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080B1 -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080B1
KR101119080B1 KR1020100102125A KR20100102125A KR101119080B1 KR 101119080 B1 KR101119080 B1 KR 101119080B1 KR 1020100102125 A KR1020100102125 A KR 1020100102125A KR 20100102125 A KR20100102125 A KR 20100102125A KR 101119080 B1 KR101119080 B1 KR 101119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nation
user
event
user terminal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만
Original Assignee
정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만 filed Critical 정진만
Priority to KR1020100102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접 기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가맹점으로부터 상기 가맹점의 기부 행사 내용을 입력받고 기부 약정을 조건으로 가맹점을 가입시키는 단계, (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 가입을 승인하는 단계, (3)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가맹점에 대한 정보의 전송과 함께 상기 가맹점의 기부 행사 내용을 전송하는 단계, (4)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상기 가맹점에서 상기 기부 행사에 참여하였음을 입력받는 단계, (5) 상기 단계 (4)에서 입력받은 기부 행사 참여 실적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쿠폰 또는 아이템 등을 포함하는 혜택을 부여하는 단계, 및 (6)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맹점의 기부 행사에 참여함으로써 발생한 수익의 일부를 기부 단체에 기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에 간접 기부 행사를 하는 가맹점의 기부 행사 내용을 전송하고 전송된 내용을 확인한 사용자의 기부 행사 참여에 따른 수익의 일부를 기부하고, 사용자의 행사 참여 실적에 따라 사용자에게 소정의 혜택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가 게임과 같은 재미를 느끼게 하여 나눔에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부 단체로부터 받은 사업 내용 또는 기부 확인서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가맹점에서 하고 있는 기부 행위와 기부금 내역을 투명하게 관리하고 이를 소비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기부 사실을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들이 나눔에 참여하는 보람을 느낄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A METHOD OF INDIRECT DONATION USING SMART PHONE}
본 발명은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부란 자선 사업이나 공공사업을 돕기 위하여 돈이나 물건 따위를 대가 없이 내놓는 행위이다. 최근 연예인이나 유명인의 기부 사실이 널리 알려지면서 기부를 통한 나눔 방식이 일반화되고, 전화 등을 통해 편리하게 기부할 수 있게 되어서 일반인들에게도 기부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기부금액도 점차 많아지고 있다.
한편, 기업 등에서 제품 판매 수익의 일정액을 기부한다는 것을 소비자들에게 알리고, 소비자들은 이러한 제품을 구입함으로써 수익금을 기부할 수 있도록 하는, 간접 기부의 형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간접 기부는 기업 이미지를 높이고, 제품의 홍보 효과도 있으며, 제품을 구입하는 소비자로 하여금 선행을 한다는 느낌을 줄 수 있어 제품의 구매욕을 자극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간접 기부 형태는 공익 연계 마케팅을 통해 제품 판매 수익의 일정액을 기부한다는 사실을 제품이나 서비스 홍보 시에 노출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일방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이루어져 왔다. 가게 수익의 일정액을 기부하는 나눔의 가게 역시 가게 수익을 나눈다는 선언을 소비자는 믿고 구매할 수밖에 없다. 즉, 기업들이 수익을 실제로 나누는지에 대한 모니터링이 불가능하고, 기부금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간접적으로 기부한 소비자는 알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 때문에 소비자들은 나눔에 참여하는 보람을 느끼기 힘들기 때문에, 간접 기부를 통한 마케팅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에 간접 기부 행사를 하는 가맹점의 기부 행사 내용을 전송하고 전송된 내용을 확인한 사용자의 기부 행사 참여에 따른 수익의 일부를 기부하고, 사용자의 행사 참여 실적에 따라 사용자에게 소정의 혜택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가 게임과 같은 재미를 느끼게 하여 나눔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부 단체로부터 받은 사업 내용 또는 기부 확인서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가맹점에서 하고 있는 기부 행위와 기부금 내역을 투명하게 관리하고 이를 소비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기부 사실을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들이 나눔에 참여하는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은, 간접 기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가맹점으로부터 상기 가맹점의 기부 행사 내용을 입력받고, 기부 약정을 조건으로 가맹점을 가입시키는 단계;
(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 가입을 승인하는 단계;
(3)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가맹점에 대한 정보의 전송과 함께 상기 가맹점의 기부 행사 내용을 전송하는 단계;
(4)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상기 가맹점에서 상기 기부 행사에 참여하였음을 입력받는 단계;
(5) 상기 단계 (4)에서 입력받은 기부 행사 참여 실적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쿠폰 또는 아이템 등을 포함하는 혜택을 부여하는 단계; 및
(6)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맹점의 기부 행사에 참여함으로써 발생한 수익의 일부를 기부 단체에 기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5)에서는,
상기 단계 (4)에서 입력받은 기부 행사 참여 횟수를 합산하여 상기 기부 행사 참여 횟수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온라인상의 지위를 부여하며, 상기 기부 행사 참여 횟수가 많을수록 온라인상의 높은 지위를 부여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한 온라인상의 지위에 따라 상기 가맹점에서 사용이 가능한 쿠폰 또는 적립금을 포함하는 혜택을 부여하며, 상기 온라인상의 지위에 따라 혜택을 차등 부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5)에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미리 정해진 기준대로 상기 기부 행사에 참여하는 임무를 부여하고, 상기 임무 완료 시 소정의 아이템을 부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4)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기부 행사 참여 사실을 상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아 상기 행사 참여 사실과 함께 상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6)에서 기부받은 상기 기부 단체로부터 사업 내용을 보고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6)에서 기부받은 상기 기부 단체로부터 기부 확인서를 받아 상기 기부 단체에 기부한 가맹점 리스트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가맹점에 대한 정보의 전송과 함께 상기 가맹점의 기부 행사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가맹점의 기부 행사에 참여한 사용자의 수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기부 행사 참여 여부를 상기 가맹점으로부터 확인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에 간접 기부 행사를 하는 가맹점의 기부 행사 내용을 전송하고 전송된 내용을 확인한 사용자의 기부 행사 참여에 따른 수익의 일부를 기부하고, 사용자의 행사 참여 실적에 따라 사용자에게 소정의 혜택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가 게임과 같은 재미를 느끼게 하여 나눔에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부 단체로부터 받은 사업 내용 또는 기부 확인서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가맹점에서 하고 있는 기부 행위와 기부금 내역을 투명하게 관리하고 이를 소비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기부 사실을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들이 나눔에 참여하는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30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600에서 사용자에게 혜택을 부여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기부 사실을 사용자에게 보고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가맹점(100), 서비스 제공 서버(200), 사용자 단말기(300), 및 기부 단체(40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가맹점(100)으로부터 기부 행사 내용을 입력받고 기부 약정을 조건으로 가입을 받는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가맹점(100) 정보와 기부 행사 내용을 전송하고, 사용자는 전송받은 내용을 보고 가맹점(100)에서 행사에 참여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기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기부 행사에 참여했음을 입력할 수 있고, 각 가맹점(100)에서는 기부 행사로 인한 수익의 일정액을 서비스 제공 서버(200)를 통해 기부 단체(400)에 기부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맹점(100)에서 하는 기부 행사의 내용은, 사용자가 제품 구매 또는 서비스 이용 시 판매에 수반되는 수익의 일부를 기부하는 행사가 일반적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제품이나 서비스의 구매가 아니더라도 캠페인 등의 참가를 유도하면서 캠페인을 통한 수익이나 절약된 비용 등을 기부하는 기부 행사를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식점이나 휴게소에서 음식을 남기지 않는 캠페인을 할 때, 캠페인을 통해 절감된 음식물 처리 비용을 기부하는 행사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부 행사는 절감된 비용을 기부하는 것이기 때문에 별도의 비용 부담 없이 기부가 가능할 뿐 아니라, 가맹점(100)의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어 마케팅 측면에서도 도움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300)는, 인터넷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은, 가맹점(100)으로부터 가맹점(100) 가입을 받는 단계(S100),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 가입을 승인하는 단계(S200), 기부 행사의 소개 자료를 전송하는 단계(S300), 기부 행사에 참여하였음을 입력받는 단계(S400), 행사 참여 실적에 따라 혜택을 부여하는 단계(S600), 및 일정액을 기부 단체(400)에 기부하는 단계(S7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행사 참여 사실을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전송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1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가맹점(100)으로부터 가맹점(100)의 기부 행사 내용을 입력받고 기부 약정을 조건으로 가맹점(100)을 가입시킬 수 있다. 가맹점(100)은 제품 또는 서비스 판매를 통한 수익금 중 일부를 기부할 것인지, 캠페인 등을 통해 절감된 비용을 기부할 것인지 등을 포함하는, 가맹점(100)이 시행하고자 하는 기부 행사의 내용을 서비스 제공 서버(200)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간접 기부 서비스이므로 가맹점(100) 수익 일부의 기부를 약정하는 것을 가입 조건으로 할 수 있다. 가입할 때에는 가맹점(100)의 업종, 위치, 전화번호 등 가맹점(100) 정보를 함께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가입 후에도 기부 행사의 내용은 변경이 가능할 수 있으며, 한 가맹점(100)이 복수의 기부 행사를 할 수도 있다.
단계 S2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 가입을 승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추후 단계 S400 또는 단계 S500에서 설명할 서비스 등을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다. 회원 가입 시에는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아이디, 비밀번호 등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전화번호, 이름 등을 더 입력받을 수도 있다.
단계 S3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기(300)에 가맹점(100)에 대한 정보의 전송과 함께 가맹점(100)의 기부 행사 내용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현재 진행 중인 기부 행사를 검토하고 기부 행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부 행사 내용과 가맹점(100) 위치 및 전화번호 등 가맹점(100)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 전송되는 내용은 리스트 형태 또는 지도 형태로 전송될 수 있는데, 이때, 가맹점(100)의 기부 행사에 참여한 사용자의 수를 함께 전송할 수 있고, 참여한 사용자 수가 많은 순서대로 리스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S30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인접한 가맹점(100)의 기부 행사 내용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단계 S300에서 사용자 단말기(300)에 인접한 가맹점(100)의 기부 행사 내용을 전송하는 방법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30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300은, 사용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전송받는 단계(S310) 및 사용자 단말기(300)에 인접한 가맹점(100)의 기부 행사 내용을 전송하는 단계(S32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전송받을 수 있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특히 스마트폰은 대부분 GPS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에 내장된 GPS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전송받을 수 있다.
단계 S32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기(300)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가맹점(100)에 대한 정보의 전송과 함께 가맹점(100)의 기부 행사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소정의 거리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으며, 지도상에 사용자 단말기(300)의 위치와 인접 가맹점(100)을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S4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사용자가 가맹점(100)에서 기부 행사에 참여하였음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400에서 입력받은 자료는 추후 설명할 단계 S500에서 사용자에게 혜택을 부여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받은 기부 행사 참여 여부를 가맹점(100)으로부터 확인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이것은 사용자가 기부 행사에 참여하지 않고 허위로 단계 S400에서 기부 행사에 참여했다고 입력할 수 있으므로, 가맹점(100)에서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하여 기부 행사 참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라면, 가맹점(100)으로부터 이를 확인받도록 하는 것이다.
단계 S5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단계 S400에서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받은 기부 행사 참여 사실을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아 행사 참여 사실과 함께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전송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단계 S500에서 자신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자신의 선행을 기록하고 지인들과 소통함으로써 간접 기부에 대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또한, 가맹점(100)은 사용자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기부 행사 참여 사실을 전송함으로써,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가맹점(100)의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 S6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단계 S400에서 입력받은 기부 행사 참여 실적에 따라 사용자에게 쿠폰 또는 아이템 등을 포함하는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간접 기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각종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600에 대해서는 추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7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사용자가 가맹점(100)의 기부 행사에 참여함으로써 발생한 수익의 일부를 기부 단체(400)에 기부할 수 있다. 기부 단체(400)는 기부를 받아서 운영되는 비영리단체, 기부를 통해 조성된 기금으로 각종 사회봉사 활동을 하는 단체, 불우이웃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가맹점(100)으로부터 기부금을 받아 기부 단체(400)에 기부함으로써 사용자는 간접 기부를 할 수 있다. 단계 S700에서 기부하는 수익의 일부는 단계 S100에서 가맹점(100) 가입 시 정한 약정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600에서 사용자에게 혜택을 부여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600에서 사용자에게 혜택을 부여하는 방법의 흐름은, 행사 참여 횟수를 합하여 온라인상의 지위를 부여하는 단계(S610), 및 온라인상의 지위에 따라 혜택을 부여하는 단계(S62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임무를 부여하고 임무 완료 시 소정의 아이템을 부여하는 단계(S63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단계 S61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단계 S400에서 입력받은 기부 행사 참여 횟수를 합하여 기부 행사 참여 횟수에 따라 사용자에게 온라인상의 지위를 부여하며, 기부 행사 참여 횟수가 많을수록 온라인상의 높은 지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온라인상의 지위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종의 게임을 하는 것처럼 온라인상의 지위를 높이기 위해 기부 행사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사용자에게 부여한 온라인상의 지위에 따라 가맹점(100)에서 사용이 가능한 쿠폰 또는 적립금을 포함하는 혜택을 부여하며, 온라인상의 지위에 따라 혜택을 차등 부여할 수 있다. 온라인상의 지위에 따라 할인 쿠폰, 무료 쿠폰, 또는 적립금 등의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 온라인상의 지위가 높을수록 할인율이 높은 할인 쿠폰을 지급하거나, 적립금의 적립 비율을 높게 설정하는 등 혜택을 차등 부여함으로써 사용자가 온라인상의 지위를 높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기부 행사에 참여하고, 쿠폰이나 적립금을 사용하기 위해 가맹점(100)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단계 S63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사용자에게 미리 정해진 기준대로 기부 행사에 참여하는 임무를 부여하고, 임무 완료 시 소정의 아이템을 부여할 수 있다. 온라인 게임 등에서 미션을 수행하면 아이템을 얻는 것과 유사하게,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임무를 완료하면 소정의 아이템을 부여하여 게임에서 얻을 수 있는 것과 유사한 재미를 느끼게 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기준은 기부 행사의 개수 한정, 기부 행사의 종류 한정, 가맹점의 위치 한정 등을 이용하여 기준을 정할 수도 있고, 기간을 한정하여 기준을 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른 배지를 아이템으로 할 수 있는데, 사용자들이 배지를 모으는 것에 재미를 느껴 배지를 모으기 위해 기부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기부 사실을 사용자에게 보고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기부 사실을 사용자에게 보고하는 방법은, 기부받은 단체로부터 사업 내용을 보고받아 전송하는 단계(S810), 및 기부받은 단체로부터 기부 확인서를 받아 전송하는 단계(S82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81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단계 S700에서 기부받은 기부 단체(400)로부터 사업 내용을 보고받아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종래에는 간접 기부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가맹점(100)에서 어디에 기부를 했으며 기부받은 기부 단체(400)에서 기부금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알 수가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계 S810을 포함함으로써, 기부 단체(400)에서 기부금을 활용하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82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단계 S700에서 기부 받은 기부 단체(400)로부터 기부 확인서를 받아 기부 단체(400)에 기부한 가맹점(100) 리스트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종래에는 간접 기부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기부 사실을 확인하거나 기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사용자는 가맹점(100)에서 기부했다는 말을 믿을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는 단계 S820을 포함함으로써, 간접 기부 내역을 보다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기부 확인서를 확인하고 기부 내역이 충실한 가맹점(100)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가맹점 200: 서비스 제공 서버
300: 사용자 단말기 400: 기부 단체
S100: 가맹점으로부터 가맹점 가입을 받는 단계
S200: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 가입을 승인하는 단계
S300: 가맹점의 기부 행사 내용을 전송하는 단계
S400: 기부 행사에 참여하였음을 입력 받는 단계
S500: 행사 참여 사실을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전송하는 단계
S600: 행사 참여 실적에 따라 혜택을 부여하는 단계
S610: 행사 참여 횟수를 합하여 온라인상의 지위를 부여하는 단계
S620: 온라인상의 지위에 따라 혜택을 부여하는 단계
S630: 임무를 부여하고 임무 완료 시 소정의 아이템을 부여하는 단계
S700: 일정액을 기부 단체에 기부하는 단계
S810: 기부 받은 단체로부터 사업 내용을 보고 받아 전송하는 단계
S820: 기부받은 단체로부터 기부 확인서를 받아 전송하는 단계

Claims (11)

  1. 간접 기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가맹점으로부터 상기 가맹점의 기부 행사 내용을 입력받고 기부 약정을 조건으로 가맹점을 가입시키는 단계;
    (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 가입을 승인하는 단계;
    (3)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가맹점에 대한 정보의 전송과 함께 상기 가맹점의 기부 행사 내용을 전송하는 단계;
    (4)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상기 가맹점에서 상기 기부 행사에 참여하였음을 입력받는 단계;
    (5) 상기 단계 (4)에서 입력받은 기부 행사 참여 실적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쿠폰 또는 아이템 등을 포함하는 혜택을 부여하는 단계; 및
    (6)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맹점의 기부 행사에 참여함으로써 발생한 수익의 일부를 기부 단체에 기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에서는,
    상기 단계 (4)에서 입력받은 기부 행사 참여 횟수를 합산하여 상기 기부 행사 참여 횟수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온라인상의 지위를 부여하며, 상기 기부 행사 참여 횟수가 많을수록 온라인상의 높은 지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한 온라인상의 지위에 따라 상기 가맹점에서 사용이 가능한 쿠폰 또는 적립금을 포함하는 혜택을 부여하며, 상기 온라인상의 지위에 따라 혜택을 차등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에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미리 정해진 기준대로 상기 기부 행사에 참여하는 임무를 부여하고, 상기 임무 완료 시 소정의 아이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기부 행사 참여 사실을 상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아 상기 행사 참여 사실과 함께 상기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6)에서 기부 받은 상기 기부 단체로부터 사업 내용을 보고 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6)에서 기부받은 상기 기부 단체로부터 기부 확인서를 받아 상기 기부 단체에 기부한 가맹점 리스트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가맹점에 대한 정보의 전송과 함께 상기 가맹점의 기부 행사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가맹점의 기부 행사에 참여한 사용자의 수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기부 행사 참여 여부를 상기 가맹점으로부터 확인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00102125A 2010-10-19 2010-10-19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119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125A KR101119080B1 (ko) 2010-10-19 2010-10-19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125A KR101119080B1 (ko) 2010-10-19 2010-10-19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9080B1 true KR101119080B1 (ko) 2012-03-16

Family

ID=46141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125A KR101119080B1 (ko) 2010-10-19 2010-10-19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0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6586A3 (en) * 2013-05-15 2015-02-26 Vigeomedia, Llc Digital exchange serving as an integrated, continuous sponsorship and promotion system for community businesses, organizations, and schools
KR20180000441U (ko) * 2016-08-05 2018-02-14 김승민 후원약정서 체결을 통한 후원금 모집과 지급방법
KR20180034189A (ko) * 2016-09-26 2018-04-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사회적 가치 증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042A (ko) * 2001-04-17 2001-07-13 고광용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사회단체 기부시스템 및 그 기부방법
KR20060055059A (ko) * 2004-11-17 2006-05-23 김유정 결제수단 연계형 기부금 제공용 단말장치 및 기록매체와이를 이용한 결제수단 연계형 기부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15895A (ko) * 2008-01-04 2008-02-20 주식회사 나래누리 기부 보상 프로그램으로서의 전자 쿠폰 발행 서비스 시스템
KR20090126557A (ko) * 2008-06-04 2009-12-09 에스케이마케팅앤컴퍼니 주식회사 이벤트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042A (ko) * 2001-04-17 2001-07-13 고광용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사회단체 기부시스템 및 그 기부방법
KR20060055059A (ko) * 2004-11-17 2006-05-23 김유정 결제수단 연계형 기부금 제공용 단말장치 및 기록매체와이를 이용한 결제수단 연계형 기부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15895A (ko) * 2008-01-04 2008-02-20 주식회사 나래누리 기부 보상 프로그램으로서의 전자 쿠폰 발행 서비스 시스템
KR20090126557A (ko) * 2008-06-04 2009-12-09 에스케이마케팅앤컴퍼니 주식회사 이벤트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6586A3 (en) * 2013-05-15 2015-02-26 Vigeomedia, Llc Digital exchange serving as an integrated, continuous sponsorship and promotion system for community businesses, organizations, and schools
KR20180000441U (ko) * 2016-08-05 2018-02-14 김승민 후원약정서 체결을 통한 후원금 모집과 지급방법
KR20180034189A (ko) * 2016-09-26 2018-04-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사회적 가치 증진 시스템
KR101863553B1 (ko) * 2016-09-26 2018-06-0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사회적 가치 증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7975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discount retailing
US8650072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discount retailing
US11989754B2 (en) Linking a transaction between a merchant and a resident of the same vicinity to the resident viewing the merchant broadcast advertisement
KR101826736B1 (ko) 마케팅 메시지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30041733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ip sharing using social networking
US20140052513A1 (en) Social Commerce Intelligence Engine
US11640624B2 (en) Geographically targeted, time-based promotions
CN109074600A (zh) 用于为已使用票券提供第三市场的系统和方法
WO20131524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retail network
US201600929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registration, compensation, management and analysis of product or content customized purchase or selling
CN104364809A (zh) 选单层级的推荐及奖励系统
US201503323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preferred customers and providing individualized loyalty campaigns
KR20130103081A (ko) 이익 공유 그룹에 기초한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128667A (ko) 추천 판매에 따른 보너스 정산 방법 및 그를 위한 네트워크 마케팅 관리 시스템
KR10111908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접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502943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ivileged services to preferred customers
US20150058107A1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endor Offers Having a Donation Component
KR101702447B1 (ko) 정보제공 및 피드백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57164A (ko) 온라인 계정에 대한 활동가치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주식 거래 시스템
JP2019101880A (ja) ポイント管理装置、ポイント管理方法、ポイント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ポイント管理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120143664A1 (en) Reward method and system for users of electronic commerce
IES86340B2 (en) Social network that generates revenue
IES86340Y1 (en) Social network that generates revenue
IE20110031U1 (en) Social network that generates revenue
KR20150093116A (ko) 조인트쿠폰 발행을 통한 거래 창출 및 거래 정보 공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