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530B1 -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고압용 유분리기 - Google Patents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고압용 유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530B1
KR101117530B1 KR1020100060443A KR20100060443A KR101117530B1 KR 101117530 B1 KR101117530 B1 KR 101117530B1 KR 1020100060443 A KR1020100060443 A KR 1020100060443A KR 20100060443 A KR20100060443 A KR 20100060443A KR 101117530 B1 KR101117530 B1 KR 101117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eparator
working fluid
refrigerant
buoyancy body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216A (ko
Inventor
박용정
김근배
김태규
김부겸
Original Assignee
대한공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공조(주) filed Critical 대한공조(주)
Priority to KR1020100060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530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2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separating lubricants from the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18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closed when a rising liquid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16K3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with the float rigidly connected to the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0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 F25B9/008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being 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03Oil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압축기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냉매와 혼합된 압축기의 작동유체를 분리하기 위한 유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O2를 냉매로 사용하여 고압 상태에서 동작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고압용 유분리기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작동유체와 냉매가 비중의 차이에 인하여 수직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유분리기 몸체부; 상기 수용공간 상부측에 구비되며 압축기와 연결되는 냉매인입관; 상기 수용공간 하부측에 구비되며 분리된 작동유체를 압축기로 돌려주는 오일리턴관; 상기 유분리기 몸체부의 상단을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냉매인출관; 상기 유분리기 몸체부에 연직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부력체; 상기 부력체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오일리턴관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하여 개폐가 조절되는 밸브체; 및 상기 부력체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작동유체보다 비중이 큰 부력체가 작동유체의 수위에 따라 상승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고압용 유분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고압용 유분리기{OIL SEPARATOR HAVING SPRING FOR HIGH PRESSURE}
본 발명은 히트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압축기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냉매와 혼합된 압축기의 작동유체(oil)를 분리하기 위한 유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O2를 냉매로 사용하여 고압 상태에서 동작하는 열교환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고압용 유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냉매의 기화열과 응축열을 이용하여 냉난방을 수행하는 다양한 열교환 시스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열교환 시스템이란 냉매의 기화열과 응축열을 이용하여 냉난방을 수행하는 공조 시스템 또는 냉매의 기화열과 응축열을 이용하여 급탕을 가열하는 시스템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열교환 시스템들은 최근 환경 오염등의 문제로 인하여 친환경 냉매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친환경 냉매로 대표적인 것은 CO2가 있는데, CO2를 냉매로 사용하는 경우 작동압력이 100bar 이상이어서, 종래의 시스템에 사용하는 구성부품들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특히, 압축기의 토출측(출구측)에 구비되어 압축기 작동유체와 냉매를 분리하는 유분리기의 경우 종래의 설비들은 작동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고압 영역에서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고압용 유분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 영역에서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는 고압용 유분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정비가 간편한 고압용 유분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동유체와 냉매가 비중의 차이에 인하여 수직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유분리기 몸체부; 상기 수용공간 상부측에 구비되며 압축기와 연결되는 냉매인입관; 상기 수용공간 하부측에 구비되며 분리된 작동유체를 압축기로 돌려주는 오일리턴관; 상기 유분리기 몸체부의 상단을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냉매인출관; 상기 유분리기 몸체부에 연직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부력체; 상기 부력체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오일리턴관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하여 개폐가 조절되는 밸브체; 및 상기 부력체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작동유체보다 비중이큰 부력체가 작동유체의 수위에 따라 상승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고압용 유분리기를 제공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부력체에 구비되는 마그네틱부재와, 상기 마그네틱부재의 자기력에 의하여 개폐되는 마그네틱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마그네틱스위치는 상하로 2개가 구비되어, 상부 마그네틱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밸브체가 개방되고, 하부 마그네틱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밸브체가 폐쇄하도록 동작하거나,
상기 마그네틱스위치는 1개가 상기 부력체가 최대 높이로 상승한 경우 신호를 발생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틱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일정시간동안 상기 밸브체가 개방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분리기 몸체부는 상하에 플랜지를 구비하는 원통형상의 중앙몸체와, 상기 중앙몸체의 상부 플랜지에 결합하는 상부덮개와, 상기 중앙몸체의 하부 플랜지에 결합하는 하부덮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덮개와 상기 하부덮개는 상기 중앙몸체에 탈부착 가능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분리기 몸체부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관을 구비하고, 상기 부력체는 상기 가이드관에 대응하는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부력체가 상기 가이드관을 따라 승하강이동하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 유분리기는 작동유체보다 비중이 큰 부력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압 영역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발명은 CO2를 냉매로 사용하는 열교환 시스템(공조 시스템, 급탕 시스템 등)에서 작동유체와 냉매가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히트 펌프 시스템의 원활한 작동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용 유분리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용 유분리기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 유분리기 센서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 유분리기 센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고압용 유분리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용 유분리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용 유분리기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 유분리기(100)는 고압의 냉매를 사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에 사용되는 것으로, 압축기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압축기의 작동유체와 혼합된 상태로 유입되는 냉매를 압축기의 작동유체와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분리된 작동유체는 다시 압축기 측으로 보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 유분리기(100)는, 작동유체와 냉매가 비중의 차이에 인하여 수직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수용공간(112)을 형성하는 유분리기 몸체부(110)와, 상기 수용공간(112) 상부측에 구비되며 압축기와 연결되는 냉매인입관(120)과, 상기 수용공간(112) 하부측에 구비되며 분리된 작동유체를 압축기로 돌려주는 오일리턴관(130)과, 상기 유분리기 몸체부(110)의 상단을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입구가 상기 수용공간(112)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냉매인출관(140)과, 상기 유분리기 몸체부(110)에 연직방향으로 승하강 가능 상기형성되는 부력체(150)와, 상기 부력체(150)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부(160)와, 상기 오일리턴관(130)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부(160)의 신호에 의하여 개폐가 조절되는 밸브체(170)와, 상기 부력체(150)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작동유체보다 비중이큰 부력체가 작동유체의 수위에 따라 상승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180)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히트펌프 시스템들이 20~40 bar 사이의 작동 압력을 가지는 것에 반하여, 냉매로 CO2를 사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은 작동 압력이 100~120 bar에 달하는 고압이다.
냉매가 고압 상태에서 순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에 따라 사용되는 자재들의 강도 등도 변경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특히 압축기를 통과하며 압축기 작동유체와 혼합된 상태로 배출되는 냉매에서, 압축기 작동유체를 분리하여 압축기 측으로 돌려보내는 유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상대적으로 작동 압력이 낮은 종래의 히트펌프 시스템들은 작동유체(압축기의 오일)의 수위에 따라 부체가 떠오를 수 있도록 구성된 플로트 타입의 유분리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유분리기는 작동유체보다 비중이 작게 형성된 부체를 구비하여, 회수되는 작동유체의 수위에 따라 부체가 떠오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종래의 부체로는 내부가 비어있는 볼 형상을 가지는 볼타입과, 발포 성형하여 기공을 포함하는 벌크 타입이 있었다.
그런데, 볼타입의 경우 고압영역에서 사용될 경우 볼이 찌그러져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찌그러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소재의 두께를 증가시킬 경우 자중이 증가하여 부체가 오일보다 비중이 높아져 떠오르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기공을 포함하는 벌크 타입의 경우에는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기공의 내부로 작동유체가 침투함으로써 자중이 증가하여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고압에서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며, 작동유체가 침투하여 자중이 변화하지 않는 부력체를 사용함으로써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고압용 유분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유분리기 몸체부(110)는 작동유체와 냉매가 비중의 차이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는 수용공간(112)을 형성하고 있다. 작동유체는 액체상태이고 냉매는 기체상태이기 때문에 작동유체가 하부측으로 수집되며 냉매와 작동유체가 분리되는 것이다.
유분리기 몸체부(110)는 상하에 플랜지(115a, 115b)를 구비하는 원통형상의 중앙몸체(115)와, 상기 중앙몸체(115)의 상부 플랜지(115a)에 결합하는 상부덮개(116)와, 상기 중앙몸체(115)의 하부 플랜지(115b)에 결합하는 하부덮개(117)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몸체(115)와, 상,하부덮개(116, 117)은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결합되어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조립의 편의성, 그리고 점검 및 보수의 편리성을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중앙몸체(115)와 상부덮개(116)의 사이에는 오링(190)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링(190)은 중앙몸체(115)와 상부덮개(116)의 연결부를 밀폐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중앙몸체(115)와 상부덮개(116)의 사이에만 오링(190)이 개재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중앙몸체(115)와 하부덮개(117)의 사이에도 오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앙몸체(115)의 상부측에는 냉매인입관(120)이 연결된다. 냉매인입관(120)은 압축기의 출구와 연결되어, 유분리기 몸체부(110)의 수용공간(112)으로 작동유체와 혼합된 냉매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냉매인입관(120)이 상부측에 형성되는 것은, 원심력에 의해 혼합된 냉매와 작동유체(oil)를 분리 하는 것과 하부로부터 쌓이게 되는 작동유체에 주입되는 냉매가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중앙몸체(115)의 하부측에는 오일리턴관(130)이 연결된다. 오일리턴관(130)은 수집된 작동유체를 압축기측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것으로, 압축기의 흡입관 또는 리저버 탱크에 연결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유체는 아래쪽으로부터 차올라오게 되므로 오일리턴관(130)은 중앙몸체(115)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일리턴관(130)에는 센서부(160)의 신호에 의하여 개폐가 조절되는 밸브체(170)가 구비된다. 일정량 이상의 오일이 수집되면 밸브체(170)가 개방되어 오일이 유분리기 몸체부(110)에서 배출되어 압축기로 보내지게 된다.
밸브체(170)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기적인 온오프에 의하여 밸브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으며, 신속한 개폐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작동유체와 분리된 냉매는 냉매인출관(140)으로 배출된다. 냉매인출관(140)은 유분리기 몸체부(110)의 상부덮개(116)를 관통하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냉매인출관(140)의 입구는 T자 형상으로 분기되어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입구의 높이는 부력체(150)의 최대 상승높이 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오일은 상기 냉매인출관(140)의 입구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부력체(150)는 유분리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연직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된다. 부력체(150)는 고압에서 작동유체가 침투할 수 없는 재질(기공을 포함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압에서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력체(150)의 재질로는 금속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경량의 알루미늄 합금 재질등을 사용할 수 있다.
종래에는 부력체(150)의 밀도가 작동유체보다 작은 것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본원발명은 이러한 조건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는 본원발명이 부력체(150)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80)를 구비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부력체의 중량이 100이고, 그중 40%에 해당하는 부피가 잠겨 있을 경우, 또한 40% 체적에 해당하는 작동유체 질량이 20이라면 100에서 20을 뺀 80에 해당하는 질량이 하부로 작용한다. 이때 스프링의 탄성을 80으로 맞추면 정지상태로 부력체는 작동유체에 40% 잠겨있게 된다. 이때 작동유체가 증가하여 부력체가 80% 잠길 경우 부력체 80%에 해당하는 작동유체 질량이 20/40*80이 되어 40이 된다. 이때 100(부력체 질량)<40(작동유체 질량)+80(스프링 탄성) 이 되어 부력체는 상부로 뜨게 된다. 상부로 이동하여 다시 부력체는 40%가 잠기고 수평이 이뤄진다. 즉, 부력체는 오일 유입에 의해서 상부로 이동하여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부력체가 작동유체 보다 비중이 작을 필요가 없으므로 금속재질로 고압에서 변형되지 않는 부력체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부력체(150)는 중앙에 관통공(152)을 구비하며, 유분리기 몸체부(110)의 바닥덮개(117)에는 상기 관통공(152)에 결합되는 가이드관(118)이 구비된다.
따라서, 부력체(150)는 상기 가이드관(118)을 따라 승하강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119)의 외주에 탄성부재(180)가 구비되며, 탄성부재(180)는 부력체(150)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탄성부재(180)의 탄성력이 부력체(150)를 밀어올리도록 작동함으로써, 실제로 작동유체보다 비중이큰 부력체(150)가, 작동유체의 수위에 따라 상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탄성부재(180)가 부력체(150)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탄성력이 부력체(150)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된 것이나, 탄성부재(180)를 부력체(150)의 위쪽에 설치하고, 상부덮개(116)에 연결함으로써 탄성부재(180)의 탄성력이 부력체(150)를 끌어당기도록 구성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력체(150)의 높이를 센서부(160)에서 감지하여, 밸브체(170)를 개폐하게 된다. 밸브체(170)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부력체(150)의 상승이 센서부(160)에서 감지되면 밸브체(170)가 개방되어 모여진 작동유체를 배출하게 되고, 작동유체가 배출되면 다시 밸브체(170)가 닫혀져 다시 작동유체를 수집하게 된다. 센서부(16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 유분리기 센서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용 유분리기 센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센서부(160)에 하나의 마그네틱 스위치(164)를 구비하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센서부(160)에 두개의 마그네틱 스위치(164, 166)를 구비하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센서부(160)는 부력체(160)에 구비되는 마그네틱부재(162)와, 가이드관(118)에 구비되는 마그네틱 스위치(164, 166)을 포함한다. 마그네틱부재(162)는 자기력을 제공하게 되고, 마그네틱 스위치(164, 166)는 자기력이 가해지면 접점이 단속되며 신호를 발생시킨다. 마그네틱 스위치(164, 166)에서 발생된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체(170)에 전달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부력체(150)의 최대 상승 높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마그네틱 스위치(164)가 배치되어 있다. 압축기 작동유체가 수용공간(112)의 아래쪽에서 부터 차오르게 되면, 그에 따라 부력체(150)가 상승하게 된다.
부력체(150)가 상승하여 그에 구비된 마그네틱 부재(162)가 마그네틱 스위치(164)에 자기력을 가하게 되면, 마그네틱 스위치(164)에서 신호가 발생되어 밸브체(170)로 전달된다. 신호를 받은 밸브체(170)는 일정시간 개방된다.
밸브체(170)가 개방되는 시간은 오일리턴관(130)의 직경과 작동압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수집된 작동유체가 소정량 배출될 수 있는 시간 동안만 개방되는 것으로, 작동압력이 일정하므로 작동유체의 배출량은 밸브체(170)의 개방시간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다.
다시말해 도 3의 실시예는 부력체(150)의 최대높이를 감지하여, 일정시간 동안 밸브체(170)를 개방함으로써 수집된 작동유체를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4의 실시예는 마그네틱 스위치를 2개 구비하여, 상부 마그네틱 스위치(164)가 부력체(150)의 상승을 감지하고, 하부 마그네틱 스위치(166)가 부력체(150)의 하강을 감지하도록 한 것이다.
도 4의 실시예에는 상부 스토퍼(192)와 하부 스토퍼(194)가 더 포함되는 것으 특징으로 한다. 상부 스토퍼(192)는 부력체(150)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며, 하부 스토퍼(194)sms 부력체(150)의 하강 높이를 제하여, 부력체(150)가 일정한 범위 안에서만 승하강 할 수 있도록한다.
부력체(150)가 마그네틱 스위치(162, 164) 설치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오작동이나 고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하부 스토퍼(194)의 경우 내부에 탄성부재(180)를 수용하게 된다.
또한, 하부 스토퍼(194)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하부 스토퍼(194) 내부와 외부 유체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통공(194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력체(150)가 상승하여, 마그네틱 부재(162)가 상부 마그네틱 스위치(164)에 자기력을 가하게 되면, 상부 마그네틱 스위치(164)가 신호를 발생하게 되는데, 이 신호에 의하여 밸브체(170)가 개방된다.
밸브체(170)가 개방되면 수집된 작동유체가 배출됨에 따라 부력체(150)는 하강하게 되고, 부력체(150)의 하강이 완료되어 마그네틱 부재(162)가 하부 마그네틱 스위치(166)에 자기력을 가하게 되면, 하부 마그네틱 스위치(166)에서 신호가 발생되고, 이 신호를 전달받은 밸브체(170)는 닫히게 된다.
밸브체(170)가 닫히면, 다시 작동유체가 수집되며 부력체(150)가 상승하게 되고,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며 수집된 작동유체를 안정적으로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고압용 유분리기
110 : 유분리기 몸체부
120 : 냉매인입관
130 : 오일리턴관
140 : 냉매인출관
150 : 부력체
160 : 센서부
170 : 밸브체
180 : 탄성부재
190 : 오링(O-ring)
192 : 상부스토퍼
194 : 하부스토퍼
194a : 소통공

Claims (9)

  1. 작동유체와 냉매가 비중의 차이에 인하여 수직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유분리기 몸체부;
    상기 수용공간 상부측에 구비되며 압축기와 연결되는 냉매인입관;
    상기 수용공간 하부측에 구비되며 분리된 작동유체를 압축기로 돌려주는 오일리턴관;
    상기 유분리기 몸체부의 상단을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냉매인출관;
    상기 유분리기 몸체부에 연직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부력체;
    상기 부력체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오일리턴관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하여 개폐가 조절되는 밸브체; 및
    상기 부력체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작동유체보다 비중이큰 부력체가 작동유체의 수위에 따라 상승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고압용 유분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부력체에 구비되는 마그네틱부재와,
    상기 마그네틱부재의 자기력에 의하여 개폐되는 마그네틱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용 유분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스위치는
    상하로 2개가 구비되어, 상부 마그네틱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밸브체가 개방되고, 하부 마그네틱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밸브체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용 유분리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스위치는 상기 부력체가 최대 높이로 상승한 경우 신호를 발생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틱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일정시간동안 상기 밸브체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용 유분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분리기 몸체부는
    상하에 플랜지를 구비하는 원통형상의 중앙몸체와,
    상기 중앙몸체의 상부 플랜지에 결합하는 상부덮개와,
    상기 중앙몸체의 하부 플랜지에 결합하는 하부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용 유분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몸체와 상기 상부덮개의 사이 또는 상기 중앙몸체와 상기 하부덮개의 사이에 오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용 유분리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와 상기 하부덮개는 상기 중앙몸체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용 유분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분리기 몸체부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관을 구비하고,
    상기 부력체는 상기 가이드관에 대응하는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부력체가 상기 가이드관을 따라 승하강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용 유분리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의 승하강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용 유분리기.
KR1020100060443A 2010-06-25 2010-06-25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고압용 유분리기 KR101117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443A KR101117530B1 (ko) 2010-06-25 2010-06-25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고압용 유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443A KR101117530B1 (ko) 2010-06-25 2010-06-25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고압용 유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216A KR20120000216A (ko) 2012-01-02
KR101117530B1 true KR101117530B1 (ko) 2012-03-21

Family

ID=45608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443A KR101117530B1 (ko) 2010-06-25 2010-06-25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고압용 유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5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8377A1 (de) * 1981-02-17 1982-08-25 BASF Aktiengesellschaft Thermoplastische Formmassen
US5417078A (en) * 1994-06-13 1995-05-23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tor flow control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8377A1 (de) * 1981-02-17 1982-08-25 BASF Aktiengesellschaft Thermoplastische Formmassen
US5417078A (en) * 1994-06-13 1995-05-23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tor flow control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216A (ko) 201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99509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valving liquid
US3495617A (en) Float valve
CN100412516C (zh) 压差式液位检测装置
CN110906029A (zh) 用于热水器的换向阀、混水装置和热水器
EP1313976A1 (en)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ler with plural outlet float valve
CN201297437Y (zh) 用于容器内的差压式排水装置
KR101117530B1 (ko)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고압용 유분리기
KR100838745B1 (ko) 가스보일러의 팽창/수축/에어제거 밸브
KR200425999Y1 (ko) 다기능 에어벤트
US9249897B2 (en) Double action float valve
KR20130104044A (ko) Lpg 기화기의 액체가스 유출 방지장치
CN202778148U (zh) 具有手动排水功能的自动排水装置
US20050257830A1 (en) Float valve assembly
CN106660701A (zh) 用于罐车的防溢流装置
JP5271339B2 (ja) 冷温水器
KR102103718B1 (ko) 수위 조절 밸브
JP5416464B2 (ja) 排気弁
JP2006316940A (ja) 排気弁
CN205246180U (zh) 水位检测系统
CN202521215U (zh) 浮帽疏液阀
CN105398709A (zh) 一种耐压型缓冲罐
KR100762914B1 (ko) 다기능 에어벤트
KR101185782B1 (ko) 관로용 자동 에어벤트장치
JP2006316939A (ja) 排気弁
EP2115362B1 (en) Expansion tank provided with a flo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8