.42 0.42 0.42 0.42
MnSO4?4H2O 11.2 11.2 11.2 11.2 11.2 11.2 11.2
ZnSO4?7H2O 4.3 4.3 4.3 4.3 4.3 4.3 4.3

유기
영양소(Organic- element)
Myo-Inositol 150 150 150 150 150 150 150
Nicotinic acid 0.75 0.75 0.75 0.75 0.75 0.75 0.75
Thiamine?HCl 0.15 0.15 0.15 0.15 0.15 0.15 0.15
Pyridoxine?HCl 0.75 0.75 0.75 0.75 0.75 0.75 0.75
Glycine 3.0 3.0 3.0 3.0 3.0 3.0 3.0

Fe-EDTA
FeSO4?7H2O 27.8 27.8 27.8 27.8 27.8 27.8 27.8
Na2EDTA 37.3 37.3 37.3 37.3 37.3 37.3 37.3
당류 sucrose 90 90 90 90 110 110 110
[표 2] (단위 : ㎖, 당류의 경우는 g)
구분 성분 실시예 9(C-1) 실시예 10(C-2) 실시예
11(C-3)
실시예 12(C-4) 실시예 13(D-1) 실시예 14(D-2) 실시예 15(D-3) 실시예 16(D-4)


대량
요소
(Macro-
element)
CaCl2?2H2O 660 660 660 660 660 660 660 660
KH2PO4 255 340 425 510 255 340 425 510
KNO3 3360 3360 3360 3360 3360 3360 3360 3360
MgSO4?7H2O 555 555 555 555 555 555 555 555
NH4NO3 3640 3640 3640 3640 3640 3640 3640 3640




미량
요소
(Micro-
element)

CoCl2?6H2O 0.013 0.013 0.013 0.013 0.013 0.013 0.013 0.013
CuSO4?5H2O 0.013 0.013 0.013 0.013 0.013 0.013 0.013 0.013
Na2MoO4?2H2O 0.13 0.13 0.13 0.13 0.13 0.13 0.13 0.13
H3BO3 3.1 3.1 3.1 3.1 3.1 3.1 3.1 3.1
KI 0.42 0.42 0.42 0.42 0.42 0.42 0.42 0.42
MnSO4?4H2O 11.2 11.2 11.2 11.2 11.2 11.2 11.2 11.2
ZnSO4?7H2O 4.3 4.3 4.3 4.3 4.3 4.3 4.3 4.3

유기
영양소(Organic- element)
Myo-Inositol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Nicotinic acid 0.75 0.75 0.75 0.75 0.75 0.75 0.75 0.75
Thiamine?HCl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Pyridoxine?HCl 0.75 0.75 0.75 0.75 0.75 0.75 0.75 0.75
Glycine 3.0 3.0 3.0 3.0 3.0 3.0 3.0 3.0

Fe-EDTA
FeSO4?7H2O 27.8 27.8 27.8 27.8 27.8 27.8 27.8 27.8
Na2EDTA 37.3 37.3 37.3 37.3 37.3 37.3 37.3 37.3
당류 sucrose 90 90 90 90 110 110 110 110
<비교예 1> 오리엔탈 나리의 소인경 MS 배지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구성과 같은 구성성분을 가진 MS 배지를 제조하되, 그 함량만을 이하와 같이 달리하여 배지를 제조하였다.
대량요소로서 CaCl2?2H2O 440㎖/ℓ, KH2PO4 170㎖/ℓ, KNO3 1900㎖/ℓ, MgSO4?7H2O 370㎖/ℓ 및 NH4NO3 1650㎖/ℓ; 미량요소로서 CoCl2?6H2O 0.025㎖/ℓ, CuSO4?5H2O 0.025㎖/ℓ, Na2MoO4?2H2O 0.25㎖/ℓ, H3BO3 6.2㎖/ℓ, KI 0.83㎖/ℓ, MnSO4?4H2O 22.3㎖/ℓ 및 ZnSO4?7H2O 8.6㎖/ℓ; 및 유기영양소로서 Myo-Inositol 100㎖/ℓ, Nicotinic acid 0.5㎖/ℓ, Thiamine?HCl 0.1㎖/ℓ, Pyridoxine?HCl 0.5㎖/ℓ 및 Glycine 2.0㎖/ℓ를 혼합하여 배지를 준비하고, Fe-EDTA(FeSO4?7H2O 27.8㎖/ℓ 및 Na2EDTA 37.3㎖/ℓ); 및 수크로오즈(sucrose)를 30g 더 추가하여 MS 배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오리엔탈 나리의 소인경 MS 배지의 제조
상기 비교예 1의 구성과 같은 구성성분을 가진 MS 배지를 제조하되, 수크로오즈(sucrose) 함량만을 60g으로 첨가하여 MS 배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오리엔탈 나리의 소인경 MS 배지의 제조
상기 비교예 1의 구성과 같은 구성성분을 가진 MS 배지를 제조하되, 수크로오즈(sucrose) 함량만을 90g으로 첨가하여 MS 배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배양기간에 따른 소인경 기내 비대 및 배지 조성 변화 분석
1차적으로 오리엔탈 나리인 소르본느 품종의 기내 소인경 비대 배지 개발을 위해서 관용적인 기존 배지(MS 배지)(상기 배지에는 수크로오즈가 농도 9%로 포함되어 있었다.)를 이용하여 배양하였을 경우 배양기간에 따른 생육 상황 및 기간별 배지 조성 변화를 분석하여 특정 성분들의 소모가 많다는 것을 확인하여 배지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확보하였다. 이하 표 3은 배양기간별 기내 생육 상황을 나타내고, 표 4는 배양기간별 배지 조성 변화를 나타낸다(도 1-5 참조).
[표 3]
Figure 112009039133226-pat00001
[표 4]
Figure 112009039133226-pat00002
<실험예 2> 소인경 비대 배지개발을 위한 미량요소 성분량 결정
기내 조직배양에서 미량요소는 성분 및 농도를 3가지 농도처리(이하의 표 5 및 6의 처리 1은 MS배지 기준 미량요소의 0.5배 함량, 처리 2는 MS배지 기준 미량요소의 1배 함량 및 처리 3은 MS배지 기준 미량요소의 1.5배 함량을 나타낸다.)에 따라 소인경 비대시험을 한 결과, 미량요소의 농도에 따라서 소인경 비대에는 큰 영향이 없어 비용절감에 따라 조성 농도를 0.5배로 결정하였다. 이하 표 5는 미량요소 변화에 따른 기내 생육 상황을 나타내며, 표 6은 미량요소 변화에 따른 배지 조성 변화를 나타낸다.
[표 5]
Figure 112009039133226-pat00003
[표 6]
Figure 112009039133226-pat00004
<실험예 3> 소인경 비대 배지개발을 위한 유기영양소 결정
기내 조직배양에서 유기영양소는 성분 및 농도를 3가지 농도처리(이하의 표 7 및 8의 처리 1은 MS배지 기준 유기영양소의 0.5배 함량, 처리 2는 MS배지 기준 유기영양소의 1배 함량 및 처리 3은 MS배지 기준 유기영양소의 1.5배 함량을 나타낸다.)에 따라 소인경 비대시험을 한 결과, 유기영양소의 농도에 따라서 소인경 비대에는 큰 영향이 없어 조성 농도를 1.5배로 결정하였다. 이하 표 7은 유기영양소 변화에 따른 기내 생육 상황을 나타내며, 표 8은 유기영양소 변화에 따른 배지 조성 변화를 나타낸다.
[표 7]
Figure 112009039133226-pat00005
[표 8]
Figure 112009039133226-pat00006
<실험예 4> 소인경 비대 배지개발을 위한 대량 요소 성분량 결정
기내 소인경의 비대를 위한 대량 요소 성분량 결정을 위하여 대량 5요소에 대한 16종류의 농도별 시험을 수행하였고(실시예 1-16의 배지 이용), 대조를 위하여 MS 배지에 sucrose 농도를 3, 6, 9%를 병행하여 조직배양 비대시험을 수행하였 다(비교예 1-3의 배지 이용). 특히 기간별 배지성분의 변화를 기반으로 KH2PO4의 농도를 고농도로 처리하였고, CaCl2?H2O, KNO3, MgSO4?7H2O, NH4NO3의 농도로 높게 처리하였다. 시험처리한 결과는 통계처리를 통해 유의성 검정을 수행하여 B-4배지(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를 소인경 비대배지로 선별하고 GO-2로 명명하였다. 선발배지는 기존의 관행 배지와 대비했을때 구주는 약 14%, 구중은 약 71.4% 증가한 우수한 구근을 생산할 수 있었다(이하 표 9 참조).
[표 9]
Figure 112009039133226-pat00007
본 발명의 배지는 나리(백합)의 구근 생산의 처음단계인 기내 조직배양구 비대를 위한 배양에 있어서 비대 기간 단축 및 계대배양 횟수를 단축함으로써 재료비 및 인건비 등 경영비를 줄일 수 있어 원예산업의 가치창출에 일조하며, 궁극적으로는 국가의 산업발전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MS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한 소르본느의 배양기간별 기내 생육 상황(구주와 생체중)을 나타낸다.
도 2는 MS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한 소르본느의 배양기간별 기내 생육 상황을 사진으로 사진으로 나타낸다.
도 3은 MS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한 소르본느의 배양기간별 EC와 NH4-N의 조성변화를 나타낸다.
도 4는 MS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한 소르본느의 배양기간별 K와 NO3-N의 조성변화를 나타낸다.
도 5는 MS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한 소르본느의 배양기간별 PO4-P와 SO4-S를 나타낸다.

Claims (5)

  1. 소르본느 품종의 오리엔탈 나리 소인경 배지조성물에 있어서,
    대량요소로서 CaCl2?2H2O 510~810㎖/ℓ, KH2PO4 410~610㎖/ℓ, KNO3 1900~2900㎖/ℓ, MgSO4?7H2O 400~700㎖/ℓ 및 NH4NO3 2100~3100㎖/ℓ를 포함하고; 미량요소로서 CoCl2?6H2O 0.010~0.016㎖/ℓ, CuSO4?5H2O 0.010~0.016㎖/ℓ, Na2MoO4?2H2O 0.10~0.16㎖/ℓ, H3BO3 2.4~3.6㎖/ℓ, KI 0.32~0.52㎖/ℓ, MnSO4?4H2O 9.0~13.0㎖/ℓ 및 ZnSO4?7H2O 3.5~5.1㎖/ℓ를 포함하고; 유기영양소로서 미오-이노시톨(Myo-Inositol) 120~180㎖/ℓ, 니코틴산(Nicotinic acid) 0.6~0.9㎖/ℓ, 티아민?HCl(Thiamine?HCl) 0.1~0.2㎖/ℓ, 피리독신?HCl(Pyridoxine?HCl) 0.6~0.9㎖/ℓ 및 글리신(Glycine) 2.4~3.6㎖/ℓ를 포함하고; Fe-EDTA(FeSO4?7H2O 23~33㎖/ℓ 및 Na2EDTA 32~42㎖/ℓ)를 포함하고; 수크로오즈(sucrose) 110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엔탈 나리의 비대 배지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제1항의 배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소르본느 품종의 오리엔탈 나리의 소인경을 비대하게 배양하는 방법.
KR1020090057915A 2009-06-26 2009-06-26 오리엔탈 나리의 소인경 비대 배지조성물 KR101121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915A KR101121447B1 (ko) 2009-06-26 2009-06-26 오리엔탈 나리의 소인경 비대 배지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915A KR101121447B1 (ko) 2009-06-26 2009-06-26 오리엔탈 나리의 소인경 비대 배지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443A KR20110000443A (ko) 2011-01-03
KR101121447B1 true KR101121447B1 (ko) 2012-03-15

Family

ID=43609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915A KR101121447B1 (ko) 2009-06-26 2009-06-26 오리엔탈 나리의 소인경 비대 배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4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118B1 (ko) * 2012-05-16 2014-10-0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인공 씨감자 배양용 고형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원-스텝 인공 씨감자 배양 방법
CN102939900B (zh) * 2012-11-22 2014-01-29 北京市农林科学院 诱导ot型百合花药获得(双)单倍体植株的方法及其培养基
KR101881305B1 (ko) * 2016-06-03 2018-07-26 한국 한의학 연구원 지황 기내 배양묘 및 종근 생산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황의 대량 생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식물조직배양학회지, 제28권, 제6호, 제341-346면 (2001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443A (ko) 2011-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Khayri et al. Advances in date palm (Phoenix dactylifera L.) breeding
Çömlekçioğlu et al. Review on the research carried out on in vitro androgenesis of peppers (Capsicum annuum L.) in Turkey
Kapczyńska Effect of bulb size on growth, flowering and bulb formation in lachenalia cultivars.
CN113100055A (zh) 一种抗寒切花型跨亚属澳洲睡莲的育种方法
Curuk et al.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Cyclamen sp. grown naturally in Turkey: Part II
Islam et al. Effect of potato extract on in vitro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local Vanda roxburgii orchid
KR101121447B1 (ko) 오리엔탈 나리의 소인경 비대 배지조성물
Daneshvar Royandazagh Efficient approaches to in vitro multiplication of Lilium candidum L. with consistent and safe access throughout year and acclimatization of plant under hot-summer Mediterranean (Csa Type) climate.
CN102630464B (zh) 杏黄兜兰的繁殖方法
Gebremeskel et al. Genotypic difference in growth and yield related traits of onion (Allium Cepa L.) varieties at southern tigray
KR101106206B1 (ko) 오리엔탈 나리의 소인경 비대 배지조성물
Saini et al. Interspecific crossing between yam species (Dioscorea rotundata and Dioscorea bulbifera) through in vitro ovule culture
CN101524034A (zh) 一种晚熟红叶冬桃的繁育方法
Medza Mve et al. In vitro micropropagation of Jatropha curcas L. from bud aggregates
Smitha et al. Effect of TDZ on direct shoot regeneration from whole male inflorescence of four diploid banana cultivars from South India
Uyanık et al. Effect of grafting method and time on grafting success in Anatolian chestnut (Castanea sativa Mill.)
Muda et al. Sugar palm (Arenga pinnata Wurmb Merr.): a review on plant tissue culture techniques for effective breeding
Jitsopakul et al. Interspecific and intergeneric hybrids of Aerides species with Rhynchostylis coelestis Rchb. f. and germination of hybrid seeds in vitro
CN105152693A (zh) 一种延长昙花花期的育苗营养液及其制备方法
CN110122136A (zh) 一种各色系茶树品种混合种植的方法及其应用
CN105052705B (zh) 一种应用于昙花的育苗液体及其制备方法
CN110547188A (zh) 一种杏的授粉技术方案
Royandazagh Efficient approaches to in vitro multiplication of Lilium candidum L. with consistent and safe access throughout year and acclimatization of plant under hot-summer Mediterranean (Csa Type) climate
Farahani Growth, flowering and fruiting in vitro pineapple (Ananas comosus L.) in greenhouse conditions
Sakhidin et al. Indole-3-acetic acid, 1-amino cyclopropane-1-carboxylic acid, and carbohydrate in relation to fruit drop on mango tr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