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875B1 - 조절가능한 연결밴드를 구비한 고글 - Google Patents

조절가능한 연결밴드를 구비한 고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875B1
KR101118875B1 KR1020100059447A KR20100059447A KR101118875B1 KR 101118875 B1 KR101118875 B1 KR 101118875B1 KR 1020100059447 A KR1020100059447 A KR 1020100059447A KR 20100059447 A KR20100059447 A KR 20100059447A KR 101118875 B1 KR101118875 B1 KR 101118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holder
band
connection band
gogg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259A (ko
Inventor
이범규
Original Assignee
이범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범규 filed Critical 이범규
Priority to CN201080029644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470265A/zh
Priority to PCT/KR2010/004189 priority patent/WO2011002194A2/ko
Publication of KR20110003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3/00Swimming equipment attachable to the head, e.g. swim caps or goggles
    • A63B33/002Swimming goggles
    • A63B33/006Swimming goggles with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bridg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3/00Swimming equipment attachable to the head, e.g. swim caps or goggles
    • A63B33/002Swimming goggles
    • A63B33/004Swimming goggles comprising two separate lenses joined by a flexible bridg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04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with adjustable means
    • G02C5/045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with adjustable means for varying the horizontal distance of the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0Apparatus used in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ckles (AREA)
  • Eyeglasse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아이컵을 연결하는 연결밴드를 조절가능한 스위밍고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위밍고글은, 렌즈부를 갖춘 한 쌍의 아이컵과, 아이컵들의 대향하는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탄성의 연결밴드와, 아이컵들의 대향하는 단부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밴드조절장치를 포함한다. 밴드조절장치는, 연결밴드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홀더와, 수용공간에 위치된 로킹돌기와, 연결밴드의 길이방향에서 홀더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로킹버클을 구비한다. 로킹버클은 로킹버클이 홀더에 끼움결합하여 로킹돌기와 연결밴드를 서로에게 압박하는 로킹위치와, 연결밴드가 홀더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로킹해제위치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아이컵을 연결하는 연결밴드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절될 수 있고, 연결밴드가 아이컵에 착용자의 안면 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스위밍고글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절가능한 연결밴드를 구비한 고글{GOGGLE WITH ADJUSTABLE BRIDGE BAND}
본 발명은 한 쌍의 아이컵이 연결밴드로 연결되는 고글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한 쌍의 아이컵을 연결하는 연결밴드를 조절가능한 스위밍고글에 관한 것이다.
고글의 일예로서, 착용자의 좌우안 상에 각각 놓이는 한 쌍의 아이컵(eyecup)의 대향하는 내측 단부가 연결밴드(bridge band)로 연결되는 스위밍고글(swimming goggle)이 있다. 이 연결밴드는 탄성 또는 가요성의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다. 다양한 길이의 연결밴드를 채용함으로써, 스위밍고글은 착용자들의 다양한 좌우안 사이의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연결밴드와 아이컵 사이의 결합의 일 예가 하기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기술의 스위밍고글에서는, 연결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통공에 아이컵에 마련된 후크부가 끼움결합하여 아이컵과 연결밴드가 연결된다.
도 1 및 도 2는 연결밴드가 아이컵에 끼움결합으로 연결되는 다른 종래기술의 스위밍고글을 예시한다. 도 1에 예시하는 스위밍고글(10)은 한 쌍의 아이컵(11)과, 아이컵(11)의 외측 가장자리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헤드스트랩(12)과, 아이컵(11)의 대향하는 내측 단부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연결밴드(13)를 구비한다. 연결밴드(13)는 비교적 경질의 플라스틱재료로 이루어지며, 대체로 U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연결밴드(13)의 양단부에는 끼움결합을 위한 홈(13a)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13a)에 끼움결합하는 통공이 형성된 지지아암(11a)이 아이컵(11)의 내측 단부로부터 비스듬히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밍고글(10)의 조립시, 연결밴드(13)는 지지아암(11a)의 통공에 그 일단부를 강하게 밀어넣어 홈(13a)을 통공에 끼움결합함으로써 아이컵(11)에 연결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스위밍고글(10)의 경우, 연결밴드와 아이컵의 연결을 위해 강한 힘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결밴드(13)의 길이는 이미 정해져 있으므로, 착용자들의 다양한 좌우안의 거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추어 다양한 연결밴드가 미리 준비되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도 3은 연결밴드가 아이컵에 끼움결합으로 연결되는 또 다른 종래기술의 스위밍고글을 예시한다. 도 3에 예시하는 스위밍고글(20)에 있어서는, 연결밴드(23)는 비교적 연질의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고, 그 내면에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돌기(23a)를 가진다. 연결밴드(23)의 돌기(23a)에 지지아암(21a)의 통공이 순차적 끼움결합함으로써, 좌우안 측의 아이컵(21) 사이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지지아암(21a)의 통공이 더욱 안쪽의 돌기(23a)의 끼움결합함에 따라 연결밴드(23)의 일단이 지지아암(21a)의 하측에 놓일 수 있고, 이 때 연결밴드(23)의 일단이 착용자의 안면의 콧등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예시하는 스위밍고글(20)에 있어서는, 연결밴드(23)의 일단이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여 착용자가 불쾌감 또는 이물감을 느끼게 된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스위밍고글(20)이 갑자기 벗겨지거나 스위밍고글(20)에 전방으로부터 충격 또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연결밴드(23)의 일단이 착용자의 안면을 스치게 되어 착용자의 안면의 피부를 손상시키는 점에서 더욱 문제점이 있다.
WO 01/80956 A1, 2001.11.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밴드가 조절되면서 연결밴드가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스위밍고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하고 신속한 조작으로 연결밴드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위밍고글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고글은, 렌즈부를 갖춘 한 쌍의 아이컵과, 상기 아이컵들의 대향하는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탄성의 연결밴드와, 상기 아이컵들의 대향하는 단부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밴드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밴드조절장치는, 연결밴드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홀더와,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된 로킹돌기와, 상기 연결밴드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홀더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로킹버클을 구비한다. 상기 로킹버클은 상기 로킹버클이 상기 홀더에 끼움결합하여 상기 로킹돌기와 상기 연결밴드를 서로에게 압박하는 로킹위치와, 상기 연결밴드가 상기 홀더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로킹해제위치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일단이 개구되어 있고 타단에서 상기 아이컵에 결합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수용공간을 한정하는 마주하는 제1 및 제2 내면을 구비하고, 상기 로킹돌기는 상기 홀더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로킹버클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내면과의 사이에 상기 연결밴드를 두고서 상기 홀더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로킹버클은 상기 로킹위치에서 상기 홀더의 일단에 끼움결합한다.
상기 로킹버클은 상기 로킹위치에서 상기 제2 내면과 상기 연결밴드의 일단부의 사이로 끼움결합하는 압박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홀더는 상기 연결밴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로킹버클은 상기 제1 가이드슬롯에 끼워지고 상기 홀더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안내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연결밴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슬롯과 상기 제2 가이드슬롯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로킹버클은 상기 제2 가이드슬롯에 끼워지는 안내돌기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로킹버클이 상기 로킹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안내돌기에 걸리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킹버클은 일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절결홈과 상기 절결홈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슬롯에 끼워지는 한 쌍의 래치돌기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로킹버클이 상기 로킹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래치돌기에 걸리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일단이 자유단이고 타단에서 상기 아이컵에 결합되는 한 쌍의 협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협지판 사이에 한정되고, 상기 로킹돌기는 상기 협지판의 일단에서 상기 협지판 중 하나의 내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로킹버클은 상기 연결밴드가 통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협지판들의 상기 일단에 끼움결합하는 압박클립을 구비한다. 상기 로킹위치에서 상기 압박클립이 상기 일단에 끼움결합하면 상기 협지판의 일단들이 서로를 향해 압박된다.
상기 협지판의 일단은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클립의 내주면은 상기 단차부에 쪽으로 넓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압박클립은 링형 또는 사각형을 가진다.
상기 로킹버클은 상기 압박클립에서 연장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에 상기 연결밴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협지판 중 하나는 상기 가이드슬롯에 스냅결합하는 제1 및 제2 스토퍼돌기를 가진다.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돌기 중 하나는 상기 로킹버클이 상기 로킹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슬롯에 스냅결합하도록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밴드는 상기 일단부 부근에 상기 로킹돌기에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구비한다.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연결밴드의 길이방향에서 배치된 복수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밴드는 상기 일단부 부근에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릿지를 구비하고,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릿지 사이의 골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킹돌기는 삼각형, 사각형 및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의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고글은 스위밍고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글에 의하면, 아이컵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밴드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절되어 아이컵 사이의 거리가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연결밴드가 착용자의 안면 측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착용자는 편안한 착용감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연결밴드와 아이컵이 끼움결합으로 연결되는 종래기술의 스위밍고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위밍고글의 연결밴드와 일측의 아이컵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연결밴드와 아이컵이 끼움결합으로 연결되는 또 다른 종래기술의 스위밍고글의 부분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고글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고글의 일측의 아이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Ⅶ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하는 고글의 일측의 아이컵, 연결밴드 및 밴드조절장치 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분해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5와 유사한 도면으로 로킹버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고글을 도시하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ⅩⅣ-ⅩⅣ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은 도 14의 분해측면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고글을 도시하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고글을 도시하는 부분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고글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대응하는 참조번호는 대응하는 요소 또는 부품을 지시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방”이라는 용어는 착용자가 고글을 착용하고 전방을 주시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이라는 용어는 그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이라는 용어는 고글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외측”이라는 용어는 그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르는 고글(100)을 도시한다. 고글(100)은 한 쌍의 아이컵(110)과, 아이컵들(110)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는 헤드스트랩(120)과, 양단부가 아이컵들(110)의 내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아이컵들(11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밴드(130)와, 아이컵들(110)의 내측 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연결밴드(13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밴드조절장치(140)를 구비한다.
한 쌍의 아이컵(110)은 착용자의 좌우안 상에 각각 놓인다. 한 쌍의 아이컵(110)은 대칭의 형상을 가지며, 동일한 요소 및 부품을 포함한다.
아이컵(110)은 렌즈부(111)와, 프레임부(112)와, 개스킷(113)을 구비한다. 렌즈부(111)는 착용자의 눈모양에 맞도록 원형 또는 타원형을 가진다. 프레임부(112)는 렌즈부(111)의 외주를 따라 연장된다. 렌즈부(111)와 프레임부(11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기 제조되어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렌즈부(111)와 프레임부(112)는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렌즈부(111)만이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고, 프레임부(112)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113)은 프레임부(112)의 후방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되어 있다. 개스킷(113)은 고무와 같은 일래스토머재료로 형성되며, 고글의 착용시 착용자의 안면상에 눈주위를 따라 밀착된다.
헤드스트랩(120)은 탄성을 가지는 또는 유연한 플라스틱재료 또는 일래스토머재료로 형성된다. 헤드스트랩(120)은 실형상, 띠형상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헤드스트랩(120)은 고글의 착용시 착용자의 머리에 탄력적으로 밀착하여 고글을 착용자의 머리에 고정한다. 헤드스트랩(120)은 아이컵(110)의 외측 단부, 상세하게는 프레임부(112)의 외측 단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을 위해, 고글(100)은 헤드스트랩 연결장치(121)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장치(121)는 프레임부(121)의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통공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장치는 프레임(112)의 외측 단부 부근에 배치되어, 헤드스트랩(12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밴드(130)는 아이컵들(110)을 그 간격이 가변하도록 연결한다. 연결밴드(130)는 경질 또는 연질이고 유연한 플라스틱재료 또는 일래스토머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밴드(130)는 그 길이방향의 외면(연결밴드의 전방을 향하는 표면) 상에 양단부의 부근에 밴드조절장치(140)의 로킹요소와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가진다.
밴드조절장치(140)는 아이컵들(110)의 내측 단부에, 구체적으로는 프레임부들(112)의 내측 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밴드조절장치(140)는 프레임부(11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조되어 프레임부(11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연결밴드와 밴드조절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밴드(130)는 양단부 부근의 외면 상에 상기 맞물림부로서 복수개의 홈(131)을 구비한다. 홈들(131)은 연결밴드(13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연결밴드(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체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밴드조절장치(140)는 홀더(141)와, 홀더(141)의 내측에 위치되는 로킹돌기(142)와, 홀더(141)의 내측에 배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한 로킹버클(143)을 구비한다.
홀더(141)는 전방이 좁고 후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되어 있다. 홀더(141)의 전방 단부(홀더의 일단)는 개구되어 있고 후방 단부(홀더의 타단)는 폐쇄되어 있다. 홀더(141)의 후방 단부는 착용자의 콧등 위에 놓인다. 홀더(141)는 그 후방 단부에서 프레임부(112)의 내측 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홀더(141)는 연결밴드(130)의 일단부측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공간(141a)을 가진다. 홀더(141)는 마주하는 제1 내면(141b)과 제2 내면(141c)을 구비한다. 외측의 제1 내면(141b)과 내측의 제2 내면(141c)이 수용공간(141a)을 한정한다. 연결밴드(130)의 일단부측 일부는 수용공간(141a)에 삽입되어, 로킹돌기(142)와 로킹버클(143)의 협력에 의해 홀더(141)에 고정 또는 로킹된다. 연결밴드(130)의 일단부측 일부가 홀더(141)의 내측에 상시 위치하므로, 연결밴드(130)의 일단이 착용자의 안면 상에 접촉하지 않는다.
로킹돌기(142)는 홀더(141)의 전방 단부에서 외측 제1 내면(141b) 상에 형성되어 있고, 연결밴드(13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로킹돌기(142)의 폭은 연결밴드(130)의 홈(131)의 폭보다 약간 작다. 로킹돌기(142)는 대체로 삼각형 또는 V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진다.
로킹버클(143)은 홀더(141)의 수용공간(141a)에 배치되어 홀더(141)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로킹버클(143)은 U자형의 판상체로 이루어져 있다. 로킹버클(143)의 내측을 향하는 표면은 홀더(141)의 내측 제2 내면(141c)에 접촉한다. 또한, 로킹버클(143)은 그 오목한 표면(로킹버클의 외측을 향하는 표면)이 제1 내면(141b)을 향하고 제1 내면(141b)과의 사이에 연결밴드(130)의 상기 일단부측 일부가 놓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로킹버클(143)이 홀더(141) 내에 수용되어 있을 때, 연결밴드(130)의 상기 일단부측 일부는 홀더(141)의 제1 내면(141b)과 로킹버클(143)의 오목한 내측 표면의 사이에 놓이게 된다. 로킹버클(143)은 전방 단부에 연결밴드(130)의 내면(홈(131)이 형성된 외면의 반대쪽 면) 상에 밀착 또는 끼워지는 압박돌기(143a)를 가진다. 압박돌기(143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압박돌기(143a)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로킹버클(143)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홀더(141)는 그 횡방향 양측에 제1 가이드슬롯(141d)과, 제1 가이드슬롯(141d) 사이의 중간 부분에 제2 가이드슬롯(141e)을 가진다. 제1 가이드슬롯(141d)과 제2 가이드슬롯(141e)은 전후방으로(대체로 연결밴드(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홀더(141)의 제1 및 제2 가이드슬롯(141d, 141e)에 대응하게, 로킹버클(143)은 그 횡방향 양측에 제1 가이드슬롯(141d)에 끼워지는 안내부(143b)와, 내측을 향하는 표면 상에 제2 가이드슬롯(141e)에 끼워지는 안내돌기(143c)를 가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버클(143)이 홀더(141)의 내측에 조립되어 있을 때, 안내부(143b)는 제1 가이드슬롯(141d)에 끼워지고 안내돌기(143c)는 제2 가이드슬롯(141d)에 끼워진다. 제1 가이드슬롯(141d) 및 안내부(143b)의 협력과 제2 가이드슬롯(141e) 및 안내돌기(143c)의 협력에 의해, 로킹버클(143)은 홀더(141) 내의 수용공간(141a)에서 연결밴드(130)의 길이방향에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다. 상세하게는, 로킹버클(143)은 홀더(141)에 끼움결합하여 로킹돌기(142)와 연결밴드(130)의 일단부측 일부가 서로에게 압박되어 상기 일단부측 일부가 밴드조절장치(140)의 홀더(141)에 로킹되는 로킹위치(예컨대, 도 5에 도시된 위치)와 연결밴드(130)가 홀더(141)로 더 진입하거나 홀더(141)로부터 후퇴가 허용되는 로킹해제위치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상기 로킹위치에서는, 연결밴드(130)가 로킹돌기(142)와 로킹버클(143)의 압박돌기(143a)의 사이에 위치하고, 적어도 연결밴드(130)의 홈중 하나의 홈(131)에 로킹돌기(142)가 맞물려 있고, 압박돌기(143a)의 끼움에 의해 발생하는 압박에 의해 연결밴드(130)는 그 두께방향에서 로킹돌기(142) 쪽으로 어느 정도 압축되어 있다. 이러한 로킹위치에서, 연결밴드(130)의 일단부측 일부는 로킹버클(143)의 끼움결합(압박돌기(143a)의 끼움)에 의한 로킹돌기(142)에 대한 압축에 의해 홀더(141)에 로킹되어 있다. 상기 로킹해제위치에서는, 로킹버클(143)이 상기 로킹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이동되어 압박돌기(143a)와 로킹돌기(142)의 사이에서 연결밴드(130)가 헐거운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로킹해제위치에서, 연결밴드(130)의 일단부측 일부는 자유로이 홀더(141) 내측으로 진입하거나 홀더(141)로부터 후퇴할 수 있다.
착용자가 로킹버클(143)을 용이하게 다루게 하도록,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버클(143)의 안내부(143b)에는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킹버클(143)이 로킹위치로 이동하여 연결밴드(130)가 고정될 때 로킹버클(143)이 로킹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요소가 밴드조절장치(140)에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제2 가이드슬롯(141e)의 전단 부근에 형성된 걸림돌기(141f)를 포함한다. 걸림돌기(141f)는 제2 가이드슬롯(141e)을 한정하는 벽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걸림돌기(141f)는 안내돌기(143c)가 제2 가이드슬롯(141e)의 전단에 위치할 때 안내돌기(143c)의 후단에 걸리도록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로킹버클(143)은 로킹위치로 이동할 때 걸림돌기(141f)의 작용에 의해 스냅결합 식으로 로킹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로킹버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로킹버클(143')은 압박돌기(143'a)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기다란 절결홈(143'd)과 절결홈(143'd)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래치돌기(143'e)를 가진다. 또한, 로킹버클(143')은 후방 단부에 안내돌기(143'c)를 가진다.
로킹버클(143')이 홀더(141) 내에 조립될 때, 래치돌기(143'e)와 안내돌기(143'c)는 제2 가이드슬롯(141e) 내에 놓인다. 래치돌기(143'e)는 로킹위치 쪽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가지는 쐐기의 형상이다. 또한, 걸림돌기(141f)는 래치돌기(143'e)의 경사면에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걸림돌기(141f)는 로킹버클(143')이 로킹위치에 놓일 때 그 전단에 래치돌기(143'e)의 후단이 걸리도록 위치되어 있다.
로킹버클(143')의 중앙부분에 절결홈(143'd)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결홈(143'd)을 중심으로 한 로킹버클(143')의 좌우 반부가 절결홈(143'd) 쪽으로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로킹버클(143')이 로킹해제위치에서 로킹위치로 이동할 때, 래치돌기(143'e)의 경사면과 걸림돌기(141f)의 경사면의 접촉에 의해 래치돌기(143'e)가 서로 근접하도록 로킹버클(143')이 변형된다. 래치돌기(143'e)가 걸림돌기(141f)를 지나면, 래치돌기(143'e)는 원위치로 복귀되고 래치돌기(143'e)의 하단에 걸림돌기(141f)의 상단이 걸려서 로킹버클(143')이 로킹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로킹버클(143')이 로킹위치에 있을 때(도 10 참조), 착용자가 로킹버클(143')의 양측의 안내부(143'b)를 누르면, 로킹버클(143')의 좌우 반부가 절결홈(143'd) 쪽으로 휘어지면서 래치돌기(143'e)는 걸림돌기(141f)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연결밴드와 밴드조절장치를 가진 고글(100)에 있어서, 연결밴드의 로킹 및 로킹해제의 예를 설명한다.
고글(100)의 로킹해제위치에 있어서, 연결밴드(130)의 일단부측 일부는 밴드조절장치(140)의 홀더(141)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연결밴드(130)의 일단부측 일부는 홀더(141)의 제1 내면(141b)과 로킹버클(143)의 오목한 표면의 사이에 위치하며 홀더(141)의 내외로(즉, 홀더(141)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다. 착용자가 소망하는 아이컵(110) 사이의 간격을 정하고 연결밴드(130)를 고정 또는 로킹하고자 할 경우, 착용자는 연결밴드(130)를 홀더(141)의 내외로 원하는 길이 만큼 이동시킨 다음 로킹버클(143, 143')을 로킹위치로(즉, 홀더(141)의 전방 단부 쪽으로) 이동시킨다.
로킹버클(143, 143')이 로킹위치로 이동되면,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버클(143)의 안내부(143b)는 제1 가이드슬롯(141d)의 전단에 위치하고 로킹버클(143)의 안내돌기(143c)는 제2 가이드슬롯(141e)의 전단에 위치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걸림돌기(141f)가 안내돌기(143c)의 하단에 걸림으로써, 로킹버클(143)은 로킹위치에 유지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로킹버클(143')의 경우, 안내부(143'b)는 제1 가이드슬롯(141d)의 전단에 위치하고, 래치돌기(143'e)는 걸림돌기(141f)에 걸려서, 로킹버클(143')은 로킹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로킹버클(143, 143')이 로킹위치로 이동되면, 연결밴드(130)의 홈중 하나의 홈(131)에 로킹돌기(142)가 맞물리고, 로킹버클(143, 143')의 압박돌기(143a, 143'a)가 홀더(141)의 내측 제2 내면(141c)과 연결밴드(130)의 내면의 사이로 끼워져 연결밴드(130)를 로킹돌기(142) 쪽으로 압박한다. 따라서, 연결밴드(130)는 그 두께방향에서 어느 정도 압축된 상태로 로킹돌기(142)와 로킹버클(143, 143')에 의해 고정되어, 연결밴드(130)의 밴드조절장치(140)에의 로킹이 달성된다.
반대로, 연결밴드(130)의 로킹을 해제하는 경우, 로킹위치에 있는 로킹버클(143, 143')을 로킹해제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로킹버클(143, 143')을 홀더(141)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 압축되어 있는 연결밴드(130)의 일단부측 일부에 로킹버클(143, 143')의 압박돌기(143a, 143'a)의 두께 만큼의 공간이 형성되어 연결밴드(130)는 로킹돌기(142)에 구속됨이 없이 홀더(141)로부터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로킹해제위치에서, 연결밴드(130)를 소망하는 대로 조절한 후, 다시 로킹버클(143, 143')을 로킹위치로 이동시키면 연결밴드(130)는 조절된 길이로 다시 로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착용자는 고글(100)의 연결밴드(130)를 자유로이 용이하게 조절하여 아이컵들(111)의 간격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로킹버클(143')의 경우, 로킹버클(143')이 로킹위치로 이동할 때, 래치돌기(143'e)의 근접과 그 후의 탄성 복귀에 의해 래치돌기(143'e)가 걸림돌기(141f)에 스냅결합한다. 따라서, 로킹버클(143')은 부드럽게 로킹위치로 이동되고, 로킹위치에 신뢰성 높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로킹버클(143')이 로킹위치에 있을 때, 로킹버클(143')의 양측 안내부(143'b)를 누름으로써, 래치돌기(143'e)가 걸림돌기(141f)로부터 해제되어, 로킹버클(143')은 용이하게 로킹위치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는 제2 실시예에 따르는 고글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의 고글(200)은 한 쌍의 아이컵(210)(도 12 내지 도 15에 있어서 일측의 아이컵만이 도시되어 있다)과, 헤드스트랩(220)과, 아이컵들(21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밴드(130)와, 아이컵들(210)의 내측 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연결밴드(13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밴드조절장치(240)를 구비한다.
아이컵(210)은 제1 실시예에서의 아이컵(110)과 같이, 렌즈부(211)와, 프레임부(212)와, 개스킷(213)을 구비한다. 렌즈부(211), 프레임부(212) 및 개스킷(213)은 아이컵(110)의 렌즈부(111), 프레임부(112) 및 개스킷(113)과 대체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부(212)는 헤드스트랩(220)의 연결장치(221)가 누름방식에 의해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헤드스트랩(220)은 띠형상을 가지며, 아이컵(210)의 프레임부(212)의 외측 단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을 위해, 고글(200)은 헤드스트랩 연결장치(221)를 구비하며, 이 실시예에서, 연결장치(221)는 프레임(212)의 외측 단부 부근에 배치되어, 누름에 의해 헤드스트랩(220)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밴드조절장치(240)는 홀더(241)와, 홀더(241)의 내측에 위치되는 로킹돌기(242)와, 홀더(241)에 끼움결합하는 로킹버클(243)을 포함한다.
홀더(241)는 한 쌍의 협지판(241a, 241b)을 포함한다. 협지판(241a, 241b)은 대체로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협지판(241a, 241b)의 전방 단부(협지판의 일단)는 자유단으로 되어 있고, 후방 단부(협지판의 타단)에서 프레임부(212)의 내측 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241)의 전방 단부는 개구되어 있고, 협지판(241a, 241b)의 후방 단부에서 프레임부(212)에 결합되어 있다. 홀더(241)는 협지판(241a, 241b)의 사이에 한정되고 연결밴드(130)의 일단부측 일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공간(241c)을 가진다. 연결밴드(130)의 일단부측 일부는 수용공간(241c)에 삽입되어, 로킹돌기(242)와 로킹버클(243)의 협력에 의해 홀더(241)에 고정 또는 로킹된다. 홀더(241)는 협지판(241a, 241b)의 전방 단부에 로킹버클(243)이 끼움결합하는 로킹부(241d, 241e)를 가진다. 로킹부(241d, 241e)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협지판(241a, 241b)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는 단차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킹부는 단순히 협지판(241a, 241b)의 전방 단부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로킹돌기(242)는 홀더(241)의 전방 단부에서 수용공간(241c) 내에 위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로킹돌기(242)는 협지판(241a)의 전방 단부에서 내면(241f) 상에 형성되어 있다. 로킹돌기(242)는 연결밴드(13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로킹돌기(242)의 폭은 연결밴드(130)의 홈(131)의 폭보다 약간 작다.
로킹버클(243)은 대체로 T자 형상을 가진다. 로킹버클(243)은 협지판(241a, 241b)의 로킹부(241d, 241e)의 외면 상에 끼움결합하는 압박클립(243a)과, 압박클립(243a)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안내부(243b)를 구비한다. 고글(200)이 조립되어 있을 때, 연결밴드(130)의 일단부측 일부는 압박클립(243a)을 관통해 홀더(241)의 내측에 위치한다. 로킹버클(243)은 부분적으로 안내부(243b)에 의해 안내되면서 연결밴드(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홀더(241)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
압박클립(243a)은 링형 또는 사각형을 가진다. 압박클립(243a)은 그 내주면에서 로킹부(241d, 241e)의 외면 상에 끼움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박클립(243a)은 로킹부(241d, 241e)에 끼워질 때 로킹부(241d, 241e)(협지판(241a, 241b)의 일단)가 서로를 향해 부드럽게 휘어지도록 또는 서로에 근접하도록 내주면이 형성되어 있다. 즉, 압박클립(243a)의 내측 거리는 로킹부(241d, 241e)가 연결밴드(130)를 어느 정도 압박할 수 있도록 정해져 있다. 또한, 압박클립(243a)의 내주면은 로킹부(241d, 241e) 쪽으로 넓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243b)는 압박클립(243a)의 하방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안내부(243b)에는 로킹버클(243)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슬롯(243c)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게, 협지판(241b)의 외면에는 가이드슬롯(243c)에 끼워져 로킹버클(243)의 위치를 한정하기 위한 두개의 스토퍼돌기(241g, 241h)가 형성되어 있다. 압박클립(243a)이 로킹부(241d, 241e)에 완전히 끼움결합하면, 즉 로킹버클(243)이 홀더(241)에 완전히 끼움결합하여 로킹위치로 되면, 스토퍼돌기(241h)가 가이드슬롯(243c)의 하단에 위치하면서 안내부(243b)가 스토퍼돌기(241h)에 스냅결합한다. 스토퍼돌기(241h)와 가이드슬롯(243c) 사이의 스냅결합에 의해, 로킹버클(243)은 로킹위치에 확실히 유지될 수 있다. 압박클립(243a)이 로킹부(241d, 241e)로부터 분리되면, 즉 로킹버클(243)이 홀더(241)로부터 분리되어 로킹해제위치로 되면, 스토퍼돌기(241g)가 가이드슬롯(243c)의 하단에 걸려서, 로킹버클(243)의 홀더(241)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밴드조절장치(240)를 가진 고글(200)에 있어서, 연결밴드의 로킹 및 로킹해제의 예를 설명한다.
고글(200)의 로킹해제위치에 있어서, 연결밴드(130)의 일단부측 일부는 밴드조절장치(240)의 홀더(241)의 협지판(241a, 241b) 사이에 삽입되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연결밴드(130)의 일단부측 일부는 홀더(241)의 내외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다. 착용자가 아이컵(210) 사이의 소망하는 간격을 정하고 연결밴드(130)를 로킹하고자 할 경우, 착용자는 연결밴드(130)를 홀더(241)의 내외로 소망하는 길이 만큼 이동시킨 다음 로킹버클(243)을 로킹위치로(즉, 협지판(241a, 241b)의 로킹부(241d, 241e) 쪽으로) 이동시킨다.
로킹버클(243)이 로킹위치로 이동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버클(243)의 압박클립(243a)의 내면이 로킹부(241d, 241e)의 외면 상에 끼움결합한다. 또한, 끼움결합이 행해지면서, 로킹부(241d, 241e)가 서로를 향해 접근하고, 로킹돌기(242)가 연결밴드(130)의 홈 중 적어도 하나의 홈에 맞물린다. 따라서, 로킹버클(243)은 로킹위치에 유지된다. 로킹버클(243)이 로킹위치에 유지되면, 연결밴드(130)의 홈중 하나의 홈(131)에 로킹돌기(242)가 맞물려 있고, 연결밴드(130)가 로킹버클(243)의 압박클립(243a)의 끼움결합에 따른 협지판(241a, 241b)의 전방 단부(로킹부(241d, 241e))의 서로를 향한 압박에 의해 어느 정도 압축되어서, 연결밴드(130)의 홀더(241)에의 로킹이 달성된다.
반대로, 연결밴드(130)의 로킹을 해제하는 경우, 로킹위치에 있는 로킹버클(243)을 로킹해제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로킹버클(243)을 홀더(141)의 전방 단부로부터 더욱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압박클립(243a)을 로킹부(241d, 241e)로부터 분리시킨다. 분리가 이루어지면, 협지판(241a, 241b)의 전방 단부들(로킹부(241d, 241e))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연결밴드(130)의 자유로운 이동이 허용된다. 로킹해제위치에서, 연결밴드(130)를 소망하는 대로 조절한 후, 다시 로킹버클(243)을 로킹위치로 이동시키면 조절된 연결밴드(130)가 다시 로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착용자는 고글(200)의 연결밴드(130)를 자유로이 용이하게 조절하여 아이컵(11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르는 고글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의 고글(300, 400)은 연결밴드가 맞물림부로서 홈이 아닌 릿지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밴드(330, 430)는 그 양단부 부근에 복수의 릿지(331, 431)를 구비한다. 릿지(331, 431)는 연결밴드(330, 4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의 밴드조절장치(140)가 채용되는 경우, 릿지들(331) 사이의 골부분에 로킹버클(143)의 전방 이동에 따르는 끼움결합에 의해 로킹돌기(142)가 맞물려서 연결밴드(130)의 밴드조절장치(140)(홀더(141))에의 로킹이 달성된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의 밴드조절장치(240)가 채용되는 경우, 릿지들(431) 사이의 골부분에 로킹버클(243)의 하방 이동에 따르는 끼움결합에 의해 로킹돌기(242)가 맞물려서 연결밴드(130)의 밴드조절장치(240)(홀더(241))에의 로킹이 달성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는 고글은 스위밍고글로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르는 고글은 착용자의 안면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눈 또는 눈주위를 덮거나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밴드조절장치(140, 240)가 프레임부들(112, 212)의 내측 단부에 배치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밴드조절장치(140, 240)가 일측의 프레임부(112, 212)의 내측 단부에만 배치되고, 타측의 프레임부(112, 212)의 내측 단부에는 연결밴드(130)의 다른쪽 단부가 단순히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밴드조절장치(140, 240)의 홀더(141, 241)는 프레임부(112, 212)로부터 비스듬히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홀더(141, 241)는 프레임부(112, 212)에 평행하게, 예컨대 착용자의 안면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고글(100, 200, 300, 400)은 연결밴드의 홈(131)에 또는 릿지(331, 431) 사이의 골부분에 로킹돌기(142, 242)가 끼움결합하여 연결밴드(130, 330, 430)와 밴드조절장치(140, 240)의 로킹을 달성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더욱 간단한 형태로서, 연결밴드는 그 표면에 홈 또는 릿지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로킹돌기(142, 242)가 단순히 연결밴드를 그 두께방향에서 어느 정도 압축함으로써, 연결밴드와 밴드조절장치(140, 240)의 로킹이 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로킹돌기(142, 242)는 삼각형 또는 V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로킹돌기의 횡단면 형상은 사각형, 반원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로킹버클(243)의 압박클립(243a)은 중공의 링형 또는 사각형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로킹버클(243)의 압박클립은 링형 또는 사각형에서 일부가 절결된 형상을 가지고 연결밴드(130, 330, 430)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고글 110: 아이컵
111: 렌즈부 112: 프레임부
113: 개스킷 120: 헤드스트랩
130, 330, 430: 연결밴드 131: 홈
140: 밴드조절장치 141: 홀더
141a: 수용공간 141b, 141c: 내면
141d: 제1 가이드슬롯 141e: 제2 가이드슬롯
141f: 걸림돌기 142: 로킹돌기
143, 143': 로킹버클 143a, 143'a: 압박돌기
143b, 143'b: 안내부 143c, 143'c: 안내돌기
143'd: 절결홈 143'e: 래치돌기
210: 아이컵 211: 렌즈부
212: 프레임부 213: 개스킷
220: 헤드스트랩 240: 밴드조절장치
241: 홀더 241a, 241b: 협지판
241c: 수용공간 241d, 241e: 로킹부
241f: 내면 241g, 241h: 스토퍼돌기
242: 로킹돌기 243: 로킹버클
243a: 압박클립 243b: 안내부
243c: 가이드슬롯 330, 430: 연결밴드
331, 431: 릿지

Claims (12)

  1. 렌즈부를 갖춘 한 쌍의 아이컵과,
    상기 아이컵들의 대향하는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탄성의 연결밴드와,
    상기 아이컵들의 대향하는 단부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밴드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홀더와,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된 로킹돌기와, 상기 연결밴드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홀더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로킹버클을 구비하는 밴드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버클은 상기 로킹버클이 상기 홀더에 끼움결합하여 상기 로킹돌기와 상기 연결밴드를 서로에게 압박하는 로킹위치와, 상기 연결밴드가 상기 홀더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로킹해제위치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고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일단이 개구되어 있고 타단에서 상기 아이컵에 결합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수용공간을 한정하는 마주하는 제1 및 제2 내면을 구비하고,
    상기 로킹돌기는 상기 홀더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내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로킹버클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내면과의 사이에 상기 연결밴드의 일단부를 두고서 상기 홀더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로킹버클은 상기 로킹위치에서 상기 홀더의 일단에 끼움결합하는,
    고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버클은 상기 로킹위치에서 상기 제2 내면과 상기 연결밴드의 일단부의 사이로 끼움결합하는 압박돌기를 구비하는, 고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연결밴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로킹버클은 상기 제1 가이드슬롯에 끼워지고 상기 홀더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고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연결밴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슬롯과 상기 제2 가이드슬롯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로킹버클은 상기 제2 가이드슬롯에 끼워지는 안내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로킹버클이 상기 로킹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안내돌기에 걸리도록 위치하는,
    고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연결밴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슬롯과 상기 제2 가이드슬롯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로킹버클은 일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절결홈과 상기 절결홈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슬롯에 끼워지는 한 쌍의 래치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로킹버클이 상기 로킹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래치돌기에 걸리도록 위치하는,
    고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일단이 자유단이고 타단에서 상기 아이컵에 결합되는 한 쌍의 협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협지판 사이에 한정되고,
    상기 로킹돌기는 상기 협지판의 일단에서 상기 협지판 중 하나의 내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로킹버클은 상기 연결밴드가 통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협지판들의 상기 일단에 끼움결합하는 압박클립을 구비하고,
    상기 로킹위치에서 상기 압박클립이 상기 일단에 끼움결합하면 상기 협지판의 일단들이 서로를 향해 압박되는,
    고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클립은 링형 또는 사각형을 가지는, 고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버클은 상기 압박클립에서 연장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에 상기 연결밴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협지판 중 하나는 상기 가이드슬롯에 스냅결합하는 제1 및 제2 스토퍼돌기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돌기 중 하나는 상기 로킹버클이 상기 로킹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슬롯에 스냅결합하도록 위치되는,
    고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밴드는 상기 일단부 부근에 상기 연결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개의 홈을 구비하고,
    상기 로킹돌기는 상기 홈에 맞물리는,
    고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밴드는 상기 일단부 부근에 상기 연결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개의 릿지를 구비하고,
    상기 로킹돌기는 상기 릿지 사이의 골부분에 맞물리는,
    고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돌기는 삼각형, 사각형 및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고글.
KR1020100059447A 2009-07-03 2010-06-23 조절가능한 연결밴드를 구비한 고글 KR101118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800296443A CN102470265A (zh) 2009-07-03 2010-06-28 具有可调节连接带的护目镜
PCT/KR2010/004189 WO2011002194A2 (ko) 2009-07-03 2010-06-28 조절가능한 연결밴드를 구비한 고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60523 2009-07-03
KR1020090060523 2009-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259A KR20110003259A (ko) 2011-01-11
KR101118875B1 true KR101118875B1 (ko) 2012-03-20

Family

ID=43611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447A KR101118875B1 (ko) 2009-07-03 2010-06-23 조절가능한 연결밴드를 구비한 고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18875B1 (ko)
CN (1) CN1024702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160B1 (ko) 2012-03-07 2014-06-24 이범규 조절가능한 연결밴드를 구비한 고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VR20120234A1 (it) 2012-11-29 2014-05-30 Bon Claudio Dal Veicolo a pedali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4061U (ko) 1979-05-14 1980-11-25
JPS63180062U (ko) 1987-05-12 1988-11-21
EP0891789A1 (en) * 1997-07-11 1999-01-20 Chiang, Hermam Swimming goggle structure
EP0909571A1 (en) * 1997-10-16 1999-04-21 Chiang, Hermam Cushion pad structure of swimming goggl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125Y1 (ko) * 2000-04-25 2000-09-15 이범규 물안경의 코연결구
KR100384229B1 (ko) * 2000-05-23 2003-05-16 이범규 물안경의 밴드 조절용 버클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4061U (ko) 1979-05-14 1980-11-25
JPS63180062U (ko) 1987-05-12 1988-11-21
EP0891789A1 (en) * 1997-07-11 1999-01-20 Chiang, Hermam Swimming goggle structure
EP0909571A1 (en) * 1997-10-16 1999-04-21 Chiang, Hermam Cushion pad structure of swimming gogg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160B1 (ko) 2012-03-07 2014-06-24 이범규 조절가능한 연결밴드를 구비한 고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70265A (zh) 2012-05-23
KR20110003259A (ko) 201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4228B1 (ko) 스트랩 조절용 버클 조립체를 갖는 물안경
EP0666491B1 (en) Nose pad particularly for spectacle frames
KR101946156B1 (ko) 시계 스트랩
CN112056713B (zh) 表带及可穿戴设备
KR101118875B1 (ko) 조절가능한 연결밴드를 구비한 고글
US8850627B2 (en) Swimming goggles
KR100384229B1 (ko) 물안경의 밴드 조절용 버클 조립체
KR100485417B1 (ko) 수영용 고글
US8087774B2 (en) Side shield for eyewear
US9409056B2 (en) Goggles comprising adjustable nose bridge
EP3756502A1 (en) Watch strap assembly and wearable apparatus
JP7464612B2 (ja) ゴーグル
WO2011002194A2 (ko) 조절가능한 연결밴드를 구비한 고글
KR102512220B1 (ko) 고글
KR20170076586A (ko) 네일 교정기
US20210191152A1 (en) Optic Retainer Hooks
CN112451934B (zh) 面部佩戴件以及面部佩戴件用固定扣
KR102417744B1 (ko) 벨트 길이 조절구
CN113301822B (zh) 头盔配合系统
KR101149694B1 (ko) 안경용 코걸이 결합구조
JP2019208714A (ja) 髪留め具
GB2502529A (en) A Swimming Goggle Comprising Buckle Shielding
KR101706986B1 (ko) 열쇠 착용구
KR200450785Y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안경
JP3166246U (ja) テンプル及び眼鏡取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