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991B1 - 소화기용 노즐 - Google Patents

소화기용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991B1
KR101118991B1 KR1020110050485A KR20110050485A KR101118991B1 KR 101118991 B1 KR101118991 B1 KR 101118991B1 KR 1020110050485 A KR1020110050485 A KR 1020110050485A KR 20110050485 A KR20110050485 A KR 20110050485A KR 101118991 B1 KR101118991 B1 KR 101118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uide groove
hole
nozzle body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워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기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사되는 소화액의 입자의 크기가 서로 다르고, 입자가 작은 소화액은 중심부로부터 멀리까지 분사되므로 소화액의 분사범위가 넓고, 베인의 안내홈을 통하여 안내되어 분사되는 소화액 내측으로는 중앙 안내공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이 분사되므로 종래기술과 달리 소화액의 분사영역 중앙부에도 소화액이 분사되는 소화기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화기용 노즐{nozzle for a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소화기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사되는 소화액의 입자의 크기가 서로 다르고, 입자가 작은 소화액은 중심부로부터 멀리까지 분사되므로 소화액의 분사범위가 넓고, 베인의 안내홈을 통하여 안내되어 분사되는 소화액 내측으로는 중앙 안내공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이 분사되므로 종래기술과 달리 소화액의 분사영역 중앙부에도 소화액이 분사되는 소화기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화기용 노즐로는 '자동식 소화기의 노즐 어셈블리(출원번호:KR20-2006-0008244)'가 있다. 종래기술은 노즐 본체 내에 삽입되는 노즐 밴의 둘레면에 나선형의 원형홈부와 돌기부를 다수 형성함으로써, 소정의 방사면적내에서 소화약제의 방사량이 일정하고 고르게 분포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원형홈부와 돌기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다수개의 유로가 동일하여 분사입자의 크기가 동일하므로 분사영역이 좁고, 노즐 밴의 상하단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없으므로 소화액의 분사영역 중앙부에는 소화액이 분사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분사되는 소화액의 입자의 크기가 서로 다르고, 입자가 작은 소화액은 중심부로부터 멀리까지 분사되므로 소화액의 분사범위가 넓고, 베인의 안내홈을 통하여 안내되어 분사되는 소화액 내측으로는 중앙 안내공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이 분사되므로 종래기술과 달리 소화액의 분사영역 중앙부에도 소화액이 분사되는 소화기용 노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소화액이 분사되는 분사공(14)이 하단에 형성되는 노즐 몸체(10)와, 공급된 소화액이 확산되어 분사되도록 상기 노즐 몸체(10)에 형성된 베인 삽착공(13)에 끼워지는 베인(20)을 포함하는 소화기용 노즐에 있어서, 상기 베인(20)의 외주면에는 소화액을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안내홈(22)이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홈(22)은, 상기 베인(20)의 외주면이 상기 노즐 몸체(10)의 내벽과 밀착됨에 따라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홈(22)의 개방된 횡방향 둘레면이 상기 노즐 몸체(10)의 내벽에 밀폐됨으로써 형성되는 각각의 유로의 횡단면의 면적이 서로 다르도록 나선 형태로 상호 이웃하며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홈(22)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이 혼합되어 분사되도록, 상기 노즐 몸체(10)의 하측에는 상기 분사공(14)에 연통하는 분사 안내공(16-1, 16-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홈(22)은 안내되는 소화액을 입자화하여 상기 분사공(14)의 최외각을 통하여 분사하기 위한 제1 안내홈(22-1)과, 제2 안내홈(22-2) 및 제3 안내홈(22-3)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안내홈(22-2)은, 상기 제2 안내홈(22-2)을 통하여 안내되는 소화액이 상기 제1 안내홈(22-1)을 통하여 안내되는 소화액보다 큰 크기로 입자화되도록, 상기 제2 안내홈(22-2)의 개방된 횡방향 둘레면이 상기 노즐 몸체(10)의 내벽에 밀폐됨으로써 형성되는 유로의 횡단면의 면적이 상기 제1 안내홈(22-1)의 개방된 횡방향 둘레면이 노즐 몸체(10)의 내벽에 밀폐됨으로써 형성되는 유로의 횡단면의 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안내홈(22-3)은, 상기 제3 안내홈(22-3)을 통하여 안내되는 소화액이 상기 제2 안내홈(22-2)을 통하여 안내되는 소화액보다 큰 크기로 입자화되도록, 상기 제3 안내홈(22-3)의 개방된 횡방향 둘레면이 상기 노즐 몸체(10)의 내벽에 밀폐됨으로써 형성되는 유로의 횡단면의 면적이 상기 제2 안내홈(22-2)의 개방된 횡방향 둘레면이 노즐 몸체(10)의 내벽에 밀폐됨으로써 형성되는 유로의 횡단면의 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인(20)에는 상하단을 관통하며 상기 각각의 안내홈(22-1, 22-2, 22-3)의 개방된 횡방향 둘레면이 상기 노즐 몸체(10)의 내벽에 밀폐됨으로써 형성되는 각각의 유로의 횡단면의 면적보다 횡단면의 면적이 큰 중앙 안내공(24-1, 24-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앙 안내공(24-1, 24-2)은 상측에 형성되는 제1 중앙 안내공(24-1)과, 상기 제1 중앙 안내공(24-1)과 연통하며 상기 제1측 중앙 안내공(24-1)보다는 횡단면의 크기가 작고, 상기 각각의 안내홈(22-1, 22-2, 22-3)의 개방된 횡단면 둘레면이 상기 노즐 몸체(10)의 내벽에 밀폐됨으로써 형성되는 각각의 유로의 횡단면의 면적보다 횡단면의 면적이 크게 하측에 형성되는 제2 중앙 안내공(24-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사 안내공(16-1, 16-2)은 상기 베인 삽착공(13)에 연통하는 제1 분사 안내공(16-1) 및 상기 제1 분사 안내공(16-1)에 연통하며 상기 제1 분사 안내공(16-1)의 횡단면의 면적보다 횡단면의 면적이 작은 제2 분사 안내공(16-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사공을 통하여 분사되는 소화액 중 제3 안내홈을 통하여 안내되는 소화액 및 중앙 안내공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을 화재지역에 분사하게 되면, 제1 안내홈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은 화재지역으로 공급되는 산소의 유입을 차단하게 되고, 제2 안내홈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은 화재지역의 주변온도를 낮추게 된다. 이 경우 제1 안내홈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의 입자의 크기가 작으므로 화재지역으로의 공급되는 공기의 유입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지역의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되는 소화액의 입자의 크기가 서로 다르고, 입자가 작은 소화액은 중심부로부터 멀리까지 분사되므로 소화액의 분사범위가 넓고, 안내홈을 통하여 분사되는 소화액 내측으로는 중앙 안내공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이 분사되므로 종래기술과 달리 소화액의 분사영역 중앙부에도 소화액이 분사되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노즐 몸체와 베인이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노즐 몸체와 베인이 분리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베인의 횡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노즐 몸체와 베인이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를, 도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노즐 몸체와 베인이 분리된 상태의 종단면도를,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베인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소화기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노즐 몸체(10)를 가진다. 노즐 몸체(10)의 상단에는 소화액이 유입되는 소화액 유입공(12)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소화액이 분사되는 분사공(14)이 형성된다.
도2를 참조하면 노즐 몸체(10)에는 소화액 유입공(12) 및 분사공(14) 사이에는 소화액 유입공(12) 및 분사공(14)에 연통하는 베인 삽착공(13)이 형성된다. 베인 삽착공(13)에는 베인(20)이 삽착된다. 베인(20)은 소화액 유입공(12)으로 공급된 소화액을 확산시켜 분사공(14)을 통하여 분사하기 위한 것이다.
도1 및 도3을 참조하면 베인(20)의 외주면에는 소화액을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안내홈(22)이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형성된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홈(22)은 베인(20)의 외주면이 노즐 몸체(10)의 내벽과 밀착됨에 따라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홈(22)의 개방된 횡방향 둘레면이 노즐 몸체(10)의 내벽에 밀폐됨으로써 형성되는 각각의 유로의 횡단면의 면적이 서로 다르도록 나선 형태로 상호 이웃하며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홈(22)은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안내홈(22)이 3개인 경우 안내홈은 제1 안내홈(22-1), 제2 안내홈(22-2) 및 제3 안내홈(22-3)을 포함하는데, 노즐 몸체(10)의 내벽에 둘러싸인 제1 안내홈(22-1)의 횡단면적은 노즐 몸체(10)의 내벽에 둘러싸인 제2 안내홈(22-2)의 횡단면적보다 작고, 노즐 몸체(10)의 내벽에 둘러싸인 제2 안내홈(22-3)의 횡단면적은 노즐 몸체(10)의 내벽에 둘러싸인 제3 안내홈(22-3)의 횡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홈(22)을 통과하는 소화액 중 제1 안내홈(22-1)을 통하여 안내되는 소화액이 가장 작은 크기로 입자화되고, 제3 안내홈(22-3)을 통하여 안내되는 소화액이 가장 큰 크기로 입자화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베인(20)에는 상하단을 관통하며 안내홈(22-1, 22-2, 22-3)보다 크기가 큰 중앙 안내공(24-1, 24-2)이 형성된다. 중앙 안내공(24-1, 24-2)은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중앙 안내공(24-1) 및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중앙 안내공(24-2)을 포함하는데, 제1 중앙 안내공(24-1)의 횡단면적 및 제2 중앙 안내공(24-2)의 횡단면적은 노즐 몸체(10)의 내벽에 둘러싸인 제1 안내홈(22-1)의 횡단면적, 노즐 몸체(10)의 내벽에 둘러싸인 제2 안내홈(22-3)의 횡단면적 및 노즐 몸체(10)의 내벽에 둘러싸인 제3 안내홈(22-3)의 횡단면적보다 각각 크게 형성된다. 한편, 제1 중앙 안내공(24-1)의 횡단면적은 제2 중앙 안내공(24-2)의 횡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중앙 안내공(24-1, 24-2)을 통하여 안내되는 소화액은 안내홈(22-1, 22-2, 22-3)을 통하여 안내되는 소화액보다 큰 크기로 입자화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홈(22)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이 혼합되어 분사되도록, 노즐 몸체(10)의 하측에는 분사공(14)에 연통하는 분사 안내공(16-1, 16-2)이 형성된다. 분사 안내공(16-1, 16-2)은 베인 삽착공(13)에 연통하는 제1 분사 안내공(16-1) 및 제1 분사 안내공(16-2) 보다 횡단면적이 작은 제2 분사 안내공(16-2)을 포함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분사공(14)은 제2 분사 안내공(16-2)에 연통하는 부분으로부터 노출단으로 가면서 횡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도1을 참조하면 중앙 안내공(24-1, 24-2)은 베인 삽착공(13)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홈(22)은 베인 삽착공(13)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므로, 제1 분사 안내공(16-1)에 유입된 소화액 중 중앙 안내공(24-1, 24-2)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은 제1 분사 안내공(16-1)의 중앙부를 통하여 안내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홈(22)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은 제1 분사 안내공(16-1)의 가장자리를 통하여 안내된다. 즉,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홈(22)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은 제1 분사 안내공(16-1)의 중심부로 확산되려는 경향이 있고, 중앙 안내공(24-1, 24-2)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은 반대로 제1 분사 안내공(16-1)의 가장자리로 확산되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호 상반된 확산력에 의하여 상호 일정한 경계 영역을 중심으로 내측에는 중앙 안내공(24-1, 24-2)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이 안내되고, 외측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홈(22)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이 안내된다. 한편, 상기 경계 영역의 외측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홈(22)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은 확산되어 상호 혼합된다.
도1을 참조하면 제1 분사 안내공(16-1)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은 제1 분사 안내공(16-2) 보다 횡단면적이 작은 제2 분사 안내공(16-2)을 통하여 안내되므로 유속이 증가한다. 한편, 제2 분사 안내공(16-2)은 제1 분사 안내공(16-1)에 일자형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므로, 제2 분사 안내공(16-2)을 통하여 안내되는 소화액은 제1 분사 안내공(16-1)을 통하여 안내되는 소화액과 마찬가지로 중앙부로는 중앙 안내공(24-1, 24-2)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이 안내되고 가장자리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홈(22)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이 안내된다.
도1을 참조하면 분사공(14)은 제2 분사 안내공(16-2)에 연통하는 부분으로부터 노출단으로 가면서 횡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므로, 분사공(14)을 통하여 분사되는 소화액은 원추형을 이루며 분사된다. 분사공(14)의 중심부를 통하여는 중앙 안내공(24-1, 24-2)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이 안내되며 분사되고, 분사공(14)의 가장자리를 통하여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홈(22)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이 안내되며 분사된다. 한편,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홈(22)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 중 제1 안내홈(22-1)을 통하여 안내되는 소화액으로부터 제3 안내홈(22-3)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으로 가면서 입자의 크기가 커지므로, 제1 안내홈(22-1)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이 최외각으로 분사되고, 이어서 그 내측으로 가면서 제2 안내홈(22-2)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 및 제3 안내홈(22-3)을 통하여 안내되는 소화액이 분사된다. 즉, 분사공(14)을 통하여 분사되는 소화액은 원추형을 이루며 분사되는데, 중심부에는 중앙 안내공(24-1, 24-2)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이 위치하고, 그 외측으로는 제3 안내홈(22-3)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 제2 안내홈(22-2)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 및 제2 안내홈(22-1)을 통하여 안내되는 소화액이 순차적으로 링형태를 이루며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분사공(14)을 통하여 분사되는 소화액 중 제3 안내홈(22-3)을 통하여 안내되는 소화액 및 중앙 안내공(24-1, 24-2)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을 화재지역에 분사하게 되면, 제1 안내홈(22-1)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은 화재지역으로 공급되는 산소의 유입을 차단하게 되고, 제2 안내홈(22-2)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은 화재지역의 주변온도를 낮추게 된다. 이 경우 제1 안내홈(22-1)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의 입자의 크기가 작으므로 화재지역으로의 공급되는 공기의 유입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지역의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분사되는 소화액의 입자의 크기가 서로 다르고, 입자가 작은 소화액은 중심부로부터 멀리까지 분사되므로 소화액의 분사범위가 넓고, 안내홈(22-1, 22-2, 22-3)을 통하여 분사되는 소화액 내측으로는 중앙 안내공(24-1, 24-2)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이 분사되므로 종래기술과 달리 소화액의 분사영역 중앙부에도 소화액이 분사되는 장점이 있다.
10:노즐 몸체 13:베인 삽착공
14:분사공 16-1:제1 분사 안내공
16-2:제2 분사 안내공
20:베인 22:안내홈
22-1:제1 안내홈 22-2:제2 안내홈
22-3:제3 안내홈 24-1:제1 중앙 안내공
24-2:제2 중앙 안내공

Claims (5)

  1. 소화액이 분사되는 분사공(14)이 하단에 형성되는 노즐 몸체(10)와, 공급된 소화액이 확산되어 분사되도록 상기 노즐 몸체(10)에 형성된 베인 삽착공(13)에 끼워지는 베인(20)을 포함하는 소화기용 노즐에 있어서,
    상기 베인(20)의 외주면에는 소화액을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안내홈(22)이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홈(22)은, 상기 베인(20)의 외주면이 상기 노즐 몸체(10)의 내벽과 밀착됨에 따라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홈(22)의 개방된 횡방향 둘레면이 상기 노즐 몸체(10)의 내벽에 밀폐됨으로써 형성되는 각각의 유로의 횡단면의 면적이 서로 다르도록 나선 형태로 상호 이웃하며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홈(22)을 통하여 안내된 소화액이 혼합되어 분사되도록, 상기 노즐 몸체(10)의 하측에는 상기 분사공(14)에 연통하는 분사 안내공(16-1, 16-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안내홈(22)은 안내되는 소화액을 입자화하여 상기 분사공(14)의 최외각을 통하여 분사하기 위한 제1 안내홈(22-1)과, 제2 안내홈(22-2) 및 제3 안내홈(22-3)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안내홈(22-2)은, 상기 제2 안내홈(22-2)을 통하여 안내되는 소화액이 상기 제1 안내홈(22-1)을 통하여 안내되는 소화액보다 큰 크기로 입자화되도록, 상기 제2 안내홈(22-2)의 개방된 횡방향 둘레면이 상기 노즐 몸체(10)의 내벽에 밀폐됨으로써 형성되는 유로의 횡단면의 면적이 상기 제1 안내홈(22-1)의 개방된 횡방향 둘레면이 노즐 몸체(10)의 내벽에 밀폐됨으로써 형성되는 유로의 횡단면의 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안내홈(22-3)은, 상기 제3 안내홈(22-3)을 통하여 안내되는 소화액이 상기 제2 안내홈(22-2)을 통하여 안내되는 소화액보다 큰 크기로 입자화되도록, 상기 제3 안내홈(22-3)의 개방된 횡방향 둘레면이 상기 노즐 몸체(10)의 내벽에 밀폐됨으로써 형성되는 유로의 횡단면의 면적이 상기 제2 안내홈(22-2)의 개방된 횡방향 둘레면이 노즐 몸체(10)의 내벽에 밀폐됨으로써 형성되는 유로의 횡단면의 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노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20)에는 상하단을 관통하며 상기 각각의 안내홈(22-1, 22-2, 22-3)의 개방된 횡방향 둘레면이 상기 노즐 몸체(10)의 내벽에 밀폐됨으로써 형성되는 각각의 유로의 횡단면의 면적보다 횡단면의 면적이 큰 중앙 안내공(24-1, 2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노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안내공(24-1, 24-2)은 상측에 형성되는 제1 중앙 안내공(24-1)과, 상기 제1 중앙 안내공(24-1)과 연통하며 상기 제1측 중앙 안내공(24-1)보다는 횡단면의 크기가 작고, 상기 각각의 안내홈(22-1, 22-2, 22-3)의 개방된 횡단면 둘레면이 상기 노즐 몸체(10)의 내벽에 밀폐됨으로써 형성되는 각각의 유로의 횡단면의 면적보다 횡단면의 면적이 크게 하측에 형성되는 제2 중앙 안내공(2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노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안내공(16-1, 16-2)은 상기 베인 삽착공(13)에 연통하는 제1 분사 안내공(16-1) 및 상기 제1 분사 안내공(16-1)에 연통하며 상기 제1 분사 안내공(16-1)의 횡단면의 면적보다 횡단면의 면적이 작은 제2 분사 안내공(1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노즐.
KR1020110050485A 2010-09-15 2011-05-27 소화기용 노즐 KR101118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770 2010-09-15
KR20100009770 2010-09-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8991B1 true KR101118991B1 (ko) 2012-03-12

Family

ID=46141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485A KR101118991B1 (ko) 2010-09-15 2011-05-27 소화기용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9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464Y1 (ko) 2002-07-02 2002-10-11 (주) 중산기업 스프레이 노즐
KR200392373Y1 (ko) 2005-05-11 2005-08-10 주식회사 파워텍 자동식소화기용 노즐
KR200452147Y1 (ko) 2010-06-04 2011-02-10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자동식 소화기 노즐용 베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464Y1 (ko) 2002-07-02 2002-10-11 (주) 중산기업 스프레이 노즐
KR200392373Y1 (ko) 2005-05-11 2005-08-10 주식회사 파워텍 자동식소화기용 노즐
KR200452147Y1 (ko) 2010-06-04 2011-02-10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자동식 소화기 노즐용 베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376B1 (ko) 매체의 분무방법 및 분무노즐
KR101122289B1 (ko) 내부 혼합식 분무 노즐
ES2944326T3 (es) Dispositivo de supresión de incendios mediante agua nebulizada y método de fabricación
KR20170036431A (ko) 연기확산 방지 소방용 분사 노즐
US20170120092A1 (en) Compressed Air Foam Fluid Mixing Device
CN209108502U (zh) 细水雾喷头
CN109154436A (zh) 进口组件
KR101118991B1 (ko) 소화기용 노즐
CN105983490A (zh) 一种可形成中空水幕的出水装置
KR101532592B1 (ko) 소화용 분사노즐
KR200460044Y1 (ko) 소화약제 분사헤드
KR20190053924A (ko) 미세 기포 발생 노즐
TWM514882U (zh) 噴嘴改良結構
KR200420209Y1 (ko) 자동식 소화기의 노즐 어셈블리
KR101205986B1 (ko) 소방 노즐 조립체
CN104480552A (zh) 一种狭缝式风环
WO2009139069A1 (ja) 集合型ミストノズル及びそのミストノズルを備えた消火設備
KR101498926B1 (ko) 장거리 유체 분사 장치
KR200452147Y1 (ko) 자동식 소화기 노즐용 베인
GB2552673A (en) SCR doser spray atomization
KR101122290B1 (ko) 외부 혼합식 분무 노즐
KR101604924B1 (ko) 이류체를 이용한 소화용 분무 노즐
CN104492012B (zh) 一种大扩散角泡沫灭火喷头
KR100779729B1 (ko) 와류식 미분무형 소화노즐
KR20130092295A (ko) 수막용 가압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