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850B1 - 분유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분유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850B1
KR101118850B1 KR1020090056681A KR20090056681A KR101118850B1 KR 101118850 B1 KR101118850 B1 KR 101118850B1 KR 1020090056681 A KR1020090056681 A KR 1020090056681A KR 20090056681 A KR20090056681 A KR 20090056681A KR 101118850 B1 KR101118850 B1 KR 101118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ilk
powdered milk
h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8247A (ko
Inventor
강미선
Original Assignee
강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미선 filed Critical 강미선
Priority to KR1020090056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850B1/ko
Priority to US12/607,109 priority patent/US8210099B2/en
Publication of KR20100138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hereby the powder ingredients and the water are delivered to a mixing bow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40Heating or cooling means; Combin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유디스펜서는 물통과, 분유통을 내장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물통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상기 물통의 물이 배출되는 물배출구; 상기 분유통에 수용된 분유가 배출되는 분유배출구; 및 상기 물통 및 물배출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물통에서 가열된 상태로 토출된 물을 유동하는 과정에서 냉각시키고, 냉각된 물을 상기 물배출구로 배출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우유제조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우유가 필요하면 바로 수유할 수 있어 신속성 및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위생적이면서도 대량생산이 가능한 컴팩트하고 간단한 구조여서 경제적이다.

Description

분유디스펜서 {Milk Powder Dispenser}
본 발명은 분유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우유를 만들 수 있는 분유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생아는 생후 일정기간의 수유기간을 갖게 되는데, 이때 신생아에게는 모유를 주기도 하지만 분유를 온수와 섞어서 만든 우유를 수유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분유와 온수를 섞어서 우유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끓인 다음 적정온도의 미지근한 상태로 식힌 위생적인 물을 준비하고 여기에 분유를 스푼으로 양을 측정한 다음 젖병에 물과 분유를 흔들어서 혼합하여 아기에게 수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신생아에게 우유를 수유하는 것은 하루에도 수차례인 것을 감안하면 이러한 우유를 만드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특히 수유하기에 적당한 미지근한 물을 만들기 위하여 물을 펄펄 끓이고 그런 다음 적정온도로 식혀야 하기 때문에 물을 끓이고 식히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급하게 수유를 해야 되는 경우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우유제조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우유가 필요하면 바로 수유할 수 있으며, 특별한 조작 없이도 간단히 우유를 제조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위생적이고 경제적인 분유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유디스펜서는 물통과, 분유통을 내장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물통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상기 물통의 물이 배출되는 물배출구; 상기 분유통에 수용된 분유가 배출되는 분유배출구; 및 상기 물통 및 물배출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물통에서 가열된 상태로 토출된 물을 유동하는 과정에서 냉각시키고, 냉각된 물을 상기 물배출구로 배출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원 발명에 따른 분유디스펜서는, 우유제조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우유가 필요하면 바로 수유할 수 있어 신속성 및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위생적이며 컴팩트하고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유디스펜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유디스펜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유디스펜서는, 몸체(100)와, 가열부(120)와, 시간제어부(140)와, 냉각부(130)와, 전류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0)는 물(1)이 수용되는 물통(110)과, 분유(2)가 수용되는 분유통(160)을 내장하고 있다. 더불어, 상기 몸체(100)는 상기 가열부(120), 시간제어부(140), 냉각부(130) 및 전류제어부(150)를 포함한 구성이 모두 컴팩트하게 내장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유디스펜서는 부피가 크 지 않아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용이하다.
상기 분유통(160)과 물통(110)은 몸체(100)에 내장되어 있되, 몸체(100)의 상부에 구비된 덮개(111,161)를 통하여 상기 분유통(160)과 물통(110)에 분유(2)와 물(1)을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분유통(160)은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분유(2)의 잔류량을 외부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그 일부가 상기 몸체(100)에서 노출되게 내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유통(160)은 사용자가 정확한 남은 분유량을 알 수 있도록 상기 분유통(160)에 눈금(163)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분유통(16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일정량의 분유(2)를 배출할 수 있도록 분유배출스위치(162)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분유배출스위치(162)는 외부에서도 사용자가 조작이 용이하도록 몸체(100)의 외측에 노출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물통(110)은 관리가 용이하여 위생적이고 후술되는 가열부(120)에 의하여 신속한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스틸의 재질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물통(110)의 용량은 30초 이내의 빠른 가열과 전체적으로 작은 제품 사이즈가 가능하게 하는 300ml의 소용량으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가열부(120)는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110)에 수용된 물(1)을 가열하는 역할을 하며, 고속 가열도 가능하도록 니크롬열선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니크롬열선을 적용한 가열부(120)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10초 내지 30초 안에 물(1)을 100℃까지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시간제어부(140)는 물(1)을 충분히 살균하도록 상기 가열부(120)의 ON/OFF 및 가열시간을 제어하며, 또한 상기 시간제어부(140)는 상기 물통(110)에 형성된 개폐부(142)와 연결되어 상기 가열부(120)에 의하여 물통(110)의 물(1)이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개폐부(142)를 개방하여 상기 물(1)을 상기 냉각부(130)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시간제어부(140)는 몸체(100)에 형성된 가열시간선택스위치(142)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가열시간은 물(1)을 100℃에서 30초 또는 3분 동안 끓게 지정할 수 있지만, 이러한 가열시간은 물(1)의 양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상기 냉각부(130)는 상기 가열부(120)에 의하여 가열된 물(1)을 개폐부(142)를 통하여 공급받아 수유에 적정한 온도로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며, 방열을 하기 위한 라디에이터(132)와 펠티어냉각소자(13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라디에이터(132)는 열전달율이 좋은 알루미늄 재질로 하는 것이 좋으며, 형상은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ㄹ'자로 형성된 것이 좋다. 상기 펠티어냉각소자(136)는, 상기 라디에이터(132)에 부착되어 상기 라디에이터(132)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며, PN 다이오드 열전기 소자(Thermo-electric Peltier Module)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펠티어냉각소자(136)의 외측에는 냉각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방열판(13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유디스펜서는 상기한 라디에이터(132)와 펠티어냉각소자(136)에 의하여 뜨거운 물(1)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우유제조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전류제어부(150)는 전류량에 따라 상기 펠티어냉각소자(136)의 온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몸체(100)에 구비된 고온/저온 스위치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류제어부(150)는 펠티어냉각소자(136)의 온도가 0.5℃씩의 간격으로 제어하여, 최종적으로 냉각부(130)를 거쳐 배출되는 물(1)의 온도가 고온(70℃전후) 또는 저온 (38℃전후)이 선택적으로 되도록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0)에는 상기 분유통(160)과 물통(110)으로부터 분유(2)와 물(1)이 배출되는 분유배출구(164)와 물배출구(138)가 구비되어 있으며, 우유병(3)을 놓을 수 있는 받침부(102)와 전원스위치(104)를 구비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서 상기 몸체(100)에는 사용상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램프, 온도계 등 다양한 전기적구성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 구조 또한 변경가능하고, 이에 대한 구성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유디스펜서의 중요구성부를 제외한 몸체의 구조 및 형상을 포함한 외장이나 기타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룰 수 있는 범위에서 사용자의 설계 및 용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유디스펜서의 우유를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우유병(3)을 받침부(102)에 놓고 필요한 양의 물(1)을 물통(110)에 넣은 다음 전원스위치(104)를 누른다. 그러면, 가열부(120)에 의하여 물(1)이 끓기 시작하는데, 이때 사용자는 가열시간선택스위치(142)를 통하여 물(1)이 100℃에서 30초 또는 3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끓는 시간을 정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120)에 의하여 물이 끓으면 냉각부(130)를 거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고온/저온스위치(152)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물(1)의 온도를 저온(38℃전후)과 고온(70℃전후) 중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수유에 적정한 온도의 물(1)이 물배출구(138)를 통하여 우유병(3)으로 공급하면, 사용자는 분유배출스위치(162)를 눌러 필요한 양의 분유(2)를 우유병(3)으로 배출하여 물(1)과 혼합되게 하고, 분유(2)와 물(1)이 혼합된 우유병(3)을 가볍게 흔들어 준 후 아기에게 수유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분유디스펜서에서 상기 가열부에 의하여 형성된 수증기를 액화시키기 위한 증류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유디스펜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유디스펜서는 도 2의 분유디스펜서와 비교하여 증류부(170)를 구비하여, 가열부(120a)에서 배출되는 수증기를 냉각부(130)로 공급하기 전에 증류부(170)에서 액화시켜 물(1)의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분유디스펜서는 물(1)을 증류하여 살균함으로써 멸균효과가 확실하며 물(1)의 순수결정체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하게 수유할 수 있다.
상기한 분유디스펜서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물통(110)에서 일정량의 물(1)이 가열부(120a)로 공급되어 고속가열이 진행되면, 물(1)은 수증기로 증류되고 증류된 수증기는 증류부(170)로 이동하여 액화된다. 이후 증류부(170)에서 액화된 수 증기는 냉각부(130)를 거치면서 50℃의 물(1)로 냉각되어 배출된다. 이와 같이, 증류부(170)를 구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유디스펜서는 증류된 수증기를 액화시킨 물을 우유제조에 이용하기 때문에 살균력이 높아 더욱 위생적이다.
여기서, 상기 증류부(170)는 가열부(120a)에서 유입된 수증기가 급속냉각되도록 그 부피가 넓게 퍼져나가는 형상(파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물통(110)과 가열부(120a) 사이에는 물(1)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체크밸브(11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분유디스펜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분유디스펜서에서 상기한 증류부(170)를 제외한 가열부(120), 냉각부(130) 및 몸체(100) 등에 대한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3에 도시된 분유디스펜서에도 시간제어부와, 개폐부와, 전류제어부를 설치할 수 있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냉각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라디에이터(131)는, 도 2의 알루미늄 곡관이 아닌 실리콘 튜브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리콘 튜브는 아기 분유 수유용 젖꼭지와 같은 위생적인 재질이며, 유입되는 물의 높은 온도(대략 100℃)에도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튜브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와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ㄹ'자로 굴곡지게 형성된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라디에이터(131)를 실리콘 튜브로 할 경우에는, 알루미늄관을 적용했을 때보다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부피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도 용이하다.
그리고, 펠티어냉각소자(136a,136b)는 상기 라디에이터(13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도록 상기 라디에이터(131)의 양측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디에이터(132)의 일측에 부착시키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라디에이터(131) 내로 흐르는 물의 냉각속도를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실시예로서 상기 냉각부(130)의 펠티어냉각소자(136,136a,136b)는 라디에이터(131,132)의 길이, 유동하는 물의 용량, 비용 또는 주어진 시간 내에 냉각하고자하는 냉각온도 등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다수를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펠티어냉각소자(136a,136b)는 도 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류제어부(150)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외측에 방열판(134a,134b)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의 전류제어부(150) 및 방열판(134)과 실질적으로 기술구성이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유디스펜서는, 물(1)을 끓인 후 수유하기에 적당한 온도로 식히고 그런 다음 분유(2)를 혼합하는 일련의 우유제조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2분정도까지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언제든지 우유가 필요하면 짧은 시간에 바로 수유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신속성과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물(1)을 끓이기 때문에 살균과 멸균효과가 확실하여 안전하게 아기에게 수유할 수 있고, 덮개(111,161)의 밀폐기능과 분 리 세척이 가능한 구조와 항균 분유통(160) 등을 사용하여 위생적이며,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비용이 낮고 저가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소비자들이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유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유디스펜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유디스펜서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냉각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몸체 110... 물통
120... 가열부 130... 냉각부
131,132... 라디에이터 134,134a,134b... 방열판
136,136a,136b... 펠티어냉각소자 140... 시간제어부
150... 전류제어부 160... 분유통
170... 증류부

Claims (9)

  1. 물통과, 분유통을 내장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물통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상기 물통의 물이 배출되는 물배출구;
    상기 분유통에 수용된 분유가 배출되는 분유배출구; 및
    상기 물통 및 물배출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물통에서 가열된 상태로 토출된 물을 유동하는 과정에서 냉각시키고, 냉각된 물을 상기 물배출구로 배출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분유디스펜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가열시간을 제어하는 시간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분유디스펜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유통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일정량의 분유를 배출할 수 있도록 분유배출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분유디스펜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방열을 위한 라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디스펜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제어부는,
    상기 물통에 형성된 개폐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열부에 의하여 물통의 물이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개폐부를 개방하여 상기 물이 상기 냉각부로 공급하는 분유디스펜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라디에이터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상기 라디에이터에 부착되는 펠티어냉각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디스펜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펠티어냉각소자의 온도를 제어하는 전류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분유디스펜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펠티어냉각소자는 외측에 방열판을 더 구비하는 분유디스펜서.
  9. 제 1 항 내지 제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 의하여 형성된 수증기를 액화시키기 위한 증류부를 더 구비하는 분유디스펜서.
KR1020090056681A 2009-06-24 2009-06-24 분유디스펜서 KR101118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681A KR101118850B1 (ko) 2009-06-24 2009-06-24 분유디스펜서
US12/607,109 US8210099B2 (en) 2009-06-24 2009-10-28 Baby formula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681A KR101118850B1 (ko) 2009-06-24 2009-06-24 분유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247A KR20100138247A (ko) 2010-12-31
KR101118850B1 true KR101118850B1 (ko) 2012-03-07

Family

ID=43379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681A KR101118850B1 (ko) 2009-06-24 2009-06-24 분유디스펜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10099B2 (ko)
KR (1) KR1011188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001040D0 (en) * 2010-01-22 2010-03-10 Strix Ltd Liquid heating apparatus
US8453562B2 (en) * 2010-02-26 2013-06-04 Zhenyu Lu Apparatus for infant formula and beverage preparation
KR100973781B1 (ko) * 2010-02-26 2010-08-04 강미선 분유메이커
US20120211521A1 (en) * 2011-02-23 2012-08-23 Fka Distributing Co. D/B/A Homedics, Inc. Baby food preparation apparatus
US9345360B2 (en) 2012-05-04 2016-05-24 Brian Sims Method of making infant formula and related devices
PT106338A (pt) * 2012-05-28 2013-11-28 Inst Politecnico De Leiria Dispositivo automático de esterilização de recipientes e execução de misturas
US9486103B2 (en) 2012-05-31 2016-11-08 Miravan Llc Baby formula preparation with warming system and customized pods
EP2721972A1 (en) * 2012-10-22 2014-04-23 Piena Inc. Milk powder dispenser
GB201301297D0 (en) 2013-01-24 2013-03-06 Strix Ltd Liquid heating apparatus
CN103720360A (zh) * 2014-01-20 2014-04-16 王国伟 婴儿奶水机
US10292908B2 (en) * 2014-08-01 2019-05-21 Medela Holding Ag Neonatal enteral feeding system
US9730545B2 (en) * 2015-02-18 2017-08-15 Kayonna Carr Baby formula preparation device
CN105595842A (zh) * 2015-12-20 2016-05-25 青岛北斗星云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精度奶粉调制设备
CN106667273A (zh) * 2017-03-06 2017-05-17 王思琪 一种具有紫外线杀菌功能的饮水机
KR101976275B1 (ko) * 2017-10-20 2019-05-07 이창현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젖병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0816A (en) * 1994-12-08 1996-11-05 Labarbera, Jr.; George Dry baby formula maker
US6173117B1 (en) * 1999-09-14 2001-01-09 Bobbye L. Clubb Heated beverage machine
US6640818B1 (en) * 2002-03-20 2003-11-04 Rueben Talisman Refrigerated automatic fruit and vegetable washer
SG117408A1 (en) 2002-03-20 2005-12-29 How Onn Cheong Infant formula preparation apparatus
US20070034084A1 (en) * 2005-08-09 2007-02-15 O & S Development, Inc. Beverage preparation device
MX2008014597A (es) * 2006-05-19 2008-12-0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parato para preparar leche para lactantes a partir de una formula instantanea.
BRPI0711710A2 (pt) * 2006-05-19 2011-12-0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parelho para preparar uma bebida
ES2377586T5 (es) * 2007-04-16 2016-08-03 Koninklijke Philips N.V. Aparato para producir bebida y uso del apara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247A (ko) 2010-12-31
US8210099B2 (en) 2012-07-03
US20100326285A1 (en) 201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850B1 (ko) 분유디스펜서
US20040140304A1 (en) Baby bottle chiller/warmer and method of use
US5397031A (en) Baby milk warmer
US20060162341A1 (en) Comestible preparation apparatus
US8453562B2 (en) Apparatus for infant formula and beverage preparation
KR100973781B1 (ko) 분유메이커
CN102753025A (zh) 家用酸奶机和酸奶的快速制造方法
US20070280657A1 (en) Baby bottle/food warmer
US20060054305A1 (en) Heating and refrigerating water device
WO20191710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sterilised and cooled water
KR100200972B1 (ko) 우유혼합포트 및 젖병 겸용 보온장치, 우유혼합포트 및 개방덮개
CN206777570U (zh) 便携式超薄腹膜透析液加热器
CN216136363U (zh) 一种多功能奶瓶
JP7395108B2 (ja) 加熱装置及び機器
ES2307860T3 (es) Aparato termico electrico.
CN212853170U (zh) 一种保温杯
CN101125211B (zh) 一种多功能消毒锅
CN111000728A (zh) 便携式双向恒温消毒装置
CN219813854U (zh) 一种用于瓶装容器的智能调温器
CN220369853U (zh) 多功能调奶器
KR200343797Y1 (ko) 약탕기
CN208693035U (zh) 一种多功能温奶器
CN201088719Y (zh) 带温度计的奶瓶
JP2597279Y2 (ja) 湯沸かし装置
CN2402224Y (zh) 药液饮用品恒温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