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356B1 - 무선 노드 오토 리셋 기능 - Google Patents

무선 노드 오토 리셋 기능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356B1
KR101120356B1 KR1020107003435A KR20107003435A KR101120356B1 KR 101120356 B1 KR101120356 B1 KR 101120356B1 KR 1020107003435 A KR1020107003435 A KR 1020107003435A KR 20107003435 A KR20107003435 A KR 20107003435A KR 101120356 B1 KR101120356 B1 KR 101120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on
communication link
automation component
communicatio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1840A (ko
Inventor
제프리 디. 나스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인더스트리,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인더스트리, 인크. filed Critical 지멘스 인더스트리, 인크.
Publication of KR2010004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1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digital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빌딩 자동화 시스템 내의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이 기술된다. 이 방법은 제1 자동화 컴포넌트와 제2 자동화 컴포넌트 간의 통신 링크를 설치하는 단계와, 제2 자동화 컴포넌트에서 통신 링크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와, 통신 링크의 검출된 변화에 반응하여 제2 자동화 컴포넌트에 리셋 기능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빌딩 자동화 시스템이 기술된다. 이 시스템은 제1 자동화 컴포넌트와, 통신 링크에 의해 제1 자동화 컴포넌트와 통신하는 제2 자동화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제2 자동화 컴포넌트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메모리와 통신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리셋 기능을 더 포함하고, 리셋 기능은 통신 링크의 변화에 반응하여 활성화된다.

Description

무선 노드 오토 리셋 기능 {WIRELESS NODE AUTO-RESET FUNC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빌딩 자동화 시스템 내에서 유무선 빌딩 자동화 컴포넌트를 자동으로 리셋(reset)하고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빌딩 자동화 시스템(BAS)은 전형적으로, 난방, 환기 및 공기 조화(HVAC) 시스템, 보안 서비스, 화재 시스템 등과 같은 구조물 내의 서비스 및 요소를 통합하고 제어한다. 통합되고 제어된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프로세스 특정 컨트롤러, 센서, 액추에이터, 또는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분산되거나(distributed) 유선 연결되는(wired) 다른 장치를 내장하는 1개 이상의 플로어 레벨 네트워크(FLNs; floor level networks) 내에 배열되고 조직화된다. 플로어 레벨 네트워크는 구조물의 특정 플로어 또는 리전(region)에 일반적인 제어를 제공한다. 예컨대, 플로어 레벨 네트워크는 플로어 또는 리전 내에 요소 또는 서비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1개 이상의 컨트롤러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RS-485 호환성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이어서, 컨트롤러는 플로어 또는 리전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배치되는(deployed) 예컨대 온도 센서(RTS)와 같은 센서로부터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 입력(input)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컨트롤러에 제공되는 입력, 판독값(reading) 또는 신호는 물리적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 표시일 수도 있다. 온도 표시는 미리 정해진 설정 포인트(set-point)를 향해 댐퍼, 가열 요소, 냉각 요소, 또는 다른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거나 조정하기 위해 컨트롤러에 의해 실행되는 비례-적분 제어 루틴(proportional-integral control routine)과 같은 프로세스 제어 루틴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플로어 레벨 네트워크 내에서 작동하는 1개 이상의 컨트롤러에 제공되는 온도 표시, 센서 판독값, 및/또는 액추에이터 위치와 같은 정보는 예컨대, 제어 어플리케이션, 루틴 또는 루프(loop), 좌표 시간 기반 활성도 스케쥴(coordinate time-based activity schedule), 모니터 우선 기반 오버라이드(override) 또는 경보를 수행하고 필드 레벨 정보를 기술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빌딩 레벨 네트워크(BLN) 또는 자동화 레벨 네트워크(ALN)로 통신될 수도 있다. 따라서, 빌딩 레벨 네트워크 및 포함된 플로어 레벨 네트워크는 원격 감독, 원격 제어, 통계학적 분석 및 다른 높은 레벨 기능성을 허용하기 위해 분산된 액세스(access) 및 프로세싱을 시스템에 제공하는 선택적 관리 레벨 네트워크(MLN)에 통합될 수도 있다. BAS 구성 및 조직화와 관련된 추가 정보와 일례들이 2006년 10월 31일자로 출원되어 동시 계류중인 미국특허출원 제11/590,157호(2006P18573 US)와, 2004년 8월 8일자로 출원되어 동시 계류중인 미국특허출원 제10/915,034호(2004P13093 US)에 개시되어 있고, 이들 출원의 내용이 모든 목적을 위해 참조로 본원에 포함된다.
IEEE 802.15.4/지그비(ZigBee)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장치와 같은 무선 장치는 추가 배선 또는 설치 비용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빌딩 자동화 시스템의 제어 체계 내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전 기능 장치(FFD; full function device)와 축소 기능 장치(RFD; reduced function device)와 같은 지그비 준수(ZigBee-compliant) 장치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 내에 장치 네트(net) 또는 메쉬(mesh)를 제공하기 위해 상호 연결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전 기능 장치는 플로어 레벨 네트워크의 플로어 또는 리전에 대해 특유한 제어 루틴(control routine)을 실행하고/실행하거나 다른 전 기능 장치와의 피어 투 피어(peer-to-peer) 연결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프로세싱 파워(processing power)로 설계된다. 따라서, 전 기능 장치들 각각은 허브 앤 스포크(hub and spoke) 장치에서 축소 기능 장치들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할 수도 있다. 전술된 온도 센서와 같은 축소 기능 장치는 연결된 전 기능 장치로 직접적으로 정보를 통신하고 특정 태스크(task)(들)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제한된 프로세싱 파워로 설계된다.
빌딩 자동화 시스템 내에서 작동하는 유무선 장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결점(fault), 오류 또는 다른 사고로 인해 가끔 프리즈(freeze)되거나 록업(lock-up)될 수도 있다. 빌딩 자동화 시스템 내의 이러한 프리즈되거나 작동되지 않는 장치는 제어가 완전히 실행될 수 없는 정보, 모니터링 및 통신 두절(dead) 또는 블라인드 스팟(blind spot)을 야기한다.
본 발명은 빌딩 자동화 시스템(BAS) 내에서 작동하는 유무선 장치들 및/또는 자동화 컴포넌트를 리셋하고 제어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은 노드, 리전, 플로어 레벨 네트워크(FLN) 등 내에서 작동하는 유선 또는 무선 자동화 컴포넌트와 같은 정기적 폴링(polling) 또는 쿼링(querying)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쿼리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정해진 기준(criterion)에 기초하여 장치들 중 하나 이상에서 리셋 기능을 개시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빌딩 자동화 시스템 내에서 무선 통신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제1 자동화 컴포넌트와 제2 자동화 컴포넌트 간의 통신 링크를 설치하는(establishing) 단계와, 제2 자동화 컴포넌트에서 통신 링크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와, 통신 링크의 검출된 변화에 반응하여 제2 자동화 컴포넌트에 리셋 기능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빌딩 자동화 시스템이 개시된다. 빌딩 자동화 시스템은 제1 자동화 컴포넌트와, 통신 링크에 의해 제1 자동화 컴포넌트와 통신하는 제2 자동화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제2 자동화 컴포넌트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메모리와 통신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리셋 기능을 추가로 포함하고, 리셋 기능은 통신 링크의 변화에 반응하여 활성화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화 컴포넌트가 개시된다. 자동화 컴포넌트는 리셋 기능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와, 메모리와 통신하고 리셋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와,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통신 신호를 프로세서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포트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수신된 통신 신호의 변화에 반응하여 리셋 기능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성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서 설명되고 이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제공되는 교시, 시스템 및 방법은 빌딩 자동화 시스템(BAS) 내에서 자동화 컴포넌트들을 리셋하고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 내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노드(node)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빌딩 자동화 시스템 내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유선 노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논의된 실시예들은 자동화 컴포넌트, 무선 장치 및 트랜스시버(transceiver)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필드 패널 트랜스시버(FPX; field panel transceiver)로서 실행될 수도 있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 personal area network) 코디네이터(coordinator)와, 플로어 레벨 장치 트랜스시버(FLNX)로서 실행되는 전 기능 장치(FFD)와, 빌딩 자동화 시스템(BAS)에 이용될 수도 있는 무선 실내 온도 센서(WRTS)로서 실행되는 축소 기능 장치(RFD)와 같은, IEEE 802.15.4/지그비 준수 자동화 컴포넌트일 수도 있다. 본원에 식별된 장치는 본원에 개시된 교시를 구현하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 내에서 통합되고 이용될 수도 있는 트랜스시버, 무선 장치 및 자동화 컴포넌트의 일례로서 제공되고, 본원에서 논의되고 청구된 교시 및 장치의 유형, 기능성 및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1. 시스템 개요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고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는 일 예시적인 빌딩 자동화 시스템은 지멘스 빌딩 테크놀로지스, 인크.(Siemens Building Technologies, Inc.)에 의해 제공되는 상표명 APOGEE? 시스템이다. APOGEE? 시스템은 지그비 표준 및/또는 지그비 인증(certified) 무선 장치 또는 자동화 컴포넌트에 준수되는 IEEE 802.15.4 무선 통신뿐만 아니라, RS-485 유선 통신, 이더넷, 독점 및 표준 프로토콜을 실행할 수도 있다. 지그비 표준, 독점 프로토콜 또는 다른 표준은 낮은 데이터율(data rate)을 이용할 수도 있고/있거나 저전력 소비를 필요로 할 수도 있는 엠베디드 어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s)에서 통상적으로 실행된다. 또한, 지그비 표준 및 프로토콜은, 빌딩 자동화와 같은 산업 제어 및 센싱 어플리케이션에 적절할 수도 있는 저렴하고 자기 조직적인 메쉬 네트워크(mesh network)를 달성하기에 적절하다. 따라서, 지그비 표준 또는 프로토콜에 준수하여 구성되는 APOGEE? 시스템과 같은 빌딩 자동화 시스템은 개별 무선 장치가 유한 배터리 충전 시에 연장된 시간 동안에 작동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한된 전력량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IEEE 802.15.4/지그비 준수 자동화 컴포넌트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장치는 예컨대 RS-232 연결, RJ11 연결, RJ45 이더넷 호환 포트, 및/또는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연결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들 유무선 장치 또는 자동화 컴포넌트는 개별 무선 트랜스시버 또는 다른 통신 주변 기기를 포함하거나 접속하도록(interface) 구성될 수도 있어서, 유선 장치가 전술된 무선 프로토콜 또는 표준에 의해 빌딩 자동화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게 한다. 다르게는, 개별 무선 트랜스시버는 예컨대 802.11x 프로토콜(802.11a, 802.11b ... 802.11n 등)과 같은 제2 통신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을 허용하기 위해 IEEE 802.15.4/지그비 준수 자동화 컴포넌트와 같은 무선 장치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들 예시적인 유선, 무선 장치는 장치의 구성 가능한 특성에 액세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BAS의 요소들과 다른 장치들 간의 통신을 달성하거나 조정(troubleshoot)할 수 있게 하는 웹 기반 인터페이스 스크린과 같은 인간-기계 인터페이스(MMI; man-machine interface)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여기에 제공된 교시, 시스템 및 방법을 통합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빌딩 자동화 시스템 또는 제어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제어 시스템(100)은 모듈식 이큅먼트 컨트롤러(MEC; modular equipment controller)(106) 및 복수의 터미널(104)과 같은 하나 이상의 컨트롤러와 통신하는 자동화 레벨 네트워크(ALN) 또는 관리 레벨 네트워크(MLN)와 같은 제1 네트워크(102)를 포함한다. 모듈식 이큅먼트 컨트롤러 또는 컨트롤러(106)는 플로어 레벨 네트워크(FLN)와 같은 제2 네트워크(108)에 제1 네트워크(102)를 결합시킬 수도 있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장치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네트워크(108)는 [자동화 컴포넌트(110a 내지 110f)로 개별적으로 식별되는] 빌딩 자동화 컴포넌트(110)와 연결시키거나 상호연결시키는 유선 네트워크(12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106) 또는 제2 네트워크(108)는 무선 빌딩 자동화 컴포넌트(112)에 추가로 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빌딩 자동화 컴포넌트(112)는 자동화 컴포넌트(112a 내지 112f)로 개별적으로 식별되는 무선 장치일 수도 있다. 자동화 컴포넌트(112e 및 112f)는 상호연결된 무선 노드(114)를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제어 시스템(100)은 메쉬 네트워크 또는 서브넷(118; subnet)을 달성하도록 구성되는 자동화 컴포넌트(116)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구성 가능한 터미널 이큅먼트 컨트롤러(TEC; terminal equipment controller)와 같은 자동화 컴포넌트(116a 내지 116g)는 제2 네트워크(108)와 제어 시스템(100)과 메쉬 네트워크(118) 내의 다른 장치들 간에 정보를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협력한다. 예컨대, 자동화 컴포넌트(116a 내지 116g)는 도면부호 120으로 총괄하여 나타내어진 전 기능 장치, 축소 기능 장치, 또는 상호연결된 장치 각각에 할당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에 어드레싱되는(addressed) 메세지를 전송함으로써, 메쉬 네트워크(118) 내에서 다른 컴포넌트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제2 네트워크(108)와 통신하는 자동화 컴포넌트(112e 및 112f)와, 메쉬 네트워크(118)를 형성하는 자동화 컴포넌트(116 내지 116g)는 제어 시스템(100) 내에서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예컨대, 자동화 컴포넌트(112, 116)는 필드 패널(120; field panel), 제2 네트워크(108), 하나 이상의 컨트롤러들(106), 또는 제어 시스템(100)의 터미널(104) 또는 다른 컴포넌트가 서로 간에 하나 이상의 통신 링크를 달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통신 링크는 자동화 컴포넌트(110, 112, 116), 모듈식 이큅먼트 컨트롤러(106), 필드 패널(120) 및/또는 터미널(104) 중 하나 이상 간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연결을 나타낼 수도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통신 링크라는 용어는 제어 시스템(100) 내의 장치들 간에 통신되는 정보, 신호, 메세지 또는 쿼리를 칭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통신 링크라는 용어는 제어 시스템(100)에서 작동하는 장치들 간의 통신을 소통시키는 매체 또는 방법을 칭할 수도 있다. 예컨대, 통신 링크는 장치 간의 물리적 와이어 또는 케이블 연결, 또는 장치들 간에 달성되는 무선 연결을 칭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 링크는 이들 실시예들의 조합을 칭할 수도 있다. 따라서, 통신 링크는 예컨대 (a) 장치들 간의 유선 연결, 또는 (b) 장치들 간의 무선 연결을 칭할 수도 있는데, 이들 두 경우에 신호, 쿼리 또는 메세지는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시간 간격 또는 기간으로 하나의 장치로부터 또 다른 장치로 전달된다.
자동화 컴포넌트라는 용어는 제어 시스템(1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작동하거나 통신하는 임의의 장치를 칭하고 설명하는데 일반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자동화 컴포넌트는 전 기능 장치, 축소 기능 장치, 무선 장치, 유선 장치, 터미널 또는 랩톱 컴퓨터, 및/또는 제어 시스템(100) 내에서 제어 루틴, 모니터링 기능 또는 다른 빌딩 또는 플로어 레벨 작동을 작동시키거나 실행시키는 임의의 컨트롤러일 수도 있다.
제어 시스템(100) 내에서 작동하는 모든 장치들을 포함하는 자동화 컴포넌트는 메모리 또는 저장 매체와 통신하는 인텔 펜티엄 클래스 프로세서(INTEL? PENTIUM class processor)와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거나 설계될 수도 있다. 메모리 또는 저장 매체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또는 플래쉬 가능하거나(flashable) 플래쉬 불가능한(non-flashable)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일 수도 있다. 일 구성에 있어서, 자동화 컴포넌트는 고레벨 기능성과 저레벨 기능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자동화 컴포넌트의 저레벨 기능성은 온도 또는 유동(flow) 판독값, 레포팅(reporting) 또는 모니터링 장치 상태, 또는 상당한 프로세싱 파워 및/또는 용량을 포함하지 않는 다른 기능의 측정 및 저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달리, 자동화 컴포넌트의 고레벨 기능성은 저레벨 기능성에 의해 수집되고 제공되는 측정값 또는 다른 데이터의 분석, 제어 시스템(100) 내에서 작동하는 다른 자동화 컴포넌트 또는 장치와의 통신, 및/또는 제어 루틴의 실행을 포함할 수도 있다.
Ⅱ. 시스템 제어 및 기능
작동 시에, 제어 시스템(100)은 수집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고, 빌딩 공간을 제어, 모니터링 및 조절하도록 설계되는 제어 전략을 실행하기 위해, 구성된 자동화 컴포넌트들과 통신한다. 가끔, 자동화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은 예컨대 하드웨어 결점, 무선 네트워크 스택(stack)의 오버플로우(overflow) 및/또는 무선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 결점으로 인해 제어 시스템(100) 내에서 작동하는 다른 자동화 컴포넌트와의 통신을 록업하거나, 프리즈하거나, 다르게는 중단할 수도 있다. 이들이 발생하여, 정보, 신호 또는 다른 통신 링크가 달성되거나 전달될 수 없는 제어 시스템(100) 내에서 데드 스폿(dead spot)을 유발한다. 작동되지 않거나 프리즈된 자동화 컴포넌트가 무반응 조건 또는 상태의 검출 시에 자동으로 리셋하거나 재시작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제어 또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스템 또는 기능성은 제어 시스템(100)의 전체 성능을 증가시키고, 서비스 요청의 수와 빈도를 감소시키고, 복잡한 시스템을 발생시킬 수도 있는 알려지지 않고 예견할 수 없는 다수의 문제를 안전 장치(fail-safe)에 제공한다.
도 2는 기능하지 않거나 록업된 자동화 컴포넌트(200)의 검출 시에 또는 그에 응답하여 오토-리셋(auto-reset)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노드(114)의 하나의 일례를 도시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자동화 컴포넌트는 자동화 컴포넌트(110, 112 및 116)와 같은 임의의 축소 기능 장치(RFD)와, 필드 패널 트랜스시버(FPX), 플로어 레벨 장치 트랜스시버(FLNX) 및 다른 네트워크 장치로서 실행될 수도 있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 코디네이터와 같은 임의의 전 기능 장치(FFD)일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자동화 컴포넌트(200)는 프로세서(204)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202)를 포함한다. 메모리(202)는 컴포넌트의 고레벨 기능성과 관련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 또는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제1 메모리부(20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메모리부(206)는 무선 트랜스시버(210)에 의한 통신과 관련되거나 이에 필수적인 태스크, 명령, 포로토콜 및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메모리는 컴포넌트의 저레벨 기능성 또는 더 낮은 레벨 기능성과 관련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 또는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제2 메모리부(208)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자동화 컴포넌트(200)가 무선 실내 온도 센서인 경우에, 제2 메모리부(208)는 예컨대, 온도 판독값을 수집하고 수집된 판독값을 저장하는데 필요한 코드 및 명령을 저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자동화 컴포넌트(212)는 통신 링크(214)에 의해 자동화 컴포넌트(200)와 통신할 수도 있다. 도 2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 링크(214)는 자동화 컴포넌트(212)와 통신하는 무선 트랜스시버(216)와 무선 트랜스시버(210)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를 나타낼 수도 있다. 다르게는, 통신 링크(214)는 2개의 컴포넌트들 사이에서 통신하는 수집된 온도 판독값과 같은 정보를 나타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화 컴포넌트(200)는 자동 리셋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제2 메모리부(208)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의 발생 또는 하나 이상의 미리 정해진 조건의 충족 시에 오토매틱(automatic) 또는 오토-리셋 기능을 실행하도록 유도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으로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정상 작동 동안에, 본 경우에서 무선 필드 패널(FPX)와 같은 전 기능 장치일 수 있는 자동화 컴포넌트(212)는 마스터 장치(master device)로서 작동할 수도 있으며, 본 경우에서 슬레이브(slave) 장치로 작동하고 있을 수도 있는 터미널 이큅먼트 제어(TEC)와 같은 임의의 네트워크 장치일 수도 있는 자동화 컴포넌트(200)를 규칙적으로 폴하거나 쿼리할 수 있다. 예컨대, 폴 또는 쿼리는 상태 요청(status request), 값 요청 변경, 간이 네트워크(simple network) 또는 IP 핑(ping) 또는 임의의 다른 통신일 수도 있다. 마스터 자동화 컴포넌트(212)로부터 전송된 동일한 쿼리가 무선 노드(114) 내에서 작동하는 다수의 슬레이브 자동화 컴포넌트(200)로 유도되거나 이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다.
오토-리셋 기능은 프로세서(204) 및 제2 메모리부(208)에 의해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오토-리셋 기능의 위치, 저장 및 실행은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프리즈 또는 록업될 가능성을 최소화하도록 결정되거나 선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오토-리셋 기능은 제1 메모리부(206)에서 실행되는 고레벨 기능성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로부터 기능을 고립시키거나 격리시키는 시도로 저레벨 장치 기능성의 일부인 제2 기능부(208)에서 실행된다. 다르게 말하면, 프로세서(204)와 협력하여 작동하는 제1 메모리부(206)가 고레벨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기능 중 하나 이상에 대해 프리즈 또는 록업을 경험하는 경우에, 오토-리셋 기능은 프로세서(204) 및 제2 메모리부(208)와 함께 작동하는 저레벨 기능으로 여전히 실행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마스터 자동화 컴포넌트(212)로부터의 폴 또는 쿼리는 규칙적인 시간 설정 간격으로 슬레이브 자동화 컴포넌트(200)로 통신 링크(214)에 의해 통신될 수도 있다. 슬레이브 자동화 컴포넌트(200)는 프로세서(204) 및/또는 제2 메모리부(208)의 일부로서 실행되는 타이머 기능(도시 안됨)을 포함할 수도 있다. 타이머는 폴 또는 쿼리의 수신 시에 단지 리셋되거나 재시작되는 카운트다운(countdown)으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마스터 자동화 컴포넌트(212)는 예컨대 자동화 컴포넌트(200)에 의해 제공되는, 측정되거나 계산된 값 또는 변수가 변경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값 업데이트의 변화 및 요청하는 슬레이브 자동화 컴포넌트(200)에 쿼리를 전송할 수도 있고, 쿼리는 무선 트랜스시버(210)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고 제2 메모리부(208)에서 작동하는 오토-리셋 루틴 및/또는 타이머로 제1 메모리부(206)에서 작동하는 고레벨 기능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쿼리의 수신은 오토-리셋 기능이 비활성으로 남아있도록 타이머를 리셋 또는 재시작하도록 작동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1 메모리부(206)가 록업되거나 프리즈되거나, 무선 트랜스시버가 비활성되거나 작동될 수 없기 때문에 폴 또는 쿼리가 오토-리셋 기능 및/또는 타이머에 수신되거나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타이머는 제로(0)까지 카운트다운되고 오토-리셋 기능을 활성화한다. 오토-리셋 기능의 활성화에 의해, 록업되거나 프리즈되거나 다르게 비활성화된 기능성을 회복하고 무선 노드(114)와 마스터 자동화 컴포넌트(212)와의 통신을 회복하려는 노력으로 슬레이브 자동화 컴포넌트(200)가 재시작되고 다시 초기화된다.
도 3은 자동화 컴포넌트(212) 및 자동화 컴포넌트(200)가 통신 링크(214)에 의해 무선 통신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자동화 컴포넌트(200)는 다른 자동화 컴포넌트가 연결될 수도 있는 간단하게는 무선 트랜스시버 릴레이(relay) 또는 허브, 축소 기능 장치, 또는 전 기능 장치일 수도 있다. 예컨대, 자동화 컴포넌트(220)는 무선 기능이 없이 실내 온도 센서(RTS)일 수도 있다. 자동화 컴포넌트(220)는 통신 링크(222)를 통해 자동화 컴포넌트(200)에 배선 접속되거나(hard wired) 연결될 수도 있어서, 이에 의해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자동화 컴포넌트(220)를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 오토-리셋 기능 또는 기능성은 자동화 컴포넌트(220)에서 작동될 수도 있다.
자동화 컴포넌트(220)는 쿼리, 값 요청 변경, 재시작 명령, 또는 자동화 컴포넌트(212) 및/또는 자동화 컴포넌트(200)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제어되거나 리셋되는 타이머 또는 카운트다운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자동화 컴포넌트(200)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식으로 작동할 수도 있고, 통신 링크(222)에 의해 자동화 컴포넌트(220)에 동일한 쿼리를 간단히 제공하거나 제공하는 것을 실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자동화 컴포넌트(212)에 의해 제공되는 동일한 폴 또는 쿼리의 존재 또는 부존재는 두 자동화 컴포넌트들(200, 220)의 오토-리셋 기능성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르게는, 자동화 컴포넌트(200)는 프로세서(204) 및 제2 메모리부(208)와 협력하여 작동 가능한 킵-얼라이브(keep-alive)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킵-얼라이브 기능은 안에서 실행하는 오토-리셋 기능과 관련되는 타이머를 개시하기 위해 자동화 컴포넌트(220)에 시간 설정된 펄스 또는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킵-얼라이브 기능은 통신 링크(22)에 의해 자동화 컴포넌트(220)에 연속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자동화 컴포넌트(200) 내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또는 부분에 기인하는 실패, 록업 또는 프리즈로 인해 연속 신호가 불능으로 되거나(disabled) 결여되었다면(absent), 연속 신호의 결여는 자동화 컴포넌트(220) 내에서 오토-리셋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트리거(trigger)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자동화 컴포넌트(200)는 오토-리셋 기능이 안에서 작동 가능하다면 활성화 및 타이머 기능의 만료에 응답하여 리셋되거나 재시작되었을 수도 있다. 신호와 다른 정보의 통신이 통신 링크(214, 222)에 의해 자동화 컴포넌트(200)를 통해 양방향으로 소통하고(flow); 정보 또는 쿼리가 예컨대 자동화 컴포넌트(212)인 마스터 장치로부터, 예컨대 자동화 컴포넌트(200) 또는 자동화 컴포넌트(220)인 슬레이브 장치들 중 하나 이상으로 라운드-트립(round-trip)을 만들 때, 장애(disruption), 문제(problem) 등이 검출될 수도 있다.
자동화 컴포넌트(200, 212 및 220) 중 하나 이상 내에서 작동 가능한 오토 리셋 기능과 관련된 변수 및/또는 기능성은 예컨대 무선 툴(TLX; wireless tool) 또는 임의의 다른 스크립트 에디팅 프로그램(script editing program)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툴은 노드가 진행하고 있었던 최종 리셋 이래의 시간 양 및/또는 리셋된 횟수에 대해 개별 자동화 컴포넌트를 결정하거나 쿼리하기 위해, 자동화 컴포넌트들(200, 212 및 220) 중 하나 이상 내에서 타이머와 관련되는 오토-리셋 타임아웃 값(auto-reset timeout value)을 에디팅(edit)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 기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은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이들 구성의 요소들은 시스템 요구사항, 성능 요구사항 및 다른 바람직한 성능에 따라 임의의 공지된 방식으로 배열되고 교환될 수 있다. 잘 이해된 변경 및 변형은 여기에 개시된 의도된 장점을 줄이지 않으면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교시 및 개시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제1 자동화 컴포넌트(116, 212)와, 프로세서(204)와 상기 프로세서(204)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를 구비하는 메모리(202)를 포함하는 제2 자동화 컴포넌트(112, 200) 간의 통신 링크(214)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자동화 컴포넌트(112, 200)에서 상기 통신 링크(214)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링크(214)의 검출된 변화에 반응하여 상기 제2 자동화 컴포넌트(112, 200)에 리셋 기능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 내의 자동화 컴포넌트를 리셋하는 방법이며,
    상기 메모리(202)는 제1 메모리부(206)와 제2 메모리부(208)로 나누어지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는 상기 제2 메모리부(208)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204)에 의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리셋 기능을 실행하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 내의 자동화 컴포넌트를 리셋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는 연속 통신 신호, 간헐적 통신 신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통신 링크에서 상태 쿼리가 통신되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 내의 자동화 컴포넌트를 리셋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자동화 컴포넌트에서 통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통신 링크에 의해 상기 제1 자동화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제2 자동화 컴포넌트로 상기 통신 신호를 전달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 자동화 컴포넌트에서 상기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 내의 자동화 컴포넌트를 리셋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동화 컴포넌트와 상기 제2 자동화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은 전 기능 장치인
    빌딩 자동화 시스템 내의 자동화 컴포넌트를 리셋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동화 컴포넌트와 상기 제2 자동화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은 축소 기능 장치인
    빌딩 자동화 시스템 내의 자동화 컴포넌트를 리셋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링크의 부존재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 내의 자동화 컴포넌트를 리셋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는 시간 설정된 간격에 따른 변화를 주기적으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 내의 자동화 컴포넌트를 리셋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동화 컴포넌트는 전 기능 장치, 축소 기능 장치, 터미널, 및 휴대용 컴퓨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 내의 자동화 컴포넌트를 리셋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이며,
    제1 자동화 컴포넌트(116, 212)와,
    통신 링크(214)에 의해 상기 제1 자동화 컴포넌트(116, 212)와 통신하는 제2 자동화 컴포넌트(112, 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동화 컴포넌트(112, 200)는
    프로세서(204)와,
    상기 프로세서(204)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를 구비하는 메모리(202)와,
    상기 메모리(202)에 저장되고, 상기 메모리(202)와 통신하는 상기 프로세서(20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리셋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리셋 기능은 상기 통신 링크(214)의 변화에 반응하여 활성화되고, 상기 메모리(202)는 제1 메모리부(206)와 제2 메모리부(208)로 나누어지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는 상기 제2 메모리부(208)에 저장되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는 연속 통신 신호, 간헐적 통신 신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통신 링크에서 상태 쿼리가 통신되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동화 컴포넌트와 상기 제2 자동화 컴포넌트 간의 통신 링크는 유선 통신 링크인
    빌딩 자동화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동화 컴포넌트와 상기 제2 자동화 컴포넌트 간의 통신 링크는 무선 통신 링크인
    빌딩 자동화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동화 컴포넌트와 상기 제2 자동화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은 전 기능 장치인
    빌딩 자동화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동화 컴포넌트와 상기 제2 자동화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은 축소 기능 장치인
    빌딩 자동화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기능의 활성화는 상기 통신 링크와 관련되는 널 신호에 반응하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
  16.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인 리셋 기능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202)와,
    상기 메모리(202)와 통신하고, 상기 리셋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204)와,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통신 신호(214)를 상기 프로세서(204)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포트(21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204)는 상기 수신된 통신 신호(214)의 변화에 반응하여 상기 리셋 기능을 실행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자동화 장치(112, 200)이며,
    상기 메모리(202)는 제1 메모리부(206)와 제2 메모리부(208)로 나누어지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는 상기 제2 메모리부(208)에 저장되는 자동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시간 설정된 기간을 갖는 타이머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리셋 기능은 상기 시간 설정된 기간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자동화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포트는 무선 통신 포트인
    자동화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포트는 유선 통신 포트인
    자동화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신호는 널 신호인
    자동화 장치.
KR1020107003435A 2007-07-18 2008-06-19 무선 노드 오토 리셋 기능 KR101120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79,399 US8886809B2 (en) 2007-07-18 2007-07-18 Wireless node auto-reset function
US11/779,399 2007-07-18
PCT/US2008/007650 WO2009011747A1 (en) 2007-07-18 2008-06-19 Wireless node auto-reset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840A KR20100041840A (ko) 2010-04-22
KR101120356B1 true KR101120356B1 (ko) 2012-02-24

Family

ID=39872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435A KR101120356B1 (ko) 2007-07-18 2008-06-19 무선 노드 오토 리셋 기능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886809B2 (ko)
EP (1) EP2168312B1 (ko)
KR (1) KR101120356B1 (ko)
CN (1) CN101843043B (ko)
BR (1) BRPI0813519B1 (ko)
CA (1) CA2693429C (ko)
WO (1) WO20090117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183U (ko) * 2016-10-19 2018-04-27 (주)데코엘 사용자가 선정한 위치에서 다수의 제어기를 리셋 가능한 초고층건물용 광원식 피난유도선 제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5538B2 (en) * 2008-05-29 2016-12-06 Nidec Motor Corporation Dynamoelectric machine assemblies having memory for use by external devices
US9632490B2 (en) * 2008-10-27 2017-04-25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zoning a distributed 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9036489B2 (en) * 2012-06-22 2015-05-19 Honey International Inc. Access point synchronization in Wi-Fi fire detection systems
US10778602B2 (en) 2014-08-04 2020-09-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er negotiation of area service preferences
US9410712B2 (en) 2014-10-08 2016-08-09 Google Inc. Data management profile for a fabric network
KR102300791B1 (ko) * 2017-03-20 2021-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10594545B2 (en) 2017-12-06 2020-03-17 Dish Network L.L.C. Broadband watchdo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7526A1 (en) * 2001-08-06 2003-02-06 Jason Hillyard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EP1626532A2 (en) * 2004-08-09 2006-02-15 Siemens Building Technologies, Inc. Wireless building control architectur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8889A (en) * 1996-05-31 1998-10-27 Sun Microsystems, Inc. Quorum mechanism in a two-node distributed computer system
JP3469120B2 (ja) * 1998-06-12 2003-11-25 矢崎総業株式会社 通信網および通信装置
JP3575419B2 (ja) * 2000-10-24 2004-10-13 日本電気株式会社 装置状態制御回路、及び装置状態制御方法
US6914887B2 (en) * 2001-01-04 2005-07-05 Intel Corporation Managing links between processor-based systems
US6798764B2 (en) * 2001-07-04 2004-09-28 Asustek Computer Inc.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a state model
US7876704B1 (en) * 2002-01-11 2011-01-25 Broadcom Corporation Tunneling protocol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7983173B2 (en) * 2004-05-10 2011-07-19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link failures
US20060031934A1 (en) 2004-08-04 2006-02-09 Stonewater Control Systems, Inc. Monitor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7526A1 (en) * 2001-08-06 2003-02-06 Jason Hillyard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EP1626532A2 (en) * 2004-08-09 2006-02-15 Siemens Building Technologies, Inc. Wireless building control archite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183U (ko) * 2016-10-19 2018-04-27 (주)데코엘 사용자가 선정한 위치에서 다수의 제어기를 리셋 가능한 초고층건물용 광원식 피난유도선 제어기
KR200488660Y1 (ko) * 2016-10-19 2019-05-30 (주)데코엘 사용자가 선정한 위치에서 다수의 제어기를 리셋 가능한 초고층건물용 광원식 피난유도선 제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24686A1 (en) 2009-01-22
BRPI0813519A2 (pt) 2015-01-06
US20150019025A1 (en) 2015-01-15
WO2009011747A1 (en) 2009-01-22
US8886809B2 (en) 2014-11-11
EP2168312B1 (en) 2012-08-01
CN101843043A (zh) 2010-09-22
CA2693429A1 (en) 2009-01-22
KR20100041840A (ko) 2010-04-22
CA2693429C (en) 2013-07-16
US10324478B2 (en) 2019-06-18
BRPI0813519B1 (pt) 2020-10-20
CN101843043B (zh) 2013-06-19
EP2168312A1 (en)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4478B2 (en) Wireless node auto-reset function
KR101202914B1 (ko)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서 값 변경 정보를 통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8224282B2 (en) Method and device to manage power of wireless multi-sensor devices
CA2661915C (en) Method and device for binding an automation component within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EP3343842B1 (en) Self-healing control network for building automation systems
US9143332B2 (en) Method and tool for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sleeping devices in a wireless sensor control network
US20090083416A1 (en) Methods to verify wireless node placement for reliable communication in wireless sensor control networks
US20070232288A1 (en) Service tool for wireless automation systems
KR101970523B1 (ko)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CN103576664A (zh) 一种智能家居系统中传送值变化信息的自动化组件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