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717B1 -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이중바닥 시스템 - Google Patents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이중바닥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9717B1 KR101119717B1 KR1020090084845A KR20090084845A KR101119717B1 KR 101119717 B1 KR101119717 B1 KR 101119717B1 KR 1020090084845 A KR1020090084845 A KR 1020090084845A KR 20090084845 A KR20090084845 A KR 20090084845A KR 101119717 B1 KR101119717 B1 KR 1011197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ttom plate
- plate
- load
- floor system
- dou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88—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filled with material hardening after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이중바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바닥판의 자중을 줄이면서 상재하중을 분배할 수 있는 천장판을 일체로 구성하여 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이중바닥 시스템을 제공하며 바닥판과 천장판을 일체로 구성하며 그 자중을 줄일 수 있어 그 시공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이중바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내력벽, 바닥판, 천장판
Description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은 건물을 구성하는 부품을 공장에서 생산하고 현장에서는 주로 조립만으로 건립하는 건축물을 말한다. 이러한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은 박스형태의 모듈 유닛 즉 바닥판, 천장판, 내력벽 등을 제작하여 현장에 반입되며, 이렇게 반입된 모듈 유닛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시공을 완료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사용되는 모듈 유닛으로 바닥판은 주거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거나 프리캐스트 부재 등을 사용하여 시공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콘크리트 타설로 인하여 바닥판의 중량이 많이 나가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부재를 키워야 하므로 시공성과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재질의 바닥판 자중을 줄여 시공성 및 경제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이러한 바닥판의 자중을 줄이면서도 그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천장판이 제시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에 있어 내력벽 시공 후 천장판과 바닥 판을 별도로 시공을 하여야 하므로 시공면에서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판의 자중을 감소시키는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이렇게 자중을 감소시킴에도 불과하고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며, 바닥판과 천장판의 일체거동을 확보하여 구조적 안정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이중바닥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본 발명인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이중바닥 시스템에 의해 달성되는 바, 본 발명인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이중바닥 시스템은 내력벽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부착되며 상기 바닥판의 외각과 연하는 외각프레임과 상기 외각프레임의 내부에서 복수의 조이스트가 형성된 천장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바닥판은 상기 천장판과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바닥판은 평판형상의 경량판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본 발명에서는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바닥판은 상기 외각프레임과 연하는 외형틀에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구성으로 상기 외형틀은 상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각 측면과 각 측면의 하부에 바닥면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가 충진 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외형틀의 대향하는 측면에는 지지프레임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형틀에 있어 상기 바닥면은 파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이중바닥 시스템은 바닥판의 자중을 줄이면서 상재하중을 분배할 수 있는 천장판을 구조물내에서 일체로 거동하게 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에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이중바닥 시스템은 바닥판의 자중을 줄임과 동시에 천장판의 경우도 프레임에 의해 하중을 분배함으로써 천장판 자체의 자중도 감소시킬 수 있어 전체적으로 시공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이중바닥 시스템의 일 구성인 바닥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이중바닥 시스템의 일 구성인 천장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닥판 및 천장판이 일체형으로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이중바닥 시스템이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이중바닥 시스템은 상, 하 내력벽(300)사이에서 바닥판(100) 및 천장판(200)이 설치되되, 바닥판(100)의 자중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구조적 안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바닥판(100)의 하부에서 하중을 분배하는 천장판(200)으로 구성되는 이중 바닥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100)과 상기 천장판(200)을 일체화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고 시공면에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 바닥판은 평판형상으로 콘크리트가 충진되지 않은 경량바닥판을 사용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천장판(200)과 일체형으로 시공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1등에 도시된 바닥판(100)을 예로 설명한다.
상기 바닥판(10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형틀(110)에 콘크리트(120)가 충진되는 구조로, 이러한 바닥판(100)은 현장시공도 가능하나 현장에서 조립식에 의해 시공하는 것이 공기단축 등에 유리한 바, 프리캐스트 부재로 공장제작에 의해 제조함이 타당하다.
상기 외형틀(110)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외형틀(110)은 상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각 측면(111)과 각 측면의 하부에 바닥면(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120)가 충진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형틀(110)은 각 측면(111)에 의해 사각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형상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바닥면(112)은 파형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한 바, 이는 콘크리트(120)와의 부착력을 증진시키고자 함이다. 즉 외형틀(110)을 이루는 바닥면(112)과 콘크리트(120) 간의 부착강도를 증진시켜 이질에 의한 강도발현이 저하됨을 방지하고자 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면(112)을 파형으로 형성하는 것과 별도로 상기 외형 틀(110)의 대향하는 측면(111)에는 지지프레임(113)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바닥면(112)의 형상변형에 의한 상기 내력벽(300)으로의 하중에 편심 등이 발생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의 저하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13)은 도면상 단부와 평행하게 복수 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상기 외형틀(110)은 그 재질을 한정하지는 않으나, 강,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구성되어 바닥판(100)에 있어 콘크리트(120)의 인장강도를 보강하는 것이 타당하다. 즉 바닥판(100)에 있어 상기 외형틀(110)이 콘크리트(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철근의 대용으로 콘크리트(120)의 인장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바닥판(100)을 외형틀(110)의 내부에 콘크리트(120)를 충진하여 구성함으로써 바닥판(10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자중이 감소될 수 있는 바, 시공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며, 하부의 내력벽(300)에 가하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바닥판(100)의 자중을 감소시키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을 보강하기 위한 구성으로 바닥판(100)과 유기적으로 거동하는 천장판(200)이 상기 바닥판(100)의 하부에 구성된다. 상기 천장판(200)은 외각프레임(210)과 상기 외각프레임(210)의 내부에 구성되는 복수의 조이스트(2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 상기 외각프레임(210)은 상기 외형틀(110)과 연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한쌍의 대향하는 단프레임(211)과 한쌍의 대향하는 장프레임(212)으로 4각 틀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프레임(211)과 상기 장프레임(212)은 일체형으로 4각틀의 형상으 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프레임을 제작 후 조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각프레임(210)은 상기 바닥판(100)으로부터의 상재하중을 내력벽(300)으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이렇게 상기 바닥판(100)으로부터의 상재하중을 분배하는 구성으로 상기 외각프레임(210)에는 복수의 조이스트(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이스트(22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프레임(211)과 평행하도록 각각의 장프레임(212)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러한 조이스트(220)의 구성에 기해 상기 외각프레임(210)의 형상을 잡아주어 상기 외각프레임(210)의 상재하중에 의해 형상변형에 따라 하부의 내력벽(300)으로 충분한 하중전달이 되지 않는 경우 등을 방지하는 것이고, 바닥판(100)으로부터의 하중전달이 상기 외각프레임(210)으로 전달되고, 상기 외각프레임(210)으로 전달된 하중은 조이스트(220)로 분산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천장판(200)을 구성함에 의해 바닥판(100)으로 전달되는 하중이 내력벽(300)으로 전달 및 분산이 됨으로써 상기 바닥판(100)의 두께를 감소시키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인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이중바닥 시스템의 시공방법은 하부 내력벽(300)을 시공하는 단계(S10)를 갖는다. 그 다음으로 외각프레임(210)과 상기 외각프레임(210)의 내부에서 복수의 조이스트(220)가 형성된 천장판(200)을 하부 내력벽(300)의 상부에 시공하는 단계(S20)를 갖는다. 이 경우 하부 내력벽(300)의 상부에 천장판(200)을 부착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천장판(200)에는 조이스트(220) 간의 공간에 마감블럭을 장착함으로써 구조보강 및 천장판(200)의 외형변 화를 잡아주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천장판(200)의 상부에 외형틀(110)에 콘크리트(120)가 충진 된 바닥판(100)을 적층하는 단계(S30)를 갖는다.
상기 단계(S30)에서 천장판(200) 상부에 바닥판(100)을 적층하고 난 후에는 상기 천장판(200)과 바닥판(100)을 부착하는 단계(S40)를 갖는다. 이렇게 천장판(200)과 바닥판(100)을 부착하는 것은 상기 천장판(200)과 바닥판(100)이 구조물 내부에서 일체거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바닥판(100)으로 전달되는 상재하중이 천장판(200)으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며, 천장판(200)과 바닥판(100) 간에 미끌림이 방지되도록 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천장판(200)과 바닥판(100) 간의 부착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판(200)과 상기 바닥판(100)은 공장에서 일체형으로 기 제작함으로서 시공 면에서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바닥판(100)의 상부에 상부 내력벽(300)을 시공하는 단계(S40)를 갖게 되며, 상기에서 언급한 단계(S10,20,30,40)를 반복함에 의해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에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 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이중바닥 시스템의 일 구성인 바닥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이중바닥 시스템의 일 구성인 천장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닥판 및 천장판이 일체형으로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이중바닥 시스템이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바닥판 110 : 외형틀
120 : 콘크리트 200 : 천장판
210 : 외각프레임 220 : 조이스트
Claims (3)
- 삭제
- 내력벽(3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성되는 바닥판(100)과, 상기 바닥판(100)의 하부에 부착되며 상기 바닥판(100)의 외각과 연하는 외각프레임(210)과 상기 외각프레임(210)의 내부에서 복수의 조이스트(220)가 형성된 천장판(200)을 포함하는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에 있어서,상기 바닥판(100)은 상기 외각프레임(210)과 연하는 외형틀(110)에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구성으로 상기 외형틀(110)은 상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각 측면과 각 측면의 하부에 바닥면(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가 충진 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외형틀(110)의 대향하는 측면에는 지지프레임(113)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이중바닥 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바닥면(112)은 파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이중바닥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4845A KR101119717B1 (ko) | 2009-09-09 | 2009-09-09 |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이중바닥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4845A KR101119717B1 (ko) | 2009-09-09 | 2009-09-09 |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이중바닥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6968A KR20110026968A (ko) | 2011-03-16 |
KR101119717B1 true KR101119717B1 (ko) | 2012-03-23 |
Family
ID=43933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84845A KR101119717B1 (ko) | 2009-09-09 | 2009-09-09 |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이중바닥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971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989245A (zh) * | 2018-01-19 | 2018-05-04 | 中国矿业大学 | 模块化建筑装配式叠层咬合楼板及施工方法 |
KR200490790Y1 (ko) | 2018-10-25 | 2020-01-03 | 아틱스엔지니어링(주) | 풍동 시험구역 바닥 조립체 모듈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81478A (ja) * | 1997-09-01 | 1999-03-26 | Sekisui Chem Co Ltd | 床構造と建物ユニット |
-
2009
- 2009-09-09 KR KR1020090084845A patent/KR1011197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81478A (ja) * | 1997-09-01 | 1999-03-26 | Sekisui Chem Co Ltd | 床構造と建物ユニッ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6968A (ko) | 2011-03-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130527B (zh) | 模块化装配式复合墙、装配式建筑结构体系及施工方法 | |
KR20130043324A (ko) |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강판보 | |
JP2006316580A (ja) | 波形鋼板ウエブpc合成桁及びその波形鋼板ウエブpc合成桁を使用した橋梁構築方法 | |
US10400450B2 (en) | Deck panel for construction | |
US11542719B2 (en) | Flexible connecting structure of prefabricated component and building main body | |
US20100088975A1 (en) | Method of producing a heavy modular unit and a modular unit produced according to the method | |
KR101119717B1 (ko) | 내력벽식 모듈러 건축물의 이중바닥 시스템 | |
JP2018145674A (ja) | 壁梁接合構造 | |
RU88712U1 (ru) | Конструкция усиления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многопустотных плит перекрытия | |
CN212582914U (zh) | 预制梁连接结构及包括其的建筑结构 | |
KR101407502B1 (ko) |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 및 그 접합시공방법 | |
KR101173688B1 (ko) |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을 사용한 모듈러 유닛 시스템 | |
KR101795510B1 (ko) | 건축용 데크패널 | |
KR101171061B1 (ko) | 기둥의 수직결합이 용이한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 | |
US20100126089A1 (en) | Structural components | |
KR101437083B1 (ko) | 조립이 용이한 강구조 건축물 시공방법 | |
KR101440556B1 (ko) |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 |
CA2615154A1 (en) | Method of building construction | |
WO2011042848A1 (en) | Elements for construction | |
KR200456012Y1 (ko) | 층간높이를 향상시킨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주름강판보 | |
KR20160034136A (ko) | 빔 및 초경량 콘크리트를 이용한 내진성 건축 구조물의 고속 시공 방법 | |
CN217480417U (zh) | 集成建造组件 | |
FI77715C (fi) | Ytelement av komposittyp. | |
CN210216814U (zh) | 具有窗体结构的板架合一墙板及建筑物 | |
CN212478114U (zh) | 一种双向叠合板与支座之间的连接节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