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833B1 - 수목 지지대 - Google Patents

수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833B1
KR101117833B1 KR1020110070793A KR20110070793A KR101117833B1 KR 101117833 B1 KR101117833 B1 KR 101117833B1 KR 1020110070793 A KR1020110070793 A KR 1020110070793A KR 20110070793 A KR20110070793 A KR 20110070793A KR 101117833 B1 KR101117833 B1 KR 101117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support
rod
branche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봉
Original Assignee
이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봉 filed Critical 이희봉
Priority to KR1020110070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에 의해 가지가 흔들리거나 나무가 성장하더라도 안정적으로 나뭇가지를 지지할 수 있는 수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목 지지대는, 나뭇가지를 관통한 채로 나뭇가지에 고정되는 길쭉한 형상의 나뭇가지 지지부; 상기 나뭇가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뭇가지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나뭇가지 지지부의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이 결합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지면에 고정되는 지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목 지지대{Wood support}
본 발명은 수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나무가 성장하거나, 흔들리거나, 계절이 변화에 따라 나뭇가지의 무게가 변하더라도 안정적으로 나뭇가지를 지지할 수 있는 수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나뭇가지가 자라는 방향, 수령, 나무의 좌우 폭, 및 기타 이유로 인하여 나뭇가지가 아래 방향으로 쳐지는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나게 된다. 특히, 노거수, 보호수, 천연기념물 등의 경우, 강한 바람이나 눈이나 자체 하중으로 인하여 나뭇가지가 부러질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현상을 예방하거나 방지하기 위하여 수목 지지대가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수목 지지대가 도시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철재 또는 나무 재질로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수목 지지대는, 나뭇가지의 아래를 받치게 되는 지지부(4) 및 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땅에 고정되는 기둥부(6)를 구비한다. 상기 수목 지지대의 지지부(4)는 위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나뭇가지가 지지부(4)의 오목한 부위에 얹혀지기 때문에 나무가 더 이상 아래로 쳐지지 않게 된다.
한편, 여름이 되면 나뭇가지에 많은 잎이 달려 있기 때문에 나뭇가지가 무거워지고, 겨울이 되면 잎이 떨어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나뭇가지가 가벼워지므로 나뭇가지의 높이가 계절의 변화에 따라 변할 수 있고, 나뭇가지에 눈이 쌓이면 나뭇가지가 아래로 쳐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나뭇가지의 높이는 상황에 따라서 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수목 지지대의 경우, 특정 높이에 나뭇가지를 지지해 놓더라도 나뭇가지가 가벼워져서 위로 올라가는 경우에는 나뭇가지를 받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바람이 측방향으로 강하게 부는 것 등에 의하여 나뭇가지가 지지부(4)로부터 이탈되는 현상도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기술에 따른 수목 지지대는 나뭇가지를 아래에서 받치게 되므로 나뭇가지는 지지부(4)와 접촉하는 부위에 강한 압력을 받게 되고 나뭇가지가 흔들릴 때 마찰이 발생하여 수피가 괴사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나뭇가지 중에서 지지부(4)와 접촉하지 않는 부위에 비하여 지지부(4)와 접촉하는 부위는 생장하는 데에 방해를 받기 때문에, 나뭇가지가 생장하게 되면 지지부(4)가 나뭇가지를 파고 들어가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지지부(4)가 나뭇가지가 생장하는 힘을 이기지 못하여 벌어지고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나뭇가지가 지지부(4)에 단단하게 맞물려 있는 경우에 나뭇가지가 위로 올라가면 기둥부(6)가 땅에서 뽑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게다가, 종래의 수목 지지대는 나뭇가지의 사이즈에 따라 지지부(4)의 사이즈를 모두 다르게 생산해야 하므로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나뭇가지의 높이가 변하더라도 수목 지지대와 나뭇가지가 계속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나뭇가지를 지지할 수 있는 수목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나뭇가지의 둘레가 두꺼워지더라도 수피를 압박하지 않는 수목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나뭇가지가 수목 지지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나뭇가지가 위로 올라가더라도 땅으로부터 뽑히지 않는 수목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사이즈의 나뭇가지에 일률적으로 적용이 가능하여 대량생산에 유리한 수목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목 지지대는, 나뭇가지를 관통한 채로 나뭇가지에 고정되는 바아(bar) 형상의 나뭇가지 지지부; 상기 나뭇가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뭇가지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나뭇가지 지지부의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이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지면에 고정되는 지주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은, 굴곡되거나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서 상기 나뭇가지의 윗면과 양측면을 둘러싸고 있으며,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양단부를 갖고, 상기 나뭇가지 지지부가 그 중앙부위에 체결되는 상부 프레임; 및 굴곡되거나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서 윗방향으로 연장된 양단부를 갖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단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나뭇가지 지지부는, 상기 나뭇가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하단부위에 체결되어 나뭇가지가 아래방향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너트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로드의 상단부위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중앙부위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로드를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로드의 상단부위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부 너트가 체결된다.
한편, 로드 중에서 나무의 상면 근방부위에 중앙 너트를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목 지지대는, 상기 로드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로드의 하단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측 내측면은 와이어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목 지지대는, 상기 로드의 하단에 결합된 중앙 와이어 고정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사이드 와이어 고정부; 및 상기 중앙 와이어 고정부와 상기 사이드 와이어 고정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지주를 지면에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주의 아래쪽 끝단에 형성되어 땅속에 정착되는 기초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나뭇가지의 높이가 변하더라도 수목 지지대와 나뭇가지가 계속하여 접촉할 수 있으며, 나뭇가지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둘째, 나무의 성장에 따라 나뭇가지가 두꺼워지더라도 수목 지지대가 수피를 압박하지 않는다.
셋째, 나뭇가지가 수목 지지대로부터 나뭇가지가 이탈되지 않는다.
넷째, 나뭇가지가 위로 올라가더라도 수목 지지대가 땅으로부터 뽑히지 않는다.
다섯째, 수목 지지대를 다양한 사이즈의 나뭇가지에 일률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대량생산에 유리하다.
여섯째,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목 지지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목 지지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수목 지지대에서 상부 프레임이 윗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올라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목 지지대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목 지지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것은 나무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30은 도면부호 30A, 30B를 포괄하고, 도면부호 100은 도면부호 100A, 100B를 포괄하는 것임을 밝힌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목 지지대(100A)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수목 지지대에서 상부 프레임(10)이 윗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올라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목 지지대(100A)는, 나뭇가지를 관통한 채로 나뭇가지에 고정되는 길쭉한 바아(bar) 형상의 나뭇가지 지지부(40)와, 상기 나뭇가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뭇가지의 주위를 둘러싸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지면에 고정되는 지주(30A)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아(bar) 형상이란, 폭에 비하여 길이가 훨씬 긴 형상을 의미한다.
나뭇가지 지지부(40)는, 나뭇가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로드(42)와, 로드(42)의 하단부위에 체결되는 하부 너트(48)와, 로드(42)를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로드(42)의 상단부위에 결합되는 상부 너트(44)와, 로드(42)의 중간 부위 중에서 나무의 상면 근방부위에 체결되는 중앙 너트(46)를 포함한다.
로드(42)는 나뭇가지의 중앙부위를 상하방향으로 천공한 후 이 구멍에 삽입되며, 로드(42)의 하단부위에 형성된 나사산에 하부 너트(48)를 체결하여 나뭇가지가 이 하부 너트(48)에 걸려서 아래 방향으로 쳐지지 않게 된다. 다만, 하부 너트(48)만을 체결하는 경우 나뭇가지의 하중이 하부 너트(48)에 집중되므로 하부 너트(48)가 나무의 수피에 함입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하부 너트(48)를 풀고 조이기에 불편하고, 나무도 훼손되기 때문에, 하부 너트(48)와 나무의 아랫면 사이에 하부 워셔(49)를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워셔(49)를 사용하는 경우 나무의 수피에 하부 너트(48)가 함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부 너트(48)와 하부 워셔(49)는 반드시 별개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하부 너트(48)의 폭을 넓게 형성하거나 하부 너트(48)의 일면에 하부 워셔(49)를 일체로 형성하더라도 무방하다.
중앙 너트(46)는 트위스트 방식으로 로드(42)에 결합시키며, 나뭇가지의 상면과 접촉되거나 거의 맞닿도록 위치시킨다. 중앙 너트(46)와 나뭇가지의 상면 사이에는 중앙 워셔(47)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너트(46)와 중앙 워셔(47)는 반드시 별개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중앙 너트(46)의 폭을 넓게 형성하거나 중앙 너트(46)의 일면에 중앙 워셔(47)를 일체로 형성하더라도 무방하다.
이렇게, 나뭇가지의 상면에는 중앙 너트(46)가 위치하고 하면에는 하부 너트(48)가 위치하여 나뭇가지는 로드(42) 상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상부 너트(44)는 로드(42)의 상단부위를 후술할 상부 프레임(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프레임에는 상기 나뭇가지 지지부(40)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일단이 결합되며, 상부 프레임(10)과, 하부 프레임(20)을 구비한다.
상부 프레임(10)은 양단이 굴곡되거나 절곡된 파이프 형상을 취하며 나뭇가지의 윗면과 좌우 양측면을 둘러싸도록 위치시킨다. 상부 프레임(10)의 양단부는 아래방향으로 연장되며 나뭇가지 지지부(40)의 로드(42)가 상부 프레임(10)의 중앙부위에 체결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부 프레임(10)의 중앙 부위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에 로드(42)를 끼워넣어, 로드(42)의 상단부위의 일부가 상부 프레임(10)의 윗면에 돌출되며, 로드(42)의 하단부위를 포함한 로드(42)의 대부분은 상부 프레임(10)의 아랫면에 위치되게 한다. 상기 돌출된 상부 프레임(10)의 상단에 상부 너트(44)를 체결하여 로드(42)가 상부 프레임(10)에 고정된다.
나뭇가지의 하중에 의하여 나뭇가지 지지부(40)는 상부 프레임(10)의 윗면을 누르게 되므로, 상부 너트(44)보다 폭이 넓은 상부 워셔(45)를 상부 프레임(10)의 윗면과 상부 너트(44) 사이에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너트(46)와 중앙 워셔(47)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상부 너트(44)와 상부 워셔(45)도 반드시 별개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하부 너트(48)와 하부 워셔(49)도 별개로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하부 프레임(20)은 양단이 굴곡되거나 절곡된 파이프 형상을 취하며 하부 프레임(20)의 양단부는 윗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부 프레임(10)의 양단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 프레임(20)의 양단부가 상부 프레임(10)의 양단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부 프레임(20)의 양단부의 외경은 상부 프레임(10)의 양단부의 내경보다 다소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프레임(10)과 하부 프레임(20)은 단면이 둥근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사각형을 비롯한 다각형 형상을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주(30A)는 프레임의 하단의 중앙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지주(30A)를 지면에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지주(30A)의 아래쪽 끝단에는 블록 형상의 기초부(32)가 형성된다. 상기 기초부(32)는 땅속에 정착되며 지주(30A)보다 폭이 훨씬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초부(32)는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목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했을 때, 나뭇가지 지지부(40)의 요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 와이어 고정부(43), 사이드 와이어 고정부(12), 및 와이어(14)를 구비한 것과, 지주(30B)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에 중복설명을 회피하기 위하여 제1실시예와는 구별되는 제2실시예의 차이점을 집중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로드(42)가 나뭇가지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있으나, 만약 나뭇가지의 중량이 매우 무겁거나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경우, 나뭇가지 지지부(40)가 프레임으로부터 요동할 수도 있다. 따라서, 로드(42)의 하단부와 상부 프레임(10)의 양측 내측면을 와이어(14)로 연결하여 이러한 로드(42)의 요동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드(42)의 하단에 중앙 와이어 고정부(43)를 결합하고, 상부 프레임(10)의 양단부 내측면에 각각 사이드 와이어 고정부(12)를 형성하며, 상기 중앙 와이어 고정부(43)와 상기 사이드 와이어 고정부(12)를 와이어(14)가 연결하게 된다.
중앙 와이어 고정부(43)와 사이드 와이어 고정부(12)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와이어(14)가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을 취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제1실시예와는 달리 두 개의 지주(30B)가 하부 프레임(20)의 중단으로부터 아래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데, 이 경우, 수목 지지대(100B)가 지면에 더욱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지주(30B)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개의 지주(30B) 사이에 수평 바아(bar)를 연결하여 "A"자 형상으로 지주를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물론, 제1실시예에 "A"자 형상의 지주(30B)를 채용한 변형례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대(100)에 의하여 나뭇가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과 본 발명의 장점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드(42)가 나뭇가지에 끼워지고 나뭇가지의 윗면과 아랫면 부위의 로드(42)에 각각 중앙 너트(46)와 하부 너트(48)가 체결되어 나뭇가지는 나뭇가지 지지부(40)에 고정되고, 로드(42)의 상단부가 상부 프레임(10)에 고정되므로 나뭇가지는 로드(42)로부터 아래 방향을 향하여 쳐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부 프레임(10)의 양단부에 하부 프레임(20)의 양단부가 끼워지게 되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프레임(10)의 양단부는 하부 프레임(20)의 양단부와 하부 프레임(20)의 중앙부위의 경계에 걸리게 되므로 상부 프레임(10)이 하부 프레임(20)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20)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지주(30)가 지면에 고정되므로 결과적으로 나뭇가지는 프레임의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프레임에 의해 둘러 싸인 채로 아래방향으로 쳐지지 않게 지지된다.
본 발명은 나뭇가지의 외주면과 접촉한 채로 나뭇가지를 둘러싸는 것 대신 나뭇가지를 관통하는 로드로 나뭇가지의 하중을 지지하므로, 나뭇가지와 수목 지지대(100) 자체의 접촉면 자체가 넓지 않고, 수피가 압박되거나 마찰로 인하여 괴사하는 현상의 발생이 기존의 수목 지지대에 비하여 획기적으로 줄어든다. 또한, 종래의 수목 지지대에서는 나뭇가지가 성장하여 나뭇가지의 두꺼워지는 것에 의하여 수피가 더욱 압박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대(100)는 이러한 현상의 발생을 걱정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나뭇가지에서 잎이 떨어지거나 강한 바람이 부는 것을 비롯한 여러가지 이유에 의하여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나뭇가지의 위치가 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올라가게 되더라도, 상부 프레임(10)이 하부 프레임(20)의 양단부로부터 슬라이딩 되면서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수목 지지대(100)와 나뭇가지가 항상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수목 지지대(100) 자체가 땅으로부터 뽑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게다가, 위쪽으로 슬라이딩 되어 올라간 상부 프레임(10)이 다시 아래로 내려오게 되면 나뭇가지는 수목 지지대(100)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나뭇가지를 아래에서 단순히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나뭇가지를 나뭇가지 지지부(40)가 고정시키므로 강한 바람 등에 의하여 나뭇가지가 흔들리더라도 수목 지지대로(100)부터 나뭇가지가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프레임이 나뭇가지와 이격된 채로 나뭇가지를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직경이 얇은 나뭇가지뿐만 아니라 직경이 두꺼운 나뭇가지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수목 지지대(100)를 처음 설치했을 때와 비교해서 나뭇가지의 높이가 가 달라지게 되더라도, 기설치된 수목 지지대와 높이가 다른 새로운 수목 지지대를 대체해서 설치할 필요없고, 단지 로드(42) 상에서 하부 너트(48)와 중앙 너트(46)의 위치를 조절하면 되므로 반영구적으로 수목 지지대(100)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약 부식 등에 의하여 나뭇가지 지지부(40)의 수명이 다한 경우라도 수목 지지대(100)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단지 나뭇가지 지지부(40)만 교체하면 얼마든지 수목 지지대(100)를 계속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4 : 지지부 6 : 기둥부
10 : 상부 프레임 12 : 사이드 와이어 고정부
14 : 와이어 20 : 하부 프레임
30, 30A, 30B : 지주 32 : 기초부
40 : 나뭇가지 지지부 42 : 로드
43 : 중앙 와이어 고정부 44 : 상부 너트
45 : 상부 워셔 46 : 중앙 너트
47 : 중앙 워셔 48 : 하부 너트
49 : 하부 워셔
100, 100A, 100B :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대

Claims (8)

  1. 나뭇가지를 관통한 채로 나뭇가지에 고정되는 바아(bar) 형상의 나뭇가지 지지부;
    상기 나뭇가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뭇가지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나뭇가지 지지부의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이 결합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지면에 고정되는 지주;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굴곡되거나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서 상기 나뭇가지의 윗면과 양측면을 둘러싸고 있으며,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양단부를 갖고, 상기 나뭇가지 지지부가 그 중앙부위에 체결되는 상부 프레임; 및
    굴곡되거나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서 윗방향으로 연장된 양단부를 갖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단부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수목 지지대.
  2. 나뭇가지를 관통한 채로 나뭇가지에 고정되는 바아(bar) 형상의 나뭇가지 지지부;
    상기 나뭇가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뭇가지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나뭇가지 지지부의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이 결합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지면에 고정되는 지주;를 포함하며,
    상기 나뭇가지 지지부는,
    상기 나뭇가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하단부위에 체결되어 나뭇가지가 아래방향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뭇가지 지지부는,
    상기 나뭇가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하단부위에 체결되어 나뭇가지가 아래방향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상단부위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중앙부위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로드를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로드의 상단부위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부 너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
  5. 제2항에 있어서,
    로드 중에서 나무의 상면 근방부위에 중앙 너트를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로드의 하단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측 내측면은 와이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하단에 결합된 중앙 와이어 고정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사이드 와이어 고정부; 및
    상기 중앙 와이어 고정부와 상기 사이드 와이어 고정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를 지면에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주의 아래쪽 끝단에 형성되어 땅속에 정착되는 기초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
KR1020110070793A 2011-07-18 2011-07-18 수목 지지대 KR101117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793A KR101117833B1 (ko) 2011-07-18 2011-07-18 수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793A KR101117833B1 (ko) 2011-07-18 2011-07-18 수목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7833B1 true KR101117833B1 (ko) 2012-03-21

Family

ID=4614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793A KR101117833B1 (ko) 2011-07-18 2011-07-18 수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8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758Y1 (ko) 2000-06-15 2000-12-15 추연한 수목보호 지지장치
KR100778074B1 (ko) * 2006-07-18 2007-11-29 (주) 삼육 신축조절되는 수목지지대
KR20090001613U (ko) * 2007-08-16 2009-02-19 김주동 수목의 성장방향 유도부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758Y1 (ko) 2000-06-15 2000-12-15 추연한 수목보호 지지장치
KR100778074B1 (ko) * 2006-07-18 2007-11-29 (주) 삼육 신축조절되는 수목지지대
KR20090001613U (ko) * 2007-08-16 2009-02-19 김주동 수목의 성장방향 유도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57449B (zh) 植物果实支撑架
CN204762466U (zh) 西瓜藤支架
CN203827767U (zh) 一种果树y形整形修剪方式支架系统
CN209376300U (zh) 一种便于组装的果蔬种植棚架
CN206506969U (zh) 一种用于葡萄栽培的立柱式架杆
CN104094811B (zh) 园林树木双向双刚度弹性支撑
KR101117833B1 (ko) 수목 지지대
CN203590774U (zh) 果树护杆器
KR101656468B1 (ko)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
CN107743821A (zh) 一种多功能的猕猴桃种植攀爬支架
CN205024700U (zh) 一种改进型的柔性被动防护网
JP3187623U (ja) 樹木の枝支持装置
CN208480365U (zh) 一种园林绿化用植物攀爬装置
US8341879B1 (en) Modified plant supporting structure
CN209710926U (zh) 一种猕猴桃栽培架
CN107836278A (zh) 一种桃子树支撑架
CN209134983U (zh) 一种沃柑拉托装置
CN210186407U (zh) 一种用于滑雪台的支撑框架结构
CN203057973U (zh) 一种用于土球底部的六角形树木固定装置
CN206658682U (zh) 一种钢绞线遮荫大棚
KR200485675Y1 (ko) 유실수 가지 지지장치
CN204708236U (zh) 一种可调节蚊帐大小的能固定便携式吊床
CN219248742U (zh) 一种古树支撑保护装置
CN207639303U (zh) 一种高度可调节的葡萄架
KR200484144Y1 (ko) 와이어 지주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