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126B1 - 에너지 변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너지 변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126B1
KR101120126B1 KR1020090120384A KR20090120384A KR101120126B1 KR 101120126 B1 KR101120126 B1 KR 101120126B1 KR 1020090120384 A KR1020090120384 A KR 1020090120384A KR 20090120384 A KR20090120384 A KR 20090120384A KR 101120126 B1 KR101120126 B1 KR 101120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conversion system
energy conversion
electric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3982A (ko
Inventor
홍순황
Original Assignee
홍순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황 filed Critical 홍순황
Priority to KR1020090120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126B1/ko
Publication of KR20110063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5/00Clothes-pegs
    • D06F55/02Clothes-pegs with pivoted independent clamping memb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빨래집게와 조명기기에 태양에너지 집광판 및 조명광에너지 집광판을 각각 적용함으로써, 태양광이 조사되는 옥외와 조명기기가 설치되는 옥내에서 밤낮은 물론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전기에너지를 자체 생산토록 하는 에너지 변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태양에너지 변환시스템, 조명광에너지 변환시스템, 제1 전기선로, 제2 전기선로, 및 축전기를 포함하는 에너지 변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을 사용하면, 태양에너지 및 조명광에너지를 이용해 전기에너지를 자체 생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밤낮 또는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전기에너지 생산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에너지 변환 시스템{ENERGY CONVERSION SYSTEM}
본 발명은 에너지 변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에너지 및 조명광에너지를 이용해 전기에너지를 자체 생산토록 함으로써, 밤낮 또는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지속적인 전기에너지 생산이 가능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들은 건조대 또는 빨래집게를 통해 건조과정을 거치게 되며, 예전부터 건조과정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것이 빨래집게이다.
이러한 빨래집게는 일측 즉, 세탁물을 집는 부분이 서로 접지되어 있고, 타측 즉, 세탁물을 집기 위해 서로 접지되어 있는 부분을 벌리기 위한 부분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34556호(2006년10월09일 등록)에 "빨래집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0789호(2002년12월30일 등록)에 "빨래집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5758호(2004년01월16일 공개)에 " 빨랫줄을 따로 포함하는 빨래집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8304호(2006년06월01일 등록)에 "빨래집게" 등이 개시되어 있다.
위에서 언급한 빨래집게에 관한 기술은 세탁물을 보다 견고하게 집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며, 이외에도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1985-0000843호(1985년05월11일 공고)에 개시된 "빨래집게",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1985-0001466호(1985년07월15일 공고)에 개시된 "빨래집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2526호(2003년10월29일 등록)에 개시된 "빨래 건조대용 빨래집게"처럼 세탁물을 보다 견고하고 용이하게 집을 수 있도록 한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빨래집게에 관련된 기술들은 단순히 세탁물을 견고하게 집는 기능 이외에 다른 어떠한 기능도 없는 단순한 기능의 빨래집게에 대한 기술들이다.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가정집마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빨래집게의 경우 부득이한 경우(예를 들면 비 내리는 날)를 제외하고는 실내에서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경우는 거의 없고 햇볕이 잘 드는 양지나 옥상 등에 빨랫줄을 이용해 세탁한 세탁물을 널어 건조시키고 있다.
현대 들어 환경오염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기 시작하였고, 이에 따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공해 없이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수력, 해양, 폐기물, 지열 등 자연현상을 이용해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에 관련된 기 술들이 개발되었다.
상기 다양한 재생에너지 중 태양광 또는 태양열을 이용한 재생에너지에 관련된 기술들이 가장 접하기 쉬운 기술이며, 위에서 언급한 옥외에 장시간 노출되어 있는 빨래집게의 경우가 태양에너지를 생산하기에 매우 적합한 기술임에도 불구하고, 종래에 빨래집게에 관련된 기술들의 경우 재생에너지에 관련된 기술을 접목한 기술들이 없는 바, 태양열을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 기술을 접목한 빨래집게에 대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태양광에너지의 경우 시간에 제약을 많이 받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날씨 변화에 매우 민감한 에너지 생산 기술인 바, 태양광에너지와 함께 시간 또는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에너지를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빨래집게와 조명기기에 태양에너지 집광판 및 조명광에너지 집광판을 각각 적용함으로써, 태양광이 조사되는 옥외와 조명기기가 설치되는 옥내에서 밤낮은 물론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전기에너지를 자체 생산토록 하여 생산된 에너지를 옥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태양에너지가 조사되는 곳에 위치하는 태양에너지 변환시스템; 조명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조명기기에 설치되는 조명광에너지 변환시스템; 상기 태양에너지 변환시스템 및 조명광에너지 변환시스템을 통해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저장되는 축전기; 상기 태양에너지 변환시스템을 통해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상기 축전기로 흐르도록 선로역할을 하는 제1 전기선로; 및 상기 조명광에너지 변환시스템을 통해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상기 축전기로 흐르도록 선로역할을 하는 제2 전기선로를 포함하는 에너지 변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을 사용하면, 빨래집게를 이용한 세탁물의 건조하는 기능은 물론, 옥상 등의 옥외에 장시간 노출되는 특성을 이용해 실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조명기기로부터 발산되는 조명광에너지를 실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내 ? 외에서 에너지 변환이 가능함에 따라 주야간 또는 날씨의 변화에 구애받지 않고 실생활에서 필요한 에너지를 자체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기존의 태양에너지 변환 시스템에 비해 충전되는 전기에너지의 양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은 자체 생산된 에너지를 휴대폰 충전, 침실 야간 조명, 또는 전기 자전거 충전 등 실생활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생활에서 필요한 에너지를 자체 생산한 에너지로 대체함으로써, 전력소비를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재생에너지가 아닌 기존의 에너지 생산에 따른 공해 발생을 줄임에 따라 환경오염 예방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에너지 변환 시스템은 주야간(밤낮) 구분 없이, 또한 날씨 변화에 구애받지 않고 전기에너지를 자체 생산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에너지 변환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로 세탁된 세탁물은 보통 실내에서 건조시키지 않고 햇볕이 드는 베란다, 옥상 등의 공간에서 건조시킴에 따라 세탁물 건조를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빨래집게가 항시 햇볕이 드는 공간에 위치한다는 점으로부터 착안하여 빨래집게에 태양에너지 집광판을 적용하여 햇볕에 노출되어 있는 시간에 실생활에서 필요한 에너지를 자체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빨래집게를 이용해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과정이 1년 365일 24시간 내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세탁물을 전조시키는데 활용되는 시간 보다 빨랫줄에 걸려져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대기 기간이 더 많은 관계로 건조를 위해 대기하는 시간에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경우 야간 또는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내리는 날에는 전기에너지 생산이 불가능함에 따라 주야간 또는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태양에너지와 함께 주위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조명기기의 조명광에너지를 이용해 실생활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생산토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빨래집게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은 태양에너지 변환시스템(100)을 포함한다.
상기 태양에너지 변환시스템(100)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태양에너지가 조사되는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태양에너지 변환시스템(100)은 한 쌍의 집개부재(110)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집개부재(110)는 세탁된 세탁물을 빨랫줄(10)을 이용해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빨래집게로써, 일측은 상호 접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타측은 상호 이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호 접지되는 부분을 집게부(115)라 칭하고, 상기 집게부(115)를 통해 세탁물 등을 집어 세탁물의 건조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호 이격되는 부분을 파지부(120)라 칭하며, 상기 파지부(1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호 이격된 거리를 좁히는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상호 접지되어 있는 집게부(115)가 벌어져 세탁물 등을 집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집게부(115)는 상호 접지되고, 파지부(120)는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120)를 파지하여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집게부(115)가 이격되는 동작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탄성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빨래집게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탄성부재(130)의 위치는 상기 탄성부재(130)를 이용해 상기 집게부(115)와 파지부(120)의 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면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110) 어느 위치에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탄성부재(130)가 상호 이격되어 있는 상기 파지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집게부(115), 파지부(120), 및 탄성부재(130)를 포함하는 한 쌍의 집게부재(110)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110)는 태양에너지 집광판(140), 제1 회로기판(150), 및 접지부(1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양에너지 집광판(140)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태양에너지 집광판(140)은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110)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태양에너지 집광판(140)은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110) 둘레면 어느 곳에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최대한 많은 태양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태양에너지 집광판(140)이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110)에 형성되되, 만약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경우 사용자 손과의 접촉으로 인해 태양에너지 집광판(140)의 표면에 지문 등이 묻어 태양에너지의 집광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는 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태양에너지 집광판(140)을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110) 표면에서 안쪽으로 삽입되어 형성되도록 설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110)는 상기 태양에너지 집광판(140)이 수용될 수 있도록 태양에너지 집광판(140)과 부합되는 위치에 태양에너지 집광판 수용부(14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태양에너지 집광판(140)은 변환되는 전기에너지의 양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인 빨래집게 보다 집광판이 설치되는 부분의 면적을 향상시킨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넓어지는 태양에너지 집광판(140)의 면적에 따라 태양에너지 집광판(140)이 위치하는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110)의 면적 또한 달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면적이 달리 형성되는 한 쌍의 집게부재(110)는 미관을 고려해 나비모양, 새 날개 모양 등 사용 목적에 따라 그 형상을 달리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기판(150)은 상기 태양에너지 집광판(140)을 통해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와 -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제1 회로기판(150)은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110) 내부에 위치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제1 회로기판의 도면부호는 후술하는 도 5를 통해 도시한다)
상기 접지부(160)는 상기 제1 회로기판(150)을 통해 분리된 +/-가 후술하는 전기 전달부재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접지부(160)는 + 접지부(162)와 - 접지부(16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 접지부(162)와 - 접지부(164)는 상기 집게부(115)의 서로 접지되는 면(W)에 각각 형성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고, 상기 파지부(120)의 서로 이격된 하부면 각각에 형성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 접지부(162)와 - 접지부(164)가 상기 파지부(120)의 서로 이격된 하부면에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집게부(115)처럼 별도의 집는 수단이 없는 관계로 고정 시 어려움이 발생하는 바, 상기 하부면 각각에 홈 형식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외에도 상기 + 접지부(162)와 - 접지부(164)는 상기 집게부(115)의 접지되는 면(W)과 상기 파지부(120)의 이격된 하부면 두 곳 모두에 형성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110)는 상기 + 접지부(162)와 - 접지부(164)를 사용자가 후술하는 전기 전달부재로 연결 시 실수로 극을 서로 바꿔 연결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110) 일측에 두 개의 전극 표시부(170)를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전극 표시부(170)와 함께 한 쌍으로 이루어진 집게부재(110)의 색을 서로 달리하여 사용자에게 집게부재(110)의 극을 인지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태양에너지 변환시스템(100)은 전기 전달부재(180)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 전달부재(180)는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110)를 통해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한 쌍의 집게부재(110)로부터 전달받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전기 전달부재(180)는 전달받은 전기에너지를 후술하는 축전기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전기 전달부재(180)는 후술하는 제1 전기선로 상에 위치토록 하며, 한 쌍의 집게부재(110)로부터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야함에 따라 한 쌍의 집게부재(110)가 위치하는 곳, 예를 들면 베란다, 옥상 등 햇볕이 잘 드는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 전달부재(180)는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110)로부터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전달받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110)에 형성된 접지부(160)를 통해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전달받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전기 전달부재(180)는 상기 접지부(16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접지부(160)의 설명을 통해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부(160)는 + 접지부(162)와 - 접지부(164)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 접지부(162)와 - 접지부(164)는 상기 집게부(115)의 서로 접지되는 면(W) 또는 상기 파지부(120)의 서로 이격된 하부면 각각에 형성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집게부(115)의 접지되는 면(W)과 상기 파지부(120)의 이격된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는 바, 상기 접지부(16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상기 접지부(160)가 집게부(115)의 접지면(W)에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전기 전달부재(180)는 일측면은 + 접지부(162)가 접지되고, 타측면은 - 접지부(164)가 접지되도록 양면 회로 기판형식(181)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접지부(160)가 파지부(120)의 이격된 하부면에 각각 홈 형식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전기 전달부재(180)가 상기 홈 형식의 + 접지부(162)와 - 접지부(164)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두개의 돌출 기판형식(182)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 전달부재(180)는 상기 접지부(160)의 형성 위치에 따라 변경 설계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태양에너지 변환시스템(100)은 제1 컨트롤박스(19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컨트롤박스(190)는 전기에너지의 흐름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제1 컨트롤박스(190)는 전기역류 방지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위치는 후술하는 제1 전기선로 상에 위치하되,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기 전달부재(180)와 후술하는 축전기 사이에 위치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역류 방지회로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인 바, 방지회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에너지 변환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태양에너지 변환시스템(100)을 통해 생산된 전기에너지가 후술하는 축전기로 흘러 저장될 수 있도록 선로역할을 하는 제1 전기선로(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기선로(200) 상에 상기 전기 전달부재(180), 제1 컨트롤박스(190), 축전기 순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110)는 수량이 많을수록 변환되는 전기에너지의 양이 많아 질것이며, 한 쌍의 집게부재(110)를 통해 변환된 전기에너지는 상기 전기 전달부재(180)를 통해서만 상기 축전기(400)로 흐름에 따라 상기 전기 전달부재(180) 또한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110)의 개수와 대응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상기 전기 전달부재(180)의 개수는 최초 설계 목적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은 조명광에너지 변환시스템(300)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조명광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조명광에너지 변환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명광에너지 변환시스템(300)은 가정, 사무실 등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조명기기(310)에 적용하여 조명기기(310)로부터 발산되는 조명광을 집광하여 집광된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시스템으로써, 이를 위해 상기 조명광에너지 변환시스템(300)은 조명기기(310)로부터 발산되는 조명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조명광에너지 집광판(315)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광에너지 집광판(310)을 통해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로 분리시키는 제2 회로기판(320)을 포함한다.(상기 제2 회로기판의 도면부호는 후술하는 도 5를 통해 도시한다)
상기 조명광에너지 집광판(315)은 상기 조명기기(31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집광할 수 있는 위치라면 조명기기(310) 일측 어느 곳에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천정(20) 또는 벽 등에 설치되는 매립 등과 같이 램프부재(30)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본래의 기능(주변을 밝히는 기능)을 발휘하는데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라면 어느 위치에 형성되어도 가능할 것이다. 일예로 램프부재(30) 주위의 매립된 천정부근(X)에 형성되면, 램프부재(30)의 본래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천정부근(X)으로 조사되는 소량의 조명광에너지를 집광하여 이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명광에너지 변환시스템(300)은 제2 컨트롤박스(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컨트롤박스(330)는 상기 태양에너지 변환시스템(100)의 제1 컨트롤박스(19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제2 회로기판(320)을 거친 분리된 전기에너지가 역류하지 않고 후술하는 제2 전기선로를 통해 축전기로 흘러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회로기판(320)과 축전기 사이의 제2 전기선로 상에 위치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너지 변환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명광에너지 변환시스템(300)을 통해 생산된 전기에너지가 후술하는 축전기로 흘러 저장될 수 있도록 선로역할을 하는 제2 전기선로(34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기선로(340) 상에 상기 조명광에너지 집광판(315), 제2 회로기판(320), 제2 컨트롤박스(330), 축전기 순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태양에너지 변환시스템(100) 및 조명광에너지 변환시스템(300)을 통해 변환되어 자체 생산된 전기에너지는 각각 제1 전기선로(200)와 제2 전기선로(340)를 거쳐 축전(저장)되며, 상기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축적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에너지 변환 시스템은 축전기(400)를 포함한다.
상기 축전기(400)는 상기 태양에너지 변환시스템(100) 및 조명광에너지 변환시스템(300)으로부터 자체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바, 설계 목적에 따라 변환시스템(100,300)을 통해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하나의 축전기로 저장할 수도 있고, 각각의 변환시스템(100,300)마다 축전기를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축전기(400)는 자체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설치되는 위치는 최초 설계 목적에 따라 옥내 또는 옥외 중 택일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빨래집게를 이용한 태양에너지 변환 시스 템은 커넥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500)는 상기 축전기(40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외부로 제공토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커넥터(500)는 전자기기 또는 전기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기기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넥터(500)와 연결되는 대상을 일예로 들면, 휴대폰 또는 전기 자전거 등이 연결되어 충전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충전기능 이외에 많은 전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침실 또는 야간에 사용되는 은은한 빛을 발산토록 하는 전등 등과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커넥터(500)는 일측에 상기 축전기(40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의 양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를 통해 옥외에 있는 빨래집게를 통해 얼마만큼의 전기가 충전되었는지를 인지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커넥터(500)를 이용해 전기를 사용할 경우 보다 효율적인 전기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기에너지의 양은 숫자 또는 그래프 등으로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에너지 변환 시스템의 흐름을 블록도를 통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옥내가 아닌 옥외에 설치된(아파트나 빌라의 경우 베란다에 설치될 수도 있다) 빨래집게(한 쌍의 집게부재(110)) 둘레면에 형성된 태양에너 지 집광판(140)을 통해 태양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되고, 변환된 전기에너지는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110) 내부에 형성된 제1 회로기판(150)에 의해 +/-로 분리된다. 상기 제1 회로기판(150)을 통해 전극별로 분리된 전기에너지는 한 쌍의 집게부재(110)에 형성된 접지부(160)를 통해 전기 전달부재(180)로 흐르게 되고, 상기 전기 전달부재(180)로 흐른 전기에너지는 역류를 방지하는 제1 컨트롤박스(190)를 거쳐 축전기(400)로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에너지 변환 시스템은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서 쓰이고 있는 조명기기의 일측에 형성된 조명광에너지 집광판(315)을 통해 조명광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되고, 변환된 전기에너지는 제2 회로기판(320)에 의해 +/-로 분리된다. 상기 제2 회로기판(320)을 통해 전극별로 분리된 전기에너지는 제2 컨트롤박스(330)를 거쳐 축전기(400)로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축전기(400)로 저장된 전기에너지는 별도의 커넥터(500)를 통해 전기를 필요로 곳에 제공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변에 설치되어 있는 가로등에 설치하여,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킴은 물론, 야간에 가로등 램프로부터 발산되는 조명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킬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은 가로등(50) 외주면에 한 쌍의 집게부재(110)를 포함하는 태양에너지 변환시스템(100)을 형성시키고, 가로등(50)의 조명램프(55)와 인접해 있는 반사커버(반사갓) 표면(조명램프(55) 방향)에 조명광에너지 집광판(315)을 포함하는 조명광에너지 변환시스템(300)을 형성시킴으로써, 낮에는 태양에너지 변환시스템(100)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고, 밤에는 조명광에너지 변환시스템(300)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110)는 세탁물을 집는 것이 아니라, 가로등(50)의 일측을 집어 도로를 통행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공개됨에 따라 미관을 고려한 아름다운 형상(일예로 나비 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가로등(50)에 설치된 각각의 태양에너지 변환시스템(100) 및 조명광에너지 변환시스템(300)은 다수 개의 가로등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다수 개의 가로등끼리는 전기선로(200,340)를 통해 연결되고 자체 생산된 전기에너지는 상기 전기선로(200,340)를 통해 축전기(400)로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된 전기에너지는 커넥터(500)를 통해 전기를 필요로 하는 곳으로 제공될 것이며, 일예로 일반도로, 고속도로 또는 터널 등에 설치된 비상용 주차구간에 비상용 전기충전 박스를 설치하여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자전거의 충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빨래집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조명광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조명광에너지 변환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에너지 변환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 태양에너지 변환시스템 110 : 한 상의 집게부재
115 : 집게부 120 : 파지부
130 : 탄성부재 140 : 태양에너지 집광판
145 : 태양에너지 집광판 수용부 150 : 제1 회로기판
160 : 접지부 180 : 전기 전달부재
190 : 제1 컨트롤박스 200 : 제1 전기선로
300 : 조명광에너지 변환시스템 315 : 조명광에너지 집광판
320 : 제2 회로기판 330 : 제2 컨트롤박스
340 : 제2 전기선로 400 : 축전기
500 : 커넥터

Claims (7)

  1.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태양에너지가 조사되는 곳에 위치하는 태양에너지 변환시스템;
    조명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조명기기에 설치되는 조명광에너지 변환시스템;
    상기 태양에너지 변환시스템 및 조명광에너지 변환시스템을 통해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저장되는 축전기;
    상기 태양에너지 변환시스템을 통해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상기 축전기로 흐르도록 선로역할을 하는 제1 전기선로; 및
    상기 조명광에너지 변환시스템을 통해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상기 축전기로 흐르도록 선로역할을 하는 제2 전기선로를 포함하며,
    상기 태양에너지 변환시스템이,
    일측은 상호 접지되고, 타측은 상호 이격되는 집게부와 파지부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한 쌍의 집게부재와,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로부터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전달받는 전기 전달부재, 및 상기 전기에너지가 역류하지 않고 제1 전기선로를 통해 축전기로 흘러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 전달부재와 축전기 사이의 제1 전기선로 상에 위치하는 제1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변환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광에너지 변환시스템이
    조명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조명광에너지 집광판;
    상기 조명광에너지 집광판을 통해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로 분리시키는 제2 회로기판; 및
    상기 제2 회로기판을 거쳐 분리된 전기에너지가 역류하지 않고 상기 제2 전기선로를 통해 축전기로 흘러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회로기판과 축전기 사이의 제2 전기선로 상에 위치하는 제2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변환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에너지 집광판;
    상기 태양에너지 집광판을 통해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로 분리시키는 제1 회로기판; 및
    상기 제1 회로기판을 통해 분리된 +/-가 상기 전기 전달부재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접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변환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의 접지부가 + 접지부 및 - 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 접지부 및 - 접지부는 상기 집게부의 서로 접지되는 면에 각각 형성되거나, 상기 파지부의 서로 이격된 하부면 각각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집게부의 접지되는 면과 상기 파지부의 이격된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변환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외부로 제공토록 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변환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일측에 상기 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의 양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변환 시스템.
KR1020090120384A 2009-12-07 2009-12-07 에너지 변환 시스템 KR101120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384A KR101120126B1 (ko) 2009-12-07 2009-12-07 에너지 변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384A KR101120126B1 (ko) 2009-12-07 2009-12-07 에너지 변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982A KR20110063982A (ko) 2011-06-15
KR101120126B1 true KR101120126B1 (ko) 2012-03-22

Family

ID=44397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384A KR101120126B1 (ko) 2009-12-07 2009-12-07 에너지 변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1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2775A (ko) * 2004-11-10 2006-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KR100750297B1 (ko) * 2005-05-12 2007-08-21 (주)대신엘이디 태양전지를 이용한 led 조명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2775A (ko) * 2004-11-10 2006-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KR100750297B1 (ko) * 2005-05-12 2007-08-21 (주)대신엘이디 태양전지를 이용한 led 조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982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831227U (zh) 一种风光互补智能路灯
CN205560565U (zh) 一种市政建设用风光互补路灯
KR101120126B1 (ko) 에너지 변환 시스템
CN203857390U (zh) 园林节能灯
CN206771232U (zh) 组合式led太阳能路灯
CN206257604U (zh) 一种便于安装拆卸的太阳能路灯
CN202787110U (zh) 多功能路面指示牌
CN206346260U (zh) 一种应用在集合住宅的阳台外的发电及雨水收集装置
CN105822998A (zh) 一种充分利用光能的太阳能路灯
CN103032803A (zh) 一种太阳能路灯
KR101175302B1 (ko)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다용도 집게
CN201205178Y (zh) 具有应急灯、灭蚊灯功能的太阳能多功能衣架
CN104994668A (zh) 一种基于红外感应的太阳能路灯控制系统及方法
CN207230437U (zh) 一种新型日光照明系统
CN208581867U (zh) 光伏发电景观树
CN205919241U (zh) 一种光伏导光采光系统
CN206036920U (zh) 一种光伏导光采光系统
CN206918876U (zh) 一种太阳能智能路灯
CN201363657Y (zh) 一种智能广告/夜景灯
CN207112513U (zh) 一种新型多功能园林灯
CN205617856U (zh) 一种智能太阳能充电车棚
CN210777581U (zh) 一种多功能广告灯箱
CN211040762U (zh) 一种智能路灯灯杆
CN204313189U (zh) 一种风光互补智能广告路灯
CN203260286U (zh) 太阳能阅报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